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829A -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829A
KR20170071829A KR1020150179969A KR20150179969A KR20170071829A KR 20170071829 A KR20170071829 A KR 20170071829A KR 1020150179969 A KR1020150179969 A KR 1020150179969A KR 20150179969 A KR20150179969 A KR 20150179969A KR 20170071829 A KR20170071829 A KR 20170071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ddress
receiving
devices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9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829A/ko
Publication of KR20170071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1/20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61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node-based peer discovery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단계,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TRANSFERRING DATA BTEWWN DEVICES}
본 발명은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디바이스들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디바이스 간 직접통신을 하는 D2D(Device-to-Device)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D2D 기술은 근거리 이득, 홉 이득, 주파수 재사용 이득을 통한 시스템 용량, 전송 속도, 지연, 전력 소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D2D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등이 있다.
NFC를 이용한 방법으 경우, 상대방 디바이스와의 접촉이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 간 연결을 시도하므로 다수의 대상과 연결은 불가능 하고 통신 거리가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블루투스의 경우 상대방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SSID, 패스워드 등과 같은 정보를 사전에 입력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Wi-Fi Direct의 경우 다수의 대상과 연결을 요청하는 디바이스가 주변 검색과정을 통해 검색된 디바이스 중 자신이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주변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 다른 디바이스들의 MAC address, SSID 정보만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검색된 복수의 디바이스 중 자신이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가 어떤 것인지 용이하게 식별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디바이스간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은 디바이스 상호 간 설정 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단계,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만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캐스팅 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미치는 거리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로 상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IP 주소 할당부,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만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부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로드캐스팅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상기 브로드캐스팅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호가 미치는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로 상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색부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단계,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기록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기록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디바이스들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설정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자신의 IP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팅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에 포함된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서로 다른 2개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0)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들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2 디바이스(100-b)는 주변에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110). 구체적으로, 제2 디바이스(100-b)에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팅 신호 중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 정보가 포함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이때, 제1 디바이스(100-a)는 제1 디바이스(100-a)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S120).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a)는 제1 디바이스의 Mac address와 같은 물리적인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a)는 브로드캐스팅 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100-a)의 위치를 기준으로 넓은 범위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 강도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고, 한정된 범위 내에만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해서만 접속을 허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 강도보다 약한 제2 강도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100-a)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제2 디바이스(100-b)는(S130) 제1 디바이스(100-a)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에 포함된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S140).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a)에서 브로드캐스팅한 신호에 포함된 제1 디바이스(100-a)의 Mac address를 수신처로 지정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100-b)의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100-a)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a)를 선택한 후, 제1 디바이스(100-a)의 IP 주소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제1 디바이스(100-a)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자신의 IP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바이스(100)는 메인 서버에 접속한 후(S210), 자신의 IP 주소를 할당 받는다(S2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가 와이파이 모듈로 메인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메인 서버는 AP(Access Point)일 수 있다.
메인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할당 받은 디바이스(100)는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한다(S23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만 자신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후,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100)가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S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신의 IP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으나, 다른 디바이스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하여 그 디바이스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팅한 신호를 수신하여 그 신호에 포함된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디바이스(100-a)가 자신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제2 디바이스(100-b)가 제1 디바이스(100-a)를 검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디바이스(100-b)는 주변에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310).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제1 디바이스(100-a)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만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하므로, 제2 디바이스(100-b)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결과 연결 가능한 제1 디바이스(100-a)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20), 제1 디바이스(100-a)가 브로드캐스팅한 신호에 포함된 제1 디바이스(100-a)의 IP 주소를 획득한다(S330). 이후, 획득된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S340).
한편, 디바이스(100)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강도는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어느 범위에 속하는 디바이스들까지 연결을 허용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넓은 반경에 속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패킷을 주고 받고자 하는 경우 큰 강도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고, 한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패킷을 주고 받고자 하는 경우 작은 강도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d1 이내의 반경에 속하는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제1 강도를 갖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할 수 있다.
반면, d1 보다 작은 d2 이내에 작은 반경에 속하는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제1 강도보다 작은 값을 갖는 제2 강도를 갖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신호의 강도가 세질수록 신호가 브로드캐스팅되면 범위가 넓어지므로 보다 많은 디바이스들에서 자신이 검색 되도록할 수 있다. 반면, 한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디바이스들에게만 자신이 검색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 브로드캐스팅 되는 신호의 강도를 줄일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의 강도는 사용자로 하여금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출력되는 신호의 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신호가 미치는 거리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거리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대응되는 강도로 신호가 브로드캐스팅된다. 예를 들어, 주변 100m 이내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에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거리 정보를 입력하면, 100m까지 신호를 보낼 수 있는 강도로 브로드캐스팅 된다.
도 5 및 도 6은 서로 다른 2개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디바이스(100-a, 100-b)가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지만, 서로의 신호 발생 범위가 겹치지 않는 경우 서로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100-a)의 신호 발생 범위는 d1인데 반하여 제2 디바이스(100-b)는 d1 범위 밖에 존재하므로, 제2 디바이스(100-b)는 제1 디바이스(100-a)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디바이스(100-b)의 신호 발생 범위는 d2인데 반하여 제1 디바이스(100-a)는 d2 범위 밖에 존재하므로, 제1 디바이스(100-a)도 제2 디바이스(100-b)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때, 각 디바이스(100-a, 100-b)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강도가 강해지거나 상호간의 위치가 가까워져 신호 발생 범위가 겹치게 되면 데이터 패킷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각 디바이스가 상대방 디바이스의 신호 발생 범위에 위치하여 상호 인식 가능한 상황에 있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100-a)는 제2 디바이스(100-b)의 신호 발생 범위에 위치하는바, 제2 디바이스(100-b)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100-b)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에는 제2 디바이스(100-b)의 IP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바, 이를 수신한 제1 디바이스(100-a)는 제2 디바이스(100-b)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디바이스(100-b)도 제1 디바이스(100-a)의 신호 발생 범위에 위치하는바, 제1 디바이스(100-a)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100-b)도 제1 디바이스(100-a)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가 1:1로 연결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1:N, N:N으로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 패킷을 주고 받을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주고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라, 디바이스들 각각이 복수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주고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들과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제7 디바이스(100-g)를 예로 들면, 제7 디바이스(100-g)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의 범위 내에 제1 디바이스(100-a), 제2 디바이스(100-b), 제3 디바이스(100-c), 제5 디바이스(100-e) 및 제6 디바이스(100-f)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제7 디바이스(100-g)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은 제7 디바이스(100-g)가 브로드캐스팅한 신호에 포함된 제7 디바이스(100-g)의 IP 주소를 수신처로 지정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제4 디바이스(100-d)의 경우 제7 디바이스(100-g)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 범위 밖에 존재하므로 제7 디바이스(100-g)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제7 디바이스(100-g)는 제1 디바이스(100-a), 제2 디바이스(100-b), 제3 디바이스(100-c), 제5 디바이스(100-e) 및 제6 디바이스(100-f)가 브로드캐스팅하는 신호 범위 내에 존재하므로, 이 디바이스들의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획득된 IP 주소를 수신처로 하여 상술한 디바이스들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신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게 하면 디바이스들 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설정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만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신호가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공간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만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란 전파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때 그 서비스에 할당된 주파수 범위를 의미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 허가를 국가의 공인 기관으로부터 독점적이거나 공식적으로 받지 않고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비면허 대역에 자신의 IP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이때, 각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들끼리 약속된 주파수 대역에서 브로드캐스팅 되는 신호를 검색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임의의 주파수 대역(810)에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결정된 경우 각 디바이스는 그 주파수 대역(810)으로 자신의 IP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한다. 또한, 해당 주파수 대역(81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검색하여 주변에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900)는 IP 주소 할당부(910), 브로드캐스팅부(920) 및 패킷 송수신부(930)를 포함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IP 주소 할당부(910)는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 주소를 할당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서버가 AP(Access Point)인 경우 AP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
브로드캐스팅부(920)는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이때, 브로드캐스팅부(920)는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만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팅부(920)는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가 미치는 거리에 대응되는 강도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패킷 송수신부(930)는 브로드캐시팅된 신호를 수신한 다른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한편, 디바이스(900)는 자신의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디바이스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후, 그 디바이스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검색부(1010), 신호 수신부(1020) 및 패킷 송수신부(1030)를 포함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검색부(1010)는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부(101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가 포함된 신호가 있는지를 검색하여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020)는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패킷 송수신부(1030)는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수신처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디바이스(1000)에 따르면,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위한 각종 설정 정보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0)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0)는 프로세서(1110), 스토리지(1120), 메모리(1130), NIC(1140) 및 버스(1050)을 포함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있는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1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100)는 프로세서(1110), 스토리지(1120), 메모리(1130), NIC(1140) 및 버스(11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10)은 디바이스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11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범용적인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120)는 디바이스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스토리지(1120)에 저장된 디바이스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은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단계,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은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130)는 디바이스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메모리(1130)에 로딩된 디바이스들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110)에 의해 실행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에는 다른 컴퓨팅 장치가 연결될 수 있고, 버스(1150)는 상술한 프로세서(1110), 스토리지(1120), 메모리(113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40)이 연결되는 데이터 이동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단계;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만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 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가 미치는 거리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로 상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4.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IP 주소 할당부;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만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브로드캐스팅부;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신호의 강도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팅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호가 미치는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로 상기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바이스.
  9.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검색하는 디바이스.
  11.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 받는 단계;
    상기 할당 받은 IP 주소를 포함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크기의 강도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컴퓨터 장치와 결합하여,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가능한 디바이스의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컴퓨터 판독가능 비일시적 저장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79969A 2015-12-16 2015-12-16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70071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969A KR20170071829A (ko) 2015-12-16 2015-12-16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969A KR20170071829A (ko) 2015-12-16 2015-12-16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29A true KR20170071829A (ko) 2017-06-26

Family

ID=5928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969A KR20170071829A (ko) 2015-12-16 2015-12-16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8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042B2 (en) Exchanging ranging and location information among peer-to-peer devices
US9654960B2 (en) Server-assisted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JP5593442B2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接続するためのネットワーク能力を発見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2773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ed latency when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01693B2 (en)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US8874710B2 (en) Access network discovery
US20120113971A1 (en) Efficient wlan discovery and association
US20130148643A1 (en) Enhanced discovery procedures in peer-to-pee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JP6290439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開始型ネイバー報告要求
KR102167933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 탐색 방법 및 장치
EP3163946B1 (en) Transmission list in wi-fi acces point
JP2018067942A (ja) 装置発見及び接続の確立前に無線ノードによって提供されるサービスを検知すること
EP27707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in a portable terminal
WO2016109921A1 (zh) 数据传输的方法、站点、接入点和接入控制器
JP2017038235A (ja) 通信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100755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133052A1 (en) Device selection
US96096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arget in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US8472419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US10368388B2 (en) Method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20140042752A (ko) 단말 간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US20180332526A1 (en) Optimizing MuLTEfire Network Discovery
WO2014166425A1 (zh) 设备发现方法、基站及用户设备
KR20170071829A (ko)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TW201635155A (zh) 配對列表產生方法及電子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