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577A -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577A
KR20170071577A KR1020177013459A KR20177013459A KR20170071577A KR 20170071577 A KR20170071577 A KR 20170071577A KR 1020177013459 A KR1020177013459 A KR 1020177013459A KR 20177013459 A KR20177013459 A KR 20177013459A KR 20170071577 A KR20170071577 A KR 20170071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delivery device
communication device
drug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459B1 (ko
Inventor
라스무스 렌스테드
다니엘 살
Original Assignee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16Reciprocating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6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with a replaceable reservoir for receiving a piston rod of the p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66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G06F19/346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2005/1420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with a programmable infusion control system, characterised by the infusion progr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75Mechanical
    • A61M2205/8281Mechanical spring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용기(18; 108)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하우징(10; 100); 활성화된 때에 상기 약물 용기(18; 108)에 작용할 수 있는 구동 기구(34; 116); 상기 하우징(10; 100) 내에 마련된 통신 장치(60; 160); 및 상기 구동 기구(34, 11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될 때에는 상기 통신 장치(60; 160)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통신 장치(60; 160)에 연결되는 스위치(58; 144)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58; 144)는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 상기 구동 기구(34; 116)에 의해 작동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MEDICAMENT DELIVERY DEVICE}
본 발명은 통신 성능을 구비한 약물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호사 또는 의사 자격이 없는 사용자, 즉 환자 자신에 의해 사용되고 취급되도록 의도되고 설계되는 약물 전달 장치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환자 자신들은 특정 치료 계획에 의거해서 치료를 취급하기 때문에, 그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에게는 치료 계획을 처방된 대로 따를 직접적인 정보가 없다.
치료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해, 약 전달 작동을 모니터할 수 있으며 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많은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일부 장치는 그러한 정보를 숙련된 의료진이 접근할 수 있는 외부 저장 위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환자 담당 의사에게 관련된 약 전달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미국 특허 제8,361,026호는 장치의 작동을 모니터할 수 있는 다수의 지능 기능이 마련된 약물 전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능들 중에는 환자의 충실성(adherence) 및/또는 기기를 모니터하는 기능과, 원격 통신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는 원격 장치의 적절한 저장 수단으로 정보를 업로드하는 기능이 있다. 또한, 예컨대 장치 내의 약물의 약이 약 제조자에 의해 회수된 경우, 약의 유효 기간이 만료된 경우, 또는 사용자 정보가 갱신된 경우에, 정보를 약물 전달 장치에 다운로드해서 사용자가 그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약물 전달 장치에는 상이한 기능 단계들 동안에 활성화되는 다수의 스위치들이 마련된다.
약물 전달 장치가 기능하려면 사용하기 전에 시작 버튼을 눌러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약물 전달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특정 취급 단계가 필요하다. 또한, 약물 전달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면, 약물 전달 장치의 여러 전자 부품들과 많은 기능들이 전력을 소비한다. 약물 전달 장치에 전력이 가해지지만 어떤 이유로 바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 위와 같은 전력 소비는 명백한 단점이 될 수 있다. 시작 버튼이 우발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약물 전달 장치에 전력이 우발적으로 공급되는 위험도 또한 있다. 그리고서 약물 전달 장치를 나중에 사용하려면, 약물 전달 장치의 전원은 전력을 소진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물 전달 장치의 현재 기술의 상태에서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 특허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특허 청구항들의 청구 대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시에 1회분 약물을 배출하기 위해 약물 용기에 작용할 수 있는 구동 기구가 마련된다.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통신 장치가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통신 장치가 약물 전달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 또는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 가능한 별도의 장치로서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신 장치는, 약물 전달 장치와 주위와의 통신, 즉 사용자와의 직접 통신 내지는 멀리 떨어져 위치한 수신기와 정보 송신기와의 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무선 통신까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특징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 시에는 통신 장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통신 장치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상기 스위치는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 구동 기구에 의해 작동되는 이점이 있다. 이 특징은 약물 전달 장치를 특정의 활성화 작동에 의해 미리 활성화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스위치가 약 전달 종료 시에 작동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구되는 취급 단계의 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1회분 약물이 전달될 때까지 약물 투여 장치가 비활성화되거나 또는 "꺼져 있다"는 점에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바람직한 해결책에 따르면, 구동 기구는 힘 인가 요소, 즉 당해 구동 기구로 하여금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힘 인가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힘 인가 요소는 사용자가 약 전달을 수동으로 행하지 않아도 되게끔 구동 기구를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힘 인가 요소는 구동 기구의 플런저 로드에 작용하여 그 플런저 로드를 근위(proximal)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구동 스프링일 수 있다. 구동 스프링의 내장된 힘을 이용하기 위해, 구동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는 원위(distal)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스프링의 잔여 힘이 스위치를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되어 통신 장치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적인 힘 인가 요소는 필요하지 않다.
한 가지 실현 가능한 해결책에 따르면, 스프링은 절환 요소(switching element)에 작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절환 요소는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 해제되어서 스위치에 작용하도록 마련된다. 이 해결책에는 1회분 약물이 전달될 때까지 절환 요소를 유지 또는 잠그는 것이 수반된다. 이와 관련해서, 구동 스프링의 원위 단부는 절환 요소에 접촉한 상태에서 그 절환 요소에 작용할 수 있고, 1회분 약이 전달되었을 때에는 절환 요소가 해제되어서 구동 스프링에 의해 원위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때 절환 요소는 스위치와 접촉한 상태로 이동한다.
변형 예로서, 플런저 로드 구동기가 사용되고, 이 경우,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는 상기 플런저 로드 구동기가 절환 요소에 작용하면서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스프링은 구동 기구의 플런저 로드 구동기에 작용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플런저 로드 구동기와 절환 요소 사이의 접촉에 의해 스위치가 닫힌다.
통신 장치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간단하고 강력한 해결책에 따르면, 통신 장치는 사용자와 직접 통신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약 전달 작동이 종료될 때에, 약물 전달 장치는 통신 장치에 저장된 특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 정보는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및/또는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통신 장치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해결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기능이 사용된다. 따라서, 투약 작동이 종료되면, 정보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및/또는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스마트 기기가 기동된다. 이러한 해결책에 의하면, 약물 전달 장치는 부품 및 기능을 직접 통신하는 것에 비해 적게 필요로 할 것이다. 외부 수신기와의 통신과 관련하여, 약물 전달 장치에는 데이터 송수신을 포함한 통신을 무선 네트워크로 할 수 있는 통신 요소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되면, 약물 전달 장치는 기능 및 사건(event)에 관한 정보를 예를 들어 의사 또는 의료 센터에 전송하여 사용자의 약물 취급을 모니터하고 예를 들어 그 정보를 처방된 치료 계획과 비교하게 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해서, 그리고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증가시키기 위해, 통신 장치는 약물 전달 장치의 다수의 센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센서들은 약물 용기로부터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정보는 EAN 코드, QR 코드, 또는 RFID 칩과 같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 다음, 약물 용기로부터 나온 정보는 제조 일자, 배치(batch) 번호, 유효기간 만료일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될 수 있다. 그 다음, 그 비교는 사용자에게 유효기간 만료일이 경과했고, 약물 용기가 새 것으로 교체되어야 하고, 해당 배치가 회수되고 있고, 이에 따라 약물 용기를 폐기하거나 제조업체로 반송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단지 몇 가지 기능을 언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센서는 사용자가 1회분을 설정하는 기능이 약물 장치에 갖추어져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1회분을 감지할 수 있는 1회분 크기 센서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다시, 설정 및 사용된 1회분 크기가 전송되어서, 치료 계획에 따라 필요한 1회분 크기와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장치에 의해서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는 환자의 충실성(adherence)을 모니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통신 장치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환자의 충실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획득되어서 통신 장치에 전송된 정보뿐만 아니라 약물 전달 장치의 센서들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해결책에 의하면, 약물 전달 장치가 사용될 때 획득된 데이터는 저장될 수 있고, 바로 전달할 필요가 없다. 이는 약물 전달 장치가 예를 들어 통신 연결이 확립될 수 없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이점이 될 수 있다. 그래서, 데이터는 먼저 저장되고서, 나중에 통신 연결이 확립될 수 있는 때에 외부 수신기로 전송된다.
약물 전달 장치의 특정 해결책에 따르면, 통신 장치는 응급 콜 센터와 자동 연결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약물 전달 장치가 아나필랙시스(anaphylaxis)의 위험이 있는 알레르기성 발작과 같은 위기가 사용자에게 발생할 때에만 사용되는 비상 장치로 설계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그러면, 약물 전달 장치는 응급 콜 센터에 경보를 발할 수 있는데, 이 때 연결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해서, 통신 장치는 사용자와 응급 콜 센터 간에 말로 정보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는 스위치가 활성화된 때에 지리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그 지리적 위치를 응급 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위치 확인 기능(positioning fun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응급 콜 센터로 하여금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적절한 진료 보조원 도움을 보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양태 및 그 밖의 양태들과 본 발명으로 얻어지는 이점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다음의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 1 내지 도 5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6은 통신 장치의 활성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약물 전달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포함된 스위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닫힌 자세를 취하고 있는 도 7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약물 전달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포함된 스위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닫힌 자세를 취하고 있는 도 9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제 2 실시예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7의 실시예의 각기 다른 상세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원위(distal) 부분/단부"라는 용어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하에서 환자의 전달 부위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한, 장치의 부분/단부를 지칭하거나, 장치의 부재들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이에 대응해서, "근위(proximal) 부분/단부"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이는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하에서 환자의 전달 부위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장치의 부분/단부를 지칭하거나, 장치의 부재들의 부분/단부를 지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스마트 기기라는 용어가 사용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기기는 각기 다른 외부 소스들로부터 검색된 데이터뿐만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갖춘 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스마트 기기는 상이한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데이터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는 소위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하는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데이터베이스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고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게다가,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기기는 양방향 통신을 위한 일종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키보드, 마이크, 확성기, 주변 장치의 연결을 위한 I/O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는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는 NFC 태그와 통신할 수 있는 수신 및 송신 기구 및 NFC 태그와의 통신을 확립하고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약물 전달 장치라는 용어가 사용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약물 전달 장치는 특정의 1회분 약물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다수의 장치, 예컨대 주사 바늘이 있거나 없는 주사 장치, 입 또는 비강용 부분을 갖춘 분말, 에어로졸 구동, 가스 분무기와 같은 모든 종류의 흡입기, 정제 형태의 약제용 디스펜서, 안약 디스펜서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일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의 특정 약에 적합하게 마련된 약물 용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는 근위 단부(12) 및 대향 원위 단부(14)를 갖는 관형 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약물 용기(18, 도 3)를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동축으로 배열된 용기 홀더(16)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하우징의 원위 단부(14)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단부 캡(20)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전달 장치에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 형태의 관형 활성화 부재(22)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부재(22)에는 제 1 공동 작용 요소들(2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공동 작용 요소들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약물 전달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2 개의 돌출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력 스프링(25)이 활성화 부재(22)의 근위 단부를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그 근위 단부에 배치된다.
도 3은 약물 전달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약물 용기(18)가 용기 홀더(16) 내에 배치되고, 소정의 양의 약물, 활주 가능한 스토퍼(26), 및 약물 전달 부재(28)를 갖는다. 약물 용기(18)는 전달 부재로서의 바늘(28)을 구비한 주사기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약물 전달 장치는 또한, 약물 전달 가드(22, 도 2)의 돌출부(24)에 상호 작용 방식으로 연결된 외주면 상의 홈들(32)을 포함하는 튜브형 회전자(30, 도 4a)도 포함한다.
또한, 약물 전달 장치는 구동 기구(34, 도 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기구는 플런저 로드(36) 및 플런저 로드(36) 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38)을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36)는 액추에이터(46, 도 4b)의 근위 방향으로 향한 가요성 아암들(44) 상의 내측으로 향한 돌출부들(42, 도 4b)에 상호 작용 방식으로 연결된 절결부/오목부(40, 도 5)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36)의 근위 단부는 활주 가능한 스토퍼(26)와 접촉한 상태에 있다. 회전자(30, 도 4a)가 가요성 아암(44)에 작용하는 액추에이터(46)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동축으로 배치된다.
구동 기구(34)는 절환 요소(48)를 더 포함하는데, 이 절환 요소의 목적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절환 요소(48)는 근위 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긴 아암(50)이 구비되어 있는 긴 U형 브래킷과, 약물 전달 장치의 원위 방향으로 향하는, 하부 부분(52) 및 원위 횡 방향 단부 벽을 포함한다. 절환 요소(48)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의 임의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절환 요소(48)의 아암(50)의 근위 단부에는 절환 요소(48)의 종축에 대해 대체로 반경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진 지지 돌출부들(54)이 구비된다. 절환 요소(48)의 아암(50)은 플런저 로드(36, 도 5a)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지지 돌출부들(54)은, 플런저 로드(36)와 압축 스프링(38)이 장력을 받은 상태에 있을 때에, 즉 액추에이터(46)의 가요성 설부(44)의 내측으로 향한 돌출부(42)가 플런저 로드(36)의 오목부(40)에 위치한 때에, 액추에이터(46)의 근위 방향으로 향한 단부면(56) 상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36)와 압축 스프링(38)이 사전에 장력을 받은 상태에 있을 때, 절환 요소(48)의 원위 단부는 스위치(58)의 내부 원위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D"(도 6a 참조)에 배치되는데, 상기 스위치의 기능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약물 전달 장치는 다음과 같이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22)를 갖는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를 투약 전달 부위에 대해 가압하고, 주사 바늘이 약물 전달 부재(28)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로 침투가 이루어진다. 상기 침투는 하우징(10)으로 하여금 약물 전달 부재 가드(22)와 관련하여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것은 결국에는 약물 전달 부재 가드(22)의 돌출부들(24)로 하여금 회전자(30)의 홈들(32) 안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돌출부들(24)이 경사진 홈 부분들(32i)과 접촉하도록 하는데, 이는 회전자(30)로 하여금 약물 전달 장치의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할 것이다.
회전자(30)의 회전은 액추에이터(46)의 아암(44)이 해제된다는 점에서 구동 기구(34)를 활성화시킬 것이다. 그 다음, 아암(44)이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고, 이로써 아암(44)의 내측으로 향한 돌출부들(42)이 플런저 로드(36)의 오목부들(40)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1회분 약물이 약물 전달 부재(28)를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플런저 로드(36)의 구동 스프링(38)이 플런저 로드(36)를 근위 방향으로 가압하되 약물 용기(18)의 스토퍼(26)가 가장 근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한다.
스토퍼(26)가 플런저 로드(36)에 의해 약물 용기(18) 내의 근위 단부까지 거의 이동한 때에, 플런저 로드(36)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환 요소(48)의 아암(50)과의 접촉에서 벗어나서 이동한다. 따라서, 절환 요소(48)의 아암(50)이 내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져서 지지 돌출부들(54)이 액추에이터(46)의 표면(56)과의 접촉에서 벗어나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절환 요소(48)는 당해 절환 요소(48)의 하부 부분(52)에 접촉하여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38)의 힘으로 인해 거리 D만큼 원위 방향으로 갑작스럽게 이동하되 절환 요소(48)의 원위 단부가 스위치(58)를 칠 때까지 이동하고, 이에 의해 스위치(58, 도 6c)가 활성화된다. 스위치의 활성화는 결국에는 통신 장치(60)를 활성화시키게, 즉 통신 장치에 전력이 공급되게 할 것이다. 통신 장치의 기능에 대해서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치는 획득되는 신호의 종류뿐만 아니라 장치 유형 및 장치의 작동 부품들의 유형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디자인을 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절환 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한 유형의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46)의 원위 단부에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절결부(64)를 구비한 단부벽(62)이 마련된다. 절결부의 양 측면에는 2 개의 근위 방향으로 향하며 약간 기울어진 접촉면들(66)이 마련되며, 해제될 때에는 절환 요소(48)가 상기 접촉면들을 타격하게 된다. 경사진 접촉면들에는 도전성 재료가 제공된다. 상기 도전성 재료는 절결부(64)를 통해 리드(68)로서 연장되고, 이들 리드들(68)에는 적절한 도관(70, 도 6c)이 연결되어 통신 장치(60)까지 연장된다. 또한, 절환 요소(48)는, 이 절환 요소(48)가 접촉면들(66)과 접촉한 채로 이동될 때 스위치가 닫히도록,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절환 요소의 원위 단면(72)도 도전성 재료로 덮일 수 있다. 절환 요소(48)와 접촉면(66) 사이의 접촉의 확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촉면(66)에는 추가로 돌출부(74, 도 7b)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절환 요소가 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전술한 약물 전달 장치와 함께 사용될 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도 액추에이터는 그의 원위 단부에 단부벽(62)이 마련된다. 단부벽(62)에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인 절결부(76)가 마련된다. 하나의 근위 방향으로 향하고 다소 경사진 접촉면(78)은 절결부의 한쪽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접촉면에는 절결부를 통해 리드(79)로서 연장되는 도전성 재료가 마련되는데, 이 리드에는 적절한 도관이 연결되고, 이 도관은 통신 장치(60)에 연결된다. 또한, 접촉 요소(80)도 마련된다. 이 접촉 요소는 약물 전달 장치가 영향을 받지 않는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당해 약물 전달 장치의 종축(L)의 법선에 대해 경사각(α)을 가지고 액추에이터의 내부로 연장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설부(8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향을 받지 않는 초기 위치에서는, 설부(82)의 자유 단부와 접촉면(78)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존재한다. 설부(82)가 가요성을 갖도록 마련되지만, 약물 전달 장치가 예를 들어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에 설부(82)가 접촉면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할 수 없도록 설부를 단단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설부(82)는 액추에이터(46)의 원위 부분을 둘러싸는 대체로 관형인 시트(84)에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시트(84)에는 추가로 도전성 재료가 마련되고, 적절한 도관(70)을 통해 통신 장치(60)에 연결된다. 절환 요소(48)가 그의 하부 부분(52)으로 설부(82)를 원위 방향으로 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부(82)가 접촉면(78)과 접한 상태로 이동하여 스위치가 닫힌다. 이 실시예에서, 절환 요소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금속으로 만들어질 필요는 없다.
전술한 실시예의 접촉면 및 리드와 관련하여, 이들은 여러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들은 접착과 같은 적절한 방식으로 부품에 접착되는 얇은 도전성 시트 재료로 만들 수 있다. 대안으로, 각기 다른 부품에 도전성 표면을 생성하는 데 있어 레이저 직접 가공(LDS: Laser Direct Structuring)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스위치 실시예의 절환 요소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원위 방향으로 향한 단부면은 예를 들어 LDS를 이용하여 도전성 재료로 처리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원위 단부(102) 및 근위 단부(104)를 갖는(도 11 참조) 대체로 긴 주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약물 용기(108, 도 14)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적절한 약물 전달 부재(110, 도 14)가 상기 약물 용기(108)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약물 용기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약물 용기 내부에는 이동 가능한 스토퍼(112, 도 14)가 추가로 마련된다.
약물 전달 부재 차폐부(114, 도 11)가 약물 용기(108)를 동축으로 둘러싼다. 약물 전달 부재 차폐부(114)는 하우징(100)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는 구동 기구(116, 도 13)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구동 기구(116)는 하우징(100)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의 근위 단부는 긴 플런저 로드(120, 도 11)의 원위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기구(116)는 본 실시예에서는 헬리컬 코일 스프링의 형태인 구동 스프링(122, 도 13)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구동 스프링은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를 그의 근위 단부 위치를 향해 편향시킨다. 구동 기구(116)의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를 원위 또는 뒤로 당겨진 위치로부터 근위 또는 연장된 위치로 해제하기 위한 수동 작동식 해제 버튼(124)이 하우징(100, 도 11)을 관통해서 연장하게 마련된다. 해제 버튼(124)은 구동 기구 잠금 요소(12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 기구 잠금 요소는,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를 인장된 상태의 구동 스프링(122)과 함께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홈(130) 내에 위치되는 근위 방향으로 향한 턱(128)을 통해,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에 잠겨서 그와 상호 작용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기구(116)에 절환 기구가 마련된다. 이 절환 기구는, 근위 방향으로 향한 단부면을 가지는 원형 단부판(136)을 구비하며 긴 관형 몸통(134)을 포함하는 절환 요소(132, 도 12)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판은 플런저 로드(120)의 원위 방향으로 향한 단부면과 접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절환 요소(132)의 몸통(134)의 측면에는 원주 방향 홈(138, 도 12)이 마련된다. 상기 몸통(134)은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 도 13)의 근위 영역에 부착된 관형 요소(142)의 중앙 통로(140)에 끼워지도록 마련된다.
상기 관형 요소(142)에는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 도 12)의 근위 단부의 위치에 근위 방향으로 향한 환형 스위치(144)가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144)는 많은 상이한 형태 및 디자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144)는 기계적 영향을 받을 때에 전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압전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가 기계적 영향을 받을 때에 접촉하게 되는 전기 접점들을 갖는 기계적 접촉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4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 약물 전달 장치의 통신 장치(16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145, 도 16)에 연결된다.
단부판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의 근위 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절환 요소(132)의 근위에 있는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의 영역은 단부판(136)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약물 전달 장치에 절환 지연 기구가 마련된다. 이 절환 지연 기구는 절환 요소(132)의 원주 방향 홈(138)에 끼워지게 한 마찰 증대 요소(14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마찰 증대 요소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조된 O링이다. 관형 요소(142)의 중앙 통로(140)에는 원주 홈 내로 끼워졌을 때의 O링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제 1 부분(147, 도 13)이 마련되어, O링이 상기 제 1 부분(108) 내에 위치된 때에 압축되도록 한다. 중앙 통로에는 또한 O링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제 2 부분(148, 도 13)도 마련되는데, 이것의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또한, 해제 기구를 위한 절환 기구가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에 마련된다. 이 절환 기구는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에 부착되며 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아암(150, 도 13)을 포함하는데, 이 아암들(150)은 중심 통로(140)의 양 측면에 위치된다. 각각의 아암(150)에는 대체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한 턱(152)이 마련된다. 상기 내측으로 향한 턱들(152)은 중앙 통로(140) 내로 연장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아암(150)에는 대체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턱(154)이 마련되며, 이 턱의 기능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가 약 전달 부위에 대해 가압된다. 사용자가 기동 버튼(trigger button)(124)을 누르고, 이에 의해 구동 스프링(122)이 해제된다. 그 다음,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와 구동 스프링(122)이 플런저 로드(120)를 약물 용기(108) 내부의 스토퍼(112)에 작용하는 근위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작동한다. 약물이 비압축성이고 약물 전달 부재(110)를 관통한 통로가 좁기 때문에, 약물 용기(108)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약물 용기(108)의 이동은 이제 약물 전달 부재(110)를 사용자의 피부 내로 침투시키게 된다.
이제 구동 스프링(122)의 힘이 플런저 로드(120)를 약물 용기(108)에 대해서 근위 방향으로 가압하여, 스토퍼(112)를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1회분 약물이 사용자의 신체 안으로 전달된다. 플런저 로드(120)가 근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절환 요소(132)도 그처럼 이동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물 전달 부재 가드(114)의 내면과 접촉하는 바깥쪽으로 향한 턱들(154)로 인해 아암들(150)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힘을 받기 때문이다. 그러면, 아암들(150)의 내측으로 향한 턱들(152)은 절환 요소(132)의 단부판(136)의 원위 방향으로 향한 면에 접한다.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 절환 요소(132), 플런저 로드(120), 및 스토퍼(112)가 스토퍼(112)의 근위 단부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도달하면, 아암들(150)의 외측을 향한 턱들(154)이 약물 전달 부재 차폐부(114)의 절결부(156) 안으로 들어간다(도 14 및 도 15 참조). 그 다음, 외측으로 향한 턱(154)이 절결부(156) 안으로 들어갈 때 아암들(150)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이에 의해 내측으로 향한 턱들(152)은 절환 요소(132)의 단부판(136)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이동하게 된다.
구동 스프링(122)의 힘이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를 절환 요소(132)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계속 가압할 것이다. 그러나,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와 절환 요소(132) 간의 상대 이동은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의 튜브형 요소(142)의 내부 표면에 마찰 작용하는 마찰 증대 요소(146)로 인해 느려진다. 마찰은 또한 플런저 로드(120)에 일부 힘을 전달해서 주사 순서를 마치는 것을 돕기도 한다.
상기 상대 이동은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와 절환 요소(132) 사이에서 계속된다. 마찰 증대 요소(146)가 제 1 부분(147)을 따라 이동하면, 그 마찰 증대 요소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148)에 도달한다. 이제, 마찰 증대 요소(132)는 관형 요소(142)의 내면과의 접촉에서 벗어나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판(136)의 원위 방향으로 향한 면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4)로부터 거리 d에 위치된다. 스프링(122)의 힘이 여전히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에 작용해서, 이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그 힘은 상기 거리 d를 근위 방향으로 가속하되, 단부판(136)의 원위 방향으로 향한 면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44)와 접촉하게 될 때까지, 가속할 것이다. 이어서, 스위치는 약물 전달 장치의 통신 장치(160)를 활성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의 활성화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의도되고 원하는 용도에 따라 달라지는 다수의 기능들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스위치는 활성화되면 예를 들어 통신 장치의 마이크로 컨트롤러(145)를 약물 전달 장치에 마련된 적절한 전원(150)에 연결함으로써 그 컨트롤러를 기동시킨다(도 16 참조). 전원은 예를 들어 버튼형 전지 등과 같은 전지일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전원은 압전 소자, 태양 전지 패널 등일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45)는 상이한 유형의 센서들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는 통신 장치(60, 160)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모듈(152)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전자 모듈은 또한 상기 전원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자 모듈은 이제 다수의 상이한 기능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기능과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이 수행할 수 있는 한 가지 기본 기능은 약물 전달 장치의 사용자와 직접 통신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면, 약물 전달 장치의 적절한 디스플레이(154) 상에 표시되는 전자 모듈에 저장된 텍스트에 의해, 시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통신에 부가하여서, 또는 그 대신에, 통신은, 예를 들면, 전자 모듈 또는 약물 전달 장치 자체의 확성기(156)에서 재생되는 전자 모듈에 저장된 기록 메시지에 의해, 청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모듈에는 다른 장치와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실행 가능한 통신 시스템은 약물 전달 장치가 그의 상태를 적절한 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블루투스; ANT; GSM, 4G, 5G, WLAN 등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적절한 수신기는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 나온 정보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약물 전달 장치의 통신 장치를 통해 다시 사용자에게 통신하여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거나, 혹은 통신 장치에 사전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나온 전송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 시에 저장되거나 수신되는 사용자가 받을 수 있는 정보는 그 본질이 기기 유형, 사용자 처방, 약물 유형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전달 장치가 일회용 주사 장치인 경우, 사용자는 약물 전달 장치를 안전한 방식으로 버리라는 촉구, 예컨대, 약물 전달 장치를 안전용기에 놓으라는 촉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는 사용자에게 손상 방지를 위해 약물 전달 부재에 보호 캡을 부착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한편, 약물 전달 장치가 재사용 가능한 경우, 약물 전달 장치가 후속한 약 전달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보는 사용된 약물 용기를 새로운 용기로 교체하라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된 약물 전달 부재를 제거하고 그것을 살균된 새 약물 전달 부재로 교체하라는 촉구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다음 투약을 해야 할 때의 미리 정해진 처방 계획에 기초한 표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처방 계획은 전자 모듈 또는 스마트 기기에 저장되거나,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되고서 활성화 시에 약물 전달 장치 또는 스마트 기기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정보는 온도 및/또는 빛에 노출되는 것과 관련하여 약물 전달 장치를 보관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전자 모듈로부터 나오는 정보는 예를 들어 환자/사용자의 의사에게 중요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약물이 사용자에게 전달된 시간 및 날짜와 같은 사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전자 모듈의 활성화는 활성화 날짜 및 시간의 기록(recording)/경과 기록(logging)을 기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저장은 약물 전달 장치 외부에서 그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수단이 전자 모듈에 있는 경우에는 전자 모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 모듈로부터 나온 신호가, 직접 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컴퓨터 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시간 및 날짜 등록을 기동시킨다는 점에서, 정보는 인터넷에 저장될 수 있다.
사건 데이터는 사용된 약물 용기를 새 약물 용기로 교체한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약물 전달 장치가 스위치에 의해 활성화된 때, 다수의 센서들이 약물 전달 장치에서 사용되고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물 용기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설계에서, 센서는 근접 센서 또는 심지어 약물 용기의 존재 및/또는 제거에 영향을 받는 접촉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센서는 특정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지능적일 수 있다. 그와 관련해서, 약물 용기에는 약물 용기 내부의 약물과 특별하게 연관된 정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약물의 유형, 약물의 농도 또는 강도, 약물의 유효기간 만료일, 임의의 온도 요건이 있다면 그 온도 요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약물 용기에 적절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조작하거나 또는 타협할 수 없게, 저장될 수 있다. 정보는, 예를 들어, 약물 용기의 외부 표면에 단단히 부착된 라벨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정보는 EAN 코드, QR 코드 등의 읽기 가능한 코드와 같이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약물 전달 장치에는 상기 유형의 코드로부터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적절한 센서 또는 판독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대신에, 라벨에 무선 주파수 칩 또는 RFID 칩이 마련될 수 있고, 적절하기로는 NFC 칩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면, 센서들은 칩을 판독하여 그 칩에 저장된 정보를 도출하도록 마련된다. 그 다음, 그 정보는 스마트 기기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기기에 NFC 칩을 판독할 수 있는 기능이 마련된 경우, NFC 칩의 사용은 스마트 기기에 의한 칩의 판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정보를 조작할 위험을 더욱더 최소화하기 위해, 라벨을 사용하는 대신에 NFC 칩을 약물 용기의 재료 안으로 매립할 수 있다.
온도와 관련하여, NFC 칩에 온도 센서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약물 용기가 승인된 특정 범위 밖의 온도에 노출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약물 용기가 승인된 범위 밖의 온도에 노출된 경우, 이는 NFC 칩에서 판독될 수 있다.
투약 스위치의 종료에 의한 약물 전달 장치의 기동(triggering)은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가 상이한 목적으로 획득되고 사용될 수 있도록, 전자 모듈에 위치 확인 기능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위치 확인은 상이한 기능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예는 전자 모듈에 GPS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데, 이에 의하면 약이 전달될 때의 사용자의 실제 위치가 GPS 좌표로 기록된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위치를 찾기 위해 GSM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있다. GPS 기능 및 GSM 기능에는 개선된 실내 장소용 WIFI 위치 기능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위치 결정 기능의 정확성은 위치 정보의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약이 정당한 국가에서 사용되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는, 예컨대, 사용자가 약을 무료 또는 거액의 보조금으로 받은 경우에 그 약이 다른 국가에 수입되거나 판매되지 않았다는 것을 추적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는, 단지 국가 기반의 위치 정보를 얻는 것만 필요하다. 이 경우, 약물 전달 장치가 어느 국가에서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GSM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약물 전달 장치가, 예를 들어 환자가 아나필랙시스를 유발하는 알레르기성 발작을 겪는 경우처럼 응급 상황이 발생할 때에만 사용되는, 소위 응급 장치이면, 위치 확인 정확도가 중요할 수 있다. 아나필랙시스는 에피네프린으로 처치할 수 있으며, 몇몇 환자에게 에피네프린이 채워진 자동 주사기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약물 전달 장치가 사용된 경우에, 예를 들어 에피네프린 주사가 완전히 성공적이지 않다면, 그 환자를 더 보살펴야 하는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 경우, 구급 의료대원이 환자를 찾을 수 있도록 환자의 위치 확인이 정밀하고 정확해야 한다는 것은 아주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GPS 기능을 사용해야 하고, GPS 기능을 WIFI 또는 네트워크 위치 확인 기능과 함께 사용하여 이들 둘로부터 위치 확인 정보를 도출하게 할 수도 있다. GPS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약물 전달 장치가 꺼지거나 배터리가 고갈될 때까지 계속해서 전송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응급 사용은 이동하는 차량에서 일어날 수 있어서 환자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이다. 구급 의료대원은 환자를 찾기 위해서 위치를 계속해서 받아야 한다.
또한, 응급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신호가 건강관리 콜센터로의 자동 응급 호출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면, 환자는 마이크(158)를 통해 의사 또는 간호사에게 직접 말할 수 있으며, 이 때 의사 또는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지득할 수 있다. 약물 전달 장치가 위와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고 확성기 및 마이크를 구비한 경우, 상기 호출은 약물 전달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위치 확인 기능성은 약물 전달 장치에 직접 마련되거나, 혹은 약물 전달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위치 확인 기능성이 응급 장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위치 확인 기능이 약물 전달 장치에 바로 포함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게 되면 신호 발생이 두 개의 장치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단점이 되는데, 왜냐하면 환자가 스마트 기기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거나, 혹은 스마트 기기가 배터리 소모로 인해 꺼지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 약물 전달 장치는 추가적으로 스마트 기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그러면, 약물 전달 장치의 통신 장치에는 스마트 기기와 접속할 수 있는 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는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기기가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다시, 통신은 시각적으로,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 텍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통신은, 예를 들면, 스마트 기기에 저장되어서 스마트 기기의 확성기를 통해 재생되는 기록 메시지에 의해, 청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기기에는 스마트 기기가 약물 전달 장치의 전자 모듈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때 시작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스마트 기기에는 Wifi 네트워크, 이동 통신 네트워크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 마련되어, 약물 전달 장치의 전자 모듈에 의해 정보가 활성화된 후에 그 정보를 스마트 기기가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기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대신에,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 상의 적절한 사이트에 스마트 기기를 접속할 수 있다.
비록 약물 전달 장치가 치료약으로 채워지는 약물 용기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약물 용기는 어떠한 약물도 담지 않고 지도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소위 모형(dummy)일 수도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또한, 통신 장치가 약물 전달 장치에 통합될 수 있지만,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 가능한 별도의 장치, 즉 추가 기기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는 것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 예로만 고려되어야 하고 그리고 특허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여러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7)

  1. 약물 전달 장치로서, 약물 용기(18; 108)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하우징(10; 100); 활성화된 때에 상기 약물 용기(18; 108)에 작용할 수 있는 구동 기구(34; 116); 상기 하우징(10; 100)과 연관된 통신 장치(60; 160); 및 상기 구동 기구(34, 11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작동될 때에는 상기 통신 장치(60; 160)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기 통신 장치(60; 160)에 연결되는 스위치(58; 144)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8; 144)는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 상기 구동 기구(34; 116)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 해제되어서 상기 스위치에 작용하도록 마련된 절환 요소(48; 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36, 38; 116)는 힘 인가 요소(38, 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힘 인가 요소(38; 122)는 상기 절환 요소를 상기 스위치에 작용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인가 요소(38; 122)는, 상기 구동 기구의 플런저 로드에 작용하여 그 플런저 로드를 근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구동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38)은,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 상기 절환 요소가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절환 요소(48)에 작용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링(122)은 상기 구동 기구의 플런저 로드 구동기(118)에 작용하게 마련되되, 약 전달 순서가 종료될 때에 플런저 로드 구동기가 절환 요소(132)에 작용하는 근위 방향으로 이동되게끔 작용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60; 160)는 사용자와 직접 통신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은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60; 160)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통신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당해 약물 전달 장치 내의 다수의 센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환자의 충실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3.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데이터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응급 콜 센터에 자동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사용자와 응급 콜 센터 간에 말로 정보를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스위치가 활성화된 때에 지리적 위치를 획득할 수 있고 그 지리적 위치를 응급 콜 센터로 전송할 수 있는 위치 확인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약물 전달 장치에 통합되거나, 또는 당해 약물 전달 장치에 연결 가능한 별도의 장치로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0177013459A 2014-11-20 2015-10-22 약물 전달 장치 KR101931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451399-8 2014-11-20
SE1451399 2014-11-20
PCT/EP2015/074463 WO2016078863A1 (en) 2014-11-20 2015-10-22 Medicamen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577A true KR20170071577A (ko) 2017-06-23
KR101931459B1 KR101931459B1 (ko) 2018-12-20

Family

ID=5439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459A KR101931459B1 (ko) 2014-11-20 2015-10-22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RE49515E1 (ko)
EP (1) EP3220976A1 (ko)
JP (1) JP6353607B2 (ko)
KR (1) KR101931459B1 (ko)
CN (2) CN107073208B (ko)
TW (1) TWI606821B (ko)
WO (1) WO20160788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80278T1 (de) 2005-09-12 2010-09-15 Unomedical As Einfürungssystem für ein infusionsset mit einem ersten und zweiten federeinheit
EP2552513B1 (en) 2010-03-30 2014-03-19 Unomedical A/S Medical device
US10194938B2 (en) 2011-03-14 2019-02-05 UnoMedical, AS Inserter system with transport protection
EP2583715A1 (en) 2011-10-19 2013-04-24 Unomedical A/S Infusion tube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e
EP3135330A1 (en) 2015-08-24 2017-03-01 Carebay Europe Ltd. Monitoring unit
WO2017125817A1 (en) 2016-01-19 2017-07-27 Unomedical A/S Cannula and infusion devices
EP3407940A4 (en) 2016-01-29 2019-09-04 Companion Medical, Inc. PURPOSES OF AUTOMATIC DRUG DISPOSAL
CN109922850B (zh) * 2016-11-09 2023-05-09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注射器装置
EP3323448A1 (en) * 2016-11-18 2018-05-23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3326671A1 (en) 2016-11-29 2018-05-30 Carebay Europe Ltd. Activation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11116899B2 (en) 2017-12-12 2021-09-14 Bigfoot Biomedical, Inc. User interface for diabetes management systems and devices
US11090439B2 (en) 2017-12-12 2021-08-17 Bigfoot Biomedical, Inc. Therapy management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1464459B2 (en) 2017-12-12 2022-10-11 Bigfoot Biomedical, Inc. User interface for diabetes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flash glucose monitor
US11083852B2 (en) 2017-12-12 2021-08-10 Bigfoot Biomedical, Inc. Insulin injection assistance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1077243B2 (en) 2017-12-12 2021-08-03 Bigfoot Biomedical,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ctive medication from injections
US10987464B2 (en) 2017-12-12 2021-04-27 Bigfoot Biomedical, Inc. Pen cap for insulin injection pen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AU2018394953B2 (en) 2017-12-29 2021-05-06 Genentech, Inc. Injection monitoring device with delivery signature
US11948671B2 (en) 2019-04-11 2024-04-02 Medtronic Minimed, Inc. Intelligent accessories for medicine dispensing device
US11458292B2 (en) 2019-05-20 2022-10-04 Unomedical A/S Rotatable infusion device and methods thereof
USD915584S1 (en) * 2019-07-15 2021-04-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jection pen casing
US20240009385A1 (en) * 2020-11-27 2024-01-11 Medtrum Technologies Inc. Driving structure of a drug infusion device
DE102021104414A1 (de) * 2021-02-24 2022-08-25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Verabreichen von Flüssigkeiten
WO2022191135A1 (ja) * 2021-03-12 2022-09-15 テルモ株式会社 薬液投与装置
USD1006984S1 (en) * 2021-09-08 2023-12-05 Stevanato Group S.P.A. Medical syringe
USD1024316S1 (en) * 2022-05-24 2024-04-23 Shl Medical Ag Medical injecto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7207A (ja) * 1998-03-24 1999-10-05 Miyota Kk 携帯型注射器
US6277099B1 (en) 1999-08-06 2001-08-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dication delivery pen
DE102004039020B4 (de) 2004-08-11 2018-01-25 Tecpharma Licensing Ag Autoinjektor
US8361026B2 (en) 2005-02-01 2013-01-29 Intellijec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elf-administration of vaccines and other medicaments
CA2762072C (en) 2005-02-01 2017-08-29 Intellijec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ment delivery
US8328738B2 (en) 2007-06-29 2012-12-11 Actuated Medical, Inc. Medical tool for reduced penetration force with feedback means
TR201808203T4 (tr) 2008-11-06 2018-07-23 Novo Nordisk As Elektronik destekli ilaç aktarım cihazı.
US8475414B2 (en) * 2008-12-02 2013-07-0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AU2010210160B2 (en) * 2009-02-05 2014-09-0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ment delivery devices
US8882710B2 (en) * 2009-09-02 2014-11-11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TW201200190A (en) 2010-03-26 2012-01-01 Sanofi Aventis Deutschland Electro-mechanical drug delivery device
CN105327432B (zh) * 2010-03-31 2018-11-30 Shl集团有限责任公司 包括反馈信号装置的药物输送设备
US9011375B2 (en) 2010-08-31 2015-04-21 Shl Group Ab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12031627A1 (en) * 2010-09-09 2012-03-15 Tecpharma Licensing Ag Telescopic piston rod for partially filled syringes
KR101521742B1 (ko) 2011-02-03 2015-05-19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약물 주입 장치
MX349916B (es) * 2011-09-02 2017-08-18 Unitract Syringe Pty Ltd Mecanismo accionador para bombas de suministro de fármacos con indicación de status integrada.
US9707335B2 (en) 2011-09-02 2017-07-18 Unitract Syringe Pty Ltd Drive mechanism for drug delivery pumps with integrated status indication
EP2583705A1 (en) * 2011-10-21 2013-04-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Indicator arrangement for an auto-injector
WO2013098421A1 (en) 2011-12-30 2013-07-04 Novo Nordisk A/S A medical injection device incorporating a dose sensing de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such dose sensor
ES2623081T3 (es) 2012-04-17 2017-07-10 Carebay Europe Ltd Dispositivo de administración de medicamentos
US9849252B2 (en) * 2012-05-04 2017-12-26 Sofia Eleni Armes Electromechanical manipulating device for medical needle and syringe with sensory biofeedback and pain suppression capability
WO2013178512A1 (en) * 2012-05-31 2013-12-05 Carebay Europe Ltd Medicament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06821B (zh) 2017-12-01
CN107073208A (zh) 2017-08-18
EP3220976A1 (en) 2017-09-27
US10512724B2 (en) 2019-12-24
TW201635999A (zh) 2016-10-16
JP2017536177A (ja) 2017-12-07
KR101931459B1 (ko) 2018-12-20
US20170304538A1 (en) 2017-10-26
CN111939393A (zh) 2020-11-17
CN111939393B (zh) 2022-06-28
WO2016078863A1 (en) 2016-05-26
JP6353607B2 (ja) 2018-07-04
CN107073208B (zh) 2020-08-25
USRE49515E1 (en)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459B1 (ko) 약물 전달 장치
US11717613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with usage monitoring
US10737027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10980943B2 (en) Monitoring unit
CN105120929B (zh) 可手动操作的注射装置的辅助装置
KR102077410B1 (ko) 약물 전달 장치
KR102232356B1 (ko) 모니터링 장치
US20230241326A1 (en) Activation and detection system for a supplemental device attached to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