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996A -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996A
KR20170060996A KR1020150165864A KR20150165864A KR20170060996A KR 20170060996 A KR20170060996 A KR 20170060996A KR 1020150165864 A KR1020150165864 A KR 1020150165864A KR 20150165864 A KR20150165864 A KR 20150165864A KR 20170060996 A KR20170060996 A KR 20170060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mposition
resin
glass fri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499B1 (ko
Inventor
김태중
정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49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1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도전성 분말, 유리 프릿, 유기 비히클 및 비즈왁스(beeswax)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COMPOSITION FOR FORMING ELECTRODE,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전극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및 태양 전지에 관한 것이다.
태양 전지는 태양광의 광자(photon)를 전기로 변환시키는 pn 접합의 광전 효과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태양 전지는 pn 접합이 구성되는 반도체기판(반도체 웨이퍼) 상하면에 각각 전면 전극과 후면 전극이 형성되어있다. 태양 전지는 기판에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pn 접합의 광전 효과가 유도되고, 이로부터 발생된 전자들이 전극을 통해 외부로 흐르는 전류를 제공한다.
이러한 태양 전지의 전극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패터닝 및 소성에 의해, 기판 표면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 전지의 변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판과 접촉성을 향상하여 접촉저항(Rc)과 직렬저항(Rs)을 최소화시키거나 유기물로 스크린 마스크(screen mask)의 패턴 선폭을 작게 조절함으로써 미세 선폭(fine line)을 형성하여 단락전류(Isc)를 높이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스크린 마스크를 이용하여 전극 패턴 선폭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직렬저항(Rs)의 상승을 유발할 수 있고, 미세 패턴의 인쇄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인쇄에 적합한 점도 및 유변학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기 비히클을 사용하는데, 상기 유기 비히클은 통상적으로 유기 바인더와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기 바인더와 용매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보관시 점도의 변화로 원하는 미세 선폭과 높은 종횡비를 가지는 패턴을 얻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분산성과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전극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 구현예는 미세 선폭과 높은 종횡비를 가지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고 인쇄 특성이 우수하며, 분산성과 저장 안정성이 우수한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전극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도전성 분말, 유리 프릿, 유기 비히클 및 비즈왁스(beeswax)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즈왁스는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5 내지 2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60 내지 95 중량%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유리 프릿은 0.5 내지 20 중량%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유기 비히클은 잔부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릿은 납(Pb), 텔루륨(Te), 비스무스(Bi), 리튬(Li), 인(P), 게르마늄(Ge), 갈륨(Ga), 세륨(Ce), 철(Fe), 규소(Si), 아연(Zn), 텅스텐(W), 마그네슘(Mg), 세슘(Cs), 스트론튬(Sr), 몰리브덴(Mo), 티타늄(Ti), 주석(Sn), 인듐(In), 바나듐(V), 바륨(Ba), 니켈(Ni), 구리(Cu), 나트륨(Na), 칼륨(K), 비소(As), 코발트(Co), 지르코늄(Zr), 망간(Mn) 및 알루미늄(Al)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비히클은 유기 바인더와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틸 셀룰로오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이다. 그러나,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와 페놀 수지의 혼합물, 알키드 수지, 페놀계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요소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목재 로진(rosin) 또는 알콜의 폴리메타크릴레이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메틸셀로솔브(methyl cellosolve), 에틸 셀로솔브(ethyl cellosolve), 부틸 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지방족 알코올(aliphatic alcohol), α-터피네올(terpineol), β-터피네올, 다이하이드로터피네올(dihydro-terpine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에틸렌 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ethylene glycol mono butyl ether),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butyl cellosolve acetate) 및 텍사놀(Texanol)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표면처리제, 분산제, 요변제, 점도 안정화제, 가소제, 소포제, 안료,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커플링제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전극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미세 선폭과 높은 종횡비를 가지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고 인쇄 특성이 우수하며, 분산성과 저장 안정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도전성 분말, 유리 프릿, 유기 비히클 및 비즈왁스(beeswax)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도전성 분말로서 금속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분말은 은(Ag), 금(Au), 팔라듐(Pd), 백금(Pt), 루테늄(Ru), 로듐(Rh), 오스뮴(Os), 이리듐(Ir), 레늄(Re), 티타늄(Ti), 니오븀(Nb), 탄탈륨(Ta), 알루미늄(Al), 구리(Cu), 니켈(Ni), 몰리브덴(Mo), 바나듐(V), 아연(Zn), 마그네슘(Mg), 이트륨(Y), 코발트(Co), 지르코늄(Zr), 철(Fe), 텅스텐(W), 주석(Sn), 크롬(Cr) 및 망간(Mn)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나노 사이즈 또는 마이크로 사이즈의 입경을 갖는 분말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도전성 분말,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도전성 분말일 수 있으며, 2 이상의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도전성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입자 형상이 구형, 판상, 무정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의평균 입경(D50)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이며, 더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이 될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은 이소프로필알코올(IPA)에 도전성 분말을 초음파로 상온(20 내지 25℃에서 3분 동안 분산시킨 후 CILAS社에서 제작한 1064LD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된 것이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접촉저항과 선 저항이 낮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분말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 총량 100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저항의 증가로 변환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유기 비히클 양의 상대적인 감소로 페이스트화가 어려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릿(glass frit)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소성 공정중 반사 방지막을 에칭(etching)하고, 도전성 분말 입자를 용융시켜 저항이 낮아질 수 있도록에미터 영역에 도전성 분말의 금속 결정 입자를 생성시키고, 도전성 분말과 웨이퍼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소결시에 연화하여 소성 온도를 보다 낮추는 효과를 유도한다.
태양 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태양 전지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태양 전지의 접촉저항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pn 접합(pn junction)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직렬저항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또한, 다양한 면저항을 가지는 기판의 증가에 따라 소성 온도가 변동폭이 커지므로 넓은 소성 온도에서도 열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유리 프릿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프릿은 통상적으로 전극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연 유리 프릿및 무연 유리 프릿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릿은 납(Pb), 텔루륨(Te), 비스무스(Bi), 리튬(Li), 인(P), 게르마늄(Ge), 갈륨(Ga), 세륨(Ce), 철(Fe), 규소(Si), 아연(Zn), 텅스텐(W), 마그네슘(Mg), 세슘(Cs), 스트론튬(Sr), 몰리브덴(Mo), 티타늄(Ti), 주석(Sn), 인듐(In), 바나듐(V), 바륨(Ba), 니켈(Ni), 구리(Cu), 나트륨(Na), 칼륨(K), 비소(As), 코발트(Co), 지르코늄(Zr), 망간(Mn) 및 알루미늄(Al)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 프릿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술된 금속 원소의 산화물로부터유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금속 원소의 산화물을 특정조성으로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물을 용융한 후 급냉(quenching)한 다음 다시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혼합 공정은 볼 밀(ball mill) 또는 플라네터리 밀(planetary mill)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용융 공정은 700℃내지 1300℃의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급냉 공정은 상온(20 내지 25℃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쇄 공정은 디스크 밀(disk mill), 플라네터리 밀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리 프릿은 평균입경(D50)이 0.1㎛ 내지 10㎛인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극 형성용 조성물 총량 100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전극의 전기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극의 접착 강도(adhesion strength)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 프릿의 형상은 구형이어도 무정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일 구현예에서, 전이 온도가 상이한 2종의 유리 프릿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이 온도가 200℃이상 350 ℃이하인 제1 유리 프릿과 전이 온도가 350℃초과 550℃이하인 제2 유리 프릿을 1 : 0.2 내지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비히클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무기성분과 기계적 혼합을 통하여 페이스트 조성물에 인쇄에 적합한 점도 및 유변학적 특성을 부여한다. 상기 유기 비히클은 유기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바인더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틸 셀룰로오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지이다. 그러나,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와 페놀 수지의 혼합물, 알키드 수지, 페놀계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요소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목재 로진(rosin), 알콜의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을 개질한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바인더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은 30,000 내지 200,000g/mol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000 내지 150,000g/mol 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상기 범위 이내인 경우, 인쇄성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헥산, 톨루엔, 텍사놀(texanol), 메틸 셀로솔브(methyl cellosolve),에틸셀로솔브, 시클로헥사논, 부틸셀로솔브, 지방족 알코올(aliphatic alcohol), 부틸 카비톨(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부틸 카비톨(디에틸렌 글리콜 디부틸 에테르),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헥실렌 글리콜, 터피네올(terpineol), 메틸에틸케톤, 벤질알콜, 감마부티로락톤, 에틸락테이트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비히클은 잔부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극 형성용 조성물 총량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전극 패턴과 기판의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연속 인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비즈왁스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비즈왁스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대하여 0.05 내지 2 중량%, 예를 들어 0.5 내지 1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즈왁스는 다른 왁스류 대비 상대적으로 과량을 사용하더라도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왁스는 비즈왁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60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상기에서 기술한 구성 요소 외에 유동 특성, 공정 특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표면처리제, 분산제, 요변제, 점도 안정화제, 가소제, 소포제, 안료,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커플링제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 총량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함량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인쇄 특성, 분산성 및 저장 안정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전극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구현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p층(또는 n층)(101) 및 에미터로서의 n층(또는 p 층)(102)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인쇄하고 소성하여 후면 전극(210) 및 전면 전극(230)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100)의 후면에 인쇄 도포한 후, 대략 200℃ 내지 400℃의 온도로 대략 10 내지 60초 정도 열처리하여 후면 전극을 위한 사전 준비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의 전면에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인쇄한 후 건조하여 전면 전극을 위한 사전 준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에, 400℃ 내지 980℃ 바람직하게는 700℃ 내지 980℃에서 약 30초 내지 210초 소성하는 소성 과정을 수행하여 전면 전극 및 후면 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유기 바인더(Dow chemical company, STD4)(Mw=50,000g/mol)를 용매로 텍사놀(Eastman)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대로 사용하여 상기 유기 바인더를 60℃에서 충분히 용해한 후 평균 입경이 2.0㎛인 구형의 은 분말(Dowa Hightech Co. LTD AG-5-11F), Pb-Bi-Te-Li계 유리 프릿(Pb/Bi/Te/Li함량(mol%)=37/3/57/3), 비즈왁스, 분산제(BYK-chemie, BYK-102) 및 요변제(Elementis Co., Thixatrol ST)를 투입하여 믹싱 후 3롤 밀링기로 혼합 분산시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은(Ag)
분말
유리 프릿 유기 비히클 비즈왁스 파라핀
왁스
첨가제
유기 바인더 용매 분산제 요변제
실시예 1 89 2.5 1.00 6.85 0.05 - 0.30 0.30
실시예 2 89 2.5 1.00 6.80 0.10 - 0.30 0.30
실시예 3 89 2.5 0.95 6.45 0.50 - 0.30 0.30
실시예 4 89 2.5 0.88 6.02 1.00 - 0.30 0.30
실시예 5 89 2.5 0.75 5.15 2.00 - 0.30 0.30
실시예 6 89 2.5 0.87 5.93 1.00 0.10 0.30 0.30
실시예 7 89 2.5 0.82 5.58 1.00 0.50 0.30 0.30
비교예 1 89 2.5 1.01 6.89 - - 0.30 0.30
비교예 2 89 2.5 0.77 5.63 - 1.50 0.30 0.30
전극 형성용 조성물의 전기적 특성 및 장기 안정성
웨이퍼(보론(Boron)이 도핑(doping)된 p 타입 웨이퍼) 전면에 텍스쳐링(texturing)한 후, POCl3로 n+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질화규소(SiNx:H)를 반사방지막으로 형성시킨 Multi crystalline 웨이퍼)의 전면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전극 형성용 조성물을 각각 일정한 패턴으로 스크린 프린팅(삼본 스크린社, mesh 360, 선폭 35㎛, emulsion 15㎛)하여 인쇄하고, 적외선 건조로를 사용하여 300 내지 400℃사이로 건조시켰다. 이후 웨이퍼의 후면에 알루미늄 페이스트를 인쇄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하였다. 상기 과정으로 형성된 셀을 벨트형 소성로를 사용하여 850℃, 900℃ 및 980℃에서 각각 40초간 소성을 행하여 테스트용 셀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테스트용 셀 상의 전극 패턴의 선폭 및 두께를 Confocal microscope(keyence社, VK-97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전기적 특성(Isc, Fill Factor (FF, %), 변환효율(Eff., %))은 태양 전지 효율측정장비(Pasan社, CT-801)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제작된 셀을 21℃, 습도 50%에서 1개월 간 방치한 후, 다시금 동일한 방법으로 선폭, 두께 및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단위: ㎛)
전극패턴 제조 직후(A) 1개월 경과 후(B)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A)-(B))
선폭 두께 선폭 두께 선폭 두께
실시예 1 51.8 15.5 50.2 16.1 -1.60 +0.64
실시예 2 50.5 15.4 49.1 15.4 -1.39 0.00
실시예 3 51.2 15.3 50.7 16.1 -0.51 0.75
실시예 4 50.4 15.2 50.4 15.9 0.08 0.68
실시예 5 50.0 14.9 48.4 15.1 -1.58 0.16
실시예 6 50.2 15.1 48.2 15.8 -2.02 0.65
실시예 7 49.2 15.1 50.1 15.7 0.97 0.52
비교예 1 53.1 14.5 44.9 18.0 -8.22 3.52
비교예 2 48.2 15.7 47.6 16.2 -0.66 0.47
전극 패턴 제조 직후(A) 1개월 경과 후(B)
ISC(A) FF Eff.(%) ISC(A) FF Eff.(%)
실시예 1 8.570 0.753 16.34 8.572 0.754 16.36
실시예 2 8.580 0.754 16.36 8.581 0.754 16.36
실시예 3 8.611 0.751 16.37 8.612 0.752 16.39
실시예 4 8.614 0.753 16.42 8.614 0.754 16.44
실시예 5 8.610 0.750 16.34 8.612 0.750 16.35
실시예 6 8.612 0.748 16.31 8.614 0.749 16.33
실시예 7 8.571 0.753 16.34 8.570 0.754 16.35
비교예 1 8.642 0.724 16.3 8.650 0.728 15.94
비교예 2 8.610 0.721 15.7 8.611 0.721 15.71
상기 표 2 및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비즈왁스를 본 발명의 범위내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7의 경우, 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대비해서 장시간이 지나더라도 전극 선폭 및 두께의 변화가 훨씬 적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계열의 왁스를 사용한 비교예 2 대비해서는 전극 선폭 및 두께의 변화는 유사하면서도 전기적 특성은 훨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도전성 분말, 유리 프릿, 유기 비히클 및 비즈왁스(beeswax)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즈왁스는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전극 형성용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05 내지 2 중량%로 포함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극 형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분말은 60 내지 95 중량%, 상기 유리 프릿은 0.5 내지 20 중량% 상기 비즈왁스는 0.05 내지 2 중량% 및 상기 유기 비히클은 잔부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극 형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프릿은 납(Pb), 텔루륨(Te), 비스무스(Bi), 리튬(Li), 인(P), 게르마늄(Ge), 갈륨(Ga), 세륨(Ce), 철(Fe), 규소(Si), 아연(Zn), 텅스텐(W), 마그네슘(Mg), 세슘(Cs), 스트론튬(Sr), 몰리브덴(Mo), 티타늄(Ti), 주석(Sn), 인듐(In), 바나듐(V), 바륨(Ba), 니켈(Ni), 구리(Cu), 나트륨(Na), 칼륨(K), 비소(As), 코발트(Co), 지르코늄(Zr), 망간(Mn) 및 알루미늄(Al)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비히클은 유기 바인더와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전극 형성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바인더는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와 페놀 수지의 혼합물, 알키드 수지, 페놀계 수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크실렌계 수지, 폴리부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요소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초산비닐계 수지, 목재 로진(rosin) 및 알콜의 폴리메타크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틸셀로솔브(methyl cellosolve), 에틸 셀로솔브(ethyl cellosolve), 부틸 셀로솔브(butylcellosolve), 지방족 알코올(aliphatic alcohol), α-터피네올(terpineol), β-터피네올, 다이하이드로터피네올(dihydro-terpine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에틸렌 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ethylene glycol mono butylether), 부틸셀로솔브 아세테이트(butyl cellosolve acetate) 및 텍사놀(Texanol)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형성용 조성물은 표면처리제, 분산제, 요변제, 점도 안정화제, 가소제, 소포제, 안료,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커플링제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전극 형성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극 형성용 조성물로 제조된 전극.
  11. 제10항에 따른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KR1020150165864A 2015-11-25 2015-11-25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KR10183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864A KR101835499B1 (ko) 2015-11-25 2015-11-25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864A KR101835499B1 (ko) 2015-11-25 2015-11-25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96A true KR20170060996A (ko) 2017-06-02
KR101835499B1 KR101835499B1 (ko) 2018-03-07

Family

ID=59222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864A KR101835499B1 (ko) 2015-11-25 2015-11-25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4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9506A (zh) * 2020-04-08 2020-08-28 常州聚和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导电浆料、玻璃料及太阳能电池
CN113450942A (zh) * 2020-03-26 2021-09-28 常州聚和新材料股份有限公司 用于形成太阳能电池电极的组合物、由其形成的电极以及电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404B1 (ko) * 2011-06-13 2012-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0942A (zh) * 2020-03-26 2021-09-28 常州聚和新材料股份有限公司 用于形成太阳能电池电极的组合物、由其形成的电极以及电池
CN111599506A (zh) * 2020-04-08 2020-08-28 常州聚和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导电浆料、玻璃料及太阳能电池
CN111599506B (zh) * 2020-04-08 2021-10-08 常州聚和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导电浆料、玻璃料及太阳能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499B1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017B1 (ko) 전극 형성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및 태양 전지
KR101590228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557536B1 (ko) 태양전지 전극용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US9818889B2 (en) Composition for solar cell electrodes and electrode fabricated using the same
KR101648245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101600659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20210111912A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태양전지 전극
KR101976661B1 (ko)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KR101835499B1 (ko)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KR101940170B1 (ko)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JP2019106525A (ja) 太陽電池
KR101907500B1 (ko)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KR101566071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20170061023A (ko) 태양 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 전지
KR101994368B1 (ko) 태양전지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 및 태양전지
US9966480B2 (en) Electrode composition, electrod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nd solar cell
KR101974839B1 (ko)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KR101835921B1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KR20180090669A (ko) 태양전지용 핑거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태양전지용 핑거 전극
US11107934B2 (en) Composition for forming solar cell electrode and solar cell electrode prepared using the same
JP6804255B2 (ja) 電極形成用組成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電極および太陽電池
KR101863246B1 (ko)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KR102137547B1 (ko) 태양전지용 전면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20170025892A (ko)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과 태양전지
KR20150019404A (ko) 태양전지 전극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