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768A - 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768A
KR20170071768A KR1020150179841A KR20150179841A KR20170071768A KR 20170071768 A KR20170071768 A KR 20170071768A KR 1020150179841 A KR1020150179841 A KR 1020150179841A KR 20150179841 A KR20150179841 A KR 20150179841A KR 20170071768 A KR20170071768 A KR 20170071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m
fuel
type
vehicl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8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8640B1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40B1/en
Publication of KR20170071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9/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19/06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peculiar to engines working with pluralities of fuels, e.g. alternatively with light and heavy fuel oil, other than engines indifferent to the fuel consum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recognizing a vehic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confirming a valu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by applying power to the ECM for a first fuel mounted on the vehicle; Determining an ECM type for a monophase, an ECM type for a first biphase to which only a basic signal is transmitted, and a ECM type for a second bifurile to which a basic signal and an OBD signal are transmitted; Whether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ECM for the second fuel in the vehicle,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ECM for the second fuel, whether the basic signal is transmitted or not, and whether the basic signal and the OBD signal are transmitted, Or changing from one type to another type, and storing the current type in the non-volatile memory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Description

ECM의 차량 인식 방법{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dentification method for an ECM,

본 발명은 엔진제어모듈(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CM이 차량에 장착될 때 상기 ECM이 모노퓨얼 차량인지 바이퓨얼 차량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an engine control module (EC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an ECM capable of recognizing whether the ECM is a monofuel vehicle or a biplane vehicle when the ECM is mounted on a vehicle .

일반적으로 차량의 개발할 때, 단일 연료만을 사용하는 모노퓨얼 차량을 먼저 개발하고, 제1 연료와 제2 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바이퓨얼 차량을 상기 모노퓨얼 차량과 동시에 개발하거나 나중에 개발하게된다.  Generally, when developing a vehicle, a mono fuel vehicle that uses only a single fuel is first developed, and a bi-fuel vehicle that selectively uses the first fuel and the second fuel is developed at the same time as or later with the mono fuel vehicle.

상기 바이퓨얼 차량의 ECM은 상기 모노퓨얼 차량의 ECM이 가지는 연료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과 출력기능에 추가하여 상기 제2의 연료를 제어할 수 있는 입력과 출력을 더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The ECM of the bi-fuel vehicle must further have an input and an output capable of controlling the second fuel in addition to the input and output function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uel of the ECM of the mono fuel vehicle.

상기 바이퓨얼 차량의 ECM은 상기 제1 연료 및 제2 연료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이퓨얼 차량의 ECM은 상기 제1 연료용 ECM인 상기 모노퓨얼 차량의 ECM과 상기 제2 연료를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 및 상기 모노퓨얼 ECM과 통신 기능을 갖는 제2 연료용 보조 EC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CM of the biplane vehicle may take various forms to control the first fuel and the second fuel. For example, the ECM of the biplane vehicle may include an input / output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ECM of the mono-fuel vehicle and the second fuel, which is the ECM for the first fuel, and a second fuel auxiliary ECM < / RTI >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모노퓨얼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없으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과 상기 제2 연료용 ECM 사이의 통신이 불필요하다. 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바이퓨얼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있으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과 상기 제2 연료용 ECM 사이의 통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즉,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기능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기능을 변경한 후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When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mounted on the mono-fuel vehicle, there is no ECM for the second fuel, so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ECM for the first fuel and the ECM for the second fuel is unnecessary. On the other hand, when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mounted on the bicycle, since there is the ECM for the second fuel, communication between the ECM for the first fuel and the ECM for the second fuel is necessarily required. That is, the function of the first fuel ECM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first fuel ECM is mounted. Therefor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first fuel ECM must be mounted on the vehicle after changing the function of the first fuel ECM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ECM이 차량에 장착될 때 상기 ECM이 모노퓨얼 차량인지 바이퓨얼 차량인지를 인식할 수 있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an ECM capable of recognizing whether the ECM is a mono-fuel vehicle or a bi-fuel vehicle when the ECM is mounted on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은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cognizing a vehicle of an ECM, the method comprising: confirming a value stored in a non-volatile memory by applying power to an ECM for a first fuel mounted on the vehicle; Determining an operation type of the ECM as one of an ECM type for a monophone, an ECM type for a first biphase to which only a basic signal is transmitted, and an ECM type for a second bifurile to which a basic signal and an OBD signal are transmitted, Whether an ECM for fuel is communicated with the ECM for the second fuel in the vehicle and a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ECM for the second fuel, whether the basic signal is transmitted only and whether the basic signal and the OBD signal are transmitted Maintaining the type or changing the type from one type to another; and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ECM for the first fuel stores the current type in the nonvolatile memory It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은 별도의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 입력 시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changed from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furc to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urcle, The change from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furc to the ECM type for the monofiner may be made only when a specific signal is input through a separate diagnostic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 ECM 인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operation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the mono fuel ECM, the network fault code for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ECM for the second fuel is set to the inactive state, Volatile memory and store the network fault code in an active state in the nonvolatile memory if the current operational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the first bi-fuel ECM or the second bi-fuel ECM.

본 발명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따르면, 제1 연료용 ECM을 모노퓨얼 차량, ODB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 및 ODB 적용 바이퓨얼 차량 중 어느 차량에 장착하더라도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기본 신호 및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의 종류에 맞게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조작없이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잇다. According to the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the EC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ther or not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mounted on any of the monofilled vehicle, the ODB non-used bi-fuel vehicle and the ODB applied bi-fuel vehicle, When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second fuel ECM, the first fuel ECM can change th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depending on whether the basic signal and the OBD signal are transmit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unt and use the ECM for the first fuel on the vehicl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연료용 ECM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an EC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maintenance or chang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shown in Fig. 1.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an EC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연료용 ECM을 유지 또는 변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an EC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maintenance or modification of the first fuel ECM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ECM의 차량 인식 방법은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an ECM is as follows.

먼저,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한다.(S110)First, power is applied to the ECM for the first fuel mounted on the vehicle to confirm information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S11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한다. 상기 차량은 모노퓨얼 차량, OBD(On-Board Diagnotics, 배출가스 자기진단장치)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 OBD 적용 바이퓨얼 차량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mounted on the vehicle. The vehicle may be any one of a mono fuel vehicle, an OBD (on-board diagnostic) non-use bi-fuel vehicle, and an OBD applied bi-fuel vehicle.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자신의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의 특정 영역을 읽는다. And applies power to the first fuel ECM while the first fuel ECM is mounted on the vehicle. When the power is applied, the first fuel ECM reads a specific area of the EEPROM which is its own nonvolatile memory.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한다.(S120)Volatile memory, the operation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defined as an ECM type for monophase, an ECM type for a first biphase to which only a basic signal is transmitted, (S120).

구체적으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모드가 결정된다.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모드는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이다. Specifically, the operation mod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alu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fuel ECM is any one of the ECM type for the mono-fuel,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urcle, and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pur.

이때,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은 상기 모노퓨얼 차량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은 상기 OBD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은 상기 OBD 적용 바이퓨얼 차량에서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CM type for the monofuge is used in the monofuel vehicle,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fle is used for the OBD non-biped vehicle, and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ffle is used for the OBF applied bi- It can be used in vehicles.

예를 들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값은 00, 01, 11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00은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 상기 01은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상기 11은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을 의미한다. For example, the valu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may be any one of 00, 01, and 11. 00 is the ECM type for the monofiner, 01 is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pur, and 11 is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pur.

한편, 공장 출고시에는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상기 값이 00으로 설정된다.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factory shipment, the valu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set to "00".

상기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이 들어와 있는 동안 상기 EEPROM의 특정영역의 값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EEPROM의 특정영역의 값을 RAM에 복사한다.The value of the specific area of the EEPROM may be changed while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ECM for the first fuel, so that the value of the specific area of the EEPROM is copied to the RAM.

다음으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통신을 통한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한다.(S130)Nex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ECM for the first fuel recognizes the ECM for the second fuel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the vehicle, whether only the basic signal is transmitted when the ECM for the second fuel recognizes the ECM for the second fuel, The operation type is maintained or changed from one type to another according to whether the OBD signal is transmitted or not (S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차량에서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Specifically, when the first fuel ECM operates in the monofuel ECM type, the first fuel ECM first confirms whether the second fuel ECM is recogn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the vehicle.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제1 연료 제어만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감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검출하지 않는다. If the first fuel ECM does not recognize the second fuel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maintains the mono fuel ECM type as it is. Therefore, the ECM for the first fuel only performs the first fuel control. At this time, the first fuel ECM does not monitor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second fuel ECM. That is, the ECM for the first fuel does not detect the network failure code.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연료 제어를 위한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지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같이 송신되는지 확인한다. When the ECM for the first fuel recognizes the ECM for the second fuel via the communication, the first ECM for the first fuel determines whether the basic signal for fuel control is transmitted from the ECM for the second fuel, Verify that the signals are transmitted together.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When the first fuel ECM recognizes the second fuel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only the bas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uel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changed to the mono fuel ECM type To the first bi-fuel ECM type. Therefore, the first ECM for fuel performs the first fuel control or the second fuel control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river, and updates the network trouble code while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ECM for the second fuel.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모두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 및 상기 ODB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When the first fuel ECM recognizes the second fuel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both the basic signal and the OBD signal ar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uel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And changes from the monofuel ECM type to the second bi-fuel ECM type. Accordingly, the first ECM for the first fuel performs the first fuel control or the second fuel control and the ODB function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and updates the network trouble code while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ECM for the second fuel do.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차량에서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When the first fuel ECM operates in the first bifuel ECM type, the first fuel ECM first confirms whether the second fuel ECM is recogn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the vehicle.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임시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면서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연료용 ECM와의 통신이 재개되어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인식되기를 기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제1 연료 제어만을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않는다. If the ECM for the first fuel does not recognize the ECM for the second fuel through the communication, the ECM for the first fuel temporarily operates the monofuel ECM type and generates a network fault code, Communication with the ECM for the second fuel is resumed and waits for the recognition of the ECM for the second fuel. Nevertheless, if the first fuel ECM does not recognize the second fuel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changed from the first bio ECM type to the monofuel ECM type. Therefore, the first fuel ECM performs only the first fuel control, and does not recognize the second fuel ECM.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When the first fuel ECM recognizes the second fuel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only the bas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uel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uel Keep the ECM type intact. Therefore, the first ECM for fuel performs the first fuel control or the second fuel control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driver, and updates the network trouble code while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ECM for the second fuel.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모두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 및 상기 ODB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When the first fuel ECM recognizes the second fuel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both the basic signal and the OBD signal ar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uel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And changes from the first bi-FEal ECM type to the second bi-FEal ECM type. Accordingly, the first ECM for the first fuel performs the first fuel control or the second fuel control and the ODB function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and updates the network trouble code while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ECM for the second fuel do.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차량에서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의 인식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When the first fuel ECM operates in the second bifuel ECM type, the first fuel ECM first confirms whether the second fuel ECM is recognized through the communication in the vehicle.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임시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동작하면서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연료용 ECM와의 통신이 재개되어 상기 제2 연료용 ECM이 인식되기를 기다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못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제1 연료 제어만을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인식하지 않는다. If the ECM for the first fuel does not recognize the ECM for the second fuel through the communication, the ECM for the first fuel temporarily operates the monofuel ECM type and generates a network fault code, Communication with the ECM for the second fuel is resumed and waits for the recognition of the ECM for the second fuel. Nevertheless, if the first fuel ECM does not recognize the second fuel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changed from the first bio ECM type to the monofuel ECM type. Therefore, the first fuel ECM performs only the first fuel control, and does not recognize the second fuel ECM.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타입으로 변경한다. 즉,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상기 OBD 미적용 바이퓨얼 차량에 장착된 것으로 인식한다. When the first fuel ECM recognizes the second fuel-use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only the basic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uel-use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type to the first bi-fuel ECM type. That is, it is recognized that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mounted on the OBD non-hybrid bicycle.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연료용 ECM을 인식하며 상기 제2 연료용 ECM으로부터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가 모두 송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타입을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연료 제어 또는 제2 연료 제어 및 상기 ODB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지속적으로 인식하면서 상기 네트워크 고장코드를 갱신한다.When the first fuel ECM recognizes the second fuel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and both the basic signal and the OBD signal ar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fuel ECM,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The second bi-fuel ECM type is maintained as it is. Accordingly, the first ECM for the first fuel performs the first fuel control or the second fuel control and the ODB function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driver's selection, and updates the network trouble code while continuously recognizing the ECM for the second fuel do.

한편,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을 별도의 진단통신장치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changed from the ECM type for the monophase to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urcle or the ECM for the second bifurcle,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furc can be changed naturally without a separate diagnostic communication device.

그러나,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은 별도의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 입력 시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However, if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changed from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furc to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urcle, or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urcate or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pur To the ECM type for monophase may be performed only when a specific signal is inputted through a separate diagnostic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은 더 이상 변경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통신을 통해 상기 제2의 연료용 ECM을 인식하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다시 변경되기 때문이다. When the operation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signal through the diagnostic communication device, the operation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no longer changed.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changes again because the first fuel ECM recognizes the second fuel ECM through the communication.

이후,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동작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S140)Thereafter, when the power is cut off, the first ECM for the first fuel stores the current operation type in the nonvolatile memory (S140)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엔진이 정상적으로 정지한 후에,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자신에게 인가된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RAM 에 임시 기록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에 대한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인 EEPROM으로 옮겨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에 대한 정보는 00, 01, 11 중 어느 하나로 저장될 수 있다. Specifically, after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normally stopped, the first fuel ECM maintains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temporarily stored in the RAM while keeping the power applied thereto And then transferred to and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EEPROM. 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may be stored in any one of 00, 01, and 11.

또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 ECM 인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If the current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the mono fuel ECM, the network fault code for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second fuel ECM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in an inactive state.

그리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If the current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the first bi-fuel ECM or the second bi-fuel ECM, the network failure code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in an activated state.

그러므로, 상기 제1 연료용 ECM에 다시 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모드 및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 활성화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fuel ECM and the network fault code activation state when the first fuel ECM is again powered 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CM의 차량 인식 방법에 따르면, 제1 연료용 ECM이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동작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조작없이 상기 제1 연료용 ECM을 상기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잇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vehicle recognition method of the EC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fuel ECM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mou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unt and use the ECM for the first fuel on the vehicle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Claims (3)

차량에 장착된 제1 연료용 ECM에 전원을 인가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을 모노퓨얼용 ECM 타입, 기본 신호만 송신되는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및 기본 신호 및 OBD 신호가 송신되는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연료용 ECM이 상기 차량에서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연결 여부, 상기 제2 연료용 ECM과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기본 신호만 송신 여부 및 상기 기본 신호 및 상기 OBD 신호의 송신 여부에 따라 동작 타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상기 하나의 타입에서 다른 타입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차단시 상기 제1 연료용 ECM은 현재 타입을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
Applying power to an ECM for a first fuel mounted on a vehicle to confirm a valu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Volatile memory, the operation type of the ECM for the first fuel is classified into an ECM type for mono-fuel, an ECM type for a first biphase to which only a basic signal is transmitted, and a second bio- Determining one of the ECM types;
Whether the first fuel ECM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fuel ECM, whether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with the second fuel ECM, whether or not only the basic signal is transmitted, and whether the basic signal and the OBD signal are transmitted Maintaining the operation type as it is or changing the operation type from one type to another; And
And storing the current type of the first fuel ECM in the non-volatile memory when the power is cut of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동작 타입이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거나, 상기 제1 바이퓨얼용 ECM 타입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용 ECM 타입에서 상기 모노퓨얼용 ECM 타입으로 변경되는 것은 별도의 진단통신장치를 통한 특정 신호 입력 시에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changed from the ECM type for the second bifurc to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urcle, the ECM type for the first bifurcle, Wherein the change from the ECM type for the fuse to the ECM type for the monofiner is performed only when a specific signal is input through a separate diagnostic communi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모노퓨얼 ECM 인 경우 상기 제2 연료용 ECM과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연료용 ECM의 현재 동작 타입이 상기 제1 바이퓨얼 ECM 또는 상기 제2 바이퓨얼 ECM 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고장 코드를 활성화 상태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CM의 차량 인식 방법.
The non-volatile memo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current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the mono fuel ECM, the network fault code for confirming the communication state with the second fuel ECM is stored in the non- and,
Wherein the network fault code is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in an activated state when the current operation type of the first fuel ECM is the first bi-fuel ECM or the second bi-fuel ECM .
KR1020150179841A 2015-12-16 2015-12-16 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KR102368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41A KR102368640B1 (en) 2015-12-16 2015-12-16 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41A KR102368640B1 (en) 2015-12-16 2015-12-16 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768A true KR20170071768A (en) 2017-06-26
KR102368640B1 KR102368640B1 (en) 2022-02-25

Family

ID=5928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841A KR102368640B1 (en) 2015-12-16 2015-12-16 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40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92B1 (en) * 2000-04-12 2002-12-3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engines of vehicles
KR20070111946A (en) * 2006-05-18 2007-11-22 가부시키가이샤 닛키 Control apparatus for gasoline substitute fuel injection system
KR100815149B1 (en) * 2007-04-03 2008-03-19 (주)모토닉 Diagnostic apparatus for fuel supply pump controller
KR100859407B1 (en) * 2007-05-31 2008-09-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detecting fuel change of bi fuel car
KR100860463B1 (en) *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fuel of bi fuel car
KR100865233B1 (en) * 2007-06-21 2008-10-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fuel of bi fuel car
KR20130043946A (en) * 2011-10-21 2013-05-0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angle of bi-fuel vehicle
KR20130075564A (en) * 2011-12-27 2013-07-0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tart of bi fuel car
KR20130138434A (en) * 2012-06-11 2013-12-19 김재기 Fuel change control apparatus for duel fuel engine
KR101383751B1 (en) * 2012-12-13 2014-04-17 (주)모토닉 Control method of bi-fuel feed system
KR20140105090A (en) * 2013-02-21 2014-09-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onitoring method for bi-fuel vehicl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892B1 (en) * 2000-04-12 2002-12-31 주식회사 다산네트웍스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engines of vehicles
KR20070111946A (en) * 2006-05-18 2007-11-22 가부시키가이샤 닛키 Control apparatus for gasoline substitute fuel injection system
KR100815149B1 (en) * 2007-04-03 2008-03-19 (주)모토닉 Diagnostic apparatus for fuel supply pump controller
KR100859407B1 (en) * 2007-05-31 2008-09-2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detecting fuel change of bi fuel car
KR100860463B1 (en) * 2007-06-20 2008-09-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fuel of bi fuel car
KR100865233B1 (en) * 2007-06-21 2008-10-23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fuel of bi fuel car
KR20130043946A (en) * 2011-10-21 2013-05-02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angle of bi-fuel vehicle
KR20130075564A (en) * 2011-12-27 2013-07-0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start of bi fuel car
KR20130138434A (en) * 2012-06-11 2013-12-19 김재기 Fuel change control apparatus for duel fuel engine
KR101383751B1 (en) * 2012-12-13 2014-04-17 (주)모토닉 Control method of bi-fuel feed system
KR20140105090A (en) * 2013-02-21 2014-09-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Monitoring method for bi-fue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640B1 (en)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5281B2 (en) Failure diagnosis system, and vehicle-mounted ECU for use in the failure diagnosis system
CN100517230C (en) Method for remote reprogramming of vehicle flash memory
US11427212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DE102016123397A1 (en) KEY OFF POWER MANAGEMENT SYSTEM
US20190146779A1 (en) Vehicle-mounted power supply system, relay box, and relay control apparatus
DE102010041771A1 (en) Portable and personal vehicle presets
JP2006316639A (en) Main relay failure diagnosing method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US20100299023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5130694B2 (en) Power storage device used for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power supply device
JP2010023556A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JP4591383B2 (en) Bus communication system
KR20170071768A (en) Method for vehicle identification of Engine Control Module
KR1024634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misjudgments of controller
US7360013B2 (en) Method of rewriting flash EEPROM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using same
US20230018942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3154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in vehicle
KR20150117562A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ody control module using external device
KR20160121920A (en) Calibration device of electronic control uni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488345B2 (en) In-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communication device
JP5182583B2 (en)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JP5034866B2 (en) In-vehicle control device
KR101274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management in a vehicle
JP2004040649A (en) On-vehicle communication equipment
JP5003236B2 (en) Supply voltage controller
JP2007118656A (en) Electric power uni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