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331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331A
KR20170070331A KR1020150177100A KR20150177100A KR20170070331A KR 20170070331 A KR20170070331 A KR 20170070331A KR 1020150177100 A KR1020150177100 A KR 1020150177100A KR 20150177100 A KR20150177100 A KR 20150177100A KR 20170070331 A KR20170070331 A KR 20170070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terlayer insulating
insulating layer
gate
met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3038B1 (ko
Inventor
박춘호
오충완
김동준
김상우
이정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0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6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2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 H01L21/023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introduction of oxygen
    • H01L21/023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introduction of oxygen into a nitride layer, e.g. changing SiN to 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2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 H01L21/0232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introduction of nitrogen
    • H01L21/0233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introduction of substances into an already existing insulating layer introduction of nitrogen into an oxide layer, e.g. changing SiO to SiON
    • H01L27/32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substrate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51/5253
    • H01L51/5278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수소화율 향상 및 막질 강건화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특성 및 HCS 신뢰성을 개선하고,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적합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마련하고, 소자의 신뢰성 및 초기 성능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채널 수소화율 향상 및 막질 강건화를 위해 제1층간 절연층 및 제2층간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를 복층(multi layer)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사용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자발광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election) 주입전극(cathode)과 정공(hole) 주입전극(anode)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층 내부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한 엑시톤(exc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형성한다. 표시 패널은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상부발광(Top-Emission) 방식, 하부발광(Bottom-Emission) 방식 및 양면발광(Dual-Emission)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구동방식에 따라 수동매트릭스형(Passive Matrix)과 능동매트릭스형(Active Matrix)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 휘도 및 고 색재현율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연성을 부여하여 곡면을 갖게 하거나 인위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을 목표로 할 때 서브 픽셀의 설계 마진을 고려해야 함은 물론 서브 픽셀의 내부에 추가된 보상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고려하여 레이아웃을 설계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 제안된 제조방법에 따라 표시 패널을 제조할 경우 박막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소자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문턱전압이 이동하는 문제가 있어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채널 수소화율 향상 및 막질 강건화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특성 및 HCS 신뢰성을 개선하고,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적합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마련하고, 소자의 신뢰성 및 초기 성능을 향상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금속층, 제1층간 절연층, 중간 금속층, 제2층간 절연층 및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반도체층은 제1기판 상에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층은 반도체층 상에 위치한다. 게이트 금속층은 게이트 절연층 상에 위치한다. 제1층간 절연층은 게이트 금속층 상에 위치한다. 중간 금속층은 제1층간 절연층 상에 위치한다. 제2층간 절연층은 중간 금속층 상에 위치한다.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은 제2층간 절연층 상에 위치한다. 제1층간 절연층 및 제2층간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층(multi layer)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층간 절연층은 실리콘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질화막(SiNx)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층간 절연층은 적어도 이중층으로 구성되며, 이중층의 상부층과 하부층은 서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층간 절연층의 하부층은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선택되고, 제2층간 절연층의 상부층은 실리콘질화막(SiNx)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1층간 절연층은 적어도 이중층으로 구성되며, 이중층의 상부층과 하부층은 서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층간 절연층의 하부층은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선택되고, 제1층간 절연층의 상부층은 실리콘질화막(SiNx)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제1층간 절연층의 하부층과 상부층의 두께 비율은 30% : 70% ~ 50% : 50%일 수 있다.
게이트 금속층의 일부, 중간 금속층의 일부 및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의 일부는 복층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과, 보호막 상에 위치하는 평탄화층과,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과,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과,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더 포함하고, 하부 전극은 게이트 금속층의 일부, 중간 금속층의 일부 및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의 일부로 구성되는 복층 커패시터 상에서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채널 수소화율 향상 및 막질 강건화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특성 및 HCS(Hot Carrier Stress) 신뢰성을 개선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 시 소자의 신뢰성 및 초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을 목표로 할 때 서브 픽셀의 설계 마진과 보상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수렴할 수 있는 서브 픽셀의 설계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적합한 형태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예시도.
도 3은 도 2의 보상회로를 구체화한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서브 픽셀의 구동 파형 예시도.
도 5는 종래에 제안된 서브 픽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브 픽셀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보상회로를 구체화한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서브 픽셀의 구동 파형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처리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게이트 구동부(140) 및 표시 패널(150)이 포함된다.
영상 처리부(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영상 처리부(110)는 시스템 회로기판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영상 처리부(1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어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라인들(DL1 ~ 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
게이트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40)는 게이트라인들(GL1 ~ GLm)을 통해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40)는 게이트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게이트 구동부(140)에서 게이트인패널 방식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시프트 레지스터 등이다.
표시 패널(150)은 데이터 구동부(130) 및 게이트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50)은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픽셀들(SP)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거나 백색 서브 픽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들(SP)은 발광 특성에 따라 발광 영역(빛이 출사 되는 영역)이나 회로 영역(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는 영역)이 하나 이상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Cst), 보상회로(CC)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가 포함된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게이트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신호에 응답하여 제1데이터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신호가 커패시터(Cst)에 데이터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따라 고전위 전원라인(EVDD)과 저전위 전원라인(EVSS)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트랜지스터는 저온 폴리실리콘(LTPS), 아몰포스 실리콘(a-Si), 산화물(Oxide) 또는 유기물(Organic)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경우 서브 픽셀에는 보상 커패시터(C), 센싱 트랜지스터(ST), 센싱 트랜지스터(ST)를 제어하는 제1b게이트라인(GL1b), 센싱 트랜지스터(ST)를 통해 노드B(B)를 센싱하거나 초기화전압(Vini)을 공급하는 초기화라인(VINI), 발광제어 트랜지스터(ET), 발광제어 트랜지스터(ET)를 제어하는 제1c게이트라인(GL1c)이 포함된다. 도 3에서 "Coled"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기생 커패시터를 의미한다.
서브 픽셀에 포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센싱 트랜지스터(ST) 및 발광제어 트랜지스터(ET)는 N타입 트랜지스터(NMOS TFT)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서브 픽셀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P타입 트랜지스터(PMOS TFT) 등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경우 서브 픽셀은 초기화 기간(ti), 샘플링 기간(ts), 프로그래밍 기간(tw) 및 발광 기간(tem)의 순으로 동작한다. 서브 픽셀을 구동하기 위한 기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1데이터라인(DL1)에는 소정의 기준전압(Vref)이 공급된다. 초기화 기간(ti) 동안 제A노드(A)의 전압은 기준전압(Vref)으로 초기화되고, 제B노드(B)의 전압은 소정의 초기화전압(Vini)으로 초기화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소스 팔로워(source-follower) 방식에 따라 구동 트랜지스터(DR)의 게이트-소오스 간의 전압(Vgs)은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Vth)으로서 샘플링되고 샘플링된 문턱전압(Vth)은 커패시터 (Cst)에 저장된다. 샘플링 기간(ts) 동안 제A노드(A)의 전압은 기준전압(Vref)이 되고, 제B노드(B)의 전압은 Vref-Vth가 된다.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제1데이터라인(DL1)을 통해 데이터전압(Vdata)이 공급되고, 커패시터(Cst)에는 문턱전압분이 보상된 데이터전압(Vdata-Vref+Vth-C' *(Vdata-Vref))이 프로그래밍된다. 여기서, C'는 보상 커패시터(C)에 충전된 전압으로서 Cst/(Cst+C)로 정의된 값을 갖는다. 커패시터들(Cst, C)은 프로그래밍 기간(tw) 동안 데이터전압(Vdata)에 따라 제A노드(A)의 전위가 변할 때, 그 변화분을 전압 분배하여 제B노드(B)에 반영한다.
발광 기간(tem) 동안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을 기반으로 발생한 구동전류에 대응하여 빛을 발광한다. 한편, 초기화 기간(ti), 샘플링 기간(ts) 및 프로그래밍 기간(tw)이 1 수평 시간(1H) 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앞서 설명한 4T(Transistor) 2C(Capacitor) 구조의 보상회로가 추가된 서브 픽셀을 기반으로 고 해상도 및 고 정세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고찰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의 단면을 기반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회로는 생략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는 저온 폴리실리콘(LTPS)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종래 구조>
도 5는 종래에 제안된 서브 픽셀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SUB) 상에는 버퍼층(BUF)이 형성된다. 버퍼층(BUF) 상에는 불순물 영역(LDD)(또는 lightly doped drain; LDD)을 갖는 반도체층(ACT)이 형성된다. 반도체층(ACT)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GI) 상에는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이 형성된다.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 상에는 층간 절연층(ILD)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층(ILD) 상에는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 SDc)이 형성된다.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 SDc) 상에는 보호막(PAS)이 형성된다. 보호막(PAS) 상에는 평탄화층(OC)이 형성된다.
평탄화층(OC) 상에는 하부 전극(E1)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E1) 상에는 개구영역을 갖는 뱅크층(BNK)이 형성된다. 뱅크층(BNK)의 비개구영역 상에는 스페이서(SPC)가 형성된다. 뱅크층(BNK)의 개구영역 상에는 유기 발광층(OL)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OL) 상에는 상부 전극(E2)이 형성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제1기판(SUB) 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ACT), 제A게이트 금속층(GAT1a), 제A 및 제B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SDb)으로 이루어진다. 커패시터(Cst)는 제B게이트 금속층(GAT1b) 및 제C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c)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하부 전극(E1), 유기 발광층(OL) 및 상부 전극(E2)으로 이루어진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 휘도 및 고 색재현율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연성을 부여하여 곡면을 갖게 하거나 인위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을 목표로 할 때 서브 픽셀의 설계 마진을 고려해야 함은 물론 서브 픽셀의 내부에 추가된 보상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고려하여 레이아웃을 설계해야 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을 목표할 때 서브 픽셀의 설계 가능 면적은 줄어들지만 보상회로 등의 추가로 인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전극이나 신호라인이 복잡도는 상승한다. 하지만, 종래에 제안된 제조방법은 여전히 낮은 박막 적층 구조를 사용하고 있는바 이를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종래에 제안된 제조방법에 따라 표시 패널을 제조할 경우 한정된 면적 내에서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적합한 형태로 커패시터(Cst)의 정전용량을 마련할 수 없다. 그 이유는 C=ε*A/d (C: 커패시터의 정전용량, ε: 유전율, A:면적, d:거리)로 정의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종래에 제안된 제조방법을 따를 경우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제안된 제조방법의 문제를 해소함과 더불어 고해상도 및 고정세 표시 패널을 개발할 수 있는 실시예들을 도출한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SUB) 상에는 접착층(ADH)이 형성된다. 접착층(ADH) 상에는 멀티 버퍼층(MBUF)이 형성된다. 멀티 버퍼층(MBUF) 상에는 버퍼층(BUF)이 형성된다. 버퍼층(BUF) 상에는 불순물 영역(LDD)(또는 lightly doped drain; LDD)을 갖는 반도체층(ACT)이 형성된다.
반도체층(ACT)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GI) 상에는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이 형성된다.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인듐주석산화물(IT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 상에는 제1층간 절연층(ILD1)이 형성된다. 제1층간 절연층(ILD1)은 단일층 또는 복층(multi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층간 절연층(ILD1) 상에는 중간 금속층(TM2a, TM2b)이 형성된다. 중간 금속층(TM2a, TM2b)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인듐주석산화물(IT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 금속층(TM2a, TM2b) 상에는 제2 층간 절연층(ILD2)가 위치하며, 제2층간 절연층(ILD2)은 단일층 또는 복층(multi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2층간 절연층(ILD2)이 제2하부 층간 절연층(ILD2a)과 제2상부 층간 절연층(ILD2b)을 포함하는 이중층으로 형성된다. 제2하부 및 제2상부 층간 절연층(ILD2a, ILD2b) 상에는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 SDc)이 형성된다.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 SDc) 상에는 보호막(PAS)이 형성된다. 보호막(PAS) 상에는 평탄화층(OC)이 형성된다.
평탄화층(OC) 상에는 하부 전극(E1)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E1)은 제A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 전극(E1) 상에는 개구영역을 갖는 뱅크층(BNK)이 형성된다. 뱅크층(BNK)의 비개구영역 상에는 스페이서(SPC)가 형성된다. 뱅크층(BNK)의 개구영역 상에는 유기 발광층(OL)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OL) 상에는 상부 전극(E2)이 형성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제1기판(SUB) 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ACT), 제1A게이트 금속층(GAT1a), 제A 및 제B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SDb)으로 이루어진다. 커패시터(Cst)는 제B게이트 금속층(GAT1b), 제B중간 금속층(TM2b) 및 제A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하부 전극(E1), 유기 발광층(OL) 및 상부 전극(E2)으로 이루어진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1층간 절연층(ILD1) 상에 중간 금속층(TM2a, TM2b)을 더 추가한다. 중간 금속층(TM2a, TM2b)은 게이트 금속층 또는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중간 금속층(TM2a, TM2b)은 한정된 면적 내에서 커패시터(Cst)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함과 더불어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을 더블(또는 2 게이트전극)로 하여 구동 특성(전류 구동 능력 향상)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절연층(GI)으로 실리콘산화막(SiO2)을 사용하였고, 제1층간 절연층(ILD1)으로 실리콘산화막(SiO2)을 사용하고, 제2하부 및 제2상부 층간 절연층(ILD2a, ILD2b)으로 실리콘산화막(SiO2)과 실리콘질화막(SiNx)을 사용한다.
제1실시예를 평가한 결과, 중간 금속층(TM2a, TM2b)의 추가로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적합한 형태로 커패시터(Cst)와 보상 커패시터(C)의 정전용량을 마련함과 더불어 서브 픽셀 레이아웃 시 복잡도가 상승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실시예에서는 게이트 금속층 상에 위치하는 중간 금속층 또는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을 더 이용하여 커패시터(Cst)를 형성한다. 즉, 제1실시예는 종래 구조 대비 높은 박막 적층 구조를 사용하므로 서브 픽셀의 설계 마진율을 높인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제조 공정상 게이트 금속층과 중간 금속층 간의 구조적인 문제로 유발될 수 있는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의 전극 또는 라인에 대해 건식 식각(Dry Etch) 공정을 진행한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판(SUB) 상에는 접착층(ADH)이 형성된다. 접착층(ADH) 상에는 멀티 버퍼층(MBUF)이 형성된다. 멀티 버퍼층(MBUF) 상에는 버퍼층(BUF)이 형성된다. 버퍼층(BUF) 상에는 불순물 영역(LDD)(또는 lightly doped drain; LDD)을 갖는 반도체층(ACT)이 형성된다.
반도체층(ACT)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GI)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GI) 상에는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이 형성된다.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인듐주석산화물(IT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금속층(GAT1a, GAT1b) 상에는 제1층간 절연층(ILD1)은 단일층 또는 복층(multi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층간 절연 층(ILD1)이 제1하부 층간 절연층(ILD1a)과 제1상부 층간 절연층(ILD1b)을 포함하는 이중층으로 형성된다. 제1상부 층간 절연층(ILD1b) 상에는 중간 금속층(TM2a, TM2b)이 형성된다. 중간 금속층(TM2a, TM2b)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인듐주석산화물(ITO),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으며,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 금속층(TM2a, TM2b) 상에는 제2 층간 절연층(ILD2)가 위치하며, 제2층간 절연층(ILD2)은 단일층 또는 복층(multi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2층간 절연층(ILD2)이 제2하부 층간 절연층(ILD2a)과 제2상부 층간 절연층(ILD2b)을 포함하는 이중층으로 형성된다. 제2상부 층간 절연층(ILD2b) 상에는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 SDc)이 형성된다.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 SDc) 상에는 보호막(PAS)이 형성된다. 보호막(PAS) 상에는 평탄화층(OC)이 형성된다.
평탄화층(OC) 상에는 하부 전극(E1)이 형성된다. 하부 전극(E1)은 제A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부 전극(E1)은 커패시터(Cst)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제A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과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하부 전극(E1) 상에는 개구영역을 갖는 뱅크층(BNK)이 형성된다. 뱅크층(BNK)의 비개구영역 상에는 스페이서(SPC)가 형성된다. 뱅크층(BNK)의 개구영역 상에는 유기 발광층(OL)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OL) 상에는 상부 전극(E2)이 형성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제1기판(SUB) 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ACT), 제1A게이트 금속층(GAT1a), 제A 및 제B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 SDb)으로 이루어진다. 커패시터(Cst)는 제B게이트 금속층(GAT1b), 제B중간 금속층(TM2b) 및 제A소오스 드레인 금속층(SDa)으로 이루어진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하부 전극(E1), 유기 발광층(OL) 및 상부 전극(E2)으로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하부 층간 절연층(ILD1b) 상에 중간 금속층(TM2a, TM2b)을 더 추가한다. 중간 금속층(TM2a, TM2b)은 게이트 금속층 또는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중간 금속층(TM2a, TM2b)은 한정된 면적 내에서 커패시터(Cst)의 정전용량을 증가(복층 커패시터 구조에 의한 정전용량 증가 및 면적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함과 더불어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을 더블(또는 2 게이트전극)로 하여 구동 특성(전류 구동 능력 향상)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절연층(GI)으로 실리콘산화막(SiO2)을 사용하였고, 제1층간 절연층(ILD1)으로 실리콘산화막(SiNx)을 사용하고, 제2하부 및 제2상부 층간 절연층(ILD2)으로 실리콘산화막(SiO2)과 실리콘질화막(SiNx)을 사용한다.
이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제1층간 절연층(ILD1)을 실리콘질화막(SiNx)의 단일층보다 실리콘질화막(SiNx)(상부층)/실리콘산화막(SiO2)(하부층)의 이중층을 사용한다.
이 구조에 의해, 제2실시예는 제1층간 절연층(ILD1)을 구성하는 실리콘질화막(SiNx)으로부터의 수소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중간 금속층(TM2a, TM2b)으로 인하여 수소의 이동거리가 증가하는 문제가 해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제2실시예에는 이중층의 제1층간 절연층 구조로 수소 공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소자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었다.
또한, 제2실시예는 이중층의 제1층간 절연층 구조를 사용함에 따라 제1실시예 대비 건식 식각 플라즈마(Dry Etch Plasma) 및 실란계(Silane) 가스(Gas)에 의한 게이트 절연층(GI)의 손상 문제를 완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이 가능한 표시 패널 제작시 소자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스트레스 인가 테스트 이후 전류 이동도 저하 발생 문제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이동하는 문제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고온 신뢰성 테스트 이후 문턱전압이 네거티브 방향으로 이동 문제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실리콘질화막(SiNx)과 실리콘산화막(SiO2)이 층간 절연층의 재료로 선택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층간 절연층은 실리콘 카바이트(SiC) 등과 같이 실리콘을 포함하는 재료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주요 구조층에 사용된 재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실시예들의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한 실험 조건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이하 표 1에서 두께의 단위는 Å(옹스트롬)이다.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2층간 절연층
(두께)
SiNx/SiO2
(2300/2700Å)
SiNx/SiO2
(4000/2000Å)
중간 금속층
(두께)
Mo
(2500Å)
Mo
(2000Å)
제1층간 절연층
(두께)
SiNx
(1300Å)
SiNx/SiO2
(750/500Å)
게이트 금속층
(두께)
Mo
(2500Å)
Mo
(2500Å)
게이트 절연층
(두께)
SiO2
(1100Å)
SiO2
(1300Å)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기반으로 평가를 다양한 진행한 결과, 제1하부 및 제1상부 층간 절연층(ILD1a, ILD1b)에 사용되는 실리콘산화막(SiO2)과 실리콘질화막(SiNx)의 두께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음을 밝혀내었다.
그 예로, 실리콘질화막(SiNx)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소자의 신뢰성 향상되고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은 포지티브 방향으로 이동(Vth + Shift)(문턱전압 특성 향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실리콘질화막(SiNx)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고온 신뢰성을 좌우하는 BTS (Bias Temperature Stress) 특성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실리콘산화막(SiO2)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소자의 초기 성능은 향상되지만 소자의 신뢰성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특성(문턱전압이 네거티브 방향으로 이동)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1하부 층간 절연층(ILD1a)을 구성하는 실리콘산화막(SiO2)의 두께는 10% ~ 90% 이내의 범위로 형성할 경우, 제1실시예와 대비하여 소자의 신뢰성 개선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하부 및 제1상부 층간 절연층(ILD1a, ILD1b)에 사용되는 실리콘산화막(SiO2)과 실리콘질화막(SiNx)의 두께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를 갖는바 이를 모두 수렴하기 위한 범위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제1상부 층간
절연층(SiNx)
제1하부 층간
절연층(SiO2)
신뢰성 및 초기 성능 평가 결과
70% 30% 좋음
60% 40% 매우 좋음
50% 50% 좋음
신뢰성 향상과 관계함 초기 성능 향상과 관계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1하부 층간 절연층(SiO2)과 제1상부 층간 절연층(SiNx)의 두께 비율은 30% : 70% ~ 50% : 50%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제1하부 층간 절연층(SiO2)과 제1상부 층간 절연층(SiNx)의 두께 비율이 위의 범위를 벗어는 경우 신뢰성 및 초기 성능 평가 결과는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표 2는 제1하부 및 제1상부 층간 절연층(ILD1a, ILD1b)에 사용되는 실리콘산화막(SiO2)과 실리콘질화막(SiNx)의 두께를 최적화하기 위한 실험을 반복하여 얻은 결과이다. 즉, 제2실시예는 총 4층의 층간 절연층 구조를 사용하여 채널 수소화율 향상 및 막질 강건화는 물론 소자의 신뢰성과 초기 성능을 향상시킨 결과를 얻었다.
표 2는 저온 폴리실리콘(LTPS) 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하는 4T2C 구조의 보상회로가 추가된 표시 패널의 실험 결과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저온 폴리실리콘(LTPS) 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위와 같은 평가 결과를 얻었지만, 이 결과는 아몰포스 실리콘(a-Si), 산화물(Oxide) 또는 유기물(Organic) 트랜지스터를 기반으로 하는 표시 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2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소자의 신뢰성과 초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형성시, 싱글 게이트 전극 구조(게이트 전극이 게이트 절연층 상에서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구조가 아닌 하나로 이루어진 구조)를 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효과에 따르면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시에도 트랜지스터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채널 수소화율 향상 및 막질 강건화를 통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특성 및 HCS(Hot Carrier Stress) 신뢰성을 개선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 시 소자의 신뢰성 및 초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을 목표로 할 때 서브 픽셀의 설계 마진과 보상회로가 차지하는 공간을 수렴할 수 있는 서브 픽셀의 설계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 해상도 및 고 정세 구현에 적합한 형태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영상 처리부 120: 타이밍 제어부
130: 데이터 구동부 140: 게이트 구동부
150: 표시 패널 GI: 게이트 절연층
ILD1: 제1층간 절연층 ILD2: 제2층간 절연층
GAT1a, GAT1b: 게이트 금속층 TM2a, TM2b: 중간 금속층
SDa ~ SDc: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

Claims (9)

  1. 제1기판 상에 위치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게이트 금속층;
    상기 게이트 금속층 상에 위치하는 제1층간 절연층;
    상기 제1층간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중간 금속층;
    상기 중간 금속층 상에 위치하는 제2층간 절연층; 및
    상기 제2층간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간 절연층 및 상기 제2층간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층으로 구성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층간 절연층은
    실리콘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질화막(SiNx)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간 절연층은 적어도 이중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중층의 상부층과 하부층은 서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간 절연층의 하부층은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선택되고,
    상기 제2층간 절연층의 상부층은 실리콘질화막(SiNx)으로 선택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간 절연층은 적어도 이중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중층의 상부층과 하부층은 서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간 절연층의 하부층은 실리콘산화막(SiO2)으로 선택되고,
    상기 제1층간 절연층의 상부층은 실리콘질화막(SiNx)으로 선택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간 절연층의 하부층과 상부층의 두께 비율은
    30% : 70% ~ 50% : 50%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일부, 상기 중간 금속층의 일부 및 상기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의 일부는 복층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 상에 위치하는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상에 위치하는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 상에 위치하는 하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상부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게이트 금속층의 일부, 상기 중간 금속층의 일부 및 상기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의 일부로 구성되는 복층 커패시터 상에서 상기 소오스 드레인 금속층의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150177100A 2015-12-11 2015-12-1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100A KR102543038B1 (ko) 2015-12-11 2015-12-1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100A KR102543038B1 (ko) 2015-12-11 2015-12-1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331A true KR20170070331A (ko) 2017-06-22
KR102543038B1 KR102543038B1 (ko) 2023-06-15

Family

ID=5928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100A KR102543038B1 (ko) 2015-12-11 2015-12-11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0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9656A (ja) * 2006-12-04 200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3923A (ko) * 2010-06-07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9656A (ja) * 2006-12-04 2008-06-19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33923A (ko) * 2010-06-07 2011-12-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038B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67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0334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CN107799556B (zh) 显示装置
KR1024196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TWI696160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245561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7860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40079419A1 (en) Display device having power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electrode layers located above and below transistor
US9202857B2 (en) Display device
KR102139972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277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289236B2 (en) Method for replacing a main signal line with a sub signal line when a pixel circuit is defective
US20060221662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515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3813053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TW201351368A (zh) 顯示裝置
JP2008058853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66000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080117146A1 (en) Pixel circui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ixel circuit
KR20180133280A (ko) 표시 장치
US11563067B2 (en)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aperture ratio and transmissivity
KR102583621B1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337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92508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210926020U (zh) 一种分层式像素补偿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