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313A - 폴더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313A
KR20170061313A KR1020150166164A KR20150166164A KR20170061313A KR 20170061313 A KR20170061313 A KR 20170061313A KR 1020150166164 A KR1020150166164 A KR 1020150166164A KR 20150166164 A KR20150166164 A KR 20150166164A KR 20170061313 A KR20170061313 A KR 2017006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back plate
liquid metal
folded reg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045B1 (ko
Inventor
박영주
전태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0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51/0097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구성이 향상된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OLED패널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백플레이트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OLED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표시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구성이 향상된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 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형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활용하여 내구성이 높은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깨지지 않으면서도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초박형, 경량화 및 소형화와 함께 대면적화를 구현하기 위해, 접힌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폴더블 표시장치는 모바일폰, 울트라 모바일 피씨(ultra mobile PC), 전자책, 전자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의 하부에 위치하여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그리고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표시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윈도우(cover window)를 포함한다.
한편, 폴더블 표시장치는 접힘과 펼침이 가능해야 하므로, 표시패널을 비롯한 백플레이트와 커버윈도우 모두 매우 얇은 필름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폴더블 표시장치는 내충격성이 매우 약한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폴더블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플레이트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는 강한 강성을 갖는 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또한 접힘영역에 대해서는 내충격성이 보완되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더블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백플레이트의 내구성 또한 향상시키면서도 백플레이트의 물리적인 단차 또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표시패널로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2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표시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커버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액체금속은 외부전압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갈륨(Ga)-인(In)-주석(Sn)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며, 상기 액체금속은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금속에는 저항이 연결되어, 상기 액체금속은 온도변화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나트륨(Na)-칼륨(K)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접힘영역은 스테인레스 스틸(SUS)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액체금속은 상기 금속의 일면 또는 전체를 감싼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OLED패널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플레이트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백플레이트의 밴딩 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플레이트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OLED패널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액체금속과 OLED패널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다양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표시패널(110)과, 표시패널(110)을 지지하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 120) 그리고 표시패널(11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윈도우(cover window : 130)를 포함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의 방향을 정의하면, 표시패널(110)의 표시면이 전방을 향한다는 전제 하에 백플레이트(120)가 표시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며, 표시패널(110)의 전방으로는 커버윈도우(130)가 위치한다.
여기서, 표시패널(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110)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가 형성된 기판(101)이 보호필름(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된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OLED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110, 이하 OLED패널이라 함)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기판(101) 상의 화소영역(P)에는 반도체층(104)이 형성되는데, 반도체층(104)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영역(104a) 그리고 액티브영역(104a) 양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반도체층(104) 상부로는 게이트절연막(105)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절연막(105) 상부로는 반도체층(104)의 액티브영역(104a)에 대응하여 게이트전극(107)과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전극(107)과 게이트배선(미도시) 상부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106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 1 층간절연막(106a)과 그 하부의 게이트절연막(105)은 액티브영역(104a) 양측면에 위치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포함하는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통해 노출된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과 두 전극(108a, 108b) 사이로 노출된 제 1 층간절연막(106a) 상부로 드레인전극(108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콘택홀(112)을 갖는 제 2 층간절연막(10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소스 및 드레인전극(108a, 108b)과 이들 전극(108a, 108b)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영역(104b, 104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4)과 반도체층(104)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절연막(105) 및 게이트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게이트배선(미도시)과 교차하여 화소영역(P)을 정의하는 데이터배선(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동일한 구조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된다.
그리고,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도면에서는 반도체층(104)이 폴리실리콘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을 예로서 보이고 있으며, 이의 변형예로서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보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층간절연막(106b) 상부로는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서 양극(anode)을 이루는 제 1 전극(111)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전극(111)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전극(108b)과 연결되며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bank : 119)가 위치한다.
즉, 뱅크(119)를 각 화소영역(P) 별 경계부로 하여 제 1 전극(111)이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발광층(1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층(113)은 적(R), 녹(G), 청(B)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영역(P) 마다 적(R), 녹(G), 청(B)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113a, 113b, 113c)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유기발광층(113)의 상부로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을 얇게 증착한 반투명 금속막을 포함한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반투명 금속막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 두껍게 증착된 이층 구조일 수도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2 전극(115)을 향해 방출되는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으로 구동된다.
또는 제 2 전극(115)이 불투명 금속막으로 이루어져, 유기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1 전극(111)을 향해 방출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OLED패널(110)은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되어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 2 전극(115) 또는 제 1 전극(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OLED패널(110)은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발광다이오드(E) 상부에는 얇은 박막필름 형태인 보호필름(102)이 형성되어, OLED패널(101)은 보호필름(102)을 통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되는데, 보호필름(102)은 외부 산소 및 수분이 OLED패널(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기보호필름(102a)을 적어도 2장 적층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2장의 무기보호필름(102a) 사이에는 무기보호필름(102a)의 내충격성을 보완하기 위한 유기보호필름(102b)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판(101)은 유연한 성질을 갖기 위해 얇은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얇은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101)은 박막트랜지스터(DTr)와 같은 구성요소의 형성공정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유리기판과 같은 캐리어기판에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부착한 상태에서 박막트랜지스터(DTr)와 같은 구성요소의 형성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캐리어기판과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분리함으로써, OLED패널(110)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OLED패널(110)은 커버윈도우(130)와 백플레이트(120)를 통해 일체로 모듈화되는데, 화상이 구현되는 OLED패널(110)의 전방으로는 OLED패널(110)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130)가 제 1 광학접착층(140)을 통해 부착되며,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는 OLED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백플레이트(120)가 제 2 광학접착층(150)을 통해 부착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140, 150)은 OCA(Optical Cleared Adhesive)로 형성된다.
커버윈도우(13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OLED패널(110)을 보호하며, OLED패널(110)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켜 OLED패널(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윈도우(130)는 내충격성 및 광투과성을 가지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사이클로올레핀 고분자(cycloolefin polymer, CO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백플레이트(120)는 OLED패널(110)의 기판(101)이 너무 얇기 때문에, OLED패널(110)을 지지하고자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부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 : 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백플레이트(12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시 곡률이 형성되도록 접히는 영역인 접힘영역과, 접힘영역의 양측으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시에도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될 수 있는데, 이때,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액체금속(210)이란 외부전압에 따라 모듈러스(modulus)가 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금속(210)은 전압 무 인가시에는 다수의 비드(bead) 형태로 이루어져 강한 모듈러스를 가져 고 강성(stiffness)을 갖게 되며, 전압 인가시에는 표면의 전하 분산 형태를 변화시켜줌으로써 표면장력의 변화를 통한 흐름성을 가져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된다.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되는 액체금속(210)은 낮은 모듈러스 값을 갖게 되어, 낮은 강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액체금속(210)은 수은(Hg), 나트륨(Na), 리튬(Ni), 납(Pb), 비스무트(Ni), 주석(Sn), 갈륨(Ga) 등을 포함하는 전이금속(transition metal) 또는 중금속합금(heavy metal alloy)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체금속(21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게 되는 갈륨(Ga)-인(In)-주석(Sn)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갈륨(Ga)은 갈륨(Ga), 인(In), 주석(Sn)의 합금 총량에 대하여 50 ~ 95 wt%로 포함될 수 있고, 인(In)은 갈륨(Ga), 인(In), 주석(Sn)의 합금 총량에 대하여 5 ~ 30wt%로 포함될 수 있고, 주석(Sn)은 갈륨(Ga), 인(In), 주석(Sn)의 합금 총량에 대하여 0 ~ 20wt%로 포함될 수 있다.
갈륨(Ga), 인(In), 주석(Sn)이 각각 위의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경우, 액체금속(21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모듈러스(modulus)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이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되어, 폴더블 표시장치(100)를 손쉽게 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즉, 일반적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접고 펼치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plastic deformation)이 발생되어,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제한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접힘시에는 유연한 성질을 갖도록 하며 펼침시에는 강한 모듈러스를 갖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고 펼치는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플레이트(120)가 전체적으로 금속(=액체금속(210), 금속(220))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되어, 이를 통해서도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게 됨으로써, 백플레이트(120)의 밴딩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백플레이트(120)의 소성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누더라도, 백플레이트(120) 전체적으로 금속(=액체금속(210), 금속(220))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백플레이트(120)에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에 의해 OLED패널(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OLED패널(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 : 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100)는 폴더블 표시장치(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백플레이트(120)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백플레이트(120)의 밴딩 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플레이트(120)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OLED패널(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은 OLED패널(110)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15, 도 3a 참조)과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받아 모듈러스가 변화하게 되는데,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액체금속(210)과 인쇄회로기판(115, 도 3a 참조)의 연결모습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3a ~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액체금속과 OLED패널의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100)에서 커버윈도우(도 1의 130)와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도 1의 140, 150)에 대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고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시한 바와 같이,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는 액체금속(210)으로 이루어지는 접힘영역과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는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백플레이트(120)가 위치한다.
그리고 OLED패널(110)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와 같은 연결부재(113)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115)이 연결되어, OLED패널(110)은 인쇄회로기판(115) 상에 실장된 구동회로소자(117)들로부터 구동신호를 공급 받게 된다.
이때,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은 인쇄회로기판(115)에 구비되는 구동회로소자(117)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게 되는데,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5)으로부터는 연결배선(119)이 OLED패널(11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5)과 연결되는 연결배선(119)은 백플레이트(120)의 배면으로 연장되어, 백플레이트(120)의 접힘영역에 위치하는 액체금속(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금속(210)으로 인쇄회로기판(115)과 연결된 연결배선(119)을 통해 전압이 인가되면, 액체금속(210)은 표면장력의 변화를 통한 흐름성을 갖게 되어 유연한 성질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액체금속(210)은 다수의 비드(bead)형태로 이루어져 강한 모듈러스를 갖게 된다.
한편, 백플레이트(120)의 액체금속(210)에 저항(미도시)을 연결하여, 인쇄회로기판(115)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저항(미도시)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는데, 이때, 액체금속(210)은 저항(미도시)의 온도변화에 반응하여 모듈러스가 변화하게 되는 나트륨(Na)-칼륨(K)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의 백플레이트의 다양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120)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며, 접힘영역은 액체금속(210)으로 이루어지며, 비접힘영역은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금속(210)이 비접힘영역의 금속(220)의 일면을 감싸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금속(210)이 비접힘영역의 금속(220)을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b와 도 4c와 같이 비접힘영역에도 액체금속(210)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의 펼침시 백플레이트(12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백플레이트(120)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어, OLED패널(도 3b의 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의 백플레이트(120)는 비접힘영역으로 금속(220)을 먼저 위치시킨 후 접힘영역으로 액체금속(210)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접힘영역으로 액체금속(210)을 주입하는 동시에 비접힘영역으로도 액체금속(210)이 주입되도록 하여 액체금속(210)이 금속(220)의 일면 또는 금속(210) 전체를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에 있어서 OLED패널(도 3b의 110)의 배면으로 위치하는 백플레이트(120)를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하고, 접힘영역에 대응하여 액체금속(liquid metal : 21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접힘영역에 대응하여 강한 강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SUS)와 같은 금속(2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는 폴더블 표시장치(도 3b의 100)의 접힘 및 펼침에 있어 제한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백플레이트(120)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백플레이트(120)의 밴딩 스트레스에 의해 OLED패널(도 3b의 11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플레이트(120)의 이종의 재료로 인하여 물리적인 단차가 발생하거나,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의 다른 눌림특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OLED패널(도 3b의 110)의 상부로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 사이의 물리적인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OLED패널(도 3b의 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폴더블 표시장치
110 : 표시패널(OLED패널)
120 : 백플레이트(210 : 액체금속, 220 : 금속)
130 : 커버윈도우
140, 150 : 제 1 및 제 2 광학접착층

Claims (7)

  1.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액체금속(liquid metal)으로 이루어지는 접힘영역과 비접힘영역으로 나뉘어 정의되는 백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금속은 외부전압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갈륨(Ga)-인(In)-주석(Sn)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며, 상기 액체금속은 연결배선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폴더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금속에는 저항이 연결되어, 상기 액체금속은 온도변화에 의해 모듈러스가 변화하는 나트륨(Na)-칼륨(K)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힘영역은 스테인레스 스틸(SUS)를 포함하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폴더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금속은 상기 금속의 일면 또는 전체를 감싸는 폴더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전방으로 커버윈도우가 위치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0150166164A 2015-11-26 2015-11-26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0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164A KR102501045B1 (ko) 2015-11-26 2015-11-26 폴더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164A KR102501045B1 (ko) 2015-11-26 2015-11-26 폴더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313A true KR20170061313A (ko) 2017-06-05
KR102501045B1 KR102501045B1 (ko) 2023-02-16

Family

ID=5922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164A KR102501045B1 (ko) 2015-11-26 2015-11-26 폴더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04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552A (ko) * 2017-09-26 2019-04-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성장구조, 박막성장방법 및 박막열처리방법
KR20190101516A (ko) * 2018-02-22 2019-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853525A (zh) * 2019-12-10 2020-02-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屏组件及电子设备
WO2020173441A1 (zh) * 2019-02-26 2020-09-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弯折区走线结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892314B2 (en) 2018-07-20 2021-01-12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20210008249A (ko) 2019-07-12 2021-01-21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US20210026420A1 (en) * 2019-07-25 2021-01-28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uppor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oldable display screen
US10943893B2 (en) 2018-08-08 2021-03-09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20210025575A (ko) * 2018-09-21 2021-03-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성장구조, 박막성장방법 및 박막열처리방법
US10957225B2 (en) 2019-01-22 2021-03-23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964234B2 (en) 2018-10-08 2021-03-30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panel an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1271179B2 (en) 2018-07-20 2022-03-08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US11474559B2 (en) 2019-12-19 2022-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7409675A (zh) * 2023-12-12 2024-01-16 荣耀终端有限公司 可折叠的显示模组及电子设备
WO2024039130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411A (ko) * 2013-07-19 2015-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CN104537955A (zh) * 2014-12-26 2015-04-22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弯折单元、柔性显示屏及移动终端
KR20150104280A (ko)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트레이스 곡면 및 휘어진 측면 터치 제어가 가능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장치 및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0411A (ko) * 2013-07-19 2015-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104280A (ko) * 2014-03-05 2015-09-15 주식회사 트레이스 곡면 및 휘어진 측면 터치 제어가 가능한 모바일 디스플레이 기기 장치 및 구동방법
CN104537955A (zh) * 2014-12-26 2015-04-22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弯折单元、柔性显示屏及移动终端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552A (ko) * 2017-09-26 2019-04-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성장구조, 박막성장방법 및 박막열처리방법
KR20190101516A (ko) * 2018-02-22 2019-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15570B2 (en) 2018-02-22 2019-12-2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271179B2 (en) 2018-07-20 2022-03-08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US11348990B2 (en) 2018-07-20 2022-05-31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US10892314B2 (en) 2018-07-20 2021-01-12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US11574899B2 (en) 2018-08-08 2023-02-07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US10943893B2 (en) 2018-08-08 2021-03-09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device
KR20210025575A (ko) * 2018-09-21 2021-03-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성장구조, 박막성장방법 및 박막열처리방법
US10964234B2 (en) 2018-10-08 2021-03-30 Lg Display Co., Ltd. Stretchable display panel an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US10957225B2 (en) 2019-01-22 2021-03-23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WO2020173441A1 (zh) * 2019-02-26 2020-09-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屏弯折区走线结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10008249A (ko) 2019-07-12 2021-01-21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US20210026420A1 (en) * 2019-07-25 2021-01-28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uppor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oldable display screen
US11697265B2 (en) * 2019-07-25 2023-07-11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Suppor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oldable display screen
CN110853525A (zh) * 2019-12-10 2020-02-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屏组件及电子设备
US11474559B2 (en) 2019-12-19 2022-10-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4039130A1 (ko) * 2022-08-17 2024-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409675A (zh) * 2023-12-12 2024-01-16 荣耀终端有限公司 可折叠的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7409675B (zh) * 2023-12-12 2024-04-19 荣耀终端有限公司 可折叠的显示模组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045B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045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88088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7030552B2 (en) Dual-scre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KR102454082B1 (ko)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EP1775773B1 (en) Flexible flat panel display
US9245936B2 (en) Multi-display apparatus
KR2017007165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2973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20200111844A1 (en) Display panel,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N211654824U (zh) 透明oled基板、透明显示面板、阵列基板、显示屏及显示设备
KR102493577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10240970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906483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panel having opening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553373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639989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29108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20070126355A1 (en) Dual emission display
JP2011034996A (ja) 透過型有機el表示装置
US20240179993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1013382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07019430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pable of showing images on double sides thereof
KR102461528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807684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US20060289857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apable of showing images on double sides thereof
KR102621128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 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