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686A -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686A
KR20170060686A KR1020150165137A KR20150165137A KR20170060686A KR 20170060686 A KR20170060686 A KR 20170060686A KR 1020150165137 A KR1020150165137 A KR 1020150165137A KR 20150165137 A KR20150165137 A KR 20150165137A KR 20170060686 A KR20170060686 A KR 20170060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ngaging
rail
hol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7387B1 (ko
Inventor
김종하
장병천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riority to KR1020150165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3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cabinet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브라켓(10)에 결합홀(12a)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의 일 구성인 고정레일(20)의 결합편(21)이 삽입 결합되고, 결합편(21)의 단부가 벤딩되어 결합홀(21)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홀(12b)에 삽입되어 걸려진다. 가이드레일만을 따로 분리하여 교환 가능하고, 브라켓(10)에 가이드레일을 장착하기 용이하다.

Description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Guide rail assembly of drawer}
본 발명은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랍을 서랍 수용부에서 부드럽게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서랍은 일반적인 가구뿐만 아니라 싱크대와 냉장고(김치냉장고 포함) 같은 주방용 가구 및 가전 제품에도 널리 적용되어 있다.
또한, 서랍의 사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보다 부드러운 작동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랍은 가이드레일을 매개로 서랍이 설치되는 물품에 형성된 서랍 수용부의 양측 벽면에 장착된다.
가이드레일은 서랍 수용부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서랍의 측면에 고정되는 이동레일이 롤러 및 볼 등의 구름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된 것으로 구름부재의 작용에 의하여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서랍을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서랍 인출 거리가 긴 경우에는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의 사이에 중간레일을 두어 서랍 인출 거리를 필요한 만큼 길게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레일과 중간레일 및 이동레일로 이루어진 가이드레일의 일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59765에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인용문헌에 게시된 가이드레일은 고정레일(인용문헌에서는 가이드레일(30)로 지칭됨)의 일측에 체결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리브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가이드레일 자체를 직접 서랍 수용부의 벽면에 장착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체결리브가 고정레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의 크기와 중량이 커져 취급이 불편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부품 고장이 발생할 경우 가이드레일 전체를 서랍 수용부로부터 탈거하여 교체해야만 하므로 낭비(교환 비용 상승)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크기와 중량이 감소하여 취급이 간편하고 제조 비용이 감소하며, 부분 탈거가 가능하여 전체 부품을 모두 교환해야만 하는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을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랍 수용부의 벽면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서랍에 고정되는 이동레일 및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 개재된 구름부재를 포함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결합홀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홀의 일측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는 결합편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의 결합홀 일측에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단부가 벤딩되어 상기 걸림홀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려진다.
상기 결합편 단부에 인접하여 그 단부의 벤딩 방향쪽 면에 결합편의 폭을 가로지르는 직선형 벤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편이 복수 개 형성되고, 브라켓에 결합편과 같은 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홀은 인접한 두 결합홀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의 결합편 결합 방향쪽 단부 테두리면에는 그 단부 테두리면에 인접한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편의 단부가 벤딩/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이 브라켓의 반대쪽 테두리면에도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직부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평부에 상기 결합홀과 걸림홈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 수용부의 벽면에 브라켓을 선 고정하고, 브라켓에 가이드레일을 고정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부품 고장시 가이드레일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 고장시 브라켓까지 교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교체 비용이 절약된다.
상기 브라켓은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과 결합되는 것으로, 양측의 결합부에 해당되는 부분만 브라켓이 존재하고, 종래와 같이 브라켓에 해당되는 부분(체결리브)이 고정레일의 길이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 않으므로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크기와 중량이 감소된다. 이에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상기 브라켓과 가이드레일의 결합은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과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에 형성된 결합편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결합편을 결합홀로 삽입하여 결합홀의 테두리 부분에 끼워 맞추는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이드레일의 장착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후, 결합편의 단부가 결합홀의 측부에 형성된 걸림홀로 벤딩/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고정레일 즉, 가이드레일이 더욱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 단부의 벤딩 방향쪽 단부에 형성된 벤딩홈에 의해서 결합편 단부의 벤딩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결합편의 단부가 걸림홀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사시도(브라켓 1개는 분리 상태로 도시됨)
도 2는 가이드레일을 구성하는 고정레일의 사시도.
도 3은 고정레일에 형성된 결합편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브라켓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브라켓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브라켓과 고정레일의 결합 상태 저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결합편의 단부가 브라켓의 걸림홈쪽으로 벤딩/삽입되어 걸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랍 가이드레일 조립체의 사시도(브라켓 1개는 분리 상태로 도시됨)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는 서랍이 설치되는 물품(각종 가구, 싱크대, 냉장고 등)의 서랍 수용부 내측의 벽면에 장착되는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은 고정레일(20)과, 고정레일(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중간레일 및, 중간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랍에 연결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편의상 가이드레일 전체를 도시하지 않고 고정레일(20)만을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20)은 상면이 개구된 직선형 관체로서 평평한 바닥부을 갖는다.
고정레일(20)의 바닥부에는 랜싱(lancing) 및 프레스 가공을 통해 바닥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L형의 결합편(21)이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21)은 브라켓(10)에 형성되는 결합홀(12a)(이후 설명함.)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상응하는 위치에 같은 수로 형성된다.
결합편(21)은 고정레일(20)의 바닥부와의 사이에 소정 두께의 갭을 형성하는데, 그 갭은 브라켓(10)의 두께, 특히 브라켓(10)에서 상기 결합홀(12a)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결합편(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21a)가 고정레일(20)의 바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있다. 즉, 단부(21a)의 바닥부쪽 면은 경사면으로서 상기 갭의 입구를 안내해주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편(21)은 고정레일(20)의 바닥부쪽 면에서 상기 경사 형성된 단부에 인접한 부분에 폭 방향 전체를 가로지르는 벤딩홈(21b)이 형성된다. 벤딩홈(21b)은 결합편(21) 단부(21a)의 벤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브라켓(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L형상의 단면을 갖는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브라켓(10)에서 서랍 수용부의 측벽에 장착되는 부분을 수직부(11), 수직부(11)의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을 수평부(12)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직부(11)와 수평부(12)의 절곡된 모서리 부분에는 절곡 공간의 외측(브라켓(10)의 배면측 부분)에서 함입되어 절곡 공간의 내측(브라켓(10)의 정면측 부분)으로 돌출된 강성보강부(13)가 수직부(11)와 수평부(12)에 걸쳐 복수 개 형성된다. 복수의 강성보강부(13)는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부(11)에는 복수의 체결홀(11a)이 형성된다. 체결홀(11a)은 원형 관통 구멍으로서 볼트나 리벳 등의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브라켓(10)을 서랍 수용부의 벽면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수평부(12)에는 서랍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표시된 좌표계의 Y방향)을 따라 결합홀(12a)이 관통 형성된다. 결합홀(12a)은 고정레일(20)의 결합편(21)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어 결합편(21)이 결합홀(12a)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12a)은 결합편(21)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결합편(21)과 상응하는 위치에 같은 수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12a)들의 사이에는 또 다른 관통홀인 걸림홀(12b)이 형성된다. 걸림홀(12b)은 결합편(21)의 단부(21a)가 벤딩/삽입되어 걸려지는 부분으로서 결합홀(12a)과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홀(12b)은 인접한 두 결합홀(12a) 사이의 중간에 형성된다. 즉, 걸림홀(12b)의 양측 단부로부터 인접한 각 결합홀(12a)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이는 브라켓(10)이 서랍 수용부의 반대쪽 벽면에 장착되기 위해 도 5와 같은 상태로 뒤집혀 사용되는 경우에 결합편(21)의 결합방향에 있어서 결합홀(12a)로부터 걸림홀(12b)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브라켓(10)을 좌/우 구분 없이 하나의 형태로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브라켓(10)의 수평부(12)에서 길이방향(Y방향) 끝쪽에 위치한 결합홀(12a)의 일측(결합편(21)의 결합방향으로) 즉, 수평부(12)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걸림홀(12b)과 동일한 폭을 가진 걸림홈(12c)이 형성된다. 이 걸림홈(12c)에도 결합편(21)의 단부(21)가 벤딩/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
상기 걸림홈(12c)의 경우에도 브라켓(10)을 서랍 수용부의 좌/우측 벽에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반대쪽 단부에도 동일한 크기의 걸림홈(12c)이 형성된다.
이제 상기 브라켓(10)과 고정레일(2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브라켓(10)을 서랍 수용부의 측벽면에 장착한다. 브라켓(10)의 수직부(11)에 형성된 체결홀(11a)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삽입하여 서랍 수용부의 측벽면에 고정함으로써 브라켓(10)을 서랍 수용부의 측벽면에 장착할 수 있다.
이어 브라켓(10)의 수평부(12) 위에 가이드레일(고정레일(20)과 중간레일 및 이동레일의 조립 상태)을 위치시키고, 도 6과 같이, 결합편(21)을 결합홀(12a)에 삽입 결합한다. 즉, 고정레일(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결합편(21)을 결합홀(12a)의 상부에 위치시킨후 하강시켜 결합편(21)을 결합홀(12a)에 삽입한 후, 고정레일(20)을 일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결합편(21)의 갭으로 결합홀(12a)의 주변 부분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결합편(21)의 단부(21a)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편(21)과 고정레일(20)의 바닥부 사이의 갭으로 결합홀(12a)의 인접 부분(브라켓 수평부(12)의 일부)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편(21)의 갭에 결합홀(12a)의 주변 부분 즉, 브라켓(10)의 수평부(12) 일부가 강하게 끼워지고 또한 결합 위치가 복수 개소이므로 고정레일(20)은 브라켓(20)에 강하게 고정된다. 이에 더하여 결합홀(12a)의 단부쪽 폭과 결합편(21)의 폭이 거의 같기 때문에 결합 상태에서 결합편(21)의 폭 방향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정레일(20)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레일(20)의 결합 강성은 결합편(21) 결합시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해서는 취약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도 6의 상태에서 결합편(21)의 단부(21a)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벤딩시키면 결합편(21)의 단부(21a)가 도 7과 같이 결합홀(12a)의 측부에 형성된 상기 걸림홀(12b)에 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
이때 결합편(21)의 상면에 벤딩홈(21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부(21a)가 상방으로 보다 용이하게 벤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벤딩이 벤딩홈(21b)을 따라 정확한 직선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부(21a)의 상방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단부(21a)가 걸림홀(12b) 및 걸림홈(12c)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걸려질 수 있다.
브라켓(10) 수평부(12)의 단부쪽에 위치한 결합홀(12a)에 삽입된 결합편(21)의 경우에는 단부(21a)가 브라켓(10)의 일측 단부면에 형성된 걸림홈(12c)에 삽입되어 걸려진다.
상기와 같이 결합편(21)의 단부(21a)가 벤딩되어 걸림홀(12b) 및 걸림홈(12c)에 걸려짐으로써 고정레일(10)에 결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결합편(21)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반면 탈거시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결합편(21)을 하방으로 회동 변형시키면 결합편(21)의 단부(21c)가 걸림홀(12b) 및 걸림홈(12c)에서 빠져나오므로 고정레일(10)을 결합시와 반대로 밀어 용이하게 결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10)은 인접한 두 결합홀(12a) 사이의 중앙에 걸림홀(12b)이 형성되고, 걸림홈(12c)이 브라켓(10)의 양측 단부에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형상에 있어 방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브라켓(10)은 한가지 형상으로 서랍 수용부의 좌우측 벽면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브라켓 11 : 수직부
11a : 체결홀 12 : 수평부
12a : 결합홀 12b : 걸림홀
12c : 걸림홈 20 : 고정레일
21 : 결합편 21a : 단부
21b : 벤딩홈

Claims (8)

  1. 서랍 수용부의 벽면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서랍에 고정되는 이동레일 및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 개재된 구름부재를 포함한 가이드레일과,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결합홀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에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결합홀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홀의 일측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는 결합편
    을 포함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결합홀 일측에 걸림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단부가 벤딩되어 상기 걸림홀의 내부로 삽입되어 걸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 단부에 인접하여 그 단부의 벤딩 방향쪽 면에 결합편의 폭을 가로지르는 직선형 벤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에 결합편이 복수 개 형성되고, 브라켓에 결합편과 같은 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홀은 인접한 두 결합홀 사이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결합편 결합 방향쪽 단부 테두리면에는 그 단부 테두리면에 인접한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편의 단부가 벤딩/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이 브라켓의 반대쪽 테두리면에도 동일 선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직부에 체결수단이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수평부에 상기 결합홀과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KR1020150165137A 2015-11-25 2015-11-25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KR101847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37A KR101847387B1 (ko) 2015-11-25 2015-11-25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137A KR101847387B1 (ko) 2015-11-25 2015-11-25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86A true KR20170060686A (ko) 2017-06-02
KR101847387B1 KR101847387B1 (ko) 2018-04-11

Family

ID=59222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137A KR101847387B1 (ko) 2015-11-25 2015-11-25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60U (ko) * 2021-05-27 2022-12-06 최성만 냉장고 서랍용 레일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860U (ko) * 2021-05-27 2022-12-06 최성만 냉장고 서랍용 레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387B1 (ko)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9112B2 (en) Drawer glide mechanism
JP5410853B2 (ja) ガイドレール固定装置
US10334950B2 (en) Slide rail assembly
KR101544701B1 (ko) 텔레스코프형 풀-아웃 가이드
US20070080616A1 (en) Sliding guide rail system for a drawer
KR101406781B1 (ko) 서랍용 슬라이드 탈착장치
JP2014533987A (ja) 直角関係に配置される2つの引出し壁部分を接続する接続装置
US20130026899A1 (en) Pull-out guide
EP3847925B1 (en) Connection device
US20160242543A1 (en) Device for the Detachable Connection of a Furniture Pull-Out Movably Guided in a Furniture Body via a Guide Unit with the Guide Unit
KR20160065725A (ko) 슬라이딩 레일 고정장치
KR20140026546A (ko) 서랍
EP2532274B1 (en) Apparatus for fixing slide rail
KR101847387B1 (ko) 서랍의 가이드레일 조립체
CN108720379B (zh) 抽屉滑轨组件及制冷设备
JP3191618U (ja) スライドレールシステム及び当該スライドレール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連結装置
CN109764614B (zh) 抽屉装配结构及具有其的冰箱
EP3264015A1 (en) Refrigerator with glass shelves
US9675173B2 (en) Drawer sidewall assembly
US20160150669A1 (en) Mounting frame and rail for electronics and instrumentation enclosure
US20130058598A1 (en) Inner rail release and positioning structure
WO2016107738A1 (en) A home appliance comprising a door shelf having a frame which supports a compartment
US9693629B2 (en) Method of installing a drawer in a cabinet
CN106308151A (zh) 可因应不同板厚柜体的拉伸型容置装置
KR200302805Y1 (ko) 냉장고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