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518A -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518A
KR20170067518A KR1020150174261A KR20150174261A KR20170067518A KR 20170067518 A KR20170067518 A KR 20170067518A KR 1020150174261 A KR1020150174261 A KR 1020150174261A KR 20150174261 A KR20150174261 A KR 20150174261A KR 20170067518 A KR20170067518 A KR 20170067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offline
authentication
sto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223B1 (ko
Inventor
곽세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223B1/ko
Priority to PCT/KR2016/007916 priority patent/WO2017057832A1/ko
Publication of KR2017006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에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2차 인증 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기반으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의 정확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SYSTEM FOR PROCESSING OFFLINE PAYMENT, METHOD OF PROCESSING OFFLINE PAYMENT USING DETECTION ENTRY IN THE PAYMENT AREA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의 POS 근처로 진입하는지를 체크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가 보편화 되어감에 따라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모바일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에 있어서 중요한 테마 기술 중 하나는 결제 시 보안성과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기술이다. 즉, 결제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절차나 동작을 요구하여 인증을 수행하면서도 비정상적인 결제를 감지하여 부정결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모바일 단말을 통해 결제를 수행한 뒤, 사용자가 매장에 도착하면 결제된 상품을 받아가는 등의 기술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기 전에 모바일 단말을 통해 상품을 선택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해서 구매할 상품을 결정한 뒤 이를 매장의 POS에서 보다 간단한 과정을 통해 결제하는 기술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POS에서 간단한 결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구매한 상품을 수령하는 구매자와 결제를 수행한 결제자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부정결제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보안적 기술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116151호, 2013년 10월 23일 공개 (명칭: 보폭 추정 모델 파라미터를 이용한 보행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 사용자가 POS 근처의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만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인증 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기반으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의 정확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 인증이 완료된 이후의 구매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결제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인증을 위한 별도의 감지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을 통해 결제 영역 기반의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감지 장치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절약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는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하는 2차 인증부를 포함한다.
이 때, 2차 인증부는 상기 보행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가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및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스텝 주파수(step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는 상기 2차 인증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오프라인 결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2차 인증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에 진입한 후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을 초과한 경우 및 상기 보행 상태 변수가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이탈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2차 인증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하는 체크인 정보 수집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 수행부;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보행 상태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의 결과를 수신하는 결제 수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행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가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및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스텝 주파수(step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상기 2차 인증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에 진입한 후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을 초과한 경우 및 상기 보행 상태 변수가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이탈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2차 인증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써, 상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 사용자가 POS 근처의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만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인증 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기반으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의 정확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 인증이 완료된 이후의 구매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결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인증을 위한 별도의 감지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을 통해 결제 영역 기반의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감지 장치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인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인증을 위한 보행 상태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을 서버 측면에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을 단말 측면에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을 서버 측면에서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1은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단말(120), POS 장치(130), BLE 서버(140) 및 BLE 장치(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구매할 때,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상응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사용자의 단말(120)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와 함께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11)을 제공하여 결제와 관련된 절차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단말(120) 사이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단말(120) 사이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20)와 POS 장치(130) 및 BLE 서버(140)와 단말(120) 상호간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와 상이한 것일 수도 있고, 동일한 것일 수도 있다.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부터 상품 결제에 상응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단말(120)은 통신망에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로,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d),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개인휴대용 정보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일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12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의 입력부는 단말(120)의 표시부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의 입력부는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기반으로 카드를 선택하거나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단말(120)의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표시부는 단말(12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표시부는 단말(12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의 표시부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의 표시부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된 경우, 단말(120)의 표시부는 단말(120)의 입력부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의 표시부는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기반으로 제공되는 최적 추천 카드 및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저장부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장치 및 보조 기억장치를 포함하고, 단말(12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의 저장부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은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단말(120)의 저장부는 단말(12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을 기반으로 카드를 추천하거나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저장부는 다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와 단말(120)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DB는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20)의 정보는 단말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통신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20)의 통신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120)의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유선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120)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120)은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는 단말(120)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 및 BLE 서버(140)등이 통신하여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기반으로 최적 카드를 추천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제어부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되는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실행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로 서비스 이용 요청이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단말(120)의 정보가 함께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120)의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단말(120)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정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컨텐츠 실행에 따른 컨텐츠 사용 이력을 컨텐츠 사용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120)은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의 단말(120)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1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단말(120)의 내부에 구비된 여러가지 센서들을 기반으로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POS 장치(130)는 매장(160)에서 상품의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와 통신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상응할 수 있다.
BLE 서버(140)는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bluetooth low energy)을 활용하여 단말(120)의 위치를 파악하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일 수 있다.
이 때,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은 주변의 일정 반경 범위 내에서 블루투스 4.0을 기반으로 사물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즉, 단말(120)의 사용자가 별도의 행동을 취하기 않더라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결제 서비스를 위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비컨은 BLE(Bluetooth Low Energy)를 활용한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로, 근접도 측위를 바탕으로 사물 및 상황인식, 콘텐츠 푸시, 실내위치측위, 자동 체크인, 지오펜싱(GeoFencing) 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전의 유사한 기술과 비교하면 보다 편리하고, 적은 비용으로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서비스 시장 형성에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비컨은 어떤 신호를 알리기 위해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기기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BLE 장치(150)가 비컨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컨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따라 사운드 기반의 저주파 비컨, LED 비컨, 와이파이 비컨, 블루투스 비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비컨은 대략 21 바이트에 해당하는 소량의 패킷으로 주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신호를 받는 대상과 별도로 페어링이 필요하지 않으며, 저전력으로 동작하지만 최대 50미터까지 비컨 송신기의 ID값과 수신신호세기에 상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소형으로 어디든 쉽게 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의 경우에도 어느 곳이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160) 내의 특정 장소에 비컨을 설치하여 단말(120)을 소지한 사용자 및 고객이 BLE 비컨의 영역 내에 들어올 경우 해당 단말(120)을 감지하여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매장(160)은 결제가 수행되는 오프라인상의 매장에 해당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페이 에이전트 및 BLE 장치(150)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 가맹점에 상응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의 결제 시스템의 서비스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120)을 가지고 매장(160)에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1차적 체크인을 위해 BLE 기반 근거리 데이터 통신 기술인 비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매장(160)에 진입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160)에 위치하는 비컨인 BLE 장치(150)에서 전송되는 BLE 신호를 블루투스가 활성화된 단말(120)에서 BLE SDK(141)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BLE SDK(141)를 기반으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11)을 통해 BLE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 후, 단말(120)이 BLE 서버(140)로 BLE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전송하면, BLE 서버(140)에서는 BLE 신호에 상응하는 BLE 혜택과 관련된 정보를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매장(160)에 내부에서 이동하는 이동형 비컨으로부터 단말(120)이 이동 비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단말(120)이 진입한 매장(160)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 후, 단말(120)은 매장(160)에 상응하는 BLE 혜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BLE 혜택 정보를 기반으로 매장(160)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단말(120)의 사용자 정보와 매장(160)에 상응하는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멤버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멤버십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멤버십 제공 모듈은 사용자 별 멤버십 정보와 매장 별 매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신용카드 정보 또는 은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매장(160)에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신용카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결제할 때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과 신용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시간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은 신용카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보유한 신용카드 중 할인혜택, 매장혜택 및 적립 등을 고려한 최적 카드를 추천하는 최적 카드 추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의 종류별로 전월 목표 실적을 달성하였을 경우에 제공되는 혜택 정보와 멤버십 카드를 통해 제공되는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할인율이나 적립율에 따른 최적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카드 추천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과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멤버십 제공 모듈을 통해 멤버십 정보와 함께 매장(160)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이나 기프티콘에 대한 혜택 정보나 매장(160)에서 진행중인 이벤트 및 마케팅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매장(160)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프티콘이나 쿠폰을 조회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1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프티콘이나 쿠폰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매장들에 해당하는 이벤트 정보 및 마케팅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방문하는 매장(160)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 및 마케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후, 단말(12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접속한 사용자는 매장(160)에서 상품의 구매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에서 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 장치(150)를 통해 구매관련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구매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행위로 선 인증을 위한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구매를 위한 선 인증, 즉 1차 인증의 수단으로는 PIN 번호 입력, 픽처 이미지제스처 및 터치제스처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포함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서버(110)에 상응할 수 있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가 단말(120)에서 수행된 1차 인증의 해당하는 1차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매장(160)에서 구매할 상품을 가지고 POS 장치(130) 근처의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여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의 보행 상태를 측정하여 생성된 보행 상태 변수를 기반으로 단밀(120)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120)을 소지한 채 POS 장치(130)의 근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이동을 유도하는 구조물을 지나게되면서 자연스럽게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서버(110)는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진입 동작을 수행하면서 측정되는 보행 상태 변수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때, 2차 인증은 1차 인증에 종속적인 인증일 수 있으며, 1차 인증이 유효한 상태에서 2차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2차 인증은 결제 영역을 기반으로 한 방법 이외에도, 결제 zone 내에서 단말(120)을 이용한 움직임 제스처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 POS 장치(130)에 포함된 사인패드에 터치 패턴을 입력하는 방식, 사인패드에 교차점을 생성하는 방식, 질의응답 방식 등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 후, 2차 인증까지 완료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10)가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통한 결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알리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단말(120) 또는 POS 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단계 체크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어느 매장에 방문하였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장(160)에서 1차 인증을 수행하고 간단한 2차 인증을 수행하는 것만으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최적의 카드를 이용하여 상품을 결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는 통신부(210), 체크인 정보 획득부(220), 1차 인증부(230), 보행 상태 정보 획득부(240), 2차 인증부(250), 오프라인 결제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오프라인 결제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모바일 단말로부터 체크인 정보 및 보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에게 오프라인 결제 처리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매장에 설치된 POS로부터 오프라인 결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체크인 정보 획득부(220)는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비컨(beacon)에 기반한 체크인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나, Wi-Fi 및 GPS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 비컨과 같은 장치를 매장의 입구에 설치하고, BLE 비컨의 영역 내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 들어올 경우에 해당 단말을 감지하여 매장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신호에 포함된 매장의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정보를 체크인 정보에 상응하게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로 전송하여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인증부(230)는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한다.
이 때,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 1차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에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입력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에서 입력한 정보가 1차 인증에 상응하는 정보일 경우에 1차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오프라인 결제 시 구매할 상품이나 결제할 금액이 확정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사전 결제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에 PIN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상응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서 1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PIN 번호를 입력하면, 모바일 단말에 입력된 PIN 번호를 1차 인증 정보로 인식하고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1차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능한 지문인식, 얼굴인식, 목소리 인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해제조건부 인증에 상응하고, 1차 인증이 해제되는 경우에 2차 인증의 수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 해제 조건을 수반하는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의 해제조건 중 하나로 1차 인증이 유효한 시간에 해당하는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을 수행한 뒤 미리 설정된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이 초과되면 자동으로 1차 인증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은 매장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과 같은 매장에서는 쇼핑 시간에 적합하게 30분에서 1시간 정도로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레스토랑과 같은 매장에서는 식사시간에 적합하게 2시간에서 3시간 정도로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이 초과하여 1차 인증이 해제된 경우에는 2차 인증의 유효성 유무에 상관없이 모바일 단말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인증이 해제된 후 모바일 단말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1차 인증을 다시 수행한 뒤 이에 따른 2차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이 매장에서 일정한 거리 이상 멀어졌을 경우에 1차 인증을 해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장의 입구와 매장의 내부 여러 곳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측위하고, 모바일 단말이 매장에서 빠져나가 일정거리 이상 멀어진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1차 인증이 해제될 수 있다.
보행 상태 정보 획득부(24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여러가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보행 스텝당 이동거리는 스텝 보폭(step length)을 활용하고, 보행 스텝당 방향은 지자기 센서의 방위 정보 또는 자이로 센서의 각속도 출력을 적분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계, 자이로, 지자기계, 카메라 등의 센서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 모듈로써 CDMA, WCDMA, LTE, WiBro, Femto Cell 등의 이동 통신 모듈이나 Wi-Fi, RFID, NFC,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나 통신모듈을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장착한 태블릿 PC나, 넷북, 울트라북, 노트북 등의 랩탑 컴퓨터 등도 모바일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및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이 계속하여 활성화되어 있다면, 모바일 단말의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해서 체크인이 수행되었거나, 또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향후 발생할 2차 인증을 위해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2차 인증부(250)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에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한다. 즉, 보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을 감지함으로써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이 계단 오르기 후 방향을 전환하여 계단을 내려가는 동작에 상응한다면, 모바일 단말로부터 측정되는 보행 상태 정보에 계단 오르기-방향 젼환-계단 내리기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 패턴이 감지될 때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결제 영역은 오프라인 매장의 POS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을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스텝 주파수(stet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스텝 주파수, 보폭 및 방향 등을 추정하여 이를 보행 상태 변수의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의 POS 근처에 2차 인증을 위한 별도의 계단 구조물을 설치해 둘 수 있다. 이 때, POS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보행 상태를 추정하여 이를 보행 상태 변수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제공할 때에는 POS 근처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게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함으로써 보행 상태 변수에 기반한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감지를 통해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특화 변수는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오프라인 결제에 대한 2차 인증을 위해 보행 상태 변수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매장 특화 변수와 보행 상태 변수를 비교하여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의 예를 들면, 수평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horizontal, 경사면 오름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up-slope, 경사면 내림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down-slope, 계단 오름 걷기를 나타내는 walking-up-stair, 계단 내림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down-stair, 수평 뛰기 상태를 나타내는 running-horizontal, 경사면 오름 뛰기 상태를 나타내는 running-up-slope, 경사면 내림 뛰기 상태를 나타내는 running-down-slope 등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의 생성을 위한 POS 근처의 구조물은 자연스러우면서 식별 가능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 A의 POS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경사 오르막 - 방향 전환 - 경사 내리막으로 이루어진 패턴의 구조로 디자인된 구조물을 지나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경사 오르막 - 방향 전환 - 경사 내리막에 상응하는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에 오프라인 매장 A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신체구조나 신체특성에 따라 동일한 구조의 구조물이라도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위해 식별되는 보행 패턴이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가 큰 사람과 키가 작은 사람은 동일한 구조물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스텝 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신체구조 및 신체특성을 반영하여 측정된 보행 상태 변수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에 진입한 후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을 초과한 경우 및 보행 상태 변수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이탈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인증이 완료되기 전에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프라인 구매할 상품을 가지고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나,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POS에 제출하지 않아 2차 인증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다른 상품을 가지러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탈 동작을 감지하여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을 30분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가 구매할 상품을 가지고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나, 상품을 POS에 제출하지 않고 30분을 초과한 경우에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도 있다.
오프라인 결제부(260)는 2차 인증의 결과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한다. 즉, 2차 인증까지 완료되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완료처리 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나 오프라인 결제가 수행된 오프라인 매장의 POS로 결제 관련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 매장, 결제 금액, 결제 물품 및 잔액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성공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이유를 간략하게 포함하는 결제 실패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결제 실패 메시지는 오프라인 결제를 재시도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260)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오프라인 결제 처리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부(26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 사용자가 POS 근처의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만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 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기반으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의 정확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 인증이 완료된 이후의 구매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결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을 위한 별도의 감지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을 통해 결제 영역 기반의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감지 장치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체크인 정보 수집부(310), 1차 인증 수행부(320), 보행 상태 정보 제공부(330) 및 결제 수행부(340)를 포함한다.
체크인 정보 수집부(310)는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비컨(beacon)에 기반한 체크인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나, Wi-Fi 및 GPS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의 입구에 비컨과 같은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비컨의 신호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비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비컨 신호에 포함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컨 신호에 상응하는 매장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비컨 신호에 상응하는 매장에 체크인할 수 있도록 체크인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1차 인증 수행부(320)는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선승인에 해당하는 1차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서버 및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로부터 1차 인증에 상응하는 PIN 입력 창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PIN을 입력함으로써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서버 및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에서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입력된 PIN을 판단하여 1차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오프라인 결제 시 구매할 상품이나 결제할 금액이 확정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사전 결제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능한 지문인식, 얼굴인식, 목소리 인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해제조건부 인증에 상응하고, 1차 인증이 해제되는 경우에 2차 인증의 진행이 중단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 해제 조건을 수반하는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보행 상태 정보 제공부(330)는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보행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이 때, 보행 상태 정보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된 보행 상태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및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이 계속하여 활성화되어 있다면, 모바일 단말의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해서 체크인이 수행되었거나, 또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향후 발생할 2차 인증을 위해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스텝 주파수(stet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오프라인 매장의 POS 근처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보행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결제 수행부(340)는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의 결과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여 2차 인증이 완료되고 오프라인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에 상응하는 매장의 이름과 결제 수단 및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하는 결제 성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결제가 실패한 내용을 간략하게 포함하는 결제 실패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단말을 가지고 오프라인 매장에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BLE 기반 근거리 데이터통신 기술인 비컨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대한 체크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이 서버로 체크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 체크인 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은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BLE 신호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혜택 및 이벤트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 혜택 화면(410)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혜택 화면(410)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할인정보나 쿠폰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품 혜택 화면(410)은 모바일 단말이 잠겨있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Lockscreen(412)에 결제하기 버튼과 함께 할인 정보 및 쿠폰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혜택 화면(410)은, 모바일 단말의 BLE Noti(411)에 결제하기 버튼과 함께 할인 정보 및 쿠폰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은 상품 혜택 화면(410)을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의 상품 혜택 화면(410)에서 할인정보 및 쿠폰정보를 나타내는 body 영역을 선택하면, 도 5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하는 매장의 상세 화면(510)을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매장의 상세 화면(510)에는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정보와 상세한 할인 정보 및 쿠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장의 상세 화면(510)을 통해 결제하기 버튼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든지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매장 정보를 기반으로 멤버십 정보를 제공하는 멤버십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멤버십 제공 모듈은 사용자 별 멤버십 정보와 매장 별 매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은 신용카드 정보 및 은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구매하는 경우에, 신용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실시간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페이 결제 모듈은 신용카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보유한 신용카드 중 할인혜택, 매장혜택 및 적립 등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최적의 결제카드를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의 종류별로 전월 목표 실적을 달성하였을 경우에 제공되는 혜택 정보와 멤버십 카드를 통해 제공되는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할인율이나 적립율에 따른 최적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멤버십 제공 모듈을 통해 멤버십 정보와 함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이나 기프티콘에 대한 혜택 정보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진행중인 이벤트 및 마케팅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프티콘이나 쿠폰을 조회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기프티콘이나 쿠폰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매장 정보 제공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오프라인 매장들에 해당하는 이벤트 정보 및 마케팅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방문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 및 마케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는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페이 서비스를 기반으로 선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매장의 상세 화면(510) 또는 상품 혜택 화면(410)에 출력되는 결제하기 버튼을 선택하면, 매장에서의 구매에 상응하는 1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도 6과 같이 결제 PIN 입력 화면(61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동된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기반으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인증정보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도 6과 같이 PIN을 입력하는 방법 이외에도 픽처 이미지 제스처를 인증하는 방법이나 터치 제스처를 인증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입력한 인증정보를 수신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의 1차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할 상품을 가지고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여 상품을 결제하기 위한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한 보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의 POS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설정한 뒤,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구조물은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 될 수 있다. 즉, 계단이나 경사 또는 방향 전환을 유도하는 구조물을 통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도하고, 이 때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에서 이러한 보행 상태를 측정하여 보행 상태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로부터 수신된 보행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과 상응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에 진입하여 구매할 상품을 POS에 제출하면 도 7과 같이 POS의 결제 화면(710)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의 정보와 함께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한 결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매장의 점원이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통한 결제가 수행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통한 결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및 POS로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한 결제가 성공하면 결제 성공 메시지(811)를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 페이를 이용한 결제가 실패하면 결제 실패 메시지(812)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결제 성공 메시지(811)에는 결제된 오프라인 매장의 이름과 결제 수단 및 결제 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실패 메시지(812)에는 결제를 다시 수행하기 위해서 결제하기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결제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모바일 단말로 다시 결제하기 화면(813)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인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인증 과정은 먼저 모바일 단말(931, 932)에 대한 1차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1차 인증이 유효한 경우에,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931, 932)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931, 932)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면 모바일 단말(931, 932)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OS(920)의 근처에 일정한 영역의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을 설정하고, 사용자들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럽게 진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보행을 유도하는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상품을 구매하려는 사용자들이 상품과 함께 모바일 단말(931, 932)을 소지한 채 해당 구조물을 이동하면 이에 모바일 단말(931, 932)의 내부에 포함된 여러 센서들을 기반으로 보행 상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보행 상태 정보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910)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210)으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의 진입 동작과 모바일 단말(931, 932)로부터 수신된 보행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보행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가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931, 932)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후,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910)는 모바일 단말(931, 932)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921)에 진입하여 2차 인증이 수행된 사실을 오프라인 매장의 POS(920)로 알림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차 인증을 위한 보행 상태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101)가 모바일 단말(1011)을 들고 오프라인 매장의 POS(1050)로 이동하려고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1011)이 POS(1050)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구조물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모바일 단말(1011)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1010)가 A 오프라인 매장에 체크인 되어 있고, A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의 2차 인증을 위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는 진입 동작이 경사 오르기-방향 전환-경사 내리기에 상응하는 패턴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A 오프라인 매장의 POS(1050) 근처, 즉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는 위치에 도 10과 같이 경사 오르막 구조물(1020), 방향 전환 통로(1030) 및 경사 내리막 구조물(1040)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1010)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여 POS(1050)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경사 오르막 구조물(1020), 방향 전환 통로(1030) 및 경사 내리막 구조물(1040)을 보행하는 동안에 모바일 단말(1011)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보행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1010)가 구조물들을 지나며 측정된 보행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과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A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을 서버 측면에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한다(S1110).
이 때,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가 모바일 단말로 1차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에서 인증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입력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에서 입력한 정보가 1차 인증에 상응하는 정보일 경우에 1차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오프라인 결제 시 구매할 상품이나 결제할 금액이 확정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사전 결제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에 PIN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상응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서 1차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PIN 번호를 입력하면, 모바일 단말에 입력된 PIN 번호를 1차 인증 정보로 인식하고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1차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능한 지문인식, 얼굴인식, 목소리 인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해제조건부 인증에 상응하고, 1차 인증이 해제되는 경우에 2차 인증의 수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 해제 조건을 수반하는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의 해제조건 중 하나로 1차 인증이 유효한 시간에 해당하는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을 수행한 뒤 미리 설정된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이 초과되면 자동으로 1차 인증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은 매장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퍼마켓과 같은 매장에서는 쇼핑 시간에 적합하게 30분에서 1시간 정도로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레스토랑과 같은 매장에서는 식사시간에 적합하게 2시간에서 3시간 정도로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 타임아웃 시간이 초과하여 1차 인증이 해제된 경우에는 2차 인증의 유효성 유무에 상관없이 모바일 단말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인증이 해제된 후 모바일 단말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1차 인증을 다시 수행한 뒤 이에 따른 2차 인증을 수행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이 매장에서 일정한 거리 이상 멀어졌을 경우에 1차 인증을 해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장의 입구와 매장의 내부 여러 곳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측위하고, 모바일 단말이 매장에서 빠져나가 일정거리 이상 멀어진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1차 인증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120).
이 때,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여러가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보행 스텝당 이동거리는 스텝 보폭(step length)을 활용하고, 보행 스텝당 방향은 지자기 센서의 방위 정보 또는 자이로 센서의 각속도 출력을 적분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계, 자이로, 지자기계, 카메라 등의 센서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통신 모듈로써 CDMA, WCDMA, LTE, WiBro, Femto Cell 등의 이동 통신 모듈이나 Wi-Fi, RFID, NFC, Bluetooth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서나 통신모듈을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장착한 태블릿 PC나, 넷북, 울트라북, 노트북 등의 랩탑 컴퓨터 등도 모바일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및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이 계속하여 활성화되어 있다면, 모바일 단말의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해서 체크인이 수행되었거나, 또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향후 발생할 2차 인증을 위해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25). 즉, 보행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을 감지함으로써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125)의 판단결과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이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지 않고 체크아웃되는 경우에 보행 상태 정보 측정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25)의 판단결과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한다(S1130).
이 때, 보행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이 계단 오르기 후 방향을 전환하여 계단을 내려가는 동작에 상응한다면, 모바일 단말로부터 측정되는 보행 상태 정보에 계단 오르기-방향 젼환-계단 내리기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 패턴이 감지될 때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기설정된 결제 영역은 오프라인 매장의 POS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을 위한 구조물을 포함하는 영역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스텝 주파수(stet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스텝 주파수, 보폭 및 방향 등을 추정하여 이를 보행 상태 변수의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의 POS 근처에 2차 인증을 위한 별도의 계단 구조물을 설치해 둘 수 있다. 이 때, POS로 접근하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은 계단을 오르내리는 보행 상태를 추정하여 이를 보행 상태 변수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제공할 때에는 POS 근처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게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함으로써 보행 상태 변수에 기반한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감지를 통해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매장 특화 변수는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오프라인 결제에 대한 2차 인증을 위해 보행 상태 변수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이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매장 특화 변수와 보행 상태 변수를 비교하여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의 예를 들면, 수평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horizontal, 경사면 오름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up-slope, 경사면 내림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down-slope, 계단 오름 걷기를 나타내는 walking-up-stair, 계단 내림 걷기 상태를 나타내는 walking-down-stair, 수평 뛰기 상태를 나타내는 running-horizontal, 경사면 오름 뛰기 상태를 나타내는 running-up-slope, 경사면 내림 뛰기 상태를 나타내는 running-down-slope 등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의 생성을 위한 POS 근처의 구조물은 자연스러우면서 식별 가능한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 A의 POS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경사 오르막 - 방향 전환 - 경사 내리막으로 이루어진 패턴의 구조로 디자인된 구조물을 지나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경사 오르막 - 방향 전환 - 경사 내리막에 상응하는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에 오프라인 매장 A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신체구조나 신체특성에 따라 동일한 구조의 구조물이라도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위해 식별되는 보행 패턴이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가 큰 사람과 키가 작은 사람은 동일한 구조물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스텝 수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의 신체구조 및 신체특성을 반영하여 측정된 보행 상태 변수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에 진입한 후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을 초과한 경우 및 보행 상태 변수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이탈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인증이 완료되기 전에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프라인 구매할 상품을 가지고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나,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POS에 제출하지 않아 2차 인증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다른 상품을 가지러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이탈 동작을 감지하여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을 30분이라고 가정한다면, 사용자가 구매할 상품을 가지고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나, 상품을 POS에 제출하지 않고 30분을 초과한 경우에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2차 인증의 결과에 기반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한다(S1140). 즉, 2차 인증까지 완료되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완료처리 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나 오프라인 결제가 수행된 오프라인 매장의 POS로 결제 관련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 매장, 결제 금액, 결제 물품 및 잔액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성공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이유를 간략하게 포함하는 결제 실패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결제 실패 메시지는 오프라인 결제를 재시도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비컨(beacon)에 기반한 체크인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나, Wi-Fi 및 GPS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LE 비컨과 같은 장치를 매장의 입구에 설치하고, BLE 비컨의 영역 내에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 들어올 경우에 해당 단말을 감지하여 매장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신호에 포함된 매장의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정보를 체크인 정보에 상응하게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로 전송하여 체크인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과 오프라인 결제 처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한다. 특히, 모바일 단말로부터 체크인 정보 및 보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에게 오프라인 결제 처리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매장에 설치된 POS로부터 오프라인 결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은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오프라인 결제 처리 서비스를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모듈은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을 통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 사용자가 POS 근처의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는 것만으로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 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기반으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의 정확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1차 인증이 완료된 이후의 구매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결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2차 인증을 위한 별도의 감지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을 통해 결제 영역 기반의 2차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감지 장치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을 단말 측면에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다(S1210).
이 때, 체크인 정보는 비컨(beacon)에 기반한 체크인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나, Wi-Fi 및 GPS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매장의 입구에 비컨과 같은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비컨의 신호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비컨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비컨 신호에 포함된 오프라인 매장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컨 신호에 상응하는 매장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이 비컨 신호에 상응하는 매장에 체크인할 수 있도록 체크인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선승인에 해당하는 1차 인증을 수행한다(S1220).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서버 및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로부터 1차 인증에 상응하는 PIN 입력 창을 수신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PIN을 입력함으로써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서버 및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에서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입력된 PIN을 판단하여 1차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오프라인 결제 시 구매할 상품이나 결제할 금액이 확정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사전 결제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가능한 지문인식, 얼굴인식, 목소리 인식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해제조건부 인증에 상응하고, 1차 인증이 해제되는 경우에 2차 인증의 진행이 중단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 해제 조건을 수반하는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보행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1230).
이 때, 보행 상태 정보는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기반으로 측정된 보행 상태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및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이 계속하여 활성화되어 있다면, 모바일 단말의 전력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해서 체크인이 수행되었거나, 또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향후 발생할 2차 인증을 위해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스텝 주파수(stet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오프라인 매장의 POS 근처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보행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의 결과를 수신한다(S1240).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하여 2차 인증이 완료되고 오프라인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에 상응하는 매장의 이름과 결제 수단 및 결제 금액 등을 포함하는 결제 성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결제가 실패한 내용을 간략하게 포함하는 결제 실패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을 서버 측면에서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다(S1310).
이 때, 체크인 정보는 비컨(beacon)에 기반한 체크인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체크인 정보는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나, Wi-Fi 및 GPS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S1320).
이 때, 1차 인증의 인증 방식에 따른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인증이 PIN 입력 방식이라면 PIN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1차 인증이 지문 인식이나 홍채 인식에 상응하는 방식이라면, 지문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 또는 홍채를 인식시키기 위한 화면에 상응하는 인증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한다(S1330).
즉, 모바일 단말에서 입력한 정보가 1차 인증에 상응하는 정보일 경우에 1차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오프라인 결제 시 구매할 상품이나 결제할 금액이 확정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사전 결제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1차 인증은 해제조건부 인증에 상응하고, 1차 인증이 해제되는 경우에 2차 인증의 수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1차 인증은 공간적 또는 시간적 해제 조건을 수반하는 인증에 상응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을 통해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1340).
이 때, 보행 상태 정보는 보행 상태 변수에 상응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측정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포함된 여러가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센서 및 자이로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스텝 주파수(stet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행 상태 변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보행 상태 변수는 오프라인 매장의 POS 근처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을 통해 측정된 보행 상태 변수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45).
예를 들어,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이 계단 오르기 후 방향을 전환하여 계단을 내려가는 동작에 상응한다면, 모바일 단말로부터 측정되는 보행 상태 정보에 계단 오르기-방향 젼환-계단 내리기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 패턴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345)의 판단결과 보행 상태 변수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면,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2차 인증을 수행한다(S1350).
이 후, 2차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고(S1360), 오프라인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모바일 단말의 전력 낭비를 방지한다(S1370).
이 때, 오프라인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나 오프라인 결제가 수행된 오프라인 매장의 POS로 결제 관련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프라인 결제가 성공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 매장, 결제 금액, 결제 물품 및 잔액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성공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경우에는 오프라인 결제가 실패한 이유를 간략하게 포함하는 결제 실패 메시지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결제 실패 메시지는 오프라인 결제를 재시도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1345)의 판단결과 보행 상태 변수가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지 않으면, 모바일 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체크아웃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55).
단계(S1355)의 판단결과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모바일 단말이 체크아웃되지 않았으면, 사용자가 아직 오프라인 매장 내에서 오프라인 구매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계속해서 보행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355)의 판단결과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모바일 단말이 체크아웃되었으면,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비활성화한다(S1370).
이 때, 모바일 단말이 다른 오프라인 매장에 체크인 되거나, 모바일 단말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일정한 거리 이상 멀어진 경우에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모바일 단말을 체크아웃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이 체크아웃 된 것이 확인되면, 더 이상 불필요하게 보행 상태를 측정하기 않기 위해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에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보행 상태 측정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제공 시 부정결제의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110: 어플리케이션 서버 111: 어플리케이션
120, 1640: 단말 130: POS
140: BLE 서버 141: BLE SDK
150: BLE 장치 160: 매장
210: 통신부 220: 체크인 정보 획득부
230: 1차 인증부 240: 보행 상태 정보 획득부
250: 2차 인증부 260: 오프라인 결제부
270: 저장부 310: 체크인 정보 수집부
320: 1차 인증 수행부 330: 보행 상태 정보 제공부
340: 결제 수행부 410: 상품 혜택 화면
411: BLE Noti 412: Lockscreen
510: 매장의 상세 화면 610: PIN 입력 화면
710: 결제 화면 811: 결제 성공 메시지
812: 결제 실패 메시지 813: 다시 결제하기 화면
910: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920, 1050: POS
921: 기설정된 결제 영역 931, 932: 모바일 단말
1010: 사용자 1011: 모바일 단말
1020: 경사 오르막 구조물 1030: 방향 전환 통로
1040: 경사 내리막 구조물

Claims (10)

  1.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부;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하는 2차 인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인증부는
    상기 보행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변수가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의 진입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2차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행 상태 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한 경우 및 상기 1차 인증이 완료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활성화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행 상태 변수는
    스텝 주파수(step frequency), 보폭(step size) 및 방향(head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행 상태 변수는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의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에 상응하여 정의된 매장 특화 변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는
    상기 2차 인증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오프라인 결제를 수행하는 오프라인 결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차 인증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에 진입한 후 기설정된 타임아웃 시간을 초과한 경우 및 상기 보행 상태 변수가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이탈 동작에 상응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2차 인증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2차 인증의 진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장치.
  9.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체크인 정보를 획득하는 체크인 정보 수집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를 위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1차 인증 수행부;
    보행 상태 측정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보행 상태를 측정하여 보행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행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보행 상태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결제의 결과를 수신하는 결제 수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0. 사용자가 진입한 오프라인 매장에 상응하는 오프라인 구매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상응하는 보행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이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기설정된 결제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에 상기 1차 인증에 종속적인 2차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KR1020150174261A 2015-10-01 2015-12-08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61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261A KR102616223B1 (ko) 2015-12-08 2015-12-08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CT/KR2016/007916 WO2017057832A1 (ko) 2015-10-01 2016-07-20 사용자 장치, 비콘,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261A KR102616223B1 (ko) 2015-12-08 2015-12-08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518A true KR20170067518A (ko) 2017-06-16
KR102616223B1 KR102616223B1 (ko) 2023-12-21

Family

ID=5927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261A KR102616223B1 (ko) 2015-10-01 2015-12-08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22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13B1 (ko) * 2001-10-20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과금 징수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16151A (ko) 2012-04-13 2013-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폭 추정 모델 파라미터를 이용한 보행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76527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951A (ko) * 2014-03-07 2015-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결제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105795A (ko) * 2014-03-10 2015-09-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신호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13B1 (ko) * 2001-10-20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과금 징수 방법 및 시스템
KR20130116151A (ko) 2012-04-13 2013-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폭 추정 모델 파라미터를 이용한 보행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76527A (ko) * 2013-12-27 2015-07-07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4951A (ko) * 2014-03-07 2015-09-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결제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105795A (ko) * 2014-03-10 2015-09-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비콘 신호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223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1618B2 (en) Gesture-based device
US10878416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bus rapid transit ticketing and the like
US2017003235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beacon and gesture detection system
EP3105734B1 (en) Automated learning of store topography using in-store location signals
KR20170104153A (ko) 멀티 레이어 인증을 이용한 오퍼 기반 거래 및 비콘 기반 디지털 거래에 대한 비콘 기반 내비게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A2949366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ttlement to a merchant's card account using an on-line bill payment platform
US20230098616A1 (en) Method for Invoking NFC 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and NFC Apparatus
JP2018206355A (ja) 取引を促進するためのモバイルデバイス及びリーダ
US2021027973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31302B1 (ko)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 상황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616223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으로의 진입 감지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05977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개인 정보 질의 기반의 2차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05965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결제 영역 기반의 2차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461028B1 (ko) 오프라인 대리결제 처리 시스템, 대리결제자 추천 기반의 오프라인 대리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52430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체크아웃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33853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2단계 위치 측위를 이용한 체크인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70064415A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보행 상태 기반의 인증을 통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15736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픽처 터치 패턴을 이용한 인증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30602B1 (ko)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구매 예측 기반의 최적 카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23029B1 (ko)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문자 메시지 파싱을 이용한 최적 카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437970B1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모션 패턴을 이용한 2차 인증 기반의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70067508A (ko)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두 단계 체크인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70017294A (ko)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결제시점에 따른 가중치 기반의 최적 카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616251B1 (ko) 최적 카드 추천 시스템, 추천 카드 변경을 통한 최적 카드 추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505974B1 (ko) 2채널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시스템, 스와이프 패턴을 이용한 1차 인증 기반의 2채널 인증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