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180A - Posture holder - Google Patents

Posture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180A
KR20170061180A KR1020177013804A KR20177013804A KR20170061180A KR 20170061180 A KR20170061180 A KR 20170061180A KR 1020177013804 A KR1020177013804 A KR 1020177013804A KR 20177013804 A KR20177013804 A KR 20177013804A KR 20170061180 A KR20170061180 A KR 20170061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operator
arm portion
portions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9514B1 (en
Inventor
마사히코 하야시
시게키 하야시
가즈히코 구로키
히로미치 후지모토
고 시로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6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206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60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1505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6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1506B2/en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6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1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5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nipulat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 또는 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때, 자세 유지구가 저항으로 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작업자에게 장착되는 본체부(2, 4)와, 본체부(2, 4)에 근접하는 작업자의 관절부로부터 연장되는 팔부 또는 다리부에 장착되는 아암부(5, 6)를 구비한다. 아암부(5, 6)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아암부(5, 6)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본체부(2, 4)에 대해 아암부(5, 6)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31)를 구비한다.When the operator moves the arm portion or the leg portion to a desired position in the posture holding tool mounted and used by an operator, the posture maintaining portion is configured not to be a resistor. And body portions 2 and 4 attached to the worker and arm portions 5 and 6 attached to arm portions or leg portions extending from the joints of the worker approaching the body portions 2 and 4. [ 6 permitting the operation of the arms 5 and 6 accompanied by the operation of the arm or leg of the operator mounted on the arms 5 and 6 and the permitting state permitting operation of the arm portions 5 and 6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s 2 and 4. [ 6) from a desired position, and has an operating portion (31) for operating the holding mechanism by being operated by an operator.

Description

자세 유지구{POSTURE HOLDER}POSTURE HOLDER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시에, 작업자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자세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ture maintaining apparatus for use by a worker and used for maintaining postures of an operator at the time of work.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되는 상부 부분, 및 작업자의 다리부에 장착되는 하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 부분에 걸쳐 고무 튜브 등의 탄성재를 접속한 것이 있다.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re are provided an upper portion mounted on a body portion of an operator and a lower portion mounted on a leg portion of an operator, And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tube is connected.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경우, 탄성재가 잡아 늘여져,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려고 하는 것으로, 특허문헌 1의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전굴)를 유지하는 경우에, 탄성체가 작업자를 보조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operator bends the upper body downward, the elastic material tends to stretch and the elastic material tries to lift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As shown in Fig. 1 (B) In the case of maintaining a state of bending forward (downward), the elastic body assists the operator.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9276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192764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494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284942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하고 있어,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히는 경우, 작업자는 탄성재를 잡아 늘이면서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탄성재에 저항하여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힐 때 저항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when the worker always bends the upper body downward from the upright state,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while stretching the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worker may feel resistance when bent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downward direction.

다음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잡아 늘여질수록(작업자가 상체를 크게 전방 하방으로 굽힐수록),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은 커지므로,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탄성체의 들어올림력과 작업자의 상체의 중량이 균형이 맞는 각도는 1개소밖에 없다.Next, in Patent Document 1, the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s increased as the elastic material is stretched (the greater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downward and downward). Therefore, when the worker keeps the upper body bent forward and downward, There is only one angle at which the lifting force of the worker and the weight of the worker's upper body are balanced.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부족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내려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큰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올라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Thus,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worker keeps the upper body bent forward and downward, when the upper body is held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one angle, the worker does not have sufficient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t is necessary to apply force to the waist so that the upper body does not descend. 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body is held at an angle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one angle, the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s excessively strong for the operator, so the worker needs to apply a force to the waist to prevent the upper body from rising.

또한, 예를 들어 과수원에서는, 작업자의 신장보다도 약간 높은 정도의 시렁이 둘러쳐지고, 이 시렁에 포도 등의 과수를 재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과수원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시렁의 과수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에 큰 부하가 걸린다. 예를 들어 건물 내에서의 배관 및 배선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천장부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에 큰 부하가 걸린다.Further, for example, in a fruit orchard, a cache somewha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orker is surrounded, and fruit trees such as grapes are often grown in this cache. In such an orchard, the operator often works on the fruit of the upper cache with the forearm directed upward with the upper arm direc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is state, a heavy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arm of the worker. For example, when piping and wiring work are performed in a building, an operator may work on the piping and wiring of the upper ceiling portion with the forearm portion facing upward with the forearm portion orie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upper arm of the operator in this state.

이 경우, 특허문헌 1은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므로, 이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상완부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키는 자세 유지구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atent document 1 reduces the load on the waist of the operator, there is a demand for a posture maintaining mechanism for reducing the load on the forearm of the operato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 또는 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때, 자세 유지구가 저항으로 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또한 작업자가 팔부 또는 다리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in which, when an operator moves the arm portion or the leg portion to a desired position, the posture maintaining means does not become a resistance in the posture maintaining means mounted and used by an operator,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hold the part at various desired positions.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자세 유지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n attitude holding tool capable of reducing a load applied to an upper arm of a worker in an attitude adjusting tool mounted and used by an operator.

본 발명에 관한 자세 유지구는, 작업자에게 장착되는 본체부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sture maintaining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mounted to an operator;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 근접하는 작업자의 관절부로부터 연장되는 팔부 또는 다리부에 장착되는 아암부와,An arm portion provided on the main body portion and mounted on an arm portion or a leg portion extending from a joint portion of an operator close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와,A retaining mechanis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permitting state permit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accompanied by an operation of an arm or a leg portion of an operator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a retaining state maintaining the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And an operation unit that operates the holding mechanism by being operated by an operator.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기구의 허용 상태에 의해,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움직이는 데 수반하여 아암부가 팔부(다리부)에 추종하도록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holding tool is mounted, the arm is moved so as to follow the arm portion (leg portion) as the operator moves the arm portion (leg portion) by the permissive state of the holding mechanism.

이에 의해, 팔부(다리부)의 동작에 대해 아암부가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팔부(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since the arms do not become resistance to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s (leg portions),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move the arm portions (leg portions) in the state in which the posture holding holes are mounted,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아암부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에,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Next, when the worker moves the arm portion (leg portion)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n the worker operates the retaining mechanism to the retained state, the arm portion is held at the desired position, so that the worker places the arm portion You can keep it comfortable in the desired position. Further,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holding mechanism to the holding state after the operator moves the arm portion (leg portion) to another desired position,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hold the arm portion (leg portion) at the desir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이에 의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하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Thus,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hold the arm portion (leg portion) at various desired posi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is mounted, and the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can be improved.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n electric cylinder or the like for driving the arm portion in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thereby providing a lightweight and inexpensive posture holding mouth.

상기 구성에 있어서,In the above configuration,

상기 유지 기구가,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comprises: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저지하여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일방향 기구와,A unidirectional mechanism for permit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arm portion accompanied by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or the leg portion of the operator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for holding the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by inhibi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downward;

상기 일방향 기구에 의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의 저지를 해제하여,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And a release mechanism for releasing the inhibition of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by the unidirectional mechanism to the downward direction and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to be performed downward,

상기 조작부가, 상기 해제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portion operates the releasing mechanism.

상기 구성에 있어서,In the above configuration,

상기 유지 기구가,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comprises: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저지하여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일방향 기구와,A unidirectional mechanism for permit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arm portion accompanied by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or the leg portion of the operator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for holding the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by inhibi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downward;

상기 본체부와 상기 아암부를 접속하여 상기 일방향 기구를 기능시키는 접속 상태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아암부를 차단하여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접속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A connection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rm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ne-way mechanism functions; and a connection mechanism capable of switch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rm portion to a blocking state for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접속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section operates the connection mechanism.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아암부에 맡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경우, 팔부(다리부)를 아암부에 의해 받아내면, 작업자에게 있어서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When the operator holds the arm portion (leg portion) in the desired position by holding the arm portion (leg portion) with the arm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holding tool is mounted, .

본 구성에 따르면, 일방향 기구와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구비하여, 자세 유지구의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 one-way mechanism and a release mechanism (connection mechanism) are provided to constitute a holding mechanism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이에 의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조작부에 의해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조작하지 않아도, 팔부(다리부)를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일방향 기구에 의해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되는 것에 의한),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the operator can move the arm portion (leg portion) upward without operating the disengagement mechanism (connection mechanism) by the operation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means is mounted (the upward movement of the arm portion The operation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can be improved.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멈추면, 멈춘 위치로부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조작이 일방향 기구에 의해 저지되므로, 이 멈춘 위치에 있어서 아암부가 유지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팔부(다리부)(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worker stops the upward movement of the arm portion (leg portion), the operation from the stopped position to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arm portion is blocked by the one-way mechanism, so that the arm portion is held at the stopped position . Thereby, the operator can keep the arm portion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작업자는 조작부에 의해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해제 상태(차단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팔부(다리부)를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팔부(다리부)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에 수반하여, 아암부가 팔부(다리부)에 추종하도록 하방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 이후, 작업자가 조작부에 의해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정지 상태(접속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팔부(다리부)(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operator moves the arm portion (leg portion) downward, the operator can move the arm portion (leg portion) downward by operating the disengaging mechanism (connection mechanism) As the arm part (leg part) moves downward, the arm part moves downward to follow the arm part (leg part). Thereafter,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disengaging mechanism (connection mechanism) to the stopped state (connected state) by the operation unit, the operator can keep the arm portion (arm portion)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이상과 같이, 본 구성에 따르면, 일방향 기구의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유지 기구를 일방향 기구 및 해제 기구(접속 기구)에 의해 간소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holding mechanism is constituted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function of the one-way mechanism, the holding mechanism can be simply constituted by the one-way mechanism and the releasing mechanism (connection mechanism).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작업자의 몸통부 또는 어깨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아암부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되는 것이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portion is mounted on the body portion or the shoulder portion of the operator, and the arm portion is mounted on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perator.

예를 들어 과수원에서는, 작업자의 신장보다도 약간 높은 정도의 시렁이 둘러쳐지고, 이 시렁에 포도 등의 과수를 재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과수원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시렁의 과수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건물 내에서의 배관 및 배선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천장부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For example, in the orchard, a cache somewha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worker is surrounded, and fruit trees such as grapes are often grown in this cache. In such a fruit orchard, the worker often performs work on the fruit of the upward cache with the forearm directed upward with the upper arm direc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For example, when piping and wiring work are performed in a building, a worker may work the piping and wiring of the upper ceiling portion with the forearm portion facing upward with the upper arm portion orie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가 아암부에 장착되는 것이며, 작업자가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or's upper arm portion is mounted on the arm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is mounted, and the operator can hold the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by leaving the arm portion to the arm portion.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완부를 아암부에 의해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위치에 유지하고,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Thus, in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when the worker performs work on the upward flow of water, piping, and wiring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arm is orie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worker places the upper arm in a position And the forearm is directed upward, it is possible to work comfortably on the upper fruit, the pipe, and the wi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sture maintaining section suitable for work in an orchard or a building.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작업자의 전완부의 동작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아암부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arm portion so as to be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orearm portion of the operator.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가 아암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의 전완부는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perator is attached to the arm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is mounted, the forearm portion of the operator can move relatively freely.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아암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완부에 의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유지 기구를 허용 상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osition of the arm portion is changed in a state where the operator holds the arm portion at the desired position by leaving the arm portion at the desired position, the operating portion is operated by the forearm portion which is relatively freely movable, .

이후, 작업자가 상완부를 움직임으로써 아암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완부에 의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Thereafter, the operato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arm portion by moving the upper arm portion. By operating the operation portion with the forearm portion which can move relatively freely, the holding mechanism can be easily operated in the holding st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sture maintaining section suitable for work in an orchard or a building.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평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설정된 상방 설정 위치보다도 상방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아암부의 동작이 허용되도록, 상기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mechanis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is allow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n a range above the upwardly set position set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설정된 하방 설정 위치보다도 하방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아암부의 동작이 허용되도록, 상기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mechanis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is allow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in a range lower than the downwardly set position set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예를 들어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시렁이나 천장부의 높이는 대략 일정하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자세 유지구의 아암부를 대략 수평 위치로 유지해 두면,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한 작업은 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ork is performed in an orchard or a building, since the height of the ceiling or the ceiling is substantially constant, if the arm portion of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is maintained at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ition with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attached, Work on wiring can be done.

이것에 대해 바꾸어 말하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아암부를 대략 수평 위치로부터 크게 상방 또는 하방의 위치로 변경한 경우에는,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한 작업 이외의 작업을 행하는 상태인 것이 상정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arm portion is changed from a substantially horizontal position to a position that is significantly upward or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is mounted, a state in which an operation other than the upward flow of water, piping, and wiring is performed .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방 설정 위치보다도 상방의 범위(하방 설정 위치보다도 하방의 범위)에서는, 작업자는 조작부에 의해 유지 기구를 허용 상태로 조작하지 않아도 상완부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한 작업 이외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is mounted, in the range above the upwardly set position (in the range lower than the downwardly set position), the operator can freely move the forearm por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arry out operations other than work on the upward flow of water, piping and wiring,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ttitude maintenance hole suitable for work in an orchard or a building.

본 발명에 관한 자세 유지구는, 작업자의 허리부에 권취되어 장착되는 본체부와,The posture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which is wound around a waist of an operator and is mounted,

상기 본체부로부터 작업자의 등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와,A vertical fram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along the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상기 세로 프레임부로부터 작업자의 어깨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부와,A transverse frame portion extending transversely along the shoulder portion of the operator from the vertical frame portion,

상기 가로 프레임부의 좌우축의 중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되는 아암부와,An arm portion which is supported to be swingable upward and downward about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hafts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nd extends forward and is mounted on an upper arm portion of an operator,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상완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와,A retaining mechanis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permitting state permit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accompanied by an operation of an upper arm portion of an operator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a retaining state of holding the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And an operation unit that operates the holding mechanism by being operated by an operator.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허리부에 자세 유지구의 본체부를 권취하여 장착하여, 작업자의 상완부에 자세 유지구의 아암부를 장착한다. 따라서,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여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면, 작업자가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of the posture holding tool is wound around the waist portion of the worker, and the arm portion of the posture holding tool is mounted on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worker. Therefore, when the holding mechanism is operated to the holding state and the arm portion is held at the desired position, the operator can hold the arm portion at the desired position by leaving the arm portion to the arm portion.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완부를 아암부에 의해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위치로 유지하고,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Thus, when the worker performs work on the upper fruit, the pipe, and the wiring in a state where the upper arm is orie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the operation of the orchard or th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the worker places the upper arm with the arm portion And the forearm is directed upward so that it is possible to work comfortably on the upward flow of water, piping, and wiring.

이 경우,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아암부에 걸리는 부하는 가로 프레임부 및 세로 프레임부를 통해 본체부에 전달되어, 작업자의 허리부로 받아내어지는 것으로,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의 부하가 허리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아내어져 지지된다.In this case, a load applied to the arm portion from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worker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portion through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nd the vertical frame portion, and is received by the waist portion of the worker. Thus, the load from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worker is stably received .

이상과 같이 하여, 과수원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sture maintaining section suitable for work in the orchard.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하고 있고,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히는 경우, 작업자는 탄성재를 잡아 늘이면서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탄성재에 저항하여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힐 때 저항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elastic material always acts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and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downward from the upright state,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while stretching the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worker may feel resistance when bent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downward direction.

다음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잡아 늘여질수록(작업자가 상체를 크게 전방 하방으로 굽힐수록),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은 커지므로,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탄성체의 들어올림력과 작업자의 상체의 중량이 균형이 맞는 각도는 1개소밖에 없다.Next, in Patent Document 1, the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s increased as the elastic material is stretched (the greater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downward and downward). Therefore, when the worker keeps the upper body bent forward and downward, There is only one angle at which the lifting force of the worker and the weight of the worker's upper body are balanced.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부족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내려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큰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올라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Thus,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worker keeps the upper body bent forward and downward, when the upper body is held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above-mentioned one angle, the worker does not have sufficient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t is necessary to apply force to the waist so that the upper body does not descend. 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body is held at an angle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one angle, the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s excessively strong for the operator, so the worker needs to apply a force to the waist to prevent the upper body from ri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기구의 허용 상태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움직이는 데 수반하여 아암부가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holding tool is mounted, the state in which the arm moves so as to follow the upper arm accompanied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arm by the worker in accordance with the permissible state of the holding mechanism.

이에 의해, 상완부의 동작에 대해 아암부가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어,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since the arms do not become resistance to the operation of the upper arm, the operator can move the upper arm comfortably in the state where the posture maintaining tool is attached, and can move the upper arm part comfortably to the desired position, The workability of the sphere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작업자가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아암부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Next, when the operator moves the upper arm to the desired position and t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holding mechanism to the holding state, the arm portion is held at the desired posi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maintain the desired position by leaving the upper arm to the arm portion .

이 경우, 작업자가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에,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해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operator operates the retaining mechanism to the retained state after moving the upper arm to another desired position,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maintain the upper arm at another desired positio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can keep the upper arm comfortably at various desired positions in one state, and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can be improved.

또한,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하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Further,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n electric cylinder or the like for driving the arm portion in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a lightweight and inexpensive posture holding mouth can be obtain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의 어깨부에 장착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부 및 상기 가로 프레임부가 작업자의 등부로부터의 이격되는 것을 저지하는 벨트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a belt mounted on a shoulder portion of an operator and preventing the vertical frame portion and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orker's back portion is provided.

작업자의 허리부에 본체부를 권취하여 장착하고, 작업자의 상완부에 아암부를 장착하면, 세로 및 가로 프레임부는 작업자의 등부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main body is wound on the waist of the operator and mounted, and the arm is mounted on the upper arm of the operator,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 portions are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operator.

이 경우에, 본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의 어깨부에 벨트를 장착함으로써, 세로 및 가로 프레임부가 작업자의 등부와 이격되지 않도록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아암부에 걸리는 부하가 본체부에 전달되어, 작업자의 허리부에 받아 내어지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belt is attached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operator,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 portions can follow the operator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And is received by the waist of the worker, so that the function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can be enhanc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아암부의 위치를 횡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가로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verse adjuster includes a transverse adjuster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rm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frame.

본 구성에 따르면,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아암부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횡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작업자의 체격(특히, 작업자의 어깨 넓이)에 맞추어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adjust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worker's physiqu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in conformity with the physique of the operator (in particular, the shoulder width of the operator) The function of the holding structure can be enhanc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아암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전후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and rear regulating portions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fram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provided.

본 구성에 따르면,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아암부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작업자의 체격(특히, 작업자의 상완부의 길이)에 맞추어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is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ccording to the operator's physique,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can be fitted to the physique of the operator (in particular, the length of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function of the posture maintaining ball.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가로 프레임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상하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frame portion is provided with a vertical adjustment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구성에 따르면, 세로 프레임부에 대한 가로 프레임부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작업자의 체격(특히, 작업자의 신장)에 맞추어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is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worker's physique,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can be fitted to the physique of the operator (in particular, the worker's elongation) The function of the holding structure can be enhanced.

본 발명에 관한 자세 유지구는,In the posture maintain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의 등부에 장착되는 프레임부와,A frame portion mounted on a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상기 프레임부의 우측 및 좌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우측 및 좌측부의 좌우축의 중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우측 및 좌측 아암부와,A right side and a left side which are swingable up and down around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hafts of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part and which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arts of the operator and forwardly extending from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part, A left arm portion,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횡방향 외측으로의 동작에 대해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기구와,A resistance mechanism for imparting resistance to an operation of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outside,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상완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와,A holding mechanis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permitting state permitting the arm portion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n upper arm portion of an operator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a holding state in which the arm portion is held at a desir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portion,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And an operation unit that operates the holding mechanism by being operated by an operator.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등부에 프레임부를 장착하고,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자세 유지구의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장착한다. 따라서,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ortion is mounted on the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and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of the posture holding tool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Therefore, whe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held at desired positions by operating the holding mechanism in the holding state, the operator can hold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at the desired positions by leaving them to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의해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위치에 유지하고, 우측 및 좌측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Thus, when the worker performs work on the upward flow of water, piping, and wiring in a state where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are orie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in an operation in an orchard or a building as described above, By holding the upper arm portion at a position substantially horizontally directed by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nd directing the right and left forearm portions upward, it is possible to work comfortably on the upper side water, the piping and the wiring.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하고, 우측 및 좌측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지치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에 더하여,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where the operator performs work in a state in which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are orie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and the right and left forearm portions are directed upward, when the operator is tired,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tend to descend downward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tendency to spread outward to the right and to the left 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횡방향 외측으로의 동작에 대해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지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를 저항 기구에 의해 억제할 수 있어,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istance mechanism for imparting resistance to the opera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uter side of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is provided,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are exhausted, The state can be suppressed by the resistance mechanism, and work can be performed comfortably on the upward flow of water, piping, and wiring.

이상과 같이 하여,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sture maintaining mouth suitable for work in an orchard or a building.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하고 있고,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히는 경우, 작업자는 탄성재를 잡아 늘이면서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탄성재에 저항하여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힐 때 저항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elastic material always acts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and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downward from the upright state,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while stretching the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worker may feel resistance when bent from the upright state to the downward direction.

다음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잡아 늘여질수록(작업자가 상체를 크게 전방 하방으로 굽힐수록),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은 커지므로,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탄성체의 들어올림력과 작업자의 상체의 중량이 균형이 맞는 각도는 1개소밖에 없다.Next, in Patent Document 1, the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s increased as the elastic material is elongated (the greater the worker bends the upper body downward and downward), so that when the worker keeps the upper body bent forward and downward, There is only one angle at which the lifting force of the worker and the weight of the worker's upper body are balanced.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부족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내려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큰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올라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Thus, in Patent Document 1, in the case where the worker holds the upper body bent forward and downward, when lifting the upper body at an angle smaller than the angle of one position described above, the worker does not have enough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t is necessary to apply force to the waist so that the upper body does not descend. On the contrary, when the upper body is held at an angle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one angle, the lifting force of the elastic material is excessively strong for the operator, so the worker needs to apply a force to the waist to prevent the upper body from rising.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기구의 허용 상태에 의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움직이는 것에 수반하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operator moves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arts in accordance with the allowable state of the holding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holding tool is mounted, the right and left arm parts move to follow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arts .

이에 의해, 우측 및 좌측 상완부의 동작에 대해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since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do not become resistance to the operation of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move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while the posture maintaining means is mounted.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can be improved.

다음으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Next, when the operator moves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arts to desired positions and t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holding mechanism to the holding state, the right and left arm parts are held at the desired positions, So that it can be kept in a desired position comfortably.

이 경우,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에,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해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operator operates the retaining mechanism to the retained state after the operator has moved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to another desired position,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maintain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at other desired positions as described above , The operator can comfortably hold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at various desired posi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tool is mounted,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tool.

또한,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n electric cylinder or the like for driving the arm portion in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a lightweight and inexpensive posture holding mouth is obtain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항 기구가,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에 가압하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stance mechanism is constituted by a spring that presses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to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rame portion.

본 구성에 따르면, 저항 기구가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질수록,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의 변위가 커져, 이 스프링의 가압력(저항)이 커지므로, 작업자가 지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잘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resistance mechanism is constituted by a spring, and the displacement of the spring for urging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to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rame portion becomes smaller as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spread outward to the right and left lateral sides (Resistance) of the spring is increased,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situation in which the operator is exhausted and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are spread outward in the right and left lateral directions,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have.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는 경사 자세로 되어,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inclined postures where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pproach each other as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spaced forward from the fram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are not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It is suitable if a spring is installed.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이면, 스프링에 변위가 발생하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의 가압력이 발생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operator extends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arts in parallel while the posture maintaining tool is mounted, displacement of the spring occurs and the urging force of the spring for urging the right and left arm parts toward the left- Occurs.

이에 의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인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 스프링의 가압력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걸리므로,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가 억제되면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인 통상의 상태에서의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pressed toward the right and left central portions of the frame portion in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extend in parallel,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s is applied to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stably perform the operation in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arts extend in parallel to the right and left sides while suppressing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left arm parts extend to the right and left lateral outer sides, .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으로서 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구성하고,In the above arrangement, the leaf spring is provided as the spring to constitute the frame portion,

상기 판 스프링이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 전체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pressed toward the right and left central portions of the frame portion by bending the plate spring to bend the entire frame portion.

본 구성에 따르면,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프레임부가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되므로, 자세 유지구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frame portion has a function of pressing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rame portion without providing a separate spring for pressing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to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rame portion, .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コ자 형상의 수용부를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구비하고,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located outside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and a U-shaped receiving portion opened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 sides of the frame portions is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수용부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삽입함으로써,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by inserting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into the receiving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コ자 형상의 수용부가,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구비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configuratio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located outside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holding tool is mounted, and the accommodating portions, which are opened toward the right and left central sides of the frame portion, Right and left arm portions.

이에 의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장착하는 경우,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횡방향 외측으로 움직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수용부에 삽입함으로써,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용이하게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장착된 상태로 되는 것으로,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when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are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the operator moves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laterally outward and inserts them into the receiving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The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is facilitated,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can be improved.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인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되어, 이 스프링의 가압력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걸리는 구성이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수용부로부터 빠지기 어려운 상태로 되는 것이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의 장착 상태가 확실한 것으로 된다.If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re pressed to the right and left central portions of the frame portion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s is applied to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of the operator in a normal state in which the operator extends the right and left upper arm portions in parallel, The upper arm portion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upper arm portion to escape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and the mounting state to the right and left arm portions becomes secure.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하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The operator can comfortably hold the arm portion (the leg portion) at various desired posi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maintaining means is mounted, so that the workability of the posture maintaining means can be improved and the electric cylinder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lightweight and inexpensive posture holding tool.

도 1은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자세 유지구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자세 유지구의 하부 프레임부, 세로 프레임부,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 가설 부재, 커버 등을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자세 유지구의 세로 프레임부,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 가설 부재, 지지 부재 등을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세 유지구의 제2 가로 프레임부, 기판, 제1 아암부 및 유지 기구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자세 유지구의 기판 및 유지 기구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자세 유지구의 제2 가로 프레임부, 제1 및 제2 아암부, 세로 수용부, 하부 수용부 및 상부 수용부, 조작부 등을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자세 유지구의 제1 및 제2 아암부, 세로 수용부, 하부 수용부 및 상부 수용부, 조작부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b는 자세 유지구의 제1 및 제2 아암부, 세로 수용부, 하부 수용부 및 상부 수용부, 조작부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를 좌측의 횡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자세 유지구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의 제2 가로 프레임부, 제1 아암부, 전자 클러치 및 원웨이 클러치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worker mounts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as viewed from the front.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ture maintaining mechanism viewed from the rear.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frame portion, the vertical frame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the hood member, the cover, and the like of the posture holding aperture as viewed from the rear upper sid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the temporary fixing member, the support membe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the substrate, the first arm portion, the holding mechanism, and the like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as viewed from front and abov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strate and a holding mechanism of the posture maintaining sphere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above.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the lower receiving portion, the upper receiving portion, the operation portion,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the longitudinal accommodating portion,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the manipulating portion, and the like of the posture maintaining aperture as viewed from front and above.
Fig. 8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the longitudinal accommodating portion,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the manipulating portion, and the like of the posture maintaining aperture as viewed from front and above.
9 is a side view of the left side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or holds the posture maintaining tool.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posture maintaining aperture viewed from above.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the first arm portion, the electromagnetic clutch, the one-way clutch, etc.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front and above.

[1][One]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세 유지구는, 하부 프레임부(1)(본체부, 프레임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본체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제1 가로 프레임부(3)(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세 유지구는, 우측 및 좌측 제2 가로 프레임부(4)(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제1 아암부(5)(아암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제2 아암부(6)(아암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유지 기구(7)(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세 유지구는,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고정용의 우측 및 좌측 벨트(8), 패드(9), 작업자의 어깨부에의 고정용의 우측 및 좌측 벨트(10) 등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2 and 3, the posture maintaining device includes a lower frame portion 1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a right and left vertical frame portion 2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And right and left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s 3 (corresponding to a body portion, a horizontal frame portion, and a frame portion). The posture maintaining device includes right and left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4 (corresponding to the body portion,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and the frame portion), right and left first arm portions 5 (corresponding to the arm portions) A left second arm portion 6 (corresponding to the arm portion), and right and left holding mechanisms 7 (see Fig. 6). The posture maintaining means includes right and left side belts 8 and 9 for fixing to the waist of an operator, right and left belts 10 for fixing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orker, and the like.

이하에, 각 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설명 중의 「상」「하」 「우」「좌」「전」「후」는,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보아 상, 하, 우, 좌, 전, 후를 의미하고 있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part will be described. In this case, "top", "bottom", "right", "left", "front", and "rear" in the description indicate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or holds the posture maintaining mechanism, It means after.

[2][2]

하부 프레임부(1),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에 대해 설명한다.The lower frame portion 1 and the right and left vertical frame portions 2 will be described.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부(1)는 판금제로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지 기구(7)[솔레노이드(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8)가 장착되고,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고정용으로 직물제의 벨트(8)가 하부 프레임부(1)의 우측 및 좌측 횡부에 장착되어 있다. 합성 수지제의 커버(15)가, 하부 프레임부(1)의 후방측부에 장착되어 있고, 커버(15)에 의해 배터리(18)나 벨트(8)의 하부 프레임부(1)에의 장착 부분, 후술하는 세로 프레임부(2)의 하부 프레임부(1)에의 연결 부분이 덮여 있다.1, 2, and 3, the lower frame portion 1 is formed in a sheet metal box shape and includes a battery 18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lding mechanism 7 (solenoid 23) And a belt 8 made of woven fabric is attached to the right and left lateral portions of the lower frame portion 1 for fixing to the waist of the worker. A cover 15 made of synthetic resin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frame part 1 and the cover 15 covers the mounting part of the battery 18 and the belt 8 on the lower frame part 1, And a conn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to be described later to the lower frame portion 1 is covered.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금제의 세로 프레임부(2)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하부 프레임부(1)의 우측 및 좌측 횡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판금제(판 스프링제)이며 평판 형상인 가설 부재(11)(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및 판 스프링에 상당)가,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고, 판금제(판 스프링제)의 평판 형상이며 원호 형상인 가설 부재(12)(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및 판 스프링에 상당)가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에 걸쳐 가설 부재(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made of sheet metal is connected to the right and left lateral portions of the lower frame portion 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extends upward have. (Equivalent to a frame portion, a resistance mechanism, a spring, and a leaf spring) of a flat plate shape and made of sheet metal (plate spring) are connected across the upper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vertical frame portions 2, (Corresponding to a frame portion, a resistance mechanism, a spring, and a leaf spring) which is a flat plate-shaped and arcuate flat plate member (made of a leaf spring)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and left vertical frame portions 2, As shown in Fig.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부(1),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 가설 부재(11)에 걸쳐,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인 패드(9)가 장착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패드(9)]와 벨트(8)에 걸쳐 우측 벨트(10)가 장착되고, 좌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패드(9)]와 벨트(8)에 걸쳐 좌측 벨트(10)가 장착되어 있다.A pad 9 having a rect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front is formed on the lower frame portion 1, the right and left vertical frame portions 2 and the mounting member 11 as shown in Figs. 2, 3 and 4 Respectively. The right side belt 10 is mounted on the upper part (pad 9) of the righ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belt 8 and the upper part (pad 9) of the left vertical frame part 2 and the belt 8 The left belt 10 is mounted.

[3][3]

다음으로, 우측 및 좌측 제1 가로 프레임부(3), 우측 및 좌측 제2 가로 프레임부(4)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right and left first horizontal frame parts 3 and the right and left second horizontal frame parts 4 will be described.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제1 가로 프레임부(3)가 볼트(13)에 의해 세로 프레임부(2)에 연결되어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에 상하 방향의 긴 구멍(2a)(상하 조절부에 상당)이 형성되어, 볼트(13)가 세로 프레임부(2)의 긴 구멍(2a)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고, 세로 프레임부(2)에 대한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위치를, 세로 프레임부(2)의 긴 구멍(2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made of metal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by the bolts 13 and extends outward in the right and left lateral directions have. An elongated hole 2a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adjustment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so that the bolt 13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2a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fastened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part 3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part 2 can be adjusted up and down along the long hole 2a of the vertical frame part 2. [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질의 합성 수지제로 블록 형상의 지지 부재(14)가 판금제의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에 장착되어 있고,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 및 지지 부재(14)가 볼트(16)에 의해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연결되어, 제2 가로 프레임부(4)가 제1 가로 프레임부(3)로부터 우측(좌측) 횡방향 외측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a rigid synthetic resin block-like support member 14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4a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made of sheet metal, The base portion 4a and the support member 14 of the frame portion 4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by the bolts 16 so that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is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 (Left) transversely outwardly obliquely forward from the seat back 3.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 및 지지 부재(14)(전후 조절부에 상당)에 좌우 방향의 긴 구멍[4b(가로 조절부에 상당), 14a(가로 조절부에 상당)]이 형성되어, 볼트(16)가 제2 가로 프레임부(4) 및 지지 부재(14)의 긴 구멍(4b, 14a)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다.3 and 4, the base portion 4a and the support member 14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regulating portions)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have elongated holes 4b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bolt 16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s 4b and 14a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support member 14 and fastened thereto .

이에 의해,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위치를, 제2 가로 프레임부(4) 및 지지 부재(14)의 긴 구멍(4b, 14a)을 따라 좌우 방향(횡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1 및 제2 아암부(5, 6)[제2 가로 프레임부(4)에 지지되는]의 위치를, 좌우 방향(횡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osition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can be adjust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long holes 4b, 14a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support member 14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supported by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can be adjusted in the direction (lateral direction) It can be adjusted in the lateral direction (lateral direc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커버(17)가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후방측부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17)에 의해 가설 부재(11, 12)의 세로 프레임부(2)에의 연결 부분,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 및 지지 부재(14)가 덮여 있다.2 and 3, a cover 17 made of synthetic resin is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As shown in Fig. The cover 17 cover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s 2 and the base member 4a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support member 14 of the viscous members 11 and 12.

[4][4]

다음으로, 우측 및 좌측 제1 아암부(5), 유지 기구(7)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right and left first arm portions 5 and the holding mechanism 7 will be described.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에 기판(19)이 연결되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 및 기판(19)에 동심 형상의 개구부(4d, 19a)가 형성되어 있고, 기판(19)의 개구부(19a)의 내주부에 볼록부(19b)가 형성되어 있다.The substrate 19 is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4c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so that the front portion 4c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front portion 4c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convex portions 19b ar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opening 19a of the substrate 19. The convex portion 19b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9a.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아암부(5)의 베이스부(5a)에 원판부(5b)가 장착되어 있고,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가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 및 기판(19)의 개구부(4d, 19a)에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가 기판(19)의 볼록부(19b)의 내측부에 접촉하고 있다. 링 형상의 기판(5c)이 구비되어, 볼트(38)가 제1 아암부(5)의 베이스부(5a), 원판부(5b) 및 기판(5c)에 걸쳐 체결되어 있고, 기판(19)의 볼록부(19b)가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 및 기판(5c)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다.The disc portion 5b of the first arm portion 5 is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5a of the first arm portion 5 and the disc portion 5b of the first arm portion 5 is fixed to the base portion 5a of the first arm portion 5 as shown in Figs. 2 are inserted from the inside into the front portion 4c of the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openings 4d and 19a of the substrate 19 so that the disc portion 5b of the first arm portion 5 is inserted into the openings 4d and 19a of the substrate 19 And contacts the inner side of the convex portion 19b. A ring shaped substrate 5c is provided so that the bolt 38 is fastened to the base portion 5a, the circular plate portion 5b and the substrate 5c of the first arm portion 5, The convex portion 19b of the first arm portion 5 is sandwiched by the disc portion 5b of the first arm portion 5 and the substrate 5c.

이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아암부(5)가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 및 기판(19)의 개구부(4d, 19a)의 좌우축의 중심 P1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판(19)의 볼록부(19b)가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 및 기판(5c)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는 점, 및 후술하는 피결합부(20)[제1 아암부(5)의 기판(5c)에 연결되어 있음]가 기판(19)의 개구부(19a)의 테두리부에 접촉하고 있는 점에 의해, 제1 아암부(5)는 제2 가로 프레임부(4) 및 기판(19)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5 and 6, the first arm portion 5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ortion 4c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openings 4d and 19a of the substrate 19, And is supported so as to swing up and down around the center P1 of the shaft. The convex portion 19b of the substrate 19 is sandwiched by the disk portion 5b and the substrate 5c of the first arm portion 5 and the point where the to-be-engaged portion 20 (Connected to the substrate 5c of the arm portion 5) is in contact with the rim portion of the opening 19a of the substrate 19, the first arm portion 5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substrate 19 as shown in Fig.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비스듬한 기어 티스를 구비한 피결합부(20)(일방향 기구에 상당)가, 볼트(38)에 의해 제1 아암부(5)의 기판(5c)에 연결되어, 기판(19)의 좌우축의 중심 P2 주위로 결합 갈고리부(21)(일방향 기구에 상당)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결합 갈고리부(21)를 피결합부(20)에의 결합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2)(일방향 기구에 상당)이 구비되어 있다.The engaging portion 20 (corresponding to the one-way mechanism) having a plurality of oblique gear teeth is fixed to the base 5c of the first arm portion 5 by bolts 38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an engaging pawl portion 21 (corresponding to a one-way mechanism) is pivotally supported around the center P2 of the left and right shafts of the substrate 19. The engaging pawl portion 2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20 And a spring 22 (corresponding to a unidirectional mechanism) for pressing against the engagement side.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9)에 솔레노이드(23)(해제 기구에 상당)가 고정되어 있고, 결합 갈고리부(21)와 솔레노이드(23)에 걸쳐 접속 부재(24)가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3)는, 하부 프레임부(1)에 구비된 배터리(18)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이며, 후술하는 조작부(31)의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의해, 통전 상태로 되어 수축 작동한다.5 and 6, a solenoid 23 (corresponding to a release mechanism) is fixed to the substrate 19, and a connection member 24 is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claw portion 21 and the solenoid 23 It is connected. The solenoid 23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18 provided in the lower frame portion 1. The solenoid 23 is energized by an operation signal from a limit switch (not shown) of the operation portion 31 And the shrinking operation is performed.

이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범위에 있어서, 제1 아암부(5)가 상방으로 조작되면, 스프링(22)에 저항하여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로부터 빠져 다시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상태가 반복되어, 제1 아암부(5)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된다(허용 상태).5 and 6, when the first arm portion 5 is operated upward in the range where the engaging claw portion 21 is engaged with the engaged portion 20, the spring 22 The engagement pawl portion 21 is retracted from the engaged portion 20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ed portion 20 again so that the upward movement of the first arm portion 5 is permitted Permission status).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범위에 있어서, 제1 아암부(5)가 하방으로 조작되려고 해도, 결합 갈고리부(21)와 피결합부(20)의 결합에 의해, 제1 아암부(5)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된다(유지 상태). 솔레노이드(23)에 통전하여 수축 작동시켜 결합 갈고리부(21)를 피결합부(20)로부터 이격 조작하면, 제1 아암부(5)를 자유롭게 상방 및 하방으로 조작할 수 있다.Even if the first arm portion 5 is to be downwardly moved in the range where the engaging claw portion 21 is engaged with the engageable portion 20,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claw portion 21 with the engaged portion 20 The operation of the first arm portion 5 to the downward direction is blocked (maintained state). When the solenoid 23 is energized and contracted to operate the engaging pawl portion 21 away from the engaged portion 20, the first arm portion 5 can be freely operated upwards and downwards.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결합부(20), 결합 갈고리부(21), 스프링(22) 및 솔레노이드(23) 등에 의해 유지 기구(7)가 구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제의 커버(25)가 기판(19)의 횡방향 외측부에 장착되어 있고, 커버(25)에 의해 피결합부(20), 결합 갈고리부(21), 스프링(22) 및 솔레노이드(23),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 및 기판(5c) 등이 덮여 있다. 합성 수지제의 커버(39)가, 제1 아암부(5)의 베이스부(5a)의 내측부에 장착되어 있다.The retaining mechanism 7 is constituted by the engaging portion 20, the engaging claw portion 21, the spring 22 and the solenoid 23 as shown in Figs. 2, 5 and 6. A synthetic resin cover 25 is mounted on the transversely outer side portion of the board 19 and the cover 25 covers the engaging portion 20, the engagement claw portion 21, the spring 22, and the solenoid 23 The disk portion 5b of the first arm portion 5, the substrate 5c, and the like are covered. A synthetic resin cover 39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portion 5a of the first arm portion 5. [

[5][5]

다음으로, 우측 및 좌측 제2 아암부(6)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right and left second arm portions 6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아암부(6)의 상부 및 하부의 테두리부에 레일부(6a)가 구성되어, 제2 아암부(6)의 상부 및 하부의 레일부(6a)가 제1 아암부(5)의 상부 및 하부의 테두리부(5d)에 끼워 넣어져 있고, 제2 아암부(6)가 제1 아암부(5)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부(5)에 대해 제2 아암부(6)를 원하는 장착 위치에서 고정하는 노브가 달린 볼트(26)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아암부(5)에 대한 제2 아암부(6)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아암부(6)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rail portion 6a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second arm portion 6 and the upper and lower rail portions 6a of the second arm portion 6 The second arm portion 6 is fitted in the upper and lower frame portions 5d of the first arm portion 5 so that the second arm portion 6 can sl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rm portion 5 . A bolt 26 having a knob for fixing the second arm portion 6 at a desired moun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portion 5 is provided. By thus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6 with respect to the first arm portion 5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6 with respect to the first lateral frame portion 3 is chang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도 2, 도 7,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아암부(6)의 전방부에 상하 방향의 세로 수용부(27)(수용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고, 세로 수용부(27)의 하부로부터 횡방향 내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하부 수용부(28)(수용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아암부(6)의 횡방향 내측부, 세로 수용부(27)의 횡방향 내측부 및 하부 수용부(28)의 상면부에, 패드(32, 33, 34)가 장착되어 있다.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27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6 as shown in Figs. 2, 7 and 8A, and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27 A lower receiving portion 28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portion) extending in a cantilevered mann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Pads 32, 33, and 34 are mounted on the transversely inner side por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6, the transversely inner sid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accommodating portion 27,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

도 2, 도 7,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수용부(27)의 상부의 전후축의 중심 P3 주위로, L자 형상의 상부 수용부(29)(수용부에 상당)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부 수용부(29)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0)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 수용부(29)는 세로 수용부(27)와의 접촉에 의해 도 8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는 요동할 수 없고, 스프링(30)에 저항하여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에 의해, 좌우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コ자 형상(C자 형상)의 수용부가 구성되어 있다.An L-shaped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swingable around the center P3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accommodating portion 27 as shown in Figs. 2, 7 and 8A A spring 30 for supporting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downward is provided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is moved downwar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And can swing upward against the spring 30 as shown in Fig. 8B. Thus,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27, the lower receiving portion 28,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9 constitute a receiving portion of a U-shape (C-shaped) opened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ral sides.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수용부(29)의 전방부의 경사축의 중심 P4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조작부(31)가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조작부(31)가 하방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조작부(31)는, 상부 수용부(29)의 스토퍼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8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는 요동할 수 없고, 스프링에 저항하여 도 8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요동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요동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상부 수용부(29)에 구비되어 있다.The operating portion 31 is supported so as to be swingable about the center P4 of the inclined shaft of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and the operating portion 31 is pushed downward by a spring And is pressurized. The operating portion 31 can not swing downwar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8A by the stopper portion (not shown) of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and can not pivot downwar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And a limit switch (not shown) for detecting the upward swinging of the operating portion 31 is provid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As shown in Fig.

[6][6]

다음으로, 자세 유지구의 장착에 대해 설명한다.Next, mounting of the posture maintaining mouth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자세 유지구를 등에 메도록 하여, 작업자의 어깨부에 벨트(10)를 장착하고, 패드(9)를 작업자의 등부에 대고, 하부 프레임부(1)를 작업자의 허리부에 댄다. 벨트(8)에 면 파스너(도시하지 않음)[상품명·매직 테이프(등록 상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벨트(8)를 작업자의 허리부에 권취하여 면 파스너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1) 및 벨트(8)를 작업자의 허리부에 장착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operator places the belt 10 on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orker by placing the posture holding tool on the back, putting the pad 9 against the back portion of the worker, 1) to the waist of the worker. Since the belt 8 is provided with a face fastener (not shown) (trade name: Magic Tape (registered trademark)), the operator winds the belt 8 around the waist of the worker, 1 and the belt 8 to the waist of the worker.

이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1) 및 벨트(8)가 작업자의 허리부에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부(1)로부터 작업자의 등부를 따라 세로 프레임부(2)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세로 프레임부(2)로부터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가 작업자의 어깨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는 것이며, 하부 프레임부(1), 세로 프레임부(2),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가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Thereby, the lower frame part 1 and the belt 8 are attached to the waist of the operator, the vertical frame part 2 extends upward from the lower frame part 1 along the back part of the operator,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extend from the upper frame portion 2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shoulder portion of the operator and the lower frame portion 1,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are mount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operator.

다음으로,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부 수용부(29)를 상방으로 조작하고, 작업자의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삽입하여, 상부 수용부(29)를 하방으로 조작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The upper receiving portion 29 is operated upward and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worker is placed in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27. [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to operate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downward.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mounted on the upper arm of the operator.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좌우축의 중심 P1)가 작업자의 어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작업자의 어깨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세로 프레임부(2)에 대한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장착 위치를 사전에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고(전항 [3] 참조),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장착 위치를 좌우 방향(가로 방향)으로 사전에 조절해 둔다(전항 [3] 참조).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center P1 of the left and right shafts) is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height as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orker,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is adjusted in adv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fer to [3]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rame portion 4 is adjusted in advance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lateral direction) (see [3] in the preceding paragraph).

작업자의 팔꿈치부가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의 약간 전방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전완부의 굴신 동작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도록,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아암부(6)의 장착 위치를 사전에 전후 방향으로 조절해 둔다(전항 [5] 참조).The elbow portion of the worker is located slightly forward of the vertical accommodating portion 27,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so as to be able to perform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forearm of the worker, 3) of the second arm portion 6 is adjusted in advan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ee [5]).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작업자의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삽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제2 가로 프레임부(4)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는 경사 자세로 되도록,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에의 가설 부재(11, 12)의 연결 상태가 설정되어 있다.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10, when the operator does not insert the posture maintaining member in the vertical accommodating portion 27,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The right and left vertical frame portions 2 are formed so that the right and left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inclined toward each other as they are spaced forward from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in the state [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mounting members 11 and 12 is set.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완부를 전방을 향하게 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가볍게 압박되는 상태로 되므로, 작업자의 상완부와 제1 및 제2 아암부(5, 6)[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의 일체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상완부가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가설 부재(12)가 손잡이부로 되어 있어, 가설 부재(12)를 잡음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lightly pressed against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perator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directs the upper arm portion for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the vertical accommodating portion 27,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27,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The posture maintaining member can be easily lifted by gripping the provisional member 12 by the provision of the temporary fixing member 12 in the state where the operator does not mount the posture maintaining member.

[7][7]

다음으로, 자세 유지구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제1).Next, the operation of the posture maintenance tool will be described (first).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완부를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맡겨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되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even when the worker places the upper arm in the second arm portion 6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while the operator holds the posture maintaining tool, The engaging pawl portion 21 is engaged with the engaged portion 20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is blocked so that the operator can keep the fore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have.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걸리는 부하는, 제1 아암부(5),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세로 프레임부(2) 및 벨트(10)를 통해, 하부 프레임부(1), 벨트(8) 및 패드(9)에 전달되어, 작업자의 허리부 및 등부나 어깨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아내어져 지지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arm portion 6 to the lower arm portion 6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of the operator is the same as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arm portion 5, The belt 8 and the pad 9 through the two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the belt 10 so that the waist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of the worker And it is supported and supported by the shoulder part.

특히 작업자의 어깨부에 벨트(10)를 장착함으로써, 작업자의 등부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부(2) 및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작업자의 등부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부(2) 및 제1 가로 프레임부(3)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음]. 이에 의해, 세로 프레임부(2) 및 제1 가로 프레임부(3)가 작업자의 등부와 이격되지 않도록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걸리는 부하가 낭비 없이, 하부 프레임부(1), 벨트(8) 및 패드(9)에 전달된다.Particularly, by attaching the belt 10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worker,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etermined at the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2)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part (3) do not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This allows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to follow the operator so as not to be distanced from the back portion of the operator. Thus, the second arm portion 6 (lower receiving portion 28) The belt 8 and the pad 9 without wasting the load applied to the lower frame portion 1, the belt 8 and the pad 9 without waste.

다음으로,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이면[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상방으로 조작되면], 스프링(22)에 저항하여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로부터 빠져 다시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상태가 반복되어, 제1 아암부(5)의 상방으로의 동작은 허용되게 되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상방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Next, when the operator moves the upper arm part upward (when the first and second arm parts 5 and 6 are operated upward), the engaging claw part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ngaged part 20 against the spring 22, The first arm portion 5 and the second arm portion 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rm portion 5 is allowed to move upward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To move upwards so as to follow the < / RTI >

이 경우,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여도, 상부 수용부(29)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작업자의 상완부가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로부터 상방으로 빠지지 않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스프링(30)의 가압력이 설정되어 있다.In this case, even if the operator moves the upper arm portion upwar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9 is opened upward, and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worker moves upward from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27, the lower receiving portion 28 and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9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30 is set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follow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perator.

다음으로, 작업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인 후에 상완부를 멈추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되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인 후에 상완부를 멈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Next, when the operator stops the upper arm portion after moving the upper arm portion upward as described above, the engaging claw portion 21 is engaged with the engaged portion 20 as shown in Fig. 6, 2 operation of the arm portions 5 and 6 is blocked, and the operator can keep the upper arm portion at a desired position (a position where the operator stops the upper arm portion after moving the upper arm portion upward).

다음으로, 작업자가 전완부를 상완부측으로 굽혀 전완부에 의해 조작부(31)를 상방으로 조작하면,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요동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의 조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23)에 통전되고, 솔레노이드(23)가 수축 작동하여,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로부터 이격 조작된다.Next, when the operator bends the forearm part toward the upper arm side and operates the operating part 31 upward by the forearm, the solenoid 23 is energized b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limit switch for detecting the upward swinging of the operating part 31 , The solenoid 23 contracts and the engaging pawl portion 21 is separated from the engaged portion 20.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작업자가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조작을 멈추면, 솔레노이드(23)에의 통전이 멈추어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22)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된다.Thus, when the operator moves the upper arm part upward and downward, the first and second arm parts 5, 6 move up and down so as to follow the upper arm part of the worker, The energization of the solenoid 23 is stopped and the engaging pawl portion 21 is engaged with the engaged portion 20 by the urging force of the spring 22 as described above.

[8][8]

다음으로, 자세 유지구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제2).Next, the operation of the posture maintenance tool will be described (second).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결합부(20)에 있어서 기어 티스가 존재하는 영역은 한정되어 있고, 피결합부(20)에 있어서 기어 티스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기어 티스)에 결합되지 않는 영역]이 피결합부(20)의 상측 및 하측에 존재한다. 피결합부(20)에 있어서 기어 티스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23)에 관계없이 결합 갈고리부(21)는 기능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area where the gear tooth exists in the engaged portion 20 is limited, and the area where the gear tooth does not exist in the engaged portion 20 (the engagement claw portion 21 are not coupled to the engaged portion 20 (gear teeth)) exist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engaged portion 20. The engagement claw portion 21 does not function regardless of the solenoid 23 in the region where the gear tooth is not present in the engaged portion 20. [

이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부(2)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수평 위치 A1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상방으로 설정된 상방 설정 위치 A2로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움직이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수평 위치 A1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하방으로 설정된 하방 설정 위치 A3으로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움직이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that is, the horizontal position A1 in the state where the worker mounts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When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moved to the upper set position A2, the engaging pawl portion 21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ngaged portion 20. When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moved to the downwardly set position A3 set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osition A1, the engaging claw portions 21 ar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engaged portions 20 State.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설정 위치 A2보다도 상방의 범위 및 하방 설정 위치 A3보다도 하방의 범위에 있어서, 결합 갈고리부(21)는 피결합부(2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조작부(31)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상방 및 하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조작부(31)의 조작에 관계없이 유지 기구(7)가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동작을 허용하는 상태에 상당].9, since the engaging pawl portion 21 is not engaged with the engaged portion 20 in the range above the upper set position A2 and below the lower set position A3,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can be freely moved upward and downwar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31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31, Corresponding to a state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이 경우, 수평 위치 A1과 하방 설정 위치 A3의 사이의 각도보다도, 수평 위치 A1과 상방 설정 위치 A2의 사이의 각도가 큰 것으로 되도록, 상방 설정 위치 A2가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etting position A2 is set to a higher position such that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position A1 and the upper setting position A2 is larger than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position A1 and the lower setting position A3.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상방 설정 위치 A2에 둠으로써[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아암부(5, 6)는 상방 설정 위치 A2로부터 하강하지 않음], 작업자는 자유롭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In a case where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not mounted on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perator, by placing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t the upper set position A2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not lowered from the upwardly set position A2 by being engaged with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engageable portion 20 so that the worker can freely perform the work.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지치면, 작업자의 상완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에 더하여,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When the operator is tired in a state in which the posture holding port is mounted, in addition to the tendency of the operator's upper arm to descend downward, there is a tendency to widen toward the right side (left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이 경우, 도 10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면, 가설 부재(11, 12)가 구부러지는 상태로 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세로 프레임부(2)가 상하축의 중심 주위로 비틀어지는 상태(구부러지는 상태)로 되므로, 가설 부재(11, 12) 및 세로 프레임부(2)의 저항에 의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가 억제된다.In this case, as shown by the one-dot chain line in Fig. 10, when the operator's upper arm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tries to spread outward to the right side (left side)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is bent (bent) around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shafts along with the bending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By the resistance,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rm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of the operator tries to spread outward to the right side (left side) is suppressed.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피결합부(20), 결합 갈고리부(21), 스프링(22) 및 솔레노이드(23) 등을 대신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유지 기구(7)를 구성해도 된다.In place of the engaging portion 20, the engaging claw portion 21, the spring 22, the solenoid 23, etc. of the above-mention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holding mechanism 7 .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에 지지 축(35)이 마찰식의 전자 클러치(36)(접속 기구에 상당)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 동작을 저지하는 원웨이 클러치(37)(일방향 기구에 상당)를 통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지지 축(35)에 장착되어 있다.11, a support shaft 35 is supported on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through a friction type electromagnetic clutch 36 (corresponding to a connection mechanism),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31, Through a one-way clutch 37 (equivalent to a one-way mechanism) that allow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to be operated upward and prevents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1 and the second arm portions 5, 6 are mounted on the support shaft 35.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36)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 상태로 가압되어 있고, 전자 클러치(36)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 지지 축(35)은 제2 가로 프레임부(4)에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37)의 기능에 의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작업자가 상완부를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맡기면, 원웨이 클러치(37)의 기능에 의해,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되어, 작업자는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11, the electromagnetic clutch 36 is pressed in a connected state by a spring (not shown), and in the connected state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36, So that it is not rotatable in the portion (4). In this state, the upper arm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of the operator can be moved upward by the function of the one-way clutch 37. [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is performed by the function of the one-way clutch 37 when the operator places the upper arm portion in the second arm portion 6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The operator can keep the upper arm at a desired position.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부(31)를 상방으로 조작하면, 전자 클러치(36)에 통전되어, 전자 클러치(36)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37)는 기능하지 않게 되고, 지지 축(35)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좌우축의 중심 P1 주위로 자유 회전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작업자가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조작을 멈추면, 전자 클러치(36)에의 통전이 멈추어져, 전자 클러치(36)가 접속 상태로 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operator operates the operating portion 31 upward, the electromagnetic clutch 36 is energized to operate the electromagnetic clutch 36 in the disconnected state. In this state, the one-way clutch 37 does not function and the support shaft 35 freely rotates about the center P1 of the right and left shafts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 Thus, when the operator moves the upper arm part upward and downward, the first and second arm parts 5 and 6 move up and down so as to follow the upper arm part of the worker, and when the operator moves the operation part 31 upward The energiz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36 is stopped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36 is brought into a connected state.

전술한 마찰식의 전자 클러치(36) 대신에, 도그 클러치 형식의 접속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나, 링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갈고리부나 핀을 맞물리게 하는 접속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맞물림식 접속 기구를 구성해도 된다.A clutch (not shown) of a dog clutch type or a clutch (not shown) that engages a pin or a claw portion with a ring gear (not shown) is used in place of the frictional electromagnetic clutch 36 described above, An engaging type connection mechanism may be constructed.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 조작부(31)를 상부 수용부(29)에 구비하는 것이 아닌, 조작부(31)를 세로 수용부(27)나 하부 수용부(28)에 구비해도 된다. 제2 가로 프레임부(4)나 제2 아암부(6)로부터 하네스(도시하지 않음)를 연장하고, 하네스의 단부에 조작부(31)를 접속하여, 작업자가 손바닥으로 조작부(31)를 쥐고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portion 31 is not provided i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but the operating portion 31 is provided in the vertical accommodating portion 27 or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s shown in Fig. A harness (not shown) is extended from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or the second arm portion 6 and the operating portion 31 is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harness so that the operator grasps the operating portion 31 with the palm of the hand .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Thir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부 수용부(29)를 전후축의 중심 P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아닌, 상부 수용부(29)를 세로 수용부(27)에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상부 수용부(29)와 하부 수용부(28) 사이의 개방 부분의 간격을 약간 크게 설정하여, 작업자가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second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is swingable around the center P3 of the longitudinal axis, The upper receiving portion 29 may be fixed to the vertical receiving portion 27 so as not to swing. The operator can set the upper arm portion 27 in the vertical accommodating portion 27,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8,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recess 29.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14)(전후 조절부에 상당)를 두께가 다른 것으로 변경함으로써,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가로 프레임부(4),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14 (corresponding to the front-rear adjusting unit)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The positions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4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may be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가 일체로, 제2 아암부(6)의 전방부의 좌우축의 중심 주위로 상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longitudinal accommodating portion 27,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The receiving portion 29 may b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vertical angle can be changed around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haft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second arm portion 6. [

[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Six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부(1), 세로 프레임부(2),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하는 것이 아닌, 하부 프레임부(1) 및 세로 프레임부(2)를 폐지하여,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작업자의 등부 또는 어깨부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lower frame portion 1,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The lower frame part 1 and the vertical frame part 2 are removed so as not to attach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arts 3 and 4 to the body part of the operato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arts 3 4 may be mounted on the back or shoulder of the operator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6 may be mounted on the upper arm of the operator.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대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부 프레임부(1), 세로 프레임부(2),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상하 반전시켜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대퇴부에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can be chang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can be mounted on the femoral portion of the operator and the lower frame portion 1, The frame portion 2 and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are vertically inverted and mount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operato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mounted on the thighs of the operator .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의 대퇴부에 대해, 작업자의 상체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되고, 작업자의 상체의 하방으로의 동작이 저지되어 작업자의 상체가 지지되게 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is allowed to move with respect to the thigh of the worker, the worker's upper body is prevented from moving downward, and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is supported, Can be reduced.

또한,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제의 가설 부재(11, 12) 대신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other aspects of the invention] - [fif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stead of the leaf spring- But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가설 부재(11, 12)를, 우측 부분, 좌측 부분, 우측 및 좌측 부분을 상하축의 중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부분에 의해 구성하여, 가설 부재(11, 12)의 우측 및 좌측 부분을 세로 프레임부(2) 또는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연결한다.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에 의해 우측 및 좌측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서로 접근 및 이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에 코일 스프링(저항 기구 및 스프링에 상당)을 장착한다.The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right and left side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hafts 11 and 12 are constituted by a hinge portion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right and left portions and the right and left portions abou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shafts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or the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3). The right and left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can be moved toward and away from each other by the hinge portions of the temporary fixing members 11 and 12 And a coil spring (corresponding to a resistance mechanism and a spring) is mounted on the hinge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s 11 and 12.

이에 의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작업자의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삽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제1 가로 프레임부(3)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는 경사 자세로 되도록,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의 코일 스프링을 설정한다.Thereby,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or does not insert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arm portion of the operator is not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accommodating portion 27, the lower accommodating portion 28 and the upper accommodating portion 29) And the coil spring of the hinge portion of the leg portions 11 and 12 is set so that the left and right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inclined toward each other as they are spaced forward from the first lateral frame portion 3. [ Setting.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지쳐, 작업자의 상완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에 더하여,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면,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의 코일 스프링의 저항, 및 세로 프레임부(2)가 상하축의 중심 주위로 비틀어지는 상태(구부러지는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한 저항에 의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가 억제된다.When the operator tries to widen to the right (left side) lateral side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the operator tries to descend the upper arm portion downward while wearing the posture maintaining port, the coil spring of the hinge portion of the leg portions 11,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of the operator are deformed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and the resistanc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being twisted around the center of the vertical axis The state in which it tends to spread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right side (left side) is suppressed.

하부 프레임부(1) 및 세로 프레임부(2)를 폐지하여,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작업자의 대퇴부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종아리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are attached to the femoral portion of the operator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re closed by dismounting the lower frame portion 1 and the vertical frame portion 2. [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can be attached to the calf portion of the worker.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의 종아리부에 대해 작업자의 대퇴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되고, 작업자의 대퇴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이 저지되어 작업자의 상체가 지지되게 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무릎부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er's thighs is allowed to move with respect to the calf portion of the worker, the operation of the thighs of the worker to the downward portion is inhibited, and the upper body of the worker is supported. Can be reduced.

[발명의 실시의 제7 다른 형태][Seven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양쪽에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제1 및 제2 아암부(5, 6) 등을 구비하는 것이 아닌,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제1 및 제2 아암부(5, 6) 등을 우측 또는 좌측에만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are provided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s 3 and 4 and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and the like that do not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arm portions 5 and 6, May be provided on only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상완부나 허리부, 무릎부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자세 유지구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attitude maintenance port that is used by an operator when working in an orchard or a building and reduces the load on the upper arm portion, the waist portion, and the knee portion of the operator.

1 : 하부 프레임부(본체부, 프레임부)
2 : 세로 프레임부(본체부, 프레임부)
2a : 긴 구멍(상하 조절부)
3 : 제1 가로 프레임부(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
4 : 제2 가로 프레임부(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
4b : 긴 구멍(가로 조절부)
5 : 제1 아암부(아암부)
6 : 제2 아암부(아암부)
6a : 레일부(전후 조절부)
7 : 유지 기구
10 : 벨트
11 : 가설 부재(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판 스프링)
12 : 가설 부재(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판 스프링)
14 : 지지 부재(전후 조절부)
14a : 긴 구멍(가로 조절부)
20 : 피결합부(일방향 기구)
21 : 결합 갈고리부(일방향 기구)
22 : 스프링(일방향 기구)
23 : 솔레노이드(해제 기구)
27 : 세로 수용부(수용부)
28 : 하부 수용부(수용부)
29 : 상방 수용부(수용부)
31 : 조작부
36 : 전자 클러치(접속 기구)
37 : 원웨이 클러치(일방향 기구)
A1 : 수평 위치
A2 : 상방 설정 위치
A3 : 하방 설정 위치
P1 : 좌우축의 중심
1: Lower frame part (body part, frame part)
2: vertical frame portion (main body portion, frame portion)
2a: Long hole (vertical adjustment part)
3: first horizontal frame portion (main body portion, horizontal frame portion, frame portion)
4: second horizontal frame portion (main body portion, horizontal frame portion, frame portion)
4b: Long hole (horizontal adjustment part)
5: first arm portion (arm portion)
6: Second arm portion (arm portion)
6a: rail part (front and rear control part)
7: Retainer
10: Belt
11: Hysteresis member (frame part, resistance mechanism, spring, plate spring)
12: Hybrid member (frame part, resistance mechanism, spring, plate spring)
14: Support member (front and rear control unit)
14a: Long hole (horizontal adjustment part)
20: Connected part (unidirectional mechanism)
21: engaging claw (unidirectional mechanism)
22: spring (one-way mechanism)
23: Solenoid (release mechanism)
27: vertical receiving portion (receiving portion)
28: Lower receiving portion (receiving portion)
29: Upper reception part (reception part)
31:
36: electromagnetic clutch (connection mechanism)
37: One-way clutch (one-way mechanism)
A1: Horizontal position
A2: Upward position
A3: Downward position
P1: center of left and right axis

Claims (6)

작업자에게 장착되는 본체부와,
작업자의 어깨부로부터 연장되는 팔부에 장착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아암부를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아암부가 작업자의 어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아암부의 단부가 작업자의 팔꿈치부보다도 어깨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작업자의 전완부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A main body mounted to an operator,
An arm portion mounted on an arm portion extending from a shoulder portion of an operator,
And a holding mechanis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permitting state permit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accompany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of the worker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a holding state of holding the arm por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arm portion is mounted on an upper arm portion of an operator,
Wherein the arm portion extends forward from the shoulder portion of the operator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nd portion of the arm portion is positioned closer to the shoulder portion than the elbow portion of the operator so that the forearm portion of the operator can freely m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작업자의 허리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가, 상기 세로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part is mounted on the waist of the worker,
And a vertical fram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arm portion is supported so as to be vertically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저지하여 상기 아암부를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일방향 기구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아암부를 접속하여 상기 일방향 기구를 기능시키는 접속 상태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아암부를 차단하여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접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자세 유지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comprises:
A one-way mechanism for permit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arm portion accompany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of the operator mounted on the arm portion and for holding the arm portion at an arbitrary position by inhibit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downward;
A connection state in which the vertical frame portion and the arm por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ne-way mechanism functions, and a connection mechanism capable of switching the vertical frame portion and the arm portion to a blocking state allowing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Mainten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아암부를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holding the arm portion at an arbitrary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수평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설정된 상방 설정 위치보다도 상방의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in a range above the upwardly set position set upwar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설정된 하방 설정 위치보다도 하방의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allow the operation of the arm portion in a range lower than a downwardly set position set downward from a horizontal position.
KR1020177013804A 2012-08-08 2013-02-25 Posture holder KR10193951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6048 2012-08-08
JP2012176049A JP5902065B2 (en) 2012-08-08 2012-08-08 Posture holder
JP2012176047A JP6021505B2 (en) 2012-08-08 2012-08-08 Posture holder
JP2012176048A JP6021506B2 (en) 2012-08-08 2012-08-08 Posture holder
JPJP-P-2012-176047 2012-08-08
JPJP-P-2012-176049 2012-08-08
PCT/JP2013/054769 WO2014024506A1 (en) 2012-08-08 2013-02-25 Posture hold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26A Division KR101740573B1 (en) 2012-08-08 2013-02-25 Posture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180A true KR20170061180A (en) 2017-06-02
KR101939514B1 KR101939514B1 (en) 2019-01-16

Family

ID=50067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26A KR101740573B1 (en) 2012-08-08 2013-02-25 Posture holder
KR1020177013804A KR101939514B1 (en) 2012-08-08 2013-02-25 Posture hold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26A KR101740573B1 (en) 2012-08-08 2013-02-25 Posture hold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740573B1 (en)
CN (1) CN104379095B (en)
WO (1) WO201402450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8427B2 (en) 2014-06-13 2018-07-18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Wearable motion assist device
JP6548394B2 (en) * 2015-01-14 2019-07-24 株式会社クボタ Assist suit
KR20180053203A (en) * 2015-09-10 2018-05-21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Surgical assist suit
FR3046051B1 (en) * 2015-12-24 2020-11-13 Sagem Defense Securite BACK MODULE FOR AN EXOSKELETON STRUCTURE
EP3403775A4 (en) * 2016-01-15 2020-01-22 Kubota Corporation Assist device
CN105598949A (en) * 2016-02-29 2016-05-25 江苏常工动力机械有限公司 Power-assisted mechanical arm and work method thereof
CN105583807A (en) * 2016-02-29 2016-05-18 江苏常工动力机械有限公司 Wearable type assistance mechanical arm
WO2017170619A1 (en) * 2016-03-30 2017-10-05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Muscle-power support device
CN206588942U (en) * 2016-05-25 2017-10-27 贵州诺义达智能科技有限公司 Wearable power assistive device
JP6759356B2 (en) * 2016-11-28 2020-09-23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Muscle strength assist device
CN107198577B (en) * 2017-05-25 2019-06-11 沈文龙 A kind of intelligent operation seat
US20190099877A1 (en) * 2017-09-29 2019-04-04 Airbus Operations Gmbh Exoskeleton System
KR102048931B1 (en) * 2018-01-24 2020-01-08 (주)태림기연 Wearable apparatus for support holding posture
JP6542924B1 (en) * 2018-02-01 2019-07-10 サクラ精機株式会社 Wrist rest and wrist rest cushion
CN109330757B (en) * 2018-12-19 2020-10-13 厦门杰斯医疗器械有限公司 Shoulder joint fixing brace capable of being operated by one person
CN109431628A (en) * 2018-12-25 2019-03-08 吉林大学 A kind of support auxiliary device carrying out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surgeon
EP3952795A4 (en) * 2019-04-10 2022-12-28 Abilitech Medical, Inc. Upper torso wearable orthotic device with dynamic leveling system
KR102358634B1 (en) 2020-08-21 2022-02-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Supporting apparatus for upper body
KR102485765B1 (en) * 2021-07-27 2023-0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Wearable exoskeleton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764A (en) 2004-01-07 2005-07-21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Lumbar burden alleviation tool
JP2009220195A (en) * 2008-03-13 2009-10-01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Arm motion support device
JP2009273711A (en) * 2008-05-15 2009-11-26 Tokyo Univ Of Science Upper arm supporting apparatus and upper arm assist device
JP2009284942A (en) 2008-05-27 2009-12-10 Inter Riha Kk Assistant orthosis
JP2011092507A (en) * 2009-10-30 2011-05-12 Satsuma Tsushin Kogyo Kk Body-worn muscular strength assisting device
JP2011251057A (en) * 2010-06-03 2011-12-15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Power assist su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9859B2 (en) * 1996-08-29 1999-05-10 保 柳沢 Shoulder support device
JP2001187076A (en) * 1999-12-27 2001-07-10 Agurosu:Kk Arm supporting device
JP4585542B2 (en) * 2007-05-31 2010-11-24 博 宇土 Upper limb lifting support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2764A (en) 2004-01-07 2005-07-21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Lumbar burden alleviation tool
JP2009220195A (en) * 2008-03-13 2009-10-01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Arm motion support device
JP2009273711A (en) * 2008-05-15 2009-11-26 Tokyo Univ Of Science Upper arm supporting apparatus and upper arm assist device
JP2009284942A (en) 2008-05-27 2009-12-10 Inter Riha Kk Assistant orthosis
JP2011092507A (en) * 2009-10-30 2011-05-12 Satsuma Tsushin Kogyo Kk Body-worn muscular strength assisting device
JP2011251057A (en) * 2010-06-03 2011-12-15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Power assist s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4506A1 (en) 2014-02-13
CN104379095A (en) 2015-02-25
KR101939514B1 (en) 2019-01-16
KR20150018804A (en) 2015-02-24
KR101740573B1 (en) 2017-05-26
CN104379095B (en)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14B1 (en) Posture holder
US10285843B2 (en) Trunk supporting exoskeleton and method of use
JP5985974B2 (en) Posture holder
EP3345784A1 (en) Child car seat
EP3375414A1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JP6021505B2 (en) Posture holder
JP5902065B2 (en) Posture holder
WO2018087180A2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JP2016052702A (en) Upper limb assisting apparatus
JP2022512337A (en) Passive exoskeleton neck switch device
JP6460966B2 (en) Posture holder
JP6656312B2 (en) Posture holder
EP2094127B1 (en) Harness with an arrangement for carrying a hand-held motor-driven tool
JP5968212B2 (en) Posture holder
US7958574B1 (en) Upper trunk protector and related methods
EP2525680B1 (en) Attaching structure for an attachable arrangement
WO2018167289A1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JP2016190319A (en) Posture holding tool
JP6495809B2 (en) Assist suit
EP1803487B1 (en) Safety harness
JP6021506B2 (en) Posture holder
JP2009112368A (en) Harness for high altitude work
JP7361664B2 (en) assist equipment
JP5971164B2 (en) Fall prevention device
EP3189815A1 (en) Grip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