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827A -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827A
KR20170056827A KR1020150160118A KR20150160118A KR20170056827A KR 20170056827 A KR20170056827 A KR 20170056827A KR 1020150160118 A KR1020150160118 A KR 1020150160118A KR 20150160118 A KR20150160118 A KR 20150160118A KR 20170056827 A KR20170056827 A KR 20170056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scription
application
user
m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상
Original Assignee
이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상 filed Critical 이은상
Priority to KR1020150160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827A/ko
Publication of KR20170056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56
    • G06F19/326
    • G06F19/3475
    • G06K9/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방전에 기재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환자의 건강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앱 데이터 베이스와 처방전을 스캔하여 처방전 정보로 변환하는 OCR 판독부와 메인 서버와 양방향 통신되는 제1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인 서버는 어플리케이션과 양방향 통신되는 제2 정보 송수신부와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처방전 정보, 그리고 의약품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와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처방전 정보와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의약품 오용 분석결과 및 의약품 부작용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비교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Health care system based prescription}
본 발명은 처방전에 기재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환자의 건강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처방전에 기재되는 처방 의약품의 내역과 환자의 기본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환자 및 보호자에게 처방 의약품의 성분, 효능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복용시점 및 복용량을 제시간에 통보해주며, 남용 또는 오용을 방지하게 해주는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방전이란 환자의 질병상태에 따른 약을 처방하여 치료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병원에서 발급되는 문서를 말하며, 환자 또는 보호자가 병원에서 발급받은 처방전을 약국에 제출하면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방전은 환자 및 보호자에게 기재되는 의약품의 성분, 효능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여, 환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약품은 그 효력의 지속 시간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약을 하여야 최대의 효과를 볼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제시간을 준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201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약력 관리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9959호의 "식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1387호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476호의 "약복용 이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201호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 약력 관리방법"에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의사 또는 약사의 도움 없이도 환자 스스로 환자 개인의 모든 처방전에 대해서 저장 보관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저장된 처방전을 통하여 정확한 복약 지도를 수행하고 잘못된 투약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9959호의 "식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식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본인 및 가족들이 건강에 맞는 식습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1387호의 "정보 제공 시스템"에는 식단에 대하여 항목별로 진단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제공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476호의 "약복용 이력관리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는 사용자가 외출시에도 약복용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약복용 요청 메시지 및 복용해야 하는 약의 정보가 전달되는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처방 의약품의 복용알람 또는 식단 진단 등의 단편적인 기능만이 제공되어 환자 및 보호자에게 더 효과적인 건강관리 시스템 또는 방법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환자 및 보호자에게 처방전에 기재되는 처방 의약품의 성분, 효능 등의 구체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처방 의약품의 복용시점 및 복용량이 제시간에 통보되며, 처방전 내역 관리를 통해 처방 의약품의 남용 또는 오용이 방지되며, 식단 정보 등의 건강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식단 분석 기능 및 커뮤니티 게시판 접속 기능이 제공되는 종합적인 건강관리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201호(2006. 05. 0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9959호(2007. 06. 1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1387호(2009. 03. 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5476호(2014. 02. 14)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처방전에 기재되는 처방 의약품의 명칭만으로는 의약 지식이 없는 환자 및 보호자가 처방 의약품의 성분, 효능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환자 및 보호자가 복용시점 또는 복용량을 망각하여 환자의 회복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처방전의 발행처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의약품의 과다복용 또는 병용이 금지되는 의약품들의 복용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환자 및 보호자가 식단 정보 등의 건강정보를 정확히 알지 못하여 의약품에만 의존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앱 데이터 베이스; 처방전을 스캔하여 상기 처방전 정보로 변환하는 OCR 판독부; 상기 메인 서버와 양방향 통신되는 제1 정보 송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양방향 통신되는 제2 정보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처방전 정보, 그리고 의약품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 상기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의약품 오용 분석결과 및 의약품 부작용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비교 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처방전에 기재되는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스캔하면 처방 의약품의 성분, 효능 등의 구체적인 정보가 환자 및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효과가 발생하였고;
환자 및 보호자에게 처방 의약품의 복용시점 및 복용량이 제시간에 통보되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환자의 처방전 내역 관리를 통해 처방 의약품의 남용 또는 오용이 방지되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식단 분석 기능 및 커뮤니티 게시판 접속 기능이 제공되어 환자 및 보호자가 식단 정보 등의 건강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성요소인 어플리케이션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의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처방전 정보를 입력하는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식단 입력화면과 식단 입력에 따른 분석결과 도출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게시판 서비스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처방전에 기재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환자의 건강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앱 데이터 베이스; 처방전을 스캔하여 상기 처방전 정보로 변환하는 OCR 판독부; 상기 메인 서버와 양방향 통신되는 제1 정보 송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양방향 통신되는 제2 정보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처방전 정보, 그리고 의약품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 상기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의약품 오용 분석결과 및 의약품 부작용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비교 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기본요소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무료로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유료로 제공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화면 일부분에 광고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앱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환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부가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기본 정보는 환자의 성별, 생년월일 또는 나이, 몸무게 등의 정보를 말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입력사항이 부가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처방전 정보는 병원에서 발급받은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의 명칭 등의 필수 정보와 방문 병원, 방문 목적, 방문 일시 등의 상기 처방전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가 정보는 식사 시간, 의약품 복용 시간 등의 정보와 당일 섭취한 모든 음식 명칭 또는 한 끼 식사에 섭취한 모든 음식 명칭 등의 식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는 상기 기본 정보, 상기 처방전 정보, 상기 부가 정보를 입력할 때, 반드시 모든 항목을 입력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나, 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최대한 많은 항목을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처방전을 스캔하여 상기 처방전 정보로 변환하는 OCR 판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는 병원에서 발급받은 처방전에 대한 처방전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처방전을 스캔할 수 있다.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는 상기 처방전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으나, 상기 처방전에 기재된 내용 중 처방 의약품의 명칭이 기재된 부분을 특정하여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촬영된 처방 의약품의 명칭은 명확하게 식별 가능해야 한다.
이때, 촬영된 처방 의약품의 명칭이 명확하게 식별 가능해야 한다는 것은, 촬영시 흔들림이나 빛에 의한 번짐 현상 등을 최소화하여 촬영된 처방 의약품의 명칭이 육안으로 쉽게 식별 가능한 것을 말한다.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는 촬영된 처방 의약품이 명칭이 명확하게 식별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이를 삭제하고 재촬영할 수 있다.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의 모바일 기기가 반드시 카메라 촬영 기능을 구비하여 처방전을 스캔하는데 있어서 지장이 없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OCR 판독부는 상기 처방전에 기재된 처방 의약품의 명칭이 촬영되어 생성되는 이미지화 된 OCR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OCR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은 대상이 되는 문자를 수십 개의 모눈으로 분할하고 특정한 모눈(方眼)의 흑백 또는 자획 형상의 특징에 의해 판독하는 종래의 기술을 따르며, 종래의 기술과 다른 기술이 있으면 그 기술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OCR 판독부는 촬영된 처방 의약품의 명칭이 육안으로 식별은 가능하나 선명하지 않아 텍스트 데이터로의 변환에 실패한 경우, 촬영된 처방 의약품의 이미지화 된 OCR 데이터를 기 입력된 문자 이미지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모눈의 수가 가장 많은 문자이미지와 매칭되는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보정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에 인식 불가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처방전을 재촬영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장 최근에 발급받은 처방전을 포함하여 과거에 발급받은 처방전을 모두 스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각의 처방전 발급날짜를 입력하여 복수 개의 처방전에 대해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캔되어 저장된 모든 처방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언제든지 열람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메인 서버와 양방향 통신되는 제1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앱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부가 정보, 그리고 처방전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1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앱 데이터 베이스에 새로운 정보가 저장되면 이를 즉시 상기 메인 서버로 전송하나, 전송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일정한 시간의 간격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시도한다.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의 모바일 기기가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 서버와의 양방향 통신에 지장이 없어야 함은 자명하며, 상기 양방향 통신으로 인해 부과되는 통신 요금은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에 의해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용자가 부담하는 방식임이 타당하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유료로 제공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화면 일부분에 광고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부담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양방향 통신되는 제2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제1 정보 송수신부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 그리고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 그리고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메인 서버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즉시 상기 제1 정보 송수신부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제2 정보 송수신부는 상기 제1 정보 송신부로의 정보 전송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한 일정한 시간의 간격을 가지며 지속적으로 재전송을 시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 그리고 의약품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의약품 정보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의약품들 각각에 대한 명칭, 성분, 효능, 복약 정보 등의 정보를 말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구체적인 정보가 더 추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메인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제2 전송부로 수신되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 그리고 의약품 정보를 상기 메인 서버 내에 저장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상기 메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는 부가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상기 메인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되는 음식 정보와 식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와 상기 음식 정보, 상기 부가 정보와 상기 식단 정보는 각각 상호 매칭되는 정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부가 정보를 입력하면 그에 매칭되는 음식 정보 또는 식단 정보가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부가 정보는 당일 섭취한 모든 음식 명칭 또는 한 끼 식사에 섭취한 모든 음식 명칭 등의 식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음식 정보는 각각의 음식 명칭으로 특정 지어지는 하나의 단위에 대한 열량, 영양성분 정보, 특징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단 정보는 다이어트 식단, 환자가 앓고 있는 병명 각각에 대한 추천 식단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의약품 오용 분석결과 및 의약품 부작용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비교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교 분석부는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가 입력한 상기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가 입력한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입력한 상기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의약품 오용 분석결과 및 의약품 부작용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방전 정보는 가장 최근에 입력된 처방전 정보와 과거에 입력된 처방전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의약품 오용 분석결과는 상기 환자가 병원에서 가장 최근에 처방받은 처방 의약품을 복용할 경우 과복용일 수 있는 경우와 가장 최근에 처방받은 처방 의약품만으로는 과복용은 아니나 과거에 처방받은 처방 의약품까지 모두 고려하면 과복용일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의약품 부작용 분석결과는 단일의 처방전에 병용이 금지시 되는 처방 의약품이 함께 처방된 경우와 복수 개의 처방전을 모두 고려했을 때 병용이 금지시 되는 처방 의약품이 각각 처방된 경우를 포함하여 복용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도출된 결과이다.
또한, 상기 비교 분석부는 상기 부가 정보와 상기 음식 정보, 상기 부가 정보와 상기 식단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식단 분석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비교 분석부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상기 부가 정보를 상기 음식 정보 및 상기 식단 정보와 각각 비교하여 식단 분석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가 당일 섭취한 모든 음식의 명칭 또는 한 끼 식사에 섭취한 모든 음식의 명칭을 부가 정보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면,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음식 정보와 매칭되어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가 당일 섭취한 모든 음식의 명칭 또는 한 끼 식사에 섭취한 모든 음식의 명칭 각각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식단 정보와 매칭되어 당일 섭취한 모든 음식 또는 한 끼 식사에 섭취한 모든 음식 각각에 대한 열량, 영양성분 정보 등이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시될 수 있고, 당일 섭취한 모든 음식 또는 한 끼 식사에 섭취한 모든 음식이 합산되어 총 열량, 총 영양성분 정보 등이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복약시간에 맞추어 복약 의약품의 종류 및 복약량을 제시하는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람부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한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정확한 복약시점에 복약 의약품의 종류 및 복약량을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통보하는 구성이다.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상기 추가 정보에는식사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식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정확한 복약시점에 복약 의약품의 종류 및 복약량을 통보한다.
이후, 상기 알람부는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가 추가로 입력하는 식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정확한 복약시점에 복약 의약품의 종류 및 복약량을 통보할 수 있고, 상기 복약 의약품의 종류 및 복약량에 따른 약효의 지속시간을 분석하여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정확한 복약시점에 복약 의약품의 종류 및 복약량을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가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복약시점을 통보하는 방식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복용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방식일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알림 벨이 울리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환자 또는 보호자에게 복약 시점을 통보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에게 게시판 서비스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환자 또는 보호자는 모바일 기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후 구동하여 상기 게시판 서비스 및 상기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게시판 서비스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이용자들이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게시물을 게재하거나 궁금한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질문이 포함된 게시물을 게재하기 위한 온라인상의 장소로써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서비스이다.
상기 게시판 서비스는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것은 자명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상기 게시판 서비스에 게시된 게시물 중 유용한 게시물은 하나의 카테고리에 모아서 따로 게시 가능하다.
상기 채팅 서비스는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이용자들이 빠르게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기 위한 온라인 상의 장소로써, 상기 채팅 서비스 또한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사용자라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신의 아이의 건강을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에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사용자가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 정보관리, 처방전 찍기, 식단관리, 커뮤니티 등의 메뉴로 구성되는 초기화면이 나타난다.
상기 메뉴들의 세부 명칭은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자신의 아이의 기본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는 아이의 성별, 생년월일 또는 나이, 몸무게 등의 정보를 말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입력사항이 부가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는 병원에서 발급받은 자신의 아이에 대한 처방전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처방전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직접 처방전에 기재된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스캔하여 입력하는 방식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직접 상기 처방전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상기 처방전 정보는 병원에서 발급받은 처방전에 기재된 의약품의 명칭 등의 필수 정보와 방문 병원, 방문 목적, 방문 일시 등의 상기 처방전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처방전 정보를 입력한 상기 사용자는 입력된 상기 처방전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며, 복수 개의 처방전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도 모두 조회가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사용자는 각각의 처방전 정보에 대한 조회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처방전 정보를 모두 통합하여 도출된 복약통계의 조회 또한 가능하다.
상기 복약통계란 상기 복수 개의 처방전 정보에 기재된 특정 처방 의약품에 대한 처방횟수 등의 통계를 말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아이에 대한 정보만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추가 정보 등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아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아이가 당일 섭취한 모든 음식 명칭 또는 한 끼 식사에 섭취한 모든 음식 명칭 등의 식단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식단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식단에 관한 정보에 대한 열량, 영양성분 정보 등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는 게시판 서비스를 이용하여 불특정 다수의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의 이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 및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앱 데이터 베이스;
    처방전을 스캔하여 상기 처방전 정보로 변환하는 OCR 판독부;
    상기 메인 서버와 양방향 통신되는 제1 정보 송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양방향 통신되는 제2 정보 송수신부;
    상기 사용자의 기본 정보와 처방전 정보, 그리고 의약품 정보가 저장되는 메인 데이터 베이스;
    상기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처방전 정보와 상기 의약품 정보를 비교하여 의약품 오용 분석결과 및 의약품 부작용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비교 분석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처방전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복약시간에 맞추어 복약 의약품의 종류 및 복약량을 제시하는 알람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는 부가 정보,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상기 메인 데이터 베이스에 입력되는 음식 정보와 식단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분석부는 상기 부가 정보와 상기 음식 정보, 상기 부가 정보와 상기 식단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식단 분석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에게 게시판 서비스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1020150160118A 2015-11-16 2015-11-16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KR20170056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118A KR20170056827A (ko) 2015-11-16 2015-11-16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118A KR20170056827A (ko) 2015-11-16 2015-11-16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827A true KR20170056827A (ko) 2017-05-24

Family

ID=5905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118A KR20170056827A (ko) 2015-11-16 2015-11-16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8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46A1 (ko) * 2018-01-19 2019-07-25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장 정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5662A (ko) * 2019-09-24 2021-04-01 (주)미라벨소프트 약 처방전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46A1 (ko) * 2018-01-19 2019-07-25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장 정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35662A (ko) * 2019-09-24 2021-04-01 (주)미라벨소프트 약 처방전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99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DeKoekkoek et al. mHealth SMS text messaging interventions and to promote medication adherence: an integrative review
JP6684820B2 (ja) 患者ケアシステム
US806905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and/or for monitoring a party's compliance with a schedule for taking medicines
US736667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monitoring and/or rewarding a party's compliance with a schedule for taking medicines
US2014032421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tion delivery
KR20200063761A (ko) 약 정보검색 및 복약 상담시스템
TW200419422A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data flows
US10825559B1 (en) Interiorly positioned machine-readable data labels for prescription compliance
WO20110629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JP6725739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3084393A1 (fr) Systeme et procede de gestion de sante
KR20190006755A (ko)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111674A (zh) 用于家庭的动态用药和规程管理器
US200502619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rug inventory at point of care
CN112017746A (zh) 用于捕获医疗事件的图像以减少医疗错误的便携式设备
US115018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prescription and medical documents
KR20170056827A (ko) 처방전 기반 건강관리 시스템
JP7412916B2 (ja) 服薬支援システム
Nisha Angeline et al. Medical IoT—automatic medical dispensing machine
US9910959B2 (en) Entry, storage and retrieval of medical information from a pharmacy
KR102518614B1 (ko)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JP674341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30225947A1 (en) Pill dispenser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06041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개인 약력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