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703A -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703A
KR20170071703A KR1020150179696A KR20150179696A KR20170071703A KR 20170071703 A KR20170071703 A KR 20170071703A KR 1020150179696 A KR1020150179696 A KR 1020150179696A KR 20150179696 A KR20150179696 A KR 20150179696A KR 20170071703 A KR20170071703 A KR 20170071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erminal
temperature
unit
temperatur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5367B1 (ko
Inventor
김한준
박상율
고영탁
장선진
Original Assignee
(주) 대호아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호아이앤티 filed Critical (주) 대호아이앤티
Priority to KR102015017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3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02J7/001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능을 지님으로써 신체 등의 이동성의 온도 측정 물체에 부착할 수 있으며, 충전 시에 충전 동작 이외의 다른 동작이 차단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구비함이 없이도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는 전원(VBUS)을 위한 제1단자와 접지(GN)를 위한 접지단자를 적어도 포함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단자를 지닌 전원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로부터 전원(VBUS)을 인가받아 전원(VBAT)을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충전부와, 전원(VBAT)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전원 공급부로 전원(VBAT)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원(VBAT)을 공급받아 전원(VDD)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전원 커넥터와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와의 분리 및 결합에 따라 전원(VDD)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부와,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센서와,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센서와, 전원(VDD)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체온 센서 또는 외기온도로부터의 체온 또는 외기 온도를 무선 통신으로 송신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온도 측정 회로를 구비하는 온도 측정부와, 온도 측정부의 전원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는 전원 커넥터와,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로 전원(VBUS)을 인가하는 충전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TEMPERATURE MEASURING APPARATUS WITH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기능을 지님으로써 신체 등의 이동성의 온도 측정 물체에 부착할 수 있으며, 충전 시에 충전 동작 이외의 다른 동작이 차단되도록 하여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구비함이 없이도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온계는 수은 체온계, 전자 체온계, 적외선 체온계 등이 있으며, 수은 체온계는 유리관 속에 수은이 들어 있어 온도에 따른 수은의 부피 팽창을 이용해 체온을 재는 방법을 사용하며, 비교적 정확하고 가격이 저렴하지만 열을 재는 시간이 오래 걸리며 측정 중 움직이면 측정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 전자 체온계는 보통 펜 타입 디자인으로 구강이나 겨드랑이 등을 통해 측정하며 일반적으로 체온 측정이 끝나면 종료음이 울리며, 체온이 액정에 표시되어 편리하나 스위치를 켠 후 일정 시간이 지나야 사용할 수 있고, 충분한 시간 동안 신체에 잘 밀착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적외선 탐지 방식으로 체온을 재는 적외선 체온계는 체온계 중 가장 짧은 시간에 체온을 재며 비교적 정확하게 체온을 잴 수 있으며 빠르고 간편하게 체온을 잴 수 있으며 종류로는 귀 체온계와 이마 체온계가 있으며, 귀 체온계는 가장 간편하고 빠르게 체온을 잴 수 있으며 귀에 체온계를 넣는 데 거부감을 느끼는 사용자는 이마 체온계를 많이 사용하며, 사용할 때는 이마의 땀이나 이물질을 닦아내고 측정하는 것이 정확하다.
종래의 체온계는 이동성을 지닌 신체 등과 같은 온도 측정 물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온도 측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형 체온계를 구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부(버튼이나 스위치 등)를 구비해야 하므로,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신체 등의 이동성의 온도 측정 물체에 부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측정 온도를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정보 처리 기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측정 물체에 부착되는 온도 측정 장치에 별도의 전원 스위치나 버튼을 구비함이 없이도 동작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는 전원(VBUS)을 위한 제1단자와 접지(GN)를 위한 접지단자를 적어도 포함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단자를 지닌 전원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로부터 전원(VBUS)을 인가받아 전원(VBAT)을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충전부와, 전원(VBAT)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전원 공급부로 전원(VBAT)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원(VBAT)을 공급받아 전원(VDD)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전원 커넥터와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와의 분리 및 결합에 따라 전원(VDD)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부와,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센서와,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센서와, 전원(VDD)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체온 센서 또는 외기온도로부터의 체온 또는 외기 온도를 무선 통신으로 송신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온도 측정 회로를 구비하는 온도 측정부와, 온도 측정부의 전원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는 전원 커넥터와,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로 전원(VBUS)을 인가하는 충전부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 공급부는 온도 측정부의 전원 커넥터의 제 2 및 제 3 단자와 연결되며, 전원 커넥터의 제 2 단자를 접지시키고, 전원 공급부는 제 3 단자와 단자(EN)가 연결되며 전원(VBAT)를 공급받아 전원(VDD)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제 3 단자와 연결된 단자(EN)가 단락 상태이면 레귤레이터는 불능 상태가 되어 제어부로의 전원(VDD) 공급이 차단되고, 제 3 단자에 연결된 단자(EN)가 플로팅 상태이면 LDO 레귤레이터는 동작 상태가 되어 제어부로의 전원(VDD) 공급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측정부의 전원 커넥터의 제 2 및 제 3 단자에 연결되는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의 제 2 및 제 3 단자가 단락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의 접지(GN) 단자와 ID 단자가 함께 접지되고, 충전부는 전원 커넥터의 제2단자에 형성된 고정 접점(P1)과, 제3단자에 형성된 접점(P2)와, ID 단자에 형성된 접점(P3)과, 일단은 고정 접점(P1)에 항상 접촉되고 타단은 접점(P2)와 접점(P3)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절환부로 구성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도 측정부는 온도 측정 회로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판을 구비하고, 금속판과 체온 센서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신체 등의 이동성의 온도 측정 물체에 부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측정 온도를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정보 처리 기기)로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측정 물체에 부착되는 온도 측정 장치에 별도의 전원 스위치나 버튼을 구비함이 없이도 온도 측정부와 충전부 간의 전기적 연결만으로도 온도 측정부의 동작 온/오프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 측정부와 충전부 간의 전기적 연결 상태에 따라 온도 측정부의 동작, 항시 충전 상태나 오프 상태 간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 일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 일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온도 측정부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와 충전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온도 측정부와 충전부의 결합 실시예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들과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인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는 온도 측정 물체의 온도(체온)와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측정부와, 온도 측정부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 일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 일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온도 측정부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온도 측정부는 내부에 수용 공간(S)을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40)와, 결합된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40)의 측면부들(11), (41)과 마이크로 USB(130)를 보호하는 패킹부(20)와, 하부 케이스(40)의 개구(44)와 접착부(50)의 개구(51)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온도 측정 물체에 접촉되는 금속판(30)과, 하부 케이스(40)의 저면에 부착되어 온도 측정 물체에 온도 측정부가 탈부착 가능한 접착부(50)와, 수용 공간(S) 내에 장착되는 온도 측정 회로(100)를 구비한다.
상부 케이스(10)는 상측에 형성된 상측부(10a)와, 상측부(10a)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며 하부 케이스(40)의 측면부(41)와 결합되는 측면부(11)와, 상측부(10a)와 평행하며 패킹부(20)가 측면부(11)에 삽입되고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부(10a)에서 측면부(1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부(12)와, 측면부(11)에 마이크로 USB(130)의 일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13)를 구비한다. 상부 케이스(10)의 상측부(10a)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여, 내부에 구비된 표시부(도 6의 124)의 표시 내용이 외부로 일정 부분 투과되도록 한다.
하부 케이스(40)는 하측에 형성된 하측부(40a)와, 하측부(40a)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10)의 측면부(11)와 결합되는 측면부(41)와, 하측부(40a)와 평행하며 패킹부(20)가 측면부(41)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상측부(40a)에서 측면부(4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부(42)와, 마이크로 USB(130)의 일부분을 지지부(13)와 결합되어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43)와, 온도 측정 회로(100)의 체온센서(122)와 금속판(30)이 접촉되도록 하는 개구(44)를 구비한다.
패킹부(20)는 결합된 상부 케이스(10)와 하부 케이스(40)의 측면부(11), (41)와, 지지부(13)과 (43)에 의해 지지된 마이크로 UBS(130)를 보호하는 소자로, 예를 들면, 고무 재질로 구성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다.
금속판(30)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되며, 하부 케이스(40)의 하측부(40a)의 저면에 부착되며, 금속판(30)의 상측면은 개구(44)를 통하여 체온 센서(122)에 직접 접촉되거나 연결선(123)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촉되며, 금속판(30)의 하측면은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온도 측정 물체에 충분히 접촉되도록 한다(도 5 참조).
접착부(50)는 하부 케이스(40)의 하측부(40a)의 저면에 일면이 부착되고, 타면은 온도 접촉 물체에 분리가능하게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온도 측정 회로(100)는 도 6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장착되는 회로 기판(100a)과, 회로 기판(100a)에 안착되며 전원(VBAT)을 공급하는 배터리(110)와, 외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10)의 상측부(10a)의 저면에 부착되는 외기 센서(120)와, 외기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외기 온도를 회로 기판(100a)(제어부(150))으로 인가하기 위한 연결선(121), 금속판(30)을 통하여 온도 측정 물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접촉식 온도 센서인 체온 센서(122)와, 체온 센서(122)로부터 감지된 체온을 회로 기판(100a)(제어부(150))로 인가하는 연결선(123)과, 충전부의 마이크로 UBS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이크로 UBS(130)를 구비하여, 그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도 6 및 7에서 상세하게 기재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선(123)은 ⊂형태로 절곡된 구조를 지니며, 회로기판(100a)의 저면에 부착되는 제 1 접촉부(123a)와, 하부 케이스(40)의 하측부(40a)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 2 접촉부(123b)와, 제 1 접촉부(123a)과 제 2 접촉부(123b)를 연결하는 연결부(123c)와, 체온 센서(122)가 금속판(30)에 접촉되도록 금속판(30)에 부착되는 제 3 접촉부(123d)와, 제 2 접촉부(123b)와 제 3 접촉부(123d)를 연결하며 개구(44)에 접하여 형성된 경사면(44a)에 부착되는 경사부(123e)로 구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40)의 하측부(40a)의 상면에는 개구(44)의 적어도 일부분을 막으면서 개구(44)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4b)가 구비되며, 이 돌출부(44b)의 저면과 금속판(40) 또는 제 3 접촉부(123d) 사이에 스프링(126)이 삽입 고정된다. 스프링(126)의 탄성에 의해, 체온 센서(122) 또는 제 3 접촉부(123d)가 금속판(30)에 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인 온도 측정부와 충전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온도 측정부와 충전부의 결합 실시예이다. 온도 측정 회로(100)는 충전부(112)에 의해 충전되며 체온(온도 측정 물체의 온도) 및 외기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원(VBAT)를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110)와, 마이크로 USB(130)를 통하여 전원(VBUS)을 공급받아 LDO 레귤레이터(140)와 배터리(110)에 전원(VBAT)을 인가하는 충전부(112)와, 외기 센서(120)와 체온 센서(122) 및 온도 측정부의 동작(온도 감지) 상태와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4)와, 충전부(200)의 마이크로 USB(230)에 결합되는 마이크로 USB(130)와, 마이크로 USB(130)의 D+ 단자와 연결되며 배터리(110)로부터 전원(VBAT)를 공급받아 전원(VDD)을 제어부(150)에 인가하는 LDO(Low voltage Drop Out) 레귤레이터(140)와, 무선 송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145)와, 전원(VDD)에 의해 동작하며 마이크로 USB(130)의 단자(ID)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USB(130)와 마이크로 USB(230)의 결합 및 분리를 감지하며, 외기 센서(120)와 체온 센서(122)로부터 측정된 외기 온도와 체온을 외부 장치(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기타 정보 처리 기기)로 안테나(145)를 통하여 무선 송신하는 제어부(15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에에서, 배터리(110), 충전부(112), 체온 센서(122), 외기 센서(120), 표시부(124) 및 마이크로 USB(13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익숙한 기술이기에 그 설명이 생략된다.
제어부(150)는 외기 온도를 참조하여 체온을 보정하여, 정확한 체온을 판단하여, 판단된 체온만을 외부 장치(사용자 단말기)에 무선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와 온도 측정 장치는 하나의 온도 측정 시스템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기가 온도 측정부로부터 수신된 체온 및 외기 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간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부(112)는 마이크로 USB(130)로부터 전원(VBUS)를 인가 받아 배터리(11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VBAT) 또는 제어부(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VBAT)을 배터리(110) 또는 LDO 레귤레이터(140)에 공급한다.
마이크로 USB(130)와 제어부(15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LDO 레귤레이터(140)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부(140a)가 도시된다. 전원 공급부(140a)는 마이크로 USB(130)의 D+ 단자가 LDO 레귤레이터(140)의 단자(EN)(enable 단자)에 연결되고, 마이크로 USB(130)의 D- 단자가 접지되도록 하며, D+ 단자에 연결된 LDO 레귤레이터(140)의 단자(EN)가 플로팅(floating) 상태이면 LDO 레귤레이터(140)는 배터리(110) 또는 충전부(112)로부터 전원(VBAT)을 인가 받아 안정적인 전원(VDD)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공급하고, D+ 단자에 연결된 LDO 레귤레이터(140)의 단자(EN)가 단락(short) 상태이면 LDO 레귤레이터(140)의 동작이 불능(disable) 상태가 되어 전원(VDD) 공급 동작이 중단되며, 제어부(150)는 오프 상태가 된다. LDO 레귤레이터(140)는 예를 들면, LP5907SNX-2.5/NOPB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충전부(200)는 온도 측정 회로(100)의 마이크로 USB(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마이크로 USB(230)와, 마이크로 USB(230)의 단자들의 연결 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240)와, 외부 상용 전원을 인가 받아 마이크로 USB(230)의 전원(VBUS)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부(25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USB(230)과 전원부(25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익숙한 기술이기에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7에서, 단자 ①(제1단자), ②(제2단자), ③(제3단자), ④(제4단자), ⑤(제5단자)는 각각 마이크로 USB(130), (230)의 전원(VBUS) 단자, D- 단자, D+ 단자, ID 단자 및 접지(GN) 단자를 의미한다. 마이크로 USB(230)의 ID 단자와 접지(GN) 단자는 함께 접지된다.
스위치(240)는 마이크로 USB(230)의 D- 단자에 형성된 고정 접점(P1)과, D+ 단자에 형성된 접점(P2)와, ID 단자에 형성된 접점(P3)과, 일단은 고정 접점(P1)에 항상 접촉되고 타단은 접점(P2)와 접점(P3)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절환부(W)로 구성된다. 이 절환부(W)는 회전되거나 슬라이딩에 의해 그 접촉되는 접점(P2, P3)이 변환된다.
먼저, 절환부(W)가 접점(P2)과 고정 접점(P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D+ 단자와 D- 단자가 단락(short)된 상태(이하에서, '단락 상태'라 함)에 해당된다. 또한, 절환부(W)가 접점(P3)과 고정 접점(P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ID 단자가 접지(GN)된 것을 감지하는 상태(이하에서, '상시 전원 온 상태'라 함)에 해당된다.
먼저, 마이크로 USB(130)과 마이크로 USB(230)가 결합되면, 스위치(240)의 상태에 따라 LDO 레귤레이터(140)의 동작/중단 상태가 결정된다. 스위치(240)가 단락 상태인 경우, LDO 레귤레이터(140)의 단자(D+ 단자)가 단락(short) 상태가 되어 LDO 레귤레이터(140)의 동작이 불능(disable) 상태 또는 중지 상태가 되어 제어부(150)로의 전원(VDD) 공급 동작이 중단되므로, 온도 측정부는 온도 측정 동작을 중지하고 배터리(110)에 대한 충전 동작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온도 측정부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 없이도 온도 측정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위치(240)가 상시 전원 온 상태인 경우, LDO 레귤레이터(140)의 단자(D+ 단자)가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되어, LDO 레귤레이터(140)는 배터리(110) 또는 충전부(112)로부터 전원(VBAT)을 인가 받아 안정적인 전원(VDD)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공급하여, 온도 측정 동작과 충전 동작을 동시에 수행한다.
마이크로 USB(130)과 마이크로 USB(230)가 분리되면, LDO 레귤레이터(140)의 단자(D+ 단자)가 플로팅(floating) 상태가 되어, LDO 레귤레이터(140)는 배터리(110)로부터 전원(VBAT)을 인가 받아 안정적인 전원(VDD)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공급하여, 온도 측정 동작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온도 측정부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 없이도 온도 측정 동작을 시작하여 수행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 스위치(240)의 구성이 D+ 단자와 D- 단자를 단락(short)시키는 연결 구조인 연결선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 USB(130)과 마이크로 USB(230)가 결합되면, LDO 레귤레이터(140)의 단자(D+ 단자)가 단락(short) 상태가 되어 LDO 레귤레이터(140)의 동작이 불가능(disable) 상태 또는 중지 상태가 되어 제어부(150)로의 전원(VDD) 공급 동작이 중단되므로, 온도 측정부는 온도 측정 동작을 중지하고 배터리(110)에 대한 충전 동작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온도 측정부는 별도의 전원 스위치 없이도 온도 측정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전원 커넥터로 마이크로 USB를 예시하고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마이크로 USB, USB를 포함하여, 5핀 이상을 지닌 전원 커넥터에는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상부 케이스 20: 패킹부
30: 금속판 40: 하부 케이스
50: 접착부

Claims (5)

  1. 전원(VBUS)을 위한 제1단자와 접지(GN)를 위한 접지단자를 적어도 포함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단자를 지닌 전원 커넥터와, 전원 커넥터로부터 전원(VBUS)을 인가받아 전원(VBAT)을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로 공급하는 충전부와, 전원(VBAT)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전원 공급부로 전원(VBAT)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전원(VBAT)을 공급받아 전원(VDD)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며 전원 커넥터와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와의 분리 및 결합에 따라 전원(VDD)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는 전원 공급부와,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센서와, 외기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센서와, 전원(VDD)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체온 센서 또는 외기온도로부터의 체온 또는 외기 온도를 무선 통신으로 송신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온도 측정 회로를 구비하는 온도 측정부와;
    온도 측정부의 전원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는 전원 커넥터와,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로 전원(VBUS)을 인가하는 충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는 온도 측정부의 전원 커넥터의 제 2 및 제 3 단자와 연결되며, 전원 커넥터의 제 2 단자를 접지시키고, 전원 공급부는 제 3 단자와 단자(EN)가 연결되며 전원(VBAT)를 공급받아 전원(VDD)를 공급하는 레귤레이터로 구성되며, 제 3 단자와 연결된 단자(EN)가 단락 상태이면 레귤레이터는 불능 상태가 되어 제어부로의 전원(VDD) 공급이 차단되고, 제 3 단자에 연결된 단자(EN)가 플로팅 상태이면 레귤레이터는 동작 상태가 되어 제어부로의 전원(VDD) 공급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온도 측정부의 전원 커넥터의 제 2 및 제 3 단자에 연결되는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의 제 2 및 제 3 단자가 단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충전부의 전원 커넥터의 접지(GN) 단자와 ID 단자가 함께 접지되고, 충전부는 전원 커넥터의 제2단자에 형성된 고정 접점(P1)과, 제3단자에 형성된 접점(P2)와, ID 단자에 형성된 접점(P3)과, 일단은 고정 접점(P1)에 항상 접촉되고 타단은 접점(P2)와 접점(P3) 중의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절환부로 구성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측정부는 온도 측정 회로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판을 구비하고, 금속판과 체온 센서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KR1020150179696A 2015-12-16 2015-12-16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KR10178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696A KR101785367B1 (ko) 2015-12-16 2015-12-16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696A KR101785367B1 (ko) 2015-12-16 2015-12-16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703A true KR20170071703A (ko) 2017-06-26
KR101785367B1 KR101785367B1 (ko) 2017-10-13

Family

ID=5928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696A KR101785367B1 (ko) 2015-12-16 2015-12-16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261A (ko) * 2018-01-24 2019-08-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선 체온계
KR102231361B1 (ko) * 2020-07-13 2021-03-25 지종완 생체신호 감지 패치, 이를 가지는 부착형 생체신호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627B1 (ko) * 2018-08-24 2020-11-06 한국과학기술원 헬스 모니터링용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웨어러블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4165B2 (ja) * 2008-04-21 2014-07-30 株式会社バイオエコーネット 耳式連続体温測定装置
KR101341973B1 (ko) * 2013-06-05 2013-12-16 김지훈 체온 측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261A (ko) * 2018-01-24 2019-08-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선 체온계
KR102231361B1 (ko) * 2020-07-13 2021-03-25 지종완 생체신호 감지 패치, 이를 가지는 부착형 생체신호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367B1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590B2 (en) Ring-type wearable device
CA2947103C (en) Data and power connector
US9360379B2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and electronic cigarette device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629232B2 (ja) バッテリで動作するバイオセンサメータのための無線送信機アダプタおよびその提供方法
EP3275163B1 (en) Expanding capabilitie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US9274623B2 (en) Position information input system
KR101785367B1 (ko) 통신 기능을 지닌 온도 측정 장치
KR200459542Y1 (ko) 휴대용 피부 관리기
CN104997503A (zh) 一种便携式心电图监测装置
KR102559974B1 (ko)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CN109462261B (zh) 使用外露的端子来对电池充电的电子装置
CN107889012B (zh) 可为可穿戴设备充电的无线耳机
KR20200072263A (ko) 기생 커패시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27785A (ko) 생체 신호 측정용 전자 장치
KR20180060014A (ko) 목질환 경고기능이 구비된 안경장착형 웨어러블 장치
WO2018070514A1 (ja) 咀嚼計およびシステム
CN210924118U (zh) 镜架式视力保护仪
JP2018061752A5 (ko)
TWI815266B (zh) 複合式體溫計及其控制主機
US11547362B2 (en)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skin condition-measuring function
KR101934364B1 (ko) 분리형 생체 신호 측정 장치
CN106214132B (zh) 一种红外线温度计以及腋下测温方法
KR20180027299A (ko) 헬스밴드 단말기
KR2021010168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센서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