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863A -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863A
KR20170062863A KR1020150168586A KR20150168586A KR20170062863A KR 20170062863 A KR20170062863 A KR 20170062863A KR 1020150168586 A KR1020150168586 A KR 1020150168586A KR 20150168586 A KR20150168586 A KR 20150168586A KR 20170062863 A KR20170062863 A KR 20170062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and
user
image
smartw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849B1 (ko
Inventor
박진영
권혁진
이한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849B1/ko
Priority to PCT/KR2016/000455 priority patent/WO2017094962A1/ko
Priority to US15/771,296 priority patent/US10761417B2/en
Publication of KR2017006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712Fixed beam scanning
    • G06K7/10722Photodetector array or CCD scanning
    • H04N5/2321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출원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제공되며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에 있어서,상기 카메라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가 이동하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위한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된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OLLING SMART WATCH}
본 출원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한 스마트 와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ed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 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과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이동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로 진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로서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전통적으로 사용자가 손을 쥘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었으며, 사용자는 이를 손에 들고 다니거나 가방 또는 주머니에 넣었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는 더욱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로 발전되어 오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중에서 최근에는 스마트 와치가 시계의 형태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도록 개발되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 와치는 착용가능한 작은 크기에서 통상적인 시계의 기능, 예를 들어 시간정보의 제공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로서의 다양하고 향상된 기능들을 갖도록 개발되어 왔다. 최근에 개발된 스마트 와치는 이동 단말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앞서 언급된 이동 단말기의 거의 모든 기능들을 갖는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는 편리하게 휴대될 수 있으므로, 최근에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정보(image information)를 획득하기 위해, 즉 사진 및 비디오를 촬영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자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와치는 손목에 착용가능한 작은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통상적인 스마트 디바이스들과는 달리 카메라를 포함하기 어렵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는 사용자가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카메라를 포함하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에 제공된 카메라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는 카메라 뿐만 아니라 스마트 와치 자신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제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목적은 보다 확장된 기능성을 갖는 스마트 와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와치에 제공된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제공되며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가 이동하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위한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된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되는 이동은 상기 밴드를 상기 카메라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감지되는 이동은 상기 카메라를 상기 밴드의 어느 한 위치로부터 상기 밴드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 이후 소정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지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사람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상기 카메라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는 단계; 및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람의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촬영이전에 상기 사람을 상기 이미지의 중앙에 배치하는 단계; 및/또는 촬영될 이미지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사물 또는 사람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물 또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사물 또는 사람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와치의 페이스에 상기 이미지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바 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바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바 코드에 연계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바 코드에 연계된 정보가 상품에 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스마트 와치는 이의 밴드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와치의 기능성이 실질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정확한 배향을 위해 밴드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에 의해 카메라의 위치는 피사체에 정확하게 배향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원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획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메라는 자신의 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출원에 따른 제어방법은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카메라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작동 및 이에 따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제어방법은 스마트 와치의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 및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와치의 구성(configuration)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밴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밴드 및 이의 배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 의 밴드 및 이의 배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8는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밴드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또 다른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또 다른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와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카메라가 사람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지시하고 수행하는 단계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카메라가 사람 또는 사물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지시하고 수행하는 단계의 일 예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카메라가 사람 또는 사물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지시하고 수행하는 단계의 다른 예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카메라가 바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지시하고 수행하는 단계의 일 예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카메라가 바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지시하고 수행하는 단계의 다른 예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출원은 개시된 출원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에는 본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다뤄지는 스마트 워치 뿐만 아니라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및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많은 구조적 및 기능적 특징들을 서로 공유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스마트 워치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다른 일반적인 스마트 디바이스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과 관련된 스마트 워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스마트 워치의 일반적인 구성(configuration)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마트 워치(100)는 무선 통신부(11), 입력부(12), 감지부(14), 출력부(15), 인터페이스부(16), 메모리(17), 제어부(18) 및 전원 공급부(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스마트 워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워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이 모두 도시되지는 않으며, 중요한 일부 구성요소들만이 도 1에 뒤따르는 도면들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스마트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비록 모두 도시되지는 않지만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스마트 워치에 포함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는, 스마트 워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스마트 워치(100)와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 또는 스마트 워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는, 스마트 워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는, 방송 수신 모듈(11a), 이동통신 모듈(11b), 무선 인터넷 모듈(11c), 근거리 통신 모듈(11d), 위치정보 모듈(11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a)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b),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c,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는 스마트 워치내의 정보, 스마트 워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는 근접센서(14a,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b,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a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b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스마트 워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a), 음향 출력부(15b), 햅틱 모듈(15c), 광 출력부(15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스마트 워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c)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스마트 워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는 스마트 워치(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는 스마트 워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는 스마트 워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스마트 워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스마트 워치(100)의 스마트 디바이스로써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스마트 워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에 저장되고, 스마트 워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에 의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스마트 워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메모리(17)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에서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스마트 워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는 제어부(18)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스마트 워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는 배터리(19a)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19a)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스마트 워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워치(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스마트 워치(1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뒤따르는 나머지 도면들에서 스마트 워치(100)는 사용자의 신체, 특히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가능한 타입, 즉 전통적인 시계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목걸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스마트 워치(100)의 특정 유형에 대한 구성 및 이에 대한 설명은 해당 스마트 워치(100)의 특정 유형 뿐만 아니라 다른 타입의 스마트 워치(100)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된 스마트 워치(100)의 일반적인 구성에 뒤이어,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스마트 워치(100)의 구조가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스마트 와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스마트 와치(100)는 실질적으로 스마트 와치(100)의 몸체를 형성하는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부품을 수용하도록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또한, 상기 부품들을 상기 내부공간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110a)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백(case back)(110b)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가능한 케이스 백(110b)를 통해 수용된 내부부품들은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케이스(110)는 대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사각형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또한, 케이스(110)에 연결되는 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120)는 몸체, 즉 스마트 와치(100)를 손목에 착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120)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며, 손목의 외형에 따라 변형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밴드(120)는 다양한 소재, 즉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20)는 케이스(11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밴드(120)는 무선통신부(11:도 1참조)의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120)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2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도 2는 상기 밴드(120)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가 곡률을 갖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도록, 밴드(120)는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다.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면, 서로 연결된 케이스(110)와 밴드(120), 즉 스마트 와치(100)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폐쇄된 루프 또는 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 와치(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거나 손목으로부터 벗겨지기 위해서는 스마트 와치(100)는 개방될 필요가 있다. 즉, 폐쇄된 링 형태의 스마트 와치(100)의 일부가 불연속적으로 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불연속에 의해 형성된 간극(gap,clearance)을 통해, 사용자의 손목이 스마트와치(100)내에, 즉 스마트 와치(100)에 의해 형성되는 개방된 루프내에 삽입되며, 이 후 스마트 와치(10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으로 통해 사용자의 손목이 스마트 와치(100)으로부터 빼내어지며(withdraw), 이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110)는 와치(100)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견고하게 형성되므로, 이러한 케이스(110)를 대신해서 상기 간극을 형성하도록 밴드(120) 자체가 선택적으로 끊어지거나 결합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20)는 선택적으로 서로 분리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는 케이스(110)의 어느 위치에도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밴드(121,122)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데는 케이스(110)의 측부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대향되는 배치를 위해 제 1 밴드(121)는 스마트 와치(100) 또는 케이스(110)의 6시방향,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반면, 제 2 밴드(122)는 스마트 와치(100) 또는 케이스(110)의 12시 방향 또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밴드(121)는 케이스(110)의 제 1 지점(110e)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밴드(122)는 케이스(110)의 제 2 지점(110f)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지점(110e)은 케이스(110) 측부의 6시방향(또는 하부)에 해당하는 지점이 될수 있으며, 상기 제 2 지점(110f)는 케이스(110) 측부의 12시방향(또는 상부)에 해당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케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방법중에서 바(bar)가 상기 밴드들(121,122)와 케이스(110)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bar)는 실제적으로 스프링 바(spring ba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링 바는 스프링을 내장한 중공 몸체(hollow body)와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면서 상기 몸체의 양단에 끼워지는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들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압되면, 상기 스프링 바의 길이는 단축될 수 있으며, 상기 핀들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 바는 최초의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는 밴드들(121,122)과 함께 케이스(11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110)는 제 1 지점(110e)에 설치되는 제 1 바(111)와 제 2 지점(110f)에 설치되는 제 2 바(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바(111,112)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케이스(110)는 제 1 및 제 2 러그(lug)(113,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러그(113)은 제 1 지점(110e)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돌출부(protrusion)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러그(114)는 제 2 지점(110f)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돌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러그(113,114)는 제 1 및 제 2 바(111,112)의 양 끝단들에 배치된 핀들을 수용할 수 있는 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바(111,112)는 먼저 제 1 및 제 2 밴드(121,122)의 끝단에 삽입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밴드(121,122)로부터 노출된 제 1 및 제 2 바(111,112)의 핀들을 제 1 및 제 2 러그(113,114)의 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바(111,112)는 제 1 및 제 2 밴드(121,122)와 함께 제 1 및 제 2 러그(113,1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러그(113,114)에 설치될 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바들(111,112)은 이들의 양 끝단에 설치된 핀들을 가압함으로써 단축된다. 제 1 및 제 2 바들(111,112)은 제 1 및 제 2 러그(113,114)의 홀들에 정렬된 후, 이들에 적용된 힘을 제거함으로써 다시 확장되면서 상기 홀들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는 케이스(110)의 제 1 및 제 2 지점(110e,110f)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100)를 벗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밴드들(121,122)은 서로 분되어야 하며, 스마트 와치(100)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밴드들(121,122)은 서로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선택적인 분리 및 연결을 위해 밴드(120)에는 파스너(fastener)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파스너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120)는 파스너로서 버클(120a)과 상기 버클(120a)에 결합되는 핀(pin)(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120a)과 핀(120b)은 제 1 및 제 2 밴드(121,122)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는 제 1 밴드(121)에 설치된 버클(120a)와 핀(120b)를 도시한다. 케이스(110)과 밴드(120)의 연결방식과 유사하게, 상기 버클(120a)과 핀(120b)도 바(bar)를 이용하여 밴드(12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110)과 연결되는 제 1 밴드(121)의 어느 한 끝단에 대향되는 다른 끝단에 제 3 바(120c)가 설치되며, 상기 제 3 바(120c)에 버클(120a)와 핀(120b)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버클(120a)와 핀(120b)이 설치된 밴드와는 다른 밴드, 즉 제 2 밴드(122)에는 다수개의 조절 구멍들(adjustment holes)(120d)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클(120a)과 핀(120b)을 상기 구멍들(120d)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킴으로써 스마트 와치(100)의 전체 원주길이는 사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케이스(110)상에 위치되는 베젤(bezel)(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130)은 링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케이스(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130)은 케이스(110)의 개구부(110a)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젤(130)은 개구부(110a)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a)를 감싸며 이에 따라 이를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베젤(130)은 디스플레이부(15a)를 보호하는 별도의 글래스 또는 크리스탈 부재(glass or crystal member)를 붙잡거나(hold) 디스플레이부(15a)를 자체를 붙잡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보호적인 목적이외에도 베젤(130)은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장식적인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은 또한 케이스(110)의 측부에 배치되는 크라운(crown)(140)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인 아날로그 시계에서, 크라운(140)은 케이스(110)내에 설치되는 무브먼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크라운(140)을 회전시킴으로써 물리적 핸드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시계에서, 크라운(140)은 시간오차의 수정을 위해 핸드들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스마트 와치(100)에서도 크라운(140)은 정확한 시간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되는 가상적인 핸드들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 와치(100)에서 크라운(140)은 입력부(12c)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크라운(140)을 회전시킴으로써 제어부(18)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달하고 이러한 신호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에 소정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운(14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되는 리스트를 스크롤할 수 있으며, 또는 특정 객체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도 있다. 또한, 크라운(140)은 기판(13)과 연결되는 스위치, 즉 입력부(12c)를 누르고 이에 따라 작동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또한, 보다 확장된 입력부(12c)를 구성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는 푸쉬버튼(110c)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버튼(110c)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140)에 인접하게 케이스(110c)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푸쉬버튼(110c)은 기판(13)에 설치되거나 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와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푸쉬버튼(110c)을 누름으로써 기판(13) 및 제어부(18)에 소정의 전기 신호가 주어지며, 이에 따라 해당 전자부품들에 이동 단말기로써의 작동을 지시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기능적인 측면에서 케이스(110)는 기본적으로 스마트 와치(100)의 작동에 요구되는 다양한 전자적 및 기계적 부품들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스마트 와치의 내부를 잘 도시하므로, 이 도면을 참조하여 스마트 와치의 내부 부품들이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스마트 와치(100)는 출력부(15)로서 디스플레이부(15a)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스마트 와치(1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잘 보여지도록 상기 와치(10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기본적으로 케이스(110)내에 배치되며 케이스(110)의 개구부(110a)를 통해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a)는 케이스(110)와 함께 스마트 와치(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a)는 이동 단말기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능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5a)는 스마트 와치(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a)는 다양한 이미지 및 텍스트 정보를 기본적으로 출력하며, 스마트 와치(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5a)는 사용자에게 현재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현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a)는 현재 시간에 해당하는 숫자를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시계처럼 문자판(dial 또는 face)와 핸드들(hands)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a)와 이에 관련된 다른 전자부품들은 스마트 와치에서 전자적이고 가상적인 시계를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디스플레이 모듈(15f)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f)을 커버하는 윈도우(15e)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f)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LCD,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윈도우(15e)는 디스플레이 모듈(15f)의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f)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즉, 윈도우(15e)는 통상적인 시계에서의 글래스 또는 크리스탈 부재(glass or crystal memb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기능이외에도 윈도우(15e)는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5f)에 표시되는 정보를 사용에게 보여지게 허용해야 한다. 따라서, 윈도우(15e)는 적절한 강도 및 투명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15e)의 배면에 디스플레이 모듈(15f)이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130)은 케이스(110)과 함께 윈도우(15e)와 디스플레이 모듈(15f) 둘 다를 함께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f)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윈도우(15e) 직접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제가 직접적 부착을 위해 가장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a)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항막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에서와 같이,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a)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e)와 디스플레이 모듈(15f)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e)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f)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5f)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5e)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a)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c, 도 1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터치 스크린인 디스플레이부(15a)에 인접하게 물리적 키(예를 들어 푸쉬 키)가 사용자 입력부(12c)로써 사용자의 편리한 입력을 위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케이스(110)내에 설치되는 기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3)에는 각종 전자부품, 특히 제어부(18)가 이를 보조하는 다른 회로 및 소자들과 함께 장착된다. 제어부(18)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스마트 와치(100)를 제어하는 회로들의 어셈블리이며, 제어하는 작동에 따라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서로 구별되는 다수개의 서브 회로 어셈블리, 즉 다수개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11-19)은 제어부(18)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13)에 직접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스(110)에 또는 그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기판(13)에 설치된 제어부(18)는 이들 구성요소들 모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들에 대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부(18)는 제어기(controller),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스마트 와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되는 구성요소는 도 1-도 3에 포함된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이들 도면에도 나타나지 않으나 다음에서 별도로 설명될 다른 구성요소들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8)은 다른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후술되는 본 출원의 제어방법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실제적인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출원의 제어방법에서 수행되는 모든 세부적인 단계들은 모두 제어부(18)의 특징이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 와치(10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로써 배터리(19a,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a)는 케이스(110)내에 고정되거나 케이스(110)에 착탈가능할게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19a)는 스마트 와치(10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a)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보다 빈번하게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반면, 스마트 와치(100)는 이의 작은 크기로 인해, 카메라를 포함하기가 어렵다. 특히,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몸체, 즉 케이스(110)의 대부분을 디스플레이부(15a)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카메라의 렌즈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반면, 케이스(110)와는 달리, 밴드(12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부품들을 부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와치(100)는 밴드(120)에 제공되는 카메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밴드(120)의 어느 부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도 2는 제 1 밴드(121)에 배치된 카메라(150)를 도시하나, 카메라(150)은 제 2 밴드(122)에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카메라들(150)이 제 1 및 제 2 밴드들(121,122) 둘 다에 배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50)는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독립적이고 컴팩트한 모듈로써 밴드(120)에 제공될 수 있다.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필름에 인화하는 통상적인 카메라와는 다르게,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전자적 소자들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외부 피사체(subject)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정보는 디지털 정지영상(digital still image), 즉 사진 또는 동영상(moving image), 즉 비디오(video)를 포함할 수 있다. 뒤따르는 본원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영상정보는 단순하게 이미지로 표현되며, 설명된 이미지는 정지영상(사진) 뿐만 아니라 동영상(비디오)도 포함한다고 이해되어져야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150)에서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렌즈와 이미지 센서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렌즈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어느 한 지점(spot)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센서는 집중된(focused) 지점내에 포함된 피사체의 광학적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케이스(110)내에 있는 관련 부품들, 예를 들어, 제어부(18) 및 메모리(17)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50)는 도 1의 무선 통신부(1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무선통신모듈들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모듈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획득된 이미지를 스마트 와치(100)의 본체, 즉 케이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먼저 획득된 이미지는 케이스(110)내의 무선통신모듈에 전송되고, 이 후 제어부(18) 및 다른 관련부품들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카메라(150)는 획득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밴드(120)내에 내장되는 와이어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케이스(110)내의 기판(13) 및 관련부품들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150)에 의해, 스마트 와치(100)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 와치(100)의 기능성이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들리므로, 이의 배향(orientation)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므로, 배향의 변경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 와치(100)에서 카메라(150)를 피사체를 향해 정확하게 배향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카메라(150)는 피사체로 정확하게 배향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50)는 기본적으로 밴드(120)에 제공되므로, 카메라(150)는 정확한 배향을 위해 밴드(12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120)는 케이스(11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밴드(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카메라(150)는 케이스(110)를 향해 즉, 케이스(110)에 가까워지게 이동하거나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에 의해 카메라(150)의 위치는 피사체에 정확하게 배향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원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50)의 이동은 다양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먼저, 밴드(120)가 카메라(150)를 대신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50)는 밴드(120)에 제공되므로, 밴드(120)의 이동에 의해 카메라(150)도 함께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밴드(120)는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손목을 감싼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1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밴드(120)는 실제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카메라(150)도 배향의 조절을 위해 이러한 밴드(120)와 함께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12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카메라(150)가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밴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밴드 및 이의 배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6은 도 4 의 밴드 및 이의 배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끝으로, 도 7은 도 6의 B-B 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다. 도 2이 스마트 와치(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므로, 특별하게 참조할 도면이 언급될 때를 제외하고는 뒤따르는 모든 설명들은 항상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서로 분리된 제 1 및 제 2 밴드(121,122)가 케이스(110)에 각각 연결되는 도 2의 밴드(120)와는 달리, 도 4(a)의 밴드(120)는 단일의 피스(piece), 즉 단일의 스트랩(stra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밴드(120)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도록 케이스(110)를 관통하면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120)는 케이스(110)의 어느 한 지점, 예를 들어 제 1 지점(110e)으로 연장해서 들어갈 수 있다. 이 후, 밴드(120)는 상기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다른 한 지점, 예를 들어 제 2 지점(110f)으로부터 연장해 나올 수 있다. 이와같이 케이스(110)을 관통한 밴드(120)의 양 끝단들은 스마트 와치(1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벗겨질 수 있도록 앞서 설명된 파스너 메커니즘(120a-120d)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밴드(120)의 관통을 위해, 앞서 설명된 바들 및 러그들(111-114)를 대신하여, 소정 크기의 제 1 및 제 2 슬롯들(115,116)이 케이스(110)의 제 1 및 제 2 지점들(110e,110f)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밴드(120)는 제 1 슬롯(115)을 통해 케이스(110)내부로 들어가고, 상기 케이스(110)를 관통하면서 제 2 슬롯(116)을 통해 케이스(110)외부로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는 케이스(110)로부터, 보다 정확하게는 이의 제 1 및 제 2 지점(110e,110f) 또는 제 1 및 제 2 슬롯(115,116)로부터 노출되는 제 1 및 제 2 섹션(123a,123b)와, 케이스(110)내에 배치되는 제 3 섹션(1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구조로 인해, 밴드(120)는 케이스(110)에 의해 구속되지 않으므로, 케이스(110)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밴드(120)는 케이스(1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slidably) 결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케이스(110)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제 1 또는 제 2 섹션(123a,123b)를 움직이면 밴드(120) 전체가 카메라(150)과 함께 사용자의 손목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 1 섹션(123a)이 아래쪽으로 당겨지면, 화살표(A1) 방향을 따라 밴드(120)는 전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에 설치된 카메라(150)도 상기 화살표(A1) 방향을 따라 케이스(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 1 섹션(123a)이 위쪽으로 밀어지면, 화살표(A2) 방향을 따라 밴드(120)가 전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카메라(150)도 케이스(110)에 가까워지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120)과 카메라(150)의 이동에 의해 카메라(150)의 배향은 조절될 수 있으며, 피사체를 정확하게 마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와치(100)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위에서 도 4의 예는 제 1 섹션(123a)의 이동을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제 2 섹션(123b)를 이동시키는 것도 동일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는 밴드(120)가 이동할 때, 이동하는 밴드(120)와 함께 이동가능할 것만이 요구되므로, 카메라(150)는 반드시 밴드(120)에 고정(fix)될 필요는 없다. 즉, 도 4의 예에 있어서, 카메라(150)는 밴드(120)에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150)의 구성은 도 4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밴드(120)의 이동을 이용하는 도 8 및 도 9의 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마트 와치(100)는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100)는 상기 와치(100)주위의 환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에 기초한 부가적인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므로, 스마트 와치(100)는 다양한 신체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람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하도록 발전되어 있다. 특히,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므로, 신체정보를 측정하는데 매유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 와치(100)는 도 4(a) 및 다른 도면들에서도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1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c)는 예를 들어,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 이하 "PPG") 신호를 감지하는 PPG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PPG는 심장박동에 따라 발생되는 맥동성분, 즉 혈관 내의 혈액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스마트 와치(100)는 센서(14c)에 의해 PPG신호를 감지함으로써 맥박, 호흡,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14c)는 특정 파장대역의 빛을 인체에 조사하고 상기 인체로부터 반사된 빛을 이용하여 PPG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 메커니즘으로 인해, 센서(14c)는 사용자의 손목에 인접하도록 케이스(11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14c)는 사용자의 손목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케이스 백(110b)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수신하기 위해 센서(14c)는 케이스(110), 즉 케이스 백(110b)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14c)는 빛을 조사하고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전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방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과 인접하는 케이스(110)의 일부, 즉 케이스백(110b)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밴드(120)는 케이스(110)을 관통하므로, 밴드(120)의 일부 즉, 케이스(110)내부에 위치되는 제 3 섹션(123c)은 센서(14c)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4c)에서 조사되는 빛을 밴드(120)의 제 3 섹션(123c)가 가로막을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14c)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밴드(120)는 센서(14c)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20), 즉 제 3 섹션(123c)는 케이스(110)(정확하게는 케이스백(110b)와 센서(14c)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밴드(120)(즉, 제 3 섹션(123c))는 센서(14c)를 가로막게 되며, 센서(14c)는 사용자에게 빛을 조사할 수 없다. 따라서, 밴드(120), 즉 이의 제 3 섹션(123c)은 소정 크기의 슬롯(123d)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123d)는 센서(14c)와 정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롯(123d)은 센서(14c)의 위치에 해당되는 밴드(1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14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23d)내에 배치되며, 상기 슬롯(123d)를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communicated with). 또한, 밴드(120)는 카메라(150)와 함께 이동하므로, 슬롯(123d)은 밴드(120)의 이동방향, 즉 상기 밴드(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가 이동되는 동안에도, 센서(14c)는 슬롯(123d)을 통해 항상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롯(123d)에 의해 센서(14c)는 방해없이 작동할 수 있다.
다른 한편(alternatively), 밴드(120), 즉 제 3 섹션(123c)은 빛을 조사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센서(14c)의 전방부 대신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부에 대향되는 후방부를 직접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밴드(120)는 케이스백(110b)과 센서(14c)사이 대신에 상기 손목에 가장 멀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5a: 도 2 참조)와 센서(14c)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배치에 의해 밴드(120), 즉 제 3 섹션(123c)은 센서(14c)와 사용자의 손목을 가로막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센서(14c)에 의한 빛의 조사 및 수신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3)과 센서(14c)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스페이서(13a)(spac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3a)는 기판(13)과 연결되는 보조기판(13b)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기판(13b)에 센서(14c)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3a)는 채널(13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120), 즉 제 3 섹션(123c)이 상기 채널(13c)를 관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구조에 의해 밴드(120)는 케이스(110)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센서(14c)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센서(14c)와 디스플레이부(15a)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도 4-도 7에서 설명된 구성(configuration)에 추가적으로 밴드(120)는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는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된 밴드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동가능한 밴드(120)가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의 밴드(120)와 마찬가지로, 도 8의 밴드(120)도 단일의 피스(piece), 즉 단일의 스트랩(stra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피스의 밴드(120)는 케이스(110)을 관통하는 대신에 사용자의 손목을 한번 더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8의 밴드(120)는 사용자의 손목을 두 번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120)는 케이스(110)의 어느 한 지점, 예를 들어 제 1 바(111)에 감기고 계속해서 사용자의 손목을 감쌀 수 있다. 이 후,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밴드(120)는 제 2 바(112)에 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밴드(120)의 양 끝단들은 앞서 설명된 파스너 메커니즘(120a-120d)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밴드(120)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손목을 두 번 감쌀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는 제 1 및 제 2 바(111,112)에 연결 또는 감기며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섹션(124a,124b)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제 3 섹션(124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설치구조로 인해, 밴드(120)의 제 1 및 제 2 섹션(124a,124b)는 제 1 및 제 2 바(111,112)에 구속되지 않으며, 이들 바들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또는 제 2 섹션(124a,124b)를 움직임으로써 밴드(120) 전체가 카메라(150)과 함께 사용자의 손목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 1 섹션(124a)이 아래쪽으로 당겨지면, 제 1 바(111)를 따라 제 1 섹션(124a)은 제 1 바(111)상에서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만일 제 1 바(111)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면, 제 1 섹션(124a)는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에 설치된 카메라(150)도 상기 화살표(A1) 방향을 따라 케이스(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 1 섹션(123a)이 위쪽으로 밀어지면, 화살표(A2) 방향을 따라 제 1 섹션(124a)은 움직일 수 있으며, 카메라(150)도 케이스(110)에 가까워지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120)과 카메라(150)의 이동에 의해 카메라(150)의 배향은 조절될 수 있으며, 피사체를 정확하게 마주할 수 있다.
도 9의 밴드(120)는 도 2의 밴드(120)와 마찬가지로, 서로 분리되며 제 1 및 제 2 바들(111,112)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밴드(121,122)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밴드(121,122)중 카메라(150)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밴드는 다시 서로 마주하는 두개의 피스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밴드(121)에 카메라(150)이 설치되는 경우, 제 1 밴드(121)는 서로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 1 피스(121a) 및 제 2 피스(121b)로 이루어진다. 제 1 피스(121a)는 외부에 노출되면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피스(121b)는 사용자의 손목과 직접적으로 마주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제 1 및 제 2 피스(121a,121b)에 의해 제 1 밴드(121)는 하나의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밴드(121)의 한쪽 끝단은 먼저 케이스(110)에 설치된 제 1 바(111)에 감길 수 있다. 또한, 제 1 밴드(121)의 다른 쪽 끝단은 밴드(120) 자신에 설치되는 제 3 바(120c)에 감길 수 있다. 즉, 제 1 밴드(121)의 다른 쪽 끝단은 밴드(120)에 설치되는 파스너를 위한 제 3 바(120c)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밴드(121)는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3 바(111,120c)에 각각 감기는 벨트부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구조로 인해, 제 1 밴드(121)의 제 1 및 제 2 피스(121a,121b)는 제 1 및 제 3 바(111,120c)에 구속되지 않으며, 이러한 바들사이에서 롤링(rolling)할 수 있다. 따라서, 밴드(12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또는 제 2 피스(121a,121b)를 움직임으로써 제 1 밴드(121)가 카메라(150)과 함께 사용자의 손목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 1 피스(121a)가 아래쪽으로 당겨지면, 제 1 바 및 제 3 바(111,120c))상에서 제 1 밴드(121)는 롤링하며, 제 1 피스(121a)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만일 제 1 및 제 3 바(111,120c)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면, 제 1 밴드(121)는 보다 원활하게 롤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밴드(121), 정확하게는 제 1 피스(121a)에 설치된 카메라(150)도 상기 화살표(A1) 방향을 따라 케이스(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 1 피스(121a)가 위쪽으로 밀어지면,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화살표(A2) 방향을 따라 제 1 피스(121a)는 움직일 수 있으며, 카메라(150)도 케이스(110)에 가까워지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120)과 카메라(150)의 이동에 의해 카메라(150)의 배향은 조절될 수 있으며, 피사체를 정확하게 마주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8 및 도 9의 이동가능한 밴드(120)와는 다른 예로써, 카메라(150)의 배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카메라(150) 자체가 밴드(12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가능한 카메라(150)가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0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또 다른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3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의 또 다른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50)는 밴드(12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트립(strip)(15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151)은 밴드(120)와 마찬가지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몸체에 카메라(150)이 설치될 수 있다. 밴드(120)은 이의 몸체를 따라 연장되는 자리부(seat) 또는 리세스(recess)(1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150)의 스트립(151)은 이러한 리세스(125)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150)는 스트립(151)에 설치되는 부착부재(15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부재(151a)는 예를 들어, 자석 또는 벨크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밴드(120)의 일부, 즉 리세스(125)에 해당하는 부위는 이러한 부착부재(151a)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25)에는 자성체 또는 벨크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51)은 카메라(150)와 함께 밴드(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후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50)의 다른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50)는 밴드(15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50)는 밴드(120)에 맞물리는 클립 또는 클램프(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152)는 복원가능한 탄성부재에 의해 이의 한쪽 끝단들이 서로 연결되는 제 1 부재(152a) 및 제 2 부재(15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50)는 이러한 제 1 및 제 2 부재(152a,152b)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1은 제 1 부재(152a)에 설치된 카메라(150)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52)의 한쪽 끝단을 잡으면, 탄성부재가 변형되면서 클램프(152)의 다른 쪽 끝단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부재(152a,152b)의 한쪽 끝단들을 가압하면, 탄성부재가 변형되면서 제 1 및 제 2 부재(152a,152b)의 다른 쪽 끝단이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152)는 카메라(152)와 함께 밴드(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152)는 클램프(152)와 함께 밴드(120)의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클램프(152)의 한쪽 끝단을 놓으면, 탄성부재가 복원되면서 클램프(152)의 다른 쪽 끝단이 폐쇄되며, 클램프(152)는 카메라(150)와 함께 밴드(120)의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150)는 밴드(15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50)는 밴드(12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트립(15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151)은 밴드(120)와 마찬가지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몸체에 카메라(150)가 설치될 수 있다. 밴드(120)은 이의 몸체를 따라 연장되는 개구부(opening)(1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150)의 스트립(153)은 이러한 개구부(126)내에 배치되며, 밴드(120), 즉 개구부(126)의 측벽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2의 선 C-C에 따른 단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트립(153)과 마주하는 밴드(120)의 일부, 즉 개구부(126)의 측벽으로부터 돌기(protrusion)(126a)가 스트립(153)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밴드(120)를 마주하는 스트립(153)의 일부, 즉 스트립(153)의 측부에는 돌기(126a)를 수용하는 리세스(15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돌기가 스트립(153)에 리세스가 밴드(1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26a)에 의해 안내되면서 스트립(153)은 밴드(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슬라이드 운동에 의해 카메라(150)는 스트립(153)과 함께 밴드(15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카메라(150)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다른 구조에 의해서도 밴드(150)에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126) 대신에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은 리세스가 밴드(12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트립(153)은 그와 같은 리세스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12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섹션들(1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섹션들(127)중 어느 하나에는 카메라(15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섹션들(127)은 카메라(150)를 포함하는 제 1 섹션(127a)를 포함할 수 있다. 섹션들(127)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도 13(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다른 섹션들(127)에 슬라이드 가능하게(slidably)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a)의 선 D-D에 따른 단면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섹션(127a)은 이의 몸체에 형성되는 그루브(groove)(127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섹션(127a)에 인접하는 다른 섹션(127)은 상기 그루브(127b)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돌기(127c)를 포함할 수 있다. 섹션들(127,127a)중 어느 하나는 인접한 다른 섹션들(127)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끝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활한 결합을 위해 앞서 설명된 그루브(127b) 및 돌기(127c)가 상기 제 1 및 제 2 끝단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그루브(127b) 및 돌기(127c)는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섹션(127a) 및 섹션들(127)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127c)에 의해 안내되면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섹션(127a)는 화살표 방향, 즉 이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운동의 결과로써 인접한 섹션들(127)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후, 앞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인접했던 섹션들(127)과는 다른 섹션들(127)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섹션(127a)는 다른 섹션들(127)중 어느 하나를 대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체된 섹션(127)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50)는 제 1 섹션(127a)와 함께 밴드(120)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섹션(127a) 및 이에 설치된 카메라(150)는 기본적으로 무선으로 케이스(110)내에 전자부품들, 예를 들어 제어부(18)과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상기 제 1 섹션(127a) 및 이에 설치된 카메라(150)는 유선으로도 관련부품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의 단면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 1 섹션(127a)은 핀(127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인접한 다른 섹션(127)은 상기 핀(127d)과 접촉하는 전기적 접점(contact)(127e)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섹션들(127,127a)중 어느 하나는 인접한 다른 섹션들(127)에 각각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끝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핀(127d) 및 접점(127e)가 상기 제 1 및 제 2 끝단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섹션(127,127a)에 있어서, 이의 양 끝단들에 각각 배치된 핀(127d) 및 접접(127e)는 배선(wire)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핀(127d)/접점(127e)에 의해 제 1 섹션(127a) 및 이의 카메라(150)는 개재된 다른 섹션(127)을 통해 유선으로 케이스(110) 및 이의 기판(13)까지 연결되며, 관련된 부품들과 통신할 수 있다.
앞서 도 4-도 13에서 설명된 카메라(150)들은 모두 밴드(120)를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스(110)를 향해 즉, 케이스(110)에 가까워지게 이동하거나 상기 케이스(11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에 의해 카메라(150)의 위치는 피사체에 정확하게 배향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원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가 도 10-도 13의 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은 도 4-도 9에 따른 밴드(120)의 이동을 이용하는 예들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스마트 와치(100)는 도 4-도 9에 따른 특징, 즉 이동 가능한 밴드(120)와 도 10-도 13에 따른 특징, 즉 이동 가능한 카메라(150) 둘 다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기에 앞서서, 사용자는 카메라(150)를 활성화, 즉 켜야할(turn on)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150)를 활성화하기 위해 카메라(150)에는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150)는 스마트 와치(100)의 본체, 즉 케이스(11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작은 모듈이므로, 이러한 카메라(150) 모듈에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스위치가 설치된다 하더라도, 작은 크기로 인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시키기 어려우며 불필요하게 카메라(150) 모듈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카메라(150)을 항상 활성화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대개의 경우 이미지를 획득하기에 앞서 카메라(150)를 피사체에 정확하게 배향시키기 위해 카메라(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50)의 이동은 카메라(150)의 실질적인 사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카메라(150)는 밴드(120)를 따라 이동되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특징에 추가적으로, 카메라(150)는 수동적 활성화를 위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적인 활성화를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먼저 카메라(150)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기본적으로 카메라(150)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케이스(110)에 설치되며 카메라(15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150)는 밴드(12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카메라(150)의 이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50)와 케이스(110)사이의 거리(D)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거리(D)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카메라(150)의 이동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센서는 간접적으로 카메라(15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카메라(150)와 케이스(110)사이의 거리(D)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측정 또는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측정된 거리(D)에 기초하여 거리(D)의 변화가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도 4에서 거리(D)는 밴드(120)를 따라 얻어지는 원주방향 거리로 표시되나, 카메라(150)과 케이스(110)사이의 직선 거리도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는 거리(D)를 측정 또는 감지하기 하기 위해 비 접촉식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센서는 빛 또는 초음파등을 사용할 수 있다. 거리센서는 케이스(110) 또는 카메라(150)중 어느 하나로부터 빛 또는 음파를 다른 하나를 향해 방사하며, 되돌아오는 빛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거리센서는 케이스(110) 및 카메라(150)에 각각 설치되는 송출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 전달되는 빛 또는 음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접촉식 거리센서는 거리 감지를 위해 카메라(150)와의 물리적 연결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앞서 설명된 도 4-도 10에 따른 모든 카메라(150)의 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센서는 카메라(150) 또는 밴드(150)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는 저항 센서를 포함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저항 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터(13a)내에 배치되며, 밴드(120), 즉 제 3 섹션(123c)와 접촉되는 저항센서(13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50)과 함께, 제 3 섹션(123c)이 이동하면, 상기 저항센서(13d)와 접촉하는 제 3 섹션(123c)의 부위가 변화되며, 이에 따라 저항값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항센서는 달라지는 저항값을 감지함으로써 거리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항 센서는 밴드(120)의 이동을 이용하는 도 4, 도 8, 도 9 뿐만 아니라 스트림의 이동을 이용하는 도 10 및 도 12의 예에도 큰 변형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센서는 소정의 위치들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고정접점들 및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접점들중 어느 하나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접점을 포함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저항센서(13d)를 대신하여, 서포터(13a)는 밴드(120)즉, 제 3 섹션(123c)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3 섹션(123c)와 접촉하는 다수개의 고정 접점들(13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섹션(123c)의 어느 한 부위에 이동 접점이 부착될 수 있다. 카메라(150)과 함께, 제 3 섹션(123c)이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 3 섹션(123c)의 이동 접점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동 접점은 서로 다른 고정 접점들에 순차적으로 접촉하면서 서로 다른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는 거리(D) 및 거리(D)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점 스위치는 밴드(120)의 이동을 이용하는 도 5, 도 8, 도 9 뿐만 아니라 도 10 및 도 12의 예에도 큰 변형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예에 있어서도, 제 1 섹션(127a)의 핀(127d)은 이동접점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섹션들(127)의 접점(127e)는 고정 접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섹션(127a)의 핀(127d)이 서로 다른 섹션들(127)의 접점들(127e)에 접촉할 때, 서로 다른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들을 수신하여 제어부(18)는 제 1 섹션(127a)의 상대적 위치 뿐만 아니라 거리(D) 및 이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150)는 자신의 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활성화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메라(150)를 켜기 위한 추가적인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카메라(150)의 활성화는 실질적인 카메라(150)의 사용이 시도될 때, 즉, 카메라(150)가 이동될 때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카메라(150)의 자동 활성화는 상당히 단순한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인 생산비용의 증가없이 사용자는 카메라(150)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스마트 와치(100)는 이동 가능한 카메라(150)를 포함함으로써 작은 크기를 갖는 스마트 와치(100)에서도 이미지 획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한 카메라(150)는 피사체에 정확하게 배향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 와치(100)는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카메라(150) 및 이와 관련된 구조들은 스마트 와치(100)의 구조 및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제어에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100)는 의도된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기본적으로 수반한다. 따라서, 다양한 제어의 최적화는 사용자의 사용환경 및 인터페이스(user environment and user interface)의 향상 및 의도된 기능적 향상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최적화된 제어에 의해 사용의 용이함 및 편리함등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user experience)도 함께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1-도 13에 도시된 스마트 와치(100)에 대한 제어방법이 개발되었으며, 다음에서 도 1-도 13에 추가적으로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한 도 1-도 8 및 이에 대한 설명들은 다음의 제어방법의 설명 및 도면들에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참조된다.
먼저 도 14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와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어방법들은 앞서 도 1 - 도 8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요소, 즉 다양한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이러한 작동에 기초하에 의도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방법과 관련된 작동 및 기능들은 제어방법의 특징 뿐만 아니라 모두 관련된 해당 구조적 구성요소들의 특징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18)는 제어기(controller) 및 제어장치(controlling device)와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소정의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가 실질적으로 본 출원에서 다음에 설명되는 모든 방법 및 모드들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이후 설명될 모든 단계들은 제어부(18)의 특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록 제어부(18) 또는 스마트 와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다음의 단계들 및 이들의 세부적인 특징들은 모두 제어부(18)의 특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와치(100)를 자신의 신체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와치(100)를 자신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된 와치(100)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에 착용하는 대신에 와치(100)를 손에 잡고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음에서 설명되는 제어 방법들은 사용자의 손목에의 착용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사용자의 신체상에 배치 또는 접촉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와치(100)를 사용하는 동안, 스마트 와치(100)는 카메라(15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S10).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150)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작은 크기를 갖는 카메라(150) 자체를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미지를 획득하기에 앞서 카메라(150)는 사용자에 의해 피사체에 정확하게 배향시키기 위해 이동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150)의 이동은 카메라(150)가 이미지 획득을 위해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50)의 활성화를 위한 지표(indicator)로 카메라(150)의 이동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표에 근거한 제어를 위해 스마트 와치(100)는 카메라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정확한 카메라(150)의 제어를 위해, 상기 감지단계(S10)는 스마트 와치(100)의 작동중에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도 9의 예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감지되는 카메라(150)의 이동은 밴드(120)를 상기 카메라(150)와 함께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도 13의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감지되는 카메라(150)의 이동은 상기 카메라(150)를 밴드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단계(S10)에서, 이와 같은 이동은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모션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카메라(150)의 이동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카메라(150)는 밴드(120)를 따라 이동하므로, 카메라(150)의 이동은 카메라(150)와 케이스(110)사이의 거리(D)(도 4 참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거리(D)는 밴드(120)를 카메라(150)와 함께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변경되거나, 상기 카메라(150) 자체를 상기 밴드(120)의 다른 위치에 배치함으로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는 거리(D)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150)의 이동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예를 들어, 비 접촉식 거리센서, 저항 센서, 고정 및 이동접점을 포함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의 이동 및 이를 감지하는 센서의 작동은 앞서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카메라(150)의 이동이 감지되는 동안, 스마트 와치(100)는 카메라(150)가 실제적으로 이동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 만일 모션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카메라(150)의 이동은 모션센서에 의해 직접적으로 감지되므로, 스마트 와치(100), 즉 제어부(18)는 모션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결과로부터 바로 이동의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비 접촉식 거리센서, 저항 센서, 스위치등이 사용되면, 스마트 디바이스(100), 즉 제어부(18)는 이들 센서 및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들 및 감지결과로부터 먼저 거리(D)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만일 거리(D)가 변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는 카메라(150)가 이동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카메라(150)의 이동이 감지 및 판단되지 않으면,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계속적으로 상기 감지 및 판단단계들(S10,S20)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만일, 만일 카메라(150)의 이동이 감지 및 판단되면, 즉, 카메라(150)의 이동이 실제적으로 발생하면, 스마트 디바이스(100)는 상기 카메라(150)를 활성화할 수 있다(S30). 카메라(150)의 활성화는 카메라(150)의 전원을 온하는 것에 해당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150)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활성화된 카메라(150)에 의해 이미지가 획득되면,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을 위한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S40). 상기 와치(100)는 사용자의 필요를 만족시키는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상기 와치(100)에서 소정의 구성요소들의 연계된 작동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도된 기능을 위한 작동의 수행을 위해, 스마트 와치(100)에 소정의 지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스마트 와치(100)는 그와 같은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단계(S40)는 기능의 구현, 더 나아가 제어 자체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단계가 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15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고 활성화되었으므로, 사용자는 적어도 카메라(150)에 의한 이미지 획득을 의도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단계(S40)에 있어서, 스마트 와치(100)는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위한 지시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여러가지 요인, 예를 들어 오작동에 의해 카메라(150)는 의도되지 않게 이동될 수도 있다. 만일 이러한 의도되지 않은 이동에 의해 카메라(150)가 계속적으로 활성화되면, 전원을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50)의 활성화 이후 소정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수신하지 못하면, 스마트 와치(100)는 상기 카메라(15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추가적인 지시가 없는 경우, 카메라(150)는 꺼질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화에 의해 전원의 낭비 및 추가적인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단계(S40)이후에, 와치(100)는 지시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S5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치(100)가 사용자의 지시를 수신하면, 수신된 지시에 따라 해당 구성요소들이 지시된 작동을 수행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의도된 기능이 스마트 와치(1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 개략적인 제어방법들은 의도된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상황들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상황에 대한 스마트 와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실제적으로 다음의 세부적인 제어방법들은 수신 및 수행단계들(S40,S50)에서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단계(S50)는 상기 수신단계(S40)에서 입력된 지시에 따른 결과 또는 출력을 만들어내는 단계에 해당하므로, 각 상황에 따른 세부적인 제어방법들은 실제적으로 수신단계(S40)와 수행단계(S50)의 단일 세트 또는 복수개의 세트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S10-S30)에 의해 카메라(150)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카메라(150)는 피사체로서 사람(O)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a)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적인 수신단계(S40)로서 상기 카메라(150)는 자동적으로 상기 이미지내의 사람에게 초점을 맞출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8)는 획득된 이미지를 먼저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내에서 사람의 얼굴의 패턴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8)는 이미지내의 사람의 얼굴에 프레임(F)을 부여함으로써 얼굴의 인식을 표시할 수 있으며, 카메라(150)의 렌즈 및 센서를 제어함으로서 프레임(F)내의 얼굴에 촛점을 맞출 수 있다. 촛점이 맞춰진 후,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manipulation)이 스마트 와치(100)에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은 스마트 와치(100)에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조작에 의해 스마트 와치(100)는 해당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레임(F)내의 인식된 얼굴, 즉 그와 같은 얼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a)의 일부를 더블 탭(doulble tab)하거나 롱 프레스(long press)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의 터치 센서는 이러한 조작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에 사용자의 지시로서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는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예만이 설명되었으나, 얼굴을 포함하여 사람 전체가 인식 및 촬영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사용자의 조작이 주어지면, 스마트 와치(100)는 카메라(150)가 사람(O)의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 상기 촬영단계(S50)에서 먼저, 스마트 와치(100)는 사람(O), 즉 이의 인식된 얼굴을 이미지의 중앙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100)는 촬영될 이미지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미지의 밝기, 콘트라스트 등이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 및 조절에 의해 사진은 향상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은 실질적으로 카메라(150)에 의해 계속적으로 획득되고 있는 이미지로부터 분리된 독립적인 디지털 이미지에 해당되며, 스마트 와치(100)의 메모리(17)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S10-S30)에 의해 카메라(150)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카메라(150)는 피사체로서 사물(O)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a)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에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스마트 와치(100)는 의도된 작동에 대한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a)내에 표시되는 사물(O)를 더블 탭(doulble tab)하거나 롱 프레스(long press)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의 터치 센서는 이러한 조작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에 사용자의 지시로서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스마트 와치(100)는 상기 사물(O)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50). 상기 검색단계(S50)에서 스마트 와치(100)는 자신의 메모리(17)에 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내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검색된 정보를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a)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50). 예를 들어, 만일 상기 사물(O)이 크림 케이크인 경우,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에게 이미지 내의 케이크의 실제 열량, 이의 조리법, 구매가능한 상점등과 같은 정보(M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와치(100)는 제공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뉴(M2) 및/또는 제공된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메뉴(M3)를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제어방법은 사물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획득된 이미지내에 사람이 포함된 때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S10-S30)에 의해 카메라(150)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카메라(150)는 피사체로서 사물(O)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는 스마트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부(15a)내에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카메라(150)는 컵(O)의 이미지를 획득하며, 특히 컵(O)에 프린트된 패턴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이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스마트 와치(100)에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스마트 와치(100)는 의도된 작동에 대한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a)내에 표시되는 사물(O)를 더블 탭(doulble tab)하거나 롱 프레스(long press)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a)의 터치 센서는 이러한 조작을 인식하고 이를 제어부(18)에 사용자의 지시로서 전달할 수 있다.
이 후, 스마트 와치(100)는 스마트와치(100)의 페이스(face) 또는 다이얼(dial)에 획득된 사물(O)의 이미지를 적용할 수 있다(S50). 상기 적용단계(S50)에서, 예를 들어, 스마트 와치(100)는 획득된 사물(O)의 이미지, 즉 컵의 패턴을 메모리(17)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패턴을 디스플레이(15a)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O)의 이미지, 즉 컵의 패턴은 계속적으로 일종의 바탕화면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와치(100)의 다른 기능에 따른 결과, 예를 들어, 현재 시간(즉, 시침 및 분침)이 컵의 패턴과 함께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된 제어방법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는 스마트 와치(100)의 배경화면으로 바로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추가적으로 획득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배경화면은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제어방법은 사물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획득된 이미지내에 사람이 포함된 때에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사람의 이미지를 스마트 와치(100)의 페이스 또는 다이얼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S10-S30)에 의해 카메라(150)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카메라(150)는 피사체로서 바코드(O)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바 코드는 2차원 바코드(QR 코드 포함) 또는 3차원 바코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카메라(150)는 특정인의 명함에 포함된 바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와치(100)는 자동적으로 바코드(O)를 인식할 수 있다(S40). 이러한 인식단계(S40)에서 스마트 와치(100)는 인식된 바 코드(O)내에 포함된 정보를 수신하므로, 이러한 정보의 수신은 소정의 작동을 위한 지시를 받는 것과 동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내에 포함된 명함의 바코드는 특정인에 대한 상세한 정보 또는 그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source)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는 그러한 정보 또는 소스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스마트 와치(100)는 인식된 바 코드에 연계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할 수 있다(S50). 상기 표시단계(S50)에서, 예를 들어, 스마트 와치(100)는 특정인에 대한 상세한 정보 또는 그러한 정보를 포함하는 소스에 대한 링크(M4)를 디스플레이부(15a)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들(S10-S30)에 의해 카메라(150)가 활성화되면, 활성화된 카메라(150)는 상품의 바코드(O)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스마트 와치(100)는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바코드(O)를 인식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도 19(b)에서 인식된 바코드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명, 용량, 일련번호등을 인식된 바코드가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와치(100)는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정보 및 옵션(M5)을 제공할 수 있다(S50). 상기 제공단계(S50)에 있어서, 스마트 와치(100)는 자신의 메모리(17)에 기 저장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또한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내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스마트 와치(100)는 검색된 상품 구매를 위한 정보(M5)를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a)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상기 상품이 세제인 경우, 스마트 와치(100)는 사용자에게 상품명칭, 용량, 가장 싼 가격 및 이 가격에 상기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정보(M5)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온라인 쇼핑몰과 직접적으로 연계된 카트(또는 장바구니) 및 직접구매를 위한 옵션(M5)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바로 상품에 대한 구매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출원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스마트 와치 110: 케이스
120: 밴드 130: 베젤
140: 크라운 150: 카메라
S10: 감지단계 S20: 판단단계
S30: 활성화 단계 S40: 수신단계
S50: 수행단계

Claims (11)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제공되며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가 이동하면,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관련된 작동을 위한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된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이동은 상기 밴드를 상기 카메라와 함께 상기 사용자의 손목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이동은 상기 카메라를 상기 밴드의 어느 한 위치로부터 상기 밴드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활성화 이후 소정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지시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사람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상기 카메라에서 자동적으로 상기 사람에게 초점을 맞추는 단계; 및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람의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촬영이전에 상기 사람을 상기 이미지의 중앙에 배치하는 단계; 및/또는
    촬영될 이미지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사물 또는 사람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물 또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사물 또는 사람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소정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스마트와치의 페이스에 상기 이미지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수행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바 코드의 이미지를 획득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바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바 코드에 연계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만일 바 코드에 연계된 정보가 상품에 관한 정보인 경우, 상기 상품의 구매를 위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KR1020150168586A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KR102421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86A KR102421849B1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PCT/KR2016/000455 WO2017094962A1 (ko) 2015-11-30 2016-01-15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5/771,296 US10761417B2 (en) 2015-11-30 2016-01-15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586A KR102421849B1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863A true KR20170062863A (ko) 2017-06-08
KR102421849B1 KR102421849B1 (ko) 2022-07-18

Family

ID=5922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586A KR102421849B1 (ko) 2015-11-30 2015-11-30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8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687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식 전자 디바이스
KR20150026387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1534302B1 (ko) * 2014-04-14 2015-07-07 어식 스마트 와치
JP2015127920A (ja) * 2013-12-27 2015-07-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062495A1 (en) * 2015-02-27 2016-08-31 Sony Corporation Visibility enhanc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687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식 전자 디바이스
KR20150026387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JP2015127920A (ja) * 2013-12-27 2015-07-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4302B1 (ko) * 2014-04-14 2015-07-07 어식 스마트 와치
EP3062495A1 (en) * 2015-02-27 2016-08-31 Sony Corporation Visibility enhanc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849B1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4962A1 (ko)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2992774B1 (en) Smart bracelet
US9737119B2 (en) Watch type terminal
CN10636126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6200777B (zh) 可穿戴智能装置
CN106210185B (zh) 移动终端
EP3363319B1 (en) Band mounting structure a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16263A (ko)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780265B1 (en) Watch type terminal
US9639057B2 (en) Wearable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2362014B1 (ko)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246768B1 (en) Watch type terminal
US20160299570A1 (en) Wristband device input using wrist movement
KR201700330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928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50954A (ko)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62864A (ko) 스마트 와치
KR20170037050A (ko) 와치타입 이동 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KR20180024570A (ko)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17001070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139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4174144A (ja) リスト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48341A1 (en) Watch type mobile terminal
KR102421849B1 (ko) 스마트 와치의 제어방법
KR20190044916A (ko)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