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687A -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687A
KR20170071687A KR1020150179536A KR20150179536A KR20170071687A KR 20170071687 A KR20170071687 A KR 20170071687A KR 1020150179536 A KR1020150179536 A KR 1020150179536A KR 20150179536 A KR20150179536 A KR 20150179536A KR 20170071687 A KR20170071687 A KR 20170071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ype
user
information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77747B1 (en
Inventor
최승혁
차근식
남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센스
Priority to KR102015017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747B1/en
Priority to PCT/KR2016/013163 priority patent/WO2017104979A1/en
Priority to CN201680067456.7A priority patent/CN108352192A/en
Publication of KR2017007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7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증상이 있는 사용자에 추천 음식 또는 피해야 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음식 종류, 혈당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며, 다수의 음식으로 이루어진 식단에서도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음식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recommended food or a food to be avoided to a user who has diabetic symptoms and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a recommended food personalized to a user or a food to be avoided based on a user's amount of food,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food recommendation method capable of provid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food or information on avoidable food to a user even in a diet composed of a plurality of foods.

Description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ommending a personalized food to a user having diabetes symptoms,

본 발명은 당뇨병 증상이 있는 사용자에 추천 음식 또는 피해야 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식사량, 음식 종류, 혈당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제공하며, 다수의 음식으로 이루어진 식단에서도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음식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recommended food or a food to be avoided to a user who has diabetic symptoms and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a recommended food personalized to a user or a food to be avoided based on a user's amount of food,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food recommendation method capable of provid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food or information on avoidable food to a user even in a diet composed of a plurality of foods.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 내에 포도당 농도가 증가되고, 소변에서 당이 검출되며, 이로 인하여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이 유발되는 만성 퇴행성질환이다. 이러한 당뇨병은 전세계적으로 발생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도 예외가 아니어서 2013년 대한당뇨병학회의 보고에 따르면 30세 이상 인구의 12.4%가 당뇨병이며 약 400만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Diabetes is an insufficient or relatively insufficient amount of insulin produced by the pancreas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obesity, stress, poor eating habits, and inherited heredity, resulting in increased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blood and glucose in the urine, It is a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that causes complications. The incidence of such diabetes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and Korea is no exception. According to the Diabetes Association of Korea in 2013, it is estimated that 12.4% of the population over 30 years old is diabetic and has about 4 million patients.

당뇨병은 그 자체보다는 이로 인해 야기되는 합병증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혈당을 가능한 한 정상에 가깝게 조절함으로써 고혈당에 따른 증상 해소와 함께 궁극적으로 당뇨병성 만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그 악화를 지연하는 것이다. 성공적인 혈당조절을 위해서는 혈당조절의 목표 수치를 정확히 알고 자신의 혈당 수치가 그 목표 수치에 얼마나 근접해 있는지를 스스로 자주 확인하면서 그에 따라 적절한 식사요법, 운동 및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생활관리가 필수적이다.Diabetes mellitus is a complication caused by this rather than itself. Therefore, the goal of diabetes treatment is to control blood sugar as close to normal as possible, thereby relieving symptoms according to hyperglycemia, ultimately preventing diabetic chronic complications and delaying the deterioration. For successful blood glucose control, it is essential to know the target value of blood glucose control correctly and to check how closely the blood glucose level of the patient is close to the target value, so that proper diet, exercise and medication are combined.

현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가정에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휴대용 혈당 측정기를 통해 당뇨병 환자는 스스로 자신의 혈당을 손쉽게 수시로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혈당관리를 위한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 등 생활관리는 주로 병원의 당뇨병교실 등 의료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으며, 환자 개인의 이해도 및 숙련 정도에 따라 그 효과성의 차이가 큰 상황이다.Many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now offer a wide range of portable blood glucose meters to measure blood glucose at home. With the portable blood glucose meter, diabetics can easily measure their own blood glucose levels at any time. On the other hand, life management such as dietary therapy and exercise therapy for blood sugar management are mainly provided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of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diabetes classes in hospitals, and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depending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skill of individual patients.

특히 혈당관리에 가장 중요한 식사요법의 경우, 음식의 종류가 방대할 뿐 아니라 같은 식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양념의 정도와 조리방식에 따라서 혈당 상승 효과에 차이가 크므로 초기 당뇨환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음식과 식사량을 익히기까지 많은 시간과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ost important diet therapy for blood sugar control, the type of food is enormous, and even if the same ingredients are used, the effect of blood sugar increase depends on the degree of spice and the cooking method. It takes a lot of time and trial and error to learn.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기존의 노력으로는 먼저 식품교환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식품교환표는 일반적으로 섭취하는 음식들을 영양소에 따라 곡류군, 어육류군, 채소군, 지방군, 우유군, 과일군의 6개 식품군으로 구분하고, 각 식품군 내에서는 같은 열량 교환단위의 음식 양을 규정하여 표로 만든 것으로, 이를 활용하면 같은 식품군 내에서는 자유롭게 교환 섭취할 수 있으므로 당뇨환자가 균형 잡힌 영양섭취와 총 섭취 열량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된다. One of the existing efforts to improve these difficulties is to use food exchange tables first. The food exchange table is generally divided into six food groups, namely, cereals group, fish group, vegetable group, fat group, milk group and fruit group, according to the nutrients, and the food quantity of the same calorimetric unit is specified in each food group This allows diabetics to manage balanced nutrition and total calorie intake because they can be freely exchanged within the same food group.

그러나 식품교환표는 주로 식재료 위주로 정의되어 있고, 총 섭취 열량만을 고려하므로 조리방법의 차이나 당질의 종류 및 양을 정확하게 고려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food exchange table is mainly defined as food ingredients, and considering only the total calorie intake,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sider differences in cooking methods and types and amounts of saccharides.

총 섭취 열량을 기준으로 하는 식품교환표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당질계산법이 있다. 당질계산법은 섭취 음식에서 당질의 양만을 계산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열량보다는 식후 혈당을 좌우하는 당질의 섭취량에 초점을 맞춘 식사계획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당질의 총 섭취량만을 강조할 뿐 당질의 종류에 따른 흡수 속도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고, 조리방법의 차이에 따른 문제 역시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There is a carbohydrate calculation method as a way to supplement the weak points of the food exchange table based on total calorie intake. The calculation of carbohydrate only calculates the amount of carbohydrate in the intake food,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it enables the meal plan focusing on the amount of carbohydrate that affects postprandial blood sugar rather than the total calories. However, this method not only emphasizes the total intake of carbohydrates, but also limits the absorption rate depending on the type of carbohydrates, and does not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cooking methods.

당질의 종류에 따른 식후 당질의 흡수속도를 고려한 것이 당지수와 당부하지수 개념이다. 이 방법은 당질의 종류와 조리 및 가공방법까지도 어느 정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도 아직까지는 당지수가 계산된 음식의 종류가 적고, 같은 당지수의 음식이라도 개인의 소화능력에 따라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Considering the rate of absorption of postprandial saccharides according to the type of saccharides,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that some kinds of saccharides, cooking and processing methods can be considered to some extent. However, this method is still limited in that the number of food items for which the index is calculated is small, and the food of the same index is grea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gestibility of the individual.

무엇보다도 위에서 언급한 모든 방법들은 일반적인 다수의 당뇨환자에게 공통 적용되는 식이요법으로 식재료 관점에서 계산되거나 일부 대표 식단만을 제시하고 있어, 실제 개개인이 섭취하는 음식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초기 당뇨병환자가 활용하기 지나치게 어려울 뿐 아니라, 동일한 음식이라도 개인에 따라 혈당 수치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 개인에게 개인화하여 좋은 음식과 피해야 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Above all, all of the above-mentioned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to a large number of diabetic patients, and they are calculated from the viewpoint of food ingredients or only some representative diets. Therefore, it is different from the food that each individual consumes. It is not only extremely difficult, but it also has the problem that even the same food can not provide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o be avoided and personalized to each individual because it affects blood sugar levels differently according to individual.

본 발명은 종래 당뇨병 증상을 가지는 사용자에 음식 종류를 추천하는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사용자에 개인화되어 사용자에 적합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commending a food type to a user who has diabetic sympto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commending a food type that is personalized to a user, Metho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목표 혈당값에 기초하여 목표 혈당값을 만족하거나 목표 혈당값을 초과하는 음식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recommendable food or a food to be personalized to a user based on a food satisfying a target blood glucose value or exceeding a target blood glucose value based on a target blood glucose value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음식으로 이루어진 식단에서도 사용자에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을 판단하고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commendable food or a food to be avoided by a user and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type of a recommended food to be personalized or a type of a food to be avoid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입력되는 사용자의 혈당값, 사용자의 식사량과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서로 매핑 등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혈당값과 목표 혈당값을 비교하고 사용자의 혈당값이 목표 혈당값을 초과하는지에 기초하여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에서 식사량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comprising: registering a blood glucose value of an input user, information on a meal amount of a user, and information on a food type, Comparing the blood glucose level of the user and the blood glucose level of the us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lood sugar level of the user exceeds the target blood glucose level;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or a type of food to be avoided; and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on a type of a recommended food to be personalized or a type of food to be avoided to a user.

일 예로 사용자의 혈당값은 사용자의 식전 혈당값과 식후 혈당값 사이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example, the blood glucose value of the user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re-meal blood glucose level and the post-meal blood glucose level of the user.

다른 예로 사용자의 혈당값은 사용자가 식후 측정한 혈당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blood glucose value of the user is characterized by being a blood glucose value measured by the user after eating.

여기서 식사량에 대한 정보는 레벨로 구분되어 등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ood is divided into levels and registered and stored.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개인화된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식사량을 기준으로 식사량이 하 레벨이고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avoided personaliz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the type of food classifi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s the food type to be avoided by the user based on the amount of food, do.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개인화된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음식 종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음식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개인화된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식사량이 하 레벨이고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조합에서 공통된 음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공통된 음식을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avoid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the type of food is composed of at least one combination of foods, and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avoid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Level and a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the common food is generated as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hat the user is to avoid.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식사량을 기준으로 식사량이 상 레벨이고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personalized food type for the user includes generating food type information for recommending the user to the food type that the food quantity is upper level and the normal blood type state is classified based on the food amount, .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음식 종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음식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식사량이 상 레벨이고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조합에서 공통된 음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공통된 음식을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food type personalized to the user, the food type is composed of at least one food combination, and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food type personalized to the user includes Level and a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the common food is generated as information on a kind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바람직하게,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기간별로 수신한, 사용자의 혈당값, 사용자의 식사량과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부터 동일한 음식 종류 중 식사량을 기준으로 정상 혈당 상태와 비정상 혈당 상태로 서로 상이하게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1차 판단하는 단계와, 상이하게 구분되는 음식 종류 중 식사량이 중 레벨 또는 하 레벨로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고 식사량이 상 레벨로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된 음식 종류를 2차 판단하는 단계와, 2차 판단된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게 하 레벨의 식사량으로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type of food to be personalized to the user includes comparing the amount of food among the same type of food from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blood sugar level and the type of food received by at least one unit period, Determining a food typ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in a first step; determining a food amoun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foods to be divid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at a middle level or a lower level,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secondarily determining a food type classified as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a step of generating a second type of food as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t a lower level of food amount to the user do.

바람직하게,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Preferably,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음식 추천값(Ri)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and further comprising calculating a recommended food value (R i),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n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기간 동안 음식(i)을 섭취한 횟수를 의미하고, ap는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를 기준으로 음식(i)의 식사량 레벨에 할당되는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n is the number of times the food (i) is consumed during at least one unit period, and a p is a weight assigned to the food amount level of the food (i) based on the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do.

바람직하게, 음식 추천값이 높은 순서로, 설정된 수의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거나, 음식 추천값이 낮은 순서로, 설정된 수의 음식 종류를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order of the food recommendation value being high, the food type to be set may be generated as information on a food type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or the food type to be avoided may be set to a food type And the like.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 시간별 음식 종류 중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에서 검색 음식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식사량 레벨에 대한 정보와 혈당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에서의 식사량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음식 종류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in which, when information about a search food type to be searched by a user is received, at least one food type per unit time,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unit time that is divided into an abnormal glucose level state or an abnormal glucose level state; And genera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the retrieved food type based on the food amount information in the unit time divided into the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바람직하게,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 경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 중 최대 식사량 레벨 이하로 검색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거나,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 경우, 검색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re is only a unit time in which a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a search is performed at a maximum food level or less among the unit times in which a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as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if the retrieved food type exists only for a unit time that is classifi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the retrieved food type is generated as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hat the user is to avoid.

바람직하게,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과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검색 음식 종류를 하 레벨 식사량으로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when a unit time in which a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a unit time in which a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re present together,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for users with diabetic sympt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섭취한 음식 정보와 혈당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는 자신에 개인화된 음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First,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foods to be recommended to users or foods to be avoided based on food information and blood glucose status information directly consumed by a user, Foo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목표 혈당값에 기초하여 목표 혈당값을 만족하거나 목표 혈당값을 초과하는 음식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을 판단함으로써,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는 설정한 목표 혈당값을 만족하는 음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Second,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recommendation food or the avoid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based on the food satisfying the target blood glucose value or exceeding the target blood glucose value based on the target blood glucose value, The user who is present may be provided with the food information satisfying the set target blood sugar value.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다수의 음식으로 이루어진 음식 조합에서 사용자의 혈당 관리에 피해를 주거나 도움을 주는 공통된 음식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섭취하는 식단에서 사용자에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Third,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common food which damages or helps the user's blood glucose management in a combination of food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oods, Provide information about fo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음식을 추천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종류, 식사량, 혈당값 등의 혈당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에 혈당 관련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로 연관되어 있는 혈당 관련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부에 서로 매핑되어 등록 저장되어 있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가 혈당 관련 정보 중 섭취한 음식 종류 또는 식사량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매 식사마다 섭취한 음식 종류 조합, 식사량, 혈당 상태 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수의 단위시간별 섭취한 음식 종류, 식사량 및 혈당 상태 정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동일한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와 정상 혈당 상태로 상이하게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특정 음식 종류가 사용자의 추천 음식인지 아니면 피할 음식인지 음식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commending food to a user having diabetes sympt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for a user with diabetes symptom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gistering and storing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in a database unit when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type of food, a meal amount, and a blood glucose value received by a user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each other is registered and stored in a database unit.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a type of food or amount of food consumed by the user in the blood sugar-related information.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food type combination, a meal amount, and blood glucose status information consumed by a user for each meal.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hat a user can avo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a kind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food type, food amount and blood glucose status information consumed per a plurality of unit hours.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a user when the same food type is differentiated into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a normal blood sugar state.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food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specific food type is a user's recommended food or a food to be avoid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nd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encompassing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of the invention,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음식을 추천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음식을 추천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recommending food to a user having diabetes sympt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송수신부(110)는 사용자의 혈당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량, 음식의 종류 등과 같은 혈당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혈당 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통해 입력되며, 입력된 혈당 관련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추천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혈당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을 추천하는 서버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 추천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자체적으로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을 추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the transceiver 110 receives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user's blood glucose information, a food amount consumed by a user, a type of food, and the like.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a user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for example, a smart phone, and the inputted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server that receives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recommends personalized food to the user. However, according to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erminal to recommend personalized food to the user through the program registered in the terminal, which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혈당 정보는 목표 혈당값 또는 사용자의 혈당값일 수 있는데, 사용자의 혈당값은 사용자가 식후 측정한 혈당값이거나 사용자가 식전 측정한 혈당값과 식후 측정한 혈당값 사이의 차이값일 수 있다. 또한, 목표 혈당값은 사용자에 적합한 혈당값을 규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단일 목표 혈당값을 사용하지만 복수의 목표 혈당값 또는 일정 범위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표 혈당값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 또는 수정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혈당 컨설턴트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해당한다.Herein, the blood sugar information may be a target blood sugar value or a blood sugar value of a user. The blood sugar value of the user may be a blood glucose value measured after the meal or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blood sugar value measured before the meal and the blood sugar value measured after the meal. In addition, the target blood sugar value defines a blood sugar value suitable for the user, and generally, a single target blood sugar value is used but can be set to have a plurality of target blood sugar values or a certain ran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blood glucose value may be set by a user directly by inputting or modifying by using a user terminal. However, according to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blood glucose consultant can be preset according to the user's body condi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present invention.

등록 관리부(13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혈당값, 섭취한 음식량, 음식 종류, 목표 혈당값에 대한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입력된 혈당 정보 또는 섭취 음식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매핑하여 그리고 혈당을 측정한 날짜와 시각에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0)에 등록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섭취한 식사량은 식사량에 따라 상, 중, 하의 레벨 등과 같이 간단한 레벨로 구분되어 등록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식사량에 대한 간단한 레벨 구분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의 칼로리 등 정량화된 단위로 입력된 정보를 등록 관리부(130)에서 사전에 입력된 판단 기준에 따라 간단한 레벨로 구분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The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130 maps information on the inputted blood glucose information or intake food amount to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type of information on the blood glucose value, intake amount of food, type of food, and target blood glucose value inpu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And maps the blood glucose to the date and time at which the blood glucose is measured, and registers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unit 150. Preferably, the amount of food consumed can be divided into simple levels such as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register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od. Here, the simple level classification of the food quantity can b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or the information input in the quantified unit such as the calories of the food consumed by the user can be classified into the criterion input previously in the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130 So that they can be stored in a simple level.

본 발명에서 혈당 관련 정보는 사용자가 혈당값, 식사량, 음식 종류 등 연관된 정보들을 묶어서 함께 입력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음식을 섭취한 시각 또는 혈당값을 측정한 시각마다 각각 구분되어 날짜 및 시간 정보와 함께 입력될 수 있는데, 등록 관리부(130)에서 관련정보들을 날짜 및 시각에 따라 자동으로 맵핑 저장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he user while binding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blood glucose value, the amount of food, and the type of food together. Preferably, the information is divided into the time of consuming the food or the time of measuring the blood glucose value, The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130 automatically maps and stores the relat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ate and time.

등록 관리부(13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혈당값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등록 저장되어 있는 목표 혈당값과 수신한 혈당값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혈당 상태를 정상 또는 비정상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하며, 판단한 혈당 상태에 대한 정보를 식사량과 음식 종류에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150)에 등록 저장한다.When the information on the blood glucose leve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130 determines whether the blood glucose level of the user is normal or abnormal by comparing the stored target blood glucose level with the received blood glucose level, Information about the state is mapped to the amount of food and the type of food and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50. [

송수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음식 정보 제공부(170)는 데이터베이스부(150)에 등록 저장된, 식사량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매핑된 혈당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In a case where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110,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unit 170 receives the food recommendation reques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50,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food or the food to be avoided.

음식 정보 제공부(170)에서 생성한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출력부를 통해 개인화된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food or the information on the avoided food created by the food information providing unit 170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transceiver unit 110. The user can receive the personalized recommend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You can get information about food or avoidable foo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증상을 가진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for a user with diabetes symptom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종류, 식사량, 혈당값 등과 같은 혈당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혈당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한다(S100).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food, the amount of food, and the blood glucose value consumed by the user, the received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is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S100).

도 3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종류, 식사량, 혈당값 등의 혈당 관련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에 혈당 관련 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고 있는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등록 관리부는 식사시 섭취한 음식 종류, 식사량, 식후 측정한 혈당값 등과 같은 혈당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시각 또는 날짜로 구분하여 혈당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할 수 있다.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registering and storing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in a database unit when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type of food, a food amount, and a blood glucose value consumed by a user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Similarly, when the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receives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of food consumed at the meal, the amount of food, the blood glucose value measured after the meal, etc.,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can be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혈당 관련 정보는 각각 종류별로 상이한 시각에 수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종류 또는 식사량에 대한 정보는 식사 후 즉시 입력되고 혈당값에 대한 정보는 식후 2시간이 경과하여 혈당값을 측정한 시각에 각각 입력될 수 있는데, 등록 저장부는 연관된 혈당 관련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한다.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015년 10월 25일 오전 9:10분에 수신된 혈당값은 가장 근접하여 수신된 오전 7:05 아침식사의 음식 종류와 식사량에 매핑되어 등록 저장된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or the amount of food consumed by the user is input immediately after the meal, and the information on the blood sugar value is passed two hours after the meal The registration storage unit may register the associated glucose-related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store the same in the database unit. As shown in FIG. 4 (a), the blood glucose value received at 9:10 am on October 25, 2015 is mapped to the food type and food amount of the morning 7:05 breakfast received closest to the store do.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혈당값으로 식전 혈당값과 식후 혈당값 사이의 차이값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등록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식전 혈당값과 식후 혈당값 사이의 차이값을 직접 수신받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측정한 식전 혈당값과 식후 혈당값을 측정 시간정보와 함께 각각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등록 관리부가 연관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과정에서 차이값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b)는 혈당값으로 식전 혈당값과 식후 혈당값 사이의 차이값이 사용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된 혈당 관련 정보의 일 예인데, 식사 시각을 전후로 임계 시간, 예를 들어 식사 시각 전 30분 이내에 수신된 측정 혈당값과 식사 시각 후 3시간 이내에 수신된 측정 혈당값을 각각 식전 측정 혈당값과 식후 측정 혈당값으로 매핑하여 식전 측정 혈당값과 식후 측정 혈당값 사이의 차이값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등록 저장된다.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re-meal blood glucose value and the post-meal blood glucose value may be used as the blood sugar value. In this case, the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may directly receive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re- Howeve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alculate and store difference value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pre-measured blood glucose values and post-meal blood glucose values individually measured together with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mapping the related information to the registration management unit. FIG. 4B is an example of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atabase unit when a difference value between an ex vivo blood glucose value and a postprandial blood glucose value is used as a blood glucose value, and is a time before and after a meal time, for example, The measured blood glucose value received within 30 minutes and the measured blood glucose value received within 3 hours after the meal time are mapped to the pre-measured blood glucose value and the post-meal blood glucose value, and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pre-measured blood glucose value and the post- Calculated and registered.

한편, 도 5를 참고로 사용자가 혈당 관련 정보 중 섭취한 음식 종류 또는 식사량을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종류별로 각각 식사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사한 음식 종류 조합을 한번에 모두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n example of an interface of a user terminal for inputting a type of food or a meal amount consumed by a user in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5A,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on the food quantity for each type of food consumed by the user. Also, as shown in Fig. 5 (b), it is possible to input all the food type combinations that the user has eaten at once.

다시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등록 저장된 식사량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의 혈당값에 대한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S200). 여기서 식사량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에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음식을 적게 섭취한 경우에도 비정상 혈당 상태인 음식 종류로부터 정확하게 사용자가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음식을 많이 섭취한 경우에도 정상 혈당 상태인 음식 종류로부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information on a recommendable food type or an avoidable food type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is generated from the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food amount and the blood glucose value of the user (S200). Herein, by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recommended food or the type of the food to be avoid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food,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food that the user can avoid accurately from the type of food in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even when eating less foo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from the food type that is in the normal blood sugar st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섭취한 음식 종류 또는 사용자가 실제 느끼는 식사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생활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식사량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개인 신체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주로 섭취하는 음식 중 추천 음식 또는 피할 음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information on a recommendable food or a food to be avoided by the user based on the type of food directly consumed by the user or the amount of food actually sens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preference, or according to the user's food amount, or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 physical condition, the user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recommended food or the avoided food, which is mainly consum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사량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식사량이 하 레벨이고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사용자가 피할 음식 정보로 생성한다.Preferably, the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level and the food level is low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food amoun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s food information to be avoid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식사량에 대한 정보를 기준으로 식사량이 상 레벨이고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정보로 생성한다. Preferably, the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a meal amount based on information on the food amount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s food information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바람직하게,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혈당 관련 정보로부터 계산되는 음식 추천값에 기초하여 음식 추천값이 높은 순서로 설정된 수의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하거나, 음식 추천값이 낮은 순서로 설정된 수의 음식 종류를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Preferably, based on the food recommendation value calculated from the blood sugar-relate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he food type information is set to the food type information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The number of food types set in order can be generated as food type information to be avoided by the user.

여기서 음식(i)에 대한 음식 추천값(Ri)는 아래의 수학식(1)과 같이 계산된다.Here, the food recommendation value Ri for the food (i)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여기서 n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기간 동안 음식(i)을 섭취한 횟수를 의미하고, ap는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를 기준으로 음식(i)의 식사량 레벨에 할당되는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n is the number of times the food (i) is consumed during at least one unit period, and a p is a weight assigned to the food amount level of the food (i) based on the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do.

바람직하게, 혈당 관련 정보는 도 4에서 설명한 혈당 관련 정보를 다시 단위 시간(예를 들어 1일, 1주일, 1달 등)별로 구분하여 저장될 수 있는데, 도 10은 단위 시간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혈당 관련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서 알파벳은 음식 종류를 의미한다.Preferably,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may be stored by dividing the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described in FIG. 4 by unit time (for example, one day, one week, one month, etc.) And shows one example of related information. In Fig. 10, the alphabet means food type.

판단한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S300).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zed recommended food kind or avoidable food type to the determined user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S300).

도 5(b)를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 종류는 사용자가 매 식사마다 섭취한 음식 종류 조합을 한꺼번에 모두 입력할 수 있는데, 도 6은 사용자가 매 식사마다 섭취한 음식 종류 조합과 식사량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가 매 식사마다 섭취한 음식 종류와 식사량을 각각 입력하는 것은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매 식사마다 섭취한 음식 종류 조합을 한꺼번에 모두 입력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매 식사마다 섭취한 음식 종류 조합을 한꺼번에 모두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에 음식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7과 도 8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 the type of food consumed by the user can be input at once all the food type combinations consumed by the user for each meal. FIG. 6 shows a combination of the food types And an example of a meal amount. Sinc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input the type of food and the amount of food consumed for each meal, the user can input all the combinations of the food types consumed for each meal at once. A method of providing food recommendation information to a user in the case of inputti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hat a user can avo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사용자의 식사량, 음식 종류, 혈당값, 혈당 상태 등의 혈당 관련 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등록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된 혈당 관련 정보 중 혈당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비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는 음식 종류 조합을 판단한다(S211).Referring to FIG. 7, more specifically, in the database unit,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meal amount, a food type, a blood glucose level, and a blood glucose level of a user is mapped to each other and registered and stored. (Step S211). In step S21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od type combination is mapped in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based on the food type combination.

비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는 음식 종류 조합 중 식사량을 기준으로 식사량이 하 레벨인 음식 종류 조합을 판단한다(S213).In S213, a food type combination having a low food level is determined based on a meal amount among combinations of food types mapped in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비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으며, 식사량이 하 레벨인 음식 종류 조합에서 공통적인 음식 종류를 판단하고(S215), 판단한 공통적인 음식 종류를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한다(S217). 예를 들어, 도 6에서 비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으며 식사량이 하 레벨인 음식 종류 조합에서 공통적인 음식 종류인 A, B를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한다.(S215). The common food type is determined as a type of food to be avoided by the user (S217). For example, in FIG. 6, the food types A and B, which are commonly mapped in a food type combination mapped as an abnormal blood sugar state and having a low food level, are generated as food type information to be avoided by the user.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a kind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사용자의 식사량, 음식 종류, 혈당값, 혈당 상태 등의 혈당 관련 정보가 서로 매핑되어 등록 저장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 저장된 혈당 관련 정보 중 혈당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는 음식 종류 조합을 판단한다(S231).8, in the database unit, blood glucose-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meal amount, a food type, a blood sugar value, and a blood glucose level of a user are mapped to each other and registered and stored, and among the blood glucose related information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Step S231). [0053] In step S231,

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는 음식 종류 조합 중 식사량을 기준으로 식사량이 상 레벨인 음식 종류 조합을 판단한다(S233).In S233, a combination of food types having an upper level of the meal amount is determined based on the food amount among the food type combinations associated with normal glucose status.

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으며, 식사량이 상 레벨인 음식 종류 조합에서 공통적인 음식 종류를 판단하고(S235), 판단한 공통적인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한다(S237). 예를 들어, 도 6에서 정상 혈당 상태로 연관 매핑되어 있으며 식사량이 상 레벨인 음식 종류 조합에서 공통적인 음식 종류인 F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한다.In step S235, the common food type is mapped in the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the common food type is determined in the food type combination in which the food amount is in the upper level, and the determined common food type is generated as food type information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in step S237. For example, in FIG. 6, F, which is a common food type in a food type combination that is mapped to a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has an upper level food quantity, is generated as food type information to be recommended to a user.

다수의 단위 시간에서 동일한 음식 종류가 일부 단위시간에서는 정상 혈당 상태로 판단되기도 하고 다른 단위시간에서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판단되기도 하는데, 도 10은 동일한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와 정상 혈당 상태로 상이하게 구분되는 경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The same food type may be judged as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at a certain unit time in a plurality of unit times and may be judged as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t another unit time. FIG. 10 shows that the same food type is differentiated into an abnormal glucose glucose state and a normal glucose glucose state A method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a user when the user selects the type of food to be recommended.

도 10을 참고로 살펴보면,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기간별로 수신한, 사용자의 혈당값, 사용자의 식사량과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부터 동일한 음식 종류 중 식사량을 기준으로 정상 혈당 상태와 비정상 혈당 상태로 서로 상이하게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1차 판단한다(S251). 도 9에서 음식 종류(H)는 단위시간 2, 3에서는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으나 단위시간 1, 4에서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0, it can be seen that, based on the blood sugar value of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on the food type and the food type, which are received at least by one unit period,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S251). ≪ / RTI > In FIG. 9, the food type (H) is divided into normal blood glucose state at unit time 2 and 3, but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t unit time 1 and 4.

상이하게 구분되는 음식 종류 중 식사량이 중 레벨 또는 하 레벨로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고 식사량이 상 레벨로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된 음식 종류를 2차 판단한다(S253).(S253). In this case, the food type is divided into the normal blood glucose level as the middle level or the lower level and the food type as the abnormal blood glucose level as the food level.

2차 판단된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게 하 레벨의 식사량으로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한다(S255). 즉, 음식 종류(H)에 대해서는 하 레벨로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The second kind of food is determined to be a lower-level meal for the user (S255). That is, the food type H can be generated as food type information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t a lower level.

도 11은 특정 음식 종류가 사용자에 추천 음식인지 아니면 사용자가 피할 음식인지 음식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of generating food recommend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specific food type is a recommendable food to a user or a food to be avoided by a user.

도 11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S271),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 시간별 음식 종류 중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73)11, when information on the type of search food to be searched by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S271), at least one of the food types per unit tim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unit time divid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S273)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존재하는 경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에서 검색 음식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식사량 레벨에 대한 정보와 혈당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S275).If there is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an abnormal blood sugar state, a search is performed in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the blood glucose status information (S275).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에서의 식사량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음식 종류의 추천 정보를 생성한다.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 food type is generated based on the food amount information in the unit time divided into the normal glucose state or the abnormal glucose state.

도 12는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에서의 식사량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 음식 종류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step of genera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a search food type based on food quantity information in a unit time divid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an abnormal glucose glucose state.

도 12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291),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 경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 중 최대 식사량 레벨 이하로 검색 음식 종류를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한다(S293).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exists only a unit time in which a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as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S291). If there is only a unit time in which a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as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In step S293, the type of food to be searched for is determined as the food type information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t a maximum food level or less during the unit time in which the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the normal blood sugar state.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295),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 경우 검색 음식 종류를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 정보로 생성한다(S297).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exists only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divid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S295). If there exists only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the search food type is set as food type information (S297).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과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함께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298),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과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검색 음식 종류를 하 레벨 식사량으로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 정보를 생성한다(S299).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divided into the 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the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divid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re present together (S298). The unit time (S299), the food type information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t the lower level food quantity is generated when the food type is present together with the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can be embodied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and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 ROM, Lt; / RTI > transmiss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송수신부 130: 등록 관리부
150: 데이터베이스부 170: 음식 정보 추천부
110: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30:
150: Database part 170: Food information recommendation part

Claims (14)

입력되는 사용자의 혈당값, 상기 사용자의 식사량과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서로 매핑 등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혈당값과 목표 혈당값을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의 혈당값이 목표 혈당값을 초과하는지에 기초하여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에서 상기 식사량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 또는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Registering a blood glucose value of an input user, information on a food amount of a user and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o each other;
Comparing the blood sugar value of the user with a target blood sugar value and determining a normal blood sugar state or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based on whether the blood sugar value of the user exceeds a target blood sugar value;
Generating information on a recommendable food type or an avoidable food type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based on the food amount in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an abnormal blood sugar state; And
And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a type of recommended or avoid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혈당값은 사용자의 식전 혈당값과 식후 혈당값 사이의 차이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od glucose value of the user is a difference value between a pre-meal blood glucose level and a post-meal blood glucose level of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혈당값은 사용자가 식후 측정한 혈당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od sugar value of the user is a blood glucose value measured by the user after eating.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식사량에 대한 정보는 레벨로 구분되어 등록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meal amount is divided into levels and registered and stor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량을 기준으로 식사량이 하 레벨이고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o be avoide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Wherein the food type is divided into a lower level of food quantity and an abnormal blood glucose level on the basis of the food quantity as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hat the user is to avoi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음식 종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음식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량이 하 레벨이고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조합에서 공통된 음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된 음식을 상기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formation on the type of the avoid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comprises the steps of: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o be avoide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common foods in a food combination in which the amount of food is at a lower level and is classified into an abnormal blood sugar state,
And the common food is generated as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hat the user is to avoi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량을 기준으로 식사량이 상 레벨이고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a type of recommend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Wherein the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food type and a normal type food type based on the food amount as information on a food type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음식 종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음식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식사량이 상 레벨이고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는 음식 조합에서 공통된 음식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된 음식을 상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food type personalized to the user comprises the step of: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recommended food type personalized to the us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 common food in the food combination in which the amount of food is at an upper level and is classified as a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generating the common food as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개인화된 추천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기간별로 수신한, 사용자의 혈당값, 상기 사용자의 식사량과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부터 동일한 음식 종류 중 상기 식사량을 기준으로 정상 혈당 상태와 비정상 혈당 상태로 서로 상이하게 구분되는 음식 종류를 1차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이하게 구분되는 음식 종류 중 상기 식사량이 중 레벨 또는 하 레벨로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고 상기 식사량이 상 레벨로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된 음식 종류를 2차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판단된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에게 하 레벨의 식사량으로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recommended food that is personalized to the user
A food type different from the normal blood sugar state and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based on the food amount among the same food type from the information of the user's blood sugar value and the food type received by at least one unit period, ;
Determining a type of food in which the food amount is divided into a normal blood sugar state at a middle level or a lower level and an abnormal blood sugar state at an upper level; And
And generating the second kind of food as information on a kind of food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at a lower level of food to the us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음식 추천값(Ri)을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학식 1]
Figure pat00003

여기서 n은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기간 동안 음식(i)을 섭취한 횟수를 의미하고, ap는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를 기준으로 음식(i)의 식사량 레벨에 할당되는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comprises: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and further comprising calculating a recommended food value (R i),
[Equation 1]
Figure pat00003

Here, n is the number of times the food (i) is consumed during at least one unit period, and a p is a weight assigned to the food amount level of the food (i) based on the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How to recommend a personalized foo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 추천값이 높은 순서로, 설정된 수의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거나,
상기 음식 추천값이 낮은 순서로, 설정된 수의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ood type to be recommended for the user is set as the information on the food type to be recommended to the user,
Wherein the food recommendation value generating unit generates the set number of food types in the order of the food recommendation value as information on the type of food that the user is to avoi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적어도 1개 이상의 단위 시간별 음식 종류 중 상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 또는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에서 상기 검색 음식 종류에 대한 사용자의 식사량 레벨에 대한 정보와 혈당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 혈당 상태 또는 상기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에서의 식사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 음식 종류의 추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comprises:
When information on the type of search food to be searched by a user is received,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mong at least one food category per unit tim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exists ;
Extracting information on a user's food amount level and blood glucose status information on the search food type in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food type based on the food amount information in the unit time divided into the normal blood glucose state or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 중 최대 식사량 레벨 이하로 상기 검색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거나,
상기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 음식 종류를 상기 사용자가 피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user can recommend the search food type to the user at a maximum food amount level or less among the unit times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as the normal blood glucose state, It can be created as information about the type,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generating the search food type information as information on a type of food that the user is to avoid when the search food type exists only for a unit time that is classified into the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음식 종류가 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과 상기 검색 음식 종류가 비정상 혈당 상태로 구분되어 있는 단위 시간이 함께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검색 음식 종류를 하 레벨 식사량으로 상기 사용자에 추천할 음식 종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화된 음식 추천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n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 normal blood glucose state and a unit time in which the search food type is classified into an abnormal blood glucose state are present together,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he food is generated.
KR1020150179536A 2015-12-15 2015-12-15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KR101777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536A KR101777747B1 (en) 2015-12-15 2015-12-15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PCT/KR2016/013163 WO2017104979A1 (en) 2015-12-15 2016-11-15 Method for recommending food personalized to user with diabetes symptoms
CN201680067456.7A CN108352192A (en) 2015-12-15 2016-11-15 Recommend method for the food of user's personalization with diabe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536A KR101777747B1 (en) 2015-12-15 2015-12-15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687A true KR20170071687A (en) 2017-06-26
KR101777747B1 KR101777747B1 (en) 2017-09-13

Family

ID=5905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536A KR101777747B1 (en) 2015-12-15 2015-12-15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77747B1 (en)
CN (1) CN108352192A (en)
WO (1) WO2017104979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27B1 (en) * 2018-12-27 2019-08-09 김용성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etary adjusting service
KR20220153134A (en) 2021-05-10 2022-11-18 메디프레쉬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the medifood meal kit
WO2023101099A1 (en)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디이프 Die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lood glucose response values and method of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9538A (en) * 2018-11-05 2019-03-22 苏州帕诺米克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Health control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2349388B (en) * 2020-12-02 2023-05-05 西湖大学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blood sugar,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43929A (en) * 2000-09-19 2002-04-10 王志刚 Nutritive menu system for diabetics
KR100457959B1 (en) * 2001-11-26 2004-11-18 다이아텍코리아 주식회사 The system of health care for a diabetic
JP2009042839A (en) * 2007-08-06 2009-02-2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Health management support server device and health management support system
CN102053158B (en) * 2009-11-09 2013-11-27 财团法人资讯工业策进会 Blood sugar analysis system and device
KR101259130B1 (en) * 2011-03-28 2013-04-30 한국식품연구원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recommended food based on mobile and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JP6408240B2 (en) * 2013-06-18 2018-10-17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Lifestyle-related disease improvement support device and lifestyle-related disease improvement support system using it
CN105022908A (en) * 2014-04-29 2015-11-04 Tcl集团股份有限公司 Dietary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JP2014207027A (en) * 2014-08-08 2014-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Blood glucose level forecasting device
CN104866954A (en) * 2015-04-27 2015-08-26 天津师范大学 Resident diet balance quantific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system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327B1 (en) * 2018-12-27 2019-08-09 김용성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etary adjusting service
KR20220153134A (en) 2021-05-10 2022-11-18 메디프레쉬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the medifood meal kit
WO2023101099A1 (en)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디이프 Die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lood glucose response values and method of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52192A (en) 2018-07-31
KR101777747B1 (en) 2017-09-13
WO2017104979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747B1 (en)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US10950335B2 (en) Health tracking device
US11672446B2 (en) Insulin delivery recommendations based on nutritional information
Duffey et al. Food price and diet and health outcomes: 20 years of the CARDIA Study
Smith-Spangler et al. Population strategies to decrease sodium intake and the burden of cardiovascular disease: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England et al. Development of a brief, reliable and valid diet assessment tool f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diabetes: the UK Diabetes and Diet Questionnaire
US20050187749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carbohydrate/insulin calculation based upon food weight
US2020022715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alculating, displaying, modifying, and using single dietary intake score reflective of optimal quantity and quality of consumables
US7348500B2 (en) Diabetes mellitus nutritional balance for monitoring the food and nutritional intake
JP5835580B2 (en) Lifestyle improvement support system and analysis method of biological index
US20140052722A1 (en) Optimization-based regim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diabetes and diet management
Slimani et al. Methods to determine dietary intake
US20110070565A1 (en) Postprandial blood glucose estimating apparatus, postprandial blood glucose estim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2528009A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user chronic disease conditioning scheme
KR101807853B1 (en) Method for individualized recommanding food for glycosuria patient
CN112365955A (en) Body-building plan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and wearable system
JP2013097403A (en) Lifestyle habit analysis system and lifestyle habit analysis method
Dimitratos et al. Wearable technology to quantify the nutritional intake of adults: validation study
Champagne Nutritional status: An overview of methods for assessment
Dora et al. Salty taste threshold among children of different ethnicities
US20230089697A1 (en) Method for generating a composite nutritional index, and associated system
CN113628723A (en) Method for providing diet recommendation based on smart band
US20080294373A1 (en) System, software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glycemic load of foods
Nayar et al. Glycemic index of wheat and rice are similar when consumed as part of a North Indian mixed meal
Guo et al. Twenty-year trajectory-patterns of percentage energy from dietary fat vs. carbohydrate throughout adult life and associations with cardio-metabolic disease and all-cause mort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