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651A -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651A
KR20170070651A KR1020150178440A KR20150178440A KR20170070651A KR 20170070651 A KR20170070651 A KR 20170070651A KR 1020150178440 A KR1020150178440 A KR 1020150178440A KR 20150178440 A KR20150178440 A KR 20150178440A KR 20170070651 A KR20170070651 A KR 20170070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financial
technical
server
coope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윤
김형기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렘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렘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렘프
Priority to KR102015017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0651A/ko
Publication of KR2017007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40/0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발주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상기 발주기업에게 납품하는 협력기업의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발주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1차 협력기업의 1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수신하여, 1차 협력기업이 대출 신청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로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기술금융 신청모듈, 1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발주기업의 발주기업 서버로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보고서 작성모듈, 및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1차 협력기업 서버로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제공하는 심사결과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요자적 관점에서 기술을 평가하고,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기술금융 지원을 활성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TECHNOLOGY BANKING SUPPORT SYSTEM FOR SHARED GROWTH}
본 발명은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주기업에서 협력기업의 기술을 평가한 기술평가정보를 은행에 제공하여 협력기업이 은행으로부터 기술금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핵심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지원함으로써 중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생태를 보존하고 진화해 가기 위한 동반성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즉,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을 도모하려는 노력이 중요한 의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은 자금 부문에서 대기업과의 협력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기존 은행에서는 중소기업들에 대한 담보가 있어야 대출을 해주는 관행이 팽배했다. 종래에는 중소기업의 신용도를 확인하기 위해 경영 및 재무나 주가 등의 경영 재무정보를 기초로 하여 기업의 신용도를 객관적으로 판단하고자 하는 시도가 행해졌다. 하지만, 금융기관 입장에서 중소기업은 취약한 경영자원으로 인해 신용리스크가 높고 신용파악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담보나 보증 없이 대출을 지원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다.
이로 인해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들이 자금 조달의 어려움으로 인해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에 실패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담보나 보증 없이 기술력만으로 중소기업에게 대출을 지원해주는 기술금융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술금융은 연구개발, 창업, 및 사업화 등의 과정에 소요되는 자금을 말하며, 기술금융은 기술평가에 의한 투자나 신용 제공, 보증, 출연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술금융은 정부의 핵심 철학인 창조경제에 있어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의 중추이며, 2014년 6월 30일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이 18개 시중 은행과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기술신용정보 활용 업무 협약을 체결하여 2014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금융이 정부와 리스크를 분담하는 온렌딩(Onlending) 대출을 위주로 취급하였으나, 정부의 실적 강조로 자율대출 실적이 급증하고 있고, 정부의 은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주문과 은행의 기술금융 부실 우려로 편법대출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은행권에서 기존의 거래 업체에 대한 대출증액이나 대환대출 등 본래의 취지가 퇴색된 실적 부풀리기가 성행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기술신용평가 체계가 대출의 적격 심사 여부 판단에 신뢰성을 주지 못하기 때문에 급성장하는 기술금융의 실적에도 불구하고 본래의 취지가 퇴색되고 있다. 이는 기술신용평가사(TCB;Tech Credit Bureau)와 같은 기술신용평가 업체에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10년 전의 기술 데이터나 특허 자료 수준의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는 등 기술신용평가 업체의 비전문성 등으로 은행권의 기술금융에 대한 불안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술금융의 핵심 사안은 기술평가가 미래 수익 추정에 합리적인 판단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가 여부이다. 따라서 기술 수익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수요자적 입장에서 기술평가가 미래 수익 추정에 합리적 판단기준을 제공하고,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중소기업의 기술금융 지원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4254호(2008.01.0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2296호(2013.03.0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3075호(2014.01.13.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 수익성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수요자적 관점에서 협력기업의 기술을 평가한 후 평가한 기술평가정보를 은행에 제공하여 협력기업이 은행으로부터 기술금융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은 발주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1차 협력기업의 1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1차 협력기업이 대출 신청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로 상기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기술금융 신청모듈,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발주기업의 발주기업 서버로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보고서 작성모듈,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로 상기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제공하는 심사결과 저장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 및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의 2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회원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등록 모듈,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2차 협력기업의 요청에 따라 기술금융 상품정보를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 및 상기 2차 협력기업 서버로 제공하는 금융상품 안내모듈, 및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2차 협력기업이 각각의 경영자원에 적합한 기술금융 상품을 지원받기 위한 자가진단 시뮬레이션 결과를 각 협력기업의 서버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모듈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상기 2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 지원, 부가서비스, 및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고, 상기 금융기관이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제공받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며, 상기 발주기업이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제공하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는 수익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고서 작성모듈은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의 2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1차 협력기업과 상기 2차 협력기업 간의 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발주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발주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거래 내역과 조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의 2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발주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2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에 의하면 발주기업에서 협력기업의 기술을 평가한 기술평가정보를 금융기관에 제공함으로써 기술평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켜 기술금융 지원을 활성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협력기업은 기술 개발을 위한 자금조달이 가능하고, 우대 조건에 의한 저리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발주기업의 경우 협력기업의 기술력 강화로 인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고, 정보 제공 요금 등의 부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기관의 경우, 기술금융 실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기술금융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이하,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이라 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은 네트워크를 통해 발주기업 서버(100), 1차 협력기업 서버(120), 2차 협력기업 서버(130), 및 금융기관 서버(160)과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회원등록 모듈(141), 금융상품 안내모듈(142), 시뮬레이션 모듈(143), 기술금융 신청모듈(144), 보고서 작성모듈(145), 대출결과 저장모듈(146), 서비스 제공모듈(147), 및 수익산정 모듈(148)을 포함한다.
회원등록 모듈(141)은 1차 협력기업 서버(120) 및 2차 협력기업 서버(130)로부터 회원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협력기업들의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한다. 회원가입 정보에는 업체 명,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명, 및 업종 등의 기초적인 회사 정보, 기술인력 정보, 보유 설비 등의 정보, 그리고 아이디어/기술의 정의, 보유 현황, 경쟁력, 및 관련 사업화 현황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협력기업들은 회원가입과 함께 회원가입 정보를 금융기관이나 발주기업에 제공한다는 정보제공에 동의하게 된다.
금융상품 안내모듈(142)는 1차 협력기업 서버(120)나 2차 협력기업 서버(130)로부터 기술금융 상담을 요청하는 요청정보가 전송되면, 기술금융 상품정보를 1차 협력기업 서버(120) 및 2차 협력기업 서버(130)로 제공한다. 즉, 금융상품 안내모듈(142)에는 금융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금융 상품들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1차 협력기업 및 2차 협력기업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각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기술금융 상품의 형태 및 기능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시뮬레이션 모듈(143)은 1차 협력기업 서버(120)나 2차 협력기업 서버(130)의 요청에 따라 각 협력기업의 경영자원에 적합한 기술금융 상품을 지원받기 위한 자가진단 시뮬레이션 결과를 각 협력기업 서버(120,13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1차 협력기업에서 금융상품 안내모듈(142)에서 제공하는 기술금융 상품정보들 중 적합한 기술금융 상품을 선택하여 협력기업 정보를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 입력한다. 그러면, 시뮬레이션 모듈(143)에서 선택된 기술금융 상품에 협력기업 정보를 대입하여 자가진단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후, 결과를 1차 협력기업 서버(120)로 제공한다. 즉, 자가진단 시뮬레이션 결과, 협력기업이 대출 심사를 통과하는데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나 갖춰야할 부분에 대한 자가진단 보고서를 1차 협력기업 서버(120)로 전송한다. 1차 협력기업에서는 자가진단 보고서를 확인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 후 기술금융을 신청할 수 있다.
기술금융 신청모듈(144)는 발주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1차 협력기업의 1차 협력기업 서버(120)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수신하여, 1차 협력기업이 대출 신청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160)로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2차 협력기업 서버(130)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수신하여, 2차 협력기업이 대출 신청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160)로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2차 협력기업의 기술금융 신청정보에는 1차 협력기업과 2차 협력기업 간의 거래 내역이 포함된다. 즉, 발주일자, 발주 품목, 발주 명, 수주일자, 및 결제일자 등과 같은 거래 내역이 포함된다.
보고서 작성모듈(145)는 1차 협력기업 서버(120)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발주기업 서버(100)로 1차 협력기업에 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금융기관 서버(160)로 전송한다.
또한, 보고서 작성모듈(145)는 2차 협력기업 서버(130)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발주기업 서버(100)로 1차 협력기업 및 2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평가정보들을 이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금융기관 서버(160)로 전송한다.
또는, 보고서 작성모듈(145)는 2차 협력기업 서버(130)로부터 1차 협력기업과 2차 협력기업 간의 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발주기업 서버(100)로 1차 협력기업에 대한 발주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거래 내역과 조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금융기관 서버(16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발주기업 서버(100)로부터 제공받는 평가정보에는 발주 명, 발주 기간, 발주 금액 등이 포함된 1차 협력기업에 대한 발주현황, 발주기업에 대한 매출 의존도, 발주기업의 사업 관점에서 1차 협력기업의 기술의 의의, 발주기업의 사업 관점에서 향후 1차 협력기업의 사업 분야 발주 전망, 발주기업의 1차 협력기업 사업 분야에 대한 연간 발주 규모, 1차 협력기업의 기술 분야의 경쟁력, 및 1차 협력기업의 개발 방향 및 조언 등이 포함된다.
심사결과 저장모듈(146)에는 금융기관 서버(160)로부터 전송되는 기술금융 심사결과가 저장되며, 1차 협력기업 서버(120)로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제공한다. 즉, 금융기관에서는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서 제공하는 협력기업 보고서를 검토하여 기술금융을 심사한다. 그리고 금융기관 서버(160)로부터 기술금융 심사결과가 수신되어 심사결과 저장모듈(146)에 저장되고, 요청에 따라 협력기업으로 제공된다. 다시 말하면, 금융기관에서 1차 협력기업에서 요청한 기술금융 심사를 통해 대출이 가능한 경우, 대출일자, 대출금액, 상환일자, 및 대출이자 등의 기술금융 심사결과가 심사결과 저장모듈(146)에 저장되고, 1차 협력기업으로 기술금융 심사결과가 제공된다.
서비스 제공모듈(147)은 1차 협력기업 서버(120)나 2차 협력기업 서버(130)로 기술금융 컨설팅이나 신용정보조회 및 특허검색 등과 같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연구개발 전략 컨설팅 및 정부과제지원 컨설팅과 같은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익산정 모듈(148)은 1차 협력기업 및 2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 지원, 부가서비스, 및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한다. 또한, 금융기관이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제공받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고, 발주기업이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제공하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1차 협력기업이나 2차 협력기업은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 유료회원으로 가입하여 기술금융 지원서비스, 부가서비스, 및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또한, 금융기관은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을 통해 1차 협력기업 평가정보를 제공받는데 대한 정보 사용료를 납입한다. 여기서, 발주기업의 경우, 금융기관이 기술금융 심사하기 위해 필요한 협력회사의 평가정보를 제공하게 되므로 정보 제공 요금을 받음으로써, 부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1차 협력기업에 대한 기술금융 지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주기업으로부터 발주 받아 납품하는 1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 회원가입한 후, 기술금융을 신청한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은 1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을 신청하는 경우, 발주기업으로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그리고 1차 협력기업으로 평가정보를 전달하고, 금융기관으로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전송한다. 금융기관에서는 1차 협력기업으로 기술금융 신청내용을 확인하고,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으로 전달한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는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1차 협력기업에 전달하고, 1차 협력기업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약정을 체결하고 대출을 실행한다.
도 3 내지 도 5는 2차 협력기업에 대한 기술금융 지원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 회원가입한 후, 기술금융을 신청한다. 이때, 2차 협력기업에서는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 받은 발주에 대한 발주일자, 발주 품목, 발주 명, 수주일자, 및 결제일자와 같은 거래 내역을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은 2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을 신청하는 경우, 발주기업으로 1차 협력기업의 발주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은 1차 협력기업의 발주정보와 1차 협력기업 및 2차 협력기업 간의 거래 내역을 조합하여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금융기관으로 전송한다. 금융기관에서는 2차 협력기업에 기술금융 신청내용을 확인하고,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으로 전달한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는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2차 협력기업에 전달하고, 2차 협력기업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약정을 체결하고 대출을 실행한다.
도 4를 참조하면,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 회원가입한 후, 기술금융을 신청한다. 이때, 2차 협력기업에서는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 받은 발주에 대한 발주일자, 발주 품목, 발주 명, 수주일자, 및 결제일자와 같은 거래 내역을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 전송하여 등록한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은 2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을 신청하는 경우, 발주기업으로 1차 협력기업 및 2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는다.
여기서 발주기업은 2차 협력기업의 거래 내역과 매칭된 1차 협력기업의 발주정보 및 결제정보를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으로 전송한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은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금융기관으로 전송하고, 금융기관에서는 2차 협력기업에 기술금융 신청내용을 확인하고,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으로 전달한다.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에는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2차 협력기업에 전달하고, 2차 협력기업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약정을 체결하고 대출을 실행한다.
도 5에서는 도 4의 연속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즉, 2차 협력기업에서 금융기관으로 약정을 체결하고 대출을 실행한 후, 자금이체를 신청하면,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을 통해 금융기관으로 전송된다. 금융기관에서는 2차 협력기업의 자금이체 신청에 따라 개발인건비, 설비구매, 및 개발자재에 대한 자금이체를 수행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 의해 기술금융 지원시스템(140)은 1차 협력기업뿐만 아니라 2차 협력기업에 대해서도 기술금융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발주기업 서버 120 : 1차 협력기업 서버
130 : 2차 협력기업 서버 140 :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141 : 회원등록 모듈 142 : 금융상품 안내모듈
143 : 시뮬레이션 모듈 144 : 기술금융 신청모듈
145 : 보고서 작성모듈 146 : 심사결과 저장모듈
147 : 서비스 제공모듈 148 : 수익산정 모듈
160 : 금융기관 서버

Claims (6)

  1. 발주기업, 협력기업, 및 금융기관의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주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1차 협력기업의 1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1차 협력기업이 대출 신청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금융기관 서버로 상기 기술금융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기술금융 신청모듈;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발주기업의 발주기업 서버로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보고서 작성모듈; 및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로 상기 기술금융 심사결과를 제공하는 심사결과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 및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의 2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회원가입 정보를 수신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등록 모듈;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2차 협력기업의 요청에 따라 기술금융 상품정보를 상기 1차 협력기업 서버 및 상기 2차 협력기업 서버로 제공하는 금융상품 안내모듈; 및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2차 협력기업이 각각의 경영자원에 적합한 기술금융 상품을 지원받기 위한 자가진단 시뮬레이션 결과를 각 협력기업의 서버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상기 2차 협력기업이 기술금융 지원, 부가서비스, 및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고, 상기 금융기관이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제공받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며, 상기 발주기업이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제공하는데 대한 사용료를 산정하는 수익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작성모듈은,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의 2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1차 협력기업과 상기 2차 협력기업 간의 거래 내역을 포함하는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발주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발주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거래 내역과 조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서 작성모듈은,
    상기 1차 협력기업으로부터 발주를 받아 납품하는 2차 협력기업의 2차 협력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기술금융 신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발주기업 서버로부터 상기 1차 협력기업 및 상기 2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 후, 상기 평가정보를 이용하여 기술금융 심사를 위한 협력기업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금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협력기업에 대한 평가정보에는 발주 명, 발주 기간, 발주 금액 등이 포함된 1차 협력기업에 대한 발주현황, 상기 발주기업에 대한 매출 의존도, 상기 발주기업의 사업 관점에서 상기 1차 협력기업의 기술의 의의, 상기 발주기업의 사업 관점에서 향후 상기 1차 협력기업의 사업 분야 발주 전망, 상기 발주기업의 상기 1차 협력기업 사업 분야에 대한 연간 발주 규모, 상기 1차 협력기업의 기술 분야의 경쟁력, 및 상기 1차 협력기업의 개발 방향 및 조언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KR1020150178440A 2015-12-14 2015-12-14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KR20170070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40A KR20170070651A (ko) 2015-12-14 2015-12-14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440A KR20170070651A (ko) 2015-12-14 2015-12-14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651A true KR20170070651A (ko) 2017-06-22

Family

ID=5928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440A KR20170070651A (ko) 2015-12-14 2015-12-14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0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831B1 (ko) * 2022-07-08 2023-04-13 주식회사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831B1 (ko) * 2022-07-08 2023-04-13 주식회사 한국이러닝인재개발원 법정의무교육 큐레이팅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bich et al. OM Forum—Distributed ledgers and operations: What operations management researchers should know about blockchain technology
Chod et al. On the financing benefits of supply chain transparency and blockchain adoption
US20200042989A1 (en) Asset-backed tokens
Puschmann et al. Successful use of e‐procurement in supply chains
Rao et al. How buyers' expected benefits, perceived risks, and e-business readiness influence their e-marketplace usage
CN109493234B (zh) 适用于金融中介行业的客户管理系统
WO2019152163A1 (en) Social platform promotion system and method
Miehle et al. Toward a decentralized marketplace for self-maintaining machines
Sarfo et al. E-commerce adoption within SME's in Ghana, a tool for growth?
Pant et al. Bank mediated financial supply chains: Implications for supply chain strategy and operations
Seong et al. Developing e-procurement systems: a case study on the government e-procurement systems in Korea
Mhlanga Block chain for digital financial inclusion towards reduced inequalities
KR101444272B1 (ko) 주소록을 이용하여 대차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0020455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xchanging messages across a network
KR102521398B1 (ko) 사업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비대면 금융지원 통합 서비스 플랫폼
KR20030078446A (ko) 트래킹 정보를 포함한 기업 간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70651A (ko) 동반성장을 위한 기술금융 지원시스템
JP2002329074A (ja) デリバティブ取引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usi et al. Modeling an effective e-procurement system for Ghana’s healthcare sector: A critical review and proposal
JP2007048013A (ja) 私募債ファンド運営処理装置および私募債ファンド運営処理方法並びに私募債ファンド運営処理プログラム
US20230316841A1 (en) Dynamic voting exchange platform
Bagó The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finance
Serov et al.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and banks: trends and prospects
Onyango The South Africa-Zimbabwe remittance corridor: an analysis of its characteristics and the cost of remittance payments
Mwasaru Factors Influencing Revenue Collection through Mobile Money Transfer in Kenya Revenue Authority Malindi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