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405A -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405A
KR20170061405A KR1020150166379A KR20150166379A KR20170061405A KR 20170061405 A KR20170061405 A KR 20170061405A KR 1020150166379 A KR1020150166379 A KR 1020150166379A KR 20150166379 A KR20150166379 A KR 20150166379A KR 20170061405 A KR20170061405 A KR 20170061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e
data
ridge
sensing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훈
정성훈
이섬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6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405A/en
Publication of KR2017006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4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09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2
    • G06K9/00033
    • G06K9/0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땀구멍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땀구멍 인증 방법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를 구비한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지문의 융선(Ridge)과 골(Valley)을 구별 가능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인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문 융선 패턴 구조 상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고 지문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한 적어도 s(s≥3)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결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t(3≤t≤s)개의 땀구멍 위치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pore hole, and 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pore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erforming a method using an apparatus having a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A first step of reading the sensed value of the sensed data to generate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a ridge and a valley of the fingerprint when the sensed data is acquired; A second step of identifying the feature points and identifying at least s (s? 3) pore locations distributed on the fingerprint ridge area; and determining a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by using the identified one or more feature points, (3? T? S) of pore positions on the basis of the determined reference point, A step of creating a pore template containing the generated pore data and storing the generated pore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stor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in a storage area of a pore templat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a fifth step of verifying that the matching is within the tolerance range compared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Description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ertifying patterns of sweat pore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하여 지문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정한 후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지문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한 땀구멍의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하여 기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tecting a geometric relationship of pores distributed on a fingerprint ridge region based on a reference point by sensing a body part of a user and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e among the s pore locations as a reference point using feature points of a fingerprint ridge pattern And compared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reviously stored pore templates to verify that they match within an allowable error range.

최근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에 지문모듈을 내장하여 각종 보안이 요구되는 동작이나 서비스에 지문 인식을 이용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지문은 다른 생체에 비해 인식 과정이 편리하여 앞으로도 활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With the recent activation of smart phones, a fingerprint module is embedded in a smart phone, and fingerprint recognition is used for operations or services requiring various security. It is expected that fingerprints will be more useful in the future than other living bodies because recognition process is convenient.

한편 지문 인식이 편리한 만큼 위변조의 가능성도 용이한 편이다.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통해 지문을 모사하여 지문 인식을 시도할 경우, 종래에 제안된 지문 인식 기술로는 이러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 매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들어, 인체의 표피 조성에 매우 유사한 구미(Gummi)를 이용하여 지문을 모사할 경우 종래의 지문 인식 기술을 통해 이러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는 매우 난해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fingerprint recognition is convenient, the possibility of forgery is easy. When fingerprint recognition is attempted by simulating fingerprints through materials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epidermis of a human body, the conventional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has a very difficult problem to exclude such simulated fingerprints. For example, when fingerprints are simulated using Gummi,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skin composition of the human body, it is very difficult to exclude such simulated fingerprints through conventional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이러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2000-123143호, 일본특허공개 평10-302047호, 일본특허공개 2000-194848호, 일본특허공개 2000-172833호 등이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5165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Examples of techniques for excluding such simulated fingerprints includ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0-123143, 10-302047, 2000-194848, and 2000-172833, 10-2005-0051659 and the like.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2000-123143호나 일본특허공개 평10-302047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피검체의 전류치, 정전 용량, 전기 저항 등에 의해 피검체가 생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이용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 난해하고, 일본특허공개 평1O-370295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정전식 센서가 반응하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위조 지문을 판정하고, 일본특허공개 2000-172833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전기적 특성인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에 의해서 위조 지문을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이용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 난해하다. 한편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51659호에서는 지문을 스윕 방식을 스캔할 때 땀의 존재유무를 이용하여 생체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역시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에 물을 묻혀 인식 시도할 경우 이를 배제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23143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0204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ubject is a living body by the current value of the subject, the capacitance, the electric resistance, , It is difficult to exclude a simulated fingerprint using a substance having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0-370295, a counterfeit fingerprint is judg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electrostatic sensor responds. 2000-172833, it is difficult to exclude a simulated fingerprint using materials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skin of a human being, because the forgery fingerprint is judged by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impedance, which is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51659 discloses a method of detecting a living body by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weat when scanning a sweep method of a fingerprint. However, in the case of a substance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skin of a human body It is difficult to exclude water if it is attempted to recognize i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하여 지문 융선 패턴 구조 상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고 지문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한 적어도 s(s≥3)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여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t(3≤t≤s)개의 땀구멍 위치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at least one feature point extracted on a fingerprint ridge pattern structure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and to identify at least s (3) And determining a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as a reference point using the identified feature points to determine a geometric relationship with at least t (3? T? S) pore loc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A pore template including the generated pore hole data is generat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a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hole data is compared with a geometric relationship of a pore hole templat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 punched hole pattern authentication method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to match within an allowable error range As it has.

본 발명에 따른 땀구멍 인증 방법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를 구비한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지문의 융선(Ridge)과 골(Valley)을 구별 가능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인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문 융선 패턴 구조 상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고 지문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한 적어도 s(s≥3)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결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t(3≤t≤s)개의 땀구멍 위치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pore 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erforming a method using an apparatus having a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 sensed value of the sensed data, A first step of generating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a ridge and a valley of a fingerprint from each other, and identifying one or more feature points extracted on the fingerprint ridge pattern structure using the recognition data,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s (3) pore positions of at least one s pore, and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as a reference point using the identified one or more feature points, (4 < / = t >) to generate pore data including a geometric relationship with at least t And creating a pore template containing the generated pore data and storing the created pore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compar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with a geometric relationship of a pore template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a fifth step of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it is match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으로 인식하여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base sensing value for a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and calculating S (S? 3) distributed on the ridge area using the base sensing value, Identifying at least s (3 ≤ s ≤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identified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a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reg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s pore hol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N(N≥2)번 센싱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n<N)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 중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차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으로 인식하여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includes generating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ensing N (N &gt; = 2) times of a user's body part in a specified ms (millisecond) (N + 1) -th recognition data among the n &lt; th &g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N-1) pieces of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ncluding the n-th piece of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value of the (n-1) pieces of recognition data from the ridge area of the generated (N-1) 3) number of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and identify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among the identified S sensing singularity singularity regions a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region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s pore hol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N(N≥2)번 센싱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으로 인식하여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includes generating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ensing N (N &gt; = 2) times of a user's body part in a specified ms (millisecond) (N + 1) (1? N <N)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Generating S (S? 3)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ncluding the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the S (S? 3) And recogniz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identified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a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region sensed by the sensor section to identify s pore positions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특징점 종류를 근거로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as a reference point, the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es of minutiae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융선 패턴 구조와 상기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 특징점의 배치 관계를 근거로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a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holes as a reference point based on a ridge pattern structure and an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t least one feature point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둘 이상 특징점 간의 배치 관계를 근거로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징점 간의 배치 관계는, 특징점 종류, 특징점 간의 거리 관계, 특징점 간의 각도 관계, 특징점 간의 방향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p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as a reference point, the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based o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eature points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On the other hand,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among the minutiae poi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inutiae point types, the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minutiae points, the angle relation between the minutiae points and the minutiae point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적어도 U(U≥3)개의 유효한 거리 관계 내지 각도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thole position, an angl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thole position, a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porthole position and the porthole position, and an angl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hole position and the porthole position Or may include two or more relationships. On the other hand, the geometric relationship may include at least U (U? 3) effective distance relationships or angular relationship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동일한 신체부위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다시 센싱하여 산출된 유효한 기하학적 관계의 합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U(U≥3)개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step, when the pore data is stored, at least U (U &gt; 3) corresponding to the union of the effective geometric relationships calculated by repeatedly sensing the same body part ) Geometric relationships of the pore hol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4 단계는, 복수의 기준점 별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storing the pore data, the fourth step includes generating a plurality of pore data including a geometric relationship by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nd the fifth step includes a step And storing the generated pore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상기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게 좌표 회전하는 단계와, 상기 좌표 회전된 기하학적 관계를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fth step, when the pore data is authenticated, the step of coordinate-rotat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so as to matc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And comparing the rotated geometric relationship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to verify that it matches within the tolerance rang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땀구멍템플릿에 포함된 U(U≥3)개의 기하학적 관계 중 적어도 u(3≤u≤U)개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fth step, when the pore data is authenticated, at least u (3? U? U) geometric relations among the U (U? 3) geometric relations included in the pore templates are generated And match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hole data with the tolerance within the tolerance range.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정합 확인과 별도로 지문 융선 영역에 형성된 땀구멍들이 형성하는 고유한 기하학적 관계를 인증함으로써,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이용하여 지문을 모사하더라도 땀구멍까지 모사하지 않는 한 지문 모사에 의한 해킹 위협을 현저하게 줄이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uthenticating the inherent geometrical relationship formed by the pores formed in the fingerprint ridge area separately from the fingerprint matching confirmation, even if the fingerprint is copied using materials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human epidermis, Unless you simulate it, there is an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threat of hacking by fingerprinting.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정합을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고, 지문 융선에 형성된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실제 사용자의 지문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지문을 통해 식별과 인증을 동시에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fingerprint matching as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us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s formed in the fingerprint ridge as the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that the fingerprint is an actual user,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are simultaneously There is an advantage to provide.

도 1은 인체에 형성된 땀샘에 대한 피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광학 촬영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땀구멍을 인식 및 인증하는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기하학적 관계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땀구멍을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kin against sweat glands formed on a human body;
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image of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FIGS. 3A to 3F are diagrams showing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sensing ridges, bones, and pores formed in the fingerprint of a human body.
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pore h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geometric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p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In other words, the following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s omitted, or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steps), or an embodiment that incorporates functions implemented in more than one configuration (or step)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 a particular configuration (or step)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subsets or combination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subdivided based on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인체에 형성된 땀샘에 대한 피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kin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the sweat glands formed on the human body.

인체의 땀샘(Sweat Gland)은 에크린 땀샘과 아포크린 땀샘의 두 종류가 있다. 아포크린 땀샘은 털이나 피지 샘과 함께 형성되는 땀샘으로 겨드랑이, 바깥귀길(외이도), 눈꺼풀 등에 분포하며, 에크린 땀샘은 신체의 귀두부, 소음순, 손발톱을 제외한 피부의 전반에 분포하는 땀샘이다. 그 중에서도 에크린 땀샘은 주로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 이마의 피부 등에 많이 분포한다. 각 땀샘에서 생성된 땀은 땀관을 따라 이동하여 땀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땀관의 크기는 대략 머리카락 굵기의 50분의 1 크기(약 50μm~70μm)로 사람마다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There are two types of sweat glands in the human body: eccrine sweat glands and apocrine sweat glands. Apocrine sweat glands are sweat glands that are formed with hair and sebaceous glands. They are distributed in the armpits, outer ear (outer ear canal), eyelids, etc., and the eczrine sweat glands are sweat glands distributed throughout the skin except the glans part of the body, Among them, eccrine sweat gland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palms, soles, underarms, and forehead skin. The sweat produced from each sweat gland moves along the sweat pouch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es. The size of the sweat pouch is about 50 time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air (about 50 μm to 70 μm).

도면2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광학 촬영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image of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인체의 신체부위 중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에는 땀샘의 위치를 따라 지문의 융선(Ridge)이 형성되고, 융선과 융선 사이에 골(Valley)이 형성된다. 즉, 지문의 융선이란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에 형성된 땀샘을 따라 피부가 융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문의 융선에는 주로 에크린 땀샘이 분포하나, 일부의 경우 아포크린 땀샘이 일부 형성될 수도 있다.Ridges of the fingerprint are formed along the positions of the sweat glands in fingers or toes of the body parts of the human body, and valleys are formed between ridges and ridges. That is, the ridge of the fingerprint is a ridge of the skin along the sweat glands formed on the finger or the toe. Some rinse sweat glands are distributed mainly in ridge of fingerprints, but some of apocrine glands may be formed.

남성의 경우 융선 간 거리는 200μm 내지 850μm 간격으로 형성되며 평균 거리는 대략 460μm 정도로 측정되며, 여성의 경우 융선 간 거리는 200μm 내지 750μm 간격으로 형성되며 평균 거리를 대략 410μm 정도로 측정되고 있다. 또한 땀구멍 간 거리는 200μm 내지 1500μm 간격으로 형성되며 평균 거리는 830μm 정도로 측정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수치는 평균적 통계 수치이고 실제 거리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Male ridges are formed at intervals of 200 μm to 850 μm and average distances are measured at about 460 μm. In the case of females, ridges are formed at intervals of 200 μm to 750 μm, and the average distance is measured to be about 410 μm. Also, the distance between pores is formed at intervals of 200 mu m to 1500 mu m, and the average distance is measured to be about 830 mu m. However, the above figures are average statistics and the actual distance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도면3a 내지 도면3f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3A to 3F are views showing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ridges, bones, and pores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a 내지 도면3f는 인체의 지문을 위로 향했을 때의 단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지문의 융선 상에 형성되는 땀구멍은 원형, 타원형, 방추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땀구멍의 단면은 분화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분화구의 직경은 200μm 이내이다. In more detail, FIGS. 3A to 3F show a short structure when the fingerprint of the human body is directed upward. The pores formed on the ridge of the fingerprin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and fusiform,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pores has a crater shape.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crater is within 200 占 퐉.

땀샘에서 생성된 땀이 발한되기 시작하면, 상기 땀샘에서 생성된 땀은 도면3b와 같이 땀관을 따라 이동하며,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되어 먼저 땀구멍의 분화구를 채운다. 본 발명의 정의에 따르면,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되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는 상태의 땀을 “미세 땀(Micro Sweat)”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정의에 따르면 미세 땀은 1μL 이하로 발한된 땀으로 정의할 수 있다. When the sweat produced in the sweat glands starts to swell, the sweat produced in the sweat glands moves along the sweat gang as shown in FIG. 3b, and sweats as shown in FIGS. 3c to 3e to fill the craters of the swallow gang first.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eat which is sweated and is held in the crater of the pore hole as shown in Figs. 3c to 3e is defined as &quot; micro sweat &quot;. According to another defi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ne sweat can be defined as perspiration sweating less than 1 μL.

만약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 미세 땀이 발한된 상태에서 땀샘에서 생성된 땀이 더 발한되면, 도면3f와 같이 발한된 땀은 땀구멍의 분화구를 넘쳐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3f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를 넘쳐 흐르는 땀을 “젖은 땀”이라고 정의한다. 바람직하게, 젖은 땀은 먼저 융선을 따라 흐르고, 이후 골 방향으로 넘쳐 흐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땀을 흘린다”라는 표현의 땀은 젖은 땀을 의미한다.If the sweat generated in the sweat glands is further sweated in the sweated minute sweat state as shown in FIGS. 3c to 3e, the sweated sweat flows over the crater of the sweat hole as shown in FIG. 3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sweat flowing over a crater of a pore as "wet sweat" as shown in FIG. 3f. Preferably, the wet sweat first flows along the ridge and then overflows in the bone direction. Usually, the expression "sweat" means wet sweat.

한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특별한 발한유도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된 미세 땀이 도면3f와 같은 젖은 땀으로 성장하는 경우는 이례적이다. 인체에는 1㎠ 당 약 500~900개의 땀구멍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데, 이 중 일부의 땀구멍에서 매우 불규칙하게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을 발한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미세 땀은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다가 소멸할 뿐, 특별한 발한유도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도면3f와 같이 젖은 땀으로 성장하는 경우는 드물다. 본 발명의 정의에 따르면,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다가 소멸하는 미세 땀의 발한을 “미세 발한”으로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서 미세 발한이란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다가 젖은 땀으로 성장하지 않고 소멸하는 형태의 발한으로 정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nt, it is unusual for the perspirated fine sweat to grow as the wet sweat as shown in FIG. 3f, as shown in FIGS. 3c to 3e, unless a specific perspiration induction situation occurs. In the human body, about 500 to 900 pores are arranged irregularly per 1 cm 2. In some of these pores, fine sweat is generated irregularly as shown in FIGS. 3c to 3e. However, most of the fine sweat is only accumulated in the crater of the pore,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FIG. 3e, and disappears, and it is rare to grow wet sweat as shown in FIG. 3f unless a special sweat induction situ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iration of fine sweat which is present in the crater of a pore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3e is defined as &quot; fine sweating &quo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sweating can be defined as sweating in the form of being swollen in the crater of the pore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FIG. 3e and then disappearing without growing with wet sweat.

또한 출원인의 거듭된 실험에 의하면, 미세 발한은 매우 불규칙하게 발생(즉, 어느 땀구멍에서 발한하는지 예측 불가능)하며, 일부 미세 발한의 경우 ms(millisecond) 단위로 도면3b에서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을 발한했다가 다시 도면3b와 같이 미세 땀이 소멸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미세 땀이 도면3b에서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ms 단위로 발한했다가 도면3b와 같이 소멸하는 이유는, 극소량 이하로 발한된 극소량의 미세 땀이 발한과 동시에 증발하거나 또는 극소량 발한된 미세 땀이 어떤 생체반응에 의해 도면3b의 상태로 흡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다른 일부 미세 발한의 경우 도면3b에서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을 발한한 상태를 일정 시간(예컨대, ms 단위 내지 1초) 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던 미세 땀도 특별한 발한유도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대부분 도면3b의 상태로 소멸하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던 미세 땀 중 극히 일부만 젖은 땀으로 성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peated experiments of the applicant, it has been found that microscopic sweating occurs very irregularly (that is, unpredictable in which pores it swells) and in some milligrams, in milliseconds, in figures 3b to 3c or 3d or 3e As shown in FIG. 3B, and then the fine perspiration disappears as shown in FIG. 3B. The reason why the fine perspiration persists in ms units as shown in FIG. 3B, FIG. 3C, FIG. 3D or FIG. 3E and then disappears as shown in FIG. 3B is because very small amount of fine perspiration sweated in a very small amount or less evaporates at the same time, It is assumed that the fine sweat is sucked into the state of FIG. 3b by a certain biological re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me other minute sweating,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weating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ms units to one second)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FIG. However, the fine sweat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mostly extinguished to the state of FIG. 3b unless a specific perspiration induction state occur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only a part of the fine sweat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grows as wet sweat.

본 발명의 땀구멍 인식은 도면3a 또는 도면3b와 같은 미발한 상태의 땀구멍과,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의 미세 땀이 발한된 땀구멍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땀구멍 인식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505)의 센서는 지문을 인식 가능한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예컨대, 정전식 센서,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등)라도 무방하나, 이하 편의상 정전용량을 센싱하는 정전식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505)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정전식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recognition of the pore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recognizing the pore in the untreated state as shown in FIG. 3A or FIG. 3B and the sweat pore swollen in fine sweat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FIG. 3E. The perforation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nsed through a sensor unit 505 having a sensor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of the sensor unit 505 may be any sensor (for example, an electrostatic sensor, an optical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as long as the sensor can recognize the fingerpri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using a sensor unit 505 having an electrostatic sensor. However, it should be clear th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no means limited to the manner in which electrostatic sensors are used.

도면4a와 도면4b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sensing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a는 정전용량을 센싱하는 정전식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505)를 이용하여 도면3a의 지문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4b는 상기 정전식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505)를 이용하여 도면3d의 지문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FIG. 4A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sensing fingerprint ridges, bones, and pores in FIG. 3A using a sensor unit 505 having an electrostatic sensor for sensing a capacitance, and FIG. And a fingerprint ridge, a bone, and a pore of the finger in Fig. 3d are sensed by using a sensor unit 505 having an expression sensor.

도면4a와 도면4b를 참조하면, 지문의 융선과 골 및 땀구멍 중 융선은 센서부(505)와 접촉(또는 근접)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상기 융선에 대하여 인체의 정전용량에 가장 근접한 센싱값을 획득한다. 한편 상기 융선과 비교하여 상기 골은 센서부(505)와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근접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상기 골에 대하여 상기 융선의 정전용량과 충분히 대비되는 정전용량의 센싱값을 획득한다. 이러한 융선과 골의 센싱값 대비에 의해 상기 센서부(505)는 지문의 융선을 상호 구별 가능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ridges of ridges, bones, and pores of the fingerprint are in contact with (or in proximity to) the sensor unit 505. Therefore, when the sensor unit 505 is made of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acquires a sensing value closest to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with respect to the ridge. On the other hand, as compared with the ridge, the ridge is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unit 50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ccordingly, when the sensor unit 505 is made of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acquires a sensing value of a capacitance sufficiently contrasted with the capacitance of the ridge to the valley. The sensor unit 505 can acquire sensing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ridges of fingerprints from each other by comparing the sensing values of ridges and bones.

한편 상기 융선 상에는 평균 거리 830μm 정도의 간격으로 직경 200μm 내외의 분화구 형태의 땀구멍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직경 200μm 내외의 땀구멍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상기 센서부(505)의 센서 분해능(예컨대, 센서부(505)에 구비된 정전식 센서 1픽셀의 크기)는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분해능이 50μm 이하인 경우에 상기 센서부(505)는 적어도 하나 내지 4개의 센서를 통해 상기 땀구멍을 유효하게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it-shaped por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200 mu m are irregularly arranged at intervals of about 830 mu m on the ridge. Therefore, in order to sense por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200 μm, the sensor resolution of the sensor unit 505 (for example, the size of one pixel of the electrostatic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unit 505) is preferably 50 μm or less. When the sensor resolution is 50 μm or less, the sensor unit 505 can effectively sense the pores through at least one to four sensors.

도면4a와 같이 땀이 발한되지 않은 미발한 상태의 경우, 지문 융선 상의 땀구멍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도면4a의 땀구멍에 대하여 상기 융선의 센싱값과 골의 센싱값 사이의 센싱값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A, in an untreated state where sweat does not swell, a void is formed in the pores on the fingerprint ridge. Therefore, when the sensor unit 505 is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can obtain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a sensing value between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lative to the pore of FIG. 4A.

도면4b와 같이 미세 땀이 발한된 경우, 상기 발한된 땀 속에는 염분과 아미노산, 세포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땀의 정전용량은 인체의 정전용량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5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도면4a의 땀구멍에 대하여 상기 융선의 센싱값 보다 큰 정전용량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when the sweat sweating occurs, the sweat sweat contains salts, amino acids, cells and the like. Therefore, the sweat capacitance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human body. Therefore, when the sensor unit 505 is made of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can obtain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a capacitance larger than the sensed value of the ridge with respect to the pore of FIG. 4A.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땀구멍을 인식 및 인증하는 장치(5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500 for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pore h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505)를 이용하여 지문의 융선 상에 형성된 땀구멍을 인식하는 장치(5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장치(5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5 show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500 for recognizing a pore formed on a ridge of a fingerprint by using a sensor unit 505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FIG. 5 to inf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apparatus 500 (e.g.,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broken down, or combin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본 발명의 장치(500)는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505)를 이용하여 지문의 융선 상에 형성된 땀구멍을 인식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각종 장치 형태, 각종 장치에 탑재되는 모듈(또는 칩) 형태, 각종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포함하는 분산 시스템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eneral term for a configuration for recognizing pores formed on a ridge of a fingerprint using a sensor unit 505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and is a module (or chip) type , A distributed system including various devices and servers on a network,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5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치(5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노트북, PC 등), 인식장치, 인증장치, 도어락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도면5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는 각 장치에 탑재되는 H/W 형태나 S/W 형태 또는 그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various devices for use by a user. For example, the device 5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erminal (e.g.,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etc.), a recognition device, an authentication device, a door lock device, 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 / W, S / W or a combination thereof mounted on each devic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5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장치에 탑재되는 모듈(또는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치(5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 인식장치, 인증장치, 도어락장치 등의 각종 장치에 내장되는 모듈(또는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도면5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는 상기 모듈(또는 칩)에 탑재되는 H/W 형태나 S/W 형태 또는 그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도면5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 중 일부는 모듈(또는 칩) 측에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모듈(또는 칩)을 탑재한 장치 측에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or a chip) mounted on various devices used by a user. For example, the device 5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or chip) embedd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erminal, a recognition device, an authentication device, a door lock device, etc. used by a user, The configu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H / W or S / W or a combination thereof mounted on the module (or chip), and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a part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shown in FIG. And the other part may be implemented on the device side on which the module (or chip) is mount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5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분산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치(5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 인식장치, 인증장치, 도어락장치 등의 각종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도면5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 중 일부는 상기 장치 측에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tributedly implemented through various devices used by users and servers on the network. For example, the device 5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a terminal, a recognition device, an authentication device, a door lock device, etc., used by a user and a server on a network. And other parts may be implemented in a server on the network.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5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장치(500)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기능 구성 상 청구범위에 속한 기능을 구현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of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embodiments among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device 500 or the embodiment, and if it is implemented in any form, it is evident that the function of the device 500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unction of the claim is implemented .

본 발명의 장치(500)는 H/W적으로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505)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505)는 정전식 센서,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등, 지문을 인식 가능한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무방하며, 현존하는 센서는 물론, 추후 제안/개량되는 어떠한 센서라도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라면 본 발명의 센서부(505)로 이용 가능하고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정전용량을 센싱하는 정전식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505)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정전식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apparatus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505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in a hardware manner. The sensor unit 505 may be any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 fingerprint, such as an electrostatic sensor, an optical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If the sensor is capable of sensing fingerprints, It is evident that the sensor unit 50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vailable and belongs to the scope of the right.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using a sensor unit 505 having an electrostatic sensor for sensing a capacitance. However, it should be clear th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no means limited to the manner in which electrostatic sensors are us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505)는 50μm 이하의 분해능(예컨대, 정전식 센서 1픽셀의 크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505 preferably has a resolution of 50 μm or less (for example, one pixel of the electrostatic sensor).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500)는,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 처리부(510)와,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지문 인식부(515)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대응하는 지문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지문 저장부(520)와,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인증하는 지문 정합부(525)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515), 지문 저장부(520) 및 지문 정합부(52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500 includes a sensing unit 510 for sensing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through the sensing unit 505, A fingerprint storage unit 520 for generating fingerprint templates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and storing the generated fingerprint templates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nd a fingerprint matching unit 525 that authenticates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using a user's fingerprint template previously stored in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the fingerprint storage unit 520, and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525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센싱 처리부(510)는 상기 센서부(505)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처리부(510)는 픽셀로 이루어진 이미지 형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센싱 데이터의 1픽셀은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acquires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body part of the user through the sensor of the sensor unit 505. Preferably, the sensing unit 510 acquires image sensing data of pixels. It is preferable that one pixel of the sensing data is 50 mu m or less.

상기 지문 인식부(515)는 지정된 지문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전처리 가능하게 보정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부(515)는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에 대해 평활화(Smoothing)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평활화 절차를 통해 센싱 과정의 노이즈가 제거된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performs a process for preliminarily correcting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according to a specified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 Preferabl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performs a smoothing process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510, and the noise in the sensing process is removed through the smoothing process.

상기 지문 인식부(515)는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획득되거나 상기 보정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전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부(515)는 상기 획득/보정된 센싱 데이터에 대한 이진화(Binarization) 절차와 세선화(Thining) 절차 및 방향성 추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이진화 절차는 센싱 데이터 상의 융선 부분과 골 부분을 흑백으로 구별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세선화 절차는 이진화된 센싱 데이터 상에서 융선의 폭을 지정된 기준 픽셀(예컨대, 1픽셀)의 선으로 구별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성 추출 절차는 이진화 내지 세선화 처리된 센싱 데이터의 전체 영역 내에서 융선(예컨대, 세선)이 지닌 상대적인 방향을 추출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performs a preprocessing procedure for reading the corrected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 Preferabl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performs a binarization process, a thinning process, and a directionality extraction process for the acquired / corrected sensing data. The binarization procedure includes a procedure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ridge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on the sensing data in black and white. The thinning procedure includes a process of distinguishing the width of the ridge on the binarized sensing data by a line of a specified reference pixel (e.g., one pixel). The directional extraction procedure includes a procedure of extracting a relative direction of a ridge (e.g., a thin line) within the entire area of the binarized or thinned sensing data.

상기 지문 인식부(515)는 상기 전처리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징점은 시작점, 끝점, 분기점, 중심점, 삼각주(Delta)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머지(Merge), 루프(Loop), 브릿지(Bridge), 크로스(Cross), 트라이앵글(Triangle), 브레이크(Break), 스퍼(Spur), 레더(Ladder), 더블브레이크(Double Break), 브레이크엔머지(Break & Merge), 아이슬란드(Island) 등의 다양한 특징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reads the preprocessed sensing data and performs a process of extracting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included in the sensing data. Preferably, the feature poi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art point, an end point, a branch point, a center point, and a delta, and may be a merge, a loop, a bridge, a cross, , Triangle, Break, Spur, Ladder, Double Break, Break & Merge, Iceland, and more. have.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는 경우, 상기 지문 저장부(520)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포함하는 지문탬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505)는 사용자의 동일한 신체부위를 센싱하는 과정(예컨대, 센서부(505)에 동일한 신체부위를 접촉했다가 접촉 해제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며, 상기 지문 저장부(520)는 상기 반복된 과정에서 반복 추출된 특징점의 합집합을 포함하는 지문탬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registering a fingerprint of a user, the fingerprint storage unit 520 may generate a fingerprint template including the extracted minutiae and store the fingerprint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gister a fingerprint of a user, the sensor unit 505 senses the same part of the user's body (e.g., touching the same part of the body to the sensor unit 505, The fingerprint storage unit 520 may generate a fingerprint template including the union of the minutiae repeatedly extracted in the repeated process and store the fingerprint template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사용자의 지문을 인증하는 경우, 상기 지문 정합부(525)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문탬플릿과 상기 지문 인식부(515)를 통해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정합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특징점의 정합 여부를 확인한 지문 정합 결과를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uthenticating the user's fingerprint,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525 compares the fingerprint template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ith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or not. A fingerprint matching result is generated.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500)는, 땀구멍 인식을 위해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510)는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지정된 센싱 주기 ms(millisecond) 단위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N(N≥3)번 유효 센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는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획득된 N개의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500 includes a recognition data generating unit 500 for reading sensing values of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for recognizing pore holes and generating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ridges and valleys, (530).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510 senses N (N &gt; = 3) times of the body part of the user in units of a predetermined sensing period ms (millisecon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In this case,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can generate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ridges and valleys by reading the sensed values of the N pieces of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510. [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는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융선 상에 포함된 땀구멍에 대응하는 센싱값이 훼손되지 않게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상기 센서부(505)에 구비된 센서의 노이즈(예컨대, 정전식 센서에 인가되는 주파수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보정, 상기 센서부(505)를 통한 센싱 과정에서 발생한 노이즈(예컨대, 센서부(505) 표면의 오염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보정, 상기 센서부(505)에 접근한 신체부위의 오염에 의한 노이즈(예컨대,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신체부위의 수분이나 먼지 등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보정, 상기 센싱 데이터의 상의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의 대비, 대조, 명암 등을 이미지 프로세싱 하는 보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정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함과 동시에 융선 상의 땀구멍에 대응하는 센싱값이 훼손되지 않는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지문 인식부(515)가 평활화, 이진화, 세선화 등의 보정을 수행하여 융선 상의 땀구멍 센싱값까지 훼손하는 반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는 융선 상의 땀구멍 센싱값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센싱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reads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to distinguish the ridge and the valley, and at the same time,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res included in the ridge is undermined And generates the recognition data corrected so as not to be corrected. Preferably, the recognition data generator 530 removes the noise of the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unit 505 (for example, a noise generated by the frequency signal applied to the electrostatic sensor)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ing data (For example, noise caused by contamination on the surface of the sensor unit 505), a correction for removing the noise generated in the sensing process through the sensor unit 505 (For example, noise caused by moisture or dust in the body part contacting with the sensor unit 505) caused by noise from the image data, correction for image processing such as contrast, contrast, and contrast of the ridge area and the bony area on the sensing data By performing at least one or two or more correction procedure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ridges and valleys,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 recognition data in which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res on the ridges is not damaged The. That is, the fingerprint recognizing unit 515 performs smoothing, binarization, thinning, and the like to damage the sensed value of the pore on the ridge, while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ng unit 530 does not damage the sensed value of the pore on the ridge And performs corre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nsing data to generate recognition data.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500)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특이점 식별부(535)와,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는 땀구멍 인식부(54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하는 특징점 확인부(555)를 더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500 includes a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for identifying S (S?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a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A pore recognition part 540 recogniz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s of the S sensing area singularity areas as s pore holes formed in a body part of a user sensed through the sensor part 505, And a feature point checking unit 555 for checking the featur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matching the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의 제1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outlier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or 535 determines the baselin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and uses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area (S &gt; =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can be identified.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통해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하며 땀구멍 센싱값이 훼손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데이터가 생성되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골 영역 중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기저 센싱값은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센서부(505)에 접촉한 신체부위에 대응하는 센싱값, 및/또는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센싱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If at least one piece of recognition data that can distinguish ridges and valleys from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and that does not damage the pore sensing value is generated, the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in the bony region is determined. Here, the base sensing value may be defined as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a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505 of the user's body part, and / or a sensing value serving as a reference for distinguishing a ridge area and a bony area.

본 발명의 제1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can determine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본 발명의 제2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를 지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 별로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신체부위는 2차원 평면구조가 아니라 3차원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신체부위를 2차원 평면구조의 센서부(505)에 접촉하여 센싱할 경우 3차원 구조의 신체부위를 2차원 평면구조의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신체부위의 왜곡이 발생하고 접촉하는 힘의 분배가 신체부위 전반에 고르게 작용하기 난해하므로 상기 인식 데이터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단일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기 난해할 수 있다. 설사 상기 센서부(505)의 기하학적 형상을 3차원 구조의 신체부위와 매칭되도록 제작하더라도 상기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힘의 분배가 항상 고르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인식 데이터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단일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기 난해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를 지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기 분할된 영역 별로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를 격자 구조로 분할하거나, 동심원 구조로 분할하거나, 부채꼴 형태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 별로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divides the recognition data into a designated area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and calculates a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area for each divided area You can decide. The body part contacting the sensor part 505 is not a two-dimensional plane structure but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505 of the two-dimensional planar structure, the body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tacts the sensor part 505 of the two-dimensional planar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 single basis sensing value for the entire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because the distribution of contact forces is difficult to uniformly act on the entire body part. Even if the geometric shape of the sensor unit 505 is made to match with the body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of contacting the body part with the sensor unit 505 is not always uniform, Determining a single baseline sensing value can be daunting. Accordingly,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may divide the recognition data into a designated region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and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for each divided region. For example, the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may divide the recognition data into a grid structure, a concentric circle structure, or a sector shape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for each divided region .

본 발명의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값의 그라데이션 패턴(Gradation Pattern)을 확인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패턴을 근거로 상기 인식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힘의 분배가 항상 고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 많은 힘을 가한 부위와 덜 가한 부위 사이의 센싱값에는 그라데이션 패턴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이러한 센싱값의 그라데이션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패턴을 지정된 개수의 단계로 나누어 이를 기준으로 상기 인식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identifies a gradation pattern of the sensing value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and outputs the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gradation pattern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area can be determined for each area. That is,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of contacting the body part with the sensor part 505 is not always uniform, there is a gradation pattern in the sensing value between the part where the user applies more force and the part where less force is applied.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the gradation pattern of the sensing value, divides the gradation patter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teps, divides the recognition data on the basis of the gradation pattern, and determines a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for each region have.

본 발명의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둘 이상의 방식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may determine a ridge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by partially combining two or more of the first through third basis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s,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egion can be determined.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에 따라 상기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는 실시예는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embodiments for determining the base sensing value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s may be variously provided.

본 발명의 제1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전체 영역 또는 분할된 영역)에 포함된 센싱값 중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역 구별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identifies a specific region (for example, the entire region of the recognition data) of the recognition data by using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s Region or a divided region) of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and may determine the calculated region distinguishing value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본 발명의 제2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센싱값 중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고, 상기 영역 구별값을 지정된 보정 연산식(예컨대, 오차를 보정하는 연산식)에 대입하여 산출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may determine the first base sensing value by using one of the first to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s, (For example, an arithmetic expression for correcting an error) is substituted for a value calculated by dividing the value of the area discrimination value into a base sensing area of the ridge area Value. &Lt; / RTI &gt;

본 발명의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정된 영역의 센싱값 분포가 정규분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정규분포의 평균(m) 또는 상기 평균에서 지정된 표준편차(σ) 내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nsed data included in the specifi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And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region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may be determined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designated area is in the form of a normal distribution, the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a value belonging to the mean (m) of the normal distribution or within the standard devia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본 발명의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지정된 보정 연산식에 대입하여 산출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nsed data included in the specifi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And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area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is substituted into the specified correction equation to determine the calculated value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본 발명의 제5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센싱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nsed data included in the specifi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And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may be determined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본 발명의 제6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센싱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지정된 보정 연산식에 대입하여 산출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the first base sensing value by using one of the first to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s, And calculating the calculated value by substituting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into the specified correction operation equation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본 발명의 제7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6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seven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may modif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s, or partially combine two or more embodiments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can be determin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전체 영역 또는 분할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이 결정되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지정된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은 직경 200um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200um 내지 1500um 간격으로 식별될 수 있다.When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for example, the entire area or the divid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is determined,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use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designated area (S &gt; =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gion. Preferably,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includes a region having a diameter of 200um or less, and may be identified with an interval of 200um to 1500um.

한편 본 발명을 고도화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지정된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 근처에 분포하는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utia matching unit 555 may identify the minutiae of the ridge pattern matching with the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 In this case,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can identify a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distributed near a minutia point on the ridge pattern using the basis sensing value of the designated area.

본 발명의 제1 센싱값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전체 영역 또는 분할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융선 상의 땀구멍에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이 발한된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value identific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section 535 identifies the discrimination data on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specified area (for example, the entire area or the divid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An area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 contrast value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For example, when fine sweat is generated on the ridge-shaped pores as shown in FIG. 3E,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detects an area of the ridge area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Area. &Lt; / RTI &gt;

본 발명의 제2 센싱값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융선 상의 땀구멍에 도면3a 또는 도면3b와 같이 미세 땀이 발한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sensing value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on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an area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 Value can be identified as a singularity domain. For example, when fine sweat is not generated on the ridge-shaped pores as shown in FIG. 3A or FIG. 3B,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detects an area in the ridge area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 And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본 발명의 제3 센싱값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융선 상의 땀구멍에 도면3c와 같이 극소량의 미세 땀이 발한된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sensing value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identifies the third sensing value in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in the area which is less than the pre- A region including a reg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 contrast value may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For example, when a very small amount of fine sweat is generated on the ridge-shaped pores of the ridge as shown in FIG. 3C,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determines that the ridge region has been previously set in the region that is less than the pre- A region including a reg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 contrast value may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본 발명의 제4 센싱값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sensing value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on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A region including an area less than or equal to a '-' contrast value may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본 발명의 제5 센싱값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과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이 서로 연접한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sensing value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on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an area having a value of the '+' A region in which regions having a contrast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value of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본 발명의 제6 센싱값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제1 내지 제5 센싱값 식별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상기 융선 영역 상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sixth sensing value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discriminates the sensed value on the ridge area in the form of partially combining two or more embodiments among the first to fifth sensing value discrimination example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ingularity reg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내지 제6 센싱값 식별 실시예를 통해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이 식별된 경우,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는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한다.If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are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to sixth sensing value identification examples, the pore recognition unit 540 recognizes at least s (3 &amp;le; s &amp;le; S)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are recognized as s pore holes formed in a body part of a user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and the recognized s pore locations are confirmed.

한편 상기 제1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를 고도화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는 상기 확인된 융선 패턴의 특징점 근처 영역에 배치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minutia matching unit 555 may extract the minutiae of the ridge pattern matching with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can confirm. In this case, the porthole recognizing unit 540 recognizes the s sensed value singular point region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minutia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as 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who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And recognize the positions of the recognized s pore holes.

본 발명의 제2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지정된 센싱 주기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N번 유효 센싱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통해 N개의 인식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생성되는 N개의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n<N)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 중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차(Subtraction)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차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art 510 senses the user's body part N times in a sensing period and generates N recognition data through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part 530 , The singularity discriminator 535 matches the ridge and the valley of each of the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to generate the n (1? N <N)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N-1) pieces of difference data containing nth subtrac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n-th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1) -th recognition data, (S &gt; =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of the difference data.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통해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하며 땀구멍 센싱값이 훼손되지 않는 N개의 인식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통해 생성되는 제n(1≤n<N)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N-1)개의 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들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는 제2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1 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3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2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2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4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3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3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When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generates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that can distinguish ridges and valleys and that do not damage the pore sensing value,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recognizes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N + 1) -th recognition data and the ridge and valley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N-1) pieces of difference data are generat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n-th data by subtracting the difference data. For example,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generates first data by subtract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recognition data, and generates second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third recognition data The second cumulative difference data may be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data, and the third cumulative difference data may be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third recognized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fourth recognized dat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51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센서부(505)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 동일한 신체부위를 지정된 ms 단위로 N번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 때 아무리 사용자가 신체부위를 고정시키려고 노력하더라도 센서부(505)에 접촉한 신체부위가 미묘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각각의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차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obtains N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same body part N times in the specified ms while the body part of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505 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tries to fix the body part,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505 can move subtly. The outlier discriminator 535 generates the n-th difference data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by matching the ridge and the valley of each recognition data, Can be corrected.

한편 상기 센싱 처리부(510)가 센서부(505)에 접촉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 단위로 N번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안 아무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시키는 접촉 압력을 동일하게 하려고 노력하더라도 사용자가 센서부(505)에 가하는 접촉 압력은 ms 단위로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신체부위의 융선 패턴이 왜곡될 정도로 접촉 압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되는 신체부위 중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의 센싱값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상기 융선 영역 상에 형성된 땀구멍 영역은 작은 접촉 압력 변화에도 센싱값이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연속해서 획득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할 경우, 상기 제n 차 데이터의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의 센싱값은 ‘0’에 근접한 센싱값을 지니게 되는 반면, 상기 융선 영역 상에 형성된 땀구멍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땀구멍 영역의 센싱값은 피크(Peak) 형태를 이루게 된다.Meanwhile, while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acquires N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505 N times in a specified ms unit, the user can not recognize his or her body part in the sensor unit 505, The contact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o the sensor unit 505 can be changed in units of ms. As long as the contact pressure does not change to such a degree that the ridge pattern of the body part contacting the sensor part 505 is distorted,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and the bony area of the body part sensed by the sensor part 505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but the sensed value of the pore area formed on the ridge area changes greatly even when the contact pressure is small. Therefore, when the sensed value of the n-th recognition data is subtracted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continuously obtained, the sensed value of the ridge area and the bony area of the n- While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a part of the pore area of the pore area formed on the ridge area has a peak shape.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차 데이터 별로 융선 영역 상에 피크 형태로 분포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N-1)개의 차 데이터에서 식별된 각각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의 합집합에 해당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이 많을수록 및/또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체 시간이 길수록 좀더 명확하게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identifies at least on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distributed in a peak shape on the ridge area by the generated (N-1) pieces of difference data, identifies (S &gt; =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union of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respective sensing value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as the N is larger and / or the total time for acquiring the sensing data is longer.

한편 상기 제2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를 고도화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N-1)개의 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 근처에 분포하는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second singular point region identification example, the minutia matching unit 555 may extract the minutiae point of the ridge pattern matching with the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can confirm. In this case,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can identify the sensing value singular point area distributed near the minutia points on the ridge pattern using the (N-1) pieces of difference data.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를 통해 융선 영역(또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 근처 영역)에 분포하는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이 식별된 경우,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는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한다.When the S sensed value singular point regions distributed in the ridge region (or in the vicinity of the minutia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are identified through the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the pore recognition unit 540 identifies the identified S sensed value singularities S (3? S? S) sensing point singularity regions of the region are recognized as 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who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and the recognized s pore positions are confirmed.

한편 상기 제2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를 고도화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는 상기 확인된 융선 패턴의 특징점 근처 영역에 배치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second singular point region identification example, the minutia matching unit 555 may extract the minutiae point of the ridge pattern matching with the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can confirm. In this case, the porthole recognizing unit 540 recognizes the s sensed value singular point region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minutia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as 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who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And recognize the positions of the recognized s pore holes.

본 발명의 제3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510)를 통해 지정된 센싱 주기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N번 유효 센싱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통해 N개의 인식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생성되는 N개의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discrimination region ident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art 510 senses the user's body part N times in a sensing period and generates N recognition data through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part 530 The singularity discriminator 535 matches the ridges and valleys of the generated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and outputs the first recognition data at a sensing value of the (n + 1) (1? N <N) (N-1) cumulative difference data including nth cumulative difference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s from the cumulative difference data, and generates S (n-1) (S &gt; =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통해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하며 땀구멍 센싱값이 훼손되지 않는 N개의 인식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530)를 통해 생성되는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N-1)개의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들어,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제2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1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3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2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4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3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When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generates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that can distinguish ridges and valleys and that do not damage the pore sensing value, the outlier identification unit 535 recognizes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0 (N + 1) -th recognition data by matching the ridge and the valley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N-1) cumulative difference data is generat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n-th cumulative difference data. For example, the outlier discrimination unit 535 generates first accumulated difference data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second recognition data,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second accumulated difference data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data and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zed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fourth recognized data to generate the third accumulated difference dat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51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센서부(505)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 동일한 신체부위를 지정된 ms 단위로 N번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데, 이 때 아무리 사용자가 신체부위를 고정시키려고 노력하더라도 센서부(505)에 접촉한 신체부위가 미묘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각각의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누적 차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obtains N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same body part N times in the specified ms while the body part of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505 At this time, even if the user tries to fix the body part, the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505 can move subtly. The singularity discriminator 535 generates the n-th accumulated difference data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by matching the ridge and the valley of each recognition data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error caused by the motion of the user.

한편 상기 센싱 처리부(510)가 센서부(505)에 접촉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 단위로 N번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안 아무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시키는 접촉 압력을 동일하게 하려고 노력하더라도 사용자가 센서부(505)에 가하는 접촉 압력은 ms 단위로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신체부위의 융선 패턴이 왜곡될 정도로 접촉 압력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되는 신체부위 중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의 센싱값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상기 융선 영역 상에 형성된 땀구멍 영역은 작은 접촉 압력 변화에도 센싱값이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할 경우, 상기 제n 누적 차 데이터의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의 센싱값은 ‘0’에 근접한 센싱값을 지니게 되는 반면, 상기 융선 영역 상에 형성된 땀구멍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땀구멍 영역의 센싱값은 피크(Peak) 형태를 이루게 된다.Meanwhile, while the sensing processing unit 510 acquires N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505 N times in a specified ms unit, the user can not recognize his or her body part in the sensor unit 505, The contact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to the sensor unit 505 can be changed in units of ms. As long as the contact pressure does not change to such a degree that the ridge pattern of the body part contacting the sensor part 505 is distorted,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and the bony area of the body part sensed by the sensor part 505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but the sensed value of the pore area formed on the ridge area changes greatly even when the contact pressure is small. Therefore,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is subtracted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and the bony area of the n-th accumulation difference data has a sensing value close to '0' Whereas the sensing value of at least a part of the pore region of the pore region formed on the ridge region has a peak shape.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데이터 별로 융선 영역 상에 피크 형태로 분포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N-1)개의 누적 차 데이터에서 식별된 각각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의 합집합에 해당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이 많을수록 및/또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전체 시간이 길수록 좀더 명확하게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The outlier discriminator 535 identifies at least one sensed value singularity area distributed in a peak shape on the ridge area by the generated (N-1) accumulated difference data, and the (N-1) (S &gt; = 3)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union of the respectiv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identified in (1).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as the N is larger and / or the total time for acquiring the sensing data is longer.

한편 상기 제3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를 고도화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는 상기 (N-1)개의 누적 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 근처에 분포하는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third singularity region discrimination embodiment, the minutia matching unit 555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minutia matching process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to extract minutiae points of a ridge pattern matching with a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can confirm. In this case, the outlier discriminator 535 can identify the sensed value outlier region distributed near the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using the (N-1) cumulative difference data.

상기 특이점 식별부(535)를 통해 융선 영역(또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 근처 영역)에 분포하는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이 식별된 경우,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는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한다.When the S sensed value singular point regions distributed in the ridge region (or in the vicinity of the minutia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are identified through the singularity identification unit 535, the pore recognition unit 540 identifies the identified S sensed value singularities S (3? S? S) sensing point singularity regions of the region are recognized as 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who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and the recognized s pore positions are confirmed.

한편 상기 제3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를 고도화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는 상기 확인된 융선 패턴의 특징점 근처 영역에 배치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third singularity region discrimination embodiment, the minutia matching unit 555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minutia matching process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to extract minutiae points of a ridge pattern matching with a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can confirm. In this case, the porthole recognizing unit 540 recognizes the s sensed value singular point regions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minutia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as 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who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And recognize the positions of the recognized s pore holes.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500)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하는 특징점 확인부(555)와,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기준점 결정부(545)와, 상기 결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t(3≤t≤s)개의 땀구멍 위치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를 구비하고,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땀구멍 저장부(560)와,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땀구멍 인증부(565)와, 땀구멍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소정의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생체 인증한 결과로 처리하는 인증결과 처리부(57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apparatus 500 includes a minutia matching unit 555 for identifying minutiae of a ridge pattern matching with a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A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 pore of one of the pawl positions of the pawls as a reference point, and pore data including a geometric relationship for at least t (3? T? S) pawl positions based on the determined reference point A pore storage section 560 for storing pore templates including the generated pore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 pore storage section 560 for storing the generated pore template data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A pore hole authentication unit (565) for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ore hole data, and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result including the pore hole authentication result, And an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570 that processes the body part of the body part as a result of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와 연동하여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확인하며(기 확인된 경우 생략),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특징점 확인부(555)를 통해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를 통해 확인된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에 의해 산출될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기준점으로 결정한다.The minutia matching unit 555 checks the minutiae of the ridge pattern matching with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15 , The pore data generating unit 550 generates the pore loca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identified through the pore hole recognizing unit 540 using one or more minutiae identified through the minutia checking unit 555 It is determined as a reference point for the geometric relationship to be calculated.

본 발명의 제1 기준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를 통해 확인된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종류(예컨대, 융선 패턴 상의 시작점, 끝점, 분기점, 중심점, 삼각주(Delta), 머지(Merge), 루프(Loop), 브릿지(Bridge), 크로스(Cross), 트라이앵글(Triangle), 브레이크(Break), 스퍼(Spur), 레더(Ladder), 더블브레이크(Double Break), 브레이크엔머지(Break & Merge), 아이슬란드(Island)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특징점 중 특정한 종류를 근거로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를 통해 확인된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특징점 중 삼각주가 존재한다면 상기 삼각주에 대응하는 융선 상의 땀구멍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reference poi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point determination unit 545 determines a feature point type (e.g., a starting point on a ridge pattern, an end point on a ridge pattern, A branch point, a center point, a delta, a merge, a loop, a bridge, a cross, a triangle, a break, a spur, a ladder, (At least one characteristic point of a double break, a break & merge, and an island), and confirms the pincushion through the porthole recognition unit 540 based on a specific one of the identified minutia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s pore holes as the reference point. For example,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it on the ridge corresponding to the delta as the reference point if a delta among the feature points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exists.

본 발명의 제2 기준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를 통해 확인된 융선 패턴 구조와 상기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 특징점 간의 배치 관계를 근거로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를 통해 확인된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3줄 이상의 융선이 배열된 평행선 구조(또는 특정한 곡률 구조)로 이루어진 융선 패턴 상에 브릿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브릿지에 대응하는 융선 상의 땀구멍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융선 상에 시작점과 분기점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분기점에 대응하는 융선 상의 땀구멍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reference poi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determines the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ridge pattern structure confirm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zing unit 515 and one or more feature points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holes identified through the pore hole recognizing unit 540 as the reference point. For example, when there is a bridge on a ridge pattern composed of a parallel line structure (or a specific curvature structure) having three or more lines of ridges,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ridge on the ridge corresponding to the bridge, It can be determined as a reference point. Or if both the starting point and the turning point exist on one ridge,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idge on the ridge corresponding to the turning point as the reference point.

본 발명의 제3 기준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지문 인식부(515)를 통해 확인된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둘 이상 특징점 간의 배치 관계를 근거로 상기 땀구멍 인식부(540)를 통해 확인된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 간의 배치 관계는 특징점 종류, 특징점 간의 거리 관계, 특징점 간의 각도 관계, 특징점 간의 방향 관계 중 하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시작점, 끝점, 분기점 등이 삼각형 구조로 배치된 경우,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삼각형 배치 관계를 이루는 시작점, 끝점, 분기점 중 상기 분기점에 대응하는 융선 상의 땀구멍 위치를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reference poi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ore recognition unit (e.g., the pore recognition unit) based o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eature points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54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one of the pores of the s pores identified as the reference point. Here,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among the minutiae point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inutiae point type, a distance relation between minutiae points, an angle relation between minutiae points, and a minutiae point direction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starting point, the ending point, the branching point, and the like are arranged in a triangular structure,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ridge pitting on the ridge corresponding to the branching point among the starting point, the ending point, .

본 발명의 제4 기준점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준점 실시예를 적어도 둘 이상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reference poi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determines a position of one of the s pawl positions of the s pawl positions as a reference point in a form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 first to third reference point embodiments are partially combined. .

상기 기준점 결정부(545)를 통해 어느 한 기준점이 결정되면,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는 상기 결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할 적어도 t(3≤t≤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는 상기 확인된 s개의 땀구멍 위치 중에서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된 특징점 위치 근처에 분포한 땀구멍을 상기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할 t개의 땀구멍 위치로 확인할 수 있다.Once a reference point is determined through the reference point determining unit 545, the pore data generating unit 550 determines at least t (3? T? S) pore locations to calculate a geometric relationship based on the determined reference point do. Preferably, the pore data generator 550 can identify the pores distributed near the minutiae point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points out of the identified s number of pore holes by the number of t pore holes to calculate the geometric relationship.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는 상기 결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t개의 땀구멍 위치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re data generator 550 calculates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t pore locations based on the determined reference point. Preferably, the geometric relationship is at least one or more of a dista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e position, an angl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e position, a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pore position and the pore position, and an angl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e position and the pore position Relationship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산출되는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센서부(505)에 대한 좌표값, 좌표거리, 좌표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실측 단위로 환산한 위치, 거리, 각도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동일한 센서부(505)를 통해 동일한 신체부위의 땀구멍을 인식하는 실시예라면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상기 센서부(505)에 대응하는 좌표계를 기준으로 생성되더라도 무방하며, 서로 다른 센서부(505)를 통한 땀구멍 인식을 허용하는 경우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실측 단위로 환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ed geometric relationship may be in the form of a coordinate value, a coordinate distance, a coordinate angle, or the like relative to the sensor unit 505, or may be a shape such as a position, a distance, . &Lt; / RTI &gt; For example, if the pores of the same body region are recognized through the same sensor unit 505, the geometric relationship may be generated based on a coordinate system corresponding to the sensor unit 505, 505, the geometric relationship can be converted into a measurement uni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산출되는 기하학적 관계는 적어도 U(U≥3)개의 유효한 거리 관계(예컨대,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등) 내지 각도 관계(예컨대,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출되는 기하학적 관계가 많은 수록 땀구멍의 기하학적 관계를 매칭할 인증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ed geometric relationship is defined by at least U (U? 3) effective distance relations (for example, a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e position, a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pore position and the pore position, (E.g., an angl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e position, an angle relationship between the pore position and the pore position, and the like). The greater the calculated geometric relationship,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authenticating to matc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s.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는 상기 인식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땀구멍 데이터는 상기 기하학적 관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좌표계 정보,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기준점을 식별하는 기준점 식별정보, 상기 기하학적 관계에 포함되거나 근처에 배치된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 정보,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정보(예컨대, 각종 보정에 의한 오차정보, 센서부(505) 특성에 의한 오차정보, 그라데이션 패턴을 근거로 산출된 오차정보, 센서부(505) 구조와 신체부위의 곡률구조 특성에 의한 오차정보,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하는 접촉압력에 의한 오차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e data generating unit 550 generates pore data including the recognized geometric relationship. Preferably, the pore data basically includes the geometric relationship, and include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geometric relationship, reference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dentifies the reference point of the geometric relationship, minutia information on the ridge pattern included in or near the geometric relationship Error information of the geometric relationship (for example, error information by various corrections, error informatio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 unit 505, error information calculated based on the gradient pattern, a structure of the sensor unit 505 and a curvature structure of the body part Error inform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 error information due to the contact pressure for contacting the body part with the sensor unit 505,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는 상기 사용자의 동일한 신체부위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다시 센싱(예컨대, 사용자의 동일한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했다가 접촉 해제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산출된 유효한 기하학적 관계의 합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U(U≥3)개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toring the pore data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pore data generator 550 repeats the same body part of the user for a specified number of times or more and again senses (for example, (U &gt; = 3) geometric relations corresponding to the union of the calculated effective geometric relationships by repeating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sensor portion 505 with the sensor portion 505 for a specified number of times or more) .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땀구멍 저장부(560)는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땀구멍템플릿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땀구멍템플릿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땀구멍을 인증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예컨대, 땀구멍 인증을 위한 허용 오차정보(예컨대, 기 설정된 설계 상의 허용 오차정보, 상기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오차정보, 상기 설계 상의 허용 오차정보를 상기 산출된 오차정보를 통해 보정한 오차정보 등), 상기 땀구멍을 센싱한 센서부(505)를 식별하는 센서부(505) 식별정보, 상기 땀구멍을 센싱한 센싱 방식을 식별하는 센싱방식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장치 식별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storing the created pore data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he pore storage unit 560 may generate a pore template including the pore data and store the created pore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For example, tolerance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of a pore hole (for example, tolerance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design, information on the tolerance on a predetermined design, information on the shape of the po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Error information obtained by correcting the tolerance information on the design through the calculated error information, etc.),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505 for identifying the sensor unit 505 which senses the pore hole, Sensing metho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ensing metho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는 복수의 기준점 별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땀구멍 저장부(560)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re data is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e pore data generator 550 generates a plurality of pore data including a geometric relation of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The controller 560 may generate a pore template includ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pore data and store the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는 상기 땀구멍 저장부(560)를 통해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을 확인하고, 상기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 중 상기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를 통해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와 동일한 기준점에 대응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상기 확인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uthenticating the generated pore data, the pore hole authentication unit 565 confirms the pore template stored in the storage area designated through the pore storage unit 560, and generates the pore data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created pore data is compared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identified pore template so that the geometric relationship is matched within an allowable error range Authentication.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땀구멍의 기하학적 관계 인증은 아날로그 방식의 확률적 인증이다.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의 기하학적 관계는 항상 일정하지만, 이를 센싱하여 획득한 기하학적 관계(예컨대,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550)를 통해 산출된 거리 관계 및/또는 각도 관계)는 항상 일정하지 않으며, 반드시 오차가 존재하게 된다.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는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도면6의 예시와 같이 기 설정된 확률분포(예컨대, 가우시안 확률분포) 상에서 상기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가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authentication of the pore is an analog type stochastic authenticati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is always constant, but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for example, the distance relation and / or the angle relation calculated through the pore data generation unit 550) obtained by sensing it is not always constant, An error necessarily exists. In consideration of such an error, the porthole authentication unit 565 identifies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of the pore data on a predetermined probability distribution (for example, a Gaussian probability distribution) as shown in FIG. 6 within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and the allowable error range It is preferable to authenticate whether or not it is matched.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할 때마다 센서부(505)에 신체부위를 접촉하는 위치, 방향, 면적, 접촉압력 등은 일정하지 않다. 사용자가 아무리 일정하게 접촉하려고 해도 그렇게 될 수 없다.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는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의 기준점을 기준으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게 좌표 회전한 후, 상기 좌표 회전된 기하학적 관계를 상기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는 상기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를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게 좌표 회전하여 매칭 인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direction, area, contact pressure, etc. of the body part contacting the sensor part 505 each time the user touches his / her body part to the sensor part 505 is not constant. No matter how constantly the user tries to contact, it can not. The pore-hole authentication unit 565 performs coordinate rotation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point of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hole template in consideration of the error, It can be verified that it matches within the allowed tolerance range compared to the geometric relationship.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e-hole authentication unit 565 may perform coordinate matching by match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so as to perform matching authentication.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일한 신체부위를 센서부(505)에 접촉하여 센싱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의 기하학 구조(예컨대, 원형, 타원형, 방추형 등)에 따라 어떤 땀구멍(예컨대, 원형 구조의 땀구멍은 잘 인식되고 다른 어떤 땀구멍(예컨대, 방추형 구조의 땀구멍은 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는 인식률 편차를 고려하여 상기 땀구멍템플릿에 포함된 U(U≥3)개의 기하학적 관계 중 적어도 u(3≤u≤U)개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에 포함된 u개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으며, u개의 기하학적 관계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기하학적 관계가 인증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touches and senses the same body part with the sensor part 505, any pore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pore formed in the body part of the user (e.g., circular, oval, (For example, the pores of the circular structure are well recognized and any other pores (for example, pear-shaped pores in the fusiform structure may not be recognized well.) The porthole authentication unit 565 recognizes the U- U &lt; / = 3) geometric relations among u (3? U? U) geometric relations are matched within a u geometric relationship and a tolerance range included in the generated pore data, and u geometric relations The geometric relationship can be treated as authenticated.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570)는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를 통해 인증된 땀구멍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생체 인증한 결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570)는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를 통해 인증된 땀구멍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소정의 인증 결과와 상기 지문 정합부(525)를 통해 생성된 지문 정합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생체 인증한 결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문의 융선 영역(또는 융선 패턴)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예컨대, ID)으로 이용되고, 상기 땀구멍 데이터는 실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예컨대, PW)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문 정합 결과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상기 땀구멍 인증 결과는 실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570 may generate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including the punched hole authentication result authenticated through the pore hole authentication unit 565 and may process the body part of the user as a result of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Alternatively,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570 may combine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result including the punched hole authentication result authenticated through the pore hole authentication unit 565 and the fingerprint matching result generated through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525, A final authentication result for the body part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505 may be generated and the body part of the user may be processed as a result of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dge area (or ridge pattern) of the fingerprint is used as identification means (e.g., ID)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pore data is authenticated by an authentication means ). &Lt; / RTI &gt; Alternatively, the fingerprint matching result may be used as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pore hole authentication may be used as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that the user is an actual user.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땀구멍 인증 결과와 지문 정합 결과를 조합하여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570)는 상기 지문 정합부(525)를 통해 지문의 융선 패턴이 정합 성공하고 상기 땀구멍 인증부(565)를 기하학적 관계가 지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생체 인증 성공한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러하지 않은 경우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570)는 상기 생성된 최종 인증 결과를 지정된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지정된 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pore authentication result and the fingerprint matching result,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570 determines that the ridge pattern of the fingerprint matches through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525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in which the body part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is successfully authenticated when the authentication unit 565 succeeds and the geometric relationship is matched within the tolerance range specified by the porthole authentication unit 565, Otherwise,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failure can be generate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570 may output the gener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through the designated means or provide the design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through the designated path.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기하학적 관계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geometric relation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땀구멍 간의 거리 관계에 대한 확률분포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기하학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 illustrates a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distance relation between pores, and it is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FIG. 6 to determine the geometric relationship While various embodiments may be deduc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면6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땀구멍(a)와 땀구멍(b)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땀구멍(a)와 땀구멍(b) 사이의 실제 거리는 D이다. 그러나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하여 인식된 땀구멍(a)와 땀구멍(b) 간의 거리는 D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허용 오차 σ를 적용하여 센서부(505)를 통해 센싱하여 인식된 땀구멍(a)와 땀구멍(b) 간의 거리가 D1 내지 D2라면,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된 것으로 인증한다.6, the actual distance between the pore a and the pore b is D when the pore a and the pore b are formed on the body part of the user as shown in Fig. However, the distance between the recognized pore (a) and the pore (b)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may not coincide with 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tolerance σ to authenticate that the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505 is matched within an allowable error range, if the distance between recognized pore a and pore b is D1 to D2.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땀구멍을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pore ho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505)를 이용하여 획득된 센싱 데이터의 지문 인식 및 인증 과정과 연동하여 땀구멍을 인식 및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땀구멍 인식 및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7 shows a process of recognizing and authenticating a pore hole in conjunction with a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of sensing data obtained using a sensor unit 505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7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pore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sequen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땀구멍을 인식하는 장치(500)는 센서부(505)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700). 상기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장치(500)는 지정된 지문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를 가공 및 판독하여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추출한다(705). 만약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는 경우라면, 상기 장치(500)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대응하는 지문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710). 한편 사용자의 지문을 인증하는 경우라면, 상기 장치(5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문템플릿을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정합 여부를 확인하고(715), 그 결과에 대응하는 지문 정합 결과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7, an apparatus 500 for recognizing a p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specific body part of a user through a sensor of a sensor unit 505 (700). When the sensing data is obtained, the device 500 processes and reads the sensed data according to a specified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 to extract minutia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705). If the user's fingerprint is registered, the device 500 generates a fingerprint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eature point and stores the generated fingerprint template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710). On the other hand, if the fingerprint of the user is to be authenticated, the device 500 compares the extracted fingerprint templat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ith the extracted minutiae to check whether the fingerprint is matched (715), and generates a fingerprint matching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esult do.

본 발명의 땀구멍 인식 및 인증 과정은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 및 인증 과정과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지문 인식 및 인증 과정과 다중화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장치(500)는 상기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하며 땀구멍 센싱값을 훼손하지 않는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725).The pore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 specified sequence or may be performed by multiplexing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When the sensed data is obtained, the device 500 reads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ed data to generate recognition data that can discriminate ridges and valleys and does not compromise the pore sensing value (step 725).

상기 장치(5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특이점 영역 식별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실시예에 따라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성 영역 상에 분포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고(730), 상기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s개의 땀구멍으로 인식하여 이에 대응하는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한다(735). The apparatus 50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the first to third outlier region identific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 sensing values (730), recognizing at least s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S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as s pore holes, and identifying the positions of the corresponding s pore holes (735).

상기 장치(500)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과 매칭되는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기준점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고(740), 상기 결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t(3≤t≤s)개의 땀구멍 위치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산출한다(745).The apparatus 500 identifies one or more minutiae points present on a ridge pattern matching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and identifies one or more minutiae points identified according to the first through fourth reference poi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40), and a geometric relationship with at least t (3? T? S) pore positions is calculated (745) based on the determined reference point using any one of the s pore positions as a reference point.

만약 상기 기하학적 관계가 산출되면, 상기 장치(500)는 상기 산출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한다(750).If the geometric relationship is calculated, the apparatus 500 generates pore data including the calculated geometric relationship (750).

만약 땀구멍을 등록하는 경우라면, 상기 장치(500)는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750).If the pores are to be registered, the apparatus 500 generates a pore template including the created pore data and stores the pore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750).

한편 땀구멍을 인증하는 경우라면, 상기 장치(5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을 통해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와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된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한다(76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장치(500)는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상기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게 좌표 화전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할 수 있다(760). 상기 장치(500)는 상기 땀구멍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인증한 땀구멍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765).On the other hand, if the pores are authenticated, the device 500 compares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pre-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through the pore templat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RTI ID = 0.0 &gt; (760). &Lt; / RTI &g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500 can coordinate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to match the pore data within the tolerance range (760) . The apparatus 500 generates the pore hole authentication result in which the pore data is authenticated using the pore template (765).

상기 장치(500)는 상기 지문 정합 결과와 상기 땀구멍 인증 결과를 결합하여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하거나(770), 또는 상기 땀구멍 인증 결과를 포함하는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장치(500)는 상기 생성된 최종 인증 결과를 출력하거나 지정된 경로로 제공한다(775).The apparatus 500 may generate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770) by combining the fingerprint matching result and the pore authentication result, or may generate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including the pore authentication result. The device 500 outputs the gener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or provides it to the designated path (775).

500 : 장치 505 : 센서부
510 : 센싱 처리부 515 : 지문 인식부
520 : 지문 저장부 525 : 지문 정합부
530 : 인식 데이터 생성부 535 : 특이점 식별부
540 : 땀구멍 인식부 545 : 기준점 결정부
550 : 땀구멍 데이터 생성부 555 : 특징점 확인부
560 : 땀구멍 저장부 565 : 땀구멍 인증부
570 : 인증결과 처리부
500: Apparatus 505: Sensor unit
510: sensing processing unit 515: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520: fingerprint storage unit 525: fingerprint registration unit
530: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535:
540: pore recognition part 545: reference point determination part
550: pore data generator 555: minutia point checker
560: pore storage part 565: pore authentication part
570: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Claims (21)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를 구비한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지문의 융선(Ridge)과 골(Valley)을 구별 가능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단계;
상기 인식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문 융선 패턴 구조 상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고 지문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한 적어도 s(s≥3)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제2 단계;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결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t(3≤t≤s)개의 땀구멍 위치에 대한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a method through an apparatus having a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A first step of generating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criminating a ridge and a valley of a fingerprint by reading a sensed value of the sensed data when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is obtained through the sensor unit;
A second step of identifying at least one feature point extracted on the fingerprint ridge pattern structure using the recognition data and identifying at least s (s? 3) pore locations distributed on the fingerprint ridge area;
A third step of determining one of the s pore locations as a reference point using the identified one or more feature points;
A fourth step of generating pore data including a geometric relationship with at least t (3? T? S) pore positions based on the determined reference point; And
A pore template including the created pore data is generated and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r a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is compared with a geometric relationship of pore template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to determine whether the pore template is matched within a tolerance rang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50μm 이하의 분해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es are formed with a resolution of 50 μ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정전용량을 센싱하는 정전식 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ectrostatic sensor for sensing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은,
융선 패턴 상의 시작점, 끝점, 분기점, 중심점, 삼각주(Delta), 머지(Merge), 루프(Loop), 브릿지(Bridge), 크로스(Cross), 트라이앵글(Triangle), 브레이크(Break), 스퍼(Spur), 레더(Ladder), 더블브레이크(Double Break), 브레이크엔머지(Break & Merge), 아이슬란드(Island) 중 적어도 하나의 특징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Delta, Merge, Loop, Bridge, Cross, Triangle, Break, Spur, etc. on the ridge pattern, and the start point, the end point, the bifurcation point, the center point, the delta, , A ladder, a double break, a break & merge, and an island. &Lt; RTI ID = 0.0 &gt; 11. &lt; / RTI &g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으로 인식하여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a base sensing value for a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Identifying S (S?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using the basis sensing value; And
Recogniz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identified S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a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region sensed by the sensor section to identify s pore positions Wherein the pore pattern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N(N≥2)번 센싱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n<N)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 중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차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으로 인식하여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p includes generating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in which a body part of a user is sensed N (N? 2) times in a specified ms (millisecond)
The second step comprises:
(N + 1) -th recognition data among the n < th &g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Generating (N-1) pieces of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ncluding n-th difference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n-1)
Identifying S (S?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of the generated (N-1)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Recogniz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identified S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a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region sensed by the sensor section to identify s pore positions Wherein the pore pattern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N(N≥2)번 센싱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과 골을 매칭시켜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상기 센서부를 통해 센싱된 신체부위에 형성된 땀구멍으로 인식하여 s개의 땀구멍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p includes generating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in which a body part of a user is sensed N (N? 2) times in a specified ms (millisecond)
The second step comprises:
(N + 1) (1? N <N)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Generating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hat includes (N-1)
Identifying S (S?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of the generated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Recogniz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identified S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as pore holes formed in the body region sensed by the sensor section to identify s pore positions Wherein the pore pattern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은,
직경 200um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5, 6, or 7,
And a region having a diameter of 200um or less.
제 5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은,
200um 내지 1500um 간격으로 식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5, 6, or 7,
Wherein the pores are identified at intervals of 200 to 1500 u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특징점 종류를 근거로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as a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characteristic point types present on the ridge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융선 패턴 구조와 상기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 특징점의 배치 관계를 근거로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as a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ridge pattern structure and one or more feature points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융선 패턴 상에 존재하는 둘 이상 특징점 간의 배치 관계를 근거로 상기 s개의 땀구멍 위치 중 어느 한 땀구멍 위치를 기준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ing a position of one of the s pore locations as a reference point based on a layout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feature points existing on the ridge pattern.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간의 배치 관계는,
특징점 종류, 특징점 간의 거리 관계, 특징점 간의 각도 관계, 특징점 간의 방향 관계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A distance relation between minutiae points, an angle relation between minutiae points, and a minutiae point relationshi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개의 땀구멍 위치는,
상기 기준점으로 결정된 특징점 위치 근처에 분포한 땀구멍 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osition of the pore hole distributed near the feature point position determined by the reference poi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기준점과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거리 관계,
땀구멍 위치와 땀구멍 위치 사이의 각도 관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A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e position,
An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pore position,
A distance relation between the pore position and the pore position,
And an angle relationship between a pore position and a pore position of the pore hole.
제 1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관계는,
적어도 U(U≥3)개의 유효한 거리 관계 내지 각도 관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 or 15,
Wherein at least U (U? 3) number of effective distance relationships or angular relationships are inclu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땀구멍 데이터는,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좌표계 정보,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기준점을 식별하는 기준점 식별정보, 상기 기하학적 관계에 포함되거나 근처에 배치된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 정보, 상기 기하학적 관계의 오차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geometric relationship, reference po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dentifying a reference point of the geometric relationship, minutia information on a ridge pattern included in or near the geometric relationship, and error information of the geometric relationship Wherein the pore pattern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동일한 신체부위를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여 다시 센싱하여 산출된 유효한 기하학적 관계의 합집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U(U≥3)개의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n storing the pore data,
And generating pore data including at least U (U? 3) geometric relationships corresponding to a union of the calculated effective geometric relationships by repeatedly sensing the same body part of the user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method compri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상기 제4 단계는, 복수의 기준점 별 기하학적 관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땀구멍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생성된 복수의 땀구멍 데이터를 포함하는 땀구멍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storing the pore data,
The fourth step includes generating a plurality of pore data including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pecific geometric relationships,
Wherein the fifth step includes generating a pore template contain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pore data and storing the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를 상기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매칭되게 좌표 회전하는 단계; 및
상기 좌표 회전된 기하학적 관계를 땀구멍템플릿의 기하학적 관계와 비교하여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In the case of authenticating the pore data,
Rotating the generated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data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to coordinate with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And
And comparing the coordinate rotated geometric relationship with a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 template to verify that the geometric relationship is matched within a tolerance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땀구멍 데이터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땀구멍템플릿에 포함된 U(U≥3)개의 기하학적 관계 중 적어도 u(3≤u≤U)개의 기하학적 관계가 상기 생성된 땀구멍 데이터의 기하학적 관계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땀구멍 패턴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In the case of authenticating the pore data,
Authenticating whether at least u (3? U? U) geometric relations among the U (U? 3) geometric relations included in the pore template match within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generated pore data and the tolerance range;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50166379A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KR201700614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79A KR20170061405A (en)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79A KR20170061405A (en)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405A true KR20170061405A (en) 2017-06-05

Family

ID=59223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79A KR20170061405A (en)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40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7642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biometric authentication server, biometric authentication client,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WO2012127630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program
KR20170081176A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using stitch and cut
KR20080011344A (en)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WO20180733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ctless biometric authentication
Lee et al. Secure user identification for consumer electronics devices
KR20170061405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KR20170061399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Pattern of Sweat Pore
KR20170077995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Fingerprint of Real Living Body by using Sweat Pore and Micro Sweat
JP6056577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apparatus,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computer program
KR20170061358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Sweat Pore
KR20170061347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Sweat Pore
KR20170061350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Sweat Pore by using Subtraction Recognition
KR20170061354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Sweat Pore by using Accumulated Subtraction Recognition
KR20170061428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443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100716743B1 (en)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Adjusting Authentication Reference Level Based on The Number Of Enrolled Fingerprint
Zainon et al. Master and child key generation from palm vein
KR20170077982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Fingerprint of Real Living Body by using a Different Sensor
KR20170077988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Fingerprint of Real Living Body by using Skin Impedance
KR20170077991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Fingerprint of Real Living Body by using Impedance Spectroscopy
KR20170061406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389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388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413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Swe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