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750A -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750A
KR20170056750A KR1020150159423A KR20150159423A KR20170056750A KR 20170056750 A KR20170056750 A KR 20170056750A KR 1020150159423 A KR1020150159423 A KR 1020150159423A KR 20150159423 A KR20150159423 A KR 20150159423A KR 20170056750 A KR20170056750 A KR 20170056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bstacle
collision
displ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157B1 (ko
Inventor
금병직
오형석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9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15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B60K2350/3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주행방향을 검출하는 주행방향 검출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차량의 차폭 정보와 함께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THE COLLISION OF VEHICLES USING HEAD-UP DISPLA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이나 주차 시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차량에는 내비게이션이 장착되어, 운전자에게 목적지와 길 안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차량의 앞 유리창에 원하는 정보를 투사하여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도 투사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 Head-Up Display)를 장착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기도 하다.
나아가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통해 특정 정보를 증강현실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3차원의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로서,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에 단순히 내비게이션 정보, 그 내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한 차선 변경 정보, 또는 보행자 감지 정보를 표시하였을 뿐이며, 차량의 실제 주행 상황이나 주차 상황을 고려하여 차량과 주변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의 활용도와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76242호(2009.07.13.공개,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폭 정보와 함께 탑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주행이나 주차 시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는, 차량의 주행방향을 검출하는 주행방향 검출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차량의 차폭 정보와 함께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 후, 좌, 우, 전방상부, 및 후방상부 중 적어도 두 곳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과 차폭 정보를 함께 표시하면서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이 검출되면, 장애물과 차량의 근접도에 따른 충돌 방지를 위한 보조정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는, 차량의 주행이나 주차 중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장애물 근접 부분을 사용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의 출력 시점을 운전자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으로 변경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로서, 차량이 좌/우에 있는 장애물에 근접할 경우 그 근접도에 따라 해당 측면의 색상 정보를 다르게 표시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있는 근접 부분을 둘러싸는 동그라미, 혹은 근접 부분을 가리키는 화살표를 포함하는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로서,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권고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며,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에는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경고하는 알람 정보, 및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권고 조향각도 정보를 나타내는 보조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은, 제어부가 차량의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차폭 정보와 함께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장애물과 차량 간의 근접도에 기초하여 충돌 방지를 위한 보조정보를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은, 차량의 전, 후, 좌, 우, 전방상부, 및 후방상부 중 적어도 두 곳 이상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는, 장애물과 차량의 근접도에 따라, 차량의 주행이나 주차 중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장애물 근접 부분을 사용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의 출력 시점을 운전자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으로 변경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방향의 좌/우에 있는 장애물에 근접할 경우 그 근접도에 따라 해당 측면의 색상 정보를 다르게 표시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있는 근접 부분을 둘러싸는 동그라미, 혹은 근접 부분을 가리키는 화살표를 포함하는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로서,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권고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며,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에는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경고하는 알람 정보, 및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권고 조향각도 정보를 나타내는 보조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폭 정보와 함께 탑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주행이나 주차 시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가 적용된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의 설치 위치와 개수를 예시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는, 센서부(110), 주행방향 검출부(120), 헤드업 디스플레이(130), 제어부(140), 및 카메라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차량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이나 차량의 후방에 있는 장애물을 검출한다.
상기 센서부(11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으로부터 장애물까지의 직선거리 및 위치를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부(110)는 라이다(LIDAR)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방식의 장애물 검출 센서(예 :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라이다(LIDAR :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는 레이저 펄스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반사체의 위치좌표를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센서이다.
상기 센서부(110)는 주시방향(또는 차량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예 : 보행자, 차량, 벽, 물건 등)로부터 반사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장애물과 차량 간의 거리 및 주행 차량에 대한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센서부(110)를 통해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시방향(또는 차량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도로 주행 중 전방 차량을 추월할 경우에는 선행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이나 도로 가이드와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하고, 차량을 주차할 경우에는 주차면의 좌우측에 먼저 주차되어 있는 차량과의 충돌 가능성이나 전후방 벽면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한다.
상기 주행방향 검출부(120)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예 : 직진, 후진)을 검출한다. 상기 주행방향 검출부(120)는 차량의 ECU로부터 주행방향(예 : 직진, 후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차량의 바퀴가 회전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센서(미도시) 등을 통해 주행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주행방향 검출부(120)에서 검출된 주행방향 정보는 상기 제어부(140)에 출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예 :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을 사용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예 :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의 출력 시점(예 : 운전자 시점, 관찰자 시점 등)을 변경하거나, 특정 부분(예 :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을 확대하거나, 특정 색상이나 특정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조 정보(즉, 충돌 알람 정보)를 표시하거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추천 가이드라인(즉, 조향 방향 가이드라인)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조향을 조절하여 충돌을 회피하게 한다.
만약 자동 조향(즉, 무인 조향)이 가능한 차량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40)가 충돌 회피가 가능한 방향으로 자동 조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차량 주변(예 : 정면, 측면, 후면 등)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디지털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CAM-1 ~ CAM-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FIR(Far Infra Red) 카메라 및/또는 CMOS 카메라(또는 CC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CMOS 카메라(또는 CCD 카메라)는 가시광 영역의 빛을 감지하여 투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비슷한 영상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FIR 카메라는 사람이 보지 못하는 적외선 대역의 빛을 투영하여 영상을 획득한다. 특히 FIR 대역은 온도에 따라 파장이 변하기 때문에 온도를 구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탑 뷰 또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좌/우에 적어도 4개의 카메라(CAM-1~CAM-4)가 설치되며, 추가로 상기 탑 뷰 또는 어라운드 뷰 영상의 완성도를 높이고, 또한 촬영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4개의 카메라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위치인 차량의 전방상부 및 후방상부에도 추가 카메라(CAM-5, CAM-6)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방향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한 충돌 가능성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150)를 통해 촬영된 영상(예 :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40)는 주행이나 주차 중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장애물 근접 부분을 사용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예 :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의 출력 시점(예 : 운전자 시점, 관찰자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폭을 선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함께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좁은 공간을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운전자 시점이란, 운전자가 바라볼 때 표시될 수 있는 각도(방향)로 근접 부분을 표시하는 것이고, 상기 관찰자 시점이란, 차량 외부의 관찰자가 바라볼 때 표시될 수 있는 각도(방향)로 근접 부분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근접 부분(예 :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은 확대하여 표시되거나, 특정 색상(예 : 차량이 좌/우에 있는 장애물에 근접할 경우 그 근접도에 따라 해당 측면의 색상 정보가 다르게 표시됨)이나 특정 이미지(예 : 충돌 가능성이 있는 근접 부분을 둘러싸는 동그라미, 혹은 근접 부분을 가리키는 화살표 등)를 이용하여 보조 정보(즉, 충돌 알람 정보)가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권고(또는 추천) 가이드라인(즉, 조향 방향 가이드라인)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조절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은 단순히 차량이 주행해야 할 방향(목적지를 향하는 방향)이나 차선변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주행이나 정지 상태에 관계없이 핸들(스티어링 휠)의 조정에 따라 차량이 진행할 수 있는 경로(즉, 예상 경로)와 그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 부위와 충돌 가능성을 나타내는 보조정보이다.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과 보조정보의 출력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140)는 차량의 조향각을 검출할 수 있으며,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내장된 차량의 전방폭 또는 후방폭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일 측 방향(예 : 좌측면 우측면 등)에 대한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130)에 차량의 진행방향(또는 주행방향)의 차폭 정보와 어라운드 뷰 영상(또는 탑 뷰 영상)을 함께 표시한다(S101).
상기 어라운드 뷰 영상(또는 탑 뷰 영상)은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방향의 주변에 있는 장애물 및 차량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차선 정보가 함께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차폭 정보(예 : 전방 차폭 정보, 후방 차폭 정보)와 어라운드 뷰 영상(또는 탑 뷰 영상)이 함께 표시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돌 방지 장치가 차량 충돌 정보를 발생하기 전이라도 운전자가 충돌 가능성을 미리 인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업 디스플레이(130)에 차량의 진행방향(또는 주행방향)의 차폭 정보(예 : 전방 차폭 정보, 후방 차폭 정보)와 어라운드 뷰 영상(또는 탑 뷰 영상)을 함께 표시하면서 주행하던 상태에서 차량 진행 방향에 있는 장애물이 검출되면(S102), 상기 제어부(140)는 장애물과 차량의 근접도에 따른 충돌 방지를 위한 보조정보를 표시한다(S103).
예컨대 상기 장애물과 차량의 근접도에 따른 충돌 방지를 위한 보조정보는, 차량의 주행이나 주차 중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장애물 근접 부분을 사용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정보이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130)를 통해 출력하는 영상(예 :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의 출력 시점(예 : 운전자 시점, 관찰자 시점)을 운전자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근접 부분(예 :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정보로서, 차량이 좌/우에 있는 장애물에 근접할 경우 그 근접도에 따라 해당 측면의 색상 정보를 다르게 표시(예 : 제1 기준이상 근접할 경우에는 빨간색, 제2 기준이상 근접할 경우에는 주황색, 제3 기준이상 근접할 경우에는 파란색 등)할 수 있으며, 충돌 가능성이 있는 근접 부분을 둘러싸는 동그라미, 혹은 근접 부분을 가리키는 화살표 등의 특정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정보로서,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권고(또는 추천) 가이드라인(즉, 조향 방향 가이드라인)이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은 단순히 차량이 주행해야 할 방향(목적지를 향하는 방향)이나 차선변경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주행이나 정지 상태에 관계없이 핸들(스티어링 휠)의 조정에 따라 차량이 진행할 수 있는 경로(즉, 예상 경로)와 그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 부위와 충돌 가능성을 나타내는 보조정보이다.
따라서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에는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경고하는 알람 정보, 및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권고 조향각도 정보를 나타내는 보조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센서부
120 : 주행방향 검출부
130 : 헤드업 디스플레이
140 : 제어부
150 : 카메라부
CAM-1 ~ CAM-N : 카메라

Claims (13)

  1. 차량의 주행방향을 검출하는 주행방향 검출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영상을 상기 차량의 차폭 정보와 함께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차량의 전, 후, 좌, 우, 전방상부, 및 후방상부 중 적어도 두 곳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과 차폭 정보를 함께 표시하면서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이 검출되면, 장애물과 차량의 근접도에 따른 충돌 방지를 위한 보조정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는,
    차량의 주행이나 주차 중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장애물 근접 부분을 사용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의 출력 시점을 운전자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으로 변경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로서, 차량이 좌/우에 있는 장애물에 근접할 경우 그 근접도에 따라 해당 측면의 색상 정보를 다르게 표시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있는 근접 부분을 둘러싸는 동그라미, 혹은 근접 부분을 가리키는 화살표를 포함하는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로서,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권고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며,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에는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경고하는 알람 정보, 및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권고 조향각도 정보를 나타내는 보조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8. 제어부가 차량의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차량의 차폭 정보와 함께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에 있는 장애물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장애물과 차량 간의 근접도에 기초하여 충돌 방지를 위한 보조정보를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탑 뷰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은,
    차량의 전, 후, 좌, 우, 전방상부, 및 후방상부 중 적어도 두 곳 이상에 설치된 카메라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는,
    장애물과 차량의 근접도에 따라, 차량의 주행이나 주차 중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이 높은 장애물 근접 부분을 사용자가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탑 뷰 영상 혹은 어라운드 뷰 영상의 출력 시점을 운전자 시점이나 관찰자 시점으로 변경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높은 근접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의 표시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는, 차량이 주행방향의 좌/우에 있는 장애물에 근접할 경우 그 근접도에 따라 해당 측면의 색상 정보를 다르게 표시하거나,
    충돌 가능성이 있는 근접 부분을 둘러싸는 동그라미, 혹은 근접 부분을 가리키는 화살표를 포함하는 특정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정보로서,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권고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며,
    상기 권고 가이드라인에는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경고하는 알람 정보, 및 예상 경로 상에 있는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권고 조향각도 정보를 나타내는 보조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KR1020150159423A 2015-11-13 2015-11-13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1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23A KR101816157B1 (ko) 2015-11-13 2015-11-13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423A KR101816157B1 (ko) 2015-11-13 2015-11-13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750A true KR20170056750A (ko) 2017-05-24
KR101816157B1 KR101816157B1 (ko) 2018-01-09

Family

ID=5905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423A KR101816157B1 (ko) 2015-11-13 2015-11-13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1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604A (ko) * 2017-06-09 2018-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KR102199743B1 (ko) * 2019-11-15 2021-01-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사각지대 영상을 제공하는 운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5743B2 (ja) * 2003-09-01 2008-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走行支援装置
JP4297045B2 (ja) * 2004-12-14 2009-07-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807263B2 (ja) * 2006-09-14 2011-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2009015547A (ja) * 2007-07-04 2009-01-22 Omron Corp 運転支援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257242A (ja) * 2009-04-24 2010-11-11 Honda Motor Co Ltd 画像データ生成装置
DE102011082475A1 (de) * 2011-09-12 2013-03-14 Robert Bosch Gmbh Fahrerassistenzsystem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in kollisionsrelevanten Situationen
KR101413231B1 (ko) * 2013-02-18 2014-06-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차량 주변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604A (ko) * 2017-06-09 2018-1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정보 안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KR102199743B1 (ko) * 2019-11-15 2021-01-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사각지대 영상을 제공하는 운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157B1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690B2 (en) Vehicle information projecting system and vehicle information projecting method
US9878665B2 (en) Active detection and enhanced visualization of upcoming vehicles
JP5454934B2 (ja) 運転支援装置
EP3437949B1 (en) Display device
US10558221B2 (en) Method for assisting in a parking operation for a motor vehicle,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a motor vehicle
JP6806097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4862774B2 (ja)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JP6091586B1 (ja) 車両用画像処理装置および車両用画像処理システム
JP6379779B2 (ja) 車両用表示装置
US20170036601A1 (en) Display device
US20120123613A1 (en) Driving support device, driving support method, and program
KR20180085718A (ko) 차량의 차량 주변환경 내 가림 영역 산출 방법 및 장치
WO2017082067A1 (ja) 自動車用画像表示システム
JP4784572B2 (ja)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JP6945933B2 (ja) 表示システム
KR20170000363A (ko)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을 위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90135169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projected light
JPWO2016103418A1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2020091663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JP2019199135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KR101816157B1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55183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차선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70065738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56323A (ko)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길 안내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JP6589991B2 (ja) ヒューマンインター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