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819A - 미소 교정기 - Google Patents

미소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819A
KR20170071819A KR1020150179959A KR20150179959A KR20170071819A KR 20170071819 A KR20170071819 A KR 20170071819A KR 1020150179959 A KR1020150179959 A KR 1020150179959A KR 20150179959 A KR20150179959 A KR 20150179959A KR 20170071819 A KR20170071819 A KR 20170071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joint
present
claw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우
Original Assignee
장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우 filed Critical 장창우
Priority to KR102015017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819A/ko
Publication of KR20170071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소 교정기에 관한것으로서, 사용자의 구각(1)을 감싸 지지하는 갈고리부(10)와; 상기 갈고리부(10)로부터 연장되는 이음부(20)와; 일단부는 상기 이음부(20)로부터 연결되고, 타단부는 사용자의 귀를 감싼 후 상기 이음부(20)에 고정되는 체결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각(1)과 맞닿는 상기 갈고리부(10)의 내측 부분은 U자 형태 또는 만곡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소 교정기{SMILE CORRECTIVE OPERATOR}
본 발명은 미소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구각에 장착하여 안면에 미소 근육이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미소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의 인상은 얼굴의 눈, 코, 입, 등의 여러 부분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나타나는 개인적인 느낌으로서, 대외적으로 자신의 선입견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얼굴의 인상 중에서 길하고 좋은 인상의 이미지는 타인에게 편안하고 즐거운 기분을 주는 미소 띤 얼굴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소 띤 얼굴의 인상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온화하고 따스한 느낌을 주게 되므로, 사회생활을 하는 모든 이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며, 특히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는 더욱 필요한 부분이다. 얼굴의 첫인상에서 웃는 표정을 가장 잘 나타내는 부분이 입술라인의 모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입술라인의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인상을 주게 된다. 예를 들면, 입술라인의 양꼬리, 즉 구각이 내려간 경우에는 우울하고, 슬프거나 화난 인상을 주게 되므로 대인관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웃는 인상을 주기 위한 교정 방식으로는 근육이나 입술의 형태를 변경하는 성형수술이 있으나, 이는 인위적인 방식으로 인해 자연스럽지 못하고, 많은 비용과 더불어 신체적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입가 근육의 교정을 통해서 미소 띤 얼굴이 되도록 하는 기구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미소 교정을 위한 기구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206186호의 "미소 교정기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상기 발명은 구강에 장착하여 사용되므로 구강 내에 침이 고이는 단점이 있으며, 교정기를 통한 구강 내 세균 감염과 같은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미소 교정기는 미소 교정 외에 다른 기능이 있지 않아 사용상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10-120618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에 미소를 짓게 하는 근육이 형성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구각을 양쪽으로 상향지지하여 안면 근육을 교정해줄 수 있는 미소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구가 구강 내에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 외측을 통하여 구각을 상향 지지함으로써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소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소 교정과 동시에 안면 피부에 자극을 주어 피부 탄력을 유지시켜줄 수 있는 미소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 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소 교정기(100)는, 사용자의 구각(1)을 감싸 지지하는 갈고리부(10)와; 상기 갈고리부(10)로부터 연장되는 이음부(20)와; 일단부는 상기 이음부(20)로부터 연결되고, 타단부는 사용자의 귀를 감싼 후 상기 이음부(20)에 고정되는 체결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각(1)과 맞닿는 상기 갈고리부(10)의 내측 부분은 U자 형태 또는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부(20)와 체결부(30)에서 사용자의 안면이 맞닿는 부분에 다수의 지압돌기(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음부(20)의 선단부에서 사용자의 안면이 맞닿는 부분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리프팅부(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30)의 타단부는 양 갈래로 갈라져 한쪽은 상기 이음부(20)의 선단부 근방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이음부(20)의 후단부 근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소 교정기는 사용자의 입꼬리가 미소지는 형상이 되도록 사용자의 구각을 상향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양측 입꼬리가 미소를 띠도록 올라가게 되며, 이에 따라 안면 근육이 미소를 띠도록 교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구가 사용자의 귀에 고정, 지지 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기구가 구강내에 삽입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침이 고이는 문제나, 세균 감염 등과 같은 위생상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과 맞닿는 이음부에 피부탄력과 처짐 방지를 위한 리프팅부와 지압돌기가 형성됨에 따라 미소 교정과 동시에 피부케어를 할 수 있어 사용상에 다양성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의 착용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소 교정기의 착용 모습과 상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100)는 사용자의 구각(1)을 감싸 지지하는 갈고리부(10)와, 갈고리부(10)로부터 연장되는 이음부(20)와, 일단부는 상기 이음부(20)로부터 연결되고 타단부는 사용자의 귀를 감싼 후 이음부(20)에 고정되는 체결부(30)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갈고리부(10)는 사용자의 구강 내측에 일부분이 삽입되며, 갈고리부(10)의 내측 부분인 구각접촉부(12)를 통하여 사용자의 구각(1)을 감싸 지지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갈고리부(10)는 물건을 걸어놓을 수 있는 갈고리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상에 따라, 사용자의 구각(1)에 갈고리부(10)를 걸어 구각(1)을 감싼 상태로 미소 교정기(100)를 상향 지지함으로써 안면 근육을 교정하게 된다.
구각접촉부(12)는 갈고리부(10)가 사용자의 구각(10)을 감쌀 시 사용자의 구각(1)이 맞닿아 접촉하는 갈고리부(10)의 내측 부분이다. 이때, 사용자의 구각(1)은 U자형 또는 만곡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와 대응되는 구각접촉부(12)의 외면도 사용자의 구각(1)과 마찬가지로 U자형 또는 만곡형을 갖도록 제작된다.
위와 같이, 사용자의 구각(1)에 갈고리부(10)가 체결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구각(10)이 상방을 향하여 지지되도록 갈고리부(10)는 이음부(20)와 체결부(30)를 통하여 사용자의 귀에 상향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음부(20)는 갈고리부(10)로부터 연장된다. 이음부(20)는 갈고리부(10)가 사용자의 구각(1)을 상향지지하도록 갈고리부(10)를 상방으로 끌어올린 상태에서 갈고리부(1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는 체결부(30)와 상기한 갈고리부(10)를 연결한다.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이음부(20)는 일면은 사용자의 안면과 맞닿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안면과 맞닿는 이음부(20) 일면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리프팅부(22)와 지압돌기(24)가 구비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음부(20)에서 갈고리부(10)가 연결되는 방향을 선단부로 그 반대방향을 후단부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이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리프팅부(22)는 이음부(20)의 선단부에 위치한다. 리프팅부(22)는 볼록한 반원의 모양을 갖는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100)를 착용 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반원모양의 리프팅부(22)로 인하여 리프팅부(22)와 맞닿는 부분의 안면 근육을 상방으로 끌어 올려 지탱해 준다. 이때 리프팅부(22)는 안면의 지창혈을 자극하여 입술주름 예방 및 코와 입 사이의 피부를 팽팽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음부(20)의 후단부에는 지압돌기(24)가 구비된다. 지압돌기(24)는 리프팅부(2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소 교정기(100)를 착용 시, 안면의 거료혈을 자극하여 볼 처짐 방지 및 얼굴 부기 예방, 이중턱 예방의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지압돌기(24)는 이음부(20)뿐만 아니라 후기하는 체결부(30)에도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지압돌기(24)는 이음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교차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으며, 다이아몬드와 같은 패턴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갈고리부(10)를 통하여 사용자의 구각(1)를 감싼 상태에서 사용자의 구각(1)을 상방으로 끌어올린 채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음부(20)의 후단부에 체결부가 연결되어 있다. 체결부(30)는 사용자의 귀를 감싼 채 체결됨으로써 갈고리부(10)가 상방으로 끌어올려진 상태로 그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1과 도 2를 살펴보면, 체결부(30)는 두 갈래로 나뉘어 있는 제1 체결부재(32)와 제2 체결부재(34)로 구비된다. 제1 체결부재(32)와 제2 체결부재(34)는 각각 사용자의 귀를 감싸도록 구비된 상태에서 이음부(20)에 체결된다.
이때, 제1,2 체결부재(32,34)는 미소 교정기(100)가 더욱 튼튼히 지지될 수 있도록 Y자 형태로 벌어져 서로 다른 이음부(20)의 위치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재(32)는 이음부(20)의 후단부에 인접하도록 결합되며, 제2 체결부재(34)는 이음부(20)의 선단부 근방에 인접하도록 고정되어 있지만, 이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2 체결부재(32,34)의 위치는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제1,2 체결부재(32,34)에도 지압돌기(2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2 체결부재(32,34)에 구비되는 지압돌기(24)는 예풍혈 및 귀 주위를 자극하여 시력저하 예방 및 볼살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갖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2 체결부재(32,34)는 이음부(20)에 고정될 시 벨크로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지만 고정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음부(20)로부터 제1,2 체결부재(32,34)를 탈부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모든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미소교정기 10:갈고리부
12:구각접촉부 20:이음부
22:리프팅부 24:지압돌기
30:체결부

Claims (4)

  1. 사용자의 구각(1)을 감싸 지지하는 갈고리부(10)와;
    상기 갈고리부(10)로부터 연장되는 이음부(20)와;
    일단부는 상기 이음부(20)로부터 연결되고, 타단부는 사용자의 귀를 감싼 후 상기 이음부(20)에 고정되는 체결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각(1)과 맞닿는 상기 갈고리부(10)의 내측 부분은 U자 형태 또는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교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20)와 체결부(30)에서 사용자의 안면이 맞닿는 부분에 다수의 지압돌기(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교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20)의 선단부에서 사용자의 안면이 맞닿는 부분에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는 리프팅부(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교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0)의 타단부는 양 갈래로 갈라져 한쪽은 상기 이음부(20)의 선단부 근방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이음부(20)의 후단부 근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소 교정기.
KR1020150179959A 2015-12-16 2015-12-16 미소 교정기 KR20170071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959A KR20170071819A (ko) 2015-12-16 2015-12-16 미소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959A KR20170071819A (ko) 2015-12-16 2015-12-16 미소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19A true KR20170071819A (ko) 2017-06-26

Family

ID=5928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959A KR20170071819A (ko) 2015-12-16 2015-12-16 미소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8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3316A (zh) * 2019-03-16 2019-06-18 南京市中医院 一种可挥发药物的面瘫矫正器
KR102062387B1 (ko) * 2018-11-27 2020-01-03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과 안면근육 분석을 이용한 입꼬리 근육 교정시스템
KR102129122B1 (ko) * 2020-03-18 2020-07-09 권혁기 미소 교정기
KR102190582B1 (ko) 2019-08-13 2020-12-14 안효준 미소 교정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387B1 (ko) * 2018-11-27 2020-01-03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과 안면근육 분석을 이용한 입꼬리 근육 교정시스템
CN109893316A (zh) * 2019-03-16 2019-06-18 南京市中医院 一种可挥发药物的面瘫矫正器
KR102190582B1 (ko) 2019-08-13 2020-12-14 안효준 미소 교정 장치
KR102129122B1 (ko) * 2020-03-18 2020-07-09 권혁기 미소 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4951B2 (en) Pair of eye goggles
KR20170071819A (ko) 미소 교정기
US20100258132A1 (en) Headgear pad for CPAP interface
KR20060111375A (ko) 코 인공 삽입물
KR101654279B1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CN105919767A (zh) 一种防压疮俯卧位手术头部保护架
KR101369880B1 (ko) 눈가 미용기구
KR101349260B1 (ko) 적외선 비염치료기
JP5334152B2 (ja) フェイスマスク用補助具
US20160287829A1 (en) Cushioned Sleep Apnea Mask
JP6918335B2 (ja) 美容用マスク
JP2022082263A (ja) 美容兼用衛生マスク
WO2002007636A1 (en) Lip retractor
KR101443247B1 (ko) 팔자주름 교정기구
KR20100093164A (ko) 주름방지용 미용기구
KR101594926B1 (ko) 개구기
JP2008264026A (ja) 鼻マスク用クッション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鼻マスク
KR101515897B1 (ko) 눈가 미용기구 및 눈가 미용기구용 패드
US20180140380A1 (en) Dental isolator for protecting the tongue and cheek during dental treatment
KR102404830B1 (ko) 벨라컨투어 울트라 v 리프팅 밴드
KR102428719B1 (ko) 얼굴교정용 페이스업
KR101594121B1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액세서리 기능 겸용의 발가락 교정기
KR102262419B1 (ko) 팔자 주름 개선 장치
CN218010579U (zh) 一种无创呼吸机面罩固定带
CN214857420U (zh) 一种新型垫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