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062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062A
KR20170065062A KR1020150170698A KR20150170698A KR20170065062A KR 20170065062 A KR20170065062 A KR 20170065062A KR 1020150170698 A KR1020150170698 A KR 1020150170698A KR 20150170698 A KR20150170698 A KR 20150170698A KR 20170065062 A KR20170065062 A KR 20170065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display unit
gradation
threshol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1476B1 (ko
Inventor
박정국
석주곤
이민탁
임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476B1/ko
Priority to US15/367,531 priority patent/US10388216B2/en
Publication of KR2017006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7Special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use of low carrier mobility technolog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하는 이미지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널리 이용되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휴대폰 등에는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는 음극선관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등이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고해상도 및 대면적화 됨에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량이 증가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부에 포함되는 화소들의 경우, 지속적으로 발광하는 화소의 휘도와, 비발광하였다가 발광하는 화소의 휘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쉐도우 효과(shadow effect)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부의 제1 표시 영역은 발광을 하고, 제1 표시 영역에 인접한 제2 표시 영역이 비발광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그 후,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모두 발광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들 사이에서 경계가 시인되는 순간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 영상에 따른 순간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정 영상에 순간 잔상을 단시간에 개선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하는 이미지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고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고계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의 계조가 상기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 및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상기 임계 저계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고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고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의 계조가 상기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영상에 따른 순간 잔상을 제거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영상에 순간 잔상을 단시간에 개선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이미지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이미지 제어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간 잔상 개선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 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을 다른 구성으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은 제2 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도 제1 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를 이루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 예 및 분리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하기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표시부에 포함되는 화소가 지속적으로 발광을 하는 경우 상기 화소의 구동 트랜지스터는 제1 전압-전류 특성(120)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화소가 지속적으로 비발광하는 경우에는 제2 전압-전류 특성(110)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압-전류 특성(120)을 가진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 화소의 휘도와 제2 전압-전류 특성(110)을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2 화소의 휘도가 서로 다르므로 쉐도우 효과(shadow effect)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의 상기 제1 전압-전류 특성(120)을 갖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영역과 제2 전압-전류 특성(110)을 갖는 화소들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영역이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이 모두 발광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각 표시 영역의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전압-전류 특성이 서로 상이하므로,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는 순간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OLED의 구동 트랜지스터는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게이트 전압(Vg)의 변화에 따라 전류(Id)가 변하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이 있다.
예를 들면, 화소의 밝기가 고계조(예를 들면, 화이트 계조)에서 중간 계조로 변하면, 12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의 절대값(|Vg|)은 큰 값에서 작은 값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고계조에서 상대적으로 절대값이 큰 게이트 전압(|Vg|)이 구동 트랜지스터에 먼저 인가되었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Vth|)이 증가한 상태에서 중간 계조에 해당하는 게이트 전압(Vg)이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Id)는 "A" 지점과 같을 수 있다.
그리고, 화소의 밝기가 저계조(예를 들면, 블랙 계조)에서 중간 계조로 변하면, 1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의 절대값(|Vg|)은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저계조에서 상대적으로 절대값이 작은 게이트 전압(|Vg|)이 구동 트랜지스터에 먼저 인가되었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의 절대값(|Vth|)이 ΔVth만큼 감소한 상태에서 중간 계조에 해당하는 전압(Vg)이 구동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전류(Id)는 "B" 지점과 같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구동 트랜지스터로 인하여, 중간 계조의 밝기를 표현하기 위해 동일한 게이트 전압(Vg)을 구동 트랜지스터로 인가하여도, 해당 화소의 이전 밝기에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 다른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중간 계조의 밝기를 표현하기 위한 게이트 전압(Vg)가 인가된 화소의 이전 밝기가 저계조였던 경우에 비해서, 중간 계조의 밝기를 표현하기 위한 게이트 전압(Vg)가 인가된 화소의 이전 밝기가 고계조이었던 경우의 전류는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ΔI만큼 차이가 난다. 그리고 이러한 전류의 차이는 화면 잔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에 따라서 일시적인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순간 잔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에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체(gate insulator)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 어닐링(annealing)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1 프레임 또는 1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마다 블랙 데이터(black data)를 삽입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P-타입(p-type)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에서 공정 최적화로 트랜지스터의 히스테리시스 감소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 프레임 또는 1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마다 블랙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 또는 임펄스(impulse) 구동 방식은 깜빡임이 사용자에게 인식되어 표시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 트랜지스터의 데이터 전압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순간 잔상 개선 효과는 적을 수 있고,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수명이 감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215)들을 포함하는 표시부(210), 표시부(210)에 복수의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구동부(240), 표시부(210)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250), 표시부(210)에 구동 전압, 예를 들면 제1 전원 전압(ELVDD)과 제2 전원 전압(ELVSS)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60), 및 상기 주사 구동부(240), 데이터 구동부(250), 전원 공급부(260)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장치는 이미지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이미지 제어부(230)가 신호 제어부(2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미지 제어부(230)는 신호 제어부(220)와 별도의 제어부로 존재할 수 있다.
표시부(210)는 복수의 화소(215)들이 행렬 형태로 배열된 패널이며, 각 화소(215)는 데이터 구동부(25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소(215)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서 표시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PMOLED: passive matrix OLED)와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AMOLED: active matrix OLED)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AMOLED일 수 있다.
표시부(2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215)들 각각에 행 방향으로 형성되고 주사 구동부(240)로부터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 - Sn)과, 열 방향으로 형성되고 데이터 구동부(25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이 배열된다.
즉, 복수의 화소(215) 중 j 번째 화소 행과 k 번째 화소 열에 위치하는 화소(215)는 각각 대응하는 1 개의 주사선(Sj), 1 개의 데이터선(Dk)과 연결된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 이러한 구성 및 구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사 구동부(240)는 복수 개의 구동부로 구현될 수 있다.
화소(215)들은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게 공급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공급된 전류에 따라 소정 휘도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210)의 동작에 필요한 제1 전원 전압(ELVDD) 및 제2 전원 전압(ELVSS)은 전원 공급부(260)로부터 전달된다.
주사 구동부(240)는 표시부(210)에 복수의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써, 복수의 주사선(S1 - Sn)과 연결되어 복수의 주사 신호 각각을 복수의 주사선 중 대응하는 주사선에게 전달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240)는 신호 제어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서 표시부(2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215)들의 행에 연결된 주사선으로 주사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50)는 신호 제어부(220)로부터 전달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포함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부(210)에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50)의 구동은 신호 제어부(220)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신호 제어부(220)는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V_sync)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Data Enable), 및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달받은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250), 주사 구동부(240) 및 전원 공급부(260) 각각에게 전송할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순간 잔상은, 동일한 이미지(image)가 표시부(210)에 고정되어 있는 시간이 길수록 발현되는 수준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이미지 제어부(230)는, 순간 잔상이 인식되기 시작하는 고정 이미지의 디스플레이(display) 지속 시간을 모니터링(monitoring)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부(230)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카운팅(counting)함으로써 고정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제어부(230)는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부(230)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수직 동기 신호 개수보다 많은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시간 및/또는 상기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는 표시 장치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순간 잔상은 저계조 이미지가 밝은 이미지, 즉 고계조 이미지로 전화되는 순간에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랙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다가 화이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순간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미지 제어부(230)는 표시부(210)에서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제어부(230)는 상기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들에 대해서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Transistor Hysteresis reset)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2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부(250)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 동안에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는 예를 들면 블랙 데이터(black data) 또는 그에 상응하는 저계조 데이터일 수 있다.
물론, 화소의 특성에 따라서 반대의 경우, 즉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다가 저계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도 순간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제어부(230)는 표시부(210)에서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제어부(230)는 상기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된 영역에 포함되는 화소들에 대해서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2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부(250)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 동안에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제어부(230)가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전송할 화소를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화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화소가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다가 고계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도 순간 잔상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제어부(230)는 표시부(210)에서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제어부(230)는 영상 이미지의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값 이하의 계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 이미지를 저계조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어부(230)는 영상 이미지의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고계조 값 이하의 계조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영상 이미지를 고계조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임계 저계조 값 및/또는 임계 고계조 값은 표시 장치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주사 구동부(240), 데이터 구동부(250), 신호 제어부(220), 이미지 제어부(230) 등은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부(display driver IC)에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215)들은 대응하는 주사 신호를 전달받고 그에 따라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이미지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이미지 제어부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제어부(310)는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제어부(310)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가 구동 제어부(미도시)(또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되는 경우에,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미도시)의 화소 단위 또는 표시부의 특정 블록(block) 단위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부의 특정 영역에 계속하여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제1 이미지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어부(310)는 동일한 이미지(image)가 표시부의 특정 화소에 계속하여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동일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지속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부(310)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카운팅 함으로써 고정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제어부(310)는 새로운 영상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카운팅 함으로써 고정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동일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이미지 제어부(310)는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부(310)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 이상인 경우에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제어부(310)는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표시부에서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저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제어부(310)는 상기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분석하여, 이미지의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을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어부(310)는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표시부(미도시)의 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제어부(310)가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표시부(미도시)의 화소 단위 또는 특정 블록 단위로 분석하여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부의 특정 영역에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의 특정 영역에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이미지 제어부(310)는 상기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미지 제어부(310)는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상기 표시부의 특정 영역 중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의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계 저계조 이하의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 영역을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부(310)는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표시부에서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고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제어부(310)는 상기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분석하여, 이미지의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고계조 이상인 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계 고계조 이상인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을 고계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어부(310)는 상기 고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표시부(미도시)의 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제어부(310)가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지 또는 고계조 영역을 설정하는지 여부는 화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화소가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다가 고계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도 순간 잔상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제어부(310)는 표시부(미도시)에서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의 화소가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다가 저계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도 순간 잔상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제어부(310)는 표시부(미도시)에서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고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 제어부(310)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은 변경 가능한 값일 수 있다. 한편, 이때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이미지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제어부(310)는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 할 때, 저계조 영역(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 제어부(310)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 동안에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제어부(310)는 10초에 해당하는 600 프레임(frame) 동안에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가령,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제1 화소에 대해서, 이미지 제어부(310)는 데이터 구동부에게 제1 프레임, 제9 프레임, 제16 프레임 등에서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내지 제8 프레임, 제10 내지 제15 프레임, 제17 내지 제21 프레임 등에서는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부는 제1 화소에 대해서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제2 화소에 대해서는, 이미지 제어부(310)는 데이터 구동부에게 제2 프레임, 제7 프레임, 제16 프레임 등에서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전송하고, 제1 프레임, 제3 내지 제6 프레임, 제8 내지 제15 프레임, 제17 내지 제25 프레임 등에서는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부는 제2 화소에 대해서 제1 화소와 적어도 일부가 다른 프레임들에서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지난 후에는 이미지 제어부(310)는 표시부(미도시)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랜덤 출력 시간이 지난 후에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이미지 제어부(310)가 하나의 제어부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제어부(400)는 메모리(410), 카운터(counter)(420),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410)는 이미지 제어부(400)가 수신하는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10)는 이미지 제어부(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동일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 및/또는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 저계조 영역 또는 고계조 영역 판단을 위한 임계 저계조 및/또는 임계 고계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수신을 위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출력하기 위한 랜덤 출력 시간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카운터(420)는 고정된 동일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지속 시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수신하고, 수신된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카운팅 함으로써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카운터(420)는 새로운 영상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카운팅하기 시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카운터(420)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계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카운터(42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카운팅 값 또는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는, 고정된 이미지가 장시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는 메모리(4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수신하고, 카운터(420)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카운팅 값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는 상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가 구동 제어부(미도시)(또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로 입력되는 경우에,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분포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부(미도시)의 화소 단위 또는 표시부의 특정 블록(block) 단위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는 카운터(420)로부터 수신한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카운팅 값 또는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이용하여,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는 이미지의 표시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인지 또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카운팅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가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는 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서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저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는 상기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분석하여, 이미지의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을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는 상기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표시부(미도시)의 화소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는 화소의 특성에 따라서, 표시부에서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고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2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수신한 후,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450)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450)는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 될 때,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가 설정한 저계조 영역(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이미지 제어부(400)가 복수의 이미지 프로세싱부들(430, 440, 45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 및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450)가 하나의 이미지 프로세싱부로 존재하여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 및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4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가 카운터(4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카운터(420),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430),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440),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450) 등은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부(display driver IC)에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순간 잔상 개선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510 단계에서 이미지 제어부는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제어부는 520 단계에서 고정 이미지의 표시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제어부는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표시부의 화소 단위 또는 특정 블록 단위로 분석하여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부의 특정 영역에 입력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표시부의 특정 화소에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고정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부는 수직 동기 신호(V_sync)의 개수를 카운팅 함으로써 고정 이미지의 표시 시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5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고정 이미지의 표시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경우, 이미지 제어부는 580 단계에서 표시부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520 단계에서 판단 결과 고정 이미지의 표시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530 단계에서 이미지 제어부는 표시부에서 저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저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부는 표시부에서 고계조 이미지가 장시간 디스플레이된 고계조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540 단계에서 이미지 제어부는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550 단계에서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제2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제어부는 제2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530 단계에서 판단한 저계조 영역 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560 단계에서 이미지 제어부는 저계조 영역(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Tr. Hysteresis reset)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저계조 영역(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570 단계에서 데이터 구동부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560 단계에서 저계조 영역(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는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550 단계에서 판단 결과 제2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저계조 영역 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지 않는 영역에 해당하는 화소들에 대해서는 이미지 제어부는 데이터 구동부에게 580 단계에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는 제2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저계조 영역 또는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지 않는 영역에 해당하는 화소들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570 단계에서 판단 결과,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한 경우, 데이터 구동부는 580 단계에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는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10: 표시부 215: 화소
220: 신호 제어부 230: 이미지 제어부
240: 주사 구동부 250: 데이터 구동부
260: 전원 공급부

Claims (15)

  1.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부;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하는 이미지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이미지 제어부는,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고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고계조 영역을 설정하고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의 계조가 상기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제1 이미지 프로세싱부;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제2 이미지 프로세싱부; 및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데이터 구동부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3 이미지 프로세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상기 임계 저계조,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서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제2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 수직 동기 신호의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표시부에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고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고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 대해서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계조가 미리 설정된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저계조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랜덤하게 전송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랜덤 출력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 히스테리시스 리셋 신호를 상기 저계조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표시부의 화소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계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이미지가 상기 임계 시간 이상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의 계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의 계조가 상기 임계 저계조 이하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을 저계조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50170698A 2015-12-02 2015-12-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9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98A KR102391476B1 (ko) 2015-12-02 2015-12-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5/367,531 US10388216B2 (en) 2015-12-02 2016-12-0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698A KR102391476B1 (ko) 2015-12-02 2015-12-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062A true KR20170065062A (ko) 2017-06-13
KR102391476B1 KR102391476B1 (ko) 2022-04-28

Family

ID=58798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698A KR102391476B1 (ko) 2015-12-02 2015-12-0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88216B2 (ko)
KR (1) KR102391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7871A (zh) * 2021-12-10 2022-03-15 北京欧铼德微电子技术有限公司 电压调整方法及装置、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6227B1 (fr) * 2015-12-29 2018-01-05 Thales Procede de representation graphique de la position relative du ciel et de la terre dans un systeme de visualisation de bord pour aeronef
CN107731149B (zh) * 2017-11-01 2023-04-11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电路、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469744B1 (ko) 2017-11-08 2022-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보정 데이터 생성 방법
KR102567956B1 (ko) 2018-11-06 2023-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762956B (zh) * 2020-06-17 2022-05-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影像中靜止圖像的處理方法
US11756481B2 (en) * 2020-09-08 2023-09-12 Apple Inc. Dynamic voltage tuning to mitigate visual artifacts on an electronic display
KR20230060767A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을 위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726A (ko) * 2002-06-28 2004-01-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10027630A (ko) * 2009-09-09 2011-03-16 이그니스 이노베이션 인크.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동 시스템
KR20130079094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이미지처리장치 및 이미지처리방법
KR20150007057A (ko) * 2013-07-10 2015-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114020A (ko) * 2014-03-31 2015-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04930B1 (en) * 1992-12-25 1997-10-2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052330B1 (ko) * 2012-09-28 2019-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207190B1 (ko) * 2015-05-28 2021-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726A (ko) * 2002-06-28 2004-01-0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110027630A (ko) * 2009-09-09 2011-03-16 이그니스 이노베이션 인크. 능동 매트릭스 디스플레이를 위한 구동 시스템
KR20130079094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방법, 이미지처리장치 및 이미지처리방법
KR20150007057A (ko) * 2013-07-10 2015-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114020A (ko) * 2014-03-31 2015-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7871A (zh) * 2021-12-10 2022-03-15 北京欧铼德微电子技术有限公司 电压调整方法及装置、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2127A1 (en) 2017-06-08
US10388216B2 (en) 2019-08-20
KR102391476B1 (ko)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476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6727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96142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779076B1 (ko) 화소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008365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panel, O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944508B1 (ko)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신호 제어장치 및 신호 제어방법
US937867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217807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172034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4809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606766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4029283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4030059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09903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7154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KR102182382B1 (ko)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71399B1 (ko) 표시 패널의 제어 장치,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140137243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40106013A (ko) 의사 윤곽 감소용 표시 장치
KR20140097869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993747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843858B1 (ko) 자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20344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518745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50022236A (ko) 화소 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