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016A -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 Google Patents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016A
KR20170063016A KR1020150168917A KR20150168917A KR20170063016A KR 20170063016 A KR20170063016 A KR 20170063016A KR 1020150168917 A KR1020150168917 A KR 1020150168917A KR 20150168917 A KR20150168917 A KR 20150168917A KR 20170063016 A KR20170063016 A KR 20170063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thermoelectric element
cooling
heat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6376B1 (en
Inventor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8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376B1/en
Publication of KR2017006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3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023/0275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47G2023/0283Glass or bottle hold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for one glass or c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컵을 안착시키는 서스 컵홀더에 대한 쿨링 및 히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면서 동시에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양호한 열전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서스 컵홀더, 열전소자, 히트싱크, 싱크케이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열전소자로부터 서스 컵홀더에 열전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전소자로부터 히트싱크로의 열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텐션수단을 판스프링으로 구현하여 서스 컵홀더, 열전소자, 히트싱크, 싱크케이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열전도와 방열의 양호한 내구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selectively cooling and heating a sus cup holder for seating a beverage cup while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to achieve good heat conduction, wherein the sus cup hold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heat sink, To improve heat conduction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susceptor holder and to improve the heat conduction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heat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urability of heat conduction and heat dissip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maintaining the space in which the sus cup hold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heat sink, and the sink case are sequentially connected by implementing the tension means as a leaf spring.

Description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device for cooling and heating,

본 발명은 음료컵을 안착시키는 서스 컵홀더에 대한 쿨링 및 히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면서 동시에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양호한 열전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selectively performing cooling and heating for a cup holder for seating a beverage cup while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to achieve good heat conduction.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서스 컵홀더, 열전소자, 히트싱크, 싱크케이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열전소자로부터 서스 컵홀더에 열전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전소자로부터 히트싱크로의 열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 sink,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 sink,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 sink,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 sink,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eat sink, It is a technology that can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ynchro.

일반적으로 열전소자는 소위 '펠티에 효과'를 통해 전면과 후면에 상호 반대되는 열을 전도시킨다. 일반적인 구조는 얇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복수 쌍의 P형 열전반도체와 N형 열전반도체가 직렬연결로 구성되며, 열전소자에 DC전압을 인가하면 열전소자의 한쪽 면은 냉각되어 저온이 되고 반대쪽 면은 가열되어 고온이 된다.In general, thermoelectric elements conduct mutually opposing heat through the so-called 'Peltier effect'. A typical structure is a thin hexahedron, and a plurality of pairs of P-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s and N-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s are connected in series. When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s,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is cooled to become low temperature, The surface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이와 같은 열전소자의 저온 면과 고온 면 각각에 열선 등 열전달 매개체를 구비하여 냉각용 또는 가열용으로 사용된다. 이처럼 열전소자는 소스 열원으로 사용되지만, 열전소자의 소스 열원을 외부에 전달하는 열전달 매개체의 구성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 효율은 전혀 다르게 구현되므로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해결 수단이 중요하다.Each of the low temperature surface and the high temperatur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with a heat transfer medium such as a heat ray and is used for cooling or heating. Alth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used as a source of heat source, the cooling or heating efficiency is complete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heat transfer medium for transferring the source heat sou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outside. Therefore, a solution for maximiz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important.

한편, 서스 재질로 이루어진 컵홀더에 음료컵을 끼워넣은 후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서스 컵홀더에 대한 냉온 온도를 조절하여 음료를 시원하게 또는 따뜻하게 온도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after inserting the beverage cup into the cup holder made of the saucer material, the temperature of the cooler temperature of the sus cup hold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peration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oolly or warmly.

이처럼, 서스 컵홀더에 인가되는 열원을 열전소자로 구성할 수 있는데, 열전소자의 가열 또는 냉각에 따라 서스 컵홀더가 연동하여 가열 또는 냉각되는 과정에서 각 구성의 연결구조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 효율은 천차만별로 달라지게 되는데, 여기서 가열 또는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In this way, the heat source applied to the suscep cup holder can be constituted by a thermoelectric element. In the process of heating or cooling the thermosetting device by interlocking the suscep cup according to the heating or cooling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cooling and heating selection type cup holder device capable of improving heating or cooling efficiency.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0-0084843호 "냉온기능을 갖는 컵홀더"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84843 "Cup holder with cold function" 대한민국 실용출원 20-1996-0058615호 "냉온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컵홀더"Korean Utility Application No. 20-1996-0058615 "Vehicle Cup Holder with Cooling Device" 대한민국 실용출원 20-1997-0012760호 "냉온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의 컵홀더장치"Korean Utility Application No. 20-1997-0012760 "Cup holder device for cold-functioning automobile"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36865호 "냉온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및 그를 구비한 시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36865 "Cup Holder with Cooling Function and Sheet Hav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10-1997-0054625호 "자동차의 컵홀더"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1997-0054625 "Cup holder of automobile"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0057816호 "차량용의 음료용기 냉온장장치"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57816 entitled "Cold storage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컵을 안착시키는 서스 컵홀더에 대한 쿨링 및 히팅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면서 동시에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양호한 열전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cooling and heating for selectively performing cooling and heating for a cup holder for seating a beverage cup, A heating-type cup holder device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제공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and heating type cup holder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performing heat radia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열전도와 양호한 방열이 오래 지속되는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제공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and heating optional cup holder device which ensures that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good heat dissipation have long lasting durability.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제공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and heating type cup holder device for maintaining a preset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링 및 히팅을 사용자의 현재 선택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제공한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oling and heating optional cup holder device which can perform cooling and heating according to the user's current sele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는 제 1 면이 고온인 경우 제 1 면의 후면인 제 2 면은 저온으로 냉각하고 제 1 면이 저온인 경우 제 2 면은 고온으로 가열하는 열전소자; 제 1 면에 밀착 연결되어 제 1 면의 냉각 또는 가열에 따라 연동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는 서스 컵홀더; 제 2 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 2 면의 가열 또는 냉각에 반응하여 제 2 면과 외부의 열전도를 인터페이스하는 히트싱크; 열전소자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제 1 면에 대한 냉각 또는 가열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oling and heating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surface is hot, the second surface, which is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is cooled to a low temperature,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A SUS cup holder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and is cooled or heated by interlocking with cooling or heating of the first surface; A heat sink for interfacing heat conduction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outside in response to heating or cooling of the second surface in tight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selectively control cooling or he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또한, 서스 컵홀더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서스 컵홀더를 지지하며 열전소자와 맞닿는 서스 컵홀더의 일측부에 대응하여 측벽이 개구된 하우징; 열전소자와 히트싱크가 상호 마주하는 상태에서 열전소자에 대향하는 히트싱크의 후면을 열전소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밀착시키는 싱크케이스; 히트싱크와 마주하는 싱크케이스의 내측벽에 장착되어 싱크케이스를 지지 기반으로 하여 열전소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히트싱크에 대해 미는 힘을 갖는 텐션수단;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 housing having a side wall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us cup holder which supports the sus cup holder in the form of wrapping the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cup cup holder and contacts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sink case elastically adh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sink fac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ositioned in a state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 sink face each other; And a tension unit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sink case facing the heat sink and having a pushing force against the heat sink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ositioned with the sink case as a support base.

이때, 텐션수단은 싱크케이스의 내측벽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히트싱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며 외력으로부터 그 경사진 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에 의해 히트싱크를 열전소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미는 하나이상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ension means is fixed at one end to the inner wall of the sink case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obliquely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t sink is positioned. By the force to restore the inclined state from the external forc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stituted by one or more leaf springs.

또한, 판스프링이 위치하는 싱크케이스의 내측벽에는 판스프링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절개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cutou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leaf spring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nk case where the leaf spring is located.

그리고, 히트싱크에 대향하는 싱크케이스의 일측부에 히트싱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뿜어내도록 배치된 쿨링팬; 쿨링팬을 감싸는 형태로 싱크케이스에 연결되어 쿨링팬을 지지하는 팬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cooling fa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ink case opposite to the heat sink to discharge heat generated in the heat sink to the outside; And a fan housing connected to the sink case to support the cooling fan so as to surround the cooling fan.

한편,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우징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컨트롤러는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제 1 면을 히팅시키고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제 1 면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senses the temperature around the housing. The controller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surface is cooled when the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et in advance by operation.

이때, 컨트롤러는 열전소자의 히팅 또는 냉각에 연동하여 쿨링팬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fan in conjunction with the heating or cool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또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컨트롤러가 열전소자의 제 1 면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냉각 모드 전환 스위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컨트롤러가 열전소자의 제 1 면을 히팅시키도록 제어하는 히팅 모드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 cooling mode changeover switch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to cool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a user operation; And a heating mode changeover switch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to heat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a user operation.

다른 한편, 히트싱크는 제 2 면에 밀착되어 열전소자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의 측벽으로부터 쿨링팬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복수의 방열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sink includes a plate-shaped body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nd performs mutual heat conduction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which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rotruded from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oling fan is positioned to perform mutual thermal conduction with the body part.

그리고, 서스 컵홀더는 열전소자의 일측벽과 마주하는 일측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열전소자의 일측벽과 밀착되는 방열판; 방열판과 서스 컵홀더의 측벽부 사이를 가로질러 방열판과 서스 컵홀더를 열전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다단 형성되는 방열브릿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uscep cup holder includes a heat dissipating plate formed in a plate shape on one side facing the one side w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losely contacting one side w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dissipation bridge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bridges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plate and the side wall portions of the susup cup holder so as to connect the heat dissipation plate and the susup cup holder in a heat conductive manner.

본 발명은 텐션수단을 구비하여 서스 컵홀더, 열전소자, 히트싱크, 싱크케이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열전소자로부터 서스 컵홀더에 열전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전소자로부터 히트싱크로의 열전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ructure in which a sus cup holder, a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sink, and a sink case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elastically contacting with each other to improve heat conduction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the sus cup holder,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ynchro.

또한, 본 발명은 텐션수단을 판스프링으로 구현하여 서스 컵홀더, 열전소자, 히트싱크, 싱크케이스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열전도와 방열의 양호한 내구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tension means is implemented as a leaf spring and the durability of heat conduction and heat dissipat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maintaining a space in which the sus cup hold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heat sink and the sink case are sequentially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preset temperatur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또한, 본 발명은 쿨링 및 히팅을 사용자의 현재 선택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ustomized cooling and heating according to the current selection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ling and heating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ling and heating selection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cooling and heating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ling and heating selection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ling and heating selection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는 하나의 하우징(140)에 듀얼로 서스 컵홀더(120)를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서스 컵홀더(120)는 컨트롤러(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독립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되도록 설정된다.Referring to FIG. 1, a cooling and heating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unt a dual crucible cup holder 120 in one housing 140. Here, preferably, each of the cup cup holders 120 is set to be independently cooled or heated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이하에서는, 듀얼의 서스 컵홀더(120)를 장착하는 하우징(140)에 대해 하나의 서스 컵홀더(120)와 그 하나의 서스 컵홀더(120)에 연동하는 개별 구성들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single cup holder 120 and individual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single cup cup hold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40 in which the dual cup holder 120 is mounted.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는 열전소자(110), 서스 컵홀더(120), 히트싱크(130), 하우징(140), 싱크케이스(150), 텐션수단(160), 팬하우징(170), 쿨링팬(미도시),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cooling and heating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110, a cup holder 120, a heat sink 130, a housing 140, a sink case 150, A tension unit 160, a fan housing 170, a cooling fan (not shown), and a controller (not shown).

열전소자(110)는 소위 '펠티에 효과'를 통해 전면인 제 1 면과 후면인 제 2면에 상호 반대되는 열을 전도시킨다. 열전소자(110)의 구조는 바람직하게는 얇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복수 쌍의 P형 열전반도체와 N형 열전반도체가 직렬연결로 구성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conducts mutually opposing heat through the so-called " Peltier effect " to the first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rear surfa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preferably has a thin hexahedral shape, and a plurality of pairs of P-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s and N-typ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s are connected in series.

그리고, 이 열전소자(110)에 DC 전압을 인가하면 열전소자(110)의 한쪽 면은 냉각되어 저온이 되고 반대쪽 면은 가열되어 고온이 된다. 즉, 제 1 면이 고온인 경우 제 1 면의 후면인 제 2 면은 저온으로 냉각하고 제 1 면이 저온인 경우 제 2 면은 고온으로 가열한다.When a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cooled to become low temperature and the other surface thereof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That is, when the first surface is hot, the second surface, which is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is cooled to a low temperature and the second surface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when the first surface is low temperature.

서스 컵홀더(120)가 제 1 면에 밀착 연결된 것으로 가정하면, 컨트롤러의 DC 전압인가에 따라 열전소자(110) 제 1 면의 냉각 또는 가열에 따라 전도된 열에 연동하여 서스 컵홀더(120)가 냉각 또는 가열된다. 이때, 열전소자(110)의 제 2 면은 펠티에 효과에 따라 제 1 면과 반대로 가열 또는 냉각된다.Assuming that the suscep cup holder 120 is closely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the suscep cup holder 120 is interlocked with the heat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oling or heating of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ccording to the DC voltage application of the controller Cooled or heated. At this time,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heated or cooled as opposed to the first surface according to the Peltier effect.

여기서, 서스 컵홀더(120)는 바람직하게는 열전소자(110)의 일측벽과 마주하는 일측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열전소자(110)의 일측벽과 밀착되는 방열판(121)이 형성되고, 이 서스 컵홀더(120)의 측벽부와 방열판(121) 사이를 가로질러 방열판(121)과 서스 컵홀더(120)를 열전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다단 형성되는 방열브릿지(122)를 구비한다.The susceptor 120 is preferably formed in a plate shape on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facing the one side w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o form a heat radiating plate 121 closely contacting one side w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 heat dissipation bridge 122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bridges 122 formed to vertically connect heat dissipation plates 121 and sus cups 120 across the space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suscep holder 120 and the heat dissipation plate 121, Respectively.

즉, 방열브릿지(122)가 상하 다단으로 형성됨에 따라 전체 표면적이 확장되고, 이로 인해 서스 컵홀더(120)와 열전소자(110)의 제 1 면 사이를 출입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heat dissipation bridge 122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multi-stages, the entire surface area is enlarged, thereby allowing heat to flow efficiently between the suscep cup holder 120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

히트싱크(130)는 서스 컵홀더(120)가 밀착되는 제 1 면의 반대쪽인 제 2 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 2 면의 가열 또는 냉각에 반응하여 제 2 면과 외부의 열전도를 인터페이스한다.The heat sink 130 interfaces with the second surface and the external heat conduction in response to the heating or cooling of the second surface while closely contacting the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to which the sus cup holder 120 is adhered.

상세하게,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이 냉각되면 제 2 면은 가열되는데, 이때 제 2 면에 밀착된 히트싱크(130)가 제 2 면의 가열된 열을 외부로 방열을 하도록 구성된다.In detail, when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cooled, the second surface is heated so that the heat sink 130 adhering to the second surface dissipates the heated heat of the second surface to the outside .

이를 위해, 히트싱크(130)는 바람직하게는 제 2 면에 밀착되어 열전소자(110)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131)와,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몸체부(131)의 측벽으로부터 쿨링팬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131)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복수의 방열핀(132)으로 이루어진다.The heat sink 130 preferably has a plate-shaped body portion 13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nd performs mutual thermal conduction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nd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132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oling fan is positioned to perform mutual thermal conduction with the body part 131.

즉, 히트싱크(130)의 몸체부(131)는 열전소자(110)의 제 2 면에 밀착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열전소자(110)로부터 열전도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이어서 방열핀(132)은 몸체부(131)로부터 다단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적을 확장시킴에 따라 히트싱크(130)의 몸체부(131)로부터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That is, the body portion 131 of the heat sink 1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o effectively conduct heat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ody portion 131 of the heat sink 130 can be effectively dissipated by enlarging the surface area.

하우징(140)은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서스 컵홀더(120)가 듀얼로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이 하우징(140)은 서스 컵홀더(120)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서스 컵홀더(120)를 지지 고정한다. 이때, 열전소자(110)의 제 1 면과 맞닿는 서스 컵홀더(120)의 일측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40)의 측벽은 개구됨이 바람직하다.The housing 140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sus cup holder 120 can be dual mounted as in FIG. The housing 140 supports and supports the cup holder 120 in such a manner as to surround the lower and side portions of the cup holder 12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4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us cup holder 120 which contacts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opened.

즉, 하우징(140)의 개구된 측벽을 통해 서스 컵홀더(120)의 측벽과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이 직접 맞닿아 열전도될 수 있다.That is, the side surface of the sus cup holder 120 and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can directly contact each other through the opened side wall of the housing 140 to be thermally conductive.

싱크케이스(150)는 열전소자(110)와 히트싱크(130)가 상호 마주하는 상태에서 열전소자(110)에 대향하는 히트싱크(130)의 후면을 열전소자(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The sink case 150 is formed in a manner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fac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positioned, .

이를 위해, 싱크케이스(150)의 내측벽에는 텐션수단(160)이 구비되는데, 이 텐션수단(160)은 싱크케이스(150)가 열전소자(110)에 대향하는 히트싱크(130)의 후면을 열전소자(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밀착시킨다.The tension member 160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nk case 150. The tension member 160 is dispos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nk case 150 such that the sink case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sink 130 fac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nd is brought into elastic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located.

텐션수단(160)은 히트싱크(130)와 마주하는 싱크케이스(150)의 내측벽에 장착되어 싱크케이스(150)를 지지 기반으로 하여 열전소자(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히트싱크(130)에 대해 미는 힘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tension unit 160 is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nk case 150 facing the heat sink 130 and is mounted on the heat sink 13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positioned with the sink case 150 as a support base. As shown in FIG.

텐션수단(160)은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 판스프링은 싱크케이스(150)의 내측벽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히트싱크(1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며 외력으로부터 그 경사진 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에 의해 히트싱크(130)를 열전소자(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tension means 160 preferably comprises a leaf spring. One end of the plate spring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sink case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leaf spring is slanted obliqu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at sink 130 is positioned. )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located.

이때, 판스프링이 위치하는 싱크케이스(150)의 내측벽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판스프링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절개홈(151)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cutout groove 151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leaf spring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sink case 150 where the leaf spring is located, as shown in FIG.

한편, 팬하우징(170)은 쿨링팬을 감싸는 형태로 싱크케이스(150)에 연결되어 쿨링팬을 지지 고정한다. 여기서, 쿨링팬(미도시)은 바람직하게는 팬하우징(170)에 끼움 결합되는데, 팬하우징(170)에 고정된 상태로 히트싱크(13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뿜어내어 열전소자(110)로부터 히트싱크(130)로 전도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열시킨다.Meanwhile, the fan housing 170 is connected to the sink case 150 so as to surround the cooling fan to support and fix the cooling fan. The cooling fan (not shown) is preferably fitted to the fan housing 170. When the heat generated in the heat sink 130 is blown out to the outside of the fan housing 170, To heat the heat sink 130 to the outside smoothly.

컨트롤러(미도시)는 각각의 서스 컵홀더(120)에 밀착되는 각 열전소자(11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각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에 대한 냉각 또는 가열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power supply to each thermoelectric element 1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suscep cup holders 120 to selectively control cooling or heating of the first surface of each thermoelectric element 110 .

한편, 본 발명은 하우징(140)의 내측에 장착되어 하우징(140) 주변, 바람직하게는 각 서스 컵홀더(1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140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periphery of the housing 140, preferably each of the cup cup holders 120 .

여기서, 컨트롤러는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서스 컵홀더(120)에 맞닿는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을 히팅시키고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서스 컵홀더(120)에 맞닿는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을 냉각시킨다.Here, the controller senses a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hermocouple 110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the controller heats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contacting the cup holder 120, And cools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butting on the holder 120.

예컨대, 사용자가 미리 서스 컵홀더(120)의 온도가 임계온도(예: 20도) 이하인 경우 서스 컵홀더(120)에 맞닿는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을 목적하는 온도(예: 30도)까지 히팅시키도록 제어하여 해당 서스 컵홀더(120)에 안착된 음료컵(120')의 음료를 따뜻하게 하고, 사용자가 미리 서스 컵홀더(120)의 온도가 임계온도(예: 10도) 이상인 경우 서스 컵홀더(120)에 맞닿는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을 목적하는 온도(예: 4도)까지 냉각시키도록 제어하여 해당 서스 컵홀더(120)에 안착된 음료컵(120')의 음료를 시원하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reliminarily controls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n contact with the cup holder 12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holder 120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example, 20 degrees) To warm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up 120 'that is seated in the corresponding cup holder 120. When the user preliminarily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des cup holder 120 to be higher than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example, 10 degrees)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abutting the cup holder 120 is controlled to be cooled to a desired temperature (for example, 4 degrees), and the beverage cup 120 ', which is seated in the corresponding cup cup holder 120, Of the drink.

여기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온도에 따라 컨트롤러가 서스 컵홀더(120)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열전소자(110)를 제어하는 모드는 자동 모드 전환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mode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so as to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cup holder 12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preset by the user is performed by a user operation to the automatic mode changeover switch.

다른 한편, 본 발명은 컨트롤러와 연동하는 냉각 모드 전환 스위치, 히팅 모드 전환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mode changeover switch and a heating mode changeover switch interlocked with the controller.

냉각 모드 전환 스위치(미도시)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 컨트롤러가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고, 히팅 모드 전환 스위치(미도시)에 대한 사용자 조작으로 컨트롤러가 열전소자(110)의 제 1 면을 히팅시키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o be cooled by a user operation to the cooling mode changeover switch (not shown), and the controller is controlled by the user to the heating mode changeover switch ) Of the first surface

즉, 냉각 모드 전환 스위치와 히팅 모드 전환 스위치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조작함으로써, 이전 사용자 조작으로 자동 모드 전환 스위치에 따라 동작하는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와 달리 사용자가 현재 원하는 서스 컵홀더(120)의 온도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unlike the previously se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user operates the cooling mode changeover switch and the heating mode changeover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automatic mode changeover switch by the previous user operation, the user can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desired cup cup holder 120 You can also control it manually.

그리고, 컨트롤러는 열전소자(110)의 히팅 또는 냉각에 연동하여 쿨링팬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controls the cooling fan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heating or cool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FIG. 3 is a top view of the cooling and heating selection type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 4에서와 같이, 텐션수단(160)인 판스프링이 히트싱크(130)와 마주하는 싱크케이스(150)의 내측벽 절개홈(151)에 장착되어 싱크케이스(150)를 지지 기반으로 하여 열전소자(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히트싱크(130)에 대해 탄성적으로 미는 힘을 갖도록 한다.4, the plate spring as the tension means 160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wall cutout groove 151 of the sink case 150 facing the heat sink 130, To have a resilient pushing force against the heat sink 1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ment 110 is positioned.

이때, 판스프링은 싱크케이스(150)의 내측벽 절개홈(151)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히트싱크(1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며 외력으로부터 그 경사진 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에 의해 히트싱크(130)를 열전소자(11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late spring is fixed at one end to the inner wall cutout groove 151 of the sink case 15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at an angle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t sink 130 is positioned, So that the heat sink 130 is push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is located.

이를 통해, 서스 컵홀더(120), 열전소자(110), 히트싱크(130), 싱크케이스(15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상호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열전소자(110)로부터 서스 컵홀더(120)에 열전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전소자(110)로부터 히트싱크(130)로의 열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structures in which the sus cup holder 120,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he heat sink 130, and the sink case 15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elastical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hermocouples 110, The heat conduction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o the heat sink 130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텐션수단(160)을 판스프링으로 구현하여 서스 컵홀더(120), 열전소자(110), 히트싱크(130), 싱크케이스(15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공간을 확장하지 않고 본래대로 유지하면서도 열전도와 방열을 위한 양호한 내구성을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tension cup 160 is implemented as a leaf spring and the space in which the sus cup holder 120, the thermoelectric element 110, the heat sink 130, and the sink case 150 are sequentially connec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good durability for heat conduction and heat dissipation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keeping it intact.

110 : 열전소자
120 : 서스 컵홀더
120' : 음료컵
121 : 방열판
122 : 방열브릿지
130 : 히트싱크
131 : 몸체부
132 : 방열핀
140 : 하우징
141 : 하우징 커버
150 : 싱크케이스
151 : 절개홈
160 : 텐션수단
170 : 팬하우징
110: thermoelectric element
120: SUS cup holder
120 ': Beverage Cup
121: heat sink
122: heat dissipation bridge
130: Heatsink
131:
132: heat sink fin
140: housing
141: Housing cover
150: Sink case
151: incision groove
160:
170: Fan housing

Claims (11)

제 1 면이 고온인 경우 상기 제 1 면의 후면인 제 2 면은 저온으로 냉각하고 상기 제 1 면이 저온인 경우 상기 제 2 면은 고온으로 가열하는 열전소자(110);
상기 제 1 면에 밀착 연결되어 상기 제 1 면의 냉각 또는 가열에 따라 연동하여 냉각 또는 가열되는 서스 컵홀더(120);
상기 제 2 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 2 면의 가열 또는 냉각에 반응하여 상기 제 2 면과 외부의 열전도를 인터페이스하는 히트싱크(130);
상기 열전소자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면에 대한 냉각 또는 가열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A thermoelectric element (110) which cools the second face, which is the rear face of the first face, to a low temperature when the first face is at a high temperature and the second face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when the first face is at a low temperature;
A cup holder 120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and is cooled or heated by interlocking with cooling or heating of the first surface;
A heat sink 130 for interfacing heat conduction between the second surface and the outside in response to heating or cooling of the second surfac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selectively control cooling or he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surface;
And a cooling and heating optional cup hold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스 컵홀더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서스 컵홀더를 지지하며 상기 열전소자와 맞닿는 상기 서스 컵홀더의 일측부에 대응하여 측벽이 개구된 하우징(140);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히트싱크가 상호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열전소자에 대향하는 상기 히트싱크의 후면을 상기 열전소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밀착시키는 싱크케이스(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ousing (140) having a side wall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sus cup holder which supports the cup holder and supports the bottom of the cup holder and contacts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sink case (150) for elastically adh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sink fac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ositioned,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 sink facing each other;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and heating optional cup holder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와 마주하는 상기 싱크케이스의 내측벽에 장착되어 상기 싱크케이스를 지지 기반으로 하여 상기 열전소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히트싱크에 대해 미는 힘을 갖는 텐션수단(16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tension unit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case facing the heat sink and having a pushing force against the heat sink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ositioned with the case as a support base;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and heating optional cup holder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텐션수단은 상기 싱크케이스의 내측벽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히트싱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며 외력으로부터 그 경사진 상태로 복원하려는 힘에 의해 상기 히트싱크를 상기 열전소자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미는 하나이상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nsion means is fixed at one end to the inner wall of the sink case and the other end is inclined oblique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eat sink is positioned, Wherein the cup holder is one or more leaf springs which are push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up holder is position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이 위치하는 상기 싱크케이스의 내측벽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단면 형태에 대응하는 절개홈(1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a cutout groove (151) corresponding to a sectional shape of the leaf spring is formed on an inner side wall of the sink case where the leaf spring is located.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에 대향하는 상기 싱크케이스의 일측부에 상기 히트싱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뿜어내도록 배치된 쿨링팬;
상기 쿨링팬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싱크케이스에 연결되어 상기 쿨링팬을 지지하는 팬하우징(1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cooling fa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ink case opposite to the heat sink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ink to the outside;
A fan housing 170 connected to the sink case to support the cooling fan in a manner to surround the cooling fan;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and heating optional cup holder devic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온도감지센서의 감지결과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 1 면을 히팅시키고 사용자 조작으로 미리 설정된 소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면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to sense a temperature around the housing;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heat the first surfac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and to cool the first surface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predetermined by a user operation, Cup holder devic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열전소자의 히팅 또는 냉각에 연동하여 상기 쿨링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operation of the cooling fan in conjunction 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열전소자의 상기 제 1 면을 냉각시키도록 제어하는 냉각 모드 전환 스위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열전소자의 상기 제 1 면을 히팅시키도록 제어하는 히팅 모드 전환 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cooling mode changeover switch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to cool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a user operation;
A heating mode changeover switch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to heat the firs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by a user operation;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and heating optional cup holder devic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130)는,
상기 제 2 면에 밀착되어 상기 열전소자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131);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쿨링팬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다단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호 열전도를 수행하는 복수의 방열핀(1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heat sink (130)
A plate-shaped body portion 131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and performs heat conduction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plurality of radiating fins (132) formed in a plate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body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oling fan is positioned to perform heat conduction with the body part;
Wherein the cup holder comprises a plurality of cups.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서스 컵홀더(120)는,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벽과 마주하는 일측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벽과 밀착되는 방열판(121);
상기 방열판과 상기 서스 컵홀더의 측벽부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방열판과 상기 서스 컵홀더를 열전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다단 형성되는 방열브릿지(12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및 히팅 선택형 컵홀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cup holder (120)
A heat sink (121) formed in a plate shape on one side facing the one side w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closely contacting one side w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dissipation bridge (122)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bridges (122) form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plate and the side wall part of the susceptor holder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plate and the susceptor holder are therm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cup holder comprises a plurality of cups.
KR1020150168917A 2015-11-30 2015-11-30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KR1017563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17A KR101756376B1 (en) 2015-11-30 2015-11-30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17A KR101756376B1 (en) 2015-11-30 2015-11-30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16A true KR20170063016A (en) 2017-06-08
KR101756376B1 KR101756376B1 (en) 2017-07-10

Family

ID=5922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917A KR101756376B1 (en) 2015-11-30 2015-11-30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37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6416A1 (en) * 2017-09-21 2019-03-28 深圳市易控迪智能家居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refrigeration cup and refrigeration cup
CN114134037A (en) * 2021-12-17 2022-03-04 新羿制造科技(北京)有限公司 PCR amplification temperature control device
KR102390241B1 (en) * 2020-10-22 2022-04-25 주식회사 서연이화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CN115489410A (en) * 2022-09-27 2022-12-20 浙江汉恒热电科技有限公司 Double-cup double-control vehicle-mounted cold and hot cup stand with lift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019B1 (en) 2020-08-14 2022-03-1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unctioanl tumbler capable of heat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6416A1 (en) * 2017-09-21 2019-03-28 深圳市易控迪智能家居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refrigeration cup and refrigeration cup
KR102390241B1 (en) * 2020-10-22 2022-04-25 주식회사 서연이화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CN114134037A (en) * 2021-12-17 2022-03-04 新羿制造科技(北京)有限公司 PCR amplification temperature control device
CN114134037B (en) * 2021-12-17 2023-12-29 新羿制造科技(北京)有限公司 PCR amplification temperature control device
CN115489410A (en) * 2022-09-27 2022-12-20 浙江汉恒热电科技有限公司 Double-cup double-control vehicle-mounted cold and hot cup stand with lif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376B1 (en)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376B1 (en) cup holder device composed of selection type for cooling and heating
JP4560550B2 (en) Thermoelectric cooling / heating equipment
US7089749B1 (en) Thermoelectrically heated/cooled cupholder system
KR20190062946A (en) Refrigerator
US8555656B2 (en) Thermally conductive cup and holder
US20100307168A1 (en) Thermo-electric cooler
KR101873857B1 (en) Apparatus of cooling and heating cup for vehicle using separation of cooling and heating
KR101393823B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101625664B1 (en) portable air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ing peltier element
KR20160131923A (en) Receiv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US20220404069A1 (en) Temperature-adjustable tumbler
KR101816924B1 (en) Smart tumbler system
KR101950751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1895052B1 (en) A vehicle cup holder device us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KR100785271B1 (en) cold and heat control table
US20170138647A1 (en) Liquid container featuring improved temperature-regulating structure
KR20100009599U (en) Mobile Cooling and Heating Device
WO2018031210A1 (en) Fluid cooler / heater
JP2002282136A (en) Store for transportation
EP1717307A4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TW201242557A (en) Heating and cooling device
KR20190072763A (en) Dish with function of adjusting temperature
KR102390241B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KR100335829B1 (en) Cup holder with thermo electric module
KR20190049994A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