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186B1 -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186B1
KR101585186B1 KR1020140125965A KR20140125965A KR101585186B1 KR 101585186 B1 KR101585186 B1 KR 101585186B1 KR 1020140125965 A KR1020140125965 A KR 1020140125965A KR 20140125965 A KR20140125965 A KR 20140125965A KR 101585186 B1 KR101585186 B1 KR 101585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identity verification
business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도
이상민
조기만
Original Assignee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5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1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증 서버에서, 회원사 서버를 경유하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실명 정보와 개별 사업자로부터 생성한 공개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가 포함된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인증 서버는,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로 일치 여부가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인증 서버에서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응답받는 단계; (c) 인증 서버는,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가 응답되면,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로 조회되는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개별 사업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응답된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경우, 상기 회원사 서버나 사용자 단말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verifying personal identity service using matching algorithm for e-mail address}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의 본인 확인을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상에서 개인의 보편적 정보만을 활용하여 본인 확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용정보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개인의 신용정보에 대한 관리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개인의 신용정보는 단순한 일상 생활에서부터, 금융기관을 통한 경제 생활과 같이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개인을 식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주민등록번호와 성명 휴대폰 번호 등은 익명성을 제공하는 온라인에서 자주 사용된다. 종래에는, 어떤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하기 위해서는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여 실명확인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었으며, 금융기관에서는 온라인을 통해서 사용자의 신용정보를 조회할 목적으로 주민등록번호와 성명을 요구하였다. 때문에, 개인의 주민등록번호와 성명을 알기만 하면 경제 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신용정보에 마음대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신용정보의 접근 및 관리는 공신력 있는 전문 기관에서만 처리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개인의 신용정보는 전문 기관인 신용정보 관리회사(예, 서울신용평가정보)에서 수집 관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 신용정보 관리회사에서는 실명확인 서비스 및 신용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전문 인증 기관에서 실명확인 및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민등록번호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 개인정보보호법 제정과 관련하여 주민등록번호 활용 등에 대한 법률적 제한으로, 더 이상 주민등록번호를 활용한 사용자 식별이나 본인 확인 절차 및 결제 처리를 이용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사용자 식별, 본인 확인 및 결제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이나 인증수단의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온라인상의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개인의 보편적 정보만을 활용하여 본인 확인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증 서버에서, 회원사 서버를 경유하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실명 정보와 개별 사업자로부터 생성한 공개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가 포함된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인증 서버는,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로 일치 여부가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인증 서버에서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응답받는 단계; (c) 인증 서버는,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가 응답되면,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로 조회되는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개별 사업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응답된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경우, 상기 회원사 서버나 사용자 단말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는 이메일 사업자, 포털 사업자, SNS 사업자, 통신사업자, 금융사업자와 같은 개별 사업자와의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생성한 이메일 주소, 포털 아이디, SNS 아이디, 휴대폰번호, 금융계좌번호, 카드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는 이전에 개별 사업자가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인증 서버로 본인 확인 인증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정보이다. 이러한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는 개별 사업자별로 가입 회원의 중복 가입 여부의 확인을 위한 중복 가입 확인 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이거나, 개별 사업자들 간에 동일 사용자의 구분을 위한 연계정보(CI; Connecting Information)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시, 본인 확인 대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사전에 사용자가 본인 확인 처리 허용을 위한 인증번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한 본인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는, 상기 회원사 서버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성인 인증,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와 같은 서비스를 위한 본인 확인 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나, 상기 회원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결과로 획득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 결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회원사에 대응되게 암호화하여 생성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기 회원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런 경우,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회원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기 회원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성인 인증,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경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별도의 유일키로 변환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상의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개인의 보편적 정보만을 활용하여 본인 확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와 회원사는 개인정보 보호의 효과를 제공하며 간단한 절차로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편리하고 안전하게 본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인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시스템 구성>
1.1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회원사 서버(200), 인증 서버(300) 및 개별 사업자(40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유무선 네트워크(1)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먼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상기 회원사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기능과,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입/출력 기능 및 제어 처리 기능이 구비된 단말 장치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예로는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등의 각종 전자기기 및 휴대용 모바일 기기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회원사 서버(200)를 통한 서비스 이용시 또는 회원 가입 절차 중, 회원사 서버(200)에서 요구되는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의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회원사 서버(200)를 경유하거나 직접 상기 인증 서버(300)로 본인 확인 요청을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본인 확인 인증 처리의 결과로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원사 서버(200)는 유무선 네트워크(1)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들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원사 서버(200)는 사업자 측에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위한 서버로서, 웹사이트, 웹페이지, 전자상거래 서버, 포탈 사이트, 검색 서버, 금융 서비스 서버, 콘텐츠 제공 서버 등 다양한 서비스 서버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회원사 서버(200)는 사용자들에게 서비스 제공시 또는 사용자들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회원 가입 처리시 사용자의 사용자 인증 처리를 하기 위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상기 인증 서버(300)로 의뢰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즉, 서비스 제공 및 회원 가입 처리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실명 인증 및 본인 여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데 이를 상기 인증 서버(300)를 통해 대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원사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 처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인증 서버(300)로 사용자 본인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인증 서버(300)는 외부로부터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의뢰받아 연동된 시스템들 및 자체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공개하여도 무방한 공개적 식별정보만을 활용하여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실명 정보와 개별 사업자로부터 생성한 공개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자체 인증 프로세스와 연동된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 등을 통하여 사용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는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는 이메일 사업자, 포털 사업자, SNS 사업자, 통신사업자, 금융사업자와 같은 개별 사업자와의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생성한 이메일 주소, 포털 아이디, SNS 아이디, 휴대폰번호, 금융계좌번호, 카드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이다.
즉, 상기 인증 서버(300)는 회원사 서버(200)를 경유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실명 정보와 개별 사업자로부터 생성한 공개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가 포함된 본인 확인 요청이 수신되면, 자체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본인 확인 정보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로 일치 여부가 확인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인증 서버에서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응답받는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는 이전에 개별 사업자가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인증 서버(300)로 본인 확인 인증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인증 서버(300)가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정보이다. 이러한 암호화 식별정보로는 개별 사업자별로 가입 회원의 중복 가입 여부의 확인을 위한 중복 가입 확인 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이거나, 개별 사업자들 간에 동일 사용자의 구분을 위한 연계정보(CI; Connecting Information)일 수 있다. 이때, 회원사와 개별 사업자는 서로 별개의 서비스 업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의 용도가 회원 가입을 위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사와 개별 사업자가 동일한 서비스 업체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인증 서버(300)는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가 응답되면, 자체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 즉,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과 생년월일로 조회되는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한다. 이때,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는 성명과 생년월일이 동일한 사용자가 적어도 한 명 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인증 서버(300)는 추출된 주민등록번호 리스트 상의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개별 사업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응답된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위해 사용자나 회원사로부터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공개할 수 있는 공개적 식별정보만을 이용하여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할 수 있음으로써, 회원사 서버(200)에서는 별도의 주민등록번호를 저장 관리하지 않아도 되고, 사용자는 회원사 서버(200)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개인정보의 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증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시, 본인 확인 대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사전에 사용자가 본인 확인 처리 허용을 위한 인증번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한 본인 확인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되면, 해당 사용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를 회원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의 본인 확인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은 상기 인증 서버(300)와 연계하여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업자들로서, 이메일 사업자, 포털 사업자, SNS 사업자, 통신사업자, 금융사업자 등이 운영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은 상기 회원사 서버(200)와 동일한 개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이메일 주소, 포털 아이디, SNS 아이디, 휴대폰번호, 금융계좌번호, 카드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공개적 식별정보를 사용자에게 발급하며, 이때의 회원 가입 절차에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반드시 수반되는 서비스 업체이다.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은 상기 인증 서버(300)와 연동하여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의 확인 요청을 의뢰받고, 이에 대한 확인 처리를 수행한 후 결과 정보로서 해당 사용자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인증 서버(300)에서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은 인증 서버(300)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고, 자체 DB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부여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1.2 서버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인증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인증 서버(300)는, 본인 확인 요청 수신 모듈(310), 공개적 식별정보 확인 모듈(320), 실명 정보 조회 모듈(330), 본인 확인 정보 판단 모듈(340),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모듈(350), 암호화 식별정보 생성 모듈(360), 본인 확인 인증 결과 제공 모듈(370) 등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서버 장치의 구동 및 운영에 필요한 ROM, RAM, CPU,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인 확인 요청 수신 모듈(310)은 상기 회원사 서버(200)를 경유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실명 정보와 개별 사업자로부터 생성한 공개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가 포함된 본인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는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는 이메일 사업자, 포털 사업자, SNS 사업자, 통신사업자, 금융사업자와 같은 개별 사업자와의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생성한 이메일 주소, 포털 아이디, SNS 아이디, 휴대폰번호, 금융계좌번호, 카드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이다.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 확인 모듈(320)은 상기 본인 확인 정보의 공개적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로 일치 여부가 확인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인증 서버에서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응답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는 이전에 개별 사업자가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인증 서버(300)로 본인 확인 인증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인증 서버(300)가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정보이다. 이러한 암호화 식별정보로는 개별 사업자별로 가입 회원의 중복 가입 여부의 확인을 위한 중복 가입 확인 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이거나, 개별 사업자들 간에 동일 사용자의 구분을 위한 연계정보(CI; Connecting Information)일 수 있다.
상기 실명 정보 조회 모듈(330)은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가 응답되면,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 즉,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과 생년월일로 조회되는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한다. 이때,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는 성명과 생년월일이 동일한 사용자가 적어도 한 명 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인 확인 정보 판단 모듈(340)은 상기 실명 정보 조회 모듈(330)에서 추출된 주민등록번호 리스트 상의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개별 사업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응답된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모듈(350)은 상기 본인 확인 정보 판단 모듈(34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모듈(350)은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시, 본인 확인 대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사전에 사용자가 본인 확인 처리 허용을 위한 인증번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한 본인 확인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 생성 모듈(360)은 상기 본인 확인 요청이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위한 경우, 상기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모듈(350)에서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이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회원사에 대응되게 암호화하여 암호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본인 확인 인증 결과 제공 모듈(370)은 상기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모듈(350)에서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 결과를 상기 회원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본인 확인 인증 결과 제공 모듈(370)은 상기 본인 확인 요청이 사용자의 회원 가입을 위한 경우,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 생성 모듈(360)에서 생성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상기 본인 확인 인증 결과 제공 모듈(370)은 상기 본인 확인 요청이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이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자체 신용 정보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신용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거나, 외부의 신용 정보 조회 업체를 통해 신용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별도의 유일키로 변환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의 인증 서버(300)를 구성하는 개별 구성 요소들의 상세한 기능과 동작은 후술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하여 설명한다.
<2. 방법 구성>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바람직하게 실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110)에서 인증 서버(300)는 회원사 서버(200)를 경유하거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실명 정보와 개별 사업자로부터 생성한 공개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가 포함된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는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는 이메일 사업자, 포털 사업자, SNS 사업자, 통신사업자, 금융사업자와 같은 개별 사업자와의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생성한 이메일 주소, 포털 아이디, SNS 아이디, 휴대폰번호, 금융계좌번호, 카드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이다. 또한, 본인 확인 서비스는,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성인 인증,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와 같은 서비스를 위한 본인 확인 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나, 상기 회원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결과로 획득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단계(S120)에서 인증 서버(300)는 자체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본인 확인 정보에 포함된 공개적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개별 사업자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단계(S130)에서 인증 서버(300)는 상기 본인 확인 정보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
단계(S140)에서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은 상기 본인 확인 정보가 자체 DB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단계(S150)에서 본인 확인 정보의 확인 결과로 일치 여부가 확인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인증 서버(300)에서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인증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는 이전에 개별 사업자가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인증 서버(300)로 본인 확인 인증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인증 서버(300)가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정보이다. 이러한 암호화 식별정보로는 개별 사업자별로 가입 회원의 중복 가입 여부의 확인을 위한 중복 가입 확인 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이거나, 개별 사업자들 간에 동일 사용자의 구분을 위한 연계정보(CI; Connecting Information)일 수 있다. 이때, 회원사와 개별 사업자는 서로 별개의 서비스 업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의 용도가 회원 가입을 위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사와 개별 사업자가 동일한 서비스 업체이어도 무방하다.
그러면, 단계(S160)에서 인증 서버(300)는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가 응답되면, 자체 인증 프로세스를 통해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인증 처리를 한다.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인증 처리는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 즉,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과 생년월일로 조회되는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민등록번호 리스트 상의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개별 사업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응답된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S160)의 매칭 알고리즘의 처리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61)에서 인증 서버(300)의 공개적 식별정보 확인 모듈(320)은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수신하고, 단계(S162)에서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가 응답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절차를 계속하는 단계(S163)으로 프로세스를 이행하고, 본인 확인 정보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불허하는 단계(S169)로 프로세스를 이행하여 본인 확인 인증 절차를 중단한다. 이때의 중단 사실은 상기 사업자 서버(200)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163)에서 인증 서버(300)의 실명 정보 조회 모듈(330)은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정보의 실명 정보로서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과 생년월일로 인증 서버(300) 내부 데이터베이스에서 조회되는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한다. 이러한 과정은 인증 서버(300)의 자체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별도의 외부 식별 업체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는 성명과 생년월일이 동일한 사용자가 적어도 한 명 이상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단계(S164)에서 인증 서버(300)의 본인 확인 정보 판단 모듈(340)은 추출된 주민등록번호 리스트 상의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개별 사업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로 변환하고, 단계(S165)에서 변환된 암호화 식별정보와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응답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면, 단계(S165)에서 인증 서버(300)의 변환된 암호화 식별정보와 개별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응답된 암호화 식별정보의 상호 비교에 따른 판단 결과로서, 상호 일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절차를 계속하는 단계(S167)로 프로세스를 이행하고, 상호 불일치한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불허하는 단계(S169)로 프로세스를 이행하여 본인 확인 절차를 중단한다. 이때의 중단 사실은 상기 사업자 서버(200)에게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167)에서 인증 서버(300)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 모듈(350)은 상술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본인 확인 정보가 일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한다. 이때, 인증 서버(300)는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시, 본인 확인 대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사전에 사용자가 본인 확인 처리 허용을 위한 인증번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한 본인 확인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계(S168)에서 인증 서버(300)의 암호화 식별정보 생성 모듈(360)은 본인 확인 인증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한 회원사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회원사의 암호화 식별정보는 본인 확인 서비스의 제공시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제공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회원사 서버(200)는 사용자의 회원 가입, 성인 인증,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회원 가입의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해 회원사 서버(200)가 관리를 시작할 수 있도록 자체 DB에 수신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등록하게 되는 것이고, 성인 인증이나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의 경우 회원사 서버(200)가 수신된 암호화 식별정보와 자체 DB에 등록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호 비교 해당 사용자의 본인 확인을 함으로써, 성인 인증이나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단계(S170)에서 인증 서버(300)는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인 확인 서비스는,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성인 인증,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와 같은 서비스를 위한 본인 확인 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나, 상기 회원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결과로 획득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본인 확인 인증 결과를 제공할 때에는 본인 확인 여부의 결과만을 통보하거나, 본인 확인 인증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본인 확인 서비스를 요청한 회원사에 대응되게 암호화하여 생성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70)에서 인증 서버(300)는 본인 확인 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100) 또는 회원사 서버(200)로부터의 상기 본인 확인 요청이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이 인증된 경우에 한하여 자체 신용 정보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사용자 신용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거나, 외부의 신용 정보 조회 업체를 통해 신용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별도의 유일키로 변환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회원사 서버
300: 인증 서버 400: 개별 사업자

Claims (10)

  1.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인증 서버에서, 회원사 서버를 경유하거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실명 정보와 개별 사업자로부터 생성한 공개적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본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본인 확인 정보가 포함된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인증 서버는,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 상기 본인 확인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실명 정보 및 공개적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로 일치 여부가 확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공개적 식별정보에 대해 사전에 인증 서버에서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암호화 식별정보를 응답받는 단계;
    (c) 인증 서버는,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본인 확인 정보의 일치 여부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가 응답되면,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로 조회되는 주민등록번호 리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개별 사업자에 대응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로 변환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 시스템으로부터 응답된 상기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및
    (d)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경우, 상기 회원사 서버나 사용자 단말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실명 정보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제외한 성명 및 생년월일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공개적 식별정보는 이메일 사업자, 포털 사업자, SNS 사업자, 통신사업자, 금융사업자와 같은 개별 사업자와의 회원 가입 절차를 거쳐 생성한 이메일 주소, 포털 아이디, SNS 아이디, 휴대폰번호, 금융계좌번호, 카드번호 중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는 이전에 개별 사업자가 사용자의 회원 가입 절차를 처리하기 위해 인증 서버로 본인 확인 인증을 요청하여,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되면, 상기 인증 서버가 본인 확인 인증이 처리된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암호화하여 상기 개별 사업자측으로 부여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식별정보는 개별 사업자별로 가입 회원의 중복 가입 여부의 확인을 위한 중복 가입 확인 정보(DI; Duplication Information)이거나, 개별 사업자들 간에 동일 사용자의 구분을 위한 연계정보(CI; Connecting Inform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처리시, 본인 확인 대상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기준으로 사전에 사용자가 본인 확인 처리 허용을 위한 인증번호가 등록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인증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통한 본인 확인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는,
    상기 회원사 서버로 사용자의 회원 가입, 성인 인증,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와 같은 서비스를 위한 본인 확인 인증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나, 상기 회원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의 본인 확인 인증 결과로 획득된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한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 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상기 회원사에 대응되게 암호화하여 생성된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기 회원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회원사 서버는,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 식별정보를 상기 회원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암호화 식별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성인 인증, 아이디/패스워드 찾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경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용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본인 확인 서비스 요청이 사용자의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경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한 별도의 유일키로 변환하여, 상기 회원사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125965A 2014-09-22 2014-09-22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85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65A KR101585186B1 (ko) 2014-09-22 2014-09-22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965A KR101585186B1 (ko) 2014-09-22 2014-09-22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186B1 true KR101585186B1 (ko) 2016-01-13

Family

ID=5517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965A KR101585186B1 (ko) 2014-09-22 2014-09-22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18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475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browser instance in a browser session with a server
CN108122109B (zh) 一种电子凭据身份管理的方法及装置
US201902133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n access request
US20170093851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US11588638B2 (en) Digital notarization using a biometric identification service
CN112597481A (zh) 敏感数据访问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50124931A (ko) 개인정보 유출과 스미싱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자 이중 인증 방법
US118248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login access
KR101603058B1 (ko) 전자 id지갑과 아이핀(i-pin)을 활용한 신원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259363B (zh) 业务访问信息处理方法、系统、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80039037A (ko) 온라인 서비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585186B1 (ko) 이메일 주소에 대한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한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785410A (zh) 依赖方风险调整指示符系统和方法
US20200204377A1 (en) Digital notarization station that uses a biometric identification service
KR101831497B1 (ko) 본인 확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9842B1 (ko) Otp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705293B1 (ko) 비밀스런 인증데이터 관리가 필요 없는 인증시스템 및 방법
KR102296322B1 (ko) 동일성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48940A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
Ahn et al. The simple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method using multi-layer display in Korea
KR20170099339A (ko) 보안 회원가입 및 로그인 호스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4312A (ko) Did를 이용한 개인정보의 인증 및 식별 시스템과 그 방법
KR20210042797A (ko) 동일성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305280A (zh) 基于数字身份的个人数据管理方法及系统
Zhu et al. A network identity authentication protocol of bank account system based 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mixed encry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