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571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571A
KR20170062571A KR1020150167194A KR20150167194A KR20170062571A KR 20170062571 A KR20170062571 A KR 20170062571A KR 1020150167194 A KR1020150167194 A KR 1020150167194A KR 20150167194 A KR20150167194 A KR 20150167194A KR 20170062571 A KR20170062571 A KR 20170062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emission
pixels
deterioratio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393B1 (ko
Inventor
구본석
김종수
박세혁
송명섭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7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93B1/ko
Priority to US15/251,988 priority patent/US10083674B2/en
Publication of KR2017006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283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in which the data driver supplies a variable data current for setting the current through, or the voltage across, the light-emit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69Details of the physics of pixel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5Field-sequential colour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9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 G09G2320/029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by monitoring one or more pixels in the display panel, e.g. by monitoring a fixed reference pixel by monitoring each display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0Dealing with defective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들 및 적어도 하나의 배면 발광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의 열화 여부를 감지하여 열화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의 열화된 광원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발광 화소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널리 이용되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휴대폰 등에는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는 음극선관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등이 있다.
상기 표시 장치 중에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소재의 특성 상 높은 색 재현율을 얻을 수 있으며, 고해상도라도 화소의 발광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전체 패널에서 소비전력 변화가 미미하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빠른 응답 속도를 가짐과 동시에 액정 표시 장치 대비 고해상도에서 낮은 소비 전력으로 구동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특성 상 재료 수명 열화, 즉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열화에 따른 효율 변화에 의하여 원하는 휘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없고 잔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가 열화되고, 이에 따라 동일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점차적으로 낮은 휘도의 빛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발광 소자에 흐르는 전류나 화소의 밝기를 측정하여 열화 보상을 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런데, 열화된 화소에 입력 데이터와 보상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식의 열화 보상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화소의 열화는 가속화될 수 있다. 또한, 열화된 화소를 기준으로 다른 화소의 휘도를 낮출 경우에 전체적인 표시 패널의 휘도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화소에 대한 수명은 그대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 소자의 열화가 발생한 경우에 다른 소자를 통해 휘도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의 수명을 늘려주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들 및 적어도 하나의 배면 발광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의 열화 여부를 감지하여 열화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의 열화된 광원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발광 화소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발광 화소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가 발광하는 기간 동안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소자의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발광 화소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부화소 별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의 열화 보상을 위한 색의 광량으로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부화소가 발광하는 기간 동안에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의 스위칭 소자를 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멤스(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을 포함하는 전면 발광 패널; 상기 배면 발광 화소를 포함하는 배면 발광 패널; 상기 전면 발광 패널 및 상기 배면 발광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 및 상기 확산 시트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발광 화소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들의 동일한 부화소가 모두 열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가 발생한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부화소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 정보는,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에 대한 정보 및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상측으로 빛을 방출하며 빛의 통로로 이용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들 및 상기 표시부의 하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면 발광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의 열화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열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열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 각각에 포함된 전면 적색 부화소, 전면 녹색 부화소 및 전면 청색 부화소 각각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배면 발광 화소에 포함된 배면 적색 부화소, 배면 녹색 부화소, 및 배면 청색 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소자의 열화가 발생한 경우에 다른 소자를 통해 휘도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의 수명을 늘려주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발광 화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 발광 화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 발광 화소의 구동 시퀀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발광 화소와 센싱부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 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들은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을 다른 구성으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은 제2 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도 제1 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를 이루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 예 및 분리된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하기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10)은 전면 발광 패널(113)과 배면 발광 패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발광 패널(113)에는 복수 개의 전면 발광 화소들(미도시)이 포함되고, 배면 발광 패널(115)에는 배면 발광 화소들(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전면 발광 패널(113)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전면으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패널(110)의 배면 발광 패널(115)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배면으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가장자리) 부분에 배면 발광 패널(115)이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10)의 나머지 영역에 전면 발광 패널(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 따라서, 표시 패널(110)의 베젤(bezel) 영역에 배면 발광 패널(115)이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10)의 베젤 영역을 제외한 표시 영역에 전면 발광 패널(113)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면 발광 패널이라는 용어와 전면 발광 영역이라는 용어는 표시 패널의 전면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로 혼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배면 발광 패널이라는 용어와 배면 발광 영역이라는 용어는 표시 패널의 배면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지칭하는 용어로 혼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단면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110)은 상기 도 1과 관련된 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전면 발광 패널(113)과 배면 발광 패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 패널(110)은 전면 발광 패널(113)과 배면 발광 패널(115)의 하부에 확산 시트(sheet)(180)와, 상기 확산 시트(180)의 하부에 반사판(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발광 패널(113)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전면 방향으로, 즉, 도 2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상측 방향으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 발광 패널(115)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배면 방향으로, 즉 도 2에서는 표시 패널(110)의 하측 방향으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배면 발광 패널(115)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180)에 의해서 배면 발광 패널(115)에서 발광된 배면 광은 표시 패널(110)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면 발광 패널(115)이 표시 패널(110)의 베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 배면 발광 패널(115)에서 발광된 배면 광은 확산 시트(180)에 의해서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그리고, 확산 시트(180)에 의해서 확산된 배면 광은, 확산 시트(18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판(19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의 상측 방향, 즉 전면 발광 패널(113)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다. 즉, 배면 발광 패널(115)에서 발광된 배면 광은 확산 시트(180)에 의해 표시 패널(110)의 전체 영역으로 확산되고, 확산된 배면 광은 반사판(190)에 의해 반사되어 전면 발광 패널(113)로 입사될 수 있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전면 발광 패널(113)로 입사된 배면 광은 표시 패널(110)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발광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발광 화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 발광 화소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 발광 화소의 구동 시퀀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면 발광 패널(113)과 배면 발광 패널(115)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110). 표시 패널(110)에 복수의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구동부(130), 표시 패널(110)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140), 표시 패널(110)에 구동 전압, 예를 들면 제1 전원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 및 상기 주사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10)의 화소들(160, 170)의 열화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센싱부(150)가 별도의 구성 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센싱부(150)는 타이밍 제어부(120) 또는 데이터 구동부(140) 등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은 전면 발광 패널(113)과 배면 발광 패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면 발광 패널(113)은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160)들이 행렬 형태로 배열된 패널이며, 각 전면 발광 화소(160)는 데이터 구동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발광 화소(16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방식에 따라서 표시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PMOLED: passive matrix OLED)와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AMOLED: active matrix OLED)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는 AMOLED일 수 있다.
또한, 배면 발광 패널(115)은 복수의 배면 발광 화소(170)들이 행렬 형태로 배열된 패널이며, 각 배면 발광 화소(170)는 데이터 구동부(14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구동 전류의 흐름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면 발광 화소(17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면 발광 화소(170)가 배면 발광 패널(115)에 일렬로 한 열 및 한 행 배열된 것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배면 발광 화소(170)는 배면 발광 패널(115)에 두 개 이상의 열 및/또는 두 개 이상의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발광 패널(115)은 표시 패널(110)의 테두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10)의 나머지 영역에 전면 발광 패널(113)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 따라서, 표시 패널(110)의 베젤 영역에 배면 발광 패널(115)이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110)의 베젤 영역을 제외한 표시 영역에 전면 발광 패널(113)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발광 화소(160)는 적색 부화소(sub-pixel)(R)(410), 녹색 부화소(G)(420), 청색 부화소(B)(430), 및 스위칭 소자(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소자(440)는 개구부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소자(440)는 멤스(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일 수 있다. 상기 멤스는 수 나노미터(nanometer)에서 수 밀리미터(millimeter) 수준의 극초 미세 가공 기술 및 그 전자기 시스템일 일컫는 것이다. 이와 같은 멤스는, 반사를 하거나 또는 안하거나, 셔터를 닫거나 또는 열거나 등의 온-오프(on-off) 특성만을 가지고 있는 소자이다.
그리고,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면 발광 화소(170)는 적색 부화소(R)(510), 녹색 부화소(G)(520), 및 청색 부화소(B)(53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160, 170)들 각각에 행 방향으로 형성되고 주사 구동부(130)로부터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 - Sn)과, 열 방향으로 형성되고 데이터 구동부(14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이 배열된다.
즉, 복수의 화소(160, 170)들 중 j(j는 자연수) 번째 화소 행과 k(k는 자연수) 번째 화소 열에 위치하는 화소(160, 170)는 각각 대응하는 1 개의 주사선(Sj), 1 개의 데이터선(Dk)과 연결된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 이러한 구성 및 구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주사 구동부(130)는 복수 개의 구동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주사 구동부(130)는 제1 주사 구동부(미도시)와 제2 주사 구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주사 구동부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에게 주사 신호를 전달하고, 제2 주사 구동부는 배면 발광 화소(170)들에게 주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140)는 제1 데이터 구동부(미도시)와 제2 데이터 구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제2 데이터 구동부는 배면 발광 화소(170)들에게 데이터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화소(160, 170)들은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류를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게 공급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공급된 전류에 따라 소정 휘도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110)의 동작에 필요한 제1 전원 전압 및 제2 전원 전압은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달된다.
주사 구동부(130)는 표시 패널(110)에 복수의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으로써, 복수의 주사선(S1 - Sn)과 연결되어 복수의 주사 신호 각각을 복수의 주사선 중 대응하는 주사선에게 전달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주사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서 표시 패널(1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160, 170)들의 행에 연결된 주사선으로 주사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포함한 신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표시 패널(110)에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선(D1 - Dm)으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의 구동은 타이밍 제어부(120)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구동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예를 들면,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V_sync)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Data Enable), 및 도트 클럭(CLK)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전달받은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140), 주사 구동부(130) 및 전원 공급부(미도시) 각각에게 전송할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50)는 상기 표시 패널(11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화소(160, 170)들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50)는 전면 발광 패널(113)에 포함되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 각각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센싱부(150)는 미리 설정된 센싱 기간 동안에 상기 전면 발광 화소(160)들 각각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50)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 각각에 포함된 적색 부화소(R)(410), 녹색 부화소(G)(420), 청색 부화소(B)(430) 각각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센싱부(150)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에 포함되는 부화소(R, G, B)(410, 420, 430) 중 특정 부화소에 열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150)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 각각의 열화 정보를 타이밍 제어부(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120)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열화 정보에 따라서 전면 발광 화소(160) 및 배면 발광 화소(170)들의 발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면 발광 화소(160)에 포함되는 부화소(410, 420, 430) 중 어느 하나의 부화소의 열화가 발생할 경우, 센싱부(150)가 이를 감지하고, 타이밍 제어부(120)는 전면 발광 화소(160)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440)를 이용하여 해당 전면 발광 화소(160)에서 열화된 광원을 보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를 들면, 전면 발광 패널(113)에 포함되는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특정 동일한 부화소가 모두 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모든 녹색 부화소(420)가 모두 열화될 수 있다. 이때,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녹색 부화소(420)가 열화되었다는 정보와, 어느 정도로 열화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센싱부(150)가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120)는 배면 발광 패널(115)에 포함되는 배면 발광 화소(170)의 녹색 부화소(52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120)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녹색 부화소(420)의 열화 정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배면 발광 화소(170)의 녹색 부화소(520)가 1 프레임(frame) 기간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녹색 부화소(420)의 열화 정도가 클수록 배면 발광 화소(170)의 녹색 부화소(520)의 광량을 크게 하거나 발광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20)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170)의 녹색 부화소(520)가 발광하는 시간 동안에 전면 발광 화소(160)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440)를 온(on), 즉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면 발광 화소(170)로부터 발광된 녹색 배면 광은 전면 발광 패널(113)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180) 및 반사판(190)을 통해 확산되고 반사되어, 전면 발광 화소(160)의 개방된 스위칭 소자(440)를 통해서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전면 발광 화소(160)의 녹색 부화소(420)의 열화된 녹색 광을 보강할 수 있다.
이때, 전면 발광 패널(113)에 포함되는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녹색 부화소(420)가 모두 열화되었으므로, 타이밍 제어부(120)는 전면 발광 패널(113)에 포함되는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스위칭 소자(440)를 배면 발광 화소(170)의 녹색 부화소(520)가 발광하는 시간 동안에 모두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소자(440)가 개구부인 경우에는 전면 발광 화소(160)에 대한 별도의 제어 없이, 배면 발광 화소(170)의 녹색 부화소(520)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녹색 부화소(420)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다.
전면 발광 패널(113)에 포함되는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적색 부화소(410)가 모두 열화되거나,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청색 부화소(430)가 모두 열화되는 경우에도 유사한 방법으로 열화된 광원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120)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적색 부화소(410)의 열화 정도 또는 청색 부화소(430)의 열화 정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배면 발광 화소(170)의 적색 부화소(510) 또는 청색 부화소(530)가 1 프레임(frame) 기간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 발광 화소(170)의 적색 부화소(510) 또는 청색 부화소(530)의 발광 기간 동안에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스위칭 소자(44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적색 부화소(410) 또는 청색 부화소(430)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적어도 두 개의 부 화소가 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적색 부화소(410) 및 녹색 부화소(420)가 열화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타이밍 제어부(120)는 상기 열화된 광원에 대응하는 배면 발광 화소(170)의 부화소, 즉, 적색 부화소(510) 및 녹색 부화소(520) 각각을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1 프레임(frame) 기간 중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면 발광 화소(170)의 적색 부화소(510) 및 녹색 부화소(520) 각각의 발광 기간 동안에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스위칭 소자(440)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적어도 두 개의 부 화소의 열화를 보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 발광 패널(113)에 포함되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 중 특정 전면 발광 화소(160)의 특정 부화소(410, 420, 430)가 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적색 부화소(410)가 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적색 부화소(410)가 열화되었다는 정보와, 어느 정도로 열화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센싱부(150)가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120)는 배면 발광 패널(115)에 포함되는 배면 발광 화소(170)의 적색 부화소(51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적색 부화소(410)의 열화 정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배면 발광 화소(170)의 적색 부화소(510)가 1 프레임(frame) 기간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적색 부화소(410)의 열화 정도가 클수록 배면 발광 화소(170)의 적색 부화소(510)의 광량을 크게 하거나 발광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20)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170)의 적색 부화소(510)가 발광하는 기간 동안에 제1 전면 발광 화소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440)를 온(on), 즉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배면 발광 화소(170)로부터 발광된 적색 배면 광은 전면 발광 패널(113)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180) 및 반사판(190)을 통해 확산되고 반사되어,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개방된 스위칭 소자(440)를 통해서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적색 부화소(420)의 열화된 적색 광을 보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배면 발광 화소(170)는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1 프레임(frame) 기간 동안에 부화소(510, 520, 530) 별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예시된 것과 같이 배면 발광 화소(170)는 1 프레임 기간(도면에서는 16.6ms를 예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동안에 적색 부화소(510)가 제1 광량으로 미리 설정된 제1 기간 동안에 발광하고, 제2 광량으로 제2 기간 동안에, 제3 광량으로 제3 기간 동안에, 제4 광량으로 제4 기간 동안에, 그리고 제5 광량으로 제5 기간 동안에 발광할 수 있다. 그리고, 청색 부화소(530)는 제1 광량으로 미리 설정된 제6 기간 동안에 발광하고, 제2 광량으로 제7 기간 동안에 발광하고, 제3 광량으로 제8 기간 동안에, 제4 광량으로 제9 기간 동안에, 그리고 제5 광량으로 제10 기간 동안에 발광할 수 있다. 유사하게 녹색 부화소(520)도 미리 설정된 제1 광량 내지 제5 광량으로 미리 설정된 제11 기간 내지 제15 기간 동안에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 예에 따라서 배면 발광 화소(170)는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미리 설정된 기간들에서 백색 광을 발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광의 광량을 제1 내지 제5 단계로 나누어 발광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장치에 따라서 상기 광량의 단계는, 색상 별로 더 많거나 더 적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적색, 청색, 녹색, 백색의 발광 순서는 도면과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특정 부화소, 예를 들면 적색 부화소(410)가 열화되었다는 정보와 그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타이밍 제어부(120)는 상기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적색 부화소(410)의 열화 정도에 따라서 필요한 적색 광원의 광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1 전면 발광 화소의 적색 부화소(410)의 열화 보상을 위해서 제2 광량의 적색 광이 더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120)는 배면 발광 화소(170)가 제2 광량으로 적색 광을 발광하는 제2 기간 동안에 제1 전면 발광 화소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440)를 온(on), 즉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제어부(120)는 제2 전면 발광 화소의 청색 부화소(430)가 열화되었다는 정보와 그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20)는 상기 제2 전면 발광 화소의 청색 부화소(430)의 열화 보상을 위해서 제5 광량의 청색 광이 더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타이밍 제어부(120)는 배면 발광 화소(170)가 제5 광량으로 청색 광을 발광하는 제10 기간 동안에 제2 전면 발광 화소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440)를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전면 발광 소자의 녹색 부화소(420)가 열화되어, 제3 광량의 녹색 광이 더 필요한 경우, 타이밍 제어부(120)는 배면 발광 화소(170)가 제3 광량으로 녹색 광을 발광하는 제13 기간 동안에 제3 전면 발광 화소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440)를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120)는 전면 발광 화소(160)들 중에서 열화된 부화소(410, 420, 430)를 갖는 전면 발광 화소에 대한 정보와 그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센싱부(1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20)는 상기 열화된 부화소의 열화된 광원을 보상하기 위하여 필요한 색의 광량으로 배면 발광 화소(170)가 발광을 하는 기간 동안에 해당 전면 발광 화소의 스위칭 소자(440)를 개방되도록 하여 열화된 광원을 보상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주사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타이밍 제어부(120), 센싱부(150) 등은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 구동부(display driver IC)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 제어부(120)는 표시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표시 패널(110)에 포함된 복수의 화소(160, 170)들은 대응하는 주사 신호를 전달받고 그에 따라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으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면 발광 화소와 센싱부의 일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면 발광 화소(16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에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제어하기 위한 화소 회로(710)를 구비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anode) 전극은 화소 회로(710)에 접속되고, 캐소드(cathode) 전극은 제2 전원(ELVSS)에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화소 회로(71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화소 회로(710)는 주사선(Sn)에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데이터선(Dm)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로 공급되는 전류 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소 회로(710)는 제1 전원(ELVDD)과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사이에 접속된 제2 트랜지스터(M2)와, 제2 트랜지스터(M2),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의 사이에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M1)와,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과 제1 전극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Sn)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데이터선(Dm)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M1)의 제2 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 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 트랜지스터(M1)의 제1 전극은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제2 전극은 제1 전극과 다른 전극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이 소오스 전극으로 설정되면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으로 설정된다. 주사선(Sn) 및 데이터선(Dm)에 접속된 제1 트랜지스터(M1)는 주사선(Sn)으로부터 주사 신호가 공급될 때 턴-온되어 데이터선(Dm)으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이때,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M2)의 게이트 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일측 단자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다른측 단자 및 제1 전원(ELVDD)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M2)의 제2 전극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제2 트랜지스터(M2)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압 값에 대응하여 제1 전원(ELVDD)으로부터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경유하여 제2 전원(ELVSS)으로 흐르는 전류 량을 제어한다. 이때,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제2 트랜지스터(M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량에 대응되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화소 회로(710)는 일 예에 불과하고,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데이터선(Dm) 및 주사선(Sn)에 접속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를 제어하도록 하는 다른 회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의 (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전면 발광 화소(160)의 열화 정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a)에 예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발광 화소(160)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제2 트랜지스터(M2) 사이에 제3 트랜지스터(M3)의 제1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은 센싱 제어선에 연결되어,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M3)는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전면 발광 화소(160)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M3)의 제2 전극은 센싱부(150)에 포함되는 모니터부(7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720)는 구동 트랜지스터(M2)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전류 값(IREF)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 값을 소정의 전압(Vout)(또는 전류)으로 변환하여 열화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부(72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전류를 인가하여, 그 전류에 따른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해당 전면 발광 화소(160)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전면 발광 화소(160)의 열화 정도를 센싱하기 위한 센싱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7의 (b)에 예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전면 발광 화소(160)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와 제2 트랜지스터(M2) 사이에 제3 트랜지스터(M3)의 제1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트랜지스터(M3)의 게이트 전극은 센싱 제어선에 연결되어,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3 트랜지스터(M3)는 센싱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해당 전면 발광 화소(160)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M3)의 제2 전극은 센싱부(150)에 포함되는 모니터부(7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부(730)는 구동 트랜지스터(M2)에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부(73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에 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압에 따른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해당 전면 발광 화소(160)의 열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7의 (a) 및 (b)에 예시된 센싱부(150)에 포함되는 모니터부(720, 730)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면 발광 화소(160)들의 열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구성 요소라면 센싱부(15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MOS 카메라를 이용한 광학 센싱부가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 예는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표시 패널 120: 타이밍 제어부
130: 주사 구동부 140: 데이터 구동부
150: 센싱부

Claims (13)

  1.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들 및 적어도 하나의 배면 발광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의 열화 여부를 감지하여 열화 정보를 생성하는 센싱부; 및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의 열화된 광원을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발광 화소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발광 화소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적어도 하나의 부화소가 발광하는 기간 동안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소자의 상기 스위칭 소자를 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발광 화소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부화소 별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을 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 정보에 따라서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의 열화 보상을 위한 색의 광량으로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부화소가 발광하는 기간 동안에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의 스위칭 소자를 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멤스(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을 포함하는 전면 발광 패널;
    상기 배면 발광 화소를 포함하는 배면 발광 패널;
    상기 전면 발광 패널 및 상기 배면 발광 패널의 하부에 위치하는 확산 시트; 및
    상기 확산 시트 하부에 위치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발광 화소는 적색 부화소, 녹색 부화소, 및 청색 부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들의 동일한 부화소가 모두 열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화가 발생한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의 부화소에 대응하는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부화소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에 미리 설정된 광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정보는, 상기 열화가 발생한 전면 발광 화소에 대한 정보 및 열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표시부의 상측으로 빛을 방출하며 빛의 통로로 이용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면 발광 화소들 및 상기 표시부의 하측으로 빛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면 발광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의 열화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열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열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전면 발광 화소들 각각에 포함된 전면 적색 부화소, 전면 녹색 부화소 및 전면 청색 부화소 각각에 포함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정보를 센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발광 화소의 발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배면 발광 화소에 포함된 배면 적색 부화소, 배면 녹색 부화소, 및 배면 청색 부화소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50167194A 2015-11-27 2015-11-27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0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94A KR102507393B1 (ko) 2015-11-27 2015-11-27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5/251,988 US10083674B2 (en) 2015-11-27 2016-08-30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94A KR102507393B1 (ko) 2015-11-27 2015-11-27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571A true KR20170062571A (ko) 2017-06-08
KR102507393B1 KR102507393B1 (ko) 2023-03-08

Family

ID=5877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194A KR102507393B1 (ko) 2015-11-27 2015-11-27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83674B2 (ko)
KR (1) KR102507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459B1 (ko) * 2017-08-31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20230102365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야각 전환 발광신호 생성부 및 이를 포함하는 시야각 전환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508A (ko) * 2005-01-07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KR20110104705A (ko) * 2010-03-17 2011-09-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119906A (ko) * 2013-03-29 2014-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40148181A (ko) * 2013-06-21 2014-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5274A1 (en) * 2012-09-26 2014-03-27 Pixtronix, Inc. Display devices and display addressing methods utilizing variable row loading times
TWI612656B (zh) * 2013-08-19 2018-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雙面發光式顯示面板
KR102222901B1 (ko) * 2014-07-07 2021-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508A (ko) * 2005-01-07 2006-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
KR20110104705A (ko) * 2010-03-17 2011-09-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119906A (ko) * 2013-03-29 2014-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40148181A (ko) * 2013-06-21 2014-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3674B2 (en) 2018-09-25
KR102507393B1 (ko) 2023-03-08
US20170154603A1 (en)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234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003241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ixel driving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15295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81200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199079B2 (en) Demultiplexing circuit,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073281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879736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JP5827011B2 (ja) 表示装置
US889650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21002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20190236997A1 (en) Display driving method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thereof
US8289237B2 (en) Pix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KR20140123219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20014718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8597445B (zh) 显示装置、用于显示装置的驱动方法和电子设备
US20220084456A1 (en) Pixel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20060451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2013022243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EP3343554B1 (en)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and gate driver circuit
KR20060104842A (ko) 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70062572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011456A (ko) 화소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652623B1 (ko) Oled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07393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20830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