KR101503316B1 - 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316B1
KR101503316B1 KR20130159507A KR20130159507A KR101503316B1 KR 101503316 B1 KR101503316 B1 KR 101503316B1 KR 20130159507 A KR20130159507 A KR 20130159507A KR 20130159507 A KR20130159507 A KR 20130159507A KR 101503316 B1 KR101503316 B1 KR 101503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holder
bobbin
termina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9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종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5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3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46Enhanced legend space by smaller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contactor including an operation circuit board which includes a coil terminal structure to directly touch the operation circuit board with a coil in the magnetic contractor includ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The magnetic contractor absorbs a moving core in the application of current by including the coil and includes a bobbin. The magnetic contractor includes the operation circuit board which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bobbin, a coil terminal which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bobbin and provides a conduction path between the coil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a holder which is form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connects the operation circuit board to the coil terminal. The coil terminal includes: a holder contact part which electrically conducts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terminal by being directly combined to the holder, a terminal support part which connects the holder contact part to the bobbin and supports the holder contact part and the bobbin, and a coil connection part which connects the coil to the holder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connection is reduced in comparison with an existing structure to connect the operation circuit board to the coil terminal by a wire.

Description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회로기판이 구비된 전자접촉기에서 조작회로기판이 코일과 직접접촉하는 코일터미널 구조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having a coil terminal structure in which an operation circuit board is in direct contact with a coil i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provided with an operation circuit board.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C,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 원리를 이용하여 주회로에 흐르는 전원(전류)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전류의 용량에 따라 예를 들어 130A 미만의 중·소용량 제품과 130A~800A 범위의 대용량 제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Generally, a magnetic contactor (MC) is a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a power (current) flowing in a main circuit by using an electromagnet principl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an be classified into a medium-sized and small-sized product of less than 130A and a large-capacity product of 130A to 800A,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current capacity.

또한, 전자접촉기는 주전원부, 주전원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조작회로기판로 크게 나뉘며, 조작회로기판은 코어부와 조작회로기판 및 코일로 이루어져 있다.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s largely divided into a main power supply unit and an operation circuit board through which electric current flows in the main power supply. The operation circuit board is composed of a core unit, an operation circuit board and a coil.

도 1은 일반적인 중·소용량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전자접촉기는 상부프레임(11), 가동철심코어(12), 복원(back)스프링(13), 보빈(14), 고정철심코어(15), 및 하부프레임(16)으로 구성된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middle / small capacity electromagnetic contacto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ncludes an upper frame 11, a movable core 12, a back spring 13, a bobbin 14, A fixed core core 15, and a lower frame 16.

상기 보빈(14)은 속이 빈 원통형 철심으로서, 보빈의 외측면에 감겨진 코일(14a)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4a) 주위에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에 의해 E자 형상의 고정철심코어(15)가 자화(磁化)되어 전자석이 된다.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round the coil 14a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coil 14a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The magnetic field causes the bobbin 14 to rotate around the E- The core 15 is magnetized and becomes an electromagnet.

이렇게 전자석이 된 고정철심코어(15)는 자기력에 의해 도체의 가동철심코어(12)를 흡인하여 아래로 끌어당기고, 가동철심코어(12)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가동접점이 하강하여 고정접점에 접촉됨에 따라 주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The stationary core core 15 thus electromagnetically attracts the movable core core 12 of the conductor by the magnetic force and pulls it down so that the movable core member 12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core core core 12 is lowered,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main circuit.

이때, 코일(14a)에 인가된 전원이 사라지면 코일(14a) 주위의 자기장도 사라져서 복원스프링(13) 위에 위치한 가동철심코어(12)가 복원스프링(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상승하면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분리되어 주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At this time, when the power applied to the coil 14a disappears, the magnetic field around the coil 14a disappears, so that the movable core core 12 located on the restoring spring 13 rise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storing spring 13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re separated and the current flowing in the main circuit is cut off.

도 2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보빈의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보빈의 조립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bobbin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ing structure of a bobbin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에서 전원이 입력되는 외부전원입력단자(25)가 있고, 상기 외부전원입력단자(25)를 통해 입력된 전원은 조작회로기판(21)을 통하여, 코일(23)로 인가된다.2 and 3, there is an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25 through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and a power input via the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25 is connected to the coil 23).

이때, 외부전원입력단자(25)에서 입력된 전원이 조작회로기판(21)으로 인가되고, 조작회로기판(21)에서 코일로 인가될 때 도선(22)을 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ower input from the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25 is appli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21, and wh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21 is applied to the coil, the power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ad 22.

그런데, 상기 외부에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 중에 조작회로기판과 코일 사이에 도선을 이용하므로써, 별도의 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조작회로기판에 전류가 코일로 제대로 인가되지 않아 전자접촉기의 전체적인 오작동의 원인이 되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여 왔다.However, since a wire is used betwe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during the process of applying power from the outside, a separate wire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a disconnection occurs, a current is not properly appli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Causing a malfunction of the whole system.

또한, 조작회로기판과 코일사이에 별도의 선을 연결할 때 제작 공정상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되며, 제작 및 검수 과정에서 또한 인력소모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Further, additional wires are required betwe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for additional tim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dditional labor is requi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spection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코일과 조작회로기판을 와이어(wire)없이 직접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코일터미널을 구비한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having a coil terminal for directly coupling a coil and an operation circuit board without a wire .

또한 상기 코일터미널에 상기 조작회로기판이 직접 체결되어 지지됨으로써, 다른 추가적인 부재 없이 상기 조작회로기판을 코일이 구비된 보빈에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apable of supporting and fix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on a bobbin provided with a coil without any additional member by directly fastening and support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on the coil terminal.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코일을 구비하여, 전류인가시 가동코어를 흡인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조작회로기판; 상기 보빈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회로기판과 코일사이의 통전경로를 제공하는 코일터미널; 및 상기 조작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회로기판을 상기 코일터미널에 체결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터미널은 상기 홀더와 직접 체결되어, 상기 조작회로기판과 상기 코일터미너을 통전 가능하게 하는 홀더접촉부; 상기 홀더접촉부와 보빈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 상기 홀더접촉부와 코일을 연결하는 코일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cluding a bobbin having a coil and sucking a movable core when a current is applie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omprising: ; A coil terminal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obbin for providing a current path betwe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And a holder provid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fasten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to the coil terminal, wherein the coil terminal is directly coupled to the holder, and the coil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terminal Holder contact;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holder contact portion with the bobbin; And a coi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holder contact portion and the coil.

여기서, 상기 터미널지지부는 상기 홀더접촉부의 일단에서 돌출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코일연결부는 상기 홀더접촉부의 타단에서 돌출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지지부와 코일연결부는 서로 돌출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may be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and the coil connect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and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il connecting portion may have different protruding directions.

또한, 상기 코일연결부의 돌출방향은 상기 코일터미널이 상기 보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Further,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il connection portion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bobbin toward the other end while the coil terminal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bobbin.

또한, 상기 코일연결부의 돌출방향은, 상기 코일터미널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회로기판이 접촉되는 방향쪽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il connecting portion may protrude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circuit board contacts the coil terminal while the coil terminal is inserted and fixed.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홀더접촉부는 통전이 가능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판형부재이며, 상기 터미널지지부에는 상기 보빈 내부로 삽입시, 상기 코일터미널이 상기 보빈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contact portion is a plate-like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t which energization is possible, and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oil terminal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obbin when inserted into the bobbin .

여기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터미널지지부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projecting support portion may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and may be spaced apart.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상기 보빈은 상기 터미널지지부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includes a termina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또한, 상기 코일연결부는 단면이 감소한 권선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il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winding groove portion having a reduced cross section.

여기서, 상기 코일연결부의 단부측에는 상기 권선된 코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단면의 늘어난 권선돌기부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end of the coil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winding protrusion extending in the cross section so that the coil does not escape.

또한, 상기 홀더접촉부의 상기 홀더와 접촉되는 측 단부는, 단부측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챔퍼를 형성할 수 있다.Further, the side end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can form a chamfer having a thin thickness on the end side.

또한, 상기 홀더접촉부의 상기 홀더와 접촉되는 측 단부는, 상기 홀더가 삽입된 후 홀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contact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support portion for preventing the holder from being separated after the holder is inser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종래의 조작회로기판와 코일터미널을 와이어로 연결한 구조에 비해, 단선이 발생할 수 있는 염려를 크게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possibility that disconnection may occur, as compar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conventional operation circuit board and a coil terminal are connected by a wire.

특히, 코일터미널이 철 재질로 이루어져 기존 와이어로 연결할 때보다 더 통전효과가 늘어날 수 있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후화에 따른 문제도 줄일 수 있다.Especially, since the coil terminal is made of the iron material, the energizing effect can be increased more than when connecting with the existing wire, and the problem caused by aging can be reduced over time.

또한, 별도의 전선이 없이 조작회로기판을 코일터미널을 추가하여 코일부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기존 제품 대비 조립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In addition, by join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directly to the coil portion by adding a coil terminal without a separate wi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shorten the assembly time compared to the existing product.

또한, 보빈 일측에 조작회로기판을 직접 체결함으로써, 조작회로기판을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컴팩트한 공간구성을 통해, 보다 작은 전자접촉기를 만들 수 있다.Further, since the operation circuit board is directly fastened to one side of the bobbin, a separate space for provid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is not needed, so that a smaller electromagnetic contactor can be made through a compact space structure.

또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조작회로기판을 보빈에 지지, 고정시킬 수 있어, 공정상, 사용상, 공간상 더 나은 전자접촉기를 만들 수 있다.Further, the operation circuit board can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bobbin without a separate fixing memb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better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process, use, and spac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보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자접촉기의 보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조립사시도로서, 프레임의 전원측 측면부분 일부절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빈과 조작회로기판이 결합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빈과 조작회로기판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빈과 조작회로기판의 결합된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터미널이 보빈에 삽입된 모습의 요부를 나타낸 투시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magnetic contactor.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bbin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obbin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components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ial cutaway view of a power source side surface portion of a fram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rection in which the bobbin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are combine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bobbin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Fig.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bobbin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coil terminal inserted into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Also,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ly disclosed subject matter belo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broader sense, or interpreted in an oversimplifi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which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Also,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ing ",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Further, in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obscured. It is to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asil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technology by the attached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조작회로기판이 직접 체결될 수 있는 코일터미널이 보빈에 고정되어, 조작회로기판과 코일터미널이 직접 통전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which a coil terminal to which an operation circuit board can be directly fastened is fixed to a bobbin so that an operation circuit board and a coil terminal can be energized directly.

본 발명에서 개선한 점을 살펴보면, 기존의 전자접촉기는 조작회로기판과 코일터미널의 연결이 와이어(wire)를 통해서 이루어져, 전자접촉기를 만들 때 와이어가 필요하므로 추가적인 재료가 더 필요하며 연결에 필요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했지만, 본 발명의 전자접촉기는 조작회로기판과 코일터미널이 직접 체결되므로 추가적인 와이어가 필요 없고, 또한 한번에 체결되므로 추가적인 작업 또한 필요하지 않다.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requires additional material becau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ng circuit board and the coil terminal is made through a wire and the wire is required to mak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lthough the operation was require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no additional wire because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terminal are directly fastened, and further operation is not necessary since the coil is fastened at one time.

또한, 기존의 전자접촉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조작회로기판과 코일터미널간에 연결된 와이어의 단선 위험이 있지만, 본 발명의 전자접촉기는 조작회로기판와 코일터미널간을 직접 연결함으로써, 시간이 흘러도 단선의 위험이 없고, 통전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re is a risk of disconnection of a wire connected betwe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terminal over time in the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connects betwe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terminal, And the effect of smooth energization can be obtained.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작회로기판은 코일터미널과의 연결방식에 있어서, 조작회로기판에 구비된 홀더를 통해 상기 코일터미널과 직접체결을 한다.To this e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upled with the coil terminal through a holder provid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in a connection manner with the coil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상부프레임(111), 크로스바(120), 가동부(130), 탄성부재(140), 고정부(180), 조작회로기판(170), 하부프레임(11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4,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frame 111, a crossbar 120, a movable portion 130, an elastic member 140, a fixing portion 180, A lower frame 170, a lower frame 112, and the like.

상기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은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제품의 외부 골격을 형성한다. The upper frame 111 and the lower frame 112 form an outer skeleton of the product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상기 크로스바(120)는 가운데에 기둥형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기둥부재(121)와, 기둥부재(121)의 하단에 배치되는 기초부재(122)와, 기둥부재(121)의 양쪽 측면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3상의 가동접점(123)을 포함한다.The cross bar 120 includes a column member 121 vertically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olumn, a base member 122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olumn member 121, And includes a three-phase movable contact 123 provided therein.

상기 가동부(1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가동철심코어(131)와, 가동철심코어(131)의 상단에 설치되어 크로스바(120)와 가동철심코어(131)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132)와, 연결부재(132) 위에 설치되어 가동철심코어(131)를 크로스바(120)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34)로 구성된다.The movable part 130 includes a cylindrical movable core 131, a connecting member 13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core 131 for connecting the crossbar 120 to the movable core 131, And a supporter 134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132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re core 131 on the crossbar 120.

상기 가동철심코어(131)는 고정부(180)에 위치한 보빈(15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즉 상부프레임(111)의 좌우측 길이방향으로 기존의 "E"자형 가동철심코어(131)의 길이에 비해 가동철심코어(131)의 직경이 훨씬 작고, 대신에 가동철심코어(131)의 축방향 길이가 길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가동철심코어(131)는 보빈(150)의 내부에 축방향(도면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삽입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의 가동철심코어(131)에 의해 보빈(150)의 직경을 축소할 수 있고, 하부프레임(112)의 내측면과 보빈(150) 사이의 측면공간을 조작회로기판(170)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movable core core 131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obbin 150 located at the fixed portion 180. The diameter of the movable core 131 is much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conventional "E" movable core 131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1, It is long. The movable core core 131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inserted into the bobbin 150 in the axial direction (upward and downward in the drawing). The diameter of the bobbin 150 can be reduced by the movable core core 131 having such a structure and the side space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2 and the bobbin 150 can be reduced, .

상기 탄성부재(140)는 코일(156)에 인가되는 외부전원이 사라질 경우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동부(130) 및 크로스바(120)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탄성부재(140)로 코일이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40 serves to restore the movable part 130 and the cross bar 120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external power applied to the coil 156 disappears, A coil spring in which the coil is wound in a spiral shape can be used.

상기 고정부(180)는 코일(156)을 구비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보빈(150)과, 상기 보빈(150)의 폭방향 측면에 박스형태로 결합되는 요크(160)를 포함한다.The fixing part 180 includes a bobbin 150 having a coil 156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and a yoke 160 coupled to the bobbin 150 in a box shape on the widthwise side of the bobbin 150.

상기 조작회로기판(170)는 보빈(150)의 전원측 측면공간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조작회로기판(171)과 조작회로기판 내부 회로를 포함한다.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includes an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nd an operation circuit board internal circuit which are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power source side space of the bobbin 15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조립사시도로서, 프레임(110)의 전원측 측면부분을 일부절개하여 내부 구성요소를 보여준다.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by partially cutting the power sourc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110. As shown in FIG.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개구된 상부프레임(111)의 하단 테두리부와 상방향으로 개구된 하부프레임(112)의 상단 테두리부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조립되고, 조립된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내부에 수용공간이 조성되어 크로스바(120), 가동부(130), 고정부(180), 탄성부재(140), 조작회로기판(170)를 수용한다.5, the lower frame of the upper frame 111 opened downward and the upper frame of the lower frame 112 opened upward are assembled so that the upper frame 111 and the upper frame 111 are assembled together, A movable portion 130, a fixing portion 180, an elastic member 140, and an operation circuit board 170 are accommodated in the lower frame 112 and the lower frame 112. [

상기 크로스바(120)는 상부프레임(11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크로스바(120)의 상단부에 누름부(124)가 돌출형성되고, 이 누름부(124)는 상부프레임(1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크로스바(120)를 수동으로 조작가능하다.The crossbar 120 is vertically movably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111. A pressing part 12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ross bar 120. The pressing part 124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111 111, so that the user can manipulate the crossbar 120 manually.

상기 상부프레임(111)의 앞쪽(전원측) 측면이 절개되어 제품의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 중 크로스바(120)의 일 측면에 가동접점(123)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때 가동접점(123)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다.A movable contact 123 is vertically mov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rossbar 120 among the components housed inside the product such that the front side (power source side) of the upper frame 111 is cut and the movable contact 123 123 are resiliently supported by a spring.

상기 상부프레임(111)의 내부에 주전원단자가 3상(R,S,T상)으로 구비되고, 전원측 주전원단자의 끝에 고정접점(113)이 가동접점(123)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고정설치되고, 사용자가 크로스바(120)의 누름부(124)를 누르거나 코일(156)에 외부전원의 인가 시 발생되는 전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가동부(130) 및 크로스바(120)가 하강하며, 크로스바(120)와 일체로 동작하는 가동접점(123)이 하강하여 고정접점(113)에 접촉될 수 있다. A main power terminal is provided in three phases (R, S, and T phases) in the upper frame 111 and a fixed contact 113 is fixed to the end of the main power terminal on the power source side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movable contact 123 The moving part 130 and the cross bar 120 are lower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electromagnet generated when the user presses the pressing part 124 of the cross bar 120 or when the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to the coil 156, The movable contact 123, which operates in unison with the fixed contact 113, can be lowered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13.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1) 내부의 고정접점(113) 위에 주전원단자용 고정부재를 3상별로 따로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전원측 및 부하측 전선터미널을 주전원단자 위에 삽입 고정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member for the main power terminal can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f the three phases on the fixed contact 113 inside the upper frame 111, and the power source side and the load side electric wire terminal can be inserted and fixed on the main power terminal by using the fixing member.

상기 가동부(130)는 가동철심코어(131)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판 형상의 연결부재(132)와, 연결부재(132)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위치조작부(133)와, 스위치조작부(133)의 저면에 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스위치조작돌기(133a)를 포함한다.The movable part 130 includes a rectangular plate-shaped connecting member 132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ovable core core 131, a switch operating part 133 protruding horizontally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32, And a switch operating projection 133a protruded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 133.

상기 연결부재(132)는 두가지 기능이 있다. 첫번째 기능은 크로스바(120)와 가동철심코어(131)를 연결하는 연결기능이고, 두번째 기능은 상기 스위치조작돌기(133a)로 연결부재(132)의 스위치조작부(133) 하부에 위치한 반전스위치(172)의 스위치동작레버(172a)를 눌러 내부접점을 반전(여기서 반전은 내부접점을 온(ON)에서 오프(OFF)위치로 전환시킴을 의미함)시키는 스위치조작기능을 한다. The connecting member 132 has two functions. The first function is a connecting function for connecting the crossbar 120 and the movable core core 131. The second function is a function for connecting the inverting switch 172 (not shown) located below the switch operating part 133 of the connecting member 132 to the switch operating projection 133a The switch operation lever 172a of the switch contacts the switch operation lever 172a to switch the internal contact point (in this case, the inversion means that the internal contact point is switched from the ON position to the OFF position).

상기 코일스프링(140)은 크로스바(120)의 하단부와 보빈(150)의 상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코일스프링(140)의 상단부 직경이 그 하단부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140)의 상단부는 크로스바(120)의 하단부에 접촉지지되어 크로스바(120)의 하단부에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고, 코일스프링(140)의 하단부는 보빈(150)의 상단부에 고정된다.The coil spring 1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rossbar 120 and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50.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140 is contacted wit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ross bar 120 so that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ross bar 120 And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14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50. [

상기 고정부(180)의 보빈(150)은 외부의 외부전원입력단자(미도시)와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의 통전부(152)를 상단부에 구비하고, 조작회로기판(170)의 조작회로기판(171)이 홀더(174)을 매개로 상기 통전부(152)의 일측면에 직접 체결되어, 외부전원입력단자(151)로부터 입력된 외부전원이 보빈(150)의 통전부(152)를 통해 별도의 부품 없이 조작회로기판(170)로 직통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전부(152)는 보빈(150)의 일부로 구성되고, 통전부(152)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형상의 절연부재에 의해 절연되어 있다.The bobbin 150 of the fixing unit 180 has a conductive part 152 of conductive material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not shown) at an upper end thereof, 171 are direct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ductive part 152 via the holder 174 so that the external power input from the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15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rt 152 through the conductive part 152 of the bobbin 150 separately And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without parts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 At this time, the conductive part 152 is formed as a part of the bobbin 150, and the conductive part 152 is insulated by a plate-shaped insulating memb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lastic.

상기 보빈(150)의 한쪽(도 5를 기준으로 앞쪽면) 측면공간을 조작회로기판(170)의 조작회로기판(171)의 설치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제품을 단순하게 구성하고 소형화하는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즉, 조작회로기판(170)의 조작회로기판(171)이 보빈(150)의 측면공간에 가동철심코어(131)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에 따라, 가동철심코어(131)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만약, 조작회로기판(171)이 보빈(150)의 상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경우에 조작회로기판(171)에 가동철심코어(131)를 관통 삽입 및 유동가능하도록 조작회로기판(171)에 삽입홀을 확보해야 하므로 조작회로기판(171) 면적의 일부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경우 가동철심코어(131)와 조작회로기판(171)의 간섭으로 인해 가동철심코어(131)와 스프링(탄성부재(140))을 배치 설계함에 있어서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에 유동확보용 삽입홀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가공공정이 추가되고, 조작회로기판(171)에 전자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삽입홀의 면적만큼 줄어들기 때문에 조작회로기판(171)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고 이는 제품의 소형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Advantageous for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miniaturizing the product by utilizing one side space (the front side with reference to Fig. 5) of the bobbin 150 as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have. That is, since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is disposed in the side space of the bobbin 150 in paralle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core 131, interference with the movable core core 131 can be avoided can do. Wh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horizont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150, the movable circuit board 171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so that the movable core core 131 can be inserted and flowed in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 hole is required to be secured, so that a part of the area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can not be utilized. In this case, space constraints are impo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movable core core 131 and the spring (elastic member 140)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movable core core 131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 In addition, a separate processing step for forming an insertion hole for securing the flow is add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nd a space for installing the electronic component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reduced by the area of the insertion hole The size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inevitably increased, which is a factor that hinders miniaturization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에 반전스위치(172) 및 전압강하용 소자인 커패시터(173)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반전스위치(172)의 일측면에 스트립 형태의 스위치동작레버(172a)가 힌지구조로 비스듬하게 결합되어, 평상시에 접점이 닫혀 있는 반전스위치(172)를 통해 외부전원과 코일(156)을 연결하고 가동부(130)의 스위치조작돌기(133a)에 의해 반전스위치(172)가 눌려 반전됨과 동시에 외부전원이 커패시터(173)를 통해 코일(156)로 흐르도록 한다. 이로써, 외부전원의 전압이 커패시터(173)에 의해 강하되어 코일(156)에 인가되는 소비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An inverting switch 172 and a capacitor 173 serving as a voltage drop device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nd a switch operating lever 172a in the form of a strip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verting switch 172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coil 156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nverting switch 172 whose contact is normally closed and the inverting switch 172 is connected by the switch operating projection 133a of the moving part 130 Ca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flow through the capacitor 173 to the coil 156. Thereby,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lowered by the capacitor 173, so that the consumption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56 can be reduced.

또한, 상기와 같이 코일(156)의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경우에도 가동접점(123)과 고정접점(113)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자석의 흡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Further, even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il 156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the attracting force of the electromagnet for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movable contact 123 and the fixed contact 113 can be ensur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80)의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80)는 보빈(150)과, 보빈(150)의 폭방향 양쪽 측면에 결합되는 요크(160)로 구성된다.6, the fixing portion 180 includes a bobbin 150 and a yoke 160 which i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bobbin 150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보빈(150)은 상단과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박스 형태의 요크삽입부(153)를 구비하고, 요크삽입부(153)의 폭방향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측면개구부를 통해 요크(160)가 삽입결합된다.The bobbin 150 has a box-shaped yoke inserting portion 153 formed concavely at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The yoke inserting portion 153 has an opening formed in a lateral side of the yoke inserting portion 153, ) Are inserted and coupled.

특히, 상기 보빈(150)의 상단부에서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외부전원입력단자(151)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이 외부전원입력단자(151)를 통해 인가된다.Particularly, at an upper end of the bobbin 150,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s 151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rnal power is applied through an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151.

상기 통전부(152)는 상기 보빈(150)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통전부(152)는 평판형태로 외부전원입력단자(151)와 조작회로기판(170) 사이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외부전원입력단자(151)와 조작회로기판(170) 사이의 통전경로를 제공한다.The conductive part 15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50. The power supply unit 152 directly connects between the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151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in a flat plate shape to provide a current path between the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151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do.

상기 코일터미널(155)은 상기 보빈(150)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터미널(155)은 조작회로기판(170)와 직접 연결되어 조작회로기판(170)에서 제어된 전류를 코일(156)로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The coil terminal 155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bobbin 150. The coil terminal 155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to control a current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As shown in Fig.

상기 요크(160)는, 플레이트를 일면(一面)이 개구되고 나머지 삼면(三面)이 닫힌 "ㄷ" 단면 형상으로 벤딩하여 가공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벤딩가공된 요크(160)의 상단부(160a)와 하단부(160b)가 보빈(15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된 요크삽입부(153)에 보빈(150)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동시 삽입되어 서로 맞닿게 조립된다.The yoke 16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ate is bent and bent in a "C" cross-sectional shape with one side opened and the other three sides closed, and the upper end 160a of the bending- And a lower end portion 160b of the bobbin 150 are slidably inser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bbin 150 to a yoke inserting portion 153 provided at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bobbin 150,

이때, 상기 요크(160)의 상단부(160a)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가동철심코어(131)가 보빈(15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54)로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portion 160a of the yoke 160 is formed with a circular opening, and the movable core core 131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154 formed inside the bobbin 15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또한, 상기 요크(160)의 하단부(160b)는 평면형태로 막혀 있어서 가동철심코어(131)가 하강할 때 일정 거리(ℓ)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스톱퍼 역할을 한다.The lower end portion 160b of the yoke 160 is blocked in a planar shape and functions as a stopper to prevent the moving core core 131 from falling down by a certain distance (l) when the movable core core 131 descends.

여기서, 상기 요크(160)의 상단부(160a)와 하단부(160b)를 연결하는 연결부(160c)는 코일(156) 주위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대하여 자로를 형성하며, 상기 자기장에 의해 요크(160) 전체를 자화시킨다.The connecting portion 160c connecting the upper end portion 160a and the lower end portion 160b of the yoke 160 forms a magnetic path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around the coil 156, .

도 7은 상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보빈(150)과 조작회로기판(17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 보빈(150)에서 상기 외부전원입력단자(151)와 상기 통전부(152)가 구비된 곳을 상기 보빈(150)의 상부면이라 하고, 상기 중공부(154)를 지나 상기 상부면의 타측에 있는 면을 하부면이라 한다. 상기 하부면에는 상기 코일터미널(155)이 구비되어 있다.A portion of the bobbin 150 where the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151 and the power supply unit 152 are provided is referred to as an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50, Is called the lower surface. And the coil terminal 155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의 폭이 긴 면을 상부면으로 하고, 폭이 좁은 면을 하부면이라 정하여 설명한다.A description will be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the longer side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the lower side.

상기 보빈(150)은 외부에서 전원이 입력되는 외부전원입력단자(151), 입력된 전원이 흐르는 통전부(152), 통전부(152)의 단부쪽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회로기판(171)과 연결될 수 있는 통전단부, 상기 보빈(15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동코어가 인입될 수 있는 중공부(154), 상기 중공부(154) 바깥으로 코일이 권선되며, 권선된 코일을 감싸고 있는 코일연결부(150a) 및 상기 보빈(150) 하부면에 상기 코일의 단부가 연결되어 전류가 인입되고 인출될 수 있는 코일터미널(155)을 구비한다.The bobbin 15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151 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a power supply unit 152 through which the input power flows, and an end of the power supply unit 152 and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 hollow portion 154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obbin 150 and into which the movable core can be inserted, a coil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ortion 154, And a coil terminal 155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il on a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50 so that current can be drawn in and out.

또한, 상기 조작회로기판(171) 내측면에는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을 상기 통전단부(152a) 및 코일터미널(155)과 접촉 연결되어 상기 보빈(150)에 지지되며 결합시키는 홀더(174), 상기 조작회로기판(171) 외측면에는 상기 반전스위치(172) 및 커패시터(173)가 구비되어 있다.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ncludes a holder 174 that is connected to the bobbin 150 by being connected to the energizing end 152a and the coil terminal 155, And the inverting switch 172 and the capacitor 173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

한편,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은 상기 보빈(15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즉, 상기 보빈(150)의 일측면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기 통전부(152)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통전단부와, 상기 보빈(150)의 일측면의 하단부에 구비된 코일터미널(155)에 연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으로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이 보빈(15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즉,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을 지지해줄 다른 지지 부재가 없어도 상기 보빈에 결합 및 지지가 가능하다.Meanwhile,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bbin 150. That is, the current-carrying end located at the end of the current-carrying part 15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bobbin 150 and the coil terminal 15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bobbin 150 . Als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coupled to the bobbin 150 by the coupling. That is, even if there is no other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t can be coupled to and supported by the bobbin.

도면에 나타난 1점 쇄선은 상기 조작회로기판(171)과 상기 보빈(150)과의 결합하는 방향을 나타낸다.The one-dot chain line in the drawing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nd the bobbin 150 are coupled.

상기 홀더(174)는 조작회로기판(171) 내측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홀더(174) 중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제1홀더라 하고,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제2홀더라고 한다. 상기 제1홀더는 상기 통전단부와 접촉, 연결되며, 상기 제2홀더는 코일터미널(155)과 접촉, 연결된다.The holder 174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inside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 holder dispos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lder 174 is referred to as a first holder, and a hold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referred to as a second holder. The first holder is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energizing end, and the second holder is in contact with and connected to the coil terminal 155.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빈(150)과 조작회로기판(171)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bobbin 150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빈(150)은 보빈틀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보빈틀은 통전부(152), 요크, 코일터미널(155) 등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빈틀은 절연이 되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통전부(152) 등에 전류가 흐를 때, 상기 전류가 바깥으로 흘러나가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obbin 150 has a bobbin frame. The bobbin case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onductive part 152, the yoke, the coil terminal 155, and the like can be housed. Also, since the bobbin case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lectric shock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current flowing out of the conductive part 152 or the like.

상기 보빈틀은 내부에 가동코어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154), 상기 통전부(152)가 구비되는 보빈틀 상부면, 일측에 상기 코일터미널(155)이 수납되는 보빈틀 하부면이 구비되어 있다.The bobbin case includes a hollow portion 154 into which a movable core can be inserted, an upper surface of the bobbin frame having the conductive portion 152, and a lower surface of the bobbin frame in which the coil terminal 155 is housed .

한편,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회로기판상부면(171a)에 위치한 제1홀더(177), 상기 조작회로기판하부면(171b)에 위치한 제2홀더(178)를 구비한다.The first holder 177 locat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upper surface 171a and the second holder 178 locat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lower surface 171b are dispos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Respectively.

상기 제1홀더(177)는 상기 통전단부(152a)에 연결된다. 상기 통전단부(152a)는 상기 보빈틀 상부면에서 하부면으로 내려오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홀더(177)는 상기 통전단부(152a)를 기준으로 좌우가 벌어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holder 177 is connected to the current-carrying end 152a. The current-carrying end 152a is vertically formed in a direction desc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frame. Therefore, the first holder 177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holder 177 is extended right and left with respect to the current-carrying end 152a.

상기 코일터미널(155)은 상기 보빈틀 하부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상기 보빈(150)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일터미널(155)이 제2홀더(178)와 접촉하는 부분도 상기 보빈틀 하부면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제2홀더(178)는 상기 코일터미널(155)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하로 벌어져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coil terminal 155 is inserted into the bobbin 150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frame. Also, a portion where the coil terminal 155 contacts the second holder 178 is formed horizont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frame. The second holder 178 is formed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to be coupled to the coil terminal 155.

따라서, 상기 제1홀더(177)와 제2홀더(178)는 같은 형태의 홀더(174)를 90도 회전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90도의 각도 차이로 인하여 상기 조작회로기판의 상기 보빈에 대한 고정되는 힘이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보다 특정 방향으로 치우쳐 지지 않고, 상기 보빈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홀더(174)의 방향은 반드시 상술한 배치와 같은 배치로 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전단부(152a)의 형성방향 및 코일터미널(155)의 돌출방향에 따라 바뀔 수 있다.Therefore, the first holder 177 and the second holder 178 are arranged by rotating the holders 174 of the same shape by 90 degrees. Such an angle difference of 90 degrees can increase the fixing force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with respect to the bobbin. That is, the holders can be fixed to the bobbin without being biased in a specific direction, rather than being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Of course, the direction of the holder 174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bu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current-carrying end 152a and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il terminal 155. [

다만, 상기 제1홀더(177)와 제2홀더(178)가 약 90도 각도로 회전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홀더(177)와 제2홀더(178)가 더 견고하게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을 상기 보빈(150)에 결합하고, 지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first holder 177 and the second holder 178 are rotat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so that the first holder 177 and the second holder 178 are more firmly fixed to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re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supported.

상기 코일터미널(155)은 상기 보빈(150) 내부에 감겨있는 코일과 연결되는 코일연결부(155a), 상기 홀더(174)와 접촉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홀더접촉부(155b), 상기 보빈(150) 내부로 인입되어 코일터미널(155)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155c)가 있다.The coil terminal 155 includes a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connected to a coil wound inside the bobbin 150, a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contacting with the holder 174 to which a current is applied, And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for supporting the coil terminal 155 is provided.

오목홈(175)은 상기 조작회로기판하부면(171b)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코일연결부(155a)가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오목홈(175)은 상기 코일연결부(155a)를 상기 조작회로기판에 걸리지 않고 통과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The recessed grooves 175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lower surface 171b.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il connection part 155a protrudes towar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and the concave groove 175 is formed to allow the coil connection part 155a to pass without being caught by the operation circuit board .

도면에서 1점 쇄선이 그려진 방향으로 조작회로기판(171)이 상기 보빈(150)에 연결, 체결되어 지지된다.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connected to the bobbin 150 and fastened and supported in a direction in which a one-dot chain line is drawn.

도 9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보빈(150)과 조작회로기판(171)의 결합된 후 보빈(150)의 일측면에 조작회로기판(171)이 결합된 모습의 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bbin 150 after the bobbin 150 an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are combined .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보빈(150)의 일측면에 조작회로기판(171)이 결합된 모습이다. 상기 조작회로기판(171) 외측면에는 반전스위치(172) 및 커패시터(173)가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9, an operation circuit board 17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bbin 150. An inverting switch 172 and a capacitor 173 ar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171.

상기 보빈(150)은 통전부(152) 및 통전단부(152a), 요크삽입부(153), 코일터미널(155)을 구비하고 있다.The bobbin 150 is provided with a current carrying portion 152 and a current carrying end 152a, a yoke inserting portion 153 and a coil terminal 155. [

상기 통전단부(152a)는 상기 보빈(150) 상부면에서 하부면 방향으로 수직으로 내려오므로, 제1홀더(177)는 상기 통전단부(152a)를 양쪽에서 접촉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Since the current-carrying end 152a is vertically lower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50 in the lower surface direction, the first holder 177 is connected to the current-carrying end 152a in such a manner that they contact each other.

상기 코일터미널(155)은 상기 보빈(150)의 하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삽입되므로, 제2홀더(178)는 상하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코일터미널(155)과 접촉된다.The coil terminal 155 is inse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50 so that the second holder 178 extends upward and downwar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il terminal 155.

상기 조작회로기판(171)에는 상기 오목홈(17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오목홈(175)으로 상기 코일연결부(155a)가 돌출되어 있다.The operating circuit board 171 is provided with the concave groove 175 and the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protrudes from the concave groove 175. [

상기 통전단부(152a) 및 홀더접촉부(155b)는 상기 홀더(174)를 향한 단부에 테이퍼진 챔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테이퍼진 챔퍼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홀더(174)안으로 인입이 쉽게 될 수 있기 하기 위함이다. The current-carrying end 152a and the holder contact 155b may have a tapered chamfer at an end of the holder 174 toward the holder 174. This is so that by having a tapered chamfer, the entry into the holder 174 can be facilitat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터미널(155)이 보빈(150)에 삽입된 모습의 요부를 나타낸 투시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stantial part of a state in which a coil terminal 155 is inserted into a bobbin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코일터미널(155)은 상기 보빈(150)에 삽입되는 터미널지지부(155c), 상기 홀더(174)와 접촉하는 홀더접촉부(155b), 상기 코일의 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코일로 전류를 인가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코일연결부(155a)를 포함한다.10, the coil terminal 155 includes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inserted into the bobbin 150, a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contacting with the holder 174, And a coil connection portion 155a for providing a path for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to the coil connection portion 155a.

또한, 상기 보빈(150)에는 상기 코일터미널(155)의 터미널지지부(155c)가 삽입될 수 있는 터미널삽입홈(155-1)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삽입홈(155-1)은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의 크기보다 같거나 약간 크며,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가 삽입된 경우 지지 될 수 있는 크기이다.The bobbin 15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insertion groove 155-1 into which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of the coil terminal 155 can be inserted.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155-1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terminal support 155c and is large enough to be supported when the terminal support 155c is inserted.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는 상기 터미널삽입홈(155-1)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터미널(155)을 지지한다. 상기 터미널삽입홈(155-1)에 삽입이 시작되는 측의 단부는 약간 경사를 가진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빈(15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에는 삽입방향 양측에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가 상기 터미널삽입홈(15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지지부(1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156)는 삼각형 모양의 단면으로써,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가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넓고,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 단부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드는 형태이다. 즉 상기 돌출지지부(156)는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있다.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155-1 to support the coil terminal 155. [ An end portion of the side where insertion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155-1 is started may be formed with a slightly inclined chamber. This is to enable smooth insertion in the process of inserting into the bobbin 150.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is formed with protrusion supporting portions 156 on both sides of the inserting direction to prevent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terminal inserting groove 155-1.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156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is w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155c extends in order to prevent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155c from being separated. It is a shrinking form. That is,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156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support portions 15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홀더접촉부(155b)는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174)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홀더접촉부(155b)의 상기 보빈(150) 내부쪽 일부는 상기 보빈(1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코일터미널(155)의 상기 보빈(150)에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홀더접촉부(155b)는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 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홀더(174)와 접촉이 시작되는 부분은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진 챔버(157)를 갖는다. 이는 상기 홀더접촉부(155b)가 상기 홀더(174)에 삽입 시, 원활한 삽입을 위한 것이다.The holder contact portion 155b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155c and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174. A portion of the holder contact portion 155b on the inner side of the bobbin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bobbin 150. This is for fixing the coil terminal 155 to the bobbin 150. The holder contact portion 155b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s wider than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155c. A portion of the holder contact portion 155b where contact with the holder 174 starts is a tapered chamber 157). This is for smooth insertion when the holder contact portion 155b is inserted into the holder 174.

상기 코일연결부(155a)는 상기 홀더접촉부(155b)와 연결되어 상기 보빈(150)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보빈(150)에서 상기 조작회로기판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 방향으로 인해, 상기 조작회로기판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코일연결부(155a)에는 상기 보빈(150) 내부에 구비된 코일의 단부쪽이 권선된다.The coil connection part 155a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bobbin 150 by being connected to the holder contact part 155b. That is, the bobbin 150 protrudes toward the operation circuit board. Du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the operating circuit board is provided with the concave groove as described above. The end of the coil provided inside the bobbin 150 is wound on the coil connection part 155a.

굴곡부(155d)는 상기 홀더접촉부(155b)와 코일연결부(155a) 사이에 경사진 부분이다. 이는 상기 코일터미널(155)을 상기 터미널삽입홈(155-1)에 삽입하면서 상기 터미널지지부를 완전히 밀어넣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를 상기 터미널삽입홈(155-1)에 일부 삽입하면, 상기 코일연결부(155a) 부분은 상기 보빈(150)과 완전 결합한 형태가 아닌, 사선으로 인입되고 있는 과정이 된다.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를 끝까지 삽입하면서, 동시에 상기 홀더접촉부(155b)의 일부가 상기 보빈(150)에 삽입되고, 이때 상기 굴곡부(155d)가 상기 굴곡부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상기 보빈(150)의 틀에 맞닿으면서,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가 더욱 깊이 삽입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155d is an inclined portion between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and the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Which is formed to fully push the terminal support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155-1 while inserting the coil terminal 155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155-1. That is, whe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groove 155-1, the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is not completely coupled to the bobbin 150, do. A portion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is inserted into the bobbin 150 while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is fully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the bending portion 155d is inserted into the bobbin 150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bending portio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can be inserted deep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ram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코일터미널(155)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terminal 15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코일연결부(155a)는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와 홀더접촉부(155b)가 이루고 있는 면과 대략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솟아있다. 즉, 상기 코일터미널(155)이 상기 보빈(150) 하부면에 연결되므로, 상기 코일연결부(155a)는 상기 보빈(150) 하부면에서 상부면 방향으로 솟아 있는 것이다. 상기 코일연결부가 보빈 하부면에서 상부면 방향으로 솟아 있음으로 인해, 상기 코일연결부(155a)가 조작회로기판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아, 더 컴팩트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is raised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with the surface of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and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That is, since the coil terminal 155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50, the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ris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50 toward the upper surface. Since the coil connecting portion ris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toward the upper surface, the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peration circuit board, so that a more compact structure can be formed.

또한,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와 홀더접촉부(155b)는 상기 도 10에서 나타난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and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터미널(155)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terminal 15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연결부(155a) 단부에 단면이 넓어지는 권선돌기부(158)가 구비된다. 상기 권선돌기부(158)는 상기 코일연결부(155a)에 권선된 코일(18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권선돌기부(158)는 상기 코일연결부(155a) 단부에서 좌우로 넓어지는 형태이다. 물론 상기 권선돌기부(158)가 상하로 넓어지는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2, a winding protrusion 158 having a wider cross section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oil connecting portion 155a. The winding projection portion 158 is a portion for preventing the coil 181 wound on the coil connection portion 155a from being separated. The winding protrusions 158 are widened to the left and right at the ends of the coil connecting portions 155a. Of course, the winding protrusions 158 may be formed to be widened vertically.

이는 상기 코일(181)이 납땜 등에 의해 상기 코일연결부(155a)에 연결되나, 노후화나 접촉 불량, 각종 외력등에 의해 코일의 상기 코일연결부(155a)와의 접촉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권선돌기부(158)는 이렇게 접촉이 떨어진 코일의 이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This is because the coil 181 is connected to the coil connection part 155a by soldering or the like, but contact with the coil connection part 155a of the coil may be deteriorated due to aging, contact failure, various external forces, or the like. The winding protrusion 158 serves to prevent the coi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il.

또한,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와 홀더접촉부(155b)는 상기 도 10에서 나타난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and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터미널(155)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terminal 15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코일권선부는 주변보다 단면이 감소한 권선홈부(159)를 일정길이만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권선홈부(159)는 주변보다 단면이 작다. 또한 상기 권선홈부(159)에 상기 코일이 권선된다. 상기 권선홈부(159)는 주변보다 단면이 작으므로, 단면이 더 큰 주변에 걸려서 상기 권선홈부(159)에 권선된 코일이 주변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상기 권선홈부(159)는 사각형의 단면이나, 코일 권선을 위하여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권선홈부(159)는 상술한 권선돌기부(158)와 같이, 상기 코일연결부와 접촉이 떨어진 코일을 주변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coil winding portion has a winding groove portion 159 whose section is reduced from the peripher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winding groove portion 159 is smaller in cross section than the periphery. Further, the coil is wound on the winding trench 159. Since the section of the winding trench 159 is smaller than the circumference,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winding trench 159 because the cross section is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The winding groove portion 159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a circular cross section for coil winding. The winding groove portion 159 serves to prevent the coil,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il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to the periphery, like the winding projection portion 158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터미널지지부(155c)와 홀더접촉부(155b)는 상기 도 10에서 나타난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additio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155c and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155b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50 : 보빈 150a : 코일연결부
150b : 플랜지부 151 : 외부전원입력단자
152 : 통전부 152a : 통전단부
153 : 요크삽입부 154 : 중공부
155 : 코일터미널 155a : 코일연결부
155b : 홀더접촉부 155c : 터미널지지부
160 : 요크 160a : 상단부
160b : 하단부 160c : 연결부
170 : 조작회로기판 171 : 조작회로기판
171a : 조작회로기판상부면 171b : 조작회로기판하부면
172 : 반전스위치 172a : 스위치동작레버
172a' : 접촉단 173 : 커패시터
174 : 홀더 175 : 오목홈
177 : 제1홀더 177a : 제1홀더 전원입력부
177b : 제1홀더 전원인출부 178 : 제2홀더
178a : 제2홀더 전원인출부 178b : 제2홀더 전원입력부
179 : 통전로드 180 : 고정부
B/D : 브리지 다이오드 C : 커패시터
L : 코일 P1,P2 : 전원입력단자
150: Bobbin 150a: Coil connection
150b: flange portion 151: external power input terminal
152: conductive part 152a: energized end
153: yoke inserting portion 154: hollow portion
155: coil terminal 155a: coil connection
155b: holder contact portion 155c:
160: yoke 160a: upper portion
160b: lower end portion 160c:
170: Operation circuit board 171: Operation circuit board
171a: Operation circuit board upper surface 171b: Operation circuit board lower surface
172: inverting switch 172a: switch operating lever
172a ': contact end 173: capacitor
174: holder 175: concave groove
177: first holder 177a: first holder power input part
177b: first holder power take-off part 178: second holder
178a: second holder power take-off part 178b: second holder power input part
179: energizing rod 180:
B / D: Bridge diode C: Capacitor
L: Coil P1, P2: Power input terminal

Claims (12)

코일을 구비하여, 전류인가시 가동코어를 흡인하는, 보빈을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조작회로기판;
상기 보빈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회로기판과 코일사이의 통전경로를 제공하는 코일터미널; 및
상기 조작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조작회로기판을 상기 코일터미널에 체결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터미널은 상기 홀더와 직접 체결되어, 상기 조작회로기판과 상기 코일터미널을 통전 가능하게 하는 홀더접촉부;
상기 홀더접촉부와 보빈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
상기 홀더접촉부와 코일을 연결하는 코일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omprising a bobbin having a coil for drawing a movable core upon application of an electric current,
An operating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bbin;
A coil terminal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obbin for providing a current path betwee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And
And a holder provid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for fastening the operation circuit board to the coil terminal,
Wherein the coil terminal is directly coupled to the holder to enable the operation circuit board and the coil terminal to be energized;
A terminal supporting portion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holder contact portion with the bobbin;
A coil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holder contact portion and the coil;
And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지지부는 상기 홀더접촉부의 일단에서 돌출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코일연결부는 상기 홀더접촉부의 타단에서 돌출연장되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지지부와 코일연결부는 서로 돌출방향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is protrudingly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Wherein the coil connecting portion is protrudingly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Wherei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and the coil connecting portion have different protruding directions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연결부의 돌출방향은 상기 코일터미널이 상기 보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빈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il connection portion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bobbin toward the other end in a state where the coil terminal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bobb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연결부의 돌출방향은, 상기 코일터미널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회로기판이 접촉되는 방향쪽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coil connecting portion protrudes toward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circuit board is contacted with the coil terminal inserted and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접촉부는 통전이 가능한 단면이 직사각형인 판형부재이며,
상기 터미널지지부에는 상기 보빈 내부로 삽입시, 상기 코일터미널이 상기 보빈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돌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er contact portion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at which energization is possible,
Wherein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oil terminal so that the coil terminal is not separated from the bobbin when inserted into the bobb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터미널지지부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protrud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an inser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terminal suppor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터미널지지부가 인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bobbin includes a terminal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보빈과 연결되는 제1홀더;
상기 조작회로기판상에 상기 제1홀더와 90도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터미널과 접촉되어 연결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older
A first holder connected to the bobbin;
And a second holder disposed on the operation circuit board so as to be shifted from the first holder by 90 degrees and connected to the coil terminal.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연결부는 단면이 감소한 권선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coil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winding groove portion having a reduced cross section.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연결부의 단부측에는 권선된 코일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단면의 늘어난 권선돌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coil connecting portion has an extended winding projection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winding coil from escaping from the end side of the coil connecting portion.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접촉부의 상기 홀더와 접촉되는 측 단부는, 단부측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챔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nd the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forms a chamfering thickness that becomes thinner toward the end side.
제2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접촉부의 상기 홀더와 접촉되는 측 단부는,
상기 홀더가 삽입된 후 홀더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nd the side end portion of the holder contact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holder,
Further comprising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for preventing the holder from being released after the holder is inserted.

KR20130159507A 2013-12-19 2013-12-19 Magnetic contactor KR101503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507A KR101503316B1 (en) 2013-12-19 2013-12-19 Magnetic cont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9507A KR101503316B1 (en) 2013-12-19 2013-12-19 Magnetic cont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316B1 true KR101503316B1 (en) 2015-03-17

Family

ID=5302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9507A KR101503316B1 (en) 2013-12-19 2013-12-19 Magnetic cont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31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80U (en) * 2015-03-23 2016-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nic contactor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moving of board assembly
CN108231488A (en) * 2018-02-26 2018-06-29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mounting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230126066A (en) 2022-02-22 2023-08-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magnetic conta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188A (en) * 1996-05-30 1998-02-20 Fuji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005235515A (en) 2004-01-26 2005-09-02 Tzo-Ing Lin Noiseless wide voltage ac/dc contactor with low power consumption
KR101004465B1 (en) 2008-09-05 2010-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elay
KR101214610B1 (en) 2011-12-12 2012-12-27 주식회사 대륙 Relay device in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188A (en) * 1996-05-30 1998-02-20 Fuji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005235515A (en) 2004-01-26 2005-09-02 Tzo-Ing Lin Noiseless wide voltage ac/dc contactor with low power consumption
KR101004465B1 (en) 2008-09-05 2010-12-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elay
KR101214610B1 (en) 2011-12-12 2012-12-27 주식회사 대륙 Relay device in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80U (en) * 2015-03-23 2016-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nic contactor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moving of board assembly
KR200482617Y1 (en) * 2015-03-23 2017-02-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onic contactor having a function for preventing moving of board assembly
CN108231488A (en) * 2018-02-26 2018-06-29 上海良信电器股份有限公司 The electronic circuit board mounting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230126066A (en) 2022-02-22 2023-08-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magnetic conta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2545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RE49236E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9013253B2 (en) Relay
US8305166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163588B2 (en) Electromagnetic relay including yoke-retaining bottom plate
KR101529588B1 (en) Magnetic Contactor
US20150054604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529589B1 (en) Magnetic contactor
CN113412528A (en) Relay with a movable contact
KR101503316B1 (en) Magnetic contactor
KR101513207B1 (en) Magnetic contactor
JP5549642B2 (en) relay
JP6882577B2 (en) Magnetic latching relay
US9646790B2 (en)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EP3734634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961660B1 (en) Magnetic contactor
US9793078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3854926A (en) Electromagnetic contractor
CN115910692A (en) Electromagnetic relay
JP4289301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10468218B2 (en) Relay with SMA wire driven mechanism
EP3611749B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6229417B1 (en) Operator for a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US2944195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KR101545894B1 (en) Magnetic cont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