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885A -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885A
KR20170058885A KR1020167035775A KR20167035775A KR20170058885A KR 20170058885 A KR20170058885 A KR 20170058885A KR 1020167035775 A KR1020167035775 A KR 1020167035775A KR 20167035775 A KR20167035775 A KR 20167035775A KR 20170058885 A KR20170058885 A KR 2017005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record
term
specified
categ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293B1 (ko
Inventor
마사시 니시타니
아츠시 후루하타
Original Assignee
에스 차이루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차이루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 차이루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76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7/2735
    • G06F17/275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Abstract

아이 등에게의 인터넷 이용을 허용하면서, 인터넷 이용에 수반하여 위험에 처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위험 검출 장치(200)는, 보호자에 의하여 등록된 아이 등의 미리 등록된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고,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201)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를 키(key)로서,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DB)(202) 내의 레코드가 식별되는 경우에, 당해 레코드를 특정하는 특정부(210)와, 특정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202) 내의 레코드를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부(220)와, 판정된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23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RISK DETECTION DEVICE, RISK DETECTION METHOD, AND RISK DETECTION PROGRAM}
본 발명은,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모바일 단말 등의 정보 기기의 보급이 정보 통신망의 발전과 함께 급속히 나아가고, 인터넷의 이용이 큰 폭으로 퍼져 있다. 이와 같은 상황 속, 인터넷의 이용은, 아이에게도 넓게 보급되어 있다.
타방(他方)으로, 정보 리터러시(literacy)의 높지 않은 사람들, 특히 약년(若年)의 아이가, 인터넷 상에서 트러블에 휘말리는 사례도 눈에 띄게 되어, 아이가 이용하는 정보 기기에 대하여, 필터링(filtering), 액세스 제한 등의 기능 제한을 부과하는 가정도 적지 않다. 트러블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게시판에의 비방 중상 등의 글쓰기, 만남계 사이트에 있어서의 피해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은, 액세스 제한의 예이며, 아이에게도 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것은 인정하고 싶지만, 그것에 의하여 유해한 콘텐츠가 아이의 눈에 닿는 것과 같은 일은 막고 싶다고 하는 요망(要望)을 배경으로 발명된, 네트워크 상의 리소스(resource)에 대한 액세스를 간이(簡易)한 구성으로 적절히 규제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가 기재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 전화기(40)는, 이동 패킷(packet) 통신망(30) 및 인터넷(20)을 통하여 콘텐츠 서버(10A, 10B)와 패킷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나아가, 페어런트 락(parent lock) 기능을 가진다. 페어런트 락 기능은, 인터넷(20) 상의 콘텐츠 서버(10A, 10B) 등이 제공하는 사이트에 대한 휴대 전화기(40)의 액세스를 제한하는 기능이며, 휴대 전화기(40)의 사용자가 미성년자·아이 등인 경우에, 부모 등의 보호자가 미리 휴대 전화기(40)의 메모리에 등록하여 둔 사이트로 밖에 휴대 전화기(40)가 액세스할 수 없게 하는 기능이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86842호
그렇지만, 현재, 아이에게 있어서도, 인터넷의 이용은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필수라고도 말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어, 기능 제한을 부과하는 것은, 장기적으로는 현실적인 해답은 아니다. 금후(今後), 인터넷 이용이 나아가는 경향이 역행하는 것도 생각하기 어렵기 때문에, 만일, 어느 가정에 있어서 아이의 인터넷 이용을 제한하여도, 그 아이의 주위에서의 이용까지도 제한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게시판에의 악의가 있는 글쓰기, 이지메 등의 트러블에 휘말릴 우려가 여전히 있다.
예를 들어, 이지메는, 그 대상이 되어 버린 아이는 부모에게 말하지 못하고, 부모가 모르는 곳에서 괴로워하고 있는 경우도 적지 않고, 조기의 발견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아이 등에게의 인터넷 이용을 허용하면서, 인터넷 이용에 수반하여 위험에 처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위험」이란, 위해(危害) 또는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는 상황을 의미하고, 위해 또는 손실이 실제로 생기고 있는 상황도, 가일층의 위해 또는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는 상황에 있다고 하는 의미로, 「위험」에 포함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은,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장치이고,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된 상기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의 내용을 그대로 통지하는 일 없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제1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상기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의 1 또는 복수의 형태소를 키(key)로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가 식별되는 경우에, 상기 레코드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제1 또는 제2 태양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상기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키로서, 상기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레코드가 식별되는 경우에, 상기 레코드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제3 또는 제4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스코어(sco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태양은, 제5 태양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상기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레코드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태양은,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등록자는 아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태양은, 제7 태양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등록자의 보호자에 대하여 통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태양은, 제1 내지 제8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생활 데이터는, SNS에의 투고(投稿), 게시판에의 글쓰기, 및 다이렉트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태양은, 제1 내지 제9 태양에 있어서, 상기 대체 정보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의 내용에 대응하는, 상기 레코드가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위험의 구분인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태양은, 제10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가 카테고리마다 분류되어 있고, 상기 판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의 카테고리를 상기 대체 정보로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태양은, 제10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가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고, 또한, 카테고리에 따라 스코어가 주어져 있고, 상기 판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이 큰 쪽의 카테고리를 상기 대체 정보로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 태양은, 제10 태양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로부터, 주체, 객체, 및 행위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주체, 상기 객체, 및 상기 행위에 기초하여, 상기 레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대체 정보로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태양은, 제13 태양에 있어서, 상기 할당은, 주체, 객체 및 행위를 입력, 카테고리를 출력하게 하는, 미리 정의된 할당 함수에 의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5 태양은, 제13 또는 제14 태양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형태소 해석에 의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6 태양은, 제1 내지 제15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대체 정보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를 포함하는 예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7 태양은, 제16 태양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상기 판정부에 제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복수 준비된 예문 중 하나의 예문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8 태양은, 제16 태양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가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고, 또한, 카테고리에 따라 스코어가 주어져 있고, 상기 특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상기 판정부에 제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 중 큰 쪽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복수 준비된 예문 중 하나의 예문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9 태양은, 제16 내지 제18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대체 정보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관련지어진 참고 사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0 태양은, 제1 내지 제19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대체 정보에 더하여,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 생활 데이터의 취득원(取得元), 및 생활 데이터가 발생한 일시(日時)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1 태양은, 제1 내지 제20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는, 다이렉트 메시지이고, 상기 통지는, 상기 다이렉트 메시지의 상대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2 태양은, 제1 내지 제21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위험 용어의 스코어에 따라, 상기 대체 정보의 표시 태양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3 태양은, 제1 내지 제22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등록자는, 상기 대체 정보의 통지를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4 태양은,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방법이고,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스텝과, 판정된 상기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5 태양은, 컴퓨터에,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위험 검출 프로그램이고, 상기 위험 검출 방법은,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스텝과, 판정된 상기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생활 데이터의 레코드를 특정하고,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에 의하여, 등록자에 관한 위험의 존재를 통지하는 것에 의하여, 등록자의 프라이버시에 배려하고, 등록자의 저항감을 큰 폭으로 낮추면서, 조기에 위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액세스 제한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 전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험 검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웹 브라우저에의 표시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련되는 생활 데이터에 기초하는 레이더 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험 검출 장치를 도시한다. 위험 검출 장치(200)는, 보호자에 의하여 등록된 아이 등의 미리 등록된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고,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201)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를 키로서,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DB)(202)에 포함되는 레코드를 식별하여 특정하는 특정부(210)와, 특정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202) 내의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부(220)와, 판정된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230)를 구비한다.
등록자의 등록은, 예를 들어, 위험 검출 장치(200) 상에서 동작하는 웹 사이트에 인터넷을 통하여 액세스하여, 행할 수 있다.
위험 용어 사전(201)은, 위험의 구분인 카테고리마다 분류할 수 있다. 카테고리로서는, 이지메, 청소년계 범죄(혹은 소년의 복지를 해(害)하는 범죄(복지범)) 등을 들 수 있다. 이지메 카테고리에는, 폭력·욕·부당한 요구·무시·짓??은 짓 등의 서브 카테고리를 작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청소년계 범죄에는, 만남계·약물·외설·미성년 금지 행위·범죄 행위 등의 서브 카테고리를 작성하여도 무방하다. 각 용어에는, 당해 용어가 나타내는 위험의 위험도를 도시하는 파라미터(parameter)(스코어)를 주어도 무방하고, 이 스코어는, 동일 용어여도, 그 용어가 속하는 카테고리 내지 서브 카테고리에 따라 달라도 무방하다.
생활 데이터는 「라이프 로그」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생활 데이터 DB(202)는, 예를 들어, SNS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API를 이용하여, 당해 SNS에의 투고, 당해 SNS 상에서의 다이렉트 메시지 등을 생활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각각을 1 레코드로서 격납할 수 있다. 생활 데이터는, SNS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게임 플랫폼으로부터 취득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생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게시판에의 글쓰기, 등록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 등의 정보 기기 상에서 로컬에 존재하는 전자 메일 등의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의 글쓰기는, 등록자에 관련되는 정보(이름, 소속, 위치 정보, 다른 서비스의 어카운트(account)명(名), 특정 키워드 등), 등록자에 관련되는 인물(SNS, 웹 서비스 상 등에서 교류가 있는 인물)의 정보 등을 실마리로, 게시판 상으로부터 해당하는 투고 데이터를 찾아 갈 수 있다. 또한, 생활 데이터는, 스마트폰 등의 OS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앱이 OS에 통지하는 텍스트, 화상(畵像), 수치 데이터 등을 취득하여도 무방하다. OS에 통지되는 텍스트 등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일대다(一對多), 다대다(多對多)의 LINE(등록상표) 등의 채팅 앱에 있어서의 그룹 메시지를 들 수 있다.
생활 데이터로서는, 문자 데이터 외, 비주얼·데이터, 오디오·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비주얼·데이터에는, 동영상 및 화상이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험 검출 장치는,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그대로 당해 장치의 이용자에게 통지하여 버리는 것이 아니라, 대체 정보로 대체하여 통지하는 것에 의하여, 등록자의 프라이버시에 배려하고, 등록자의 저항감을 큰 폭으로 낮출 수 있다. 아이를 등록자, 부모 등의 보호자를 이용자로서 생각한 경우, 아이의 생활에 수반하여 위험이 생기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어도, 그것에 관련되는 투고, 회화, 사진 등을 직접 보호자에게 보이게 하여 버리는 것은, 아이의 프라이버시를 현저하게 해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아이에게도 안심하여 보호자에 의한 본 장치의 이용을 허용하게 하기 위하여, 대체 정보에 의하여 위험을 나타낸다.
또한, 일방적인 보호자로부터의 감시는, 아이의 반발을 초래하기 때문에, 보호자만이 위험의 검출 결과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도 완전히 같은 정보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아이의 납득감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특정부(210)는, 위험 용어 사전(201)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를 키로서 식별을 행하는 것 외, 생활 데이터 DB(202) 내의 레코드의 1 또는 복수의 형태소를 키로서, 위험 용어 사전(201)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가 식별되는 경우에, 당해 레코드를 특정할 수도 있고, 이러한 태양과 같이,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레코드를 특정하면 된다.
또한, 특정부(210)는, 생활 데이터 DB(202) 내의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당해 레코드를 특정하여도 무방하다.
판정부의 상세
판정부(220)는, 특정부(210)에 있어서 특정된 레코드가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위험의 구분인 카테고리를, 대체 정보로서 판정할 수 있다.
위험 용어 사전(201)이, 카테고리마다 분류되어 있는 경우에는, 판정부(220)는, 특정된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가 속하는 카테고리 또는 서브 카테고리를 대체 정보로서 할당할 수 있다.
각 위험 용어가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고, 또한, 카테고리에 따라 스코어가 주어져 있는 경우에는, 판정부(220)는, 특정된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이 큰 쪽의 카테고리를 대체 정보로서 할당할 수 있다.
혹은, 판정부(220)는, 특정된 레코드로부터, 주체, 객체, 및 행위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체, 객체, 및 행위에 기초하여,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대체 정보로서 할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추출된 주체, 객체, 및 행위와 그 관계성으로부터, 글이 표현하는 사상을 요약하고, 미리 구축된 카테고리 정보를 부여한 요약문 리스트와 비교하는 것으로, 당해 레코드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대체 정보로서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주체, 객체, 및 행위의 추출에 관하여는 형태소 해석을 행하고, 관계성에 관하여는 문장 성분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문장이 긴 경우 등에서, 주체, 객체, 및 행위의 요소가 복수가 되는 경우는 위험 용어 사전과 비교하고, 문장 성분의 관계성을 근거한 다음 주목해야 할 요소를 우선하여 추출할 수 있다. 주체 등의 추출은, 형태소 해석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생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위험 용어 사전(201)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대체 정보의 판정을 행할 수 있다.
우선, 화상 데이터에 부여되어 있는 메타 정보(투고 유저(user)/타이틀/코멘트/부가된 위치 정보 등)로부터 추정되는 시추에이션(situation)(집합 사진/해수욕/자기 방 등)을 특정한다.
또한, 얼굴 인식 처리를 실시하고, 화상 내의 인물이 분석 대상의 본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태그 정보로서 추가한다.
다음으로, 시추에이션마다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된 분석 로직(logic)에 의하여, 화상에 포함되는 요소((??다)여성, 수영복, 해변, 저녁 등)를 특정하고, 당해 요소의 보통 명사 등을 태그 정보로서 추가한다.
여기에서, 시추에이션마다의 커스터마이즈란, 예를 들어, 해수욕이면 청(靑), 피부색, 백(白) 등으로 강한 가중치 평가를 주는 것 등, 로직의 판정에 사용하는 값, 경우에 따라서는 로직 그것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사전(事前)에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젊은 여성이 해변에서 수영복을 입고 셀프 촬영을 하고 있다」등 )과, 그 문장에 대하여 위험도의 기준 스코어를 준비하여 두고, 추가된 태그 정보와, 당해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의 일치도로, 화상이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위험 상황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에 포함되는 형태소와 태그 정보와의 일치의 수에 기초하여, 일치도를 산정하여도 무방하다. 그 때, 위험도의 기준 스코어를 이용하고, 위험도의 고저(高低)를 판단한다. 문자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위험도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통지를 하여도 무방하고, 위험 상황을 나타내는 문장이 복수 준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험도가 높은 쪽의 문장을 대체 정보로 하여도 무방하다.
동영상 해석의 경우는, 동영상 중의 음성 데이터에 관한 것이고, 기존의 텍스트화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화하여 상기 메타 정보에 더할 수 있다. 동영상에 대하여, 화상 분석을 연속하여 행하는 것으로 동영상 분석을 실현할 수 있다.
통지부의 상세
통지부(230)는, 대체 정보를 본 장치의 이용자에게 통지하지만, 예를 들어, 이용자가 본 장치 상 혹은 본 장치에 관련하여 동작하는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였을 때에,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통지를 행할 수 있다.
도 3에,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웹 브라우저에의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다. 웹 브라우저(300)에는, 얼러트 리스트(alert list)로서, 검출된 위험을 일람(一覽) 표시 할 수 있다. 주목 단어로서,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단어, 카테고리로서, 판정한 대체 정보, 일시(日時)로서, 생활 데이터의 발생 일시, 주고받음 대상으로서, 생활 데이터가 다이렉트 메시지, 채팅 앱의 그룹 메시지 등인 경우에는 상대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witter(등록상표), Facebook(등록상표) 등의 생활 데이터의 취득원도 표시할 수 있다.
교통 기관계 카드의 이용 데이터도 취득하여 두는 것으로, 위험이 발생하였을 때의 부가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생활 데이터의 발생 일시에 가장 가까운 일시에 있어서의 이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용 교통 수단으로 이동 경로, 장소 등을 통지할 수도 있다.
위험 용어 사전(201) 내의 용어에 위험도를 나타내는 스코어가 주어져 있는 경우에는, 위험도에 따라, 각 얼러트(레코드)의 표시 태양을 변경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판정부(220)에 있어서 판정되는 대체 정보를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정부(220)에 있어서, 특정부(210)에서 특정된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를 포함하는 예문을 대체 정보로서 판정한다. 아이에게는 아이의 감성이 있고, 부모에게는 좀처럼 이해할 수 없는 점으로 고민하는 것도 적지 않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위험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키워드(단어)를 포함하는, 구체적인 위험성을 상기시키는 것과 같은 예문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보호자에 대하여, 조기에, 또한, 아이의 저항감을 낮추면서 위험의 존재를 통지하는 것과 함께, 그 위험의 내용을 확실히 전할 수 있다.
특정부(210)는, 특정된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판정부(220)에 제공하고, 판정부(220)는, 당해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복수 준비된 예문 중 하나의 예문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용어 「바카(바보)」 및 「꺼지다」가, 특정 레코드에 포함되는 경우, 「너같은 바보는 지금 당장 이 세상으로부터 꺼져라.」(예문 1), 「바보다! 지금 당장 꺼지고 싶다(^▽^;)」(예문 2) 등의 복수의 예문을 미리 준비하여 두어, 스코어가 소정값 이상이면, 보다 높은 위험을 나타내는 예문 1, 소정의 값 미만이면, 경도(輕度)의 위험을 나타내는 예문 2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예문은, 모든 위험 용어에 대하여 준비하여도, 소정값 이상의 스코어를 가지는 위험 용어 에 대하여만 준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예에서는, 「바보」 및 「꺼지다」에 대하여 예문이 복수 준비되어 있고, 레코드에 포함되는 「바보」 및 「꺼지다」이외의 위험 용어의 유무 및 스코어의 값에 따라, 스코어의 합계값이 변동하고, 선택되는 예문이 예문 1이 될지, 예문 2가 될지가 결정된다.
특정부(210)에 있어서의 식별 시에는, 레코드에 포함되는 「꺼져라」, 「꺼지고 싶다」는, 종지형으로 변환하고 나서 비교를 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면, 위험 용어 사전(201)에는 「꺼지다」만을 기억하여 두면 된다.
또한, 위험 용어 사전(201)에 있어서, 각 위험 용어가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고, 또한, 카테고리에 따라 스코어가 주어져 있는 경우에는, 판정부(220)는, 특정부(210)로부터 제공된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 중 큰 쪽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복수 준비된 예문 중 하나의 예문을 선택하여도 무방한, 합계값이 동일한 값일 때는, 디폴트(default)로 결정하여도 무방하고, 위험 용어수가 많은 쪽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당해 키워드에 관련지어진 과거의 참고 사례, 대처 방법의 예 등의 추가 정보를 아울러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한층 확실한 내용 전달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위험 검출 장치(200)를 제공하는 회사의 자사 콘텐츠(블로그 등)의 제시, 인터넷 상의 관련 콘텐츠(뉴스 기사, 동영상, 타사 블로그 등)의 링크의 제시 등을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판정부(220)에 있어서의 판정 대상이 되는 레코드가 복수의 위험 용어를 포함하는 경우의 판정 처리의 상세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판정부(220)에 있어서, 특정부(210)에서 특정된 레코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카테고리를 판정한다. 이 경우, 위험 용어 사전(201)은, 각 조(組)의 위험 용어가, 레코드가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위험의 구분인 카테고리마다 분류되게 된다. 예를 들어, 「학교」 및 「오다」가 특정된 레코드에 포함되는 경우, 반드시 이 레코드가 나타내는 위험은 알 수 없지만, 한층 더 「민폐」가 포함되어 있으면, 「민폐이니까 학교 오지마!」라는 이지메의 위험성을 정도(精度) 좋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레코드가 채팅 앱 등에 있어서의 대화 형식의 메시지의 경우, 1 메시지만으로는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것도 있다. 이러한 대화는 짧은 주고받음이 이어지는 경향에 있어, 일련의 메시지를 보지 않으면 문맥을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몇 분간 등, 소정의 기간 내의 복수의 메시지를 하나의 화제, 일련의 회화(이하 「토크 세트」라고도 말한다.)로서 다루는 것에 의하여, 판정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위험 용어 사전(201)에 기억되는 각 조의 위험 용어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포함하는 메시지(이하 「샘플 메시지」라고도 말한다.), 토크 세트(이하 「샘플 토크 세트」라고도 말한다.) 등을 사전에 분석하여,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할당하여 두면 된다. 토크 세트에 관하여는, 그 중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더하여, 그 회화 구조의 특징도 기억하여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A 학교 오지마.」 「B 어째서?」 「A 민폐이니까.」라고 하는 회화 구조의 특징도 「학교」, 「오다」(종지형), 「민폐」에 더하여 기억하여 둘 수 있다. 판정 대상의 레코드와 샘플 메시지 또는 샘플 토크와의 일치도를 일치하는 위험 용어의 수, 회화 구조 등에 의거하여 결정하고, 일치도의 높은 것에 주어진 카테고리를 대체 정보로 할 수 있다.
화상이나 동영상의 투고도 한개의 메시지의 뭉치로서 취급하고, 일련의 회화와 화상·동영상을 조합하여 분석을 행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일본어를 예로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은, 레코드의 내용이 그 외의 언어에 의하여 기술되어 있어도 적용 가능하다. 그 때, 문자 데이터의 기재 내용, 화상 데이터의 메타 정보의 기재 내용 등에 기초하여 언어를 추측하여, 위험 용어 사전(201)을, 일본어 등의 제1 언어용의 것으로부터 그 외의 제2 언어용의 것에 전환할 수 있다. 언어의 추측은, 스마트폰, 태블릿(tablet) 등의 유저 단말의 표시 언어 설정, 키보드·음성 등의 입력 언어 설정, 화상의 EXIF 정보 등의 메타 정보로부터 판단되는 위치 정보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동일 언어 내의 방언에 따른 전환도 행할 수 있다. 각 방언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방언 사전를 설치하고, 당해 방언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방언을 추측하여, 위험 용어 사전(201)을, 일본어의 표준어 등의 제1 방언용의 것으로부터 오사카 방언 등의 제2 방언용의 것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호(바보)」의 의미가 관동(關東)과 관서(關西)에서는 다르다는 것이 알려져 있어, 동일한 스코어 링을 이용하는 것은 반드시 적절하지 않다.
(제5 실시예)
아이를 거느리는 학교는, 학생의 스마트폰, SNS 등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는 것을 바라고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험 검출 장치(200)는, 판정부(220)의 일부로서, 혹은 다른 기능으로서 등록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판정된 대체 정보를 생활 데이터 DB(202)에 대응하는 레코드와 관련지어 등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축적된 분석필(畢)의 생활 데이터는, 다양한 학교용의 리포팅(reporting)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학생을 위험 검출 장치(200)에 등록하여 두고, 복수의 학생의 이용 실태를 익명화하여, 분석필의 생활 데이터로부터 서머리(summary)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카테고리마다의 발생 건수, 학년별의 발생 건수, 학기·연도 등의 기간별의 발생 건수 등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카테고리(서브 카테고리)별의 발생 건수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이더 차트로서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등에 표시시킬 수 있다. 레이더 차트에는, 타교(他校)의 데이터, 특정의 지역의 평균 데이터 등도 아울러 표시할 수 있다. 발생 건수는, 도시와 같이 3단계, 5단계 등에 단계적으로 빈도를 나타내도 무방하다.
레이더 차트 상의 각 카테고리는 클릭어블(clickable)하게 할 수 있고, 유저가 클릭 또는 탭(tap) 한 것에 따라, 각 카테고리에 관련지어진 과거의 참고 사례, 대처 방법의 예 등의 추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악성 댓글 쇄도에 관하여는, 「변호사에 연락하여 예방책, 대책을 강구합시다.」라는 조언을 표시하고, 또한, 상담 가능한 연락처를 제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시간적인 추이를 알기 위하여, 시계열 데이터로서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종래의 단발의 앙케이트와는 달리, 이용 실태를 계속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그 외의 데이터로서는, 각 학생의 1일의 메시징(messaging) 회수, 1일의 액티브(active) 회수, SNS의 친구 수(數) 등도 생활 데이터 내의 레코드를 분석하는 것이 산출이 가능하고, 아울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학교용의 리포팅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스마트폰의 이용 실태를 마케팅에 활용하고 싶은 사업 회사용으로 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제6 실시예)
주로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 DB(202)를 이용하는 예로 설명을 하지만, SNS, 게임 플랫폼, 게시판 사이트 등의 생활 데이터를 받는 사업자 자체의 컴퓨터를 위험 검출 장치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받은 생활 데이터를 한번 생활 데이터 DB(202)에 격납하여, 거기에서부터 레코드를 특정부(210)에 의하여 특정하여도 무방하지만, 생활 데이터를 위험 검출 장치가 수신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받는 것을 가지고 판정 대상의 레코드의 내용을 결정할 수도 있다.
SNS를 제공하는 서버에, 위험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위험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툴(tool) 상의 다이렉트 메시지 또는 그룹 메시지를 레코드로서 분석을 행하고,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부여한다. 여기에서, 말할 필요도 없지만, 서버는, 복수의 분산된 서버로 하여도 무방하고, 위험 검출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복수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성된 것으로 하여도 무방한 것을 부언(附言)한다. 부여된 카테고리는, 판정부(220)의 일부 혹은 다른 기능인 등록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레코드에 관련지어 등록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축적된 분석필의 생활 데이터는, SNS의 제공 회사가 당해 SNS의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그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액션을 가능하게 한다. 제공 회사로서는, 서비스의 상정되는 이용 실태와 현실의 이용 실태가 괴리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5 실시예에서 설명한 서머리 데이터의 표시 외, 발생 일시, 카테고리 및 유저 ID의 일람을 표시시킬 수 있다. 나아가, 각 레코드에의 링크를 일람에 포함하고, 제공 회사가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는 레코드의 내용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레코드의 내용을 그대로 통지하게 되지만, 제공 회사의 관리 용도이기 때문에 허용된다. 나아가, 당해 카테고리가 부여된 레코드의 동일 유저 ID에 의한 발생 회수 또는 발생 인터벌(interval), 메시지의 상대방의 유저 ID, 메시지에 관련지어진 그룹 ID, 커뮤니케이션·툴 명 등의 데이터도 일람 데이터에 포함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테고리가 부여된 레코드의 내용, 발생 회수 등에 기초하여, 당해 레코드의 메시지를 송신한 유저의 유저 ID를 자동적으로 또한 지정을 받아 이용 정지 또는 삭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험 검출 장치는, SNS 이외의 커뮤니케이션·서비스에 관하여도 당연(當然) 적용할 수 있는 바, 각 서비스에 의하여, 검출이 필요한 위험의 구분인 카테고리가 달라지는 일이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위험 용어 사전(201) 내에서 이용하는 카테고리를 서비스마다 변경할 수 있다. 유저 단말로부터 서비스명을 취득하여, 위험 용어 사전(201)을, 제1 서비스용의 것으로부터 그 외의 제2 서비스용의 것으로 자동 전환 가능하게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위험 용어 사전(201) 자체를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위험 용어 사전(201) 내에서 이용되는 카테고리를 각 서비스에 적절한 카테고리에 매핑(mapping)하는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서비스에 적절한 카테고리를 판정하여 나가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200: 위험 검출 장치
201: 위험 용어 사전
202: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210: 특정부
220: 판정부
230: 통지부

Claims (25)

  1.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판정된 상기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의 내용을 그대로 통지하는 일 없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상기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의 1 또는 복수의 형태소를 키(key)로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가 식별되는 경우에, 상기 레코드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상기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키로서, 상기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레코드가 식별되는 경우에, 상기 레코드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스코어(scor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상기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레코드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자는, 아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등록자의 보호자에 대하여 통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 데이터는, SNS에의 투고(投稿), 게시판에의 글쓰기, 다이렉트 메시지, 및 채팅 앱에 있어서의 그룹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정보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의 내용에 대응하는, 상기 레코드가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위험의 구분인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가 카테고리마다 분류되어 있고,
    상기 판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의 카테고리를 상기 대체 정보로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가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고, 또한, 카테고리에 따라 스코어가 주어져 있고, 상기 판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이 큰 쪽의 카테고리를 상기 대체 정보로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의 위험 검출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로부터, 주체, 객체, 및 행위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주체, 상기 객체, 및 상기 행위에 기초하여, 상기 레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카테고리를 상기 대체 정보로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은, 주체, 객체 및 행위를 입력, 카테고리를 출력하게 하는, 미리 정의된 할당 함수에 의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형태소 해석에 의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정보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를 포함하는 예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상기 판정부에 제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복수 준비된 예문 중 하나의 예문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용어 사전은, 각 위험 용어가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고, 또한, 카테고리에 따라 스코어가 주어져 있고,
    상기 특정부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를 상기 판정부에 제공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1 또는 복수의 위험 용어의 각각이 가지는 스코어의 합계값 중 큰 쪽의 합계값에 기초하여, 복수 준비된 예문 중 하나의 예문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정보는,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관련지어진 참고 사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는, 상기 대체 정보에 더하여, 특정된 상기 레코드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 생활 데이터의 취득원(取得元), 및 생활 데이터가 발생한 일시(日時) 중 적어도 하나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는, 다이렉트 메시지 또는 채팅 앱의 그룹 메시지이고,
    상기 통지는, 상기 다이렉트 메시지 또는 상기 그룹 메시지의 상대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2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는, 채팅 앱에 있어서의 토크 세트이고,
    상기 판정은,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레코드에 포함되는 1조(組)의 위험 용어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상기 대체 정보로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판정된 상기 대체 정보를 상기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레코드와 관련지어 등록하는 등록부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장치.
  24.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방법에 있어서,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스텝과,
    판정된 상기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방법.
  25. 컴퓨터에, 등록자의 인터넷 상에서의 위험을 검출하기 위한 위험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위험 검출 프로그램이고, 상기 위험 검출 방법은,
    위험을 나타내는 용어를 기억한 위험 용어 사전에 포함되는 위험 용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자의 생활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자 데이터인 생활 데이터를 레코드마다 기억한 생활 데이터·데이터베이스 내의 레코드를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특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레코드의 내용을 대체하는 대체 정보를 판정하는 스텝과,
    판정된 상기 대체 정보를 통지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검출 프로그램.
KR1020167035775A 2014-08-04 2015-07-30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480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9020 2014-08-04
JPJP-P-2014-159020 2014-08-04
PCT/JP2015/003842 WO2016021160A1 (ja) 2014-08-04 2015-07-30 危険検出装置、危険検出方法、及び危険検出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885A true KR20170058885A (ko) 2017-05-29
KR102480293B1 KR102480293B1 (ko) 2022-12-23

Family

ID=5526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775A KR102480293B1 (ko) 2014-08-04 2015-07-30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72218B2 (ko)
KR (1) KR102480293B1 (ko)
WO (1) WO20160211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8319A1 (en) * 2019-12-31 2021-07-08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Training mechanism of verbal harassment detection systems
WO2021138316A1 (en) * 2019-12-31 2021-07-08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Generation of training data for verbal harassment detection
US11664043B2 (en) 2019-12-31 2023-05-30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Real-time verbal harassment detection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842A (ja) 2001-12-13 2003-07-04 Ntt Docomo Inc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7139864A (ja) * 2005-11-15 2007-06-07 Nec Corp 不審会話検出装置、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20070090642A (ko) * 2006-03-03 200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대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00067200A (ko) * 2008-12-11 2010-06-21 주식회사 리코시스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20047632A (ko) * 2010-11-04 2012-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 인지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304A (ja) * 2001-08-27 2003-03-07 Kddi Corp 電子メール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電子メールフィルタリング方法、電子メールフィルタリング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842A (ja) 2001-12-13 2003-07-04 Ntt Docomo Inc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7139864A (ja) * 2005-11-15 2007-06-07 Nec Corp 不審会話検出装置、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KR20070090642A (ko) * 2006-03-03 200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대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00067200A (ko) * 2008-12-11 2010-06-21 주식회사 리코시스 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KR20120047632A (ko) * 2010-11-04 2012-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황 인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8319A1 (en) * 2019-12-31 2021-07-08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Training mechanism of verbal harassment detection systems
WO2021138316A1 (en) * 2019-12-31 2021-07-08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Generation of training data for verbal harassment detection
US11620987B2 (en) 2019-12-31 2023-04-04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Generation of training data for verbal harassment detection
US11664043B2 (en) 2019-12-31 2023-05-30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Real-time verbal harassment detection system
US11670286B2 (en) 2019-12-31 2023-06-06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Training mechanism of verbal harassment detec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293B1 (ko) 2022-12-23
JPWO2016021160A1 (ja) 2017-07-13
WO2016021160A1 (ja) 2016-02-11
JP6572218B2 (ja)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arkey et al. # MeToo goes global: Media framing of silence breakers in four national settings
US106739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onitoring and searching social networking media
Nandhini et al. Cyberbullying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information retrieval algorithm
Chiang et al. Deceptive identity performance: Offender moves and multiple identities in online child abuse conversations
Brownlie et al. Empathy rituals: Small conversations about emotional distress on Twitter
US201302321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customers in social media
US106211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social media content
Rowe et al. Using Twitter to track immigration sentiment during early stages of the COVID-19 pandemic
Rybnicek et al. Facebook watchdog: a research agenda for detecting online grooming and bullying activities
McInnes et al. ‘Add Twitter and Stir’: The use of Twitter by public authorities in Norway and UK during the 2014-15 Ebola outbreak
US10803247B2 (en) Intelligent content detection
Smith et al. The Instagram/Facebook ban on graphic self‐harm imagery: A sentiment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pproach
Szulc Banal nationalism and queers online: Enforcing and resisting cultural meanings of. tr
Sykes et al. eHealth litera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eeking, sharing, suspicion amongst older and younger UK populations
KR102480293B1 (ko) 위험 검출 장치, 위험 검출 방법, 및 위험 검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Wu et al. The microblogging discourse of disasters: Twitter and Weibo in action in the aftermath of two major industrial accidents
Haimson et al. Changes in social media affect, disclosure, and sociality for a sample of transgender Americans in 2016’s political climate
Leyton Zamora et al. Technology-facilitated abuse against women from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backgrounds: A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LaPoe et al. Politics, power and a pandemic: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accountability during a Twitter infodemic
Braine et al. Sexual contexts and the process of risk reduction
Ariel et al. # RumorsCOVID-19: predicting the forwarding of online rumors in Wuhan, China and in Israel
Lindstadt et al. Reactions to a campus emergency: A text-mining analysis
Yu et al. Exploring text classification of social support in online health communities for people who are D/deaf and hard of hearing
Pandey et al. Bibliometric Review of Research on Misinformation: Reflective Analysis on the Future of Communication
Meurn THE ROL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 VIOLENCE PREV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