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606A - 안전벨트 체험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체험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59606A KR20170059606A KR1020150163742A KR20150163742A KR20170059606A KR 20170059606 A KR20170059606 A KR 20170059606A KR 1020150163742 A KR1020150163742 A KR 1020150163742A KR 20150163742 A KR20150163742 A KR 20150163742A KR 20170059606 A KR20170059606 A KR 201700596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unit
- seat belt
- power
- changing mea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가 구비된 좌석의 앞부분을 하강시키다가 제동을 걸어 차량의 급제동 또는 충돌시 발생하는 관성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것으로, 좌석의 하강시 중력이 더해져 하강에 필요한 동력에너지 절감 효과와 하강 속도의 증가로 실제와 같은 체험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100)과, 좌석(10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부(210)를 포함하며 좌석(100)의 저면 뒷부분을 고정하는 좌석고정부재(200)와, 좌석(100)의 저면에서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수단(300)과, 각변화수단(300)에 연결되어 각변화수단(300)이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동력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100)과, 좌석(10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부(210)를 포함하며 좌석(100)의 저면 뒷부분을 고정하는 좌석고정부재(200)와, 좌석(100)의 저면에서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수단(300)과, 각변화수단(300)에 연결되어 각변화수단(300)이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동력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벨트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벨트가 구비된 좌석의 앞부분을 하강시키다가 제동을 걸어 차량의 급제동 또는 충돌시 발생하는 관성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것으로, 좌석의 하강시 중력이 더해져 하강에 필요한 동력에너지 절감 효과와 하강 속도의 증가로 실제와 같은 체험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국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연간 5,000명에 육박하고 있다. 18초마다 사상자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OECD 국가 간 사망자수와 교통안전지표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32개국 중 최하위권인 31개국 수준에 위치한다. 사망자 수는 OECD 평균의 2배에 이른다. `교통 후진국'을 부인할 수 없다. 사고가 많다 보니 국가적인 손실도 막대하다. 교통사고 사회적 비용만 24조원을 넘어선다는 분석이 나와 있다.
국내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는 2천만대를 넘어 섰지만, 교통사고 원인의 90%는 교통법규위반과 운전자 부주의에 의한 것으로 나타나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은 남녀노소 관계없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더불어 최근 안전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차량용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국내등록특허 제0717966호'의 시뮬레이션 장치는 시트쿠션의 앞부분을 기준으로 후방을 순간적으로 상승시키는 구조로, 시트와 교육생의 무게를 감안하면 순간적으로 시트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문제점과, 피교육자의 몸무게나 인원에 따라 유압실린더에 요구되는 에너지가 더욱 커지고 시트의 순간적인 상승이 어려워 시뮬레이션 장치의 효과가 떨어지므로 일반적인 실제 차량의 충돌에서 느껴지는 관성력과는 다소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는,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100)과, 좌석(10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부(210)를 포함하며 좌석(100)의 저면 뒷부분을 고정하는 좌석고정부재(200)와, 좌석(100)의 저면에서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수단(300)과, 각변화수단(300)에 연결되어 각변화수단(300)이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각운동 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동력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안전벨트 체험장치는 좌석고정부재(200) 하부에 연결되어 좌석고정부재(200)를 고정지지하고 동력수단(400)을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좌석(100)은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센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좌석(100)은 각변화수단(300)과 접촉되는 저면에 저면보호부(120)를 더 포함하고, 각변화수단(300)은 동력수단(400)과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타원형캠(3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타원형캠(310)은 두 개의 타원형캠(310)의 장축이 서로 엇갈리게 'X'자 형태로 포개어지는 이중구조캠(3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동력수단(400)은 동력을 생산하는 엑추에이터(410)와, 엑추에이터(410)와 각변화수단(300)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각변화수단(300)은 일측이 좌석(100)의 저면 앞부분에서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제2링크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320)와, 일측이 제1링크부(320)와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부재(500)와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부(330)를 포함하고, 동력수단(400)은 제1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30)가 연결되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부재(500)는 지지부재(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좌석(100)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좌석지지부(5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좌석지지부(510)는 좌석(100)과 좌석지지부(510)를 연결하여 좌석(100)이 회전축부(210)를 축으로 하강할 때 제동을 시키는 하강제동부(511)와, 좌석(100)의 배면이 좌석지지부(510)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좌석준비센서(5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안전벨트 체험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수단(600)은 동력수단(400)의 작동을 위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패널(610)과, 안전벨트센서(110)와 좌석준비센서(512)와 제어패널(610)의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620)는 안전벨트센서(110)의 신호를 인식하는 벨트센서인식부(621)와, 좌석준비센서(512)의 신호를 인식하는 준비센서인식부(622)와, 제어패널(610)의 신호를 인식하는 제어패널인식부(623)와, 제어부(620)의 인식부에서 신호 인식을 통하여 동력수단(400)이 작동 되도록 명령을 내리는 작동명령부(6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에 의하면, 안전벨트가 구비된 좌석의 앞부분을 하강시키다가 제동을 걸어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관성력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특히, 좌석의 하강에는 중력가속도가 더해지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고, 좌석의 빠른 하강 속도에서 급제동이 걸리므로, 실제 차량 충돌시 느끼는 관성력과 유사한 체험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가 작동하는 측면도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가 작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캠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변화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가 작동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형캠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변화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임.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100)과, 좌석(10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부(210)를 포함하며 좌석(100)의 저면 뒷부분을 고정하는 좌석고정부재(200)와, 좌석(100)의 저면에서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수단(300)과, 각변화수단(300)에 연결되어 각변화수단(300)이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동력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좌석고정부재(200) 하부에 연결되어 좌석고정부재(200)를 고정지지하고 동력수단(400)을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석(100)은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센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석(100)은 각변화수단(300)과 접촉되는 저면에 저면보호부(120)를 더 포함하고, 각변화수단(300)은 동력수단(400)과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타원형캠(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일실시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변화수단(300)의 첫 번째 실시예는, 타원형캠(310)이 회전축에 의하여 좌석(100)의 저면보호부(120)에 장축으로 접촉할 때에는 좌석(100)을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지지하게 되고, 좌석(100)을 지지하던 타원형캠(310)의 지지부분이 90도 내지 135도 회전하면 좌석(100)에 대한 지지가 해제되어 좌석(100)은 회전축부(210)를 축으로 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저면보호부(120)는 타원형캠(310)과 장축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타원형캠(310)의 회전 반경에 따라 만곡적이고 매끈하게 구성되며, 타원형캠(310)의 회전시 마찰이 적은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저면보호부(120)가 타원형캠(310)의 단축과 접촉되는 부분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원형캠(310)은 두 개의 타원형캠(310)의 장축이 서로 엇갈리게 'X'자 형태로 포개어지는 이중구조캠(3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일실시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구조캠(311)의 일측이 지지부재(5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좌석(100)을 수평지지 하다가 회전하여 이중구조캠(311)의 양측이 동시에 좌석(100)의 저면을 지지하기까지 좌석(100)은 하강하다가, 이중구조캠(311)의 타측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좌석(100)을 수평지지하기까지 좌석(100)은 원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계속된 캠의 회전으로 좌석(100)은 이중구조캠(311)의 일측 반대부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또한, 각변화수단(300)의 첫 번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좌석이 연결된 형태로도 가능하다.
동력수단(400)은 동력을 생산하는 엑추에이터(410)와, 엑추에이터(410)와 각변화수단(300)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엑추에이터(410)는 모터, 유압실린더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각변화수단(300)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좌석(100)의 저면 앞부분에서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제2링크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320)와, 일측이 제1링크부(320)와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부재(500)와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동력수단(400)의 동력전달부(420)는 제1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30)가 연결되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엑추에이터(410)의 동력을 전달하고, 엑추에이터(410)는 지지부재(500)에 상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된다.
지지부재(500)는 지지부재(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좌석(100)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좌석지지부(5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좌석지지부(510)는 좌석(100)과 좌석지지부(510)를 연결하여 좌석(100)이 회전축부(210)를 축으로 하강할 때 제동을 시키는 하강제동부(511)와, 좌석(100)의 배면이 좌석지지부(510)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좌석준비센서(5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안전벨트 체험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수단(600)은 동력수단(400)의 작동을 위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패널(610)과, 안전벨트센서(110)와 좌석준비센서(512)와 제어패널(610)의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620)는 안전벨트센서(110)의 신호를 인식하는 벨트센서인식부(621)와, 좌석준비센서(512)의 신호를 인식하는 준비센서인식부(622)와, 제어패널(610)의 신호를 인식하는 제어패널인식부(623)와, 제어부(620)의 인식부에서 신호 인식을 통하여 동력수단(400)이 작동 되도록 명령을 내리는 작동명령부(6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체험장치(10)의 작동 과정 및 효과에 대해 도1 내지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생의 안전을 위하여 제어패널(610)을 이용한 안전벨트 체험장치(10)의 체험은 교육생이 안전벨트를 착용 및 좌석(100)이 수평으로 지지되고 있는 상태로, 제어부(620)의 인식부에서 신호를 인식하였을 경우에만 엑추에이터(410)에 의한 동력이 전달되고, 각변화수단(300)의 변화에 의하여 좌석(100)이 하강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1,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변화수단(300)의 방법에 두 가지 실시 예를 제시한다.
첫 번째는, 회전 모터로 구성된 엑추에이터(410)로부터 동력전달부(420)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은 타원형캠(310)은 회전에 의하여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하강을 유도한다. 여기서, 중력에 의한 좌석(100)의 하강으로 좌석(100)의 저면과 타원형캠(310)의 충돌은 저면보호부(120)에 의해 완충되고, 나아가 하강제동부(511)에 의하여 각변화수단(300)과 동력수단(400)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하강이 제동될 때 관성력에 의하여 교육자를 앞으로 쏠리게 하며, 이 현상은 차량의 실제 충돌 또는 급제동시 발생하는 관성력과 동일하여 안전벨트 체험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타원형캠(310)이 두 개의 타원형캠(310)의 장축이 서로 엇갈리게 'X'자 형태로 포개어지는 이중구조캠(311)으로 구성되어, 도 3의 일실시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석(100)이 하강하다가 다시 원상태로 상승했다가, 바로 급격한 하강이 유도되는데, 이는 차량 이상으로 인한 급정거의 상황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안전벨트의 실효성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중구조캠(311)의 일측이 지지부재(500)에 대하여 수직으로 좌석(100)을 수평지지 하다가 회전하여 이중구조캠(311)의 양측이 동시에 좌석(100)의 저면을 지지하기까지 좌석(100)은 하강하다가, 이중구조캠(311)의 타측이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좌석(100)을 수평지지하기까지 좌석(100)은 원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계속된 캠의 회전으로 좌석(100)은 이중구조캠(311)의 일측 반대부에 의해 지지되는 높이까지 하강하게 된다.
각변화수단(300)의 두 번째 실시예는 유압기로 구성된 엑추에이터(410)가 동력전달부(420)를 통하여 제1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30)의 연결부를 당기면, 좌석(100)이 하강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교육자의 무게에 의해 좌석(100)이 회전축부(210)를 축으로 하강하게 되고, 하강제동부(511)에 의하여 하강이 제동될 때 관성력에 의하여 교육자를 앞으로 쏠리게 하며, 이 현상은 차량의 실제 충돌 또는 급제동시 발생하는 관성력과 동일하여 안전벨트 체험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좌석(100)이 하강하기 전의 원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은, 제어패널(620)을 통해 엑추에이터(410)를 작동시켜 동력전달부(420)를 밀어내며, 엑추에이터(410)의 회전과 함께 제1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30)의 연결축에 힘을 가하여 제1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30)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좌석(100)을 상승시킨다. 이때, 엑추에이터(410)는 피교육자와 좌석(100)을 천천히 밀어 올릴 정도의 에너지만을 요구하므로 순간적으로 좌석을 밀어내는 원리에 비해 체험장치의 제작비용이 적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좌석(100)이 원 위치로 돌아와 좌석(100)의 배면이 좌석지지부(510)에 밀착되었을 때, 제1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30)가 이루는 각(동력전달부의 반대편 각)은 180도 보다 작게 구성하는 것이 중력과 엑추에이터(410)를 이용하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제어수단(600)에 의한 안전벨트 체험장치의 제어상태는 도 5의 개략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은 상기 두 가지 방법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안전벨트센서(110)의 신호를 제어부(620)의 벨트센서인식부(621)에서 인식하고, 좌석준비센서(512)의 신호를 제어부(620)의 준비센서인식부(622)에서 인식하며, 제어패널(610)의 신호를 제어부(620)의 제어패널인식부(623)에서 인식하고, 모든 인식부들의 신호 인식에 따라 제어부(620)의 작동명령부(624)를 통하여 동력수단(400)은 작동하게 된다. 이때, 하강한 좌석(100)이 원위치로 상승하게 하는 작동시에는 준비센서인식부(622)의 신호 인식이 없더라도 가능하다. 또한, 벨트센서인식부(621)에서 신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제어부(620)를 통한 동력수단(400)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제어부(620)는 테스트 모드를 포함한다. 테스트 모드에서는 테스트 모형을 안전벨트 체험장치에 두고 안전벨트를 매지 않고 장치를 구동하여, 테스트 모형이 어떠한 피해를 받게 되는지의 간접 체험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안전벨트 체험장치
100 : 좌석
110 : 안전벨트센서부 120 : 저면보호부
200 : 좌석고정부재 210 : 회전축부
300 : 각변화수단 310 : 타원형캠
320 : 제1링크부 330 : 제2링크부
400 : 동력수단 410 : 엑추에이터
420 : 동력전달부 500 : 지지부재
510 : 좌석지지부 511 : 하강제동부
512 : 좌석준비센서 600 : 제어수단
610 : 제어패널 620 : 제어부
621 : 벨트센서인식부 622 : 준비센서인식부
623 : 제어패널인식부 624 : 작동명령부
110 : 안전벨트센서부 120 : 저면보호부
200 : 좌석고정부재 210 : 회전축부
300 : 각변화수단 310 : 타원형캠
320 : 제1링크부 330 : 제2링크부
400 : 동력수단 410 : 엑추에이터
420 : 동력전달부 500 : 지지부재
510 : 좌석지지부 511 : 하강제동부
512 : 좌석준비센서 600 : 제어수단
610 : 제어패널 620 : 제어부
621 : 벨트센서인식부 622 : 준비센서인식부
623 : 제어패널인식부 624 : 작동명령부
Claims (10)
- 등받이와 안전벨트를 구비하고 착석이 가능한 좌석(100)과,
좌석(10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축부(210)를 포함하며 좌석(100)의 저면 뒷부분을 고정하는 좌석고정부재(200)와,
좌석(100)의 저면에서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상하로 각운동 하도록 하는 각변화수단(300)과,
각변화수단(300)에 연결되어 각변화수단(300)이 좌석(100)을 지지하거나 지지를 해제하여 좌석(100)의 앞부분이 각운동 하도록 힘을 전달하는 동력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전벨트 체험장치는 좌석고정부재(200) 하부에 연결되어 좌석고정부재(200)를 고정지지하고 동력수단(400)을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석(100)은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안전벨트센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석(100)은 각변화수단(300)과 접촉되는 저면에 저면보호부(120)를 더 포함하고,
각변화수단(300)은 동력수단(400)과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타원형캠(3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타원형캠(310)은 두 개의 타원형캠(310)의 장축이 서로 엇갈리게 'X'자 형태로 포개어지는 이중구조캠(31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동력수단(400)은
동력을 생산하는 엑추에이터(410)와,
엑추에이터(410)와 각변화수단(300)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각변화수단(300)은
일측이 좌석(100)의 저면 앞부분에서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제2링크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320)와,
일측이 제1링크부(320)와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지지부재(500)와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제2링크부(330)를 포함하고,
동력수단(400)은 제1링크부(320)와 제2링크부(330)가 연결되는 회전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부재(500)는
지지부재(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좌석(100)의 뒷부분을 지지하는 좌석지지부(5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좌석지지부(510)는
좌석(100)과 좌석지지부(510)를 연결하여 좌석(100)이 회전축부(210)를 축으로 하강할 때 제동을 시키는 하강제동부(511)와,
좌석(100)의 배면이 좌석지지부(510)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좌석준비센서(5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전벨트 체험장치(10)는 안전벨트 체험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제어수단(600)은
동력수단(400)의 작동을 위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패널(610)과,
안전벨트센서(110), 좌석준비센서(512) 및 제어패널(610)의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어부(620)는 안전벨트센서(110)의 신호를 인식하는 벨트센서인식부(621)와,
좌석준비센서(512)의 신호를 인식하는 준비센서인식부(622)와,
제어패널(610)의 신호를 인식하는 제어패널인식부(6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체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742A KR20170059606A (ko) | 2015-11-23 | 2015-11-23 | 안전벨트 체험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742A KR20170059606A (ko) | 2015-11-23 | 2015-11-23 | 안전벨트 체험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59606A true KR20170059606A (ko) | 2017-05-31 |
Family
ID=5905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3742A KR20170059606A (ko) | 2015-11-23 | 2015-11-23 | 안전벨트 체험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5960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08035A1 (ko) | 2017-05-12 | 2018-1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2015
- 2015-11-23 KR KR1020150163742A patent/KR201700596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08035A1 (ko) | 2017-05-12 | 2018-11-1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680200B (zh) | 安全气囊头锤跌落静态试验装置 | |
CN103386911A (zh) | 座位托架装置 | |
JP7394538B2 (ja) | 乗員保護システム | |
CN109591754B (zh) | 一种保护车人碰撞事故中人地碰撞损伤的方法 | |
CN106114310B (zh) | 自适应控制的汽车后排安全座椅及控制方法 | |
KR100902079B1 (ko) | 충격체험장치 | |
US10094737B2 (en) | Airbag testing apparatus having an anthropomorphic test device | |
US20110282538A1 (en) | Control methodology of pedestrian kinematics using the active hood lift system | |
CN106004575A (zh) | 车辆座椅中的可展开大腿支撑部 | |
CN104442678A (zh) | 整体式乘客安全气囊 | |
US6983638B2 (en) | Head restraint evaluator | |
CN105857134A (zh) | 一种安全座椅和具有该安全座椅的车辆 | |
CN110239475B (zh) | 一种机动车双气囊安全装置及其控制方法 | |
CN102905936A (zh) | 用于保护和保持乘员的方法和装置以及保护与保持装置的分析与控制单元 | |
KR101911383B1 (ko) | 자동차용 시트백 충돌시험장치 | |
CN101875322B (zh) | 一种汽车座椅的吸能装置 | |
KR20170059606A (ko) | 안전벨트 체험 장치 | |
CN108035593B (zh) | 一种电子汽车停车位保护系统 | |
CN110293934A (zh) | 车辆用安全带装置 | |
JP5336678B1 (ja) | 鉄道車両用の、エネルギー吸収手段が設けられた運転操作卓 | |
KR101278646B1 (ko) | 모의 추돌 시스템 | |
CN103640539A (zh) | 一种用于防止追尾车辆钻底的车辆装置 | |
CN109025640B (zh) | 一种单导轨绳轮式玻璃升降器装置及其控制方法 | |
CN110239474B (zh) | 一种气囊式安全靠背装置及其控制方法 | |
KR20100089661A (ko) |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