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631A -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 Google Patents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631A
KR20170070631A KR1020150178398A KR20150178398A KR20170070631A KR 20170070631 A KR20170070631 A KR 20170070631A KR 1020150178398 A KR1020150178398 A KR 1020150178398A KR 20150178398 A KR20150178398 A KR 20150178398A KR 20170070631 A KR20170070631 A KR 2017007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main body
module
blast furnac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4954B1 (ko
Inventor
황세연
Original Assignee
황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세연 filed Critical 황세연
Priority to KR1020150178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4Refractory linings
    • C21C5/441Equipment used for making or repairing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 F27D1/141Anch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4Supports for linings
    • F27D1/145Assemb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노벽 강화용 부속물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로노벽을 강화하기 위한 앵커를 고로노벽에 일정 간격으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박아서 설치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Device for mending inside wall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노벽 강화용 부속물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로노벽을 강화하기 위한 앵커를 고로노벽에 일정 간격으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박아서 설치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용선을 생산하는 고로는 그 직상부의 장입구를 통하여 연료인 코크스와 원료인 철광석을 장입시키고, 고로 하부에 있는 열풍구를 통해서 고온의 열풍을 불어 넣어 코크스를 연소시키어 고열과 환원가스를 생성하고, 이와 같은 고열과 환원가스는 노내 철광석을 환원 용융시켜 용선과 슬래그를 생성하게 되며, 이 용융물은 고로 하부의 출선구를 통해서 배출된다.
따라서, 고로는 고열과 압력을 받는 거대한 압력용기이므로, 조업 중 노체 철피를 보호하기 위해 동재질의 스테이브와 냉각반을 설치하고, 정형내화물을 조밀하게 설치하여 열과 압력에 견디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고로는 사용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고로의 내화물이 열에 의한 침식 및 화학적 침식으로 마모가 심하게 진행되면서 스테이브와 내화물이 마모되면서 철피가 직접적으로 고열을 받게 되면서 고로의 열부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냉각반의 파손 및, 고로의 철피에 균열, 함몰 및 용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열부하에 따른 철피의 손상으로 인한 조업중단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단열성능이 높은 부정형 내화물을 스프레이 장치를 통해 고로 내부의 노벽에 시공하여 보수하였다.
대략, 철피 보호를 위해 6개월 주기로 부정형 내화물을 스프레이 장치를 통해 노체 철피 내부에 두께 200 ~ 300mm두께로 부정형 내화물 시공을 하여 고로 노벽을 보호한다.
하지만, 시공된 부정형의 내화물이 고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장입물에 의한 충격마찰과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마모 및, 탈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부정형 내화물과 철피는 이종재로서 부착에 한계가 있어 용이하게 탈락되면서 재시공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로는 장시간(3~4일) 휴지하게 되면서 조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구조의 고로 노벽 보수장치가 개발될 필요성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고로의 내부로 인력이 투입될 필요 없이 고로 노벽에 앵커를 박아서 설치할 수 있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 설치장치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 노벽 보수를 위한 보수재의 분사 이전에 보수재의 고정 등 고로 노벽을 강화하기 위한 앵커를 고로 노벽에 간이하게 연속적으로 박아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로의 내부로 인력이 직접적으로 투입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고로노벽에 앵커를 박아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및 하부지지수단를 마련하고 앵커설치수단을 상부 및 하부지지수단 사이에 구성함으로써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고로노벽에 앵커를 정밀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의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로 노벽에 고로 노벽 보수를 위한 보수재의 분사 이전에 보수재의 고정을 위한 앵커를 박아서 설치함으로써 보수재가 노벽에 잘 부착되도록 하여 탈락되지 않도록 하고, 부착된 보수재가 고로 내부의 온도 상승에 의해 소결되어 형성된 단열층의 강도를 높여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 앵커가 설치된 고로노벽으로 구성된 고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상부면이 크레인과 메인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고로에 장입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며, 그 내부에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부가 고로노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2개 이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상부지지수단; 상기 본체의 하부측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부가 고로노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2개 이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지지수단; 및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지지수단과 하부지지수단 사이의 본체 영역에 설치되어 고로노벽에 앵커를 설치하는 앵커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수단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앵커를 적재하고 있다가 앵커설치부에 앵커를 공급하는 앵커공급부; 및 상기 앵커공급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앵커를 고로노벽에 설치하는 앵커설치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서 상기 본체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기어가 1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기어모듈 및 상기 기어모듈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기어모듈의 외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어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커버모듈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상기 고로노벽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일단이 앵커공급부와 고정되는 연결암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부재는 상기 커버모듈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장방형 입체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연결암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앵커공급부 및 앵커설치부의 무게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커버모듈에서 상기 연결암부재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무게중심유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급부는 상기 연결고정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앵커적재부재; 및 상기 앵커적재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적재된 앵커를 상기 앵커설치부에 이송하는 앵커이송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적재부재는 다수의 앵커가 적재되는 적재함; 및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어 적재된 앵커를 하단부에서 순차로 상단부로 이송하는 앵커이송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이송부재는 상기 앵커적재부재의 상단부에 위치한 앵커를 이송시켜 상기 앵커설치부에 공급하는 다관절 로봇암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부는 고로노벽에 앵커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형성된 구멍에 앵커를 삽입하는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의 단부에 앵커를 장착시키는 앵커로딩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로딩부재는 상기 앵커공급부에서 공급된 앵커가 적재되는 앵커공급모듈; 상기 앵커공급모듈에 공급된 앵커를 앵커핑거모듈에 삽입시키는 앵커삽입모듈; 및 상기 앵커삽입모듈에 의해 삽입된 앵커를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에 장착시키는 앵커핑거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로딩부재는 일 열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부는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로딩부재를 설치된 상태에서 일체로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승하강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는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를 갖고 스크류모터에 의해 일정압력이 가해지도록 제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부는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로딩부재를 각각 복수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수단은 촬영장치가 더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수직레이저센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까지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원상복귀비상밸브가 설치되는 구조, 그 타단부측에 촬영장치 또는 위치센서가 설치되는 구조, 그 일단부와 그 타단부의 중심측에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구조 및 상기 일단부측에서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을 포함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는 절첩 고정구조 중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수단, 하부지지수단, 및 앵커설치수단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 및 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력원으로 하여 동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수단, 하부지지수단 및 앵커설치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한 항의 앵커설치장치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앵커가 장착된 고로노벽을 포함하는 고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 노벽 보수를 위한 보수재의 분사 이전에 보수재의 고정 등 고로노벽을 강화하기 위한 앵커를 고로 노벽에 간이하게 연속적으로 박아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업중단이 최소화되어 조업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의 내부로 인력이 직접적으로 투입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고로노벽에 앵커를 박아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지지수단를 마련하고 앵커설치수단을 상부 및 하부지지수단 사이에 구성함으로써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고로노벽에 앵커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 노벽에 고로 노벽 보수를 위한 보수재의 분사 이전에 보수재의 고정을 위한 앵커를 박아서 설치함으로써 보수재가 노벽에 잘 부착되도록 하여 탈락되지 않도록 하고, 부착된 보수재가 고로 내부의 온도 상승에 의해 소결되어 형성된 단열층의 강도를 높여 내구성이 향상된 고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의 구현예들을 각각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가 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가 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의 상부지지수단 및 하부지지수단이 고로 내부에 전개되어 고정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중 앵커설치수단을 구성하는 앵커적재부재의 앵커이송모듈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중 앵커설치수단을 구성하는 앵커이송부재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중 앵커설치수단을 구성하는 앵커로딩부재의 상세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a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가 고로에 삽입되어 고로노벽에 앵커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가 고로노벽에 앵커를 설치한 일부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앵커의 일 구현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고로 노벽 보수를 위한 보수재의 분사 이전에 보수재의 고정 등 고로노벽을 강화하기 위한 앵커를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앵커설치장치에 있다.
즉, 종래의 고로에서 시공된 부정형의 내화물이 고로의 내부로 장입되는 장입물에 의한 충격마찰과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마모 및 탈락될 뿐만 아니라, 보수과정에서는 분사된 내화물이 이종 재질의 고로노벽에 잘 부착되지 않아 제대로 보수하기가 어려워 재보수 횟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에 의해 다수의 앵커가 고로노벽에 설치되면 보수재의 부착을 지지하고 시공된 보수재의 마모 및 탈락률을 낮추어 고로노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들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도 1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의 구현예들을 각각 모식적으로 도시한 개략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가 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가 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b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의 상부지지수단 및 하부지지수단이 고로 내부에 전개되어 고정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는 중공형 본체(110), 상부지지수단(120), 하부지지수단(130), 앵커설치수단(140) 및 수직레이저센서(15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수직레이저센서(150)는 생략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구현예와 도 1b에 도시된 구현예는 앵커설치수단(140)에서의 차이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므로 차이가 나는 구성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중공형 본체(1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기만 하면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이동시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원통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중공형 본체(110)의 상부면은 크레인과 메인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고로(10)에 장입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며, 중공을 이루는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동력원은 앵커설치수단(140) 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압 및 전기를 이용하는 모터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은 중공형 본체(110)를 고로노벽(11)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지지수단(120)은 본체(110)의 상부측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하부지지수단(130)은 본체(110)의 하부측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점에서만 상이할 뿐 그 세부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각각의 지지수단은 2개 이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3 내지 10개 또는 그 이상 일 수 있으며, 이들 복수의 지지부재들은 서로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서로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설치장치(100)가 고로 내부 중심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지부재들이 서로에 대하여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면 앵커설치장치(100)가 고로의 중심부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이 각각 2개의 지지부재들로 구성되면, 2개의 지지부재가 서로 대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배치되면서 동시에 상부지지수단(120)의 지지부재들과 하부지지수단(130)의 지지부재들이 서로 교호로 배치 즉 서로 본체(110)의 중심축선에 평행한 동일 평면상에 있지 않도록 엇갈려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개의 지지부재들로 구성되면, 상부지지수단(120)을 구성하는 3개의 상부지지부재(121~123) 및 하부지지수단(130)을 구성하는 3개의 하부지지부재(131~133)는 각각 동일평면상에서는 서로에 대하여 120ㅀ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제1평면상에 배치된 3개의 상부지지부재와 제2평면상에 위치한 3개의 하부지지부재는 서로 교호로 배치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구현예로서 각각 3개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이 도 1a 및 도 1b의 구현예에서 개시되고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재(121, 122, 123) 및 하부지지부재(131, 132, 133)는 각각 그 일단부가 본체(110)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부가 고로노벽(11)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구성인데,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를 갖는다. 일 구현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재(121~123)는 제1연장부(121a~123a) 및 제2연장부(121b~123b)로 이루어진 2개의 실린더 형상의 길이부가 겹쳐져서 즉 제1연장부(121a~123a)내로 제2연장부(121b~123b)가 삽입된 상태로 고로(10)내부로 진입한 후, 제1연장부(121a~123a)로부터 제2연장부(121b~123b)가 연장되는 형태로 전개되어 특정위치에서 고로 노벽과 접촉되어 중공형 본체(110)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을 구성하는 상부지지부재(121~123) 및 하부지지부재(131~133)의 줌구조는 1개 이상의 연장부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동력원에 의해 전개되었다가 다시 서로 겹쳐져서 삽입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을 다 사용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유압실린더 구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에 활주가능하게 고정되는 피스톤로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가 복수개로서 지지로드를 작동가능하게 고정시키되, 액츄에이터의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지지로드의 일측단부에 연결되어 액츄에이터를 구성하는 피스톤로드의 유압실린더에서의 활주동작이 지지로드의 신축운동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상부지지부재(121~123) 및 하부지지부재(131~133)가 유압실린더 줌구조를 갖는 경우 고로 외부로부터 유압이 별도의 공급선을 통해 동력원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부재(121~123) 및 하부지지부재(131~133)는 모두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원상복귀비상밸브(125, 135)가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각각의 지지부재에 구성하는 제1연장부 및 제2연장부인 각 실린더 튜브 앞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비상시 초기사태로 모든 실린더가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원상복귀비상밸브구조를 통해 고로 안에서 앵커설치장치(100)를 외부로 인출하는 시간을 최소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수단(120)과 하부지지수단(130)을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 지지부재(121~123, 131~133)는 일단부측에서 본체(110)의 외측면에 힌지에 의해 고정되고, 별도의 작동수단, 예를 들면, 지지부재의 유압실린더와 본체(110) 사이에 액츄에이터를 힌지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절첩형 고정부재(124, 134)를 설치함으로써 지지부재들이 본체(110)에 대하여 절첩되도록, 즉 접히거나 펼쳐지는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의 절첩형 고정구조는 지지부재들을 접어서 본체(110)에 인접하도록 함으로써 앵커설치장치(100)가 차지하는 전체 부피를 줄여 취급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로 내부로 투입시 좁은 공간을 통해서도 고로 내부로 앵커설치장치(100)를 장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는 지지부재의 타단부 즉 고로노벽과 접촉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접촉부재(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재(137)는 지지부재가 고로노벽과 접촉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121~123, 131~133)가 고로노벽(11)과 접하는 단부측에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고로노벽(11)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도록 지지부재의 단부면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판상부재로 구성된 접촉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특히 접촉부재는 그 접촉면을 거칠게 처리하여 접촉마찰력이 향상된 표면을 갖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121~123, 131~133)는 그 타단부측 즉 고로노벽(11)과 접하는 단부측에 설치되는 촬영장치(136) 또는 위치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121~123, 131~133)가 고로노벽(11)에 접촉하여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길이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고로노벽(11)과의 거리 및 상태를 식별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고로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면서 특히 육안으로 보아 손상이 심한 부분에 앵커(20)를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장치(136)를 사용하여 고로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부지지부재 및 하부지지부재가 접촉 고정되기에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여 안전하게 상부 및 하부지지수단으로 앵커설치장치(100)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121~123, 131~133)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촬영장치 또는 위치센서는 내열성을 갖는 공지된 구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및 하부지지부재(121~123, 131~133)는 그 일단부와 그 타단부의 중심측에 설치되는 또 다른 촬영장치(138)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지지부재의 중심측에 촬영장치(138)가 설치되면, 앵커설치수단(140)에 의해 고로노벽(11)에 앵커(20)가 설치되는 상태를 사용자가 더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앵커설치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설치되는 촬영장치 또한 내열성을 갖는 공지된 구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앵커설치수단(140)은 고로(10) 내에서 본체(110)의 중심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부지지수단(120)과 하부지지수단(130) 사이의 본체(110) 영역에 설치되어 고로노벽(11)에 앵커(20)를 설치하는 구성요소로서, 앵커(20)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한 설치동작을 수행하여 앵커(20)를 고로 노벽에 고정시키는 구성이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 구현예로서 연결고정부(141), 앵커공급부(142) 및 앵커설치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촬영장치(14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정부(141)는 앵커공급부(142)와 앵커설치부(143)를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110)의 중공(111)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동력원에 의해 본체(110)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10)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일 구현예로서 연결고정부(141)는 회전부재(141a) 및 연결암부재(141b)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고정부(141)가 무게중심유지부재(141c)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회전부재(141a)는 기어모듈 및 커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모듈은 본체(110)의 외측면을 감싸서 본체(110)와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동시에 본체(110)에 대해 커버모듈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기어모듈은 본체(110)의 외측면을 감싸서 본체(110)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기어가 1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기어모듈은 본 발명의 구성에 적합한 공지된 모든 기어구조가 사용될 수 있는데, 기어모듈의 일구현예로서 1개 이상의 링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링기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하거나, 1개의 링기어와 그 하부에 일정 간격 이격시켜 1개의 테퍼베어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회전부재(141a)의 기어모듈로 링기어를 사용하는 것은 세밀한 원주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회전반경의 치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일 구현예로서 감속비를 2000:1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모듈은 전체적으로 본체(110)가 내부에 끼워지는 통형상 구조로서 기어모듈 및 본체(110)의 외측면을 감싸고 기어모듈의 외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기어모듈의 회전에 따라 본체(11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본체(110)에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커버모듈은 그 내측면이 기어모듈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기어모듈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동시에 기어모듈과 접하지 않는 영역은 본체(110)의 외측면과 면접하여 커버모듈과 본체(110)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구조일 수 있다.
연결암부재(141b)는 회전부재(141a)의 커버모듈(141a2)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고로노벽(11)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일단이 앵커공급부(142)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연결암부재(141b)는 커버모듈(141a2)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장방형 입체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를 갖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줌 구조는 공지된 구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 줌구조를 갖는 경우 고로 외부로부터 유압이 별도의 공급선을 통해 동력원으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연결암부재(141b)의 크기는 연결암부재(141b)의 앞단에 형성되는 앵커공급부(142)의 크기에 따른 적재가능한 앵커개수 및 앵커설치부(143)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에 따라 동작시에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충분히 크거나 작게 변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중심유지부재(141c)는 연결암부재(141b)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앵커공급부(142) 및 앵커설치부(143)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어 회전중심을 본체(110)의 중심축선상에 맞추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로서, 회전부재(141a)의 커버모듈(141a2)에서 연결암부재(141b)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인데, 무게중심만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무게를 더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즉 연결암부재(141b)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앵커공급부(142) 및 앵커설치부(143)의 무게로 인해 회전중심이 기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다른 쪽 단부에 무게중심유지부재(141c)를 설치하게 되면 회전중심이 기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앵커공급부(142)는 연결고정부(141)의 일단에 형성되어 앵커(20)를 적재하고 있다가 앵커설치부(143)에 앵커(20)를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일 구현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적재부재(142a) 및 앵커이송부재(142b)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적재부재(142a)는 적재함(142a1) 및 앵커이송모듈(142a2)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적재함(142a1)은 본체(110)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방향의 길이보다 폭이 좁은 장방형 상자구조로서 내부에 다수개의 앵커(20)가 규칙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앵커이송모듈(142a2)은 적재함(142a1)에 적재된 앵커(20)를 하단부에서 순차로 상단부로 이송하는 구성요소로서, 일 구현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42a1) 하부면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앵커적재판과 앵커적재판과 연결되어 앵커적재판을 적재함(142a1) 상부까지 이송하는 스크류축 및 스크류축에 동력을 공급하는 서브모터와 같은 동력원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앵커이송부재(142b)는 앵커적재부재(142a)의 상단부에 위치한 앵커(20)를 이송시켜 앵커설치부(143)에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일 구현예로서 다관절 로봇암을 사용할 수 있다. 다관절 로봇암은 자유로운 절곡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관절로 구성된 구조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적재부재(142a)로부터 앵커(20)들을 집어서 앵커설치부(143)의 앵커공급모듈(143c1)에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앵커(420를 고로 내벽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앵커설치부(143)는 앵커공급부(142)의 전면에 형성되어 앵커공급부(142)로부터 공급된 앵커(20)를 고로노벽에 설치하는 구성요소로서, 일 구현예로는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및 앵커로딩부재(143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앵커설치부(143)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및 앵커로딩부재(143c)가 하나씩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는 고로노벽에 앵커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드릴부재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줌 구조를 갖는 구멍형성을 위한 공지된 구조의 드릴머신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길이조절은 유압을 이용하고, 드릴부재의 작동은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정밀한 위치 및 깊이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스크류모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는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의 상부에 설치되어 형성된 구멍에 앵커를 삽입하는 구성요소로서,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또한 드릴부재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줌 구조를 갖고 선단에 앵커(20)가 끼워져서 형성된 구멍에 앵커(2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공지된 구조의 드릴머신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의 동작을 위한 동력원 또한 길이조절은 유압을 이용하고, 드릴부재의 작동은 정밀한 동작을 위해 스크류모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앵커로딩부재(143c)는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의 상부에 설치되어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의 단부에 앵커를 장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일 구현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공급모듈(143c1), 앵커삽입모듈(143c2) 및 앵커핑거모듈(143c3)을 포함하여 앵커공급부(142)를 이루는 앵커이송부재(142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앵커공급모듈(143c1)은 앵커공급부(142) 즉 앵커공급부(142)의 앵커이송부재(142b)에서 공급된 앵커(20)가 적재되는 구성요소이고, 앵커삽입모듈(143c2)은 앵커공급모듈(143c1)에 공급된 앵커(20)를 앵커핑거모듈(143c3)에 삽입시키는 구성요소이며, 앵커핑거모듈(143c3)은 앵커삽입모듈(143c2)에 의해 삽입되는 앵커(20)를 집어서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에 장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이 앵커설치부(143)에 포함된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및 앵커로딩부재(143c)는 일 구현예로서 각각 하부에서 상부로 순차적으로 일 열로 형성될 수 있는데, 필요한 경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및 앵커로딩부재(143c)를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구현하여 하나의 작업유닛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및 앵커로딩부재(143c)가 하나의 작업유닛을 이루게 되면, 앵커설치부(143)는 상기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작업유닛을 본체(110)의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일체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승하강가이드부재(14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가이드부재(143d)는 앵커공급부(142)의 앵커적재부재(142a) 전면에 형성될 수 있는데, 도 9와 같이 고로노벽에 연속적인 앵커설치작업이 가능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앵커설치부(143)는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및 앵커로딩부재(143c)로 이루어진 작업유닛을 2개 이상 수평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작업유닛이 다수개 구현되면 앵커를 설치하는 작업이 동시에 작업유닛 수만큼 일어날 수 있으므로 앵커설치작업속도를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다.
앵커설치수단(140)에 포함된 촬영장치(144)는 앵커설치작업을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확인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커설치수단(14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공급부(142)의 앵커이송부재(142b)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되는 촬영장치는 내열성을 갖는 공지된 구성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수직레이저센서(150)는 본 발명의 앵커설치장치(100)가 원통형인 고로내부의 특성상 수평과 수직 중심점이 중요하므로 고로내부에서의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앵커설치장치(100)를 고로(10)에 장입하기 위해 특수 제작된 외부크레인 지지봄이 고로(10)의 중심점까지 전진하고 그 중심점에서 앵커설치장치(100)가 앵커설치작업위치까지 하강하는데, 앵커설치장치(100)에 포함된 수직레이저센서(150)를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지지봄에 위치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 봄의 중심점과 앵커설치장치(100)의 중심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 및 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력원으로 하여 동작되는데, 외부에 위치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될 수도 있지만, 중공형본체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하여 상부지지수단, 하부지지수단 및 앵커설치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시켜 고로노벽에 앵커를 설치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세팅할 수도 있다.
또한, 고로노벽에 설치되는 앵커(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일 구현예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 바디의 일측단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 및 바디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드라이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촉 표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바디로부터 돌출된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는 보수재와의 접촉 표면적을 넓히는 기능을 하며, 그에 의하여 노벽 보수를 위하여 노벽으로 분사되는 보수재가 노벽에 더 잘 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소결 후에는 보수재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앵커(20)는 도시된 것과 다른 형상이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노벽에 고정되어 후속하여 노벽에 분사되는 보수재를 일시적으로 및/또는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는 특수 제작된 외부크레인 지지봄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앵커설치장치(100)가 고로(10) 내부로 장입되어 고로노벽(11)내 공간부로 들어가 위치되고 나면 곧바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내부 드럼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로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는 와이어의 풀림량에 비례된 만큼 자중에 의해 직하방으로 기설정된 높이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가 고로노벽(11)의 작업지점까지 이동 완료되고 필요한 경우 수직레이저센서(150)에서 송신된 위치데이터에 의해 앵커설치장치(100)의 중심점을 지지봄의 중심점과 맞춘 후 제어부는 본체(110) 외측에 절첩되어 고정된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의 지지부재(121~123, 131~133)를 전개시켜 고로노벽(11)에 지지부재(121~123, 131~133)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지지부재(121~123, 131~133)의 단부에 형성된 위치센서 또는 촬영장치를 통해 고로노벽(11)의 상태 및 고로노벽(11)과의 간격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지지부재(121~123, 131~133)의 단부 또는 접촉부재가 고로 노벽(11)과 접촉됨으로써 고로노벽(11)에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이 고로노벽(11)에 고정되면 이후에 상부지지수단(120)과 하부지지수단(130) 사이에 위치한 본체(110)의 중심부에 설치된 앵커설치수단(140) 중 연결고정부(141)의 연결암부재(141b)가 고로내벽(11)측으로 연장되고, 앵커공급부(142)가 앵커(20)를 앵커설치부(143) 중 앵커로딩부재(143c)에 공급하게 제어하거나, 앵커설치부(143) 중 앵커로딩부재(143c)에 이미 앵커를 적재시킨 경우에는 즉시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를 동작시켜 고로내벽(11)에 구멍을 형성하게 하면서, 앵커로딩부재(143c)가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에 앵커(20)를 로딩시키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 및 앵커로딩부재(143c)로 이루어진 작업유닛을 승하강가이드부재(143d)를 따라 하부로 하강시킨 후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 및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를 동시에 작동시켜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는 로딩된 앵커(20)를 고로노벽(1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시켜 고정시키고, 구멍형성용 드릴부재(143a)는 이전 구멍과 이격된 하부에 다른 구멍을 형성하도록 제어된다. 그 후 앵커로딩부재(143c)가 앵커삽입용 드릴부재(143b)에 앵커(20)를 로딩시키도록 제어한 후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승하강가이드부재(143d)를 따라 작업유닛이 하강 가능한 지점까지 고로노벽(11)에 앵커를 일정간격으로 균일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로노벽(11)의 특정지점에서 앵커의 설치가 끝나면 제어부는 연결고정부(141)를 회전시켜 앵커설치작업을 작업유닛이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이 고정된 사이의 고로노벽(11) 영역에 전체적으로 앵커(20)를 균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로노벽(11)의 특정원주영역 전체에 앵커설치가 끝나면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을 접은 후 와이어를 감아서 일정 높이만큼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를 올린 후 다시 상술된 바와 같이 동작하여 고로노벽(11)에 앵커를 설치하여 고로노벽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작업을 고로(10) 하부의 일정높이에서 기 설정된 상부까지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를 와이어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수행한 후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100)는 최초 고로(10)내로 장입될 때와 동일하게 상부지지수단(120) 및 하부지지수단(130)은 본체(110)외측으로 절첩되고, 앵커설치수단(140)은 연결암부재(141b)의 길이를 최소로 조절하여 가능한 본체(110)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고로(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로 11 : 고로노벽
20 : 앵커 100 :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10 : 중공형 본체 111 : 중공
120 : 상부지지수단 121~123 : 상부지지부재
130 : 하부지지수단 131~133 : 하부지지부재
124 , 134 : 절첩형 고정부재 125, 135 : 원상복귀비상밸브
140 : 앵커설치수단 141 : 연결고정부
141a: 회전부재 141b: 연결암부재
141c: 무게중심유지부재 142: 앵커공급부
142a: 앵커적재부재 142a1: 적재함
142a2: 앵커이송모듈 142b: 앵커이송부재
143: 앵커설치부 143a: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143b: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143c: 앵커로딩부재
143c1: 앵커공급모듈 143c2: 앵커삽입모듈
143c3 :앵커핑거모듈 143d : 승하강가이드부재
144: 촬영장치 150 : 수직레이저센서

Claims (20)

  1. 그 상부면이 크레인과 메인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고로에 장입된 상태에서 이동가능하며, 그 내부에 설치된 동력원을 포함하는 중공형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측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부가 고로노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2개 이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상부지지수단;
    상기 본체의 하부측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부가 고로노벽과 접촉하여 고정되는 2개 이상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지지수단; 및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지지수단과 하부지지수단 사이의 본체 영역에 설치되어 고로노벽에 앵커를 설치하는 앵커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수단은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고정부; 상기 연결고정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앵커를 적재하고 있다가 앵커설치부에 앵커를 공급하는 앵커공급부; 및 상기 앵커공급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앵커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앵커를 고로노벽에 설치하는 앵커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서 상기 본체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기어가 1개 이상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기어모듈 및 상기 기어모듈 및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기어모듈의 외측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기어모듈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커버모듈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커버모듈의 외측면에 수직하게 상기 고로노벽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일단이 앵커공급부와 고정되는 연결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암부재는 상기 커버모듈의 일측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장방형 입체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연결암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앵커공급부 및 앵커설치부의 무게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커버모듈에서 상기 연결암부재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무게중심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공급부는 상기 연결고정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앵커적재부재; 및 상기 앵커적재부재의 상단에 설치되어 적재된 앵커를 상기 앵커설치부에 이송하는 앵커이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적재부재는 다수의 앵커가 적재되는 적재함; 및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어 적재된 앵커를 하단부에서 순차로 상단부로 이송하는 앵커이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이송부재는 상기 앵커적재부재의 상단부에 위치한 앵커를 이송시켜 상기 앵커설치부에 공급하는 다관절 로봇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부는 고로노벽에 앵커가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형성된 구멍에 앵커를 삽입하는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의 단부에 앵커를 장착시키는 앵커로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로딩부재는 상기 앵커공급부에서 공급된 앵커가 적재되는 앵커공급모듈; 상기 앵커공급모듈에 공급된 앵커를 앵커핑거모듈에 삽입시키는 앵커삽입모듈; 및 상기 앵커삽입모듈에 의해 삽입된 앵커를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에 장착시키는 앵커핑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로딩부재는 일 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부는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로딩부재를 설치된 상태에서 일체로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에 평행하게 슬라이딩시키는 승하강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는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를 갖고 스크류모터에 의해 일정압력이 가해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부는 상기 구멍형성용 드릴부재, 상기 앵커삽입용 드릴부재 및 상기 앵커로딩부재를 각각 복수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설치수단은 촬영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수직레이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타단부까지 길이가 조절되는 줌 구조,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원상복귀비상밸브가 설치되는 구조, 그 타단부측에 촬영장치 또는 위치센서가 설치되는 구조, 그 일단부와 그 타단부의 중심측에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구조 및 상기 일단부측에서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을 포함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는 절첩 고정구조 중 하나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수단, 하부지지수단, 및 앵커설치수단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 및 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동력원으로 하여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수단, 하부지지수단 및 앵커설치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벽강화용 앵커설치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의 앵커설치장치에 의해 설치된 다수의 앵커가 장착된 고로노벽을 포함하는 고로.
KR1020150178398A 2015-12-14 2015-12-14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KR10177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398A KR101774954B1 (ko) 2015-12-14 2015-12-14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398A KR101774954B1 (ko) 2015-12-14 2015-12-14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631A true KR20170070631A (ko) 2017-06-22
KR101774954B1 KR101774954B1 (ko) 2017-09-26

Family

ID=5928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398A KR101774954B1 (ko) 2015-12-14 2015-12-14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19B1 (ko) * 2020-01-07 2020-05-27 대명지이씨(주) 천정 시공 로봇
KR20200001278U (ko) * 2020-05-28 2020-06-17 문춘호 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954B1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954B1 (ko) 고로노벽 강화용 앵커설치장치
EP2257754B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locking point of an electrode
GB2036272A (en) Apparatus for hot repair of furnace linings
CA2762112C (en) Furnace, refractory installing method, and refractory block
CN103080680B (zh) 用于炉子的盖的举升和回转装置以及炉设备和用于对这种炉设备进行装料和维修的方法
US3370888A (en) Furnace refractory delining apparatus
KR101718802B1 (ko) 앵커설치장비 및 상기 앵커설치장비를 포함하는 고로노벽앵커설치장치를 이용한 고로노벽강화방법
CN103557693B (zh) 一种回转窑筒体安装方法
CA1084568A (en) Apparatus for electric furnace capable of effecting electrode connection and refractory lining repair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E518329C2 (sv) Laddmaskin för omflyttning av tätt invid varandra angränsande långsträckta föremål, särskilt bränsleelement i ett kärnkraftverk
KR101240275B1 (ko) 원자력 발전소 1차 계통 관통 노즐 정비용 자동 용접장치
KR101774947B1 (ko) 고로노벽 보수장치
RU2308695C2 (ru) Измерительный зонд для погружения в расплав металла
KR102340971B1 (ko) 용해로
KR101988289B1 (ko) 전극봉 조립장치
TWI353609B (en) Fuel assembly top nozzle repair sleeve and method
CN208293027U (zh) 高炉炉顶布料溜槽更换装置
KR101696655B1 (ko) 고로 노벽 보수를 위한 앵커고정장치
CN108396088A (zh) 高炉炉顶布料溜槽更换装置和更换方法
SE444398B (sv) Stopparanordning vid avgjutningsugnar
JPH11302711A (ja) 高炉の炉内壁補修装置
KR101562120B1 (ko) 고로 노벽 보수장치
CN212030221U (zh) 一种窑炉热修用悬吊砖
CN115582686A (zh) 一种螺栓装配与拆卸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62121B1 (ko) 고로 노벽 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