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388A -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388A
KR20170061388A KR1020150166340A KR20150166340A KR20170061388A KR 20170061388 A KR20170061388 A KR 20170061388A KR 1020150166340 A KR1020150166340 A KR 1020150166340A KR 20150166340 A KR20150166340 A KR 20150166340A KR 20170061388 A KR20170061388 A KR 20170061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ensing
region
ridge
recogni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훈
정성훈
이섬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주식회사 리얼아이덴티티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50166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388A/en
Publication of KR20170061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3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K9/0009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2
    • G06K9/00033
    • G06K9/00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 발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를 구비한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유효 센싱한 N(N≥2)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Ridge)과 골(Valley)을 구별 가능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땀구멍 위치를 인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식 데이터 중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킨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성 영역 상에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living body sweating, and 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living body swe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executed through an apparatus having a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N &gt; = 2) sensed data obtained in units of milliseconds (N &lt; 2 &gt;) and sensing sensed values of the sensed data to obtain N (N + 1) (1 &amp;le; 1) of the recognition data, (n + 1) -th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portholes with the sensed values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ccumu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the (N-1) And a sixth step of identify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in which 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has been generated, and authenticating the actual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Description

생체 발한 인증 방법{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ertifying Living Body Sweating,

본 발명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를 이용하여 지문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N(N≥2)번 유효 센싱하여 생성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지문 융선 상의 땀구멍 위치를 기준으로 매칭시켜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상에 발생한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fingerprint of a body portion of a user including fingerprints by N (N &gt; = 2) valid sensing units in ms (millisecond) (N-1) pieces of data including n-th accumulated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n + 1)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singularity area generat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s discriminated and authenticated by the actual living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최근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에 지문모듈을 내장하여 각종 보안이 요구되는 동작이나 서비스에 지문 인식을 이용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지문은 다른 생체에 비해 인식 과정이 편리하여 앞으로도 활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With the recent activation of smart phones, a fingerprint module is embedded in a smart phone, and fingerprint recognition is used for operations or services requiring various security. It is expected that fingerprints will be more useful in the future than other living bodies because recognition process is convenient.

한편 지문 인식이 편리한 만큼 위변조의 가능성도 용이한 편이다.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통해 지문을 모사하여 지문 인식을 시도할 경우, 종래에 제안된 지문 인식 기술로는 이러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 매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예를들어, 인체의 표피 조성에 매우 유사한 구미(Gummi)를 이용하여 지문을 모사할 경우 종래의 지문 인식 기술을 통해 이러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는 매우 난해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fingerprint recognition is convenient, the possibility of forgery is easy. When fingerprint recognition is attempted by simulating fingerprints through materials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epidermis of a human body, the conventional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has a very difficult problem to exclude such simulated fingerprints. For example, when fingerprints are simulated using Gummi, which is very similar to the skin composition of the human body, it is very difficult to exclude such simulated fingerprints through conventional fingerprint recognition technology.

이러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 2000-123143호, 일본특허공개 평10-302047호, 일본특허공개 2000-194848호, 일본특허공개 2000-172833호 등이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51659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Examples of techniques for excluding such simulated fingerprints includ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00-123143, 10-302047, 2000-194848, and 2000-172833, 10-2005-0051659 and the like.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2000-123143호나 일본특허공개 평10-302047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피검체의 전류치, 정전 용량, 전기 저항 등에 의해 피검체가 생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이용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 난해하고, 일본특허공개 평1O-370295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정전식 센서가 반응하는지의 여부에 의해서 위조 지문을 판정하고, 일본특허공개 2000-172833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전기적 특성인 임피던스의 주파수 특성에 의해서 위조 지문을 판정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이용한 모사 지문을 배제하기 난해하다. 한편 한국특허공개 제10-2005-0051659호에서는 지문을 스윕 방식을 스캔할 때 땀의 존재유무를 이용하여 생체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나, 역시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에 물을 묻혀 인식 시도할 경우 이를 배제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123143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02047,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ubject is a living body by the current value of the subject, the capacitance, the electric resistance, , It is difficult to exclude a simulated fingerprint using a substance having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0-370295, a counterfeit fingerprint is judge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electrostatic sensor responds. 2000-172833, it is difficult to exclude a simulated fingerprint using materials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the skin of a human being, because the forgery fingerprint is judged by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impedance, which is an electrical characteristic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051659 discloses a method of detecting a living body by us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weat when scanning a sweep method of a fingerprint. However, in the case of a substance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skin of a human body It is difficult to exclude water if it is attempted to recognize i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유효 센싱한 N(N≥2)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땀구멍 위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데이터 중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성 영역 상에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 is to acquire N (N &gt; = 2) sensed data obtained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in a specified millisecond unit through a sensor unit to discriminate ridges and valleys (N + 1) (1 &lt; n &lt; N) recognition data among the recognition data and recognizes a position of a pore existing in a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generated, (N-1) cumulative accumulation recognition data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N-1) pieces of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generat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data in which 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generated on a losing area of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data among the To determine that the area has a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that authenticates a perspiration actual living body perspiration of the part of the body to provide.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를 구비한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유효 센싱한 N(N≥2)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Ridge)과 골(Valley)을 구별 가능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땀구멍 위치를 인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인식 데이터 중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킨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성 영역 상에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living body balan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executed by a device including a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wherein N (N &gt; A second step of acquiring 2 sensing data of the sensed data and reading out the sensed value of each sensed data to generate N recognition data distinguishable from a ridge and a valley; A third step of recognizing a position of a pore present in a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to be generated; a third step of matching the first recognition data of the recognition data and the pore positions of the (n + 1) (N + 1) -th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porthole N-1) dogs (N-1) pieces of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 fifth step of generating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singularity And a sixth step of authenticating the real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by discriminating an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에서 임의의 시간부터 ms 단위로 사용자 신체부위를 유효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thenticating a living body, comprising the steps of: checking a contact state of a user's body part through the sensor unit; And starting to acquire the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 중 임의의 시간 이후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유효 센싱 데이터로 획득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henticating a living body part,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in units of ms; And acquiring the sensed data as effective sensing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유효 센싱하는 중에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해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해제 확인 시 상기 신체부위를 유효 센싱을 개시한 시점부터 생체 발한을 인증하기 위해 설정된 최소 센싱 시간을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최소 센싱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생체 발한 인증 과정을 종료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ing body sweating authent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s of: confirming the release of contact of the body part during effective sensing of the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in units of m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minimum sensing time set for authenticating the body fluids has elapsed since the start of effective sensing of a body part; and performing a procedure for ending the body fluids authentication procedure when the minimum sensing time has not elapsed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유효 센싱 개시한 시점부터 경과한 센싱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센싱 시간이 생체 발한을 인증하기 위해 설정된 최대 센싱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 센싱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신체부위의 유효 센싱을 중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s of: confirming a sensing time that has elapsed from a point in time at which valid sensing of the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is started in units of ms; Checking whether the maximum sensing time set for authentication is exceeded, and performing a procedure for stopping effective sensing of the body part when the maximum sensing time is excee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과 골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구별 가능하게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과 골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구별 가능하게 보정함과 동시에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배치된 땀구멍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훼손하지 않게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 가능하게 센싱값들의 대조, 명암,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에 의한 노이즈,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과정의 노이즈,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신체부위의 오염에 의한 노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를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ep may include generating recognition data in which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 region and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bony region are distinguishably corrected. Meanwhile, in the second step,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 region and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 region are discriminately corrected, and the sens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re disposed on the ridge region is corrected so as not to be damaged And generating the data. Meanwhile, the second step may include generating recognition data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trast, the contrast, and the saturation of the sensing values is corrected so that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Meanwhile, in the second step,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correcting at least one noise among noise due to a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unit, noise during a sensing process through the sensor unit, and noise due to contamination of a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And a step of generating the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는 제3a 단계와, 상기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제3b 단계와,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s개의 땀구멍 위치로 인식하는 제3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고, 상기 영역 구별값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평균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과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이 서로 연접한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cting a crosstal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a base sensing value of a ridge area included in each generated recognition data; (3? S? S) of the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identified S sensed value singularity regions as s positions of pore holes, Step &lt; / RTI &gt; Meanwhile, the step 3a may include a step of calculating an area discrimination value distinguishing the ridge area and the bony area and determining the discrimination value as the ridge area sensing value. Meanwhile, the step 3a may include calculating a region distinguishing value for distinguishing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and correcting the region discrimination value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Meanwhile, the step 3a may include calculating a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ridge region and determining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region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as the ridge region sensing value. The step a) may include calculating a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ridge region, and correcting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region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Meanwhile, the step 3a may include calculating a sensing value average of the ridge area and determining the sensed value as the ridge area sensing value. The step a) may include calculating a sensing value average of the ridge area and correcting the sensed value average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Meanwhile, the step (3b) may include identifying a region on the ridge region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Meanwhile, the step 3b may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an area of the ridge area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Meanwhile, the step 3b includes the step of identifying a region including a region which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 contrast value in an area of the ridge region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 Meanwhile, the step 3b includes the step of identifying an area including a region which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 contrast value in an area of the ridge area whic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 Meanwhile, the step 3b includes a step of identifying,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an area in which the area of the ridge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 contrast value and the predetermined '-' can do.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s(s≥3)개의 땀구멍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근거로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may include the steps of: confirming a geometric relationship formed by s (s? 3) pores existing in the ridge region of each recognition data; determining, based 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s, (N + 1) -th recognition data with the position of the por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기준으로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s(s≥3)개의 땀구멍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근거로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includes the steps of: identifying the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comparing the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with the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Identifying a geometric relationship formed by the existing s (s? 3) pores; and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pores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with the first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s .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과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매칭시키는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보정계수를 기반으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method includes calculating a correction coefficient for matching a base sensing value for a ridge region of the (n + 1) recognition data with a base sensing value for a ridge region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N + 1) -th recognition data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correction coefficient, can do.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상기 생성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누적 차 인식값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method further includes calculating an average of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s for the ridge region of the generat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o determine an accumulated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of the ridge region, The sixth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and authenticating the actual body swallowing of the body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 방법은, 상기 생성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누적 차 인식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누적 차 인식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metho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calculating an accumulated difference recognition value distribution for the ridge area of the generat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a value belonging to the specified distribution area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 distribution, Recogniz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threshold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And authenticating with actual biofeedback.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융선 영역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상기 발한 인증은 실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dge area is used as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swallow authentication can be used as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that the user is an actual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인식 및 정합 과정을 통해 식별된 지문이 실제 사용자 본인의 신체부위를 센싱하여 획득된 것인지 인증함으로써, 인체의 표피와 유사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물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모사하더라도 살아있는 사용자에게서만 생체적으로 반응하는 생체 발한 인증하여 모든 종류의 지문 모사 및 위변조에 의한 해킹 위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uthenticating whether a fingerprint identified through a fingerprint recognition and matching process is obtained by sensing a body part of an actual user, it is possible to use a substance having physic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skin of a human body, Even if the fingerprints are cop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ll types of fingerprints are simulated and the threat of hacking by forgery and falsification is originally blocked.

본 발명에 따르면, 생체 발한을 인증하기 위해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를 센싱하는 동안 센서부에 접촉한 신체부위가 움직이거나 접촉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정밀하게 생체 발한을 인증하여 모든 종류의 지문 모사 및 위변조에 의한 해킹 위협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uthenticate a living body sweating, even when a body part in contact with a sensor part moves or a contact pressure changes while sensing a user's body part through a sensor part, the living body sweating is accurately authenticated, The threat of hacking by the original has the advantage of blocking.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정합을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하고, 생체 발한을 실제 사용자의 지문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지문을 통해 식별과 인증을 동시에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are simultaneously provided through a single fingerprint by using fingerprint matching as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a user and using biometric perspiration as an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fingerprint of an actual user.

도 1은 인체에 형성된 땀샘에 대한 피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광학 촬영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지문의 융선에 형성된 땀구멍의 미세 발한을 광학 촬영한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인체의 발한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도 6b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생체 발한을 인증하는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생체 발한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skin against sweat glands formed on a human body;
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image of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FIGS. 3A to 3F are diagrams showing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Figs. 4A and 4B are views showing images obtained by optically photographing fine swellings of pores formed in a ridge of a fingerprint. Fig.
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sweating patterns of the human body.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sensing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living body swe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a living body swe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In other words, the following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s omitted, or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steps), or an embodiment that incorporates functions implemented in more than one configuration (or step)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 a particular configuration (or step)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subsets or combination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subdivided based on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인체에 형성된 땀샘에 대한 피부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skin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the sweat glands formed on the human body.

인체의 땀샘(Sweat Gland)은 에크린 땀샘과 아포크린 땀샘의 두 종류가 있다. 아포크린 땀샘은 털이나 피지 샘과 함께 형성되는 땀샘으로 겨드랑이, 바깥귀길(외이도), 눈꺼풀 등에 분포하며, 에크린 땀샘은 신체의 귀두부, 소음순, 손발톱을 제외한 피부의 전반에 분포하는 땀샘이다. 그 중에서도 에크린 땀샘은 주로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 이마의 피부 등에 많이 분포한다. 각 땀샘에서 생성된 땀은 땀관을 따라 이동하여 땀구멍을 통해 발한되며, 땀관의 크기는 대략 머리카락 굵기의 50분의 1 크기(약 50um~70um)로 사람마다 차이가 존재한다.There are two types of sweat glands in the human body: eccrine sweat glands and apocrine sweat glands. Apocrine sweat glands are sweat glands that are formed with hair and sebaceous glands. They are distributed in the armpits, outer ear (outer ear canal), eyelids, etc., and the eczrine sweat glands are sweat glands distributed throughout the skin except the glans part of the body, Among them, eccrine sweat gland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palms, soles, underarms, and forehead skin. The sweat produced from each sweat gland migrates along the sweat glands and persists through the pores. The size of the sweat glands is about 50 time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air (about 50 to 70 um).

도면2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광학 촬영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illustrating an optical image of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인체의 신체부위 중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에는 땀샘의 위치를 따라 지문의 융선(Ridge)이 형성되고, 융선과 융선 사이에 골(Valley)이 형성된다. 즉, 지문의 융선이란 손가락이나 발가락 등에 형성된 땀샘을 따라 피부가 융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문의 융선에는 주로 에크린 땀샘이 분포하나, 일부의 경우 아포크린 땀샘이 일부 형성될 수도 있다.Ridges of the fingerprint are formed along the positions of the sweat glands in fingers or toes of the body parts of the human body, and valleys are formed between ridges and ridges. That is, the ridge of the fingerprint is a ridge of the skin along the sweat glands formed on the finger or the toe. Some rinse sweat glands are distributed mainly in ridge of fingerprints, but some of apocrine glands may be formed.

남성의 경우 융선 간 거리는 200μm 내지 850μm 간격으로 형성되며 평균 거리는 대략 460μm 정도로 측정되며, 여성의 경우 융선 간 거리는 200μm 내지 750μm 간격으로 형성되며 평균 거리를 대략 410μm 정도로 측정되고 있다. 또한 땀구멍 간 거리는 200μm 내지 1500μm 간격으로 형성되며 평균 거리는 830μm 정도로 측정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수치는 평균적 통계 수치이고 실제 거리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Male ridges are formed at intervals of 200 μm to 850 μm and average distances are measured at about 460 μm. In the case of females, ridges are formed at intervals of 200 μm to 750 μm, and the average distance is measured to be about 410 μm. Also, the distance between pores is formed at intervals of 200 mu m to 1500 mu m, and the average distance is measured to be about 830 mu m. However, the above figures are average statistics and the actual distance may vary from person to person.

도면3a 내지 도면3f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에 대한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3A to 3F are views showing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ridges, bones, and pores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a 내지 도면3f는 인체의 지문을 위로 향했을 때의 단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지문의 융선 상에 형성되는 땀구멍은 원형, 타원형, 방추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땀구멍의 단면은 분화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분화구의 직경은 200μm 이내이다. In more detail, FIGS. 3A to 3F show a short structure when the fingerprint of the human body is directed upward. The pores formed on the ridge of the fingerprin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elliptical, and fusiform,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pores has a crater shape.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crater is within 200 占 퐉.

땀샘에서 생성된 땀이 발한되기 시작하면, 상기 땀샘에서 생성된 땀은 도면3b와 같이 땀관을 따라 이동하며,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되어 먼저 땀구멍의 분화구를 채운다. 본 발명의 정의에 따르면,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되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는 상태의 땀을 “미세 땀(Micro Sweat)”이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정의에 따르면 미세 땀은 1μL 이하로 발한된 땀으로 정의할 수 있다. When the sweat produced in the sweat glands starts to swell, the sweat produced in the sweat glands moves along the sweat gang as shown in FIG. 3b, and sweats as shown in FIGS. 3c to 3e to fill the craters of the swallow gang first.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weat which is sweated and is held in the crater of the pore hole as shown in Figs. 3c to 3e is defined as &quot; micro sweat &quot;. According to another defi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ne sweat can be defined as perspiration sweating less than 1 μL.

만약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 미세 땀이 발한된 상태에서 땀샘에서 생성된 땀이 더 발한되면, 도면3f와 같이 발한된 땀은 땀구멍의 분화구를 넘쳐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3f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를 넘쳐 흐르는 땀을 “젖은 땀”이라고 정의한다. 바람직하게, 젖은 땀은 먼저 융선을 따라 흐르고, 이후 골 방향으로 넘쳐 흐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땀을 흘린다”라는 표현의 땀은 젖은 땀을 의미한다.If the sweat generated in the sweat glands is further sweated in the sweated minute sweat state as shown in FIGS. 3c to 3e, the sweated sweat flows over the crater of the sweat hole as shown in FIG. 3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sweat flowing over a crater of a pore as "wet sweat" as shown in FIG. 3f. Preferably, the wet sweat first flows along the ridge and then overflows in the bone direction. Usually, the expression "sweat" means wet sweat.

한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특별한 발한유도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발한된 미세 땀이 도면3f와 같은 젖은 땀으로 성장하는 경우는 이례적이다. 인체에는 1㎠ 당 약 500~900개의 땀구멍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는데, 이 중 일부의 땀구멍에서 매우 불규칙하게 도면3c 내지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을 발한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미세 땀은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다가 소멸할 뿐, 특별한 발한유도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도면3f와 같이 젖은 땀으로 성장하는 경우는 드물다. 본 발명의 정의에 따르면,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다가 소멸하는 미세 땀의 발한을 “미세 발한”으로 정의한다. 즉, 본 발명에서 미세 발한이란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땀구멍의 분화구에 고여있다가 젖은 땀으로 성장하지 않고 소멸하는 형태의 발한으로 정의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nt, it is unusual for the perspirated fine sweat to grow as the wet sweat as shown in FIG. 3f, as shown in FIGS. 3c to 3e, unless a specific perspiration induction situation occurs. In the human body, about 500 to 900 pores are arranged irregularly per 1 cm 2. In some of these pores, fine sweat is generated irregularly as shown in FIGS. 3c to 3e. However, most of the fine sweat is only accumulated in the crater of the pore,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FIG. 3e, and disappears, and it is rare to grow wet sweat as shown in FIG. 3f unless a special sweat induction situation occur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iration of fine sweat which is present in the crater of a pore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3e is defined as &quot; fine sweating &quo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sweating can be defined as sweating in the form of being swollen in the crater of the pore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FIG. 3e and then disappearing without growing with wet sweat.

또한 출원인의 거듭된 실험에 의하면, 미세 발한은 매우 불규칙하게 발생(즉, 어느 땀구멍에서 발한하는지 예측 불가능)하며, 일부 미세 발한의 경우 ms(millisecond) 단위로 도면3b에서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을 발한했다가 다시 도면3b와 같이 미세 땀이 소멸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미세 땀이 도면3b에서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ms 단위로 발한했다가 도면3b와 같이 소멸하는 이유는, 극소량 이하로 발한된 극소량의 미세 땀이 발한과 동시에 증발하거나 또는 극소량 발한된 미세 땀이 어떤 생체반응에 의해 도면3b의 상태로 흡한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한편 다른 일부 미세 발한의 경우 도면3b에서 도면3c 또는 도면3d 또는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을 발한한 상태를 일정 시간(예컨대, ms 단위 내지 1초) 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던 미세 땀도 특별한 발한유도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대부분 도면3b의 상태로 소멸하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던 미세 땀 중 극히 일부만 젖은 땀으로 성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peated experiments of the applicant, it has been found that microscopic sweating occurs very irregularly (that is, unpredictable in which pores it swells) and in some milligrams, in milliseconds, in figures 3b to 3c or 3d or 3e As shown in FIG. 3B, and then the fine perspiration disappears as shown in FIG. 3B. The reason why the fine perspiration persists in ms units as shown in FIG. 3B, FIG. 3C, FIG. 3D or FIG. 3E and then disappears as shown in FIG. 3B is because very small amount of fine perspiration sweated in a very small amount or less evaporates at the same time, It is assumed that the fine sweat is sucked into the state of FIG. 3b by a certain biological re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me other minute sweating,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weating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ms units to one second) as shown in FIG. 3C, FIG. 3D or FIG. However, the fine sweat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s mostly extinguished to the state of FIG. 3b unless a specific perspiration induction state occur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only a part of the fine sweat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grows as wet sweat.

도면4a와 도면4b는 지문의 융선에 형성된 땀구멍의 미세 발한을 광학 촬영한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FIGS. 4A and 4B are views showing images obtained by optically photographing fine swellings of pores formed in a ridge of a fingerprint. FIG.

보다 구체적으로 본 도면4a와 도면4b는 미세 발한을 광학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500ms(0.5초) 단위로 광학 접사 촬영한 영상이다. 참고로 도면4a와 도면4b 사이에는 어떠한 발한유도도 없었다.More specifically, FIGS. 4A and 4B are optical close-up images taken in units of 500 ms (0.5 second) so as to optically discriminate fine sweating. For reference, there was no sweating induction between Figures 4a and 4b.

도면4a와 도면4b의 파란색 사각형 영역을 비교하면, 도면4a에서 미발한 상태였던 땀구멍은 ms 단위로 미세 발한하여 도면4b와 같이 ms 단위로 미세 발한된 미세 땀을 확인할 수 있다.Comparing the blue square area in FIGS. 4a and 4b, the pores in the pores in FIG. 4a are fine-grained in units of ms, and fine sweat fine-sweated in ms units can be identified as shown in FIG. 4b.

한편 도면4a와 도면4b의 노란색 사각형 영역을 비교하면, 도면4a에서 미세 발한한 상태인 미세 땀은 ms를 경과한 후에도 도면4b와 같이 그대로 미세 땀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4A and FIG. 4B, it can be seen that the fine sweat in a state of fine sweating in FIG. 4A maintains fine sweat as shown in FIG. 4B even after the lapse of ms.

한편 도면4a와 도면4b의 녹색 사각형 영역을 비교하면, 도면4a에서 미세 발한되어 있던 미세 땀은 ms를 경과한 후에 도면4b와 같이 소멸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comparing the green square areas in FIGS. 4A and 4B, it can be seen that the fine sweat which has been slightly sweated in FIG. 4A has disappeared as shown in FIG. 4B after lapse of ms.

도면5a 내지 도면5c는 인체의 발한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5A to 5C are diagrams showing sweating patterns of the human body.

보다 상세하게 도면5a는 ms 단위로 발한했다가 소멸하는 미세 땀의 발한 배턴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5b는 일정 시간 유지되었다가 소멸하는 미세 땀의 발한 배턴을 도시한 것이고, 도면5c는 젖은 땀으로 성장 가능한 발한 배턴을 도시한 것이다.5B shows sweating baton of fine sweat which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FIG. 5C shows sweat baton of fine sweat which persists after sweating in units of ms. Fig. And a sweating baton capable of growing.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인체의 땀샘에서 생성된 땀을 발한하는 경우 도면5a 내지 도면5c와 같이 발한 초기에 ms 단위로 급격하게 특정 양의 땀을 발한하는 패턴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지문의 융선에 형성된 땀구멍의 땀관을 통해 미세 땀을 발한하는 경우에도 도면5a 내지 도면5c와 같은 패턴을 지닌다.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applicant, it was confirmed that when a sweat generated from sweat glands of a human body is sweated, there is a pattern sweating a specific amount of sweat rapidly in ms units at the beginning of sweating as shown in Figs. 5A to 5C. In particular, even when fine sweat persists through sweat pores of pores formed in a ridge of a fingerprint, it has a pattern as shown in Figs. 5A to 5C.

도면5a는 인체의 땀샘에서 생성된 땀을 ms 단위로 미세 발한했다가 ms 단위로 소멸하는 미세 땀의 발한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5a를 참조하면 미세 땀의 발한은 발한 초기에 ms 단위로 급격하게 발생하는 반면, 그 소멸은 발한보다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땀관을 통해 미세 발한한 미세 땀이 증발하거나 흡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발한 시간보다 더디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5A shows a sweating pattern of fine sweat which persists the sweat generated in the sweat glands of the human body in minute increments and disappears in ms units. Referring to FIG. 5a, sweating of fine sweat was observed to occur rapidly in ms units at the beginning of sweating, whereas sweating of sweating occurred more slowly than sweating. This is because the time required for evaporation or sweating of the fine sweat through the sweatpin is slower than the sweating time.

도면5b는 미세 발한한 상태를 일정 시간(예컨대, ms 단위 내지 1초) 이상 유지하는 미세 발한의 발한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5b를 참조하면 미세 땀의 발한은 발한 초기와 ms 단위로 급격하게 발생하며, 땀구멍에 땀을 수용하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된다. 이 때 미세 땀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것은 땀관을 통해 땀을 발한하는 현상이 멈춘 것이 아니라(만약 땀관을 통한 발한이 멈추면 도면5a와 유사한 발한 패턴을 지니게 된다), 도면5a와 같은 발한 과정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도면5b의 발한 패턴은 도면5a와 같은 발한 패턴이 주기적으로 지속됨에 의해 이전 주기에 발한되어 땀구멍에 수용됨과 동시에 증발하거나 흡한되면서 땀구멍에 남아 있는 땀의 양과 다음 번 주기에 도면5a와 같이 발한된 땀의 양을 합한 양이 해당 땀구멍의 수용 공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된다. 만약 어느 순간 땀관을 통한 발한이 멈출 경우, 해당 미세 땀은 도면5a의 소멸 패턴과 유사하게 소멸하게 된다.FIG. 5b shows a sweating pattern of fine sweating which keeps a minute sweating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ms units to one second) or more. Referring to FIG. 5B, sweating of fine sweat occurs rapidly in the unit of ms in early stage of sweating, and the time for accommodating sweat in the sweat hol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is case, the fine perspira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at is, the sweating phenomenon is not stopped through the sweatpin (if sweating through the sweatpin stops, the sweating pattern is similar to that of FIG. 5a) It seems to be continuing. The sweating pattern shown in FIG. 5B is sweated in the previous period due to the perspiration pattern periodically shown in FIG. 5A, and is accommodated in the sweat pores and evaporated or swollen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perspiration remaining in the sweat pores, It is judged that the sum of the amounts of sweat produced does not exceed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pores. If sweating through the sweatpipe is stopped at any moment, the fine sweat will disappear similar to the disappearing pattern of FIG. 5a.

도면5c는 미세 땀에서 젖은 땀으로 성장 가능한 미세 발한의 발한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5c를 참조하면 미세 땀의 발한은 발한 초기와 ms 단위로 급격하게 발생하며, 도면5b와 유사하게 땀구멍에 땀을 수용하고 있는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5a와 같은 발한 과정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다가 땀구멍에 수용된 땀의 양이 해당 땀구멍에 수용 가능한 부피를 초과하는 순간 해당 땀은 젖은 땀이 되어 융선을 따라 흐르거나 또는 골로 흐르게 된다.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땀구멍에 수용되어 있던 미세 땀이 젖은 땀으로 성장하는 경우 미세 땀 상태에서 ms 단위로 갑자기 젖은 땀이 되어 흐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땀관을 통해 발한된 땀이 서서히 땀구멍을 채워지면서 젖은 땀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도면5a와 같은 발한 패턴을 반복하는 중에 어느 주기에 땀관을 통해 발한된 땀의 양과 해당 땀구멍에 남아 있던 땀의 양이 해당 땀구멍에서 수용 가능한 부피를 초과하는 순간 갑작스럽게 젖은 땀이 되어 흐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5c shows a sweating pattern of fine sweating which can be grown by wet sweat from fine sweat. Referring to FIG. 5c, sweating of micro-sweat occurs sharply at the beginning of sweating and in units of ms. Similar to FIG. 5b, the sweating time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The sweating process seems to be continuing. Then, as soon as the amount of sweat contained in the pores exceeds the acceptable volume of the pores, the sweat becomes wet sweat and flows along the ridges or flows into the bone. According to the applicant's experiment, when the fine sweat contained in the pore grew by wet sweat, it was confirmed that the sweat swelled suddenly in ms in the state of fine sweat. This is because the perspiration sweated through the sweat pipe is gradually filled with the sweat pores and does not grow as wet sweat. Instead of repeating the sweating pattern as shown in Fig. 5a, the amount of perspiration sweated through the sweatpin during the period and the amount of perspiration It is judged that the sweat flows suddenly when it exceeds the acceptable volume in the corresponding pores.

한편 도면5a 내지 도면5c의 발한 패턴은 미세 땀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미발한 상태에서 바로 젖은 땀을 발한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확인하였다. 즉, 인체에서 발한되는 땀이 미세 땀인지 젖은 땀인지 구분하는 기준은 땀관을 통해 ms 단위로 급격하게 발한되는 땀의 양이 해당 땀구멍의 수용 공간보다 적은지 또는 큰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인체에서 발한(특히 지문의 융선에 형성된 땀구멍에서 발한)되는 모든 땀은 도면5a 내지 도면5c와 같이 발한 초기에 ms 단위로 급격하게 특정 양의 땀을 발한하는 발한 패턴을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sweating patterns shown in Figs. 5A to 5C are not limited to fine sweat, but are equally applicable to sweating wet sweat immediately in an untreated state. That is,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whether the sweat sweating from the human body is fine sweat or wet sweat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sweat amount sweating rapidly in ms units through the sweat pipe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pores, (Particularly sweating in the pore formed in the ridge of the fingerprint) has sweating pattern that rapidly sweats a certain amount of sweat in ms at the beginning of sweating as shown in Figs. 5a to 5c.

따라서 도면5a 내지 도면5c와 같이 발한 초기에 ms 단위로 급격하게 발한하는 발한 패턴은 인체의 땀구멍을 통해 발한하는 인체 발한의 고유한 특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S. 5A to 5C, the sweating pattern rapidly sweating in units of ms in the early stage of sweating can be defined as a unique feature of sweating through the pores of the human body.

도면6a와 도면6b는 인체의 지문에 형성된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sensing a ridge, a bone, and a pore formed in a fingerprint of a human body.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a는 정전용량을 센싱하는 정전식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705)를 이용하여 도면3a의 지문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면6b는 상기 정전식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705)를 이용하여 도면3d의 지문 융선과 골 및 땀구멍을 센싱하는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6a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sensing fingerprint ridges, valleys and pores in Fig. 3a using a sensor unit 705 having an electrostatic sensor for sensing capacitance, Fig. 6b is a cross- And a fingerprint ridge, a bone and a pore of the finger in Fig. 3d are sensed using a sensor unit 705 having an expression sensor.

도면6a와 도면6b를 참조하면, 지문의 융선과 골 및 땀구멍 중 융선은 센서부(705)와 접촉(또는 근접)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상기 융선에 대하여 인체의 정전용량에 가장 근접한 센싱값을 획득한다. 한편 상기 융선과 비교하여 상기 골은 센서부(705)와 일정 간격 이상 이격되어 근접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상기 골에 대하여 상기 융선의 정전용량과 충분히 대비되는 정전용량의 센싱값을 획득한다. 이러한 융선과 골의 센싱값 대비에 의해 상기 센서부(705)는 지문의 융선을 상호 구별 가능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A and 6B, the ridges of ridges, bones, and pores of the fingerprint contact (or come close to) the sensor unit 705. Therefore, when the sensor unit 705 is made of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acquires a sensing value closest to the capacitance of the human body with respect to the ridge. On the other hand, as compared with the ridge, the ridge is spaced apart from the sensor unit 70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herefore, when the sensor unit 705 is made of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acquires a sensing value of a capacitance sufficiently contrasted with the capacitance of the ridge with respect to the valley. The sensor unit 705 can acquire sensing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ridges of fingerprints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nsed values of ridges and bones.

한편 상기 융선 상에는 평균 거리 830um 정도의 간격으로 직경 200um 내외의 분화구 형태의 땀구멍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직경 200um 내외의 땀구멍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상기 센서부(705)의 센서 분해능(예컨대, 센서부(705)에 구비된 정전식 센서 1픽셀의 크기)는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분해능이 50μm 이하인 경우에 상기 센서부(705)는 적어도 하나 내지 4개의 센서를 통해 상기 땀구멍을 유효하게 센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rater-like por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200 μm are irregularly arranged at an interval of about 830 μm on the ridge. Therefore, in order to sense por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200 μm, the sensor resolution of the sensor unit 705 (for example, the size of one pixel of the electrostatic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unit 705) is preferably 50 μm or less. When the sensor resolution is 50 μm or less, the sensor unit 705 can effectively sense the pores through at least one to four sensors.

도면6a와 같이 땀이 발한되지 않은 미발한 상태의 경우, 지문 융선 상의 땀구멍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도면6a의 땀구멍에 대하여 상기 융선의 센싱값과 골의 센싱값 사이의 센싱값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in an untreated state where sweat does not swell, a void is formed in the pore on the fingerprint ridge. Therefore, when the sensor unit 705 is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can obtain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a sensing value between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lative to the pore of FIG. 6A.

도면6b와 같이 미세 땀이 발한된 경우, 상기 발한된 땀 속에는 염분과 아미노산, 세포 등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상기 땀의 정전용량은 인체의 정전용량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705)가 정전식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정전식 센서는 도면6a의 땀구멍에 대하여 상기 융선의 센싱값 보다 큰 정전용량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획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when perspiration of fine sweat occurs, the perspiration sweat contains salt, amino acid, cell, etc., and thus the electrostatic capacity of the perspiration may be larger than the electrostatic capacity of the human body. Therefore, when the sensor unit 705 is made of an electrostatic sensor, the electrostatic sensor can obtain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a capacitance larger than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with respect to the pore of FIG. 6A.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생체 발한을 인증하는 장치(7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700 for authenticating living body swe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705)를 이용하여 지문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N(N≥2)번 유효 센싱하여 생성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지문 융선 상의 땀구멍 위치를 기준으로 매칭시켜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상에 발생한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장치(7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장치(700)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ore specifically,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N sensing areas generated by sensing a body part of a user including a fingerprint by N (N &gt; = 2) times in units of a specified ms (millisecond) using a sensor part 705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N + 1) (1? N <N) recognition data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N-1) pieces of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hat are generated on the (N-1) pieces of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authenticates the actual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apparatus 700 (e.g.,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fragmented, or combined) may be referred to and / Would be chuhal,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ny exemplary way in which the inference,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method shown in the figure 7.

본 발명의 장치(700)는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705)를 이용하여 지문의 융선 상에 형성된 땀구멍을 통한 생체 발한을 인증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각종 장치 형태, 각종 장치에 탑재되는 모듈(또는 칩) 형태, 각종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포함하는 분산 시스템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evice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vely refers to a configuration for authenticating living body sweating through a pore formed on a ridge of a fingerprint using a sensor unit 705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Or a chip) type, a distributed system including various devices and servers on a network, or the lik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7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치(7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노트북, PC 등), 인식장치, 인증장치, 도어락장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도면7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는 각 장치에 탑재되는 H/W 형태나 S/W 형태 또는 그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various apparatuses used by a user. For example, the device 7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erminal (e.g.,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otebook PC, etc.), a recognition device, an authentication device, a door lock device, 7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 / W, S / W, or a combination thereof mounted on each devic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7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장치에 탑재되는 모듈(또는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치(7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 인식장치, 인증장치, 도어락장치 등의 각종 장치에 내장되는 모듈(또는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도면7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는 상기 모듈(또는 칩)에 탑재되는 H/W 형태나 S/W 형태 또는 그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본 도면7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 중 일부는 모듈(또는 칩) 측에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모듈(또는 칩)을 탑재한 장치 측에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or a chip) mounted on various apparatuses used by a user. For example, the device 7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odule (or chip) embedd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erminal, a recognition device, an authentication device, a door lock device, etc. used by a user, The configu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H / W or S / W or a combination thereof mounted on the module (or chip).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some of the functional components shown in FIG. And the other part may be implemented on the device side on which the module (or chip) is mount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7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분산 구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장치(7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 인식장치, 인증장치, 도어락장치 등의 각종 장치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도면7에 도시된 기능 구성부 중 일부는 상기 장치 측에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tributedly implemented through various devices used by users and servers on the network. For example, the device 700 may include various devices such as a terminal, a recognition device, an authentication device, a door lock device, and the like, which are used by the user, and a server on the network. And other parts may be implemented in a server on the network.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치(7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장치(700)를 구현하는 방식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기능 구성 상 청구범위에 속한 기능을 구현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of partially combining two or more embodiments among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of implementing the device 700 or the embodiment,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unctions included in the claims are implemented in any form of function.

본 발명의 장치(700)는 H/W적으로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705)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부(705)는 정전식 센서, 광학 센서, 초음파 센서 등, 지문을 인식 가능한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무방하며, 현존하는 센서는 물론, 추후 제안/개량되는 어떠한 센서라도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라면 본 발명의 센서부(705)로 이용 가능하고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정전용량을 센싱하는 정전식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705)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정전식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apparatus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705 capable of sensing fingerprints in a hardware manner. The sensor unit 705 may be any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 fingerprint, such as an electrostatic sensor, an optical sensor, an ultrasonic sensor, or the like. If the sensor 705 is a sensor capable of sensing fingerprints, It is clear that the sensor portion 70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vailable and belongs to the scope of the right.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an embodiment using a sensor unit 705 having an electrostatic sensor for sensing a capacitance. However, it should be clear th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y no means limited to the manner in which electrostatic sensors are us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705)는 50μm 이하의 분해능(예컨대, 정전식 센서 1픽셀의 크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705 preferably has a resolution of 50 μm or less (for example, one pixel of the electrostatic sensor).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700)는,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사용자의 지정된 특정한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유효 센싱한 N(N≥2)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싱 처리부(71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지문 인식부(715)와,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대응하는 지문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지문 저장부(720)와, 지정된 저장영역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지문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인증하는 지문 정합부(725)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715), 지문 저장부(720) 및 지문 정합부(72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Referring to FIG. 7, the apparatus 700 acquires N (N? 2) sensed data obtained by sensing a specified specific body part of a user in units of a specified ms (millisecond) through the sensor unit 705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that includes a sensing processing unit 710 and extracts minutiae points on a ridge pattern corresponding to a user's fingerprint using the sensed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ngerprint matching unit 725 for authenticat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using a fingerprint template of a user previously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Meanwhile,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the fingerprint storage unit 720, and the fingerprint registration unit 725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센서부(705)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 단위로 센싱한 N(N≥2)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예를들어,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100ms(=0.1초) 단위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100ms보다 작은 단위(예컨대, 50ms, 20ms, 10ms 등)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또는 100ms보다 큰 단위(예컨대, 200ms 등)로 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705)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센싱하는 주기는 상기 장치(700)(또는 센서부(705))의 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acquires N (N &gt; = 2)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user's body part in a specified ms unit through the sensor of the sensor unit 705. For example,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may acquire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in units of 100 ms (= 0.1 second), and may acquire sensing data in units smaller than 100 ms (for example, 50 ms, 20 ms, Etc.) or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in a unit larger than 100 ms (for example, 200 ms) can be obtained. That is, the period of sensing the body part of the user through the sensor of the sensor part 705 can be various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700 (or the sensor part 7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센서부(705)에 접촉하고 있는 동안 동일한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N번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픽셀로 이루어진 이미지 형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센싱 데이터의 1픽셀은 5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rocessor 710 obtains N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same body part N times in ms while the body part of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705. Preferably, the sensing processor 710 acquires image sensing data of pixels. It is preferable that one pixel of the sensing data is 50 mu m or less.

본 발명의 제1 센싱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부위의 접촉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지정된 ms 단위로 유효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confirms the contact state of the user's body part through the sensor unit 705, and when the contact of the user's body part is confirmed, 705 to acquire N sensed data that have been effectively sensed in units of ms.

한편 통상적으로 지문을 모사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한 반면, 땀구멍까지 모사하는 것은 매우 난해하고, 모사한 땀구멍을 통해 생체 발한까지 모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함에도 미래의 누군가 타인의 지문과 땀구멍까지 모사하고 고가의 제어장비를 이용하여 모사된 땀구멍을 통해 생체 발한까지 모사하려는 시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is relatively easy to copy fingerprints on the other han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replicate the pores, an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simulate the sweating through the simulated pores. Even so, someone in the future can try to simulate the fingerprints and pores of others and simulate vital sweats through the simulated pores using expensive control equipment.

본 발명의 제2 센싱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에서 바로 센싱 개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을 확인한 상태에서 불특정한 임의의 시간부터 ms 단위로 사용자 신체부위를 유효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 개시함으로써, 생체 발한까지 모사하려는 시도마저도 원천 배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ond sen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confirms the contact state of the user's body part through the sensor unit 705, and does not start sensing immediately in the contact state of the body part,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source from attempting to simulate the body sweating by starting to acquire the sensed data in which the user's body part is sensed effective in ms units from an unspecified arbitrary time while checking the contact of the body part.

본 발명의 제3 센싱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센서부(705)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되, 상기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 중 불특정한 임의의 시간 이후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유효 센싱 데이터로 획득 개시함으로써, 생체 발한까지 모사하려는 시도마저도 원천 배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sen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confirms the contact state of the user's body part through the sensor unit 705, and detects the user's body part contacting the sensor unit 705 in units of ms And sensing data sensed from an unspecified arbitrary time in the sensed sensing data is acquired as effective sensing data, so that even an attempt to simulate living body sweating can be excluded.

본 발명의 제4 센싱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 방식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방식을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지정된 ms 단위로 유효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sen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may combine at least two of the first to third sensing methods to acquire N sensed data, have.

한편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센서부(705)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유효 센싱하는 중에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해제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해제가 확인된 경우,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신체부위를 유효 센싱을 개시한 시점부터 생체 발한을 인증하기 위해 설정된 최소 센싱 시간(예컨대, 500ms, 1초, 2초 등)을 경과했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최소 센싱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이 해제된 경우,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본 발명에 따른 생체 발한 인증 과정을 종료(예컨대, 강제 중지, 오류 처리 등)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오인식을 배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contact of the body part is released during effective sensing of the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705 in units of m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part is released from the contact, the sensing processor 710 sets the minimum sensing time (for example, 500 ms, 1 second, 2 seconds Etc.) has elapsed. If the contact of the body part is released in a state where the minimum sensing time has not elapsed, the sensing processor 710 terminates the biofeedback authent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forcible stop, error processing, etc.) , It is possible to exclude unintended misrecognition.

또는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센서부(705)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유효 센싱 개시한 시점부터 경과한 센싱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센싱 시간이 생체 발한을 인증하기 위해 설정된 최대 센싱 시간(예컨대, 500ms, 1초, 2초 등)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유효 센싱 시간이 상기 설정된 최대 센싱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센싱 처리부(710)는 상기 신체부위의 유효 센싱을 중지(예컨대, 센싱 중지 또는 센싱 데이터 무시)하는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생체 발한까지 모사하려는 시도를 더욱더 원천 배제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2 또는 제3 센싱 방식에서 유효 센싱을 개시한 임의의 시점이 신체부위 접촉 후 250ms 이후이고 상기 최대 센싱 시간이 500ms인 경우, 사용자가 센서부(705)에 신체부위를 아무리 오래 접촉하고 있더라도 실제 유효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시간은 신체부위 접촉 후 250ms~750ms 뿐이므로, 생체 발한 모사 시도를 더욱더 난해하게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may check the elapsed sensing time from the time when valid sensing is started in ms units of the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705, and the confirmed sensing time may be used to authenticate the living body sweating (For example, 500 ms, 1 second, 2 seconds, etc.). If the effective sensing time exceeds the set maximum sensing time,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stops the sensing of the body part (for example, stops the sensing or ignores the sensing data) You can exclude more and more attempts to simulate. For example, if the time at which the effective sensing is started in the second or third sensing method is 250 ms after the contact of the body part and the maximum sensing time is 500 ms, the user can not recognize the body part in the sensor part 705 Even if the user is in contact for a long time, the time for acquiring the actual effective sensing data is only 250 ms to 750 ms after the contact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attempt of simulating living body sweating can be more difficult.

한편 상기 지문 인식부(715)는 지정된 지문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센싱 처리부(710)를 통해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전처리 가능하게 보정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지문 인식부(715)는 상기 센싱 처리부(710)를 통해 획득되는 N개의 센싱 데이터 중 어느 한 센싱 데이터에 대하여 지문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N개의 센싱 데이터에 지문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부(715)는 상기 센싱 처리부(710)를 통해 획득되는 센싱 데이터에 대해 평활화(Smoothing)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평활화 절차를 통해 센싱 과정의 노이즈가 제거된다. Meanwhile,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performs a process of preprocessing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according to a specified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may apply a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 to any one of N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710 and may apply a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 to the N sensed data It is possible. Preferabl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performs a smoothing process on th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 unit 710, and the noise in the sensing process is removed through the smoothing process.

상기 지문 인식부(715)는 상기 센싱 처리부(710)를 통해 획득되거나 상기 보정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전처리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문 인식부(715)는 상기 획득/보정된 센싱 데이터에 대한 이진화(Binarization) 절차와 세선화(Thining) 절차 및 방향성 추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이진화 절차는 센싱 데이터 상의 융선 부분과 골 부분을 흑백으로 구별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세선화 절차는 이진화된 센싱 데이터 상에서 융선의 폭을 지정된 기준 픽셀(예컨대, 1픽셀)의 선으로 구별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상기 방향성 추출 절차는 이진화 내지 세선화 처리된 센싱 데이터의 전체 영역 내에서 융선(예컨대, 세선)이 지닌 상대적인 방향을 추출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performs a preprocessing procedure for reading the corrected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 Preferably,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performs a binarization process, a thinning process, and a directionality extraction process for the acquired / corrected sensing data. The binarization procedure includes a procedure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ridge portion and a valley portion on the sensing data in black and white. The thinning procedure includes a process of distinguishing the width of the ridge on the binarized sensing data by a line of a specified reference pixel (e.g., one pixel). The directional extraction procedure includes a procedure of extracting a relative direction of a ridge (e.g., a thin line) within the entire area of the binarized or thinned sensing data.

상기 지문 인식부(715)는 상기 전처리된 센싱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특징점은 시작점, 끝점, 분기점, 중심점, 삼각주(Delta)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머지(Merge), 루프(Loop), 브릿지(Bridge), 크로스(Cross), 트라이앵글(Triangle), 브레이크(Break), 스퍼(Spur), 레더(Ladder), 더블브레이크(Double Break), 브레이크엔머지(Break & Merge), 아이슬란드(Island) 등의 다양한 특징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reads the preprocessed sensing data and performs a process of extracting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included in the sensing data. Preferably, the feature poin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art point, an end point, a branch point, a center point, and a delta, and may be a merge, a loop, a bridge, a cross, , Triangle, Break, Spur, Ladder, Double Break, Break & Merge, Iceland, and more. have.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는 경우, 상기 지문 저장부(720)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포함하는 지문탬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705)는 사용자의 동일한 신체부위를 센싱하는 과정(예컨대, 센서부(705)에 동일한 신체부위를 접촉했다가 접촉 해제하는 과정)을 지정된 횟수 이상 반복하며, 상기 지문 저장부(720)는 상기 반복된 과정에서 반복 추출된 특징점의 합집합을 포함하는 지문탬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user's fingerprint is registered, the fingerprint storage unit 720 may generate a fingerprint template including the extracted feature points and store the fingerprint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gister a fingerprint of a user, the sensor unit 705 senses the same part of the user's body (e.g., touches the same part of the body to the sensor unit 705, The fingerprint storage unit 720 may generate a fingerprint template including the union of the minutiae repeatedly extracted in the repeated process and store the fingerprint template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한편 사용자의 지문을 인증하는 경우, 상기 지문 정합부(725)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문탬플릿과 상기 지문 인식부(715)를 통해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정합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특징점의 정합 여부를 확인한 지문 정합 결과를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uthenticating the user's fingerprint,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725 compares the fingerprint templat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ith the extracted minutiae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to check whether they match or not, A fingerprint matching result is generated.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700)는, 상기 센싱 처리부(710)를 통해 획득된 각각의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와,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땀구멍 위치를 인식하는 데이터 판독부(735)와, 상기 인식 데이터 중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매칭 처리부(740)와, 상기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킨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와,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생체 발한 인증부(750)를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실제 생체 인증한 결과를 처리하는 인증결과 처리부(75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the apparatus 700 includes a recognition data generating unit 730 for generating sensed data by reading sensed values of respective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A data reading unit 735 for recognizing a position of a pore existing in a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to be generated; and a data reading unit 735 for reading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N + 1) -th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porthole,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ng units 745 for generating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ncluding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he ridge region of the difference data And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specified in the body part identification result, and authenticating the actual body part sweating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body part authentication part And an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755 for processing the authentication result.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는 상기 센싱 처리부(710)를 통해 N개의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는 과정과 연동하여 상기 센싱 처리부(710)를 통해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reads the sensing value of each sensing data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in cooperation with the process of acquiring N sensing data through the sensing processing unit 710, And generates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본 발명의 제1 인식 데이터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는 상기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과 골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구별 가능하게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recognition data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reads the sensed value of each sensed data to acquire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 region and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bony reg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discrimination data which can be discriminated and corrected.

본 발명의 제2 인식 데이터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는 상기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과 골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구별 가능하게 보정함과 동시에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배치된 땀구멍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훼손하지 않게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recognition data gen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reads the sensed value of each sensed data to obtain a sens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d region and a sensed value corresponding to the target region The recognition data corrected so as to be distinguishable and corrected so as not to damage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res arranged on the ridge area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의 제3 인식 데이터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는 상기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 가능하게 센싱값들의 대조, 명암,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recognition data genera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ng unit 730 reads the sensed value of each sensed data to acquire the contrast of the sensed values, And the saturation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의 제4 인식 데이터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는 상기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상기 센서부(705)에 구비된 센서의 노이즈(예컨대, 정전식 센서에 인가되는 주파수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상기 센서부(705)를 통한 센싱 과정에서 발생한 노이즈(예컨대, 센서부(705) 표면의 오염에 의한 노이즈), 상기 센서부(705)에 접근한 신체부위의 오염에 의한 노이즈(예컨대, 센서부(705)에 접촉하는 신체부위의 수분이나 먼지 등에 의한 노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를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reads the sensed value of each sensed data to acquire noise of the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705 (For example, noise due to 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the sensor unit 705) generated in the sensing process through the sensor unit 705, and noise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705 It is possible to generate recognition data by correcting at least one of noise caused by contamination of the approaching body part (e.g., noise due to moisture or dust in the body part contacting the sensor part 705).

본 발명의 제5 인식 데이터 생성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인식 데이터 생성 실시예를 둘 이상 조합한 형태로 보정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지문 인식부(715)가 평활화, 이진화, 세선화 등의 보정을 수행하여 융선 상의 땀구멍 센싱값까지 훼손하고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데 집중하는 반면,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는 융선 상의 땀구멍 센싱값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센싱 데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보정을 수행하여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According to the fifth recognition data gener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can generate the recognition data corrected 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recognition data generation embodiments. That is,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performs correction such as smoothing, binarization, thinning, etc. to concentrate on extracting the minutia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and undermining the sensing value of the ridge pores on the ridge, while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The recognition data is generated by performing corre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sensing data without damaging the pore sensing value on the ridge.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가 상기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또는 생성된 후)에,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를 통해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땀구멍 위치를 인식한다.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out the recognition data generated by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from the ridge region of each recognition data generated through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pores present in the paw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고, 상기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s개의 땀구멍 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determines a basis sensing value of a ridge area included in each recognition data generated, and calculates a S sensed value S (S?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and then recogniz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identified S sensing singularity singularity regions as s pore positions.

본 발명의 제1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영역 구별값을 보정 연산(예컨대, 오차를 보정하는 연산식)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determine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by calculating a region distinguishing value for distinguishing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ethod, the data reading unit 735 can determine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by correcting the area discrimination value (for example, an arithmetic expression for correcting the error).

본 발명의 제2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정된 영역의 센싱값 분포가 정규분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정규분포의 평균(m) 또는 상기 평균에서 지정된 표준편차(σ) 내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calculate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ridge region, and may calculate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region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It can be determined as a sensing value.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correct the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area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to determine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designated area is a normal distribu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a value belonging to the average (m) of the normal distribution or the standard devia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본 발명의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센싱값 평균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calculate the sensing value average of the ridge region and determine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Meanwhile,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correct the sensing value average to determine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according to the method.

본 발명의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를 지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 영역 별로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센서부(705)에 접촉하는 신체부위는 2차원 평면구조가 아니라 3차원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신체부위를 2차원 평면구조의 센서부(705)에 접촉하여 센싱할 경우 3차원 구조의 신체부위를 2차원 평면구조의 센서부(705)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신체부위의 왜곡이 발생하고 접촉하는 힘의 분배가 신체부위 전반에 고르게 작용하기 난해하므로 상기 인식 데이터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단일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기 난해할 수 있다. 설사 상기 센서부(705)의 기하학적 형상을 3차원 구조의 신체부위와 매칭되도록 제작하더라도 상기 신체부위를 센서부(705)에 접촉하는 힘의 분배가 항상 고르지 않기 때문에 상기 인식 데이터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단일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기 난해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를 지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기 분할된 영역 별로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를 격자 구조로 분할하거나, 동심원 구조로 분할하거나, 부채꼴 형태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영역 별로 상기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는데, 이 때 각 영역 별로 상기 제1 내지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를 각기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값의 그라데이션 패턴(Gradation Pattern)을 확인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패턴을 근거로 상기 인식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신체부위를 센서부(705)에 접촉하는 힘의 분배가 항상 고르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더 많은 힘을 가한 부위와 덜 가한 부위 사이의 센싱값에는 그라데이션 패턴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이러한 센싱값의 그라데이션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패턴을 지정된 개수의 단계로 나누어 이를 기준으로 상기 인식 데이터를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경우에 각 영역 별로 상기 제1 내지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를 각기 적용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partially combine at least two of the first through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ing embodiments to perform the base sensing Value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divide the recognition data into a designated region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and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for each of the divided regions. The body part contacting the sensor part 705 is not a two-dimensional plane structure but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body par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705 of the two-dimensional plane structure, the body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tacts the sensor part 705 of the two-dimensional plane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a single basis sensing value for the entire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because the distribution of contact forces is difficult to uniformly act on the entire body part. Even if the geometric shape of the sensor unit 705 is made to match with the body part of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of contacting the body part with the sensor unit 705 is not always uniform, Determining a single baseline sensing value can be daunting.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divide the recognition data into a designated region according to a specified rule and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for each divided region. For example, the data reading unit 735 may divide the recognition data into a grid structure, a concentric circle structure, or a sector shape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for each divided region The first to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the respective regions. On the other hand, the data reading unit 735 identifies a gradation pattern of the sensing value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divides the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gradation pattern, and outputs a base sensing value Can be determined. That is,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of contacting the body part with the sensor part 705 is not always uniform, there is a gradation pattern in the sensing value between the part where the user applies more force and the part where less force is applied. The data reading unit 735 determines the gradation pattern of the sensing value, divides the gradation pattern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steps, divides the recognition data on the basis of the gradation pattern, and determines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have. Similarly,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the respective regions.

한편 본 발명의 제1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예컨대, 전체 영역 또는 분할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융선 상의 땀구멍에 도면3e와 같이 미세 땀이 발한된 경우,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first sensing value singularity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the first sensing value singularity from the base sensing value on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for example, the entire area or the divided area) An area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For example, when fine sweat is generated on the ridge-shaped pores as shown in FIG. 3E,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an area having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on the ridge area, Area. &Lt; / RTI &gt;

본 발명의 제2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융선 상의 땀구멍에 도면3a 또는 도면3b와 같이 미세 땀이 발한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sensing value singularity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an area of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which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For example, when fine sweat is not generated on the ridge-shaped pores as shown in FIG. 3A or FIG. 3B,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an area of the ridge area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 And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본 발명의 제3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융선 상의 땀구멍에 도면3c와 같이 극소량의 미세 땀이 발한된 경우,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sensing value singularity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the third sensing value singularity in the area of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in the area less than the pre- An area including an area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 contrast value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For example, when a very small amount of fine sweat is generated on the ridge-shaped pores as shown in FIG. 3C, the data reading unit 735 sets the predetermined value in the region that is less than the pre-set '-' A region including a reg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 contrast value may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본 발명의 제4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sensing value singularity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out the recognition data in the region of the ridge region included in the designated region of the recognition data, And an area including an area that is equal to or less than a set '-' contrast value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본 발명의 제5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인식 데이터의 지정된 영역에 포함된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과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이 서로 연접한 영역을 상기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sensing value singularity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out the area of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designated area of the recognition data, which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 A region in which regions having a contrast value equal to or less than a set '-' contrast valu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an be identified a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본 발명의 제6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제1 내지 제5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상기 융선 영역 상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sixth sensing value singularity discri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reads the first sensing value singularity singularity of the first to fifth sensing singularity singularities,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6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결정된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s개의 땀구멍 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ading unit 735 determine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included in each recognition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xamples Identifying at least one of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using the determined base sensing valu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sixth sensing value singularity identifying embodiments,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of at least s among the S sensed value singularity areas can be recognized as s pore positions.

상기 인식 데이터 생성부(730)를 통해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 가능한 인식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를 통해 각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가 인식되면, 상기 매칭 처리부(740)는 상기 생성되는 N개의 인식 데이터 중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킨다. When the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are generated through th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0 and the pore position of each recognition data is recognized through the data reading unit 735, The first recognition data among the N recognition data to be generated is matched with the pore position of the (n + 1) (1? N <N) recognition dat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센서부(705)에 접촉시켜 센싱되는 동안 아무리 움직이지 않으려고 노력하더라도 센서부(705)에 접촉한 신체부위는 미묘하게라도 움직일 수 밖에 없으며,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상기와 같은 움직임에 의한 보정이 필요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tries to move his / her body part to the sensor part 705 and thus does not move during the sensing, the part of the body that touches the sensor part 705 can move only slightly And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correction by the above-described motion in generating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이에 상기 매칭 처리부(740)는 지정된 ms 단위로 생성된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s개의 땀구멍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근거로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matching processor 740 confirms the geometric relationship formed by the s pores existing in the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generated in the unit of ms and calculates the geo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second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identified pores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can be matched by matching the pore positions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한편 상기 매칭 처리부(740)는 상기 지문 인식부(715)와 연동하여(또는 자체적으로)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과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에 대응하는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확인하고, 상기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기준으로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서 상호 매칭되는 s(s≥3)개의 땀구멍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근거로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킴으로써,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를 매칭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matching processing unit 740 performs a matching process on the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rid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in cooperation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S &gt; = 3) paired pores that match each other on the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on the basis of the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are confirmed, and based on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identified pores, ,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can be matched by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pores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매칭 처리부(740)에 의해 땀구멍의 위치가 매칭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subtracts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recognition data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pores are matched by the matching processing unit 740, And generates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Preferably,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or 745 repeats the process of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And generates data.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부위를 센서부(705)에 접촉시켜 센싱되는 동안 아무로 동일(또는 균등)한 접촉 압력을 가하려고 노력하더라도 센서부(705)에 가해지는 접촉 압력은 미묘하게 변화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접촉 압력의 변화는 센싱값의 변화에 반영된다. 따라서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이러한 접촉 압력 변화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user tries to contact the body part of his / her body with the sensor part 705 and try to apply the same (or even) contact pressure to the sensor part while sensing, The change of the contact pressure is reflected in the change of the sensing value. Therefore, correction of this contact pressure change is necessary in generating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이에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과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매칭시키는 보정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보정계수를 기반으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저 센싱값은 사용자의 신체부위 중 센서부(705)에 접촉한 융선 부위에 대응하는 센싱값, 및/또는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기준이 되는 센싱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판독부(735)를 통해 각 인식 데이터의 기저 센싱값이 결정된 경우 별도로 결정하지 않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calculates a correction coefficient for matching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of the (n + 1) recognition data with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N + 1) -th recognition data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correction coefficient. Here, the base sensing value may be defined as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a rid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705 of a user's body region, and / or a sensing value serving as a reference for distinguishing a ridge region and a bony region. On the other hand, if the base sensing value of each recognition data is determined through the data reading unit 735, the base sensing value can be used without determining it separately.

본 발명의 제1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값 중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역 구별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산출된 영역 구별값을 지정된 보정 연산식(예컨대, 오차를 보정하는 연산식)에 대입하여 산출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mulated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calculates a region distinguishing value for distinguishing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among the sensing values included in each recognition data, The calculated region discrimination value may be determined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Meanwhile,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substitutes the calculated area discrimination value into a specified correction formula (for example, an equation for correcting the error) according to the method, and outputs the calculated value to the base- Value. &Lt; / RTI &gt;

본 발명의 제2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지정된 영역의 센싱값 분포가 정규분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정규분포의 평균(m) 또는 상기 평균에서 지정된 표준편차(σ) 내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지정된 보정 연산식에 대입하여 산출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calculates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ridge area using the sensing value included in each recognition data,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area on the distribution can be determined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designated area is in the form of a normal distributi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generates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745 by multiplying the average (m) of the normal distribution or the standard deviation Value can be determined as the basis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Meanwhile,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may substitute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area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into the specified correction equ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determine the calculated value as the base value of the ridge area .

본 발명의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센싱값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산출된 평균값을 지정된 보정 연산식에 대입하여 산출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of the sensing values included in each recognition data, and outputs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to the base sensing Value. &Lt; / RTI &gt; 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can substitute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into the designated correction formula, and determine the calculated value as the base value of the ridge area.

본 발명의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제1 내지 제3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the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section 745 may modify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s,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for a ridge region of each recognition data,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과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이 결정되면,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는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과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매칭시키는 보정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보정계수를 기반으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보정계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는 경우 상기 보정계수에 의해 상호 매칭된 기저 센싱값에 대응하는 센싱값은 ‘0’이 될 수 있다.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and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region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may be obtain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generates a correction coefficient for matching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with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The nth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may be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correction coefficient. For example,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is subtracted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correction coefficient,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base sensing value mutually matched by the correction coefficient The value can be '0'.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745)를 통해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된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되는 중(또는 생성된 후),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임계치는 상기 센서부(705)의 감도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recognition data through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45, During the generation (or after the generation) of th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he biometric validity authentication unit 750 acquires a threshold value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n the ridge area of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mong the (N-1) Recognizes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in which the above-mentioned value has occurred, and authenticates the actual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Preferably, the threshold value may be set to a value proportional to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7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임계치는 ‘+’ 임계치 또는 ‘-’ 임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누적 차 인식 특이점은 ‘+’ 피트(Peak) 형태 또는 ‘-’ 피크 형태로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은 직경 200μm 이하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 존재하는 땀구멍이 미발한 상태에 있다가 제(n+1) 인식 데이터에서 생체 발한이 발생했다면, 상기 생체 발한이 발생한 땀구멍에 대응하는 영역은 ‘+’ 임계치 이상의 피크 값이 발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shold value may include a '+' threshold or a '-' threshold, and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may occur in a '+' , And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may include an area having a diameter of 200 mu m or less. For example, if the sweat pores existing on the ridge area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re in an erratic state and the living body sweating occurs in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weat pores in which the living body sweating has occurred is' + &Quot; threshold value may occur.

본 발명의 제1 발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생성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확인하고,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센서부(705)를 통한 센싱 과정에서 별다른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의 센싱값은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제외하고 평탄화되며,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융선 영역에 평탄화된 값을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swallowing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tal sign authentication unit 750 checks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of the ridge area of the generat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Recogniz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in which 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a specified threshold value has occurred, and authenticating the actual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For example, when no noise is generated during sensing through the sensor unit 705, the sensed value of the ridge area of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s flattened except for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singularity area, The controller 750 may check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to a value flattened in the ridge area.

한편 상기 센서부(705)를 통한 센싱 과정에서 노이즈가 심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이즈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에도 전파된다. 이 경우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노이즈를 고려하여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생체 발한을 인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nsing process through the sensor unit 705, it is possible to acquire sensed data with high noise, and such noise also propagates to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n this case, the body fatness authentication unit 750 may determine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noise, and determine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region based on the determin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to authenticate the living body sweating.

본 발명의 제2 발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생성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누적 차 인식값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한 후,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누적 차 인식값 평균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sweating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metric swath authenticating unit 750 calculates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 value for the ridge area of the generat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Recogniz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threshold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to authenticate the actual body swallowing of the body part.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atness authentication unit 750 can determine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of the ridge region by correcting the average of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s,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in which the value is generated can be identified and authenticated by the actual living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본 발명의 제3 발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생성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누적 차 인식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누적 차 인식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한 후,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누적 차 인식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outpatient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tal sign authentication unit 750 calculates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 distribution for the ridge area of the generat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Recogniz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zing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It can be certified as vital sweating. 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tal sign authentication unit 750 can determine a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of the ridge area by performing a correction calculation on a value belonging to a designated distribution area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 distribution,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region having a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determined and authenticated by the actual living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본 발명의 제4 발한 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제1 내지 제3 발한 인증 실시예 중 둘 이상의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하여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결정하고,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융선 영역 중 일부 영역은 노이즈가 심하고 다른 일부의 융선 영역은 노이즈가 적거나 또는 평탄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을 분할하여 각 영역 별로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생체 발한을 인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swallowing authent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unit 750 determines a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by partially combining two or more embodiments among the first to third swallowing authentication embodiments, Recogniz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threshold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and authenticating the actual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For example, some regions of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ridge region may be highly noisy and other ridge regions may be less or flat. In this case, the vital sign authentication unit 750 divides the ridge area of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o determine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for each area, and determines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ridge difference recognition area. have.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는 상기 제1 내지 제4 발한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생체 발한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생체 발한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unit 750 generates a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authenticating the living body swallow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swallowing authentication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에 대응하는 융선 패턴(또는 지문 인식부(715)를 통해 추출된 융선 패턴의 특징점)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발한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인증된 생체 발한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실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dg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ridge area included in the recognition data (or the minutiae point of the ridge pattern extract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is used as the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The biohazard authenticat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authentication embodiments may be used as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that the identified user is an actual user.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755)는 상기 지문 정합부(725)를 통해 생성된 지문 정합 결과와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를 통해 인식된 생체 발한 인증 결과를 조합하여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755)는 상기 지문 정합부(725)를 통해 지문의 융선 패턴이 정합 성공하고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를 통해 생체 발한이 인증된 경우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생체 인증 성공한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러하지 않은 경우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755)는 상기 생성된 최종 인증 결과를 지정된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지정된 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755 combines the fingerprint matching result generated through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725 and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result recognized through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unit 750 and transmits the result through the sensor unit 705 And generates a final authentication result for the sensed user's body part.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755 determines whether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725 successfully matches the ridge pattern of the fingerprint through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725 and the sensor unit 705 when the living body swallowing is authenticated through the living body swallow authentication unit 750. [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in which the body part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biometrics authentication can be generated. Otherwise,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failure can be generated.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755 may output the gener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through the designated means or provide the design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through the designated path.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지문 정합 결과는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상기 생체 발한 인증 결과는 실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gerprint matching result is used as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and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result may be used as an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that the user is an actual use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부(715), 지문 저장부(720) 및 지문 정합부(725)가 생략된 경우, 상기 인증결과 처리부(755)는 상기 생체 발한 인증부(750)를 통해 생성된 생체 발한 인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705)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대한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최종 인증 결과를 지정된 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지정된 수단으로 제공할 수 있다.If the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15, the fingerprint storage unit 720 and the fingerprint matching unit 725 are omit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755 may transmit the biometric data to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unit 750 The user can generate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for the body part of the user sensed by the sensor unit 705 using the result of the body fat authentication gener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705. The gener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is outputted through the designated means Or by a designated means via a designated path.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생체 발한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living body swe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705)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 단위로 N번 유효 센싱하여 생성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지문 융선 상의 땀구멍 위치를 기준으로 매칭시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상에 발생한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생체 발한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More specifically, in FIG. 8, N sensing data generated by sensing the user's body part N times in the specified ms unit using the sensor unit 705 capable of sensing fingerprints are match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pore on the fingerprint ridge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The body part is authenticated by the actual living body sweating of the body part by discriminating the area and referring to FIG. 8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invention (e.g., omitting some steps or altering the order) may be deduced, Is made, including the method,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method shown in the figure 8.

도면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치(700)는 센서부(705)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특정 신체부위를 지정된 ms 단위로 N번 유효 센싱한 N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한다(800). 적어도 하나의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면, 상기 장치(700)는 지정된 지문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센싱 데이터를 가공 및 판독하여 융선 패턴의 특징점을 추출한다(805). 만약 사용자의 지문을 등록하는 경우라면, 상기 장치(700)는 상기 추출된 특징점에 대응하는 지문템플릿을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810). 한편 사용자의 지문을 인증하는 경우라면, 상기 장치(700)는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지문템플릿을 상기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정합 여부를 확인하고(815), 그 결과에 대응하는 지문 정합 결과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8, an apparatus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N sensed data obtained by sensing the user's specific body part N times in a specified ms unit through a sensor of the sensor unit 705 (800). When at least one sensing data is obtained, the device 700 processes and reads the sensed data according to a specified fingerprint recognition algorithm to extract feature points of the ridge pattern (805). If the user's fingerprint is registered, the device 700 generates a fingerprint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feature point and stores the generated fingerprint template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810).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s fingerprint is authenticated, the device 700 compares the extracted fingerprint template stored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with the extracted minutiae to check whether the fingerprint is matched (815), and generates a fingerprint matching result corresponding to the result do.

본 발명의 생체 발한 인증 과정은 지정된 순서에 따라 상기 지문 인식 및 인증 과정과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지문 인식 및 인증 과정과 다중화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센싱 데이터가 획득되는 동안(또는 획득된 후), 상기 장치(700)는 상기 획득되는 각각의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과 골을 구별 가능하며 땀구멍 센싱값을 훼손하지 않는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825).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7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인식 데이터 생성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825).The biometric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sequentially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according to a specified sequence or may be performed by multiplexing wit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 During or after acquiring the N sensed data, the device 700 reads the sensed value of each sensed data obtained to distinguish ridges and valleys from each other, (825). Preferably, the apparatus 700 may generate recognition data (825)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ifth recognition data genera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장치(700)는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땀구멍 위치를 인식한다(830).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7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기저 센싱값 결정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센싱값 특이점 식별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결정된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한 후,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s개의 땀구멍 위치로 인식할 수 있다(830).The device 70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pores existing in the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generated (830). Preferably, the apparatus 700 determine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included in each recognition data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fourth base sensing value determina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ing at least one of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using the determined base sensing valu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sixth sensing singularity identification embodiments, At least s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of the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can be recognized as s pore positions (830).

상기 장치(700)는 각 인식 데이터 중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킨다(835).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700)는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킬 수 있다(835).The apparatus 700 matches the positions of the pores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among the recognition data (835). Preferably, the apparatus 700 may match the positions of the pores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using the geometric relationship of the pores.

상기 장치(700)는 상기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킨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한다(840).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700)는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와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고(단, 기 결정된 경우 생략), 상기 제(n+1) 인식 데이터와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매칭하는 보정계수를 산출한 후, 상기 보정계수를 기반으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840).The apparatus 700 subtracts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recognition data that matches the position of the porthole to generate nth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840). Preferably, the apparatus 700 determines (but omits the base sensing value) the ridge area of the ridge area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and the first recognition data, (N + 1) -th recognition data on the basis of the correction coefficient after calculating a correction coefficient for matching the recognition data with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th accumulated difference recognition data may be generated (840).

상기 장치(700)는 상기 생성되는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 상에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 절차를 수행한다(845).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7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발한 인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845). 한편 상기 과정은 상기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apparatus 700 performs a discrimination procedure for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a specified threshold value on the ridge area of the n-th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step 845). Preferably, the apparatus 700 may perform the discrimination procedure for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swallowing authentica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45). Meanwhile, the proces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on the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상기 장치(700)는 상기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상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확인하는데(850), 만약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상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이 확인되면, 상기 장치(700)는 상기 확인된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생체 발한으로 인증한 생체 발한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 한편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상에서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이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장치(700)는 생체 발한 인증 실패를 포함하는 생체 발한 인증 결과를 생성한다(860).The apparatus 700 identifies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generated on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mong the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850), if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he device 700 generates a biometric sweating authentication result obtained by authenticating the identifi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with the living body sweating. On the other hand, if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generated on at least one of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mong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is not identified, the apparatus 700 may perform the bi- A result is generated (860).

상기 장치(700)는 상기 지문 정합 결과와 상기 생체 발한 인증 결과를 결합하여 최종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865), 상기 생성된 최종 인증 결과를 출력하거나 지정된 경로로 제공한다(870).The device 700 generates the final authentication result by combining the fingerprint matching result and the biometric FP authentication result, and outputs the gener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or provides the generated final authentication result to the designated path (870).

700 : 장치 705 : 센서부
710 : 센싱 처리부 715 : 지문 인식부
720 : 지문 저장부 725 : 지문 정합부
730 : 인식 데이터 생성부 735 : 데이터 판독부
740 : 매칭 처리부 745 :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생성부
750 : 생체 발한 인증부 755 : 인증결과 처리부
700: Apparatus 705: Sensor section
710: sensing processing unit 715: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720: fingerprint storage unit 725: fingerprint registration unit
730: recognition data generation unit 735:
740: matching processing unit 745: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generating unit
750: vital signs authentication unit 755: authentication result processing unit

Claims (31)

지문을 센싱 가능한 센서부를 구비한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부위를 지정된 ms(millisecond) 단위로 유효 센싱한 N(N≥2)개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획득되는 각 센싱 데이터의 센싱값을 판독하여 융선(Ridge)과 골(Valley)을 구별 가능한 N개의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땀구멍 위치를 인식하는 제3 단계;
상기 인식 데이터 중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1≤n<N)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제4 단계;
상기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킨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생성한 제n 누적 차(Accumulated Subtraction) 인식 데이터를 포함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생성되는 (N-1)개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성 영역 상에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A method for performing a method through an apparatus having a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fingerprint,
A first step of acquiring N (N? 2) sensed data obtained by valid sensing the user's body part in a specified ms (millisecond) unit through the sensor unit;
A second step of reading sensing values of each sensing data to generate N pieces of recognition data capable of distinguishing ridges and valleys;
A third step of recognizing a position of a pore existing in a ridge area of each recognition data generated;
A fourth step of matching the first recognition data among the recognition data with the pore positions of the (n + 1) (1? N <N) recognition data;
(N-1) cumulative accumulation recognition dat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ensed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ed value of the (n + 1) A fifth step of generating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Recogniz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in which a value equal to or larger than a specified threshold value is generated on a longevity area of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mong the generated (N-1)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a sixth step of authenticating the living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상태에서 임의의 시간부터 ms 단위로 사용자 신체부위를 유효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firming a contact state of a user's body part through the sensor unit; And
And starting to acquire sensed data in which the user's body part is sensed effective in ms units from a certain time in the contact state of the body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센싱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되는 센싱 데이터 중 임의의 시간 이후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유효 센싱 데이터로 획득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cquiring sensing data obtained by sensing a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in units of ms; And
And starting to acquire sensing data sensed from a certain time after the sensed sensing data as effective sensing dat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유효 센싱하는 중에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해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신체부위의 접촉 해제 확인 시 상기 신체부위를 유효 센싱을 개시한 시점부터 생체 발한을 인증하기 위해 설정된 최소 센싱 시간을 경과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소 센싱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생체 발한 인증 과정을 종료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firming contact release of the body part during effective sensing of the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part in units of ms;
Determining whether a minimum sensing time set for authenticating the living body sweating has e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validation of the body part is started upon confirming the disengagement of the body part;
And terminating the biofilm authentication process when the minimum sensing time has not elap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사용자 신체부위를 ms 단위로 유효 센싱 개시한 시점부터 경과한 센싱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센싱 시간이 생체 발한을 인증하기 위해 설정된 최대 센싱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최대 센싱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신체부위의 유효 센싱을 중지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nfirming an elapsed sensing time from a point at which effective sensing is started in units of ms in a user's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Confirming whether the confirmed sensing time exceeds a maximum sensing time set for authenticating a living body sweating;
And performing a process of stopping the effective sensing of the body part when the maximum sensing time is exceed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과 골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구별 가능하게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generating recognition data in which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 region and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bony region are distinguishably corr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과 골 영역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구별 가능하게 보정함과 동시에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배치된 땀구멍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훼손하지 않게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orrecting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 area and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ridge area so as to be distinguishable and generating the recognition data corrected so as not to damage the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re disposed on the ridge area, Wherein the biomedical fingerprint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 가능하게 센싱값들의 대조, 명암,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generating recognition data by correcting at least one of a contrast, a contrast and a saturation of the sensed values so as to distinguish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센서부에 구비된 센서에 의한 노이즈, 상기 센서부를 통한 센싱 과정의 노이즈, 상기 센서부에 접촉한 신체부위의 오염에 의한 노이즈 중 적어도 하나의 노이즈를 보정한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recognition data by correcting at least one noise among noise due to a sensor provided in the sensor unit, noise in a sensing process through the sensor unit, and noise due to contamination of a body part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Wherein the bio-sweating authentication method compri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생성되는 각 인식 데이터에 포함된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을 결정하는 제3a 단계;
상기 기저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융선 영역 상에 분포하는 S(S≥3)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식별하는 제3b 단계; 및
상기 식별된 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 중 적어도 s(3≤s≤S)개의 센싱값 특이점 영역을 s개의 땀구멍 위치로 인식하는 제3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etermining a base sensing value of a ridge area included in each of the generated recognition data;
Identifying S (S? 3)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s distributed on the ridge region using the basis sensing value; And
And a third step of recognizing at least s (3? S? S) sensing value singular points of the identified S sensed value singular point regions as s pore position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region distinguishing value for distinguishing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from each other, and determining the region discrimination value as the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과 골 영역을 구별하는 영역 구별값을 산출하고, 상기 영역 구별값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region distinguishing value for distinguishing the ridge region and the bony region from each other, and correcting the region distinguishing value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ridge region and determining a value belonging to the designated distribution region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as the ridge region base sensing valu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sensing value distribution of the ridge region and correcting a value belonging to a designated distribution region on the sensing value distribution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reg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mean value of sensing values of the ridge region and determining the sensed value as the ridge region sensing valu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a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의 센싱값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센싱값 평균을 보정 연산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기저 센싱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sensing value average of the ridge area and correcting the sensing value average to determine a base sensing value of the ridge are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identifying an area on the ridge area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 contrast value that is lower than the base sensing value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area.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dentifying a region in the ridge region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dentifying a region including a region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 contrast value in an area that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on the ridge region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Sweating Authentication Metho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 안에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dentifying a region including a region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 contrast value in a region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than the base sensing value on the ridge region as a sensing value singularity region. Sweating Authentication Method.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b 단계는,
상기 융선 영역 상에서 상기 기저 센싱값보다 기 설정된 ‘+’ 대비값 이상인 영역과 기 설정된 ‘-’ 대비값 이하인 영역이 서로 연접한 영역을 센싱값 특이점 영역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Identifying a region in the ridge region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and a region that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 contrast value as a sensing value focal point region; Vital authentic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s(s≥3)개의 땀구멍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근거로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Confirming a geometric relationship formed by s (s? 3) pores existing in a ridge region of each recognition data; And
And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pores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of the por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융선 패턴 상의 특징점을 기준으로 각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존재하는 s(s≥3)개의 땀구멍들이 형성하는 기하학적 관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땀구멍들의 기하학적 관계를 근거로 제1 인식 데이터와 제(n+1) 인식 데이터의 땀구멍 위치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Identifying minutiae points on the ridge pattern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recognition data; And
Confirming a geometric relationship formed by s (s? 3) pores existing in a ridge region of each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minutiae on the ridge pattern; And
And matching the positions of the pores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and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geometrical relationship of the pores.
제 1항에 있어서,
제(n+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과 제1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기저 센싱값을 매칭시키는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보정계수를 기반으로 제(n+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에서 제1 인식 데이터의 센싱값을 차감하여 제n 누적 차 인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correction coefficient for matching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area of the (n + 1) -th recognition data with the base sensing value for the ridge area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The fifth step includes generating nth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by subtracting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recognition data from the sensing value of the (n + 1) recognition data based on the correction coefficient And a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누적 차 인식값 평균을 산출하여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alculating an average of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s for a ridge region of the generat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to determine an accumulated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of the ridge region,
The sixth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to authenticate the actual body swallowing of the body part. A bioluminescence authentic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누적 차 인식 데이터의 융선 영역에 대한 누적 차 인식값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누적 차 인식값 분포 상의 지정된 분포 영역에 속한 값을 상기 융선 영역의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누적 차 인식 기저 값을 기준으로 지정된 임계치 이상의 값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을 판별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실제 생체 발한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alculating a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 distribution for the ridge area of the generated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data and determining a value belonging to the specified distribution area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value distribution as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of the ridge area &Lt; / RTI &
The sixth step may include determining at least on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having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base value to authenticate the actual body swallowing of the body part. A bioluminescence authentication method.
제 1항 또는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 임계치 또는 ‘-’ 임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1, 25 or 26,
And a '+' threshold value or a '-' threshold value.
제 1항 또는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센서부의 감도에 비례하는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1, 25 or 26,
Wherein the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set to a value proportional to the sensitivity of the sensor unit.
제 1항 또는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차 인식 특이점은,
‘+’ 피트(Peak) 형태 또는 ‘-’ 피크 형태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27. The method of claim 1, 25 or 26, wherein the cumulative difference-
Wherein the biofeedback authentication occurs in the form of '+' peaks or '-' peaks.
제 1항 또는 제 25항 또는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차 인식 특이점 영역은,
직경 200μm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25 or 26, wherein the cumulative difference recognition singularity area comprises:
And a region having a diameter of 200 mu m or l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선 영역은,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고,
상기 발한 인증은, 실제 사용자임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발한 인증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dge region is used as an identification means for identifying the user,
Wherein the swallowing authentication is used as an authentication means for authenticating that the user is an actual user.
KR1020150166340A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3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40A KR20170061388A (en)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40A KR20170061388A (en)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388A true KR20170061388A (en) 2017-06-05

Family

ID=59222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40A KR20170061388A (en) 2015-11-26 2015-11-26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38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0601A1 (en) Living body determination device, authentication device using the device, and living body determination method
US8493178B2 (en) Forged face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11682235B2 (en) Iris authentication device, iris authent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ushwaha et al. Detailed analysis of footprint geometry for person identification
CN111291730A (en) Face anti-counterfeiting detection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KR20170061443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428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77995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Fingerprint of Real Living Body by using Sweat Pore and Micro Sweat
KR20170061388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389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Echizen et al. BiometricJammer: method to prevent acquisi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by surreptitious photography on fingerprints
KR20170061385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379A (en) Method for Recognizing Micro Sweat
KR20170061374A (en) Method for Recognizing Micro Sweat
KR20170061440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413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452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434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458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371A (en) Method for Recognizing Micro Sweat
KR20170061432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447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Micro Sweating
KR20170061421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Sweating
KR20170061406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Real Living Body Sweating
JP5765071B2 (en)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bi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