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849A -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 Google Patents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849A
KR20170061849A KR1020150166933A KR20150166933A KR20170061849A KR 20170061849 A KR20170061849 A KR 20170061849A KR 1020150166933 A KR1020150166933 A KR 1020150166933A KR 20150166933 A KR20150166933 A KR 20150166933A KR 20170061849 A KR20170061849 A KR 20170061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frame
window
movable door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2775B1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김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석 filed Critical 김순석
Priority to KR1020150166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77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문의 측면 부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방풍과 방음 및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에 관한 것으로, 가동문 창문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기밀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창문프레임에 장착시 일면이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체결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밀부재의 본체는 스크류에 의해 창문프레임의 실외측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동문을 닫았을 때 가스켓의 측면이 창틀프레임에 접하여, 가동문의 수직방향 일측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Side sealing structur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미서기창에서 가동문의 측면 기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가동문의 수직방향 측면 부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거실과 베란다 사이에는 시야를 확보함과 아울러 채광을 위하여 미서기창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미서기창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을 하거나 통풍을 위한 가동문과, 고정 설치된 고정문으로 이루어진다. 미서기창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위에 창문프레임을 끼워 슬라이딩하게 하는 구조이므로 항상 창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사이를 완전하게 밀폐시킬 수가 없어서 틈새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바람이 실내로 유입될 뿐만 아니라 방열 및 방음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354822호 "미서기창문의 이동창문과 창문틀의 기밀유지구", 실용신안등록 제309088호 "창문의 기밀구조" 등과 같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이들을 포함한 지금까지 출현한 대부분의 기술은 이동문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각각 기밀부재를 장착하여 창틀프레임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이동문의 상부와 하부를 통해 외부의 찬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또는 실내의 더운공기가 실외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도 수 십년 동안 창호 시공을 해오면서 창호에 관하여 50건 이상의 특허를 출원하여 등록받았고, 창호의 방풍과 방음을 위한 많은 기술을 개발했으며 지금도 연구 개발을 계속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창문과 창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을 통해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일환으로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2015-158065호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망의 차폐구조"를 출원하였다.
또한, 강풍이나 돌풍이 불면 창문에 큰 힘과 압력이 가해지면서 순간적으로 미서기창의 가동문이 실내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반복하면서 덜컹거리게 되고, 이때 가동문의 측면부분과 창틀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으며, 이때 생긴 틈새 부분이 방풍과 방음에 가장 취약한 부분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출현한 미서기창의 기밀구조는 모두 창문의 상부 또는 하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들이기 때문에 창문의 측면, 즉 수직방향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이나 소음을 차단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미서기창의 가동문은 실내측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어서 창문을 열고 닫기가 수월하지만, 실외측(베란다)에는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외측(베란다)에서 가동문을 열거나 닫을 때는 가동문의 유리에 손바닥을 대고 밀고 당겨서 여닫거나, 창문프레임을 잡고 창문을 여닫기 때문에 사용자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바닥이 닫는 부분의 유리에 얼룩이지거나 프레임의 일부에 손때가 묻어서 미관상 불결하고 더러워 보인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서기창에서 가동문의 측면프레임 실외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기밀부재를 부착하여 창문을 닫았을 때 가동문의 측면 부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방풍과 방음 및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는, 가동문 창문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기밀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창문프레임에 장착시 일면이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체결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밀부재의 본체는 스크류에 의해 창문프레임의 실외측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동문을 닫았을 때 가스켓의 측면이 창틀프레임에 접하여, 가동문의 수직방향 일측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밀부재의 본체가 창문프레임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창문프레임의 실외측 측면에는 상기 체결돌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기밀부재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기밀부재는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기밀부재체결홈이 체결되어 기밀부재가 창문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중공(中空) 형상이고, 실외측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스크류를 체결하여 본체를 창문프레임에 고정시키고, 개방된 부분을 뚜껑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는, 미서기창에서 가동문의 측면프레임 실외측에 수직방향을 따라 기밀부재를 부착하여 창문을 닫았을 때 기밀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가스켓이 창틀프레임에 확실하게 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강풍이나 돌풍이 불어서 가동문이 덜커덩거리면서 움직이더라도 가스켓이 창틀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동문의 측면 부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이들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통한 방풍과 방음 및 열손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bar) 형상의 기밀부재가 수직방향을 따라 가동문의 측면프레임 실외측에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베란다)에서 가동문을 열고 닫을 때 돌출된 기밀부재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고 유용하며, 가동문을 완전히 개방할 때 돌출된 기밀부재의 측면이 고정창문의 측면프레임에 접촉하면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해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밀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밀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스크류 없이 체결할 수 있는 기밀부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크류로 체결하는 기밀부재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가스켓만으로 기밀을 유지하는 측면 기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강풍이나 돌풍이 불더라도 기밀부재의 측면에 장착된 가스켓이 창틀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동문의 측면 부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미서기창은 한쌍의 가동문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아파트 거실에 설치되어 있듯이, 하나는 항시 고정되어 있는 고정문(10)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사람이 실내와 실외(베란다)를 출입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되는 가동문(20)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기밀구조는 미서기창에서 가동문(20)을 닫았을 때 측면 수직방향에서 창문프레임(21)과 창틀프레임(30)이 접하게 되는 수직방향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측면 기밀구조는, 가동문 창문프레임(21)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수직방향 전체에 걸쳐 기밀부재(23)를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기밀부재를 창문프레임(21)에 고정시킬 때는 스크류(236)를 사용할 수도 있고(도 4 참조),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눌러서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도 3 참조). 미설명 부호 22는 창문프레임(21)의 실내측에 부착되어 가동문(20)을 열고 닫을 때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기밀부재(23)는 본체(231)의 측면에 가스켓(235)을 체결하여 구성되는데, 본체(23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구성으로, 창문프레임(21)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본체(231)는 창문프레임(21)에 장착시 일면이 창문프레임(21)에 고정되면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본체(231)의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232)에 가스켓(235)이 체결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문(20)을 닫았을 때 가스켓(235)의 측면이 창틀프레임(30)에 접하면서 밀착되므로, 가동문(20)의 수직방향 일측 창문프레임(21)과 창틀프레임(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풍이나 돌풍에 의해 가동문이 덜컹거리면서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움직이더라도 창틀프레임(30)에 밀착된 가스켓(235)이 창문프레임(21)과 창틀프레임(30)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막아주게 되므로, 창문과 창틀의 각 수직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바람이나 소음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가스켓(235)은 본체(231)의 일측에만 체결해도 되지만, 도 3이나 도 4의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31)의 양측 측면에 각각 가스켓(235)을 체결한 경우에는, 가동문(20)을 닫았을 때는 일측 가스켓(235)이 창틀프레임(30)의 수직프레임에 접하면서 기밀을 유지해 주고, 가동문(235)을 열었을 때는 타측 가스켓이 고정문(10)의 측면 프레임에 접하면서 기밀부재의 본체(231)가 가동문(20)이 더이상 슬라이딩 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해주게 된다.
본체(231)는 창문프레임(21)의 실외측에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베란다)에서 가동문(20)을 열고 닫을 때 기밀부재의 본체(231)가 손잡이 역할을 해주게 된다. 따라서 실외(베란다)에서 가동문(20)을 열고 닫을 때 유리나 창문프레임(21)에 손대지 않고 본체(231)를 유용하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기밀부재의 본체(231)를 창문프레임(21)의 실외측 측면에 설치할 때 스크류(236)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31)를 중공(中空) 형상이면서 실외측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된 구조로 형성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스크류(236)를 체결하여 본체(231)를 창문프레임(21)에 고정시킨 다음, 개방된 부분을 뚜껑(233')으로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기밀부재의 본체(231)를 창문프레임(21)의 실외측 측면에 설치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밀부재의 본체(231)가 창문프레임(21)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체결돌부(234)를 형성하고, 창문프레임(21)의 실외측 측면에는 체결돌부(234)와 대응하는 형상의 기밀부재체결홈(211)을 형성하여, 기밀부재의 본체(231)에 힘을 주어 밀어서 체결돌부(234)가 기밀부재체결홈(211)에 삽입되면서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기밀부재 본체(231)를 사용하지 않고 가스켓(235')만으로 측면 기밀을 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인데, 가동문(20)을 닫았을 때 가스켓(235')의 측면이 창틀프레임(30)에 접하여 밀착되게 되므로, 가동문(20)의 수직방향 일측 창문프레임(21)과 창틀프레임(3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가동문(20)을 닫았을 때 가스켓(235')의 단부(端部)가 창틀프레임(30)에 접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야 하며, 창문프레임(21)의 실외측 측면에는 가스켓(235')을 장착할 수 있는 가스켓체결홈(211')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장착된 가스켓(235')은, 강풍이나 돌풍에 의해 가동문이 덜컹거리면서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움직이더라도 창틀프레임(30)에 밀착된 가스켓(235')이 창문프레임(21)과 창틀프레임(30) 사이의 틈새를 확실하게 막아주게 되므로, 창문과 창틀의 각 수직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바람이나 소음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고정문
20 : 가동문 21 : 창문프레임
211 : 기밀부재체결홈 211' : 가스켓체결홈
22 : 손잡이 23 : 기밀부재
231 : 본체 232 : 가스켓체결홈
233 : 뚜껑 234 : 체결돌부
235, 235' : 가스켓 236 : 스크류
30 : 창틀프레임

Claims (4)

  1.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가동문과 창틀프레임의 수직방향 측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 기밀구조는, 가동문 창문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기밀부재를 고정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부재는,
    창문프레임에 장착시 일면이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돌출된 부분의 측면에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체결되는 가스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밀부재의 본체는 스크류에 의해 창문프레임의 실외측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동문을 닫았을 때 가스켓의 측면이 창틀프레임에 접하여, 가동문의 수직방향 일측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의 본체가 창문프레임에 접하게 되는 부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체결돌부가 형성되어 있고,
    창문프레임의 실외측 측면에는 상기 체결돌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기밀부재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스크류 대신 본체에 형성된 체결돌부와 기밀부재체결홈이 체결되어 기밀부재가 창문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중공(中空) 형상이고, 실외측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이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스크류를 체결하여 본체를 창문프레임에 고정시키고, 개방된 부분을 뚜껑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4. 미서기창을 닫았을 때 가동문과 창틀프레임의 수직방향 측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면 기밀구조는, 가동문 창문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실외측 측면에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스켓체결홈에 가스켓을 장착하여 이루어지고,
    가동문을 닫았을 때 가스켓의 측면이 창틀프레임에 접하여 밀착되면서, 가동문의 수직방향 일측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KR1020150166933A 2015-11-27 2015-11-27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KR101852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933A KR101852775B1 (ko) 2015-11-27 2015-11-27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933A KR101852775B1 (ko) 2015-11-27 2015-11-27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849A true KR20170061849A (ko) 2017-06-07
KR101852775B1 KR101852775B1 (ko) 2018-04-27

Family

ID=5922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933A KR101852775B1 (ko) 2015-11-27 2015-11-27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9174A (zh) * 2017-08-15 2017-10-20 芜湖通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密封推拉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793B1 (ko) 2019-04-01 2019-12-03 (주) 예광창호 단열 및 기밀 성능 향상 구조를 갖는 미서기 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9174A (zh) * 2017-08-15 2017-10-20 芜湖通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密封推拉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775B1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288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20090111755A (ko) 미닫이 창호의 다기능 슬라이딩 틈새 방지구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WO2016000498A1 (zh) 一种门窗
KR101852775B1 (ko) 미서기창의 측면 기밀구조
KR20070024108A (ko) 슬라이드창호의 방음구조
KR101016203B1 (ko) 미닫이 창호의 슬라이딩 틈새 밀봉장치
RU2581561C1 (ru)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KR20160009964A (ko) 복합창호
CN204023854U (zh) 一种侧向通风式玻璃幕墙系统
KR20130030188A (ko) 창호의 틈새 밀폐구
ATE527422T1 (de) Beschlag
KR101888093B1 (ko) 기밀성능과 수밀성능이 향상된 미서기창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20170006918A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200487614Y1 (ko) 방풍모의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문틀용 방풍구
KR20190068783A (ko) 기밀커버
KR20190114382A (ko) 연결 문짝 수직프레임의 단열구조
KR102559267B1 (ko) 시스템창호용 보조샤시
CN201193462Y (zh) 一种水密性、气密性、隔热性优良的推拉门装置
KR20190106634A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101311149B1 (ko) 목재 창문의 이동창문과 창틀의 기밀유지구
KR102275274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102291692B1 (ko) 조인트 방풍 구조를 갖는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