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669A -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669A
KR20170060669A KR1020150164998A KR20150164998A KR20170060669A KR 20170060669 A KR20170060669 A KR 20170060669A KR 1020150164998 A KR1020150164998 A KR 1020150164998A KR 20150164998 A KR20150164998 A KR 20150164998A KR 20170060669 A KR20170060669 A KR 20170060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image data
axis
id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213B1 (ko
Inventor
전병기
이준규
노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21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아이들 상태와 액티브 상태로 구동되고, 상기 아이들 상태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아이들 상태와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등 다양한 종류의 표시 장치들이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 장치들이 특정 영상 또는 글자를 장시간 출력하게 되면, 특정 화소(Pixel)가 열화되어 잔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는 기술(이른바 픽셀 시프트(Pixel Shift)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표시 패널 상에 일정 주기로 영상을 이동시켜 표시하면, 특정 픽셀에 동일한 데이터가 오랜 시간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정 픽셀의 열화를 방지한다.
예컨데, 표시 장치는 픽셀 시프트 기술에 의해 동일한 패턴으로 영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패턴을 반복하여 영상을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 가능한 픽셀의 영역이 한정되며, 이에 따라 열화 개선 성능이 낮아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표시 장치의 구동 상태에 대응한 복수의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각 룩 업 테이블에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상이하게 설정하고, 구동 상태마다 서로 다른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을 이동시켜서 화소의 열화를 개선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이들 상태와 액티브 상태로 구동되고, 상기 아이들 상태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아이들 상태와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들 상태마다 서로 다른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들 상태를 j(j는 2 이상의 자연수)번 카운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j 개의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들 상태 및 상기 액티브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를 카운트하여 상응하는 구동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결정부와, 상기 구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로 공급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들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상 보정부는, 프레임 생성 횟수를 계산하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와, 상기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영역을 이동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결정부와,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게 상기 제1 영역이 축소되고, 상기 제2 영역이 확장되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아이들 상태의 상기 반복횟수와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룩 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프레임 생성 횟수와 상응하는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영상의 x축 이동 방향과 x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x축 이동량 결정부와, 상기 영상의 y축 이동 방향과 y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y축 이동량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x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x축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y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y축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이 축소된 크기는 상기 제2 영역이 확장된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상의 크기는 이동 전과 후로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제1 영역이 축소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이들 상태와 액티브 상태로 구동되고, 상기 아이들 상태의 반복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카운트된 아이들 상태와 대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휘도로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생성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룩 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생성 횟수에 상응하는 영상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3 영역을 이동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게 상기 제1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제2 영역을 확장하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구동 상태에 대응하게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하고,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면, 룩 업 테이블에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각 구동 상태마다 서로 다른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영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은 전체 화소의 열화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영상 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영상 표시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영상 표시 영역에 포함된 화소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영역에서 x축 영상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가 x축 영상 이동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x축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x축 확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영역에서 y축 영상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가 y축 영상 이동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y축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y축 확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룩 업 테이블을 리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에 대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영상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프로세서(100), 표시부(200), 및 메모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표시부(200)로 제1 영상 데이터(DATA1), 제2 영상 데이터(DATA2), 및 제어 신호(CS)를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0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모바일(mobile) AP,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표시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0)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110), 상태 결정부(120), 및 영상 보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110)는 표시부(200)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생성부(11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영상 보정부(130)로 공급할 수 있다.
상태 결정부(120)는 표시 장치(10)의 아이들(idle) 상태 또는 액티브(active) 상태를 감지하여 구동 상태 정보(SI)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구동 상태 정보(SI)는 표시 장치(10)의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아이들 상태는 표시 장치(10)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일례로, 표시 장치(10)에서 정지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즉 프로그램 등이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태 결정부(120)는 표시 장치(10)를 아이들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액티브 상태는 표시 장치(10)가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컨대, 표시 장치(10)에 동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즉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경우에 상태 결정부(120)는 표시 장치(10)를 액티브 상태로 감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액티브 상태와 아이들 상태로 반복적으로 변경되면서 구동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가 액티브 상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프로세스 실행에 따른 전력 소비량이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전력소비 절감을 위해서, 액티브 상태에서 픽셀 시프트에 의한 영상 이동을 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전력소비량이 적은 아이들 상태에서 상기 영상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태 결정부(120)는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 결과를 포함하는 구동 상태 정보(SI)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0)는 전원이 입력된 후 복수 번의 아이들 상태가 반복될 수 있다. 상태 결정부(120)는 표시 장치(10)로 전원이 입력된 후 아이들 상태가 세 번째 도래한 것일 때, 세 번째 아이들 상태임을 알리는 구동 상태 정보(SI)를 생성할 수 있다.
상태 결정부(120)는 구동 상태 정보(SI)를 영상 보정부(130)로 공급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구동 상태 정보(SI)를 이용하여 제1 영상 데이터(DATA1) 또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표시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구동 상태 정보(SI)를 분석하여, 표시 장치(10)가 액티브 상태이면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표시부(200)로 공급하고, 표시 장치(10)가 아이들 상태이면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하여 표시부(200)로 공급한다.
영상 보정부(130)는 룩 업 테이블(LUT)을 이용하여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보정부(130)는 구동 상태 정보(SI)에 포함된 카운트 결과를 기초로 룩 업 테이블(LUT)을 메모리(300)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즉, 영상 보정부(130)는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와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영상 보정부(130)는 아이들 상태마다 서로 다른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태 결정부(120)가 아이들 상태를 j(j는 2이상의 자연수)번 카운트하여 구동 상태 정보(SI)를 생성한 경우에 영상 보정부(130)는 j개의 룩 업 테이블(LUT)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상태 결정부(120)는 아이들 상태를 카운트할 때, j번 단위로 카운트 결과를 리셋할 수 있고, 카운트 결과와 상응하게 룩 업 테이블(LUT)은 j개 존재할 수 있다. 즉, 상태 결정부(120)가 카운트 가능한 총 횟수와 룩 업 테이블(LUT)의 개수는 동일하게 존재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가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에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하는 방법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표시부(200)는 타이밍 제어부(210), 주사 구동부(220), 데이터 구동부(230), 및 표시 패널(240)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1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ATA1)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2) 중에서 어느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10)는 프로세서(100)로부터 제어신호(CS)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사 제어신호(SCS)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210)는 주사 제어신호(SCS)를 주사 구동부(2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10)는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250)로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타이밍 제어부(210)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ATA1) 및 제2 영상 데이터(DATA2) 중에서 어느 하나와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입력받아,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구동부(23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하거나,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30)는 생성된 데이터 신호(DS)를 데이터선들(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30)는 표시 패널(240)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주사 구동부(220)는 주사 제어신호(SCS)에 기초하여 주사선들(미도시)에 주사신호(SS)를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주사 구동부(220)는 표시 패널(240)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표시 패널(240)은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접속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패널(240)은 유기전계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소들은 주사선들로 주사신호(SS)가 공급될 때 수평라인 단위로 선택된다. 주사신호(SS)에 의하여 선택된 화소들은 자신들과 접속된 데이터선으로부터 데이터신호(DS)를 공급받는다. 데이터신호(DS)를 공급받은 화소들은 데이터신호(DS)에 대응하여 소정 휘도의 빛을 방출한다.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220)는 주사 구동부(240)와 별개로 분리되어 위치하거나, 주사 구동부(210)와 통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보정부(130)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132), 이동량 결정부(134), 영역 결정부(136), 및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132)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수신하고, 제1 영상 데이터(DATA1)와 상응하게 생성된 프레임 생성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132)는 프레임 생성 횟수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CI)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132)는 제어신호(예를 들어, 수직 동기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프레임 생성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132)는 프레임 정보(CI)를 이동량 결정부(134)로 공급할 수 있다.
이동량 결정부(134)는 영상의 x축 이동 방향, y축 이동 방향, x축 이동량, 및 y축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이동량 결정부(134)는 상태 결정부(120)로부터 수신된 구동 상태 정보(SI)와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메모리(300)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량 결정부(134)는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와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량 결정부(134)는 프레임 정보(CI)와 선택된 룩 업 테이블(LUT)을 이용하여 영상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량 결정부(134)는 프레임 생성 횟수와 상응하는 x축 이동 방향, y축 이동 방향, x축 이동량, 및 y축 이동량을 룩 업 테이블(LUT)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동량 결정부(134)는 룩 업 테이블(LUT)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와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생성할 수 있다.
영역 결정부(136)는 표시 패널(240) 상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x축 및 y축을 따라 축소 영역, 확장 영역, 및 이동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역 결정부(136)는 x축 영역 결정부(136-1) 및 y축 영역 결정부(136-2)를 포함할 수 있다.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와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x축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x축 영역에 대한 x축 영역 정보(XAI)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x축 영역은 x축 축소 영역, x축 확장 영역, 및 x축 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와 영상 이동량 정보(SAI)를 이용하여 y축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y축 영역에 대한 y축 영역 정보(YAI)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y축 영역은 y축 축소 영역, y축 확장 영역, 및 y축 이동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x축 영역 정보(XAI)와 y축 영역 정보(YAI)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가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6a부터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영상 표시 영역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영상 표시 영역에 포함된 화소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패널(240)은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240)의 사용자는 영상 표시 영역(DA)에 표시된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영역(DA)은 데이터 신호(DS)에 상응하는 휘도로 발광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x축 좌표와 y축 좌표로 복수의 화소들 각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x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화소들에 1부터 n까지의 x축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y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화소들에 1부터 m까지의 y축 좌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화소(Px1), 화소(Px2), 화소(Pxn), 화소(Pxk-1), 및 화소(Pxk) 각각은 좌표(1, 1), 좌표(1,2), 좌표(1, n), 좌표(m, n-1), 및 좌표(m, n)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 패널(240)의 해상도가 1920×1080이면, x축 좌표 n은 1920이고, y축 좌표 m은 1080일 수 있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영역에서 x축 영상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예컨대, 도 6a와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이동방향과 이동량에 상응하게 영상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영상 표시 영역(DA)에서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초기 영상(Im1)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표시 영역(DA)은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A3)은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고, 제1 영역(A1)은 제3 영역(A3)의 -x축 방향에 위치한 영역이고, 제2 영역(A2)은 제3 영역(A3)의 +x축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픽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초기 영상(Im1)을 이동시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는 픽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DA)의 영역들(A1, A2, 및 A3)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1)을 축소, 확장,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영상 표시 영역(DA)에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기초로 보정 영상(Im1')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기초로 보정 영상(Im1')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제1 영역(A1)을 x축 축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A2)을 x축 확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제1 영역(A1)의 면적을 제1 면적(Ex1)만큼 축소시키고, 제2 영역(A2)의 면적을 제2 면적(Ex2)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에 따라 각 영역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방향을 결정하고, 영상 이동량 정보(SAI)에 포함된 스케일링비를 이용하여 각 영역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A1)이 축소되는 제1 면적(Ex1)과 제2 영역(A2)이 확장되는 제2 면적(Ex2)은 동일할 수 있다.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x축 방향을 따라 축소되거나 확장된 각 영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x축 영역 정보(XAI)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제3 영역(A3)을 x축 이동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제3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x축 영역 정보(XAI)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x축 영역 정보(XAI)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A1)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1)은 제1 면적(Ex1)만큼 축소되어 제1 영역(A1')에서 보정 영상(Im1')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A2)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1)은 제1 면적(Ex1)만큼 확장되어 제2 영역(A2')에서 보정 영상(Im1')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3 영역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1)은 제1 면적(Ex1)만큼 제1 영역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정 영상(Im1')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초기 영상(Im1)의 전체 면적과 보정 영상(Im1')의 전체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영역(DA)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 영역(A1')에서 표시된 영상은 일정 비율(예컨대, 제1 영역(A1')에서 표시되는 보정 영상(Im1')의 크기/제1 영역(A1)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1)의 크기)로 축소되어 표시되고, 제2 영역(A2')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일정 비율(예컨대, 제2 영역(A2')에서 표시되는 보정 영상(Im1')의 크기/제2 영역(A2)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1)의 크기)로 확장되어 표시되고, 제3 영역(A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A2')이 축소되거나 확장된 면적만큼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면, 영상 표시 영역(DA)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일정주기로 이동시켜서 특정 화소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화소의 열화에 따른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가 x축 영상 이동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화소들 중에서 한 행의 화소들(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화소들)에 입력될 x축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한 행의 화소들의 개수는 n개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한 행의 화소들의 개수를 16개로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여기서, 초기 영상(Im1)은 영상 데이터(pd1)를 기초로 표시된 영상이고, 보정 영상(Im1')은 영상 데이터(Pd2)를 기초로 표시된 영상이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영상 데이터(Pd1)를 포함하고,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영상 데이터(Pd2)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x축 방향을 따라 초기 영상(Im1)을 서브 영역들(SAx1, SAx2, 및 SAx3)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x축 방향을 따라 보정 영상(Im1')을 서브 영역들(SBx1, SBx2, 및 SBx3)로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좌표(1,1)부터 좌표(1,5)의 화소들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제1 서브 영역(SAx1)으로 설정하고, 제1 서브 영역(SAx1)을 x축 축소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좌표(1,6)부터 좌표(1,13)의 화소들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제3 서브 영역(SAx3)으로 설정하고, 제3 서브 영역(SAx3)을 x축 이동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x축 영역 결정부(136-1)는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좌표(1,14)부터 좌표(1,16)의 화소들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제2 서브 영역(SAx2)으로 설정하고, 제2 서브 영역(SAx2)을 x축 확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서브 영역들(SAx1, SAx2, 및 SAx3)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를 기초로 서브 영역들(SBx1, SBx2, 및 SBx3)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제1 서브 영역(SAx1)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를 이용하여 제1 서브 축소 영역(SBx1)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2)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제3 서브 영역(SAx3)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를 제3 서브 이동 영역(SBx3)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2)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제2 서브 영역(SAx2)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를 제2 서브 확장 영역(SBx2)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2)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x축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x축 확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다음 수식에 따라 영상 데이터(Pd1)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Pd2 = sPd1×s.ratio + cPd1×c.ratio + ePd1×e.ratio
여기서, sPd1은 재조합될 영상 데이터 중에서 시작 화소(가장 작은 x축 좌표 값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s.ratio는 상기 시작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시작 비율이다.
또한, ePd1은 재조합될 영상 데이터 중에서 종료 화소(가장 큰 x축 좌표 값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e.ratio는 상기 종료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종료 비율이다.
또한, cPd1은 재조합될 영상 데이터 중에서 시작 화소와 종료 화소 사이에 위치한 중간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이고, c.ratio는 중간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의 중간 비율이다.
이때, 상기 시작 비율, 상기 종료 비율, 및 상기 중간 비율은 영역 결정부(136)가 룩 업 테이블(LUT)을 참조하여 생성된 값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작 비율, 상기 종료 비율, 및 상기 중간 비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다음과 같이 영상 데이터(Pd2_1a, Pd2_2a, 및 Pd2_3a)를 계산할 수 있다.
Pd2_1a = Pd1_1a×R1 + Pd1_2a×R2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시작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1a), 시작 비율(R1), 종료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a), 및 종료 비율(R2)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1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좌표(1,1)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1a)와 좌표(1,2)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a)의 일부를 이용하여 좌표(1,1)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2_1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작 화소와 종료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화소가 없기 때문에, 상기 중간 화소에 대한 계산식은 생략될 수 있다.
Pd2_2a = Pd1_2a×R3 + Pd1_3a×R4 + Pd1_4a×R5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시작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a), 시작 비율(R3), 중간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3a), 중간 비율(R4), 종료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4a), 및 종료 비율(R5)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2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좌표(1,2)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2a)의 일부, 좌표(1,3)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3a), 및 좌표(1,4)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4a)의 일부를 이용하여 좌표(1,2)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2_2a)를 생성할 수 있다.
Pd2_3a = Pd1_4a×R6 + Pd1_5a×R7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시작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4a), 시작 비율(R6), 종료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5a), 및 종료 비율(R7)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2_3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좌표(1,4)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4a)의 일부와 좌표(1,5)의 화소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1_5a)를 이용하여 좌표(1,3)에서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Pd2_3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시작 화소와 종료 화소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화소가 없기 때문에, 상기 중간 화소에 대한 계산식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x축 축소 영역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Pd2_1a, Pd2_2a, 및 Pd2_3a)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도 8에서 설명된 수식에 따라 영상 데이터(Pd1)를 기초로 영상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Pd2_1b, Pd2_2b, Pd2_3b, Pd2_4b, 및 Pd2_5b)는 비율들(R1', R2', R3', R4', R5', R6', 및 R7')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Pd2_1b = Pd1_1b×R1'
Pd2_2b = Pd1_1b×R2' + Pd1_2b×R3'
Pd2_3b = Pd1_2b×R4'
Pd2_4b = Pd1_2b×R5' + Pd1_3b×R6'
Pd2_5b = Pd1_3b×R7'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가 영상 데이터(Pd2_1b, Pd2_2b, Pd2_3b, Pd2_4b, 및 Pd2_5b)를 계산하는 방법은 도 8에서 설명된 영상 데이터(Pd2_1a, Pd2_2a, 및 Pd2_3a)를 계산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x축 확장 영역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Pd2_1b, Pd2_2b, Pd2_3b, Pd2_4b, 및 Pd2_5b)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제3 서브 영역(SAx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1)를 기초로 제3 서브 이동 영역(SBx3)을 표시하는 영상 데이터(Pd2)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좌표(1,6)부터 좌표(1,13)의 화소들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영상 데이터 재구성에 의해 좌표(1,4)부터 좌표(1,11)의 화소들에서 표시된다.
즉, 제3 서브 영역(SAx3)의 영상은 -x축 방향을 따라 2개의 화소 크기만큼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3 서브 영역의 영상이 2개의 화소 크기만큼 이동되어 표시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는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이 확대되거나 축소되는 비율에 따라 1개의 화소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제3 서브 영역의 영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영역에서 y축 영상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예컨대, 도 10a와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룩 업 테이블에 포함된 이동방향과 이동량에 상응하게 영상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영상 표시 영역(DA)에서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초기 영상(Im2)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표시 영역(DA)은 제1 영역(B1), 제2 영역(B2) 및 제3 영역(B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영역(B3)은 제1 영역(B1)과 제2 영역(B2)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이고, 제1 영역(B1)은 제3 영역(B3)의 +y축 방향에 위치한 영역이고, 제2 영역(B2)은 제3 영역(B3)의 -y축 방향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표시 장치(10)는 픽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초기 영상(Im2)을 이동시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는 픽셀 시프트 동작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DA)의 영역들(B1, B2, 및 B3)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2)을 축소, 확장,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영상 표시 영역(DA)에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기초로 보정 영상(Im2')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기초로 보정 영상(Im2')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제1 영역(B1)을 y축 축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B2)를 y축 확장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제1 영역(B1)의 면적을 제3 면적(Ex3)만큼 축소시키고, 제2 영역(B2)의 면적을 제4 면적(Ex4)만큼 확장시킬 수 있다.
예컨대,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영상 이동 방향 정보(SDI)에 따라 각 영역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방향을 결정하고, 이동량 정보(SAI)에 포함된 스케일링비를 이용하여 각 영역이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B1)이 축소되는 제3 면적(Ex3)과 제2 영역(B2)이 확장되는 제4 면적(Ex4)은 동일할 수 있다.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y축 방향을 따라 축소되거나 확장된 각 영역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y축 영역 정보(YAI)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제3 영역(B3)을 y축 이동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y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 제3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y축 영역 정보(YAI)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는 y축 영역 정보(YAI)를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영역(B1)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2)은 제3 면적(Ex3)만큼 축소되어 제1 영역(B1')에서 보정 영상(Im2')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B2)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2)은 제4 면적(Ex4)만큼 확장되어 제2 영역(B2')에서 보정 영상(Im2')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3 영역(B3)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2)은 제3 면적(Ex3)만큼 제1 영역(B1')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정 영상(Im2')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초기 영상(Im2)의 전체 면적과 보정 영상(Im2')의 전체 면적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영역(DA)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 영역(B1')에서 표시된 영상은 일정 비율(예컨대, 제1 영역(B1')에서 표시되는 보정 영상(Im2')의 크기/제1 영역(B1)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2)의 크기)로 축소되어 표시되고, 제2 영역(B2')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일정 비율(예컨대, 제2 영역(B2')에서 표시되는 보정 영상(Im2')의 크기/제2 영역(B2)에서 표시되는 초기 영상(Im2)의 크기)로 확장되어 표시되고, 제3 영역(B3')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제1 영역(B1') 또는 제2 영역(B2')이 축소되거나 확장된 면적만큼 이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y축 영역 결정부(136-2)가 제1 영역(B1 및 B1'), 제2 영역(B2, 및 B2'), 및 제3 영역(B3 및 B3')을 설정하는 방법은 도 5a 및 도 5b에서 설명된 제1 영역(A1 및 A1'), 제2 영역(A2, 및 A2'), 및 제3 영역(A3 및 A3')을 설정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가 y축 영상 이동에 따라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y축 축소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3는 도 11에 도시된 y축 확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화소들 중에서 한 열의 화소들(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화소들)에 입력될 y축 방향의 영상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한 열의 화소들의 개수는 m개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한 열의 화소들의 개수를 16개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초기 영상(Im2)은 영상 데이터(Pd3)을 기초로 표시된 영상이고, 보정 영상(Im2')은 영상 데이터(Pd4)를 기초로 표시된 영상이다. 또한,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영상 데이터(Pd3)를 포함하고, 제2 영상 데이터(DATA2)는 영상 데이터(Pd4)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y축 방향을 따라 초기 영상(Im2)을 서브 영역들(SAy1, SAy2, 및 SAy3)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y축 영역 결정부(136-2)는 y축 방향을 따라 보정 영상(Im2')를 서브 영역들(SBy1, SBy2, 및 SBy3)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y축 영역 결정부(136-2)가 초기 영상(Im2)을 서브 영역들(SAy1, SAy2, 및 SAy3)로 구분하고, 보정 영상(Im2')을 서브 영역들(SBy1, SBy2, 및 SBy3)로 구분하는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가 영상 데이터(Pd3_1a, Pd3_2a, Pd3_3a, Pd3_4a, 및 Pd3_5a)와 비율들(S1, S2, S3, S4, S5, S6, 및 S7)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1a, Pd4_2a, 및 Pd4_3a)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영상 데이터(Pd2_1a, Pd2_2a, 및 Pd2_3a)를 생성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영상 데이터 보정부(138)가 영상 데이터(Pd3_1b, Pd3_2b, 및 Pd3_3b)와 비율들(S1', S2', S3', S4', S5', S6', 및 S7')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Pd4_1b, Pd4_2b, Pd4_3b, Pd4_4b,및 Pd4_5b)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영상 데이터(Pd2_1b, Pd2_2b, Pd2_3b, Pd2_4b,및 Pd2_5b)를 생성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룩 업 테이블을 리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에 대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영상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와 도 14를 참조하면, 상태 결정부(120)는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를 카운트하여 구동 상태 정보(SI)를 영상 보정부(1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에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하고, 선택된 룩 업 테이블(LUT)을 메모리(300)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0)가 첫 번째 아이들 상태인 경우, 영상 보정부(130)는 제1 룩 업 테이블(LUT1)을 선택하고, 제1 룩 업 테이블(LUT1)을 메모리(300)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 장치(10)가 두 번째 아이들 상태인 경우, 영상 보정부(130)는 제2 룩 업 테이블(LUT2)을 선택하고, 제2 룩 업 테이블(LUT2)을 메모리(300)로부터 리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에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은 미리 결정되어 메모리(30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보정부(130)가 제1 룩 업 테이블(LUT1)을 이용하여 영상의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룩 업 테이블(LUT1)을 참조하면, x축 이동 방향(SDx)이 양의 방향(우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고, x축 이동 방향(SDx)이 음의 방향(좌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또한, y축 이동 방향(SDy)이 양의 방향(상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고, y축 이동 방향(SDy)이 음의 방향(하측)인 경우를 (-)로 표시하였다. 또한, 이동변화가 없는 "정지상태"는 "0"으로 표시하였다.
그리고, 프레임 정보(CI)에 포함된 프레임 생성 횟수에 대응하여 영상의 x축 이동 방향(SDx)과 이동량(SQx)이 도시되어 있고, 영상의 y축 이동 방향(SDy)과 이동량(SQy)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기재된 제1 룩 업 테이블(LUT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x축과 y축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에 대한 표현 방식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1번째 생성된 프레임부터 10번째 생성된 프레임에 대해 이동량 결정부(134)는 영상의 x축 이동방향(SDx)과 x축 이동량(SQx)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의 y축 이동방향(SDy)과 y축 이동량(SQy)을 각각 "상측(+)"과 "1"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11번째 생성된 프레임부터 20번째 생성된 프레임에 대해 이동량 결정부(134)는 영상의 x축 이동방향(SDx)과 x축 이동량(SQx)을 "0"으로 설정하고, 영상의 y축 이동방향(SDy)과 y축 이동량(SQy)을 각각 "상측(+)"과 "1"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프레임이 10번째 생성된 경우,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132)는 프레임 정보(CI)를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량 결정부(134)는 제1 룩 업 테이블(LUT1)에 따라, 영상의 x축 이동방향(SDx)과 x축 이동량(SQx)을 "0"으로 설정하고, y축 이동방향(SDy)과 y축 이동량(SQy)을 각각 "상측(+)"과 "1"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21번째 생성된 프레임부터 30번째 생성된 프레임에 대해 이동량 결정부(134)는 영상의 x축 이동방향(SDx)과 x축 이동량(SQx)을 각각 "우측(+)"과 "1"로 설정하고, 영상의 y축 이동방향(SDy)과 y축 이동량(SQy)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나머지 31번째부터 40번째 생성된 프레임과 41번째부터 50번째 생성된 프레임에 대해서도, 이동량 결정부(134)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영상의 x축 이동 방향(SDx)과 이동량(SQx) 및 영상의 y축 이동 방향(SDy)과 이동량(SQy)을 구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영역(DA)에서 x축 이동 영역과 y축 이동 영역에 모두 해당되는 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는 12개의 룩 업 테이블에 대응하게 구분된 12개의 영역들(AR1 내지 AR12) 내에서 영상의 이동 경로가 생성되는 것을 설명한다.
표시 장치(10)의 동작 상태는 아이들 상태와 액티브 상태 각각으로 반복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10)는 전력 소비 절감을 위해 아이들 상태에서만 픽셀 시프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표시 장치(10)가 반복되는 아이들 상태마다 같은 룩 업 테이블(LUT)을 참조하여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한다면, 영상 이동의 시작 지점은 좌표(0,0)으로 동일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매번 같은 이동 방향과 이동량으로 영상이 이동된다.
또한, 아이들 상태의 지속시간이 짧은 경우에 목표 이동량만큼 영상이 이동되지 않고 액티브 상태로 동작 모드가 변경되어 영상의 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 보정부(130)가 항상 도 14에 도시된 제1 룩 업 테이블(LUT1)을 선택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이동 경로는 제1 이동 영역(AR1) 내에서만 존재하게 된다. 또한, 아이들 상태의 지속시간이 짧은 경우 목표 이동량만큼 영상이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이 특정 이동 경로로만 이동이 집중되는 경우에 영상이 전방위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화소의 열화를 방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130)는 영상을 전방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아이들 상태마다 서로 다른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영상 보정부(130)는 반복되는 아이들 상태마다 서로 다른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포함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영상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이동 영역들(AR1 내지 AR12)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룩 업 테이블 내지 제12 룩 업 테이블 각각은 제1 이동 영역(AR1) 내지 제12 이동 영역(AR12) 각각에서 영상이 이동될 수 있는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보정부(130)는 아이들 상태마다 제1 룩 업 테이블부터 제12 룩 업 테이블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이전에 선택된 룩 업 테이블을 제외한 나머지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가 첫 번째 아이들 상태이면, 영상 보정부(130)는 제1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제1 룩 업 테이블을 기초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하여 제1 이동 영역(AR1) 내에서 영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가 두 번째 아이들 상태이면, 영상 보정부(130)는 제2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영상 보정부(130)는 제2 룩 업 테이블을 기초로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하여 제2 이동 영역(AR2) 내에서 영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룩 업 테이블 내지 제12 룩 업 테이블에 대응하게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3 이동 영역(AR3) 내지 제12 이동 영역(AR12) 내에서 영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 보정부(130)가 아이들 상태마다 서로 다른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한다면, 영상의 이동 경로는 영상 표시 영역(DA) 전방위에 포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전체적으로 화소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는 액티브 상태와 아이들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10)는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S100).
표시 장치(10)는 카운트된 아이들 상태에 대응하는 룩 업 테이블(LUT)을 선택할 수 있다(S110).
표시 장치(10)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선택된 룩 업 테이블(LUT)을 이용하여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S120).
이때, 표시 장치(10)는 프레임 생성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룩 업 테이블(LUT)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생성 횟수에 상응하는 영상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는 상기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3 영역을 이동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는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게 상기 제1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제2 영역을 확장하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S130).
만약, 표시 장치(10)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에, 표시 장치(10)는 제2 영상 데이터(DATA2)를 생성하지 않고, 제1 영상 데이터(DATA1)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S)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표시 장치(10)는 상기 데이터 신호(DS)에 상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S14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표시 장치 100: 프로세서
110: 영상 데이터 생성부 120: 상태 결정부
130: 영상 보정부 132: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134: 이동량 결정부 136: 영역 결정부
138: 영상 데이터 보정부 210: 타이밍 제어부
220: 주사 구동부 230: 데이터 구동부
240: 표시 패널 300: 메모리

Claims (18)

  1. 아이들 상태와 액티브 상태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상태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아이들 상태와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들 상태마다 서로 다른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들 상태를 j(j는 2 이상의 자연수)번 카운트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j 개의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이들 상태 및 상기 액티브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아이들 상태의 반복횟수를 카운트하여 상응하는 구동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결정부; 및
    상기 구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제1 영상 데이터 및 제2 영상 데이터 중에 어느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로 공급하는 영상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아이들 상태에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상 데이터인 표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보정부는,
    프레임 생성 횟수를 계산하는 프레임 데이터 카운터;
    상기 영상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하는 이동량 결정부;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영역을 이동 영역으로 설정하는 영역 결정부; 및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게 상기 제1 영역이 축소되고, 상기 제2 영역이 확장되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보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아이들 상태의 상기 반복횟수와 상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하고, 상기 룩 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프레임 생성 횟수와 상응하는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을 이용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량 결정부는,
    상기 영상의 x축 이동 방향과 x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x축 이동량 결정부; 및
    상기 영상의 y축 이동 방향과 y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y축 이동량 결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x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y축 이동량 결정부는,
    1개의 화소 상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보다 작은 단위로 상기 영상이 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y축 이동량을 결정하는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이 축소된 크기는 상기 제2 영역이 확장된 크기와 동일한 표시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크기는 이동 전과 후로 동일하게 유지되는 표시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제1 영역이 축소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결정되는 표시 장치.
  16. 아이들 상태와 액티브 상태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상태의 반복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카운트된 아이들 상태와 대응하는 룩 업 테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신호에 상응하는 휘도로 발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상태에서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 생성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룩 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프레임 생성 횟수에 상응하는 영상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기초로 상기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에서 제1 영역을 축소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2 영역을 확장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제3 영역을 이동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방향과 상기 이동량에 상응하게 상기 제1 영역을 축소하고, 상기 제2 영역을 확장하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2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0150164998A 2015-11-24 2015-11-24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49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998A KR102492213B1 (ko) 2015-11-24 2015-11-24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998A KR102492213B1 (ko) 2015-11-24 2015-11-24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69A true KR20170060669A (ko) 2017-06-02
KR102492213B1 KR102492213B1 (ko) 2023-01-27

Family

ID=5922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998A KR102492213B1 (ko) 2015-11-24 2015-11-24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2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709A (ko) * 2017-09-19 2019-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KR20190126676A (ko) * 2018-05-02 2019-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CN117275433A (zh) * 2023-11-20 2023-12-22 北京七维视觉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校色方法和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997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3562A (ko) * 2010-12-27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997A (ko) * 2006-11-13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3562A (ko) * 2010-12-27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데이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709A (ko) * 2017-09-19 2019-03-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KR20190126676A (ko) * 2018-05-02 2019-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CN117275433A (zh) * 2023-11-20 2023-12-22 北京七维视觉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校色方法和系统
CN117275433B (zh) * 2023-11-20 2024-02-20 北京七维视觉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校色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213B1 (ko)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097B1 (ko)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20207B1 (ko) 영상 보정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49919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0860189B1 (ko) 액정 패널의 표시 제어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80006586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JP4869611B2 (ja) 画面焼き付き防止装置および画面焼き付き防止方法
KR102521949B1 (ko) 영상 보정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896386B1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KR2017006066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5540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8739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US20160225305A1 (en) Display device
KR20170047448A (ko) 터치 스크린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7286496A (ja) 表示状態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状態制御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2400350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표시 방법
US1135504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70006303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4865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JP2007286216A (ja) 表示画面の焼き付き緩和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1065151A (ja) 液晶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1070628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I573114B (zh) 顯示系統與驅動方法
JP5324611B2 (ja) 画面焼き付き防止装置および画面焼き付き防止方法
JP2014048558A (ja) 表示装置
JP2015141275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