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865A -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865A
KR20170071865A KR1020150180034A KR20150180034A KR20170071865A KR 20170071865 A KR20170071865 A KR 20170071865A KR 1020150180034 A KR1020150180034 A KR 1020150180034A KR 20150180034 A KR20150180034 A KR 20150180034A KR 20170071865 A KR20170071865 A KR 2017007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tting value
user
sharing application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035B1 (ko
Inventor
남기원
Original Assignee
남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원 filed Critical 남기원
Priority to KR102015018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035B1/ko
Priority to US16/063,166 priority patent/US20190005626A1/en
Priority to PCT/KR2016/014655 priority patent/WO2017105082A1/ko
Publication of KR2017007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7Retouching; Inpainting; Scratch remov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6Support for shared access to files; File shar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06T3/0056
    • G06T5/0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06T2207/30201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저별 대표 인물 이미지와, 그 보정 설정값을 미리 서버에 등록하고, 공유하며 어플리케이션간 상호 정보 공유를 통해 보정해야할 유저의 인물 이미지를 추적해서 보정 설정값대로 자동 보정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소망하는 이미지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COMPENSATION VALUE-SHARING SYSTEM BASED SOCIAL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유저별 대표 인물 이미지와, 그 보정 설정값을 미리 서버에 등록하고, 공유하며 어플리케이션간 상호 정보 공유를 통해 보정해야할 유저의 인물 이미지를 추적해서 보정 설정값대로 자동 보정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소망하는 이미지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의 저장용량의 확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래의 목적인 전화통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어있다. 특히, 최근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 문자 전송서비스 이외에도 휴대용 카메라를 탑재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정보의 전송 및 화상통화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화상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 내장형과 카메라가 별도로 마련되어 단말기 본체에 꽂아 사용하는 카메라 부착형으로 구분된다.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진을 편집하고 이를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사진을 촬영한다.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기 위하여 저장버튼을 선택하거나 편집을 하기 위하여 편집버튼을 선택한다.
편집버튼을 선택한 경우에는 촬영된 사진을 편집하기 위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 후에 키패드의 문자입력키를 사용하여 메모를 삽입하고, 편집된 사진을 저장시킨다.
다음으로, 저장된 사진을 전송하기 위하여 저장된 사진을 선택하고 수진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사진을 전송한다.
그러나,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진을 편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키패드의 문자입력키를 사용하여 개개의 문자를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한 사람이 촬영된 사진을 편집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진편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촬영된 2명 이상이 사진편집에 참여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편집된 사진을 전송할 때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개별적으로 검색하여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628072호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를 통해 다수의 유저가 참여하여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도 역시, 단순한 단말기상에서의 편집에 불과하며, 타인 단말기에 대한 편집권이 전무한 것은 동일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지인 등의 타인이 나를 촬영한 경우, 해당 인물 이미지가 마음에 들지 않거나, 또는 해당 인물 이미지가 어떤 상태인지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 내 이미지가 어느 경로를 통해, 또 다른 누군가에게 전달되더라도 타인의 단말기에 저장된 내 이미지를 나의 의지대로 보정할 수있는 방법이 전혀 없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별 대표 인물 이미지와, 그 보정 설정값을 미리 서버에 등록하고, 공유하며 어플리케이션간 상호 정보 공유를 통해 보정해야할 유저의 인물 이미지를 추적해서 보정 설정값대로 자동 보정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소망하는 이미지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의 대표 이미지 정보 및 개인 이미지 설정값을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하고 이미지 설정값을 공유하도록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요청하는 설정 유저 단말기와; 특정 개인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부터 특정 개인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설정값을 제공받아, 해당 개인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고 존재시, 해당 이미지 설정값을 적용시켜 보정토록 한 피설정 유저 단말기와;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로부터 개인의 대표 이미지 정보 및 개인 이미지 설정값을 수신받아 등록하고, 그 대표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설정 유저 단말기내에 존재하는 해당 설정 유저의 이미지를 설정값대로 자동 보정하는 설정값 중개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은 얼굴이나 신체 사이즈 또는 얼굴 톤, 또는 콧날 또는 눈동자 크기, 눈썹 명암, 컬러값, 조도값중 어느 하나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 및 피설정 유저 단말기는 그 내부에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대표 이미지 및 설정값을 관리하며, 사진이나 동영상 프레임중 수신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되어져 있는 지를 검색하고 특정 이미지 설정값을 적용하여 처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어 구동 개시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유저 단말기(2)내에 저장된 모든 사진파일 및 동영상파일을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특정 대표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를 자동 식별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20)과; 유저가 설정한 대표 이미지를 관리하는 대표 이미지 관리부(22)와; 유저가 보정을 소망하여 설정한 이미지 설정값을 관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관리부(24)와; 해당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이미지중 제 3자의 특정 이미지에 대한 설정값을 공유하여 수신하는 공유 이미지 설정값 수신부(30)와; 상기 이미지 설정값 수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설정값을 적용하여 특정한 제 3자의 이미지를 자동 보정하는 이미지 자동 보정처리부(32)와; 해당 유저가 지정한 대표 이미지 데이터와, 해당 대표 이미지와 일치 또는 유사한 이미지에 대해 보정을 설정한 특정 설정값을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하여 등록하고,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부터 특정 대표 이미지 및 이미지 설정값을 수신하여 해당 이미지를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중에서 스캔하고 존재시, 해당 이미지를 설정값을 적용하여 보정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카메라 모듈의 작동신호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개시되는 카메라 연동부(2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내부에 저장된 사진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중 특정 인물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이미지 설정값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해당 이미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미확인 이미지 전송부(2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개인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특정 지인을 선택하여 포토 그룹핑으로 등록하고, 해당 그룹내에서만 이미지 설정값이 공유되는 포토 그룹핑 등록부(3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사진 찍어주기 모드에서, 상대방이 제공한 인물 이미지가 자신이 촬상한 배경 이미지상에 삽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진 찍히기 모드에서, 상대방이 제공한 배경화면에 자신이 촬상한 자신의 인물 이미지가 삽입되어 출력되도록 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출력 제어부(3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설치된 유저 단말기(2)들은 유저 각자가 미리 등록한 대표 이미지와, 이미지 설정값을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상호 공유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대표 이미지는 대표 인물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된 이미지 설정값은 설정 유저가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한 그룹내에 속한 피설정 유저 단말기에 제한하여 공유되도록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서 공유대상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어느 한 설정 유저가 다수개의 포토 그룹에 동시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어느 한 설정 유저가 특정 피설정 유저를 1:1로 지정하여 자신의 인물 이미지를 특정 이미지로 변경 또는 보정하도록 설정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상기 설정 유저 및 피설정 유저 단말기(2)와 통신하는 통신수단(40)과; 어플 코드를 부여하여 접속시 유저를 식별하는 어플 식별정보 관리부(42)와; 각 어플별 대표 이미지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대표 이미지 관리부(44)와; 각 대표 인물 이미지에 대한 보정 설정값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관리부(46)와; 유저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받아, 특정 인물 이미지에 대한 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부(50)와; 유저가 등록한 자신의 인물 이미지에 대해, 다른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되고 해당 유저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내의 인물 이미지를 미리 설정한 특정 설정값으로자동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어플 식별정보 및 대표 이미지 정보, 이미지 설정값 정보를 상호 매칭하는 정보 매칭부(4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특정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들의 좌표값과, 설정값을 매칭하는 이미지 식별정보 생성부(5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개인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특정 지인을 선택하여 해당 그룹내에서만 이미지 설정값이 공유되도록 포토 그룹핑으로 등록하는 그룹핑 정보 등록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a)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수신받는 과정과; b)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등록하는 과정과; c)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특정 이미지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과; d)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들)에 대한 보정 설정값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e) 보정 설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인물 이미지에 보정 설정값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과정 다음으로, f) 보정 설정값이 미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이미지 파일 식별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g)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이미지 파일을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하는 과정과; h)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와 기등록된 대표 이미지를 비교하여 인물을 식별하는 과정과; i)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각 인물 이미지와 매칭되게 등록된 이미지 보정 설정값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j) 해당 보정 설정값 정보를 해당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k)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인물 이미지를 자동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과정중,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의 구동은, 카메라 모듈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 개시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j)과정은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각 인물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좌표정보 및 이미지 보정 설정값 정보를 패킷으로 생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a)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신규 포토그룹 생성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b)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신규 포토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c)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수신받는 과정과; d)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등록하는 과정과; e)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그룹핑으로 지정된 유저 단말기(2)로 전송하는 과정과; f) 공유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일치하는 인물 이미지를 탐색하는 과정과; g) 일치하는 인물 이미지 파일 탐색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유저의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해당 이미지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신규 포토그룹 생성 키조작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연동된 전화번호부를 호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그룹핑 대상을 지정받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은 상기 신규 포토그룹을 2명으로 제한하고, 특정 인물 이미지를 다른 인물 이미지로 대체하도록 보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a) 동시간대 다른 공간에 위치된 두명의 유저중 어느 한 유저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사진 찍어주기 모드를 선택하고 다른 한 유저는 사진 찍히기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b)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카메라와 연동되어 배경 이미지를 촬상하는 과정과; c)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배경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과; d) 또 다른 한 유저의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상대방 유저의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배경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아 화면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인물 이미지를 촬상하여 배경 이미지에 자동으로 인서트시키는 과정과; f) 해당 인물이 인서트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 간에 공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타인이 유저를 촬상한 사진파일도 해당 사진속에 포함된 유저가 원하는 이미지로 자동 보정되어 유통되므로, 사진을 통한 가상공간에서의 자신감을 가질 수 있고, 왜곡된 굴욕사진 등으로 유저에 대한 선입견을 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혀 모르는 타인의 사진속 나를 내가 스스로 보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되는 것이므로 사진 영상물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스스로 지키고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설정값 등록과 적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이미지 보정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설정값 중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그룹핑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적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그룹핑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그룹핑 기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해 상대방이 특정된 경우의 이미지 보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찍히기와 찍어주기 메뉴별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설정값 등록과 적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이미지 보정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유저별 대표 인물 이미지와, 그 보정 설정값을 미리 서버에 등록하고, 공유하며 어플리케이션간 상호 정보 공유를 통해 보정해야할 유저의 인물 이미지를 추적해서 보정 설정값대로 자동 보정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유저가 소망하는 이미지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타인이 촬상한 사진속의 내 이미지를 내가 소망하는 바와 같이 자동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며, 서버와 어플리케이션간 통신 및 미리 등록된 보정 설정값을 통해 자동으로 보정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개인의 대표 이미지 정보 및 개인 이미지 설정값을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하고 이미지 설정값을 공유하도록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요청하는 설정 유저 단말기와; 특정 개인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부터 특정 개인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설정값을 제공받아, 해당 개인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고 존재시, 해당 이미지 설정값을 적용시켜 보정토록 한 피설정 유저 단말기와;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로부터 개인의 대표 이미지 정보 및 개인 이미지 설정값을 수신받아 등록하고, 그 대표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설정 유저 단말기내에 존재하는 해당 설정 유저의 이미지를 설정값대로 자동 보정하는 설정값 중개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와, 피설정 유저 단말기는 모두 유저 단말기(2)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특히, 유저 단말기(2)에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설치한 유저는 대부분, 보정 설정값을 설정한 설정 유저이면서, 동시에 타인의 보정 설정값을 수신하여 자동 보정처리하는 피설정 유저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해 등록되어 공유되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은 바림직하게 얼굴이나 신체 사이즈 또는 얼굴 톤, 또는 콧날 또는 눈동자 크기, 눈썹 명암, 컬러값, 조도값중 어느 하나이상의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유저 단말기(2)는 그 내부에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대표 이미지 및 설정값을 관리하며, 사진이나 동영상 프레임중 수신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되어져 있는 지를 검색하고 특정 이미지 설정값을 적용하여 처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탑재되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유저가 설정한 보정 설정값을 해당 유저의 인물 이미지에 적용하는 바, 자신의 사진 파일에 적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제 3자가 자신을 촬영한 사진파일도 통제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보정 설정값의 공유에 앞서, 제 3자가 촬영한 사진 파일속에, 나의 인물 이미지가 포함되어져 있는 지를 스캔해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스캔 기술은 유저 단말기(2)에 탑재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에서도 구현 가능하고,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서도 구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공유 대상이 한정된 포토 그룹핑의 예를 나타내는 제 2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스캔을 상기 유저 단말기(2)에 탑재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직접 실행하는 것이 좋으며, 공유 대상이 한정되지 않은 1실시예에서는 연산량이 많아지므로 이미지 스캔을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유저가 직접 클릭을 통해 구동시킬 수도 있으며,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어 구동 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여기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촬상하는 경우이나, 이러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예컨대 갤러리에서 사진 파일을 선택하거나, 다른 툴을 통해 사진 파일을 화면에 출력할 때마다 자동으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의 구동이 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유저 단말기(2)내에 저장된 모든 사진파일 및 동영상파일을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특정 대표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를 자동 식별하게 구성된다.
또,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설치된 유저 단말기(2)들은 유저 각자가 미리 등록한 대표 이미지와, 이미지 설정값을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상호 공유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표 이미지(6)는 대표 인물 이미지이다.
또한, 미설명부호 8은 보정된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고, 12는 다른 유저의 사진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며, 14는 다른 사진 속 내 인물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은 타인이 유저를 촬상한 사진파일도 해당 사진속에 포함된 유저가 원하는 이미지로 자동 보정되어 유통되므로, 사진을 통한 가상공간에서의 자신감을 가질 수 있고, 왜곡된 굴욕사진 등으로 유저에 대한 선입견을 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혀 모르는 타인의 사진속 나를 내가 스스로 보정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게 되는 것이므로 사진 영상물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스스로 지키고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되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20)과; 유저가 설정한 대표 이미지를 관리하는 대표 이미지 관리부(22)와; 유저가 보정을 소망하여 설정한 이미지 설정값을 관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관리부(24)와; 해당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이미지중 제 3자의 특정 이미지에 대한 설정값을 공유하여 수신하는 공유 이미지 설정값 수신부(30)와; 상기 이미지 설정값 수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설정값을 적용하여 특정한 제 3자의 이미지를 자동 보정하는 이미지 자동 보정처리부(32)와; 해당 유저가 지정한 대표 이미지 데이터와, 해당 대표 이미지와 일치 또는 유사한 이미지에 대해 보정을 설정한 특정 설정값을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하여 등록하고,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부터 특정 대표 이미지 및 이미지 설정값을 수신하여 해당 이미지를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중에서 스캔하고 존재시, 해당 이미지를 설정값을 적용하여 보정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카메라 모듈의 작동신호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개시되는 카메라 연동부(26)가 더 포함된다.
또,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내부에 저장된 사진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중 특정 인물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이미지 설정값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해당 이미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미확인 이미지 전송부(28)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미확인 이미지 전송부(2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보정 설정값의 공유 대상이 한정되어져 있지 않으므로, 해당 유저의 사진에 포함된 특정 인물 이미지에 대해 보정 설정값이 설정되어져 있는 지를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미확인 이미지를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하여 해당 이미지를 스캔하여 식별하고, 궁극적으로 해당 인물 이미지에 매칭된 보정 설정값이 존재하는 지를 인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설정값 중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상기 설정 유저 및 피설정 유저 단말기(2)와 통신하는 통신수단(40)과; 어플 코드를 부여하여 접속시 유저를 식별하는 어플 식별정보 관리부(42)와; 각 어플별 대표 이미지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대표 이미지 관리부(44)와; 각 대표 인물 이미지에 대한 보정 설정값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관리부(46)와; 유저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받아, 특정 인물 이미지에 대한 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부(50)와; 유저가 등록한 자신의 인물 이미지에 대해, 다른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되고 해당 유저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내의 인물 이미지를 미리 설정한 특정 설정값으로 자동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는 어플 식별정보 및 대표 이미지 정보, 이미지 설정값 정보를 상호 매칭하는 정보 매칭부(48)가 더 포함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는 특정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들의 좌표값과, 설정값을 매칭하는 이미지 식별정보 생성부(52)가 더 포함된다.
즉, 어느 한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특정 사진 파일을 전송받은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식별정보 생성부(52)는 해당 사진에 포함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순으로부터 첫 번째 인물은 보정 설정값이 무엇이고, 두 번째 인물은 보정 설정값이 무엇인 지 등과 같은 좌표값과 보정 설정값을 매칭하여 생성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수신받는 바, 이에 앞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의 구동은, 카메라 모듈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 개시된다.
유저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선택하여 입력하고, 그 정보를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하는 것이다.
그 상태에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등록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특정 이미지 파일을 출력하는 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이미 몇몇 지인들의 인물 이미지에 대한 보정 설정값이 수신된 경우일 수 있으므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들)에 대한 보정 설정값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보정 설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인물 이미지에 보정 설정값을 적용하여 보정한다.
보정은 통상적으로 얼굴을 갸름하게 한다던가, 컬러값을 밝게 한다던가, 눈썹과 머릿카락을 진하게 한다던가, 눈매를 동글하게 한다던가, 코를 오똑하게 하는 등의 보정이 포괄적으로 포함된다.
반면, 보정 설정값이 미존재하는 경우, 유저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조작하여 해당 이미지 파일 식별 요청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이미지 파일을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와 기등록된 대표 이미지를 비교하여 인물을 식별한다. 이때 이미지 스캔을 통해 기등록된 이미지와의 일치 여부 판단은 연산량이 꽤 크기 때문에,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서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각 인물 이미지와 매칭되게 등록된 이미지 보정 설정값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각 인물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좌표정보 및 이미지 보정 설정값 정보를 패킷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해당 보정 설정값 정보를 해당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인물 이미지를 자동 보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그룹핑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적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그룹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도 역시, 제 1실시에와 마찬가지로, 특정 유저가 자신의 단말기내에 저장된 사진 파일은 물론이고, 제 3자의 단말기내에 저장된 또는 해당 단말기를 통해 촬상된 사진 파일내의 자신의 인물 이미지를 특정한 보정값으로 보정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각 유저별로 자신의 보정 설정값을 공유할 대상을 미리 그룹핑하여 한정하고, 해당 그룹핑된 대상들에게만 자신의 보정 설정값을 공유하여 인물 이미지가 자동 보정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제 1실시예에 비해 연산량이 현저히 작다.
특히, 이미지 스캔을 통해 해당 인물의 식별에 소요되는 연산량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그룹핑을 통한 이미지 자동 보정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서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된 이미지 설정값은 설정 유저가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한 그룹내에 속한 피설정 유저 단말기에 제한하여 공유되도록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서 공유대상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개인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특정 지인을 선택하여 포토 그룹핑으로 등록하고, 해당 그룹내에서만 이미지 설정값이 공유되는 포토 그룹핑 등록부(34)가 더 포함된다.
바람직하게, 어느 한 설정 유저는 다수개의 포토 그룹에 동시 등록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개인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특정 지인을 선택하여 해당 그룹내에서만 이미지 설정값이 공유되도록 포토 그룹핑으로 등록하는 그룹핑 정보 등록부(54)가 더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한 그룹핑 기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서 유저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신규 포토그룹 생성 키조작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미리 연동된 전화번호부를 호출하여 출력하고, 유저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개인 전화번호부에서 그룹핑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로인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신규 포토그룹 생성 요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신규 포토그룹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수신받는다.
그러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등록한다.
이어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그룹핑으로 지정된 유저 단말기(2)로 전송하고, 공유된 다른 유저의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일치하는 인물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를 탐색한다.
만약, 일치하는 인물 이미지 파일 탐색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유저의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해당 이미지에 적용하여 보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통해 상대방이 특정된 경우의 이미지 보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상기 제 2실시예의 그룹핑을 2명으로 제한한 상황을 상정한 것으로, 연인이 이별후 자신의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해, 과거 연인과 찍었던 사진파일속의 내 인물 이미지를 다른 인물로 자동 보정하거나 또는 식별 불가능한 인물 이미지로 보정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상기 신규 포토그룹을 2명으로 제한하고, 특정 인물 이미지를 다른 인물 이미지로 대체하도록 보정하는 시스템이고, 나머지 구성이나 기능 및 동작은 제 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을 이용한 사진 찍히기와 찍어주기 메뉴별 데이터 처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사진 찍어주기 모드에서, 상대방이 제공한 인물 이미지가 자신이 촬상한 배경 이미지상에 삽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진 찍히기 모드에서, 상대방이 제공한 배경화면에 자신이 촬상한 자신의 인물 이미지가 삽입되어 출력되도록 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출력 제어부(36)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동시간 다른 공간에 위치된 두명의 유저중 어느 한 유저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사진 찍어주기 모드를 선택하고 다른 한 유저는 사진 찍히기 모드를 선택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카메라와 연동되어 배경 이미지를 촬상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배경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또 다른 한 유저의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상대방 유저의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배경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아 화면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인물 이미지를 촬상하여 배경 이미지에 자동으로 인서트시킨다.
해당 인물이 인서트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 간에 공유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제 1유저가 해외 명승지를 투어하다가, 동 시간대의 다른 공간에 위치된 제 2유저의 단말기(2)에 사진찍어주기를 신청하는 바, 제 2 유저가 이를 승낙한 경우에는 제 2유저가 마치, 제 1유저가 투어중인 해외 명승지에 온 것처럼 실시간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유저는 촬상한 자신의 인물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제 1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 전송하고, 제 1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제 2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 자신이 촬상한 배경 이미지를 전송하여 인서트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어느 한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에서 배경과 인물이 편집 완료되면, 배경과 인물이 함께 배치된 이미지 파일을 양자가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 음성 통화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대방의 포즈에 조언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유저 단말기, 4: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
10:설정값 중개서버, 22:대표 이미지 관리부,
24:이미지 설정값 관리부, 26:카메라 연동부,
32:이미지 자동 보정처리부, 34:포토 그룹핑 등록부.

Claims (27)

  1. 개인의 대표 이미지 정보 및 개인 이미지 설정값을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하고 이미지 설정값을 공유하도록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요청하는 설정 유저 단말기와;
    특정 개인 이미지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며,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부터 특정 개인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설정값을 제공받아, 해당 개인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를 파악하고 존재시, 해당 이미지 설정값을 적용시켜 보정토록 한 피설정 유저 단말기와;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로부터 개인의 대표 이미지 정보 및 개인 이미지 설정값을 수신받아 등록하고, 그 대표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설정 유저 단말기내에 존재하는 해당 설정 유저의 이미지를 설정값대로 자동 보정하는 설정값 중개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은 얼굴이나 신체 사이즈 또는 얼굴 톤, 또는 콧날 또는 눈동자 크기, 눈썹 명암, 컬러값, 조도값중 어느 하나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 및 피설정 유저 단말기는 그 내부에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대표 이미지 및 설정값을 관리하며, 사진이나 동영상 프레임중 수신된 대표 이미지가 포함되어져 있는 지를 검색하고 특정 이미지 설정값을 적용하여 처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어 구동 개시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해당 유저 단말기(2)내에 저장된 모든 사진파일 및 동영상파일을 포함한 이미지 파일에 대해 특정 대표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를 자동 식별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설정값 중개서버(1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20)과;
    유저가 설정한 대표 이미지를 관리하는 대표 이미지 관리부(22)와;
    유저가 보정을 소망하여 설정한 이미지 설정값을 관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관리부(24)와;
    해당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된 사진이나 동영상 이미지중 제 3자의 특정 이미지에 대한 설정값을 공유하여 수신하는 공유 이미지 설정값 수신부(30)와;
    상기 이미지 설정값 수신부(30)를 통해 수신한 설정값을 적용하여 특정한 제 3자의 이미지를 자동 보정하는 이미지 자동 보정처리부(32)와;
    해당 유저가 지정한 대표 이미지 데이터와, 해당 대표 이미지와 일치 또는 유사한 이미지에 대해 보정을 설정한 특정 설정값을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하여 등록하고,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부터 특정 대표 이미지 및 이미지 설정값을 수신하여 해당 이미지를 단말기 내부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중에서 스캔하고 존재시, 해당 이미지를 설정값을 적용하여 보정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카메라 모듈의 작동신호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개시되는 카메라 연동부(2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내부에 저장된 사진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중 특정 인물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이미지 설정값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해당 이미지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미확인 이미지 전송부(2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개인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특정 지인을 선택하여 포토 그룹핑으로 등록하고, 해당 그룹내에서만 이미지 설정값이 공유되는 포토 그룹핑 등록부(3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그 내부에,
    사진 찍어주기 모드에서, 상대방이 제공한 인물 이미지가 자신이 촬상한 배경 이미지상에 삽입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사진 찍히기 모드에서, 상대방이 제공한 배경화면에 자신이 촬상한 자신의 인물 이미지가 삽입되어 출력되도록 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출력 제어부(3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설치된 유저 단말기(2)들은 유저 각자가 미리 등록한 대표 이미지와, 이미지 설정값을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상호 공유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이미지는 대표 인물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유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된 이미지 설정값은 설정 유저가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 등록한 그룹내에 속한 피설정 유저 단말기에 제한하여 공유되도록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에서 공유대상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어느 한 설정 유저가 다수개의 포토 그룹에 동시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어느 한 설정 유저가 특정 피설정 유저를 1:1로 지정하여 자신의 인물 이미지를 특정 이미지로 변경 또는 보정하도록 설정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상기 설정 유저 및 피설정 유저 단말기(2)와 통신하는 통신수단(40)과;
    어플 코드를 부여하여 접속시 유저를 식별하는 어플 식별정보 관리부(42)와;
    각 어플별 대표 이미지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대표 이미지 관리부(44)와;
    각 대표 인물 이미지에 대한 보정 설정값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이미지 설정값 관리부(46)와;
    유저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수신받아, 특정 인물 이미지에 대한 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이미지 검색부(50)와;
    유저가 등록한 자신의 인물 이미지에 대해, 다른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되고 해당 유저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내의 인물 이미지를 미리 설정한 특정 설정값으로자동 보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어플 식별정보 및 대표 이미지 정보, 이미지 설정값 정보를 상호 매칭하는 정보 매칭부(4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특정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들의 좌표값과, 설정값을 매칭하는 이미지 식별정보 생성부(5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는 그 내부에, 유저 단말기(2)의 개인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특정 지인을 선택하여 해당 그룹내에서만 이미지 설정값이 공유되도록 포토 그룹핑으로 등록하는 그룹핑 정보 등록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20. a)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수신받는 과정과;
    b)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등록하는 과정과;
    c)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특정 이미지 파일을 출력하는 과정과;
    d)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들)에 대한 보정 설정값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e) 보정 설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인물 이미지에 보정 설정값을 적용하여 보정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e) 과정 다음으로,
    f) 보정 설정값이 미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이미지 파일 식별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g)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이미지 파일을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로 전송하는 과정과;
    h)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인물 이미지와 기등록된 대표 이미지를 비교하여 인물을 식별하는 과정과;
    i)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각 인물 이미지와 매칭되게 등록된 이미지 보정 설정값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j) 해당 보정 설정값 정보를 해당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k)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인물 이미지를 자동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a)과정중,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의 구동은, 카메라 모듈에 연동하여 자동으로 구동 개시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j)과정은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각 인물 이미지와 해당 이미지의 좌표정보 및 이미지 보정 설정값 정보를 패킷으로 생성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24. a)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신규 포토그룹 생성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b)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신규 포토그룹을 생성하는 과정과;
    c) 특정 유저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수신받는 과정과;
    d)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등록하는 과정과;
    e) 상기 설정값 중개서버(10)가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보정 설정값을 그룹핑으로 지정된 유저 단말기(2)로 전송하는 과정과;
    f) 공유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유저의 대표 인물 이미지와 일치하는 인물 이미지를 탐색하는 과정과;
    g) 일치하는 인물 이미지 파일 탐색시,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해당 유저의 이미지 보정 설정값을 해당 이미지에 적용하여 보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의 이전에,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신규 포토그룹 생성 키조작신호를 인가받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연동된 전화번호부를 호출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그룹핑 대상을 지정받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은 상기 신규 포토그룹을 2명으로 제한하고, 특정 인물 이미지를 다른 인물 이미지로 대체하도록 보정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27. a) 동시간대 다른 공간에 위치된 두명의 유저중 어느 한 유저는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을 통해, 사진 찍어주기 모드를 선택하고 다른 한 유저는 사진 찍히기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b)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은 카메라와 연동되어 배경 이미지를 촬상하는 과정과;
    c)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배경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과;
    d) 또 다른 한 유저의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상대방 유저의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으로부터 배경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아 화면 출력하는 과정과;
    e)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이 인물 이미지를 촬상하여 배경 이미지에 자동으로 인서트시키는 과정과;
    f) 해당 인물이 인서트된 이미지 파일을 상기 이미지 설정값 공유 어플리케이션(4) 간에 공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방법.
KR1020150180034A 2015-12-16 2015-12-16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34A KR101823035B1 (ko) 2015-12-16 2015-12-16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US16/063,166 US20190005626A1 (en) 2015-12-16 2016-12-14 Social-based image setting value sha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PCT/KR2016/014655 WO2017105082A1 (ko) 2015-12-16 2016-12-14 소셜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34A KR101823035B1 (ko) 2015-12-16 2015-12-16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65A true KR20170071865A (ko) 2017-06-26
KR101823035B1 KR101823035B1 (ko) 2018-02-01

Family

ID=5905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034A KR101823035B1 (ko) 2015-12-16 2015-12-16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05626A1 (ko)
KR (1) KR101823035B1 (ko)
WO (1) WO2017105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979A (zh) * 2017-12-25 2018-04-20 马上消费金融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信息获取方法、系统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940A (ko) * 2002-10-22 2002-12-18 (주)아이엠에이테크놀로지 얼굴인식을 이용한 유무선인터넷 얼굴성형 방법
WO2011040653A1 (ko) * 2009-09-30 2011-04-07 주식회사 한울네오텍 3차원 객체를 제공하는 사진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130033495A (ko) * 2011-09-02 2013-04-04 (주)휴빌론 그룹 간의 데이터 동기화 시스템
KR20150074832A (ko) * 2013-12-24 2015-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05940392B (zh) * 2014-02-19 2019-09-27 高通股份有限公司 装置的图像编辑技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4979A (zh) * 2017-12-25 2018-04-20 马上消费金融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信息获取方法、系统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05082A1 (ko) 2017-06-22
KR101823035B1 (ko) 2018-02-01
US20190005626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288B2 (en) Photo sharing method and device
US11394708B2 (en) Account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terminal, server and system
EP2981063B1 (en) Method of modifying image including photographing restricted element,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16146060A1 (zh) 照片的分享方法及装置
US20210343070A1 (e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
US202000597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content
US20130243273A1 (en) Image publishing device, image publishing method, image publishing system, and program
CN106375193A (zh) 远程合照方法
US113037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initiating conference calls from a user device
CN109218609B (zh) 图像构图方法及装置
CN112929557A (zh) 一种拍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22000795A (ja) 情報管理装置
CN103609098B (zh) 用于在远程呈现系统中注册的方法和装置
KR10070516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등록 시스템 및 방법
CN110868542A (zh) 拍照方法、装置及设备
JP2017211982A (ja) 顔識別システム及び顔識別方法
CN112004020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823035B1 (ko) 소셜 기반의 이미지 설정값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027821B (zh) 处理图片的方法及装置
JP2015179223A (ja) サーバ、写真撮影編集装置、情報処理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8076280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影像分享方法及装置
CN107239490B (zh) 一种命名人脸图像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7123389A (ja) 通信会議端末装置及び通信会議装置
JP2004104426A (ja) 撮像装置
CN107450867B (zh) 照片打印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