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700A -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700A
KR20170072700A KR1020150181192A KR20150181192A KR20170072700A KR 20170072700 A KR20170072700 A KR 20170072700A KR 1020150181192 A KR1020150181192 A KR 1020150181192A KR 20150181192 A KR20150181192 A KR 20150181192A KR 20170072700 A KR20170072700 A KR 20170072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mpedance
voltage
measuring
bio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312B1 (ko
Inventor
이열호
남궁각
정명훈
고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312B1/ko
Priority to US15/363,293 priority patent/US10420483B2/en
Publication of KR2017007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61B5/0404
    • A61B5/04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3Measuring galvanic skin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27Generation of artificial ECG signals based on measured signals, e.g. to compensate for missing l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1Wristwatch-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2Holders for multiple electrodes

Abstract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3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접촉 임피던스의 변화를 보상함으로써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ric impedance using 3-electrode}
생체 임피던스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 장비들이 개발 중에 있다. 건강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편의, 건강 진단 결과의 신속성 등으로 인하여 환자의 전기적인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의료 장비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생체 임피던스는 생체의 건강이나 감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3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3개의 전극과,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로 인하여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전압 측정부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단락(short)시키는 단락부와,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통해 상기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로 인하여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전압 측정부와,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스트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1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제2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는,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간의 관계를 정의한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각 전극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전극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피부전기반응(galvanic skin response, GSR)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데 더 이용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제1 전극 및 제3 전극, 또는 단락된 제1 전극 및 제3 전극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은,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와,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간의 제1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단락(short)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통해 상기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간의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1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제2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간의 관계를 정의한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각 전극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3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소형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3개의 전극을 이용함으로써 생체 임피던스 뿐만 아니라 다른 생체 신호의 측정에 병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극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극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극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생체 임피던스, 생체 임피던스 이외의 생체 신호(예컨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피부전기반응(galvanic skin response, GSR) 등) 등을 측정하는 디바이스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타블렛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대상체 내에 전류를 인가하여 대상체의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BIA(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방식을 사용하여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신체를 의미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전류 인가 전극이고, 제2 전극(120)는 대상체의 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전압 측정 전극이고, 제3 전극(130)는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 데 사용됨과 동시에 대상체의 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 상에서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디자인,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형태 및 구조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이면(또는 배면 또는 뒷면 또는 후면)에 배치되고, 제3 전극(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극(110 내지 130)은 전파의 송수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안테나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을 피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 새겨진 로고를 전극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두리 부분에 전극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극(110 내지 130)은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동그라미 모양, 사다리꼴 모양, 삼각형 모양 등도 가능하며, 3개의 전극이 각각 다른 형태의 모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극(110 내지 130)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표면에 비해 높게 배치하여 대상체에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극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트 패턴, 헤어 패턴, 음각 등을 통하여 전극(110 내지 130)에 무늬를 새길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110 내지 130)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극(110 내지 130)은 금속, 전도성 고무, 전도성 플라스틱, 전도성 섬유, 전도성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표면 전도성을 높이고 전극 표면의 스크래치 저항성을 높일 수 있도록 TiN, TiCN, CrN 등으로 코팅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은 생체 임피던스 측정뿐만 아니라, 생체 임피던스 이외의 생체 신호(예컨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피부전기반응(galvanic skin response, GSR) 등)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극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사용자가 디바이스(200)를 착용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피부와 맞닿는 디바이스 본체의 이면(또는 배면 또는 뒷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은 스트랩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등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전극(130)은 디바이스 본체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전극(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표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전극(130)은 디바이스 본체의 전면 상부, 전면 좌측부, 전면 우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본체의 우측면 또는 촤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전극(130)은 스트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100) 또는 도 2의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구현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가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경우, 전극의 면적이 작아져 전극과 대상체의 피부가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전극과 대상체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 임피던스의 증가는 대상체의 임피던스의 측정에 방해가 되고, 결국 임피던스 측정의 정확도가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2개의 전류 입력 전극과 2개의 전압 측정 전극을 이용하는 4 전극법은 최소한 4개의 전극이 필요하므로 전극의 배치 공간이 부족한 소형 디바이스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3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전극 면적 감소로 인하여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의 변화를 보상함으로써,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3개의 전극(110 내지 130), 전원부(310), 제1 전압 측정부(320), 제2 전압 측정부(330), 단락부(340) 및 임피던스 산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0)은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데 사용되는 전류 인가 전극이고, 제2 전극(120)는 대상체의 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전압 측정 전극이고, 제3 전극(130)는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 데 사용됨과 동시에 대상체의 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의 배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부(310)는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을 통해 대상체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부(310)는 제1 전극(110)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대상체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31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이 단락된 이후에는,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대상체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전류는 1Hz ~ 1G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 전류일 수 있다.
제1 전압 측정부(320)는 제1 전극(110)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로 인하여 제2 전극(120)과 제3 전극(130)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하, 제1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단락부(34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을 단락(short)시킬 수 있다. 단락부(340)가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을 단락시킴으로써,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은 2개의 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제2 전압 측정부(330)는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로 인하여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과 제3 전극(130)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하, 제2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압 측정부(320) 및 제2 전압 측정부(330)는 전극 양단에 걸리는 전압 측정을 위한 디지털 멀티미터(Digital multi-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산출부(350)는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임피던스 산출부(350)는 제1 전극(110)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 및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 및 제2 전압을 이용하여 제2 임피던스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산출부(350)는 제1 임피던스, 제2 임피던스, 및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제1 임피던스, 제2 임피던스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각 전극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은 대상체의 임피던스,
Figure pat00003
은 제1 임피던스,
Figure pat00004
는 제2 임피던스,
Figure pat00005
는 전압 측정부의 내부 저항,
Figure pat00006
는 전류의 인가와 전압 측정 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3 전극의 접촉 임피던스의 가중치이다. 이때,
Figure pat00007
는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세하게는 도 4a는 제1 전압을 측정할 때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2 전압을 측정할 때의 등가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전압 측정 시의 등가회로는 제1 전극(110)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
Figure pat00008
(410), 제2 전극(120)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
Figure pat00009
(420), 제3 전극(130)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
Figure pat00010
(430), 대상체의 임피던스
Figure pat00011
(440), 및 전압 측정부의 내부 임피던스
Figure pat00012
(450)로 나타날 수 있다.
전원부가 출력 전류 I를 제1 전극(110)과 제3 전극(130)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하면, 제2 전극(120)과 제3 전극(130) 사이에 측정되는 제1 전압 V1는 수학식 2와 같고, 이로부터 산출되는 제1 임피던스 Z1는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여기서,
Figure pat00015
는 전류의 인가와 전압 측정 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제3 전극의 접촉 임피던스의 가중치로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2 전압 측정 시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단락으로 인하여 제1 전압 측정 시의 등가회로에서 병렬 연결된 접촉 임피던스
Figure pat00016
(410)와 접촉 임피던스
Figure pat00017
(420)가 합성된다. 즉, 제2 전압 측정 시의 등가회로는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140)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
Figure pat00018
(460), 제3 전극(130)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
Figure pat00019
(430), 대상체의 임피던스
Figure pat00020
(440), 및 전압 측정부의 내부 임피던스
Figure pat00021
(450)로 나타날 수 있다.
전원부가 출력 전류 I를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140)과 제3 전극(130)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하면,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140)과 제3 전극(130) 사이에 측정되는 제2 전압 V2는 수학식 4와 같고, 이로부터 산출되는 제2 임피던스 Z2는 수학식 5과 같다.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수학식 1의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수학식 3 및 수학식 5를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도 5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500)는 도 3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에 비하여, 알람부(510), 저장부(520), 통신부(530), 체지방 측정부(5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51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500)의 각 전극(110 내지 130)과 대상체의 접촉 상태를 판단하고, 접촉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전극(110 내지 130)과 대상체의 접촉 상태는 각 전극(110 내지 130) 사이의 전기적 저항의 크기 또는 각 전극(110 내지 130)에 가해지는 압력을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알람부(510)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5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알람부(5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0)를 통하여 진동 등의 촉각적 방법, 소리 등의 청각적 방법. 및 시각적 방법 등을 이용하여 알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52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5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520)는 임피던스 산출부(350)에서 수행되는 임피던스 추정을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생체 임피던스 추정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20)는 임피던스 산출부(350)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제1 전압 측정부(320) 및 제2 전압 측정부(330)의 전압 측정 결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5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3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53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결과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생체 임피던스 측정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정보를 사용하는 의료 장비, 결과물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트, 또는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외부 기기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laptop), PC,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53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LAN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석부(540)는 임피던스 산출부(340)에서 산출된 대상체의 임피던스와 대상체 정보(예컨대, 대상체의 신장, 체중, 나이 및 성별 등)를 기반으로 체수분양(Total body water: TBW), 체지방(FAT), 체지방율(% FAT)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0)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500)와 사용자 및/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로서,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의 대상, 즉 대상체일 수 있도 있지만, 의료 전문가 등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500)를 이용할 수 있는 사람으로서, 대상체보다 넓은 개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0)를 통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500)를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입력되고, 생체 임피던스 측정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0)는 버튼, 커넥터, 키패드,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50)는 음향 출력부나 진동 모터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제1 전극(110)과 제3 전극(130)을 이용하여 대상체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610). 이때, 전류는 1Hz ~ 1G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 전류일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제2 전극(120)과 제3 전극(130) 사이의 제1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620).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을 단락(short)시킬 수 있다(630).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제1 전극(110)과 제2 전극(120)을 단락시킴으로써, 3개의 전극(110 내지 130)은 2개의 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과 제3 전극(130)을 이용하여 대상체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640).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과 제3 전극(130) 사이의 전압(이하, 제2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650).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300)는제1 전압, 및 제2 전압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할 수 있다(660). 예컨대, 생체 정보 측정 장치(300)는 제1 전극(110)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인가된 전류와 제1 전압을 이용하여 제1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단락된 제1 전극(또는 단락된 제2 전극)과 제3 전극(130)을 통하여 인가된 전류와 제2 전압을 이용하여 제2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제1 임피던스, 제2 임피던스 및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기반으로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제1 임피던스, 제2 임피던스 및 생체 임피던스 사이의 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각 전극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디바이스
110: 제1 전극
120: 제2 전극
130: 제3 전극
200: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300, 500: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310: 전원부
320: 제1 전압 측정부
330: 제2 전압 측정부
340: 단락부
350: 임피던스 산출부
510: 알람부
520: 저장부
530: 통신부
540: 분석부
5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4)

  1. 3개의 전극;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로 인하여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양단에 걸리는 제1 전압을 측정하는 제1 전압 측정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단락(short)시키는 단락부;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통해 상기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로 인하여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양단에 걸리는 제2 전압을 측정하는 제2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 산출부; 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임피던스측정 장치는,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의 이면에 배치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은,
    상기 손목 시계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스트랩에 배치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는,
    상기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1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제2 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산출부는,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간의 관계를 정의한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이용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각 전극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도출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전극은,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피부전기반응(galvanic skin response, GSR)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데 더 이용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극 및 제3 전극, 또는 단락된 제1 전극 및 제3 전극을 통하여 상기 대상체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11.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간의 제1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을 단락(short)시키는 단계;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을 통해 상기 대상체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간의 제2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압, 및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1 전압을 기반으로 제1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단락된 제1 전극과 제3 전극을 통해 대상체에 인가된 전류와 상기 제2 전압을 기반으로 제2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체의 임피던스, 상기 제1 임피던스, 및 상기 제2 임피던스간의 관계를 정의한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을 이용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임피던스 산출식은,
    각 전극과 대상체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접촉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도출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법.
KR1020150181192A 2015-12-17 2015-12-17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38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192A KR102638312B1 (ko) 2015-12-17 2015-12-17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US15/363,293 US10420483B2 (en) 2015-12-17 2016-11-29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ric impedance using three-electrod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192A KR102638312B1 (ko) 2015-12-17 2015-12-17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700A true KR20170072700A (ko) 2017-06-27
KR102638312B1 KR102638312B1 (ko) 2024-02-19

Family

ID=5906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192A KR102638312B1 (ko) 2015-12-17 2015-12-17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20483B2 (ko)
KR (1) KR1026383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087A (ko) 2017-12-01 201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00000406A (ko) * 2019-12-23 2020-01-02 웰빙소프트 주식회사 심전도 측정 장치
KR102185556B1 (ko) * 2020-02-18 2020-12-02 박영권 비침습형 혈당측정기
KR20210013742A (ko) * 2019-12-23 2021-02-05 헥사첵 주식회사 심전도 측정 장치
WO2021167235A1 (ko) * 2020-02-18 2021-08-26 박영권 비침습형 혈당측정기
KR20210129401A (ko) * 2020-04-20 2021-10-28 백우민 운전자 상태에 기반한 차량 운행 제어 시스템
WO2022015081A1 (ko) * 2020-07-16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4546A (zh) * 2019-05-29 2019-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智能手表的一体结构和智能手表
KR20210081998A (ko) 2019-12-24 2021-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착탈식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11728612B (zh) * 2020-06-05 2022-05-03 武汉励石医疗科技有限责任公司 生物电阻抗测量方法、接触阻抗测量方法及其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959A (ko) * 2000-05-24 2001-12-07 차기철 체지방 측정용 손목시계
JP2002065628A (ja) * 2000-09-01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体インピーダンス検出装置
JP2002355230A (ja) * 2002-05-30 2002-12-10 Ya Man Ltd 腕時計型体脂肪測定器
KR20040106833A (ko) 2003-06-11 2004-12-18 김동만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진 휴대용 통신단말기
KR20070006020A (ko) * 2005-07-07 2007-01-11 주식회사 솔리토닉스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는 2극식 체지방 측정 기술
US20080051845A1 (en) * 2006-08-25 2008-02-28 Ivy Biomedical, Inc. Automated ECG lead impedance measurement integrated into ECG gating circuitry
US7783345B2 (en) * 2002-10-07 2010-08-24 Cnsystems Medizintechnik Gmbh Impedance-based measuring method for hemodynamic parameters
JP2012506046A (ja) * 2008-10-16 2012-03-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インピーダンス測定回路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978A (ja) 1999-09-09 2001-03-27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3396677B2 (ja) 2001-04-13 2003-04-14 花王株式会社 体脂肪測定装置
JP4679993B2 (ja) 2005-07-28 2011-05-11 株式会社タニタ 体幹部脂肪測定方法及び装置
JP5375828B2 (ja) * 2008-08-29 2013-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位置情報入力装置および位置情報入力方法
US7894888B2 (en) * 2008-09-24 2011-02-22 Chang Gung University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ree-lead ECG in a wristwatch
US9693697B2 (en) 2012-03-29 2017-07-04 Benny Tal Hand-held device having health monitoring capabilitie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959A (ko) * 2000-05-24 2001-12-07 차기철 체지방 측정용 손목시계
JP2002065628A (ja) * 2000-09-01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体インピーダンス検出装置
JP2002355230A (ja) * 2002-05-30 2002-12-10 Ya Man Ltd 腕時計型体脂肪測定器
US7783345B2 (en) * 2002-10-07 2010-08-24 Cnsystems Medizintechnik Gmbh Impedance-based measuring method for hemodynamic parameters
KR20040106833A (ko) 2003-06-11 2004-12-18 김동만 체지방 측정기능을 가진 휴대용 통신단말기
KR20070006020A (ko) * 2005-07-07 2007-01-11 주식회사 솔리토닉스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는 2극식 체지방 측정 기술
US20080051845A1 (en) * 2006-08-25 2008-02-28 Ivy Biomedical, Inc. Automated ECG lead impedance measurement integrated into ECG gating circuitry
US7818058B2 (en) * 2006-08-25 2010-10-19 Ivy Biomedical Systems, Inc. Automated ECG lead impedance measurement integrated into ECG gating circuitry
JP2012506046A (ja) * 2008-10-16 2012-03-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インピーダンス測定回路及び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087A (ko) 2017-12-01 2019-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US11596322B2 (en) 2017-12-01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and bio-signal measuring method
KR20200000406A (ko) * 2019-12-23 2020-01-02 웰빙소프트 주식회사 심전도 측정 장치
KR20210013742A (ko) * 2019-12-23 2021-02-05 헥사첵 주식회사 심전도 측정 장치
KR102185556B1 (ko) * 2020-02-18 2020-12-02 박영권 비침습형 혈당측정기
WO2021167235A1 (ko) * 2020-02-18 2021-08-26 박영권 비침습형 혈당측정기
KR20210129401A (ko) * 2020-04-20 2021-10-28 백우민 운전자 상태에 기반한 차량 운행 제어 시스템
WO2022015081A1 (ko) * 2020-07-16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312B1 (ko) 2024-02-19
US20170172452A1 (en) 2017-06-22
US10420483B2 (en) 201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700A (ko) 3전극 센서를 이용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및 방법
US92266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electrode distance optimization in a retractable multi-use cardiac monitor
KR20210127892A (ko)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EP30753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 signal
EP335116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electrical impedance
KR20150081735A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체지방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90167208A1 (en) Bio-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bio-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59893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biosignal
KR20190008059A (ko) 바이오 프로세서,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및 바이오 프로세서의 동작 방법
US202302182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n vivo component and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KR20190065087A (ko)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70096874A (ko) 체중 추정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체중 추정 장치 및 방법
EP3114993B1 (en) Fat thickness estimation device, fat thickness estimation system, fat thickness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8183412A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サイズ判定方法およびサイズ判定装置
KR102241685B1 (ko) 피부 질환 진단 장치 및 시스템
US202103691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mpedance and apparatus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Lin et al. Silver nanowire based wearable sensors for multimodal sensing
EP3714789A1 (en) Healthcare apparatus and healthcare method
US202103023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iological material component,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mpedance
EP41119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based on bio-impedance
CN218606592U (zh) 阻抗测量装置及可穿戴电子设备
US202201425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wearable device to measure and monitor human body vitals
JP3183845U (ja) 皮膚バリア機能評価装置
JP5514074B2 (ja) 動物用体脂肪測定具及び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