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912A -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912A
KR20170060912A KR1020150165665A KR20150165665A KR20170060912A KR 20170060912 A KR20170060912 A KR 20170060912A KR 1020150165665 A KR1020150165665 A KR 1020150165665A KR 20150165665 A KR20150165665 A KR 20150165665A KR 20170060912 A KR20170060912 A KR 2017006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housing
coupl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911B1 (ko
Inventor
오훈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 제2커넥터(40) 그리고 고정브라켓(50)을 가진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골격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12)의 일측에는 제1장착편(18)이 형성되고 체결구에 의해 고정부에 체결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0)의 고정하우징(52)의 일측에는 제2장착편(68)이 형성되어 체결구에 의해 고정부에 체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40)의 외면에는 장착턱(48)이 있고 상기 고정브라켓(50)의 고정하우징(5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외팔보 형상의 장착아암(56)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장착아암(56)의 선단에는 장착공(58)이 있어 상기 제2커넥터(40)의 장착턱(48)이 걸어져 고정브라켓(50)에 제2커넥터(40)가 상기 장착아암(56)에 의해 유지되어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와 고정브라켓(50)의 체결은 제1커넥터(10)의 결합후드(20)를 관통하여 설치된 결합구(30)에 상기 고정브라켓(50)에 있는 제2체결돌기(64)가 걸어져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넥터(10)가 장착되는 고정부와 고정브라켓(50)이 장착되는 고정부에 조립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사용되는 환경에 맞게 구조가 결정된다. 최근에 여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터미널이 사용되는 커넥터조립체가 제공되고 있다.
그리고, 커넥터가 사용되는 제품에 따라서는 그 결합을 위한 오차허용도가 매우 낮으면서도 커넥터들을 고정부에 고정하도록 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커넥터들 사이의 결합이 매우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커넥터조립체는 커넥터 끼리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하나 그러하지 못한 경우에는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509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 고정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부에 고정되는 커넥터들 사이를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들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하우징의 일측에 제1장착편이 형성되어 고정부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와, 고정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외팔보 형상의 장착아암이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장착아암에 장착되며 고정하우징의 일측에 제2장착편이 형성되어 고정부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아암은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고 선단의 장착공에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 구비된 장착턱이 걸어져 장착된다.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이 안착되는 보정리브가 상기 고정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쉴드의 일측은 상기 제1하우징의 후단 하부로 연장된 지지편의 외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커넥터가 장착되는 고정부의 금속프레임에 밀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장착터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쉴드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결합후드가 형성되어, 내부에 결합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외면 선단측에는 상기 결합구와 연동되는 제1체결돌기와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 걸어지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드는 내부에 후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으로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후드의 양측에는 외부로 상기 후드공간이 연통되도록 삽입공과 결합걸이공이 서로 반대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와 반대쪽에는 도피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는 결합구몸체와 상기 결합구몸체에서 나란히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도피공이나 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 걸이핑거가 구비되며, 상기 걸이핑거의 사이에 상기 결합구몸체에서 걸이핑거와 나란히 연장되어 체결바아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바아에는 상기 제1체결돌기와 연동되는 연동턱이 있고, 상기 제2체결돌기가 걸어지는 체결턱이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돌기는 제2체결돌기보다 높이가 높아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바아를 탄성변형시켜 제2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턱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완전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제1체결돌기가 상기 연동턱에서 벗어나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도록 한다.
상기 연동턱에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돌기와 연동턱의 연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각각 고정부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제2커넥터는 고정브라켓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에 결합된 후에 고정브라켓이 고정부에 체결되도록 되었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에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브라켓에 대해 소정 거리만큼의 유동이 가능하므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고정되는 고정부에서 어느 정도의 조립공차가 존재하더라도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2커넥터가 장착되는 고정브라켓과 제1커넥터가 체결구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사용중에 발생하는 진동등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훼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커넥터가 고정브라켓에 장착됨에 있어서 제2커넥터의 제2쉴드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고정브라켓을 쉽게 수정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를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체결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고정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 제2커넥터(40) 그리고 고정브라켓(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는 제1하우징(12)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2)은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내부에 선단으로 개구되는 내부공간(14)이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의 내부에 선단이 위치되게 제1하우징(12)을 관통하여서는 제1신호터미널(16)과 제1구동터미널(16')이 있다. 상기 제1신호터미널(16)은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1구동터미널(16')은 전원의 공급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구동터미널(16')은 고전압의 전달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1신호터미널(16)과 제1구동터미널(16')은 각각 상기 제1하우징(12)의 외부로 후단이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양측 외면에서 돌출되어 제1장착편(18)이 있다. 상기 제1장착편(18)에는 관통공(19)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9)에는 금속재의 부싱(19')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장착편(18)은 상기 제1커넥터(10)를 고정부,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금속프레임의 일측에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관통공(19)을 볼트와 같은 체결구가 관통하여 체결하게 된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선단 외면 일측에는 결합후드(20)가 있다. 상기 결합후드(2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2)의 전방으로 향해 개구되게 내부에 후드공간(22)을 가진다. 상기 결합후드(20)의 후드공간(22)은 상기 제1하우징(12)의 전방을 향해 개구된 입구(24)를 가진다.
상기 결합후드(20)에는 상기 입구(24) 반대쪽으로 개구된 도피공(26)이 있다. 상기 도피공(26)은 상기 결합후드(20)의 일측편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후드(20)의 양측면, 즉 상기 제1하우징(12)을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결합후드(20)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피공(26)이 있는 쪽에 삽입공(27)이 형성되고 반대쪽에 결합걸이공(2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7)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구(30)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걸이공(27')에는 상기 결합구(30)의 선단이 걸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2)의 후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지지편(28)이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28)에는 상기 제1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된 제1쉴드(29)의 일측이 위치된다. 상기 제1쉴드(29)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40)의 제2쉴드(49)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제1쉴드(29)에서 상기 지지편(28)에 지지되게 위치되는 부분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고정부인 부품의 금속프레임에 접촉되어 접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후드(20)를 횡으로 가로질러서 결합구(30)가 설치된다. 상기 결합구(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40)가 설치되는 고정브라켓(50)과 제1커넥터(10)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구(3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3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결합구몸체(32)가 있다. 상기 결합구몸체(32)는 상기 결합후드(20)의 외면 일측에 위치된다. 상기 결합구몸체(32)는 본 실시례에서는 긴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결합구몸체(32)의 양측에 연장되어서 2개의 걸이핑거(33)가 있다. 상기 걸이핑거(33)는 나란히 연장되고, 선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걸이턱(34)이 있다. 상기 걸이턱(34)은 상기 결합후드(20)의 일측에 걸어져서 결합구(30)가 결합후드(2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일측 걸이턱(34)은 상기 결합후드(20)의 입구(24) 가장자리에 걸어지고 타측 걸이턱(34)은 상기 도피공(26)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상기 결합구몸체(32)에서 체결바아(36)가 길게 연장된다. 상기 체결바아(36)는 상기 걸이핑거(33)의 사이에서 걸이핑거(33)들과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체결바아(36)는 상기 결합후드(20)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된다.
상기 체결바아(36)의 선단 일면에는 연동턱(37)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동턱(37)에는 제1경사면(37')과 제2경사면(37")이 있다. 상기 제1경사면(37')은 상기 결합후드(20)의 입구(24)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체결돌기(62)를 안내한다. 상기 제2경사면(37")은 상기 결합구몸체(32)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결합구(30)를 분리할 때 제1체결돌기(62)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경사면(37')과 제2경사면(37")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바아(36)에는 또한 체결턱(3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38)은 상기 후드공간(22)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체결턱(38)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브라켓(50)의 제2체결돌기(6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38)에는 제2체결돌기(64)가 걸어짐에 의해 제1커넥터(10)와 고정브라켓(50)이 서로 체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40)는 골격을 제2하우징(4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42)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42)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44)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44)에는 제2신호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제2구동터미널(46')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42)의 외면중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외면에는 장착턱(4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장착턱(4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턱(48)은 상기 고정브라켓(50)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2하우징(42)의 외면을 둘러서는 도전성 재질로 된 제2쉴드(49)가 설치된다. 상기 제2쉴드(49)는 사각통형상으로 상기 제2하우징(42)을 둘러싼다. 상기 장착턱(48)은 상기 제2쉴드(49)를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50)은 도 2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외관을 고정하우징(52)이 형성한다. 상기 고정하우징(52)의 내부에는 전후로 개구되는 내부공간(54)이 있다. 상기 내부공간(54)에는 상기 제2커넥터(40)가 위치된다. 상기 고정하우징(52)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와이어통공(55)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54)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와이어통공(55)을 통해서는 제2신호터미널과 제2구동터미널(46')에 연결된 와이어가 통과한다.
상기 고정하우징(52)에는 다수개의 장착아암(56)이 있다. 상기 장착아암(56)은 상기 고정하우징(52)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외팔보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장착아암(56)은 상기 고정하우징(52)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있다. 상기 장착아암(56)의 선단에는 장착공(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58)에는 상기 제2커넥터(40)의 장착턱(48)이 걸어진다. 상기 장착아암(56)은 그 폭방향으로 또는 두께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장착아암(56)에 장착된 제2커넥터(40)는 어느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하우징(52)의 내면에는 고정하우징(52)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보정리브(60)가 있다. 상기 보정리브(60)는 상기 내부공간(54)의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정리브(60)가 상기 고정하우징(52)의 내면에 형성됨에 의해 상기 고정하우징(52)을 형성하는 벽면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면서도 강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금형을 만들 때, 상기 보정리브(60)의 돌출정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면, 예를 들면 상기 제2쉴드(49)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보정리브(60)가 더 돌출되게 하면, 쉽게 다양한 종류의 제2커넥터(40)를 만들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하우징(52)의 외면 선단 일측에는 제1체결돌기(62)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돌기(62)는 상기 결합구(30)의 연동턱(37)과 연동되어 상기 체결바아(36)의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체결돌기(62)의 선단에는 경사면(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돌기(62)보다 더 고정하우징(52)의 선단에 인접하여 위치되게 제2체결돌기(64)가 있다. 상기 제2체결돌기(64)는 상기 제1체결돌기(62)보다는 크기가 작다. 상기 제2체결돌기(64)는 상기 결합구(30)의 체결턱(38)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2체결돌기(64)의 선단에도 경사면(6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52)의 후단에는 하부로 연장되어 제2장착편(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장착편(68)에는 관통공(69)이 형성되어 체결구가 관통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10)는 상기 제1장착편(18)을 체결구가 관통하여 고정부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신호터미널(16)과 제1구동터미널(16')이 기판에 실장되어 솔더링된 상태이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30)는 상기 결합후드(20)에 장착된 상태이다. 상기 결합구(30)가 상기 결합후드(2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구몸체(32)가 결합후드(20)의 일측 외면에 걸어져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반대쪽으로, 즉 상기 체결바아(36)가 상기 삽입공(27)에서 빠지는 것은 상기 결합구(30)의 걸이핑거(33)에 있는 걸이턱(34)이 상기 결합후드(20)의 입구(24) 가장자리와 상기 도피공(26)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어짐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 결합구(30)가 상기 결합후드(20)의 삽입공(27)을 통해 삽입될 때는 상기 걸이핑거(33)가 상기 체결바아(36)쪽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이핑거(33)의 걸이턱(34)이 상기 삽입공(27)을 통과하면 걸이핑거(33)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결합구(30)는 상기 결합후드(20)에 임시결합상태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커넥터(40)는 상기 고정브라켓(50)의 내부공간(5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와이어통공(55)을 관통하여 미리 와이어가 통과하여 제2신호터미널과 제2구동터미널(46')이 상기 제2하우징(42)의 터미널안착공간(44)에 삽입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42)의 장착턱(48)은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장착공(58)에 안착되어 상기 외팔보 형상의 장착아암(56) 4개에 상기 제2하우징(42)이 유지되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장착아암(56)이 그 폭방향이나 두께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제2장착편(68)이 고정부에 체결구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제1커넥터(10)가 설치되는 고정부와 고정브라켓(50)이 설치되는 고정부에 각각 공차가 있더라도 상기 장착아암(56)의 탄성변형에 의해 이를 흡수하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커넥터(40)를 상기 고정브라켓(5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를 결합하고, 상기 제2장착편(68)을 체결구를 사용하여 고정부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10)와 상기 고정브라켓(50)을 상기 결합구(30)를 사용하여 체결한다.
즉, 상기 제1커넥터(10)의 결합후드(20)의 입구(24)로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결합할 때,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제1체결돌기(62)와 제2체결돌기(64)가 들어간다. 상기 제1체결돌기(62)와 제2체결돌기(64)가 상기 후드공간(22)으로 들어가면, 상기 체결바아(36)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체결돌기(62)는 상기 제2체결돌기(64)보다 높이가 높아서 상기 체결바아(36)를 들어올려서 상기 제2체결돌기(64)가 체결바아(36)에 걸리지 않고 후드공간(22)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제1체결돌기(62)의 경사면(63)과 상기 체결바아(36)의 연통턱(37)에 형성된 제1경사면(37')이 서로 연동되면, 상기 제1체결돌기(62)의 상면에는 상기 연동턱(37)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바아(36)가 충분히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제2체결돌기(64)가 체결바아(36)에 걸리지 않고 후드공간(22)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몸체(32)가 상기 결합후드(20)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구(30)는 전체적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체결바아(36)의 연동턱(37)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결합걸이공(27')을 통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체결돌기(62)가 상기 연동턱(37)을 벗어나면서 상기 체결바아(36)가 원래의 상태로 된다. 즉, 상기 체결바아(36)가 상기 후드공간(22)의 바닥쪽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2체결돌기(64)가 상기 체결턱(38)보다 더 후드공간(22)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턱(38)에 상기 제2체결돌기(64)가 걸어져서 후드공간(22)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구(30)를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결합구(30)를 위의 반대 방향, 상기 결합구몸체(32)가 결합후드(20)의 외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체결바아(36)의 저면 일측에 접촉되어 있던 제1체결돌기(62)가 상기 연동턱(37)의 제2경사면(37")에 안내되어 다시 상기 연동턱(37)이 상기 제1체결돌기(62)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바아(36)가 상기 후드공간(22)의 바닥면에서 멀어지게 되고, 상기 제2체결돌기(64)가 상기 체결턱(38)에 걸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50)을 고정부에 체결하고 있는 체결구를 분리하고 상기 고정브라켓(50)을 상기 제1커넥터(1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 사이의 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고정브라켓(50)의 장착아암(56)에 제2커넥터(40)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결합구(30)에 의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상태가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상기 제1커넥터(10)가 고정부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0) 역시 체결구에 의해 고정부에 체결됨에 의해 상기 결합구(30) 없이도 충분히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구(3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10: 제1커넥터 12: 제1하우징
14: 내부공간 16: 제1신호터미널
16': 제1구동터미널 18: 제1장착편
19: 관통공 19': 부싱
20: 결합후드 22: 후드공간
24: 입구 26: 도피공
27: 삽입공 27': 결합걸이공
28: 지지편 29: 제1쉴드
30: 결합구 32: 결합구몸체
33: 걸이핑거 34: 걸이턱
36: 체결바아 37: 결합구
37': 제1경사면 37": 제2경사면
38: 체결턱 40: 제2커넥터
42: 제2하우징 44: 터미널안착공간
46': 제2구동터미널 48: 장착턱
49: 제2쉴드 50: 고정브라켓
52: 고정하우징 54: 내부공간
55: 와이어통공 56: 장착아암
58: 장착공 60: 보정리브
62: 제1체결돌기 63: 경사면
64: 제2체결돌기 65: 경사면
68: 제2장착편 69: 관통공

Claims (10)

  1. 제1하우징의 일측에 제1장착편이 형성되어 고정부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와,
    고정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외팔보 형상의 장착아암이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가 상기 장착아암에 장착되며 고정하우징의 일측에 제2장착편이 형성되어 고정부에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아암은 상기 고정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되고 선단의 장착공에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에 구비된 장착턱이 걸어져 장착되는 커넥터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이 안착되는 보정리브가 상기 고정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제1쉴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쉴드의 일측은 상기 제1하우징의 후단 하부로 연장된 지지편의 외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커넥터가 장착되는 고정부의 금속프레임에 밀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장착터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2쉴드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결합후드가 형성되어, 내부에 결합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하우징의 외면 선단측에는 상기 결합구와 연동되는 제1체결돌기와 상기 결합구의 일측에 걸어지는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후드는 내부에 후드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전방으로 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후드의 양측에는 외부로 상기 후드공간이 연통되도록 삽입공과 결합걸이공이 서로 반대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입구와 반대쪽에는 도피공이 형성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결합구몸체와 상기 결합구몸체에서 나란히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도피공이나 입구의 일측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형성된 걸이핑거가 구비되며, 상기 걸이핑거의 사이에 상기 결합구몸체에서 걸이핑거와 나란히 연장되어 체결바아가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아에는 상기 제1체결돌기와 연동되는 연동턱이 있고, 상기 제2체결돌기가 걸어지는 체결턱이 구비되는 커넥터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돌기는 제2체결돌기보다 높이가 높아 임시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바아를 탄성변형시켜 제2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턱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완전결합상태에서는 상기 제1체결돌기가 상기 연동턱에서 벗어나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도록 하는 커넥터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턱에는 제1경사면과 제2경사면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돌기와 연동턱의 연동을 안내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150165665A 2015-11-25 2015-11-25 커넥터조립체 KR10252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65A KR102520911B1 (ko) 2015-11-25 2015-11-25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65A KR102520911B1 (ko) 2015-11-25 2015-11-25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12A true KR20170060912A (ko) 2017-06-02
KR102520911B1 KR102520911B1 (ko) 2023-04-13

Family

ID=5922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665A KR102520911B1 (ko) 2015-11-25 2015-11-25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11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9003A (ja) * 2005-06-01 2006-12-14 Yazaki Corp コネクタ
KR100823344B1 (ko) * 2007-06-11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장착구조
KR20080114337A (ko) * 2007-06-27 2008-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2009004290A (ja) * 2007-06-25 2009-01-08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装置及びクリップ
KR20100119277A (ko) * 2009-04-30 2010-11-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KR101005525B1 (ko) * 2005-06-29 2011-01-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
KR20110008466A (ko) * 2009-07-20 2011-01-27 케이유엠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50997A (ko) 2009-11-09 2011-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US20120178272A1 (en) * 2011-01-06 2012-07-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attached to a bracket and mounted in a cutout in a substrate
JP2013114221A (ja) * 2011-11-30 2013-06-10 Tyco Electronics Japan Kk アダプタカバー、アダプタ組立体、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組立体
KR101352637B1 (ko) * 2012-12-07 2014-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검사 겸용 먼지방지덮개
KR20150038455A (ko) * 2012-08-03 2015-04-0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플러그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50070271A (ko) * 2012-10-15 2015-06-24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9003A (ja) * 2005-06-01 2006-12-14 Yazaki Corp コネクタ
KR101005525B1 (ko) * 2005-06-29 2011-01-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회로 기판 및 전자 기기
KR100823344B1 (ko) * 2007-06-11 2008-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장착구조
JP2009004290A (ja) * 2007-06-25 2009-01-08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装置及びクリップ
KR20080114337A (ko) * 2007-06-27 2008-12-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100119277A (ko) * 2009-04-30 2010-11-0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실장형 커넥터
KR20110008466A (ko) * 2009-07-20 2011-01-27 케이유엠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50997A (ko) 2009-11-09 2011-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US20120178272A1 (en) * 2011-01-06 2012-07-12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attached to a bracket and mounted in a cutout in a substrate
JP2013114221A (ja) * 2011-11-30 2013-06-10 Tyco Electronics Japan Kk アダプタカバー、アダプタ組立体、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組立体
KR20150038455A (ko) * 2012-08-03 2015-04-0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플러그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50070271A (ko) * 2012-10-15 2015-06-24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전기 커넥터
KR101352637B1 (ko) * 2012-12-07 2014-01-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검사 겸용 먼지방지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911B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84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US9941630B2 (en) Power source connector device
US7806702B2 (en) Connector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board
EP2833484B1 (en) Electric wire-to-substrate connector
KR19990023687A (ko) 인쇄 회로 기판 소켓
JP2001093606A (ja) 回路基板実装用電気コネクタ
KR101157672B1 (ko) 커넥터
US9502809B2 (en) Surface mount connector
KR20100028545A (ko) 가요성 회로용 커넥터
WO2016208448A1 (ja) 電気接続箱
KR101780363B1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239718B1 (ko) 커넥터용 접속핀 및 커넥터 및 커넥터용 접속핀 제조방법
US6994577B2 (en)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20170060912A (ko) 커넥터조립체
JP6613129B2 (ja) 金属端子
KR101212055B1 (ko) 박스의 터미널지지장치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KR200444217Y1 (ko) 커넥터하우징
KR101799098B1 (ko) 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101948067B1 (ko) 배터리용 직렬연결장치
KR101001880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100187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08363B1 (ko) 조인트 커넥터
KR20100002928A (ko)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