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239A -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239A
KR20170067239A KR1020150173666A KR20150173666A KR20170067239A KR 20170067239 A KR20170067239 A KR 20170067239A KR 1020150173666 A KR1020150173666 A KR 1020150173666A KR 20150173666 A KR20150173666 A KR 20150173666A KR 20170067239 A KR20170067239 A KR 20170067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authentication means
internet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1497B1 (ko
Inventor
김대영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filed Critical 코리아크레딧뷰로 (주)
Priority to KR1020150173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49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8Transaction verification using the card verification value [CVV] associated with the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회사에 구비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와, 상기 단말로 본인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Service}
본 발명은 신뢰할 수 있는 본인확인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또는 외부 개인정보 보유기관에 등록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본인확인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 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간편하게 이용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보호법 등 개인정보 관련 법률이 개정되면서,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한 개인식별에 제한이 생기게 되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사업자가 고객 관리를 연계정보(CI; Connecting Information), 중복가입확인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를 통해 수행하고 있으며, 주민등록번호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할 수 있는 금융기관, 공공기관에서도 일반 사업자와의 제휴, 업무 연계를 위하여 불가피하게 연계정보(CI),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개인정보 관련 법률 개정 이후, 주민등록번호의 역할을 연계정보(CI), 중복가입확인정보(DI)가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발급하는 본인확인 기관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주민등록번호의 활용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성명, 생년월일, 성별만으로는 동명이인이 존재할 수 있어 본인 식별이 불가하고, 주민등록번호를 보유한 회사와 연계정보(CI)를 보유한 회사간 상호 제휴가 불가하며, 주민등록번호가 필요한 신용정보조회 서비스 이용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용자를 식별하고, 기존에 활용 불가했던 서비스의 이용은 물론 제휴 등의 사업 확장까지 가능하며, 신뢰할 수 있는 본인확인기관이나 신용정보회사의 지위를 활용하여 신규 인증수단의 식별력을 부여하는 새롭고 편리한 개인 식별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할 수 있는 본인확인기관을 통해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또는 외부 개인정보 보유기관에 등록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본인확인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상거래 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간편하게 이용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회사에 구비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와, 상기 단말로 본인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회사에 구비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제2 단말로 본인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와,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회사에 구비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제2 단말에서 인증수단정보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4 단계와,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증수단정보는 카드정보, 생체정보, 비밀번호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는 실명확인 대상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실명확인 대상정보는 이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수신한 인증수단정보를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로 제공하여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확인을 요청하는 단계와, 인증수단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는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주민등록번호 7번째자리), 인증수단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에 포함된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포함하는 동명이인 검색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하는 단계와,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동명이인 검색정보를 이용한 동명이인을 검색하는 단계와, 둘 이상의 동명이인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동명이인의 주민등록번호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DI 매칭정보로 분류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에 포함된 이용자의 성명,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성명을 포함하는 실명확인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하는 단계와,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실명확인정보를 이용한 이용자의 실명확인을 하는 단계와, 실명확인된 이용자의 성명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성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일치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DI 매칭정보로 분류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연계정보와,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등록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와, 상기 단말로 본인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2 단계와, 상기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등록한 인증수단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등록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상기 제2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등록한 인증수단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등록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제2 단말에서 실행되는 인증수단정보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3 단계와,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이용하여 동명이인을 검색하는 단계와, 둘 이상의 동명이인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동명이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미리 등록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성명,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확인하는 단계와,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이용자의 성명을 이용한 이용자의 실명확인을 하는 단계와, 실명확인된 이용자의 성명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성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일치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미리 등록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인확인기관 또는 신용정보회사에서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활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이용자를 매칭, 식별하고 그에 따른 본인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이용자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 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이용자 본인 확인 요청에 따라,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또는 외부 개인정보 보유기관에 등록된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고, 본인확인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게 상기 이용자의 본인 여부 확인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를 통해 제공 또는 운영되는 인터넷 서비스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용자가 운영 또는 조작하는 유선 또는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단말(160)과,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접속하는 단말(160)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160)을 통해 접속하는 이용자의 본인 확인을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로 요청하여,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본인 확인 결과를 제공받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와, 이용자로부터 소정의 인증수단정보(예컨대, 카드정보, 생체정보 등)와 상기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등록받아 보유하고 있는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와, 신용정보 시스템(155)을 구비하거나, 상기 신용정보 시스템(155)과 연동하며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의 이용자 본인 확인 요청에 따라 자체적으로 보유하거나, 또는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서 보유하고 있는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을 실시하고, 본인 확인 결과를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 제공하는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용자는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예컨대, 금융거래, 로그인 등 본인 확인이 요구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단말(160)을 통해서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거나,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서비스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용자는 상기 단말(160)을 통해서 보유한 인증수단으로부터 획득되는 인증수단정보를 상기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수단정보는 카드정보, 생체정보, 비밀번호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카드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160)은 이용자의 카드로부터 카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용자의 카드가 NFC카드인 경우, 상기 단말(160)은 NFC카드리더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생체정보인 경우, 상기 단말(160)은 이용자의 생체(지문 등)로부터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생체정보인식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인터넷 상에서 금융거래, 로그인 등의 본인 확인이 요구되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단말(160)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이용자의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여부를 상기 서버(10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결과를 제공받아, 본인 확인 여부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를 상기 단말(160)을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접속한 이용자의 본인 확인을 위해 상기 단말(160)로 실명확인 대상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 등)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160)을 통해 입력된 실명확인 대상정보는 상기 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다.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는 이용자에게 카드(예컨대, NFC금융카드 등)를 발급하거나,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있으며, 상기 카드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요청이 상기 서버(100)를 통해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로부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제공받고,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는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100)로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 코드, 상기 회원사 코드로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는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서버(100)로 이용자의 성명,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 코드, 상기 회원사 코드로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100)는 본인확인서비스 요청 확인부(105), 인증수단정보 요청부(110), 인증수단정보 수신부(115), 실명확인 대상정보 수신부(120), 인증수단정보 일치여부 확인부(125), 정보 분류부(130), 이용자 식별부(135), 본인확인정보 생성부(140), 본인확인결과 제공부(145),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신용정보 시스템(155)를 더 구비하거나, 신용정보 시스템과 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인확인서비스 요청 확인부(105)는 이용자가 단말(16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때,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이 필요한 경우,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을 받는다.
상기 본인확인서비스 요청 확인부(105)를 통해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이 요청되면, 상기 인증수단정보 요청부(110)는 상기 이용자의 단말(160)로 인증수단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수단정보 요청부(110)는 이용자가 사용할 인증수단을 선택하고, 선택된 인증수단으로부터 인증수단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증수단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인증수단정보 요청부(110)를 통해 인증수단정보의 입력 또는 선택을 이용자에게 통지한 후, 상기 단말(160)을 통해 입력되어 전송되는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수단정보는 카드정보, 생체정보, 비밀번호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명확인 대상정보 수신부(120)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서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을 상기 서버(100)로 요청하는 과정에서, 이용자의 실명확인 대상정보를 상기 단말(160)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명확인 대상정보는, 본인확인이 필요한 이용자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수단정보 일치여부 확인부(125)는 상기 인증수단정보 수신부(115)를 통해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증수단정보를 상기 이용자가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 전송하여,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정보 일치여부 확인부(125)는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부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수단정보 일치여부 확인부(125)는 단말(160)로부터 제공된 인증수단정보와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서 보유하고 있던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용자의 식별을 위해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부터 이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 상기 회원사 코드를 통해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수단정보 일치여부 확인부(125)는 단말(160)로부터 제공된 인증수단정보와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서 보유하고 있던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이용자의 식별을 위해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부터 이용자의 성명,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 상기 회원사 코드를 통해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의 실명확인 대상정보(성명, 주민등록번호)는 상기 단말(160)이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정보 분류부(130)는 상기 인증수단정보 일치여부 확인부(125)를 통해 이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 상기 회원사 코드를 통해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가 제공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공된 정보들 중,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포함하는 동명이인 검색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분류부(130)는 상기 인증수단정보 일치여부 확인부(125)를 통해 이용자의 성명,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 상기 회원사 코드를 통해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가 제공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제공된 정보들을 성명을 포함하는 실명확인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이용자 식별부(135)는 상기 정보 분류부(130)를 통해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포함하는 동명이인 검색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되면, 신용정보시스템(155)과 연동하여 상기 동명이인 검색정보를 이용한 동명이인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식별부(135)는 상기 둘 이상의 동명이인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동명이인의 주민등록번호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DI 매칭정보로 분류된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이용자 식별부(135)는 상기 정보 분류부(130)를 통해 성명을 포함하는 실명확인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되면, 신용정보시스템(155)과 연동하여 상기 실명확인정보를 이용한 이용자의 실명 확인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용자 식별부(135)는, 실명확인된 이용자의 성명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성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일치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고,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DI 매칭정보로 분류된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본인확인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이용자 식별부(135)를 통해 본인 확인이 요구되는 이용자의 식별이 수행되면,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중복가입확인정보(DI)는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회원사코드를 단방향 암호화하여 생성되는 64바이트의 특정 사업자에서만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키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계정보(CI)는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단방향 암호화 하여 생성되는 88바이트의 모든 사업자가 동일하게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키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인확인결과 제공부(145)는 상기 본인확인정보 생성부(140)를 통해 본인확인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생성된 본인확인정보에 따른 본인 확인 결과를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인확인결과 제공부(145)는 상기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연계정보(CI)와,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2 내지 도면4는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 중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등록된 이후, 상기 이용자가 단말(16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단말(160)로부터 제공되는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등록되었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 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이용자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예컨대,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이 NFC카드인 경우,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는 상기 NFC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에 구비된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이 생체인 경우,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는 상기 이용자가 생체정보를 등록한 기관에 구비된 서버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용자가 단말(16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20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인지 확인하게 된다(210).
여기서, 상기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는 금융거래, 로그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215).
상기 서버(100)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이용자가 접속한 단말(160)로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220).
상기 이용자의 단말(160)로부터 인증수단정보가 수신되면(22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인증수단정보를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160)로부터 제공된 인증수단정보와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서 보유하고 있는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 요청할 수 있다(230).
한편,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단말(160)로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235).
도면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등록된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예컨대, PC등 유선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예컨대, 휴대폰 등 모바일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등록되었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이용자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예컨대,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이 NFC카드인 경우,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는 상기 NFC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에 구비된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이 생체인 경우,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는 상기 이용자가 생체정보를 등록한 기관에 구비된 서버가 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30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인지 확인하게 된다(310).
여기서, 상기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는 금융거래, 로그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315).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는 이용자의 제1단말 상에 거래인증코드(숫자 또는 특수문자 또는 바코드 형태를 모두 포함)를 출력하여,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입력하도록 요청한다(320).
이용자의 제1단말에 출력된 거래인증코드가 제2단말에 입력되면(32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로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330).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로부터 인증수단정보가 수신되면(33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인증수단정보를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 제공하여, 상기 제2단말로부터 제공된 인증수단정보와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서 보유하고 있는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 요청할 수 있다(340).
한편,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제1단말로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345).
도면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등록된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예컨대, PC등 유선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인증수단정보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와 연계하여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에 대한 일치 여부를 확인하거나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이용자가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자는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서 제공하는 인증수단정보 등록/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2단말에 설치하고, 상기 이용자가 보유한 인증수단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40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인지 확인하게 된다(410).
여기서, 상기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는 금융거래, 로그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415).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는 이용자의 제1단말 상에 거래인증코드(숫자 또는 특수문자 또는 바코드 형태를 모두 포함)를 출력하여,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입력하도록 요청한다(420).
이용자의 제1단말에 출력된 거래인증코드가 제2단말에 입력되면(42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인증수단 관리서버 간에 인증수단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430).
한편,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제1단말로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43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2 내지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도면5는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할 수 없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요청하는 이용자 본인 확인 서비스에 대한 것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2 내지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에서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부터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회원사코드(인증수단 관리서버), 중복가입확인정보(인증수단 관리서버)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0).
상기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회원사코드(인증수단 관리서버), 중복가입확인정보(인증수단 관리서버)가 수신되면, 상기 서버(100)는 수신된 정보를 동명이인 검색을 위한 정보(이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와, DI매칭을 위한 정보(회원사코드, 중복가입확인정보)로 분류한다(505).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분류된 이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정보 시스템과 연계해 동명이인을 검색한다(510).
동명이인이 검색되면, 상기 서버(100)는 검색된 동명이인의 주민등록번호와 회원사코드(인증수단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를 생성하고(515), 상기 DI매핑을 위해 분류된 중복가입확인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를 확인한다(520).
상기 서버(100)는 상기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의 확인을 통해 이용자를 식별하고(525),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한 후,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 본인확인결과를 제공한다(530).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535).
도면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상기 도면2 내지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다른 실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도면6은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요청하는 이용자 본인 확인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2 내지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단말(160)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이용자의 실명확인 대상정보가 수신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600).
여기서, 실명확인 대상정보는 이용자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에서 인증수단 관리서버(165)로부터 이용자의 성명, 회원사코드(인증수단 관리서버), 중복가입확인정보(인증수단 관리서버)가 수신되면(605), 상기 서버(100)는 수신된 정보를 실명 확인을 위한 정보(이용자의 성명)와, DI매칭을 위한 정보(회원사코드, 중복가입확인정보)로 분류한다(610).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분류된 이용자의 성명을 이용하여 신용정보 시스템과 연계해 이용자의 실명을 확인한다(615).
이용자의 실명이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실명 확인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회원사코드(인증수단 관리서버)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를 생성하고(620), 상기 DI매핑을 위해 분류된 중복가입확인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를 확인한다(625).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의 확인을 통해 이용자를 식별하고(630),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한 후,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 본인확인결과를 제공한다(63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640).
이하, 도면7 내지 도면9는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서버(10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 중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서버(100)에 등록된 이후, 상기 이용자가 단말(16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단말(160)로부터 제공되는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와 서버(100)에 등록되었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이용자가 서버(100)에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700).
이후, 상기 이용자가 단말(160)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70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인지 확인하게 된다(710).
여기서, 상기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는 금융거래, 로그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715).
상기 서버(100)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이용자가 접속한 단말(160)로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720).
상기 이용자의 단말(160)로부터 인증수단정보가 수신되면(72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인증수단정보를 상기 서버(100)에서 보유하고 있는 인증수단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730).
한편,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단말(160)로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735).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서버(100)에 등록된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예컨대, PC등 유선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고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예컨대, 휴대폰 등 모바일단말)을 통해 제공되는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와 상기 서버(100)에 등록되었던 인증수단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이용자가 서버(165)에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800).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80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인지 확인하게 된다(810).
여기서, 상기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는 금융거래, 로그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815).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는 이용자의 제1단말 상에 거래인증코드(숫자 또는 특수문자 또는 바코드 형태를 모두 포함)를 출력하여,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입력하도록 요청한다(820).
이용자의 제1단말에 출력된 거래인증코드가 제2단말에 입력되면(82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로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830).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로부터 인증수단정보가 수신되면(83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신된 인증수단정보와 미리 등록한 인증수단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 요청할 수 있다(840).
한편,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제1단말로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845).
도면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가 서버(165)에 등록된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예컨대, PC등 유선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인증수단정보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와 연계하여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에 대한 일치 여부를 확인하거나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이용자가 서버(165)에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 및 개인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9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용자는 인증수단 관리서버(165)에서 제공하는 인증수단정보 등록/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2단말에 설치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이용자가 보유한 인증수단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이용자가 제1단말을 통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에 접속하여 소정의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90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인지 확인하게 된다(910).
여기서, 상기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는 금융거래, 로그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한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본 발명에 따라 도면1에 도시된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로 상기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915).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서버(100)는 이용자의 제1단말 상에 거래인증코드(숫자 또는 특수문자 또는 바코드 형태를 모두 포함)를 출력하여,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입력하도록 요청한다(920).
이용자의 제1단말에 출력된 거래인증코드가 제2단말에 입력되면(925),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이용자의 제2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과 인증수단 관리서버 간에 인증수단정보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930).
한편,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가 본인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인터넷 서비스라면,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제1단말로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935).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7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도면10은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할 수 없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요청하는 이용자 본인 확인 서비스에 대한 것이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7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에서 서버(100)에서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회원사코드(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중복가입확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1000).
상기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회원사코드(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중복가입확인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수신된 정보를 동명이인 검색을 위한 정보(이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와, DI매칭을 위한 정보(회원사코드, 중복가입확인정보)로 분류한다(1005).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분류된 이용자의 성명, 성별, 생년월일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신용정보 시스템과 연계해 동명이인을 검색한다(1010).
동명이인이 검색되면, 상기 서버(100)는 검색된 동명이인의 주민등록번호와 회원사코드(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를 생성하고(1015), 상기 DI매핑을 위해 분류된 중복가입확인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를 확인한다(1020).
상기 서버(100)는 상기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의 확인을 통해 이용자를 식별하고(1025),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 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한 후,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 본인확인결과를 제공한다(1030).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1035).
도면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7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다른 실시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여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도면11은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요청하는 이용자 본인 확인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7 내지 도면9의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가 확인된 이후, 단말(160) 또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부터 이용자의 실명확인 대상정보가 수신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1100).
여기서, 실명확인 대상정보는 이용자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도면1에 도시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의 서버(100)에서 서버(100)에서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성명, 회원사코드(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중복가입확인정보가 확인되면(1105), 상기 서버(100)는 확인된 정보를 실명 확인을 위한 정보(이용자의 성명)와, DI매칭을 위한 정보(회원사코드, 중복가입확인정보)로 분류한다(1110).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분류된 이용자의 성명을 이용하여 신용정보 시스템과 연계해 이용자의 실명을 확인한다(1115).
이용자의 실명이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실명 확인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회원사코드(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를 생성하고(1120), 상기 DI매핑을 위해 분류된 중복가입확인정보와 비교하여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를 확인한다(1125).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매칭되는 중복가입확인정보의 확인을 통해 이용자를 식별하고(1130),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한 후,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로 본인확인결과를 제공한다(1135).
상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17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요청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1140).
100 : 서버 105 : 본인확인서비스 요청 확인부
110 : 인증수단정보 요청부 115 : 인증수단정보 수신부
120 : 실명확인 대상정보 수신부 125 : 인증수단 일치여부 확인부
130 : 정보 분류부 135 : 이용자 식별부
140 : 본인확인정보 생성부 145 : 본인확인결과 제공부
150 : 저장매체 155 : 신용정보 시스템
160 : 이용자의 단말 165 : 인증수단 관리서버
170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

Claims (14)

  1.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회사에 구비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
    상기 단말로 본인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2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회사에 구비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제2 단말로 본인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4 단계;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발급 또는 등록한 회사에 구비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제2 단말에서 인증수단정보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하는 제3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4 단계;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5 단계;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정보는,
    카드정보, 생체정보, 비밀번호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또는 제2 단계는,
    실명확인 대상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실명확인 대상정보는,
    이용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수신한 인증수단정보를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로 제공하여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확인을 요청하는 단계;
    인증수단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는,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주민등록번호 7번째자리), 인증수단 관리서버에서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에 포함된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포함하는 동명이인 검색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하는 단계;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동명이인 검색정보를 이용한 동명이인을 검색하는 단계;
    둘 이상의 동명이인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동명이인의 주민등록번호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DI 매칭정보로 분류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인증수단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일치 여부확인 결과정보에 포함된 이용자의 성명,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성명을 포함하는 실명확인정보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포함하는 DI 매칭정보로 분류하는 단계;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실명확인정보를 이용한 이용자의 실명확인을 하는 단계;
    실명확인된 이용자의 성명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성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일치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DI 매칭정보로 분류된 인증수단 관리서버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생성된 연계정보와,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등록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
    상기 단말로 본인확인을 위한 인증수단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제2 단계;
    상기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등록한 인증수단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11.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등록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상기 제2 단말을 통해 입력된 상기 이용자의 인증수단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등록한 인증수단정보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단계;
    상기 인증수단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12. 이용자의 인증수단을 등록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제1 단말을 통해 접속한 이용자에 대한 본인확인 서비스가 요청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말 상에 상기 이용자의 제2 단말로 입력될 거래인증코드를 출력하는 제2 단계;
    상기 거래인증코드가 입력된 제2 단말에서 실행되는 인증수단정보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증수단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제3 단계;
    일치 여부확인 결과에 따라 이용자를 식별하고 이용자의 본인확인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본인확인정보에 따라 본인확인결과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중복가입확인정보(DI),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이용하여 동명이인을 검색하는 단계;
    둘 이상의 동명이인정보가 검색되면, 검색된 동명이인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미리 등록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0항 내지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미리 등록된 이용자의 성명,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확인하는 단계;
    신용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이용자의 성명을 이용한 이용자의 실명확인을 하는 단계;
    실명확인된 이용자의 성명과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성명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일치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와 미리 등록된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이용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이용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사코드를 이용하여 연계정보(CI ; Connected Information) 및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중복가입확인정보(DI)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73666A 2015-12-08 2015-12-08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31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666A KR101831497B1 (ko) 2015-12-08 2015-12-08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666A KR101831497B1 (ko) 2015-12-08 2015-12-08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239A true KR20170067239A (ko) 2017-06-16
KR101831497B1 KR101831497B1 (ko) 2018-04-04

Family

ID=5927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666A KR101831497B1 (ko) 2015-12-08 2015-12-08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65A1 (ko) * 2017-08-23 2019-02-28 윤태식 인증 단말, 인증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865A1 (ko) * 2017-08-23 2019-02-28 윤태식 인증 단말, 인증 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1290279B2 (en) 2017-08-23 2022-03-29 Tae Sik Yoon Authentic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device and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authentication terminal and authent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497B1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23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verification and security
US11556926B2 (en) Method for approving use of card by using blockchain-based token id and server using method
US11068575B2 (en) Authentication system
CN110741369B (zh) 使用电子身份进行安全生物统计认证
CN108122109B (zh) 一种电子凭据身份管理的方法及装置
US11843599B2 (en) Systems, method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a for secure biometrically-enhanced data exchanges and data storage
KR100786478B1 (ko) 고객 행동 분석 정보를 이용한 식별주체 검증 장치 및 시스템
US10489565B2 (en) Compromise alert and reissuance
US11494769B2 (en) System,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s
KR20210039920A (ko)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본인 인증 시스템,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WO2022193594A1 (zh) 绑卡方法、终端设备、认证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523703B1 (ko) 본인 확인 등급에 따른 사용자 인증 처리 방법
US202103742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creation and assertion
KR101831497B1 (ko)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EP3217593A1 (en) Two-factor authentication method for increasing the security of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a transaction point or system
WO201620041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online verification and security
KR101857731B1 (ko) 간편인증방법 및 간편결제서버의 간편인증서비스 제공방법
US11475446B2 (en) System,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s
CN112785410A (zh) 依赖方风险调整指示符系统和方法
KR20190033727A (ko) 실명 기반의 가상계좌 운영 방법
KR101568374B1 (ko) 모바일 전자서명을 이용한 모바일 대출 방법 및 시스템
KR101585186B1 (ko)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04312A (ko) Did를 이용한 개인정보의 인증 및 식별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008935B1 (ko) 무형자산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482943B1 (ko) 주민등록번호 대체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