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113A -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 - Google Patents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113A
KR20170071113A KR1020150179074A KR20150179074A KR20170071113A KR 20170071113 A KR20170071113 A KR 20170071113A KR 1020150179074 A KR1020150179074 A KR 1020150179074A KR 20150179074 A KR20150179074 A KR 20150179074A KR 20170071113 A KR20170071113 A KR 20170071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administration
unit
hos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0323B1 (ko
Inventor
김승천
권연준
곽은지
고동현
신동리
박성범
Original Assignee
김승천
박성범
고동현
신동리
권연준
곽은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천, 박성범, 고동현, 신동리, 권연준, 곽은지 filed Critical 김승천
Priority to KR102015017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3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4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 A61M5/16845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detecting the amount of infusate remaining, e.g. signalling end of infusion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8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 A61M5/16895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e. flowmeters by monitoring weight change, e.g. of infusion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61Range local, e.g. within room or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은, 링거 거치대에 구비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부, 및 상기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용기에 저장된 의료제가 지나는 링거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의 무게가 일정 이하인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가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Ringer injection management system and server}
본 발명은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링거용기 내부의 의료제 양 및/또는 의료제의 투여에 소요될 예상 소요시간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별도의 복잡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필요에 따라 의료제의 투여량을 외부에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들이 환자의 이동시에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에게 링거를 이용한 정맥주사 등을 통해 필요한 의료제를 투여하게 된다. 이처럼 링거를 통한 의료제의 투여는 투여 시간 동안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하거나 의료제가 모두 투여된 후 적절한 시간에 링거를 제거해야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짧은 단위시간 당 필요이상으로 많은 양의 의료제가 투여되는 경우, 또는 의료제가 모두 투여된 후 빈 링거호스를 통해 공기가 환자에게 주입되는 경우에는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의료제 투여량의 조절이나 의료제의 투여 상황을 체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링거를 통한 의료제의 투여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소요되기 마련이며, 종래에는 이처럼 링거를 통한 의료제의 투여가 일일이 사람의 육안을 통해 체크되는 실정이어서 링거를 통해 의료제가 투여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의료진이나 간병인, 또는 환자 자신이 제때 이를 체크하기 힘든 경우가 많아 환자를 보살피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들이 다수 개시되고 있는데, 종래의 기술적 사상들은 링거용기 내부의 의료제 양을 체크하거나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별도의 복잡한 시스템을 구비해야하는 경우가 많아 그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07-0093238, "링거 잔량 및 소요시간 표시기", 이하 종래기술 1)에서 링거 수액의 무게를 측정하여 잔량 및 남은 시간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 1은 단순히 링거 수액의 잔량만을 알려줄 수 있을 뿐 링거 수액(즉,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 의료제의 투여량은 종래와 같이 사람이 일일이 조절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0543391, "링거 수액 투여 감시 시스템", 이하 종래기술 2)의 경우, 수액 투여 중인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링거의 수액 투여 상태 및 교체 상태를 원격지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개폐기 및 클램프를 구성으로 포함하여 수액차단 신호에 따라 링거의 수액 투여를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2의 경우, 상기 개폐기 및 클램프가 링거 거치대에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고, 의료제가 지나는 링거호스를 기계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여러 기계장치들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컨대, 상기 종래기술 2는 클램프가 DC 모터의 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축상에서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 케이스 내에 형성되는 수용돌기과 밀착되는 볼록부를 가지는 압착돌기를 가지는 이동편 등의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 2의 이러한 복잡한 개폐기/클램프의 구조는 결과적으로 링거호스의 일부분을 압박하여 의료제의 투여를 막는 효과를 가지는데, 그 효과에 비해 비효율적으로 복잡한 구성과 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 2는 링거 거치대와 별도의 시스템으로 고정설치 되도록 구현되어, 링거를 투여 중인 환자가 링거 거치대와 함께 이동하는 경우(예컨대, 화장실, 산책 등)에는 링거 수액의 잔여량 체크나 투여량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링거용기 내부의 의료제 양을 간편하게 측정, 전송하여 의료진이나 간병인, 혹은 환자 본인이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를 통해 투여되는 의료제의 양을 원격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시스템이 링거 거치대 자체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장소에 무관하게 링거용기 내부의 의료제 양 측정이나 의료제 투여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링거 거치대에 거치되는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링거용기 내부의 의료제 양을 간편하게 측정, 외부 시스템 및/또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의료진이나 간병인, 혹은 환자 본인이 원격지에서도 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를 통해 투여되는 의료제의 양을 원격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환자가 침대나 병실을 벗어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의료제의 양을 측정하거나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은,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부, 및 상기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용기에 저장된 의료제가 지나는 링거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의 무게가 일정 이하인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가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DC 모터, 및 상기 DC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링거 거치대 및 상기 링거호스의 일부를 휘감도록 형성되는 호스 압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 압박수단은, 실, 끈, 또는 고무줄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과 별도로 상기 링거 거치대의 몸체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호스 압박수단을 통해 상기 링거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내부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스 압박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링거 거치대의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링거 거치대의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부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링거호스를 휘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제의 잔량 또는 의료제 투여에 소요될 예상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며,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의료제의 잔량 정보 또는 상기 예상 소요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은, 의료제가 저장되는 링거용기가 거치되며, 이동가능한 링거 거치대, 및 상기 링거 거치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은,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부, 및 상기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용기에 저장된 의료제가 지나는 링거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의 무게가 일정 이하인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가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제의 잔량 또는 의료제 투여에 소요될 예상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무게 정보 또는 상기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단말장치의 요청에 의해 또는 상기 무게 정보가 일정 이하인 경우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에 상응하는 단말장치로 저장된 상기 알림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링거용기와 연결된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링거 거치대에 거치되는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링거용기 내부의 의료제 양을 간편하게 측정, 외부 시스템 및/또는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의료진이나 간병인, 혹은 환자 본인이 원격지에서도 이를 용이하게 확인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를 통해 투여되는 의료제의 양을 원격으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 자체가 링거 거치대에 구비될 수 있어 환자가 침대나 병실을 벗어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의료제의 양을 측정하거나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이 투여되는 의료제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이 투여되는 의료제의 양을 조절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일반적인 링거 거치대(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종래의 링거 거치대에서 의료제가 담긴 링거용기(10)가 거치되는 거치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거 거치대(1)는 크게 바닥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및/또는 환자에게 투여될 의료제가 담긴 링거용기(1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의 하부 소정의 위치에 링거용기(10)가 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걸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거 거치대(1)는 하부에 이동을 위한 소정의 이동수단(예컨대, 바퀴)을 구비하여, 링거를 통해 의료제를 투여 중인 환자가 상기 링거 거치대(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걸이수단에 거치되는 링거용기(10)의 무게를 감지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는 의료제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제의 양이 일정 이하가 되면 즉, 감지되는 링거용기(10)의 무게가 일정 이하인 경우 의료진이나 간병인, 또는 환자(이하, 사용자라 함)에게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환자의 의료제 투여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링거용기(10)와 연결되어 링거용기(10) 내의 의료제가 이동하는 링거호스(11)의 적어도 일부는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와 실질적으로 밀착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링거호스(11)의 일부분을 밀착고정하고, 해당 부분의 링거호스(11)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환자에게 투여될 의료제의 양(즉, 의료제가 투여되는 속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정보(예컨대, 링거용기(10)에 저장된 의료제의 잔여량 및/또는 의료제가 모두 환자에게 투여될 때까지 소요될 소요시간 등에 대한 알림정보) 및/또는 의료제의 투여량에 대한 제어신호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신호/정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과 소정의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 간에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상기 알림정보가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를 통해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장치(200)는 예컨대, 의료진이나 간병인 또는 환자가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및/또는 병원 등에 구비되어 각 병실의 상황을 체크하기 위한 관리실의 관리 시스템이나 데스크탑 PC 등의 프로세싱 장치와 같이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단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장치(200)에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미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단말장치(200)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즉,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외부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링거를 통해 환자에게 투여되는 의료제의 투여 상황(예컨대, 의료제 잔여량 및/또는 의료제가 투여되는데 소요될 소요시간 등)을 체크하거나,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단말장치(200) 외에 더 구비된 소정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버(300)는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및/또는 상기 단말장치(200)와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상기 서버(300) 간의 통신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상기 서버(30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Radio Frequency)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네트워크나, 무선인터넷,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네트워크, 및/또는 유선 인터넷 네트워크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방식들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감지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또는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110)는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거치수단에 거치되는 상기 링거용기(1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감지부(110)를 통해 상기 링거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후술할 제어부(130)를 통해 상기 링거용기(10) 내부의 의료제에 대한 잔여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링거용기(10)를 통해 의료제가 모두 투여되기까지의 소요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20)는 통신가능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신호/정보들을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신호/정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제의 잔여량 및/또는 의료제 투여에 소요될 소요시간 등의 정보(즉, 알림정보)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링거용기(10)에 저장된 의료제가 환자에게 투여될 투여량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 예컨대, 상기 구동부(140)에 포함된 모터(M)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외부 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링거 자체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부(110)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링거용기(10)의 무게에 대한 무게정보, 상기 무게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상기 링거용기(10) 내부의 의료제 잔여량에 대한 잔여량 정보, 및/또는 상기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는 의료제의 투여 시간에 대한 소요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알림정보로써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정보에는, 병실의 호수나 환자의 이름 등과 같은 소정의 식별정보가 더 포함되어 간호사나 의료진이 어떠한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에 대한 알림정보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알림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장치(200)로 직접 전송되고, 상기 단말장치에서 해당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통신부(120)는 상기 감지부(110)에 의해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10)의 무게정보 및/또는 상기 무게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는 상기 알림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무게정보 및/또는 상기 알림정보가 상기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단말장치(200)를 이용해 상기 서버(300)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부 시스템(200)으로부터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의료제의 투여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외부 시스템(200)으로부터 의료제의 투여량을 줄이고자 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링거 거치대(1)와 밀착고정되어 있는 상기 링거호스(11)를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의료제의 투여량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40)는 모터(M)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모터(M)는 DC모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동부(140)는 상기 모터(M)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상기 링거 거치대(1)와 상기 링거호스(11)를 고정결합시키고 상기 링거호스(11)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호스 압박수단(141)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은 예컨대 실이나 굵기가 얇은 끈, 고무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M)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M)의 회전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상기 링거 거치대(1)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구동부(140)에 의해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3 및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거 거치대(1)의 상부에 구비된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의 본체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의 본체와 상기 구동부(140)는 전원공급 및/또는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소정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140)에 별도의 전원을 내장하고,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구동부(140) 내부의 모터(M)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40)의 일 측면에 상기 모터(M)의 회전축과 연결된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이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 및 상기 링거호스(11)를 휘감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은 상기 모터(M)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와 상기 링거호스(11)를 감아 조일 수 있거나, 또는 조여있던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을 풀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모터(M)의 회전에 따른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의 조임 상태에 따라 상기 링거호스(11)에 가해지는 압박이 변경됨으로써 환자에게 투여되는 의료제의 양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이 전술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재질의 실이나 끈, 고무줄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링거호스(11)를 압박하기 위해 모터(M)의 회전에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별도의 압박장치를 복잡하게 구비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의료제의 투여량을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의 본체와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내에 구비되는 경우가 도시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내부에서 상기 구동부(140)에 포함된 상기 모터(M)와 연결되고,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의 내부를 통해 필요한 길이만큼(링거용기(10) 하부에서 링거호스(11)와 만나 링거호스(11)를 조일 수 있을만큼) 형성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와 상기 링거호스(11)를 휘감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본체와 별도로 상기 링거호스(11)를 압박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와 달리,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이 상기 링거호스(11)를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 상에서 압박하기 위해서는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이 외부로 방치되게 되면 외관상 지저분해 보일뿐 아니라, 상기 링거호스(11)와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 간에 엉킴 등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의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소정의 위치(즉, 상기 링거호스(11)를 실제로 압박할 위치)에서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링거호스(11)를 압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이 상기 링거 거치대(1)의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되지 않고, 상기 구동부(140)로부터 상기 링거 거치대(1)의 외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구동부(140)가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M)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호스 압박수단(141)은 상기 링거호스(11)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링거호스(11)를 압박하기 위해 상기 구동부(140)와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를 만들지 않더라도, 실이나 끈, 고무줄 등과 같은 재질의 호스 압박수단(141)이 단지 상기 구동부(140) 내부의 모터(M)와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링거 거치대의 경우, 환자가 링거를 통해 의료제를 투여받는 도중 화장실, 산책 등 소정의 용무를 위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링거 거치대에 링거용기를 거치하고, 상기 링거 거치대를 이동시키면서 환자가 자신의 용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링거용기 내부의 의료제의 투여량(또는 투여속도)를 조절하거나, 의료제의 남은 양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에 이동성이 없어, 환자가 침대 또는 병실을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에는 의료제의 투여량 조절이나 의료제의 남은 양 측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종래의 일반적인 링거 거치대(1)에 구비되면서 의료제의 투여량을 조절하거나 의료제의 남은 양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가 소정의 용무를 위해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링거 거치대(1)와 함께 이동하기만 하면 침대나 병실을 벗어나는 경우에도 의료제의 투여량 조절 및/또는 의료제의 남은 양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는 수신부(310), 산출부(320), 저장부(330), 및 전송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310)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포함하며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자신의 식별정보(예컨대, 병실 호수, 환자 이름, 및/또는 의료제 종류 등)를 상기 무게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산출부(320)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제의 잔량 또는 의료제 투여에 소요될 예상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이 상기 알림정보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수신부(310)에 의해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330)는 상기 무게 정보 또는 상기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장치(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부(330)에 저장된 알림정보가 상기 전송부(340)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부(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알림정보를 상기 단말장치(2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상기 무게 정보가 일정 이하인 경우 자동으로 상기 알림정보를 상기 단말장치(200)로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전송부(340)는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에 구비된 상기 링거용기(10)에 저장된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직접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지만, 상기 서버(300)에 접속한 상기 단말장치(200)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전송부(340)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100)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링거용기와 연결된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부; 및
    상기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용기에 저장된 의료제가 지나는 링거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의 무게가 일정 이하인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가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DC 모터; 및
    상기 DC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링거 거치대 및 상기 링거호스의 일부를 휘감도록 형성되는 호스 압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압박수단은,
    실, 끈, 또는 고무줄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과 별도로 상기 링거 거치대의 몸체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호스 압박수단을 통해 상기 링거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내부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스 압박수단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링거 거치대의 몸체부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링거 거치대의 몸체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일부가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링거호스를 휘감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제의 잔량 또는 의료제 투여에 소요될 예상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며,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의료제의 잔량 정보 또는 상기 예상 소요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7. 의료제가 저장되는 링거용기가 거치되며, 이동가능한 링거 거치대; 및
    상기 링거 거치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은,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단말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제어부; 및
    상기 링거용기와 연결되어 상기 링거용기에 저장된 의료제가 지나는 링거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링거용기의 무게가 일정 이하인 경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신호가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8.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의료제가 저장된 링거용기의 무게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제의 잔량 또는 의료제 투여에 소요될 예상 소요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알림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무게 정보 또는 상기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단말장치의 요청에 의해 또는 상기 무게 정보가 일정 이하인 경우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에 상응하는 단말장치로 저장된 상기 알림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링거용기와 연결된 링거호스에 압박을 가하거나 압박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의료제의 투여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50179074A 2015-12-15 2015-12-15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 KR10184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74A KR101840323B1 (ko) 2015-12-15 2015-12-15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074A KR101840323B1 (ko) 2015-12-15 2015-12-15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113A true KR20170071113A (ko) 2017-06-23
KR101840323B1 KR101840323B1 (ko) 2018-03-20

Family

ID=5928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074A KR101840323B1 (ko) 2015-12-15 2015-12-15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3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2378A (zh) * 2019-01-05 2019-04-30 贾小云 一种带药液监测预警功能的输液架
KR20200017945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스마트 수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56B1 (ko) 2009-09-09 2012-01-31 김화중 링거액 주입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7945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포휴먼테크 스마트 수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1897A (ko) 2018-12-11 2020-06-22 폴스타헬스케어(주) IoT 기반의 수액량 모니터링 시스템
CN109692378A (zh) * 2019-01-05 2019-04-30 贾小云 一种带药液监测预警功能的输液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323B1 (ko)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3183B2 (en) Method of patient care device integration with a hospital bed
US10857294B2 (en) Transfusion speed regulator, transfusion monitor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A2930714C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KR101840323B1 (ko) 링거 투여 관리 시스템 및 서버
JP6246042B2 (ja) 汎用介護者インターフェース
US20180169327A1 (en) Fluid Injection Systems and Features
KR20190062644A (ko) 실내 소독시스템
KR20160133774A (ko) 전자식 휴대용 실린더형 의약품 주입펌프 및 이를 이용한 의약품 주입방법
AU2019287584B2 (en) Smart cart for a dialysis machine
KR101740044B1 (ko) 링거팩 거치 시스템
US10276038B2 (en) Remote notification system for medical devices
AU2018299206A1 (en)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medical devices
US20200232604A1 (en) Valve having means to detect a cylinder identity upon attachment
JP2016099866A (ja) 医療機器遠隔操作装置、医療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機器情報管理方法
KR20180123822A (ko) 스마트형 경관 약물 공급장치
KR102016215B1 (ko) 요양환자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17153A (ko) 주입 요법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7130866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の自動殺菌及び充電
US11896447B2 (en) Safeguards against separation from portable medicine delivery devices
CN216061541U (zh) 一种输液智能监控与报警系统
US20230285682A1 (en) Safeguards against usage of incorrect portable medicine delivery devices
CN113271997B (zh) 带使用时间测量装置的鼻氧套管
US20240165324A1 (en) Infusion management system
US2024008746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of a Video-Directed CPR Process in Cardiac Arrest
CN107303403A (zh) 一种输液监控仪终端机及其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