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7372A -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7372A
KR20170057372A KR1020177010465A KR20177010465A KR20170057372A KR 20170057372 A KR20170057372 A KR 20170057372A KR 1020177010465 A KR1020177010465 A KR 1020177010465A KR 20177010465 A KR20177010465 A KR 20177010465A KR 20170057372 A KR20170057372 A KR 20170057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downlink
subframe
subframes
chan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웨이 왕
신 왕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방법은 네트워크 측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고, UE에게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세트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을 변경하라고 명령하는 단계; 네트워크 측이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들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방법은 시스템 용량을 개선한다.

Description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SUB-FRAME SCHEDULING METHOD, DATA RECEIVING AND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IN HALF-DUPLEX SYSTEM}
본 개시내용은 통신들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 및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밀집 네트워크는 5G(제5 세대 이동 통신 기술)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술들 중 하나로 간주된다.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매크로 셀 및/또는 스몰 셀들을 서빙하는 기지국들(base stations)(BSs) 또는 송신 포인트들(transmission points)(TPs) 사이의 조정은 중요한 연구 방향이 된다.
종래의 방식에서, 각각의 기지국 또는 송신 포인트는 지정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따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와 통신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물리 계층의 시스템 정보 또는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예컨대 기지국)에 의해 구성되고, UE에 잘 공지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새로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수신될 때까지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수신하는 UE들에 대해, UE들 중의 일부만이 하나의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되면, UE들 중의 스케줄링되지 않은 다른 것은 그 서브프레임에서 서빙되지 않을 것이며, 예컨대 송신 포인트들의 다른 기지국들에 의해 서빙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 용량의 개선이 제한된다.
상기 배경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분명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한 쉬운 이해를 위해서만 제공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해결법은 본 개시내용의 배경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종래의 방식에서, 새로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수신되기 전에, UE는 현재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따라서만 스케줄링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비교적 간단히 수행될 수 있고, UE는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따라 관련 동작들의 시간 시퀀스(예컨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고정되는 경우에 업링크 프레임이 업링크 데이터만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다운링크 프레임이 다운링크 데이터만을 스케줄링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용량의 개선이 제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시스템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 및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네트워크 측에 의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하는 단계 -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함 -; 및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측에 의해 UE를 서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네트워크 측에 의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UE에 송신하는 단계 -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표시함 -; 및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네트워크 측에 의해 UE를 서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이 제공되며; 방법은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에 따라 UE에 의해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 따라 UE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함 -; 및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측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가 제공되며; 장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표시함 -; 및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UE 측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송신 포인트가 제공되며; 송신 포인트는 제4 또는 제5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8 양태에 따르면, UE가 제공되며; UE는 제6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9 양태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통신 시스템은 제7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 포인트 및 제8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송신 포인트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송신 포인트에서 제1 또는 제2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가 송신 포인트에서 제1 또는 제2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UE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UE에서 제3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가 UE에서 제3 양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장점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방법에 의해,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 내의 시스템 용량이 개선된다는 점에 있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용의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가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조건의 사상들 및 범위 내에 많은 변경들, 수정들 및 균등물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고 및/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방식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특징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포함하는/구비한다/구비하는"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구성요소들 또는 그것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기 위해 해석된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을 위해, 다른 첨부 도면들은 독창적으로 노력하는 것 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들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도면들에서,
도 1 내지 도 3은 일 실시예의 3개의 응용 시나리오들의 개략도들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1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을 변경하는 일 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다른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2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3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4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5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6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7의 송신 포인트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8의 UE의 하드웨어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 9의 통신 시스템의 기본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추가 양태들 및 특징들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분명해질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범위에 있어서 대응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 및 조건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균등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구현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구현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응용 시나리오는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이며, 즉, 임의의 시간에, 각각의 송신 포인트는 하나의 캐리어를 통해서만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로 동작할 수 있다. 고려되는 시나리오는 지리적 영역이 다수의 송신 포인트들에 의해 커버되며, 각각의 송신 포인트에 하나의 안테나 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이 구비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송신 포인트는 기지국이고 캐리어에서 동작하는 물리 셀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송신 포인트들은 베이스밴드 유닛(baseband unit)(BBU) 풀에 동시에 연결되고 캐리어에서 동작하는 하나의 물리 셀(도 2) 또는 다수의 물리 셀들(도 3)을 형성한다.
상기 시나리오들에서, 각각의 송신 포인트 동일한 또는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해 동작할 수 있고, 각각의 UE는 송신 포인트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한 구성은 주기적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설정을 정의한다. 롱 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LTE) 시스템에서, 그러한 기간은 10 서브프레임들, 즉 10ms이고, 그러한 설정은 특정 기간, 예컨대 500ms에서 변경되지 않을 것이다. LTE 시스템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은 시스템 메시지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에서 지정되는 시간 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TDD) 구성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러한 구성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으로 언급된다.
실시예 1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401): 네트워크 측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하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하고;
단계(402): 네트워크 측은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한다.
단계(401)에서, 네트워크 측이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에 대해, 그것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변경하기 전에(즉, UE가 새로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수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측은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의 시작 전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면, 그것/그것들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으로 변경되며, 즉 데이터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서 수신된다. 이에 반하여,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면, 그것/그것들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으로 변경되며, 즉 데이터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물리 제어 채널, 예컨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을 통해 송신될 수 있고, 또한 다른 메시지들, 예컨대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MAC) 계층 제어 요소 등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의 엔티티는 기지국(BS)일 수 있고, 또한 제어 기능을 갖는 다른 송신 포인트(TP)일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는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UE는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에 따라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해,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서브프레임은 일련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위치 정보는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련 번호 5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포함되면, 그것은 제5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거나, 일련 번호(예컨대 3-6) 또는 일련 번호들(예컨대 3, 4, 5, 6)의 그룹의 범위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포함되면, 그것은 제3, 제4, 제5 및 제6 서브프레임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는 또한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맵 "0100100110"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포함되면, 그것은 제2, 제5, 제8 및 제9 서브프레임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이 위치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UE는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에 따라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해,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UE가 n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면, 그것은 (n+m)번째 서브프레임으로부터 (n+m+k)번째 서브프레임으로 (n+m)번째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한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 예를 들어 m 및 k의 값들이 사전정의되거나 사전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전정의는 표준에 사전정의되고 네트워크 측 및 UE에 공지된 것을 언급하고, 사전구성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사전구성되고 UE에 통지되는 것을 언급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 구현에서,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스케줄링 정보, 예컨대 UE를 위해 할당되는 자원의 위치, 변조 및 코딩 방식,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E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을 변경하는 일 예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의 개략도이고, (b)는 제8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방향을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 변경하는 개략도이며, 즉 이러한 예에서, 제8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되고, (c)는 제9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방향을 다운링크로부터 업링크로 변경하는 개략도이며, 즉 이러한 예에서, 제9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된다.
단계(402)에서, 네트워크 측은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기 위해 다른 송신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체적으로 UE를 서빙할 수 있으며, 이는 예들로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UE들(UE1 및 UE2)은 둘 다 TP1 및 TP2의 커버리지 범위들 내에 있다. TP2는 도 6에 도시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 따라 동작한다. UE2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며, 이 변경 정보는 제8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변경되는 것을 표시하고, 이러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측(TP2)에서 아래와 같이 2개의 처리 방식들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방식 1: 네트워크 측(TP2)은 제8 서브프레임에서 UE2의 다운링크를 서빙하기 위해 TP1을 선택하고, 동시에, TP2는 UE1의 업링크를 서빙한다. 따라서, 2개의 상이한 UE들이 동시에 2개의 상이한 동작 모드들, 즉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 동일한 서브프레임에 각각 동작하는 경우가 TP2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발생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작은 범위 내에서 풀 듀플렉스 통신을 달성하고 시스템 용량을 개선한다.
방식 2: 네트워크 측(TP2)은 그것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지정되는 업링크보다는 오히려, 제8 서브프레임에서 UE2의 다운링크를 서빙한다. 따라서, TP2는 제8 서브프레임에서 UE2의 다운링크를 스케줄링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시스템 용량을 개선한다.
실시예 2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7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701): 네트워크 측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UE에 송신하며,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표시하고;
단계(702): 네트워크 측은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한다.
단계(701)에서, 네트워크 측은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표시하기 위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그러한 타입의 서브프레임(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으로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시스템 메시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메시지, MAC 계층 제어 요소, 또는 물리 계층 시그널링(예컨대 다운링크 제어 정보) 등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는 이하의 방식들에 의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트맵 "0100100110"은 제2, 제5, 제8 및 제9 서브프레임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표시한다. 다른 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는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구성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으며, 즉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네트워크 측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는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통해 표시될 수 있고, 따라서, UE는 차이에 따라 2개의 타입들의 구성에서의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의 그러한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사전정의되거나 사전구성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즉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사전정의되거나 사전구성되는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인 것을 표시하며, 사전정의 및 사전구성 방식들은 실시예 1의 것들과 유사하고,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의 엔티티는 기지국(BS)일 수 있고, 또한 제어 기능을 갖는 다른 송신 포인트(TP)일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는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 구현에서, 상기 표시 정보를 통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것에 더하여, 네트워크 측은 또한 UE에게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실시예 1의 것과 동일하고,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방법의 경우, UE는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더 수신되면, 그것은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될 필요가 있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더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그것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을 변경하는지 및 미리 결정된 정책에 따라 변경하는 방법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한 UE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이 동일한 TP 또는 상이한 TP들에 의해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용량이 개선된다.
실시예 3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실시예들 1 및 2의 방법들에 대응하는 UE 측에서 처리하고 있는,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8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방법은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801): UE는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고;
단계(802): UE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측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송신가능하게 할 수 있고, 단계(801)에서, UE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상세히 각각 설명되었고, 그것의 내용들은 본원에 포함되고,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일 구현에서, UE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면, UE는 위치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구현에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그것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고, UE는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추가 구현에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지만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UE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인 것, 예컨대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과 일치하는 것, 즉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 또는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인 것, 또는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른 구현에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UE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면, UE는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인 것, 예컨대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 일치하는 것, 또는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인 것, 또는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a)을 일 예로 취하면,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이 제8 내지 제10 서브프레임들이고(즉,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a)에서, 제8 내지 제10 서브프레임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음),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표시되는 서브프레임이 제8 서브프레임인 경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a)에서, 제8 서브프레임은 업링크로부터 다운링크로 변경되고, 나머지 제9 내지 제10 서브프레임들은 그것들의 원래 구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즉 그것들은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고, 또한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또는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방법의 경우,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은 네트워크 측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에 따라 변경되고,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엔티티, 예컨대 기지국, 또는 제어 기능을 갖는 다른 송신 포인트 등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1의 방법의 것과 유사하므로, 실시예 1의 방법의 구현은 장치의 구현을 위해 언급될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들은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9는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장치(900)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901) -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함 -; 및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유닛(902)을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위치 정보는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장치의 경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5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엔티티, 예컨대 기지국, 또는 제어 기능을 갖는 다른 송신 포인트 등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싱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2의 방법의 것과 유사하므로, 실시예 2의 방법의 구현은 장치의 구현을 위해 언급될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들은 본원에 더 이상의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0은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장치(1000)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1001) -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표시함 -; 및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유닛(1002)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거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거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는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통해 표시될 수 있거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사전정의되거나 사전구성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송신 유닛(10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더 송신할 수 있으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한다.
일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위치 정보는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장치의 경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6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UE 측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3의 방법의 것과 유사하므로, 실시예 3의 방법의 구현은 장치의 구현을 위해 언급될 수 있으며, 동일한 내용들은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1은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장치(1100)는,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1101);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1102)을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면, 결정 유닛(1101)은 위치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한다.
다른 구현에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결정 유닛(11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한다.
추가 구현에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결정 유닛(11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인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은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과 일치하거나,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거나,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다.
다른 구현에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결정 유닛(11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면, 결정 유닛(1101)은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인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은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 일치하거나,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거나,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장치의 경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7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를 포함하는 송신 포인트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송신 포인트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포인트(120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CPU)(1201) 및 메모리(12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202)는 중앙 처리 유닛(1201)에 결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메모리(1202)는 UE에 의해 송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양한 정보를 UE에 송신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더욱이, 정보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중앙 처리 유닛(1201)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실시예 4에 설명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201)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중앙 처리 유닛(12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하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하고;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위치 정보는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실시예 5에 설명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201) 내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중앙 처리 유닛(12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UE에 송신하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표시하고;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거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거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는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통해 표시될 수 있거나,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사전정의되거나 사전구성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앙 처리 유닛(12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UE에게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한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위치 정보는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될 수 있고, 또한 비트맵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실시예 4 또는 실시예 5에 설명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및 중앙 처리 유닛(1201)은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는 중앙 처리 유닛(1201)에 연결되는 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201)의 제어 하에 실현된다.
더욱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포인트(1200)는 송수신기(1203), 및 안테나(1204)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은 종래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고,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송신 포인트(1200)는 도 12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더욱이, 송신 포인트(1200)는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종래 기술이 언급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송신 포인트는 기지국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송신 포인트의 경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8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실시예 6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UE를 제공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UE(1300)의 시스템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300)는 중앙 처리 유닛(131) 및 메모리(132)를 포함하며, 메모리(132)는 중앙 처리 유닛(131)에 결합된다. 이러한 도면은 단지 예시적이고, 다른 타입들의 구조들은 또한 이러한 구조를 보충하거나 대체하고 전기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일 구현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31)으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중앙 처리 유닛(131)은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면, 결정 유닛은 위치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결정 유닛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한다.
대안적으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결정 유닛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인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은 네트워크 측에서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구성과 일치하거나,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거나,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다.
대안적으로, UE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결정 유닛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결정한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면, 결정 유닛은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인 것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현에서,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은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 일치하거나,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거나,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이다.
다른 구현에서,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및 중앙 처리 유닛(131)은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는 중앙 처리 유닛(131)에 연결되는 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31)의 제어 하에 실현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1300)는 통신 모듈(133), 입력 유닛(134), 오디오 처리 유닛(135), 디스플레이(136) 및 전원(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UE(1300)는 도 13에 도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더욱이, UE(1300)는 도 13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종래 기술이 언급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131)은 때때로 컨트롤러 또는 컨트롤로 언급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로직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유닛(131)은 UE(1300)의 모든 구성요소들의 입력 및 제어 동작들을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메모리(132)는 예를 들어 사전정의되거나 사전구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 실행 관련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이동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131)은 정보 저장 또는 처리 등을 실현하기 위해 메모리(13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들의 기능들은 종래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며, 그것은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UE(1300)의 구성요소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 없이, 특정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UE의 경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 9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실시예 7에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 포인트, 예컨대 기지국, 및 실시예 8에 설명된 바와 같은 U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400)은 제1 송신 포인트(1401), 제2 송신 포인트(1402), 및 UE(14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송신 포인트(1401) 및 제2 송신 포인트(1402)는 실시예 7에 설명된 바와 같은 송신 포인트(1200)일 수 있고, UE(1403)는 실시예 8에 설명된 바와 같은 UE일 수 있으며, 그것의 내용들은 본원에 포함되고, 본원에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경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시스템 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송신 포인트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유닛이 송신 포인트에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유닛이 송신 포인트에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설명된 바와 같은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UE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유닛이 UE에서 실시예 3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유닛이 UE에서 실시예 3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을 수행하게 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프로그램이 로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로직 디바이스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구성요소들을 수행하거나,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되는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점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들 및 원리에 따라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0)

  1. 네트워크 측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로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상기 UE에게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함 -; 및
    상기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유닛
    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되거나;
    상기 위치 정보는 비트맵을 통해 표시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에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6. 네트워크 측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로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유닛 -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될 수 있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표시함 -; 및
    상기 변경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에 따라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UE를 서빙하도록 구성되는 서빙 유닛
    을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되거나;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비트맵을 통해 표시되거나;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는 상이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을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은 사전정의되거나 사전구성된 방식으로 표시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상기 UE에 더 송신하며,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상기 UE에게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하나의 그룹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서브프레임 일련 번호를 통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위치 정보는 비트맵을 통해 표시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에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는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장치.
  13. UE 측에 적용가능한,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로서,
    수신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측에서의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 및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처리 유닛
    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는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서브프레임 사이의 고정 시간 시퀀스 관계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들)이 변경되는 서브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들의 그룹을 결정하는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의 것이라는 것을 결정하는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 일치하거나,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거나, 또는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 및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 표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이 변경되는 것을 결정하는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변경가능 서브프레임들에서 상기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변경 정보에 의해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존재하면, 상기 결정 유닛은 지정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의 것이라는 것을 결정하는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설정은 상기 네트워크 측에서의 상기 제1 업링크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구성과 일치하거나, 모두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거나, 또는 모두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인 데이터 수신 및 송신 장치.
KR1020177010465A 2014-09-25 2014-09-25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57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87431 WO2016045053A1 (zh) 2014-09-25 2014-09-25 半双工系统下的子帧调度方法、数据收发方法、装置和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372A true KR20170057372A (ko) 2017-05-24

Family

ID=5558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465A KR20170057372A (ko) 2014-09-25 2014-09-25 하프 듀플렉스 시스템에서의 서브프레임 스케줄링 방법 및 데이터 수신 및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01990A1 (ko)
EP (1) EP3200524A4 (ko)
JP (1) JP2017529015A (ko)
KR (1) KR20170057372A (ko)
CN (1) CN107079422A (ko)
WO (1) WO2016045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5031B (zh) * 2016-02-29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网络设备、帧格式配置方法和系统
US10536338B2 (en) * 2016-07-07 2020-0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ing connection resolution assistant
EP3769574A4 (en) * 2018-05-22 202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SOURCE CONFIGURATION PROCESS, AND ASSOCIATED INFORMATION DEVICE AND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5507B (zh) * 2009-03-05 2011-05-11 华为技术有限公司 调整上行和下行子帧比例的方法及装置
CN101998264B (zh) * 2009-08-17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mbsfn子帧位置、用途的通知方法及装置
CN103024905B (zh) * 2011-01-07 2015-09-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子帧配比方法与装置
CN102594437B (zh) * 2011-01-12 2018-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和系统
CN103416012B (zh) * 2011-03-11 2016-10-1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设置动态子帧的方法及其设备
US8934424B2 (en) * 2011-09-29 2015-01-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reconfiguring a subframe allocation
JP2015518667A (ja) * 2012-03-22 2015-07-0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ブフレームの動的な構成
CN103326840A (zh) * 2012-03-23 2013-09-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时分双工通信的方法、系统和设备
CN103378956B (zh) * 2012-04-12 2019-03-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Tdd系统的处理软缓存的方法及设备
CN103458513B (zh) * 2012-06-01 2016-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和基站及终端
PL3169100T3 (pl) * 2012-07-06 2022-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osób i urządzenie do ustalania konfiguracji ul-dl dla tdd mającej zastosowanie w przypadku ramek radiowych
CN108566265B (zh) * 2012-09-26 2021-04-2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动态tdd上行链路/下行链路配置方法
US20150358133A1 (en) * 2013-01-09 2015-12-10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0524A4 (en) 2018-05-23
CN107079422A (zh) 2017-08-18
US20170201990A1 (en) 2017-07-13
JP2017529015A (ja) 2017-09-28
WO2016045053A1 (zh) 2016-03-31
EP3200524A1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8531B (zh) 混合自动重传请求应答的传输方法及其装置
US20170251466A1 (en) Defining sub-subchannels for data communication using separately provided frequency and time resources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CN108293263B (zh) 用于将信道干扰容忍水平反馈用于无准予数据传输的上行链路信道选择的方法和装置
US11463210B2 (en)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US20170171855A1 (en) Network assistance for distributed unscheduled transmissions
EP359206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terminal device
KR102467757B1 (ko) 동일한 사이즈 코드 블록에 대한 전송 블록 사이즈 결정
JP2015537449A (ja) 情報送信方法、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JP7074764B2 (ja) 送信方向構成方法、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JP2022501904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における方法、及び統合アクセスバックホールノードにおける方法
KR20160043961A (ko)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353366B1 (ko) Lte 사이드링크 통신을 제어하는 dci
KR20220024719A (ko) Nr v2x에서 harq 피드백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516780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methods, and recording mediums
US20170201990A1 (en) Subframe Schedul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Half-duplex System and System
US20230246686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feedback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US20180332607A1 (en) Methods in a Communication Device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40039679A1 (en) Resource configuration for full-duplex communication
US20230247717A1 (en) Discontinuous reception alignment grouping for sidelink and cellular communication
KR202400419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조정과 관련된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3919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조정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JP2023547406A (ja) フィードバック構成のための方法、端末デバイス、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