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689A - 3d 프린팅 장치 - Google Patents
3d 프린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2689A KR20170062689A KR1020150168184A KR20150168184A KR20170062689A KR 20170062689 A KR20170062689 A KR 20170062689A KR 1020150168184 A KR1020150168184 A KR 1020150168184A KR 20150168184 A KR20150168184 A KR 20150168184A KR 20170062689 A KR20170062689 A KR 201700626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lanarizing
- flattening
- target surface
- planariz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29C67/008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적층되어 생성된 출력물에 출력 두께에 의하여 발생한 적층 흔적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3D 프린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3D 프린팅 장치는, 제 1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위치가 이동되면서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여 적층함으로써 출력물을 생성하는 압출장치, 상기 압출장치에서 토출되어 적층된 출력물의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발열수단, 상기 발열수단에서 열을 가하여 유연해진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부 및 상기 평탄화부 및 발열수단을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층되어 생성된 출력물에 출력 두께에 의하여 발생한 적층 흔적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3D 프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팅(3D printing)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제조기술로서, 플라스틱 액체 혹은 기타 원료를 사출하거나 적층, 응고시켜 3차원 형태의 고체 제품을 제작하는 기술을 말하며, 전통적인 재료 가공 기술에 비해 속도, 가격, 사용 편리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우위를 나타내고 있다.
3D 프린팅은 원료에 따라 액체, 파우더, 고체로 나뉘며, 레이저, 열, 빛 등의 소스를 기반으로 응고/적층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는데, 3D 프린팅 방식은 현재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으며 각각의 방식은 제품 제작에 있어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3D 프린팅 방식은 각각의 분야마다 다른 형태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크게 FDM(Fused Deposition Modelling), DLP(Digital Light Processing), SLA(Stereolithography),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PolyJet(Photopolymer Jetting Technology), DMT(Direct Metal Tooling), PBP(Powder Bed & inkjet head 3d printing),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등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된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를 공급릴과 이송릴을 통해 공급하고, 공급된 필라멘트를 작업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x축, y축, z축 세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3차원 이송기구에 장착된 히터노즐에서 용융시켜서 배출함으로써, 2차원 평면형태를 만들면서 이를 작업대 상에 한 층씩 적층하여 3차원으로 성형하는 용융 수지 압출 조형 방법(FD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압출헤드에서 나오는 응고성 모델링 재료의 층을 융착시켜 3차원 모델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의 예는 기존의 특허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으며, 예컨대 미국등록특허 제5,121,32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체 막대 형태나 공급릴 상에 감긴 유연 필라멘트 형태로 압출 헤드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압출헤드는 응고 시 적당한 결합으로 앞의 층에 접착하는 응고성 재료를 사용하며, 열가소성 재료가 이러한 용융 적층에 특히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3D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출력물(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D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한 층씩 적층하여 출력물(100)을 형성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출력 두께에 의한 적층 흔적이 남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적층 흔적을 후가공 과정에서 사포를 이용하여 표면을 갈아내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정밀하게 가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층되어 생성된 출력물에 출력 두께에 의하여 발생한 적층 흔적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3D 프린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제 1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위치가 이동되면서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여 적층함으로써 출력물을 생성하는 압출장치, 상기 압출장치에서 토출되어 적층된 출력물의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발열수단, 상기 발열수단에서 열을 가하여 유연해진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부 및 상기 평탄화부 및 발열수단을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는, 상기 압출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장치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수단은, 상기 제 1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장치에 결합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압출장치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수단은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압출장치 중 상기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이동수단은 상기 발열수단이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가하고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출장치에 결합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수단은,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압출장치 중 상기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탄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평탄화부 또는 상기 압출장치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평탄화부는 뿔 형상, 육면체 형상 또는 볼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접촉하는 위치 또는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시간동안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평탄화 대상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 및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만 상기 발열체가 열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한층 또는 여러 층을 적층한 후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하여 평평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종래의 사포를 이용하여 표면을 갈아내는 방식에 비하여 후가공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고 보다 정밀하게 원하는 크기로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는 사포로 갈아내는 방식이 아니라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하여 평평하게 만들기 때문에 프린트 원료에 따라 사포로 갈아내는 경우보다 표면을 윤택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3D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출력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3D 프린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3D 프린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3D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한 출력물의 평탄화 전과 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종래의 3D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된 출력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3D 프린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3D 프린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3D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한 출력물의 평탄화 전과 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3D 프린팅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3D 프린팅 장치(200)는 압출장치(210), 발열수단(230), 평탄화부(240), 제 1 이동수단(220) 및 제 2 이동수단(250)을 구비할 수 있다. 압출장치(210)는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여 적층함으로써 출력물을 생성할 수 있고, 제 1 이동수단(220)을 이용하여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 이동수단(220)은 압출장치(210)를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한 위치로 계속 이동시키고, 압출장치(210)는 상기 출력물을 생성할 위치에서 상기 프린트 원료를 토출함으로써 상기 출력물이 생성된다. 압출장치(210)는 종래의 적층 방식을 이용하여 출력물을 생성하는 3D 프린팅 장치에 결합된 압출장치(210)와 동일할 수 있다.
발열수단(230)은 압출장치(210)에서 토출되어 적층된 출력물의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은 출력물(100)의 경우 측면에 형성된 적층 흔적을 평탄화 시키고자 하는 경우, 출력물(100)의 측면이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는 발열수단(230)이 평탄화부(230)와 결합되어 평탄화부(230)와 함께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발열수단(230)이 반드시 평탄화부(230)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발열수단(230)에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가한 후 평탄화부(240)가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면 다른 부분(예를 들어, 압출장치(210) 등)에 결합될 수도 있다.
발열수단(230)은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시간동안 열을 발산할 수도 있고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시간동안 열을 발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발열수단(230)이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지도록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일정 시간동안 열을 발산할 수도 있고,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까지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발산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센서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발열수단(230)은 온도센서, 발열체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평탄화 대상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만 상기 발열체가 열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임계온도는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온도센서에 포함되어 상기 발열체를 제어할 수도 있다.
평탄화부(240)는 발열수단(230)에서 열을 가하여 유연해진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화시킬 수 있다. 즉, 도 1의 출력물(100)과 같이 적층 흔적이 있는 부분에 발열수단(230)을 이용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유연해진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부(240) 눌러줌으로써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 시킬 수 있다. 평탄화부(240)에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눌러주는 부분은 도 2 및 도 3와 같이 볼 형상일 수도 있고, 뿔형상(원뿔, 삼각뿔, 사각뿔 등)이거나 육면체 형상(정육면체, 직육면체 등)일 수도 있다. 다만, 평탄화부(240)에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눌러주는 부분의 형상이 이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화 시킬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이동수단(250)은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이동수단(220) 및 제 2 이동수단(250)이 압출장치(210),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이동시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 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이동수단(220)은 압출장치(210)를 3차원 공간상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수직방향을 z축이라고 하고, z축에 수직한 면이 x축과 y축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면, 제 1 이동수단(220)은 압출장치(210)를 x축, y축 및 z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는 압출장치(210)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는 압출장치(210)와 x축, y축 및 z축의 모든 방향으로 함께 이동할 수도 있고, x축 및 y축 평면 상에서만 함께 이동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는 압출장치(21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므로, 압출장치(210)와 함께 이동하여도 출력물을 형성함에 있어 방해를 주지 않는다. 압출장치(210)가 2개 층을 적층할때마다 평탄화부(240)가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한다고 가정하면, 제 1 이동수단(220)은 압출장치(210)가 2개 층을 적층하는 동안 압출장치(210)를 이동시키고, 2개 층의 적층이 끝난 경우 제 2 이동수단(250)이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제 2 이동수단(250)은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z축 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1 이동수단(220)을 이용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위치로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이동시키고, 이후 제 2 이동수단(250)을 이용하여 평탄화부(240)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2개 층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 1 이동수단(220)은 압출장치(210)를 이용하여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동한 경로에서 압출장치(210)와 평탄화부(240) 사이의 간격만큼 보정을 하여 이동함으로써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위치로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제 2 이동수단(250)은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압출장치(2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 1 이동수단(220)을 이용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는 위치로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압출장치(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제 2 이동수단(250)은 발열수단(230) 및 평탄화부(240)를 수직방향 및 압출장치(21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 중 하나의 방향만으로 이동시키거나 두 가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제 1 이동수단(220) 및 제 2 이동수단(250)이 압출장치(210), 발열수단(230) 또는 평탄화부(240)를 모터, 실린더 등 다양한 기존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장치(4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3D 프린팅 장치(4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3D 프린팅 장치(400)는 압출장치(410), 발열수단(430), 평탄화부(440), 제 1 이동수단(420) 및 제 2 이동수단(450, 455)을 구비할 수 있다. 압출장치(410), 발열수단(430), 평탄화부(44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하는 방식만 상이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도 2 및 도 3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압출장치(410)가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여 적층함으로써 출력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 1 이동수단(420)을 이용하여 위치가 이동되며, 상기 출력물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출력물을 생성한 후 평탄화 하기 위하여 제 2 이동수단(450, 455)이 평탄화부(440)를 압출장치(410)의 하단으로 이동시킨 후 제 1 이동수단(420)을 이용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으로 이동하여 평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이동수단(450, 455)은 높이조절수단(450) 및 회전수단(455)을 구비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450)은 발열수단(430) 및 평탄화부(4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회전수단(455)은 평탄화부(440)가 압출장치(410) 중 상기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평탄화부(4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수단(430)이 평탄화부(440)와 결합되어 있다면 회전수단(455)에 의하여 발열수단(43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에서 (a)는 상기 출력물을 적층하는 동안의 3D 프린팅 장치(400)의 모습이고, 상기 출력물의 적층이 끝난 이후 (b)와 같이 높이조절수단(450)을 이용하여 평탄화부(440)의 높이를 조절하고 (c) 및 (d)와 같이 회전수단(455)을 이용하여 평탄화부(440)를 회전시켜 압출장치(410) 중 상기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는 부분의 하단에 평탄화부(4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d)의 상태에서 제 1 이동수단(420)은 상기 평탄화 대상면으로 압출장치(410), 발열수단(430) 및 평탄화부(440)를 이동시켜 평탄화부(440)가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또는, (d)의 상태에서 제 1 이동수단(420)은 압출장치(410)가 상기 출력물을 적층하는 동안 이동한 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이동하고 제 2 이동수단(450)이 수직방향으로 평탄화부(440)를 이동시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평탄화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3D 프린팅 장치(200, 400)를 이용하여 출력한 출력물의 평탄화 전과 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압출장치(210, 410)에서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여 적층한 상태는 610, 630이고 이와 같이 출력된 출력물을 발열수단(230, 430) 및 평탄화부(240, 440)를 이용하여 평탄화시킨 상태가 620, 640이다. 이와 같이 평탄화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620과 같이 평탄화된 수직면을 만들수도 있고 640과 같이 평탄화면 경사면을 만들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 제 1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위치가 이동되면서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여 적층함으로써 출력물을 생성하는 압출장치;
상기 압출장치에서 토출되어 적층된 출력물의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발열수단;
상기 발열수단에서 열을 가하여 유연해진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하여 평탄화시키는 평탄화부; 및
상기 평탄화부 및 발열수단을 이동시키는 제 2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는,
상기 압출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제 1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장치와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수단은,
상기 제 1 이동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장치에 결합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압출장치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수단은,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압출장치 중 상기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 1 이동수단은,
상기 발열수단이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가하고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평탄화 대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출장치에 결합된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수단은,
상기 발열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 및
상기 평탄화부가 상기 압출장치 중 상기 프린트 원료를 토출하는 부분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평탄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평탄화부 또는 상기 압출장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부는,
뿔 형상, 육면체 형상 또는 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접촉하는 위치 또는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시간동안 열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은,
상기 평탄화 대상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
상기 평탄화 대상면에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 및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된 상기 평탄화 대상면의 온도가 임계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만 상기 발열체가 열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8184A KR20170062689A (ko) | 2015-11-30 | 2015-11-30 | 3d 프린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8184A KR20170062689A (ko) | 2015-11-30 | 2015-11-30 | 3d 프린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2689A true KR20170062689A (ko) | 2017-06-08 |
Family
ID=5922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8184A KR20170062689A (ko) | 2015-11-30 | 2015-11-30 | 3d 프린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6268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7689B1 (ko) * | 2019-12-26 | 2021-03-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밀 기능을 가진 3d 프린터 |
KR102331858B1 (ko) * | 2021-01-07 | 2021-12-01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출력물 표면 정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
KR20230065397A (ko) * | 2021-11-04 | 2023-05-12 | 한국기계연구원 | 압출형 3차원 프린터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팅 방법 |
US12128584B2 (en) | 2021-01-07 | 2024-10-29 | Samsung E&A Co., Ltd. | Printed object surface flattening-type 3D printer for construction |
-
2015
- 2015-11-30 KR KR1020150168184A patent/KR20170062689A/ko unkno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7689B1 (ko) * | 2019-12-26 | 2021-03-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밀 기능을 가진 3d 프린터 |
KR102331858B1 (ko) * | 2021-01-07 | 2021-12-01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출력물 표면 정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
WO2022149859A1 (ko) * | 2021-01-07 | 2022-07-14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출력물 표면 정리형 건설용 3d 프린터 |
US12128584B2 (en) | 2021-01-07 | 2024-10-29 | Samsung E&A Co., Ltd. | Printed object surface flattening-type 3D printer for construction |
KR20230065397A (ko) * | 2021-11-04 | 2023-05-12 | 한국기계연구원 | 압출형 3차원 프린터기 및 이를 이용한 프린팅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36090B2 (en) | Three-dimensional fabrication with cavity filling | |
US11014287B2 (en)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rubber | |
JP6832223B2 (ja) | 積層造形によって印刷された部分における層間接着性の向上 | |
TWI606915B (zh) | 3D printing device with reciprocating spray forming mechanism | |
KR101479900B1 (ko) | 3d 프린팅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방파제 단위 유닛 제조 방법 | |
KR20160024452A (ko) |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한 3d 프린터 | |
US20150094837A1 (en) | Moldless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 |
US9533350B2 (en) | Device and method for powder distribution and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575061B1 (ko) | 3d 프린터의 노즐 가변수단 | |
KR20120128171A (ko) | 금속 분말을 적층 레이저 용접 방식의 3차원인쇄 | |
US10899076B2 (en) | Three-dimensional printing method, three-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modeled object | |
KR20170062689A (ko) | 3d 프린팅 장치 | |
KR20010094830A (ko) | 선형 열절단 시스템을 이용한 가변 적층 쾌속조형방법 및쾌속조형장치 | |
WO2018074993A1 (en) | Hybrid fusion system | |
KR20160125614A (ko) | 3d 프린터용 압출기의 온도조절장치 | |
KR20160148075A (ko) | 3차원 형상의 제작방법 | |
CN104875394A (zh) | 一种3d器件打印设备及方法 | |
KR101880845B1 (ko) | 분말 비산 방지부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 |
JP7137229B2 (ja) | 樹脂成形方法 | |
CN204749277U (zh) | 一种3d器件打印设备 | |
KR101679737B1 (ko) | 광경화기를 구비하는 3차원 프린팅 헤드 조립체 | |
JP2020183109A (ja) | 樹脂成形方法 | |
KR101896918B1 (ko) | 삼차원 프린터 | |
US20220168968A1 (en) | Resin molding method | |
KR101959222B1 (ko) | 3d 프린터의 하부 베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