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846A -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846A
KR20170068846A KR1020150175818A KR20150175818A KR20170068846A KR 20170068846 A KR20170068846 A KR 20170068846A KR 1020150175818 A KR1020150175818 A KR 1020150175818A KR 20150175818 A KR20150175818 A KR 20150175818A KR 20170068846 A KR20170068846 A KR 2017006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server
object communication
do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진
Original Assignee
황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진 filed Critical 황성진
Priority to KR1020150175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846A/ko
Publication of KR2017006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9Fundraising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물통신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고 수입을 통하여 기부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물통신이 가능한 사물통신 객체를 준비하고,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사물통신 객체를 인증하고, 단말기에서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하고,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고유의 기능에 따라 작동시키고,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 정보를 저장하고, 다시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 정보를 단말기 및 서버로 전송하고,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기부내용, 스폰서 및 광고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기부내용, 스폰서 및 광고를 확인한 후,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기부 완료 표시를 출력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An donation method using a communication of things}
본 발명은 기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 광고를 개제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광고 수익을 통해 기부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사물 통신을 이용한 기부(donation)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 발전과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와 비교하여 경제 규모는 증대하고 물질적으로는 풍요로운 시대를 우리는 살아 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 발전의 경제적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사회 구성원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재는 이들을 위한 각종 봉사 활동, 기득권 계층의 기부 문화에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부에 대한 문화적 기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일부 인터넷이나 컴퓨터/모바일 게임을 통한 기부 방법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는 기부자가 인터넷이나 게임 서버에 접속해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기부금 모금 대상 인원이 제한적이고, 기부 의식을 고취시키기에는 아직 효율적이지 못한 측면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게임 실행이나 인터넷 접속과 같은 사용자의 의도적인 조작이 없어도, 일상적인 생활 방식에서 수행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하여 바람직한 기부 모델을 유추할 수 있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양태에 의한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은, 사물통신이 가능한 사물통신 객체를 준비하는 단계와,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고유의 기능에 따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 정보를 상기 단말기 및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기부내용, 스폰서 및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기부내용, 스폰서 및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기부 완료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물통신 객체는, 사물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동작부와, 상기 사물 동작부와 인접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사물 통신 모듈, 사물 연산 모듈 및 사물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사물 제어부와, 상기 사물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사물통신 객체의 정보를 외부에서 받아오고 출력할 수 있는 사물 입출력 장치부와, 상기 사물 제어부와 함께 동작하며 상기 사물통신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사물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물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사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모든 정보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 단말기 입출력 장치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의해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서버 통신 모듈 및 서버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정보 제어부 및 상기 서버 정보 제어부와 함께 동작하며, 내부에 사용자 정보 저장부, 사물정보 저장부, 기부 단체 정보 저장부, 스폰서 기업 정보 저장부, 광고 기업 정보 저장부 및 실시간 기부액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버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사물 통신용 소프트웨어(S/W)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 통신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와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사물통신 객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서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를 사용하여 얻은 수익금으로 기부하고 싶은 기부 단체를 지정하는 것과,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를 사용하여 얻은 수익금으로 기부할 때 사용할 스폰서를 지정하는 것과,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를 사용할 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광고 기업을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고 단말기의 사물 통신용 소프트웨어에서 기부단체/스폰서/광고기업이 자동으로 생성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험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보유의 기능에 따라 작동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알림(Notice)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고유의 기능에 따라 작동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방식 및 작동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사물통신이 가능한 객체를 단말기 및 서버와 사물 통신을 통하여 결합시켜 사물통신 객체의 기능을 단순히 그 고유의 기능에만 제한하지 않고, 이를 기부 문화에 참여하는 수단으로서의 더 넓은 범위로 확장시켜 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부 문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사물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광고 기업으로부터 정보를 습득하고, 자신이 설정한 기부내역이 이를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기부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부 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일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기술이 직접적으로 사회 취약 계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 객체, 단말기 및 서버의 사물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물통신 객체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lowchart)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예컨대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 객체, 단말기 및 서버의 사물 통신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물통신 객체(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의 사물 통신은, 기존의 사물 통신 객체(100)가 단지 그 고유의 기능만을 수행하던 것에 제한시키지 않고 부가 기능을 추가하여 사물통신 객체(100)의 기능을 넓은 범위로 확장시켜 기부 방법까지 제시할 수 있게 한다.
사물 통신이란,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 서로 통신하는 지능형 통신으로 일명 M2M(machine To Machine)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사물 통신은 언제 어디서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미래형 통신 정보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사물 통신은 사람이 직접 하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나 위험한 일, 혹은 보안을 필요로 하는 일들을 기계가 대신하는데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물통신의 적용 분야는 무궁무진하지만, 일 예로 텔레마켓, 운동, 네비게이션, 스마트 계량기, 자동판매기, 보안 서비스 등에 응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사물통신 객체(100)는,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부터 자동판매기, 현금인출기, 자동차, 건강 정보를 수집하는 헬스 케어 장치, 가스 장치, 전기 장치, 검침기, 온습도 조절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 객체(100)는, 기존에 존재했던 사물 동작부(150) 외에 사물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지능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사물 제어부(110)와, 상기 사물 제어부(110)와 함께 동작하는 사물 입출력 장치부(120), 사물 정보 저장부(130) 및 사물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사물 제어부(110)에 관해서는 후속되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물 입출력 장치부(120)는 사물의 고유 기능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터치패널, 터치패드, 마우스, 펜, 마이크, 스피커, 카메라, 가상 및 증강 안경, 모션 센서, 지문 센서, 환경 센서, 게임 패드, 핸들, 스위치, 전등, 적외선 센서, 가스 센서, 화재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물 정보 저장부(130)는 상기 사물 제어부(110)의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메모리,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사물 디스플레이부(140)는 소형의 LCD, LED 패널 등이 될 수 있으며, 사물의 크기가 초소형이거나, 저전력을 필요로 할 때는 이를 탑재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사물통신 객체(100)는, 도면과 같이 단말기(200) 및 서버(300)와 유기적으로 사물통신을 통하여 서로 명령이나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200)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모니터, 개인용 컴퓨터(PC) 및 개인이 소지한 모바일 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모든 정보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1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10)에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단말기 입출력 장치부(220),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10)에 의해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 정보 저장부(230)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10)의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 역시 도면과 같이 사물통신 객체(100) 및 서버(300)와 서로 교신하면서 명령이나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 및 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300)는, 내부에 사물 통신 및 내부 연산이 가능한 서버 정보 제어부(310) 및 상기 단말기(200) 및 상기 사물통식 객체(100)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서버 정보 저장부(320)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사물통신 객체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물통신 객체(100)의 사물 제어부(110)에는 사물 통신 모듈(111)이 설치되어 있어 사물통신 객체(100)와 함께 작동하는 단말기(200) 및/혹은 서버(300)와 사물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사물 제어부(110)에는 사물 연산 모듈(112)과, 사물 입출력 모듈(113)이 마련되어 있어 단말기(200) 및/또는 서버(300)로부터 송수신 한 명령을 수행하거나 사물 동작부(15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는, 사물 제어부(110)와 함께 동작하며, 상기 사물 제어부(110)에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사물 입출력 장치부(120), 상기 사물 제어부(110)에 의해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물 정보 저장부(130) 및 상기 사물 제어부(110)의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사물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단말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200) 내부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210)에는, 단말기 통신 모듈(211), 단말기 연산 모듈(212) 및 단말기 입출력 모듈(213)이 마련되어 있어, 단말기(200) 내부에 설치된 단말기 정보 저장부(23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40) 및 단말기 입출력 장치부(220)와 서로 긴밀하게 상호 동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상호 동작에 의해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 및 서버(300)와 교신이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버(300)의 내부에 마련된 서버 정보 제어부(310)에는 서버 통신 모듈(311)과 서버 연산 모듈(312)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서버 정보 저장부(320)에 있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321), 사물 정보 저장부(322), 기부단체 정보 저장부(323), 스폰서 기업 정보 저장부(324), 광고 기업 정보 저장부(325) 및 실시간 기부액 정보(326) 등을 상기 서버 정보 제어부(도1, 310)가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와 단말기(200)와 서로 교신하면서 확인하거나, 혹은 편집, 수정 및 출력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Flowchart)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와 같이 사물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되고, 사물 제어부(110) 및 사물 입출력 장치부(120), 사물 정보 저장부(130), 사물 디스플레이부(140)와 사물 동작부(150)가 마련된 사물통신 객체(100)를 준비(S1)한다.
이어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와 사물통신이 가능한 단말기(200) 및 서버(300)를 준비한 후,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서버(300)에 사물통신 객체(100)를 인증(S2)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단말기(200)에서 사물간(M2M: Machine To Machine)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물 통신용 소프트웨어(Software)를 설치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와 단말기(200)가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program) 혹은 펌 웨어(Firmware)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말기(200)에서 상기 사물통신용 스프트웨어를 실행한 후, 서버(300)와 접속하여 로그인(login) 단계에 해당하는 사용자 인증을 먼저 받는다. 이때, 서버(300)는 서버 정보 저장부(220)에 있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321)의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200)로부터 보내진 사용자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진행한다. 그 후, 상기 단말기(100)와 사물통신 객체(100)를 각각의 통신 모듈(111, 211)을 통해 서로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200)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의 정보를 상기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300)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사물통신 객체(100)의 고유 아이디(ID)를 내부에 있는 사물 정보 저장부(322)와 비교하여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이 가능하면 사물통신 객체(100)의 고유 아이디를 사물 정보 저장부(322)에 기록한 후, 단말기(200)로 인증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여 인증 작업을 마무리한다. 이에 따라 사물통신 객체(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간 사물통신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단말기(200)에서 기부 방법을 설정(S3)한다. 상기 기부 방법은,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100)를 사용하면서 구독한 광고를 제공한 광고 기업으로부터 얻은 광고료 수익금으로 기부하고 싶은 기부 단체를 지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기부단체는 사회적 소외계층이 소속된 특정 단체 혹은 외부적으로 판단할 때 명백히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부 방법은,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100)를 사용하여 얻은 수익금으로 기부할 때 사용할 스폰서를 지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스폰서는 사용자가 속한 회사나, 종교 단체 혹은 사용자 개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부 방법은,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를 사용할 때 광고료를 지불하는 광고 기업을 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부단체, 스폰서 및 광고 기업은 서버(300)에 있는 서버 정보 저장부(320)에 있는 각 리스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하여 지정하거나 새로 생성하여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사용자가 복잡하게 지정하지 않아도 단말기(200) 및/혹은 서버(300)에 설치된 사물통신용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형하여 저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물 통신이 사물통신 객체(100), 단말기(200) 및 서버(300)와 서로교신되는 동안에 광고 메시지를 내보내고 이를 사물통신 객체(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읽고 정보를 습득하게 한다. 이러한 광고 메시지를 내보내는 광고 기업은 일정 금액의 광고료를 납부하도록 함으로써,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방법을 발명한 사람에게는 실질적인 이윤을 창출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사물통신 객체(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광고료를 특정 개인이나 단체에게만 가지 않게 하고 사회적 소외계층의 단체나 개인에게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물통신을 이용한 새로운 기술이 사회적 소외계층의 약자를 돕는 수단으로 확장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말하는 사물통신 객체(100)는 가전제품, 전기용품, 자동차, 건강용품과 같이 일상생활에서 일반인이 수시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터넷에 접속되었거나, 게임을 하는 특정인에 한정되어 제한적으로 기부를 수행하지 않고 기부금의 모금 대상을 일반인으로 확장시키는 않은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일반인의 기부 의식을 고취시키는데 있어 효율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일상용품을 일반인이 사용하면서 기부 문화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번 설정되면 사용자가 기부를 수행하는 절차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일상 생활을 통하여 사물통신을 이용하면서 기부 문화에 참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어서 사물통신 객체(100)의 고유 기능에 따라 상술한 기부가 실행되는 작동 방식, 작동주기 등을 단말기 디스플레이부(240) 및 단말기 입출력 장치부(220)를 통하여 설정(S4)한다. 상술한 기부가 실행되는 작동 방식, 작동주기 등의 정보는 다시 단말기 정보 저장부(230)에 저장되거나 혹은/및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방식 및 작동 주기의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기(200) 및 서버(300)에서 알림(Notice) 메시지를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혹은 사물 디스플레이부(140, 240)에 표시(S5)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100)의 사용 주기를 잊어버리더라도 이를 다시 기억시켜 주기 때문에 사물통신 객체(100)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 메시지의 표시되는 단계는 본 발명이 실현되는 과정에서 생략되거나, 맞춤형으로 자동 생성되는 방식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해, 혹은 사물통신 객체(100)의 자동 작동 방식에 의해 상기 사물통신 객체(100)를 그 고유의 기능에 부합하도록 작동(S6)시킨다. 그러면 사물통신 객체(100)는 작동한 기록을 사물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S7)하고, 다시 단말기(200) 및 서버(300)로 사물통신 객체(00)가 작동한 기록을 사물 통신 모듈(111)을 통해 전송(S8)한다.
이때 단말기(200) 및 서버(300)는 사물통신 객체(100)의 작동 기록을 수신하고 단말기(200) 및 사물통신 객체(100)의 디스플레이부(140, 240) 및/또는 입출력 장치부(120, 220)에 기부 내용, 스폰서 및 광고 메시지를 출력(S9)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확인하게 되는 광고 메시지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기부 내용 및 스폰서 기록은 사물통신 객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기부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동기가 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기부내용/ 스폰서/ 광고 메시지 혹은 화면을 확인(S10)하면,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200) 및/또는 사물통신 객체(100)로 기부 완료 메시지를 출력(S11)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방법은 사물통신 객체, 단말기, 서버를 통해 구현하는 방식으로만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를 다른 장치를 도입하여 다중 시스템 구조로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사물통신 객체, 110: 사물 제어부,
120: 사물 입출력 장치부 130: 사물 정보 저장부,
140: 사물 디스플레이부, 150: 사물 동작부,
200: 단말기, 2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220: 단말기 입출력 장치부, 230: 단말기 정보 저장부,
240: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300: 서버,
310: 서버 장치 제어부, 320: 서버 정보 저장부.

Claims (11)

  1. 사물통신이 가능한 사물통신 객체를 준비하는 단계;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고유의 기능에 따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 정보를 상기 단말기 및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기부내용, 스폰서 및 광고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기부내용, 스폰서 및 광고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기부 완료 표시를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는,
    사물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사물 동작부;
    상기 사물 동작부와 인접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사물 통신 모듈, 사물 연산 모듈 및 사물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사물 제어부;
    상기 사물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사물통신 객체의 정보를 외부에서 받아오고 출력할 수 있는 사물 입출력 장치부;
    상기 사물 제어부와 함께 동작하며 상기 사물통신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사물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물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사물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내부에서 처리되는 모든 정보를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 단말기 입출력 장치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의해 필요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필요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단말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서버 통신 모듈 및 서버 연산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정보 제어부; 및
    상기 서버 정보 제어부와 함께 동작하며, 내부에 사용자 정보 저장부, 사물정보 저장부, 기부 단체 정보 저장부, 스폰서 기업 정보 저장부, 광고 기업 정보 저장부 및 실시간 기부액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는 서버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사물 통신용 소프트웨어(S/W)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 통신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서버와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단말기로 사물통신 객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와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서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를 사용하여 얻은 수익금으로 기부하고 싶은 기부 단체를 지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를 사용하여 얻은 수익금으로 기부할 때 사용할 스폰서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사물통신 객체를 사용할 때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광고 기업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에 관한 기부 방법을 설정 방법은,
    단말기의 사물 통신용 소프트웨어에서 기부단체/스폰서/광고기업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보유의 기능에 따라 작동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 및 사물통신 객체로 알림(Notice)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를 고유의 기능에 따라 작동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사물통신 객체의 작동방식 및 작동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방법.
KR1020150175818A 2015-12-10 2015-12-10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KR20170068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18A KR20170068846A (ko) 2015-12-10 2015-12-10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18A KR20170068846A (ko) 2015-12-10 2015-12-10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46A true KR20170068846A (ko) 2017-06-20

Family

ID=5928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818A KR20170068846A (ko) 2015-12-10 2015-12-10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8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016B1 (ko) 스마트 휴대 기기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 로봇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방법
US109968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selection of contextual dashboards
US11657390B2 (en) Codechain-based models, apparatuses, system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the same
US201901160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able customized contextual user interfaces
US9935904B2 (en) Virtual assistant system to enable actionable messaging
US108878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function by causing elements of hardware to perform linkage operation
Dapp et al. Fintech reloaded–Traditional banks as digital ecosystems
CN104081382B (zh) 建立可动态指定的用户界面的方法和系统
CN104126315A (zh) 移动设备家长控制
Reijula et al. Human well-being and flowing work in an intelligent work environment
McHugh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recent developments and library implications
De Kare-Silver e-shock 2020: how the digital technology revolution is changing business and all our lives
KR20170068846A (ko) 사물통신을 이용한 기부 방법
Marson et al. The human connection to an intelligent building
PEOPLE et al. A DIGITAL FUTURE FOR TECHNOLOGY ENABLED CARE?
Wilkinson et al. Internet of things (iot)
JP2019114302A (ja) 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hin et al. A study of smart power control algorithm using RF communication in smart home environment
KR20200131728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Lärka Smart homes with smartphones: creating a Smart home application for smartphones
CN117876066A (zh) 信息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ang et al. TableSide
KR20160064605A (ko) 프로세스 몬스터 앱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