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476A -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holders - Google Patents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hold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476A
KR20170056476A KR1020167028425A KR20167028425A KR20170056476A KR 20170056476 A KR20170056476 A KR 20170056476A KR 1020167028425 A KR1020167028425 A KR 1020167028425A KR 20167028425 A KR20167028425 A KR 20167028425A KR 20170056476 A KR20170056476 A KR 2017005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nsert
container
support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4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니르 하다르
Original Assignee
플라셀 플라스틱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라셀 플라스틱 엘티디. filed Critical 플라셀 플라스틱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7005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4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 B65D59/04Sleeves, e.g. postal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주제는, 홀더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인서트(200, 300, 400) 및 이 인서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인서트는 바닥부 및 상단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지지부재는 포장 인서트 내에 수용되는 홀더의 중심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kit comprising a package insert (200, 300, 400) for holding a holder and a container configured to hold the insert. The insert comprises a base memb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axially projecting from the top portion of the base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within the central bore of the holder received in the package insert.

Description

기계 공구 홀더를 위한 보호용 포장 인서트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HOLDERS}[0001]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HOLDERS [0002]

개시된 주제는 기계 공구 홀더를 위한 보호용 포장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내에 홀더를 고정시키기 위한 포장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protective packaging insert for a machine too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insert for securing a holder in a container.

여기에서 사용되는 "기계 공구"라는 용어는 절단 공구, 커터, 드릴, 밀 등을 말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achine tool" refers to a cutting tool, cutter, drill, mill, or the like.

절단 공구들과 그 홀더들의 정교한 특성으로 인하여, 그 운반 및 보관은 문제점들을 제공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것은, 기계 공구의 홀더를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안정화시키기에 적합한 컨테이너들을 기계 공구와 함께(도 1a 참조) 또는 기계 공구 없이 도시한 것이다. 이들 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는, 도 1b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홀더에 끼워맞춰지는 것이 전형적인 관례이다. 컨테이너, 즉, 용기의 바닥부분은 용기의 측벽부로부터 연장하고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표면(S)을 갖도록 구성되며, 지지표면이 홀더의 외측표면과 인접한 상태로, 기계 공구의 홀더를 꼭 맞게 수용하여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종래기술의 도면에 제시되어 있는 특정 컨테이너는 2014년 4월 10일자로 액세스되는 http://www.beckettplastics.co.uk/packaging/pdfs/SKBoxes.pdf 에서 찾아볼 수 있다.Due to the sophisticated nature of the cutting tools and their holders, their transport and storage presents problems. 1A and 1B illustrate containers suitable for holding and stabilizing the holder of a machine tool together with a machine tool (see FIG. 1A) or without a mechanical tool. As can be seen in these examples, it is typical for a container to be fitted to a particular holder, as is clearly shown in Fig. 1B. The container, i.e.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is configured to have a support surface S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protruding inwardly, and the support surface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holder of the machine tool, Respectively. The specific containers shown in the prior art drawings can be found at http://www.beckettplastics.co.uk/packaging/pdfs/SKBoxes.pdf, accessed April 10, 2014.

개시된 주제는, 컨테이너 내에서 기계 공구의 홀더를 정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 및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홀더 그리고 특히 그 몸통부(shank portion)의 주위표면과 최소한으로 접촉하는 포장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포장 인서트는, 보관 도중에, 컨테이너 외부에서, 예를 들어 작업대 표면 상에서 공구 홀더를 위한 서포트/홀더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package insert which is configured to hold and hold the holder of the machine tool stationary in place in a container while at least contacting the holder and, in particular,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nk portion. The packaging insert may also be used as a support / holder for the tool holder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on the work surface, during storage.

개시된 주제의 포장 인서트는, 홀더 그리고 특히 그 몸통부를 고정적으로 유지 및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몸통부의 외주표면에 대한 손상 및 프레팅 마모(fretting wear)를 방지하는데, 이것은 예컨대 컨테이너 내에서의 홀더의 흔들거림에 의해, 그리고 컨테이너의 벽과 홀더의 우발적인 접촉에 의해 운반 도중에 야기될 수 있다.The packaged inserts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are configured to securely hold and protect the holder and especially its torso, preventing damage and fretting wear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rso, which may, for example, And by accidental contact of the holder wall with the wall of the container.

개시된 주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부 및 상단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홀더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인서트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지지부재는 포장 인서트 내에 수용되는 홀더의 중심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re is provided a package insert for holding a holder comprising a base memb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axially projecting from the top portion of the base member,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central bore of the holder received in the packaging insert.

이러한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장 인서트 내에 수용될 때 홀더의 샤프트의 외주부의 적어도 바닥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되도록 구성되는 주위벽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 주위벽부는 샤프트의 외주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내측 오목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벽부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리 테이퍼진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embodiment, it may further comprise a peripheral wall portion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adjacent to at least the bottom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haft of the holder when being received in the package inse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eripheral wall portion has an inner concave portion configured to abu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haf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tapers away from the base memb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벽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벽부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들을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is formed continuous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includes support members projecting inward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인서트의 베이스 부재는 복수의 스트립(strips)으로 이루어지는 웨브(web)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member of the packaging insert is a web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rip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는 절두-원추(frusto-conical) 형상을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member has a frusto-conical shape.

개시된 주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서트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인서트가 제공되며, 이 포장 인서트는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을 갖는 칼라(collar) 부재와 이 칼라부재의 외부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복수의 지지다리 각각은 칼라부재에 지지다리를 연결하는 어깨부를 가지며, 칼라부재는 홀더의 샤프트부를 통하여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어깨부는 홀더의 플랜지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re is provided a packaging insert for maintaining an insert comprising a collar member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ollar membe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has a shoulder portion that connects the support leg to the collar member, the collar member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through the shaft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shoulder portion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flange of the holder.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다리의 바닥, 자유단부는 외측으로 구부러진 다리부를 구비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bottom, free end of the support leg comprises an outwardly bent leg.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포장 인서트는 외부벽 표면 및 내부벽 표면, 상단 에지부 및 바닥 에지부를 갖는 주위벽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포장 인서트는 내부벽 표면의 상단 에지부를 적어도 따라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핀(fin)형 지지부재들을 구비하며, 여기에서 지지부재들의 폭은 홀더의 플랜지부의 폭에 상응하며, 이 플랜지는 홀더의 샤프트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a packaging insert comprises a peripheral wall portion having an outer wall surface and an inner wall surface, a top edge portion and a bottom edge portion, wherein the packing insert extends inwardly at least along the top edge portion of the inner wall surface Shaped support members, wherein the width of the support members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holder, which flange extends outwardly from the shaft portion of the holder.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홀더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을 갖는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 및 베이스부를 가지는 컨테이너 용기가 제공되며, 여기에서 이 벽부는 상기 홀더의 플랜지부 상에 제공되는 슬릿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들을 구비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re is provided a container container having an outer surface and an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and base portion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defining an interior space configured to receive the holder, And at least two inwardly projecting convex portion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in the slit provided on the flange portion of the holde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시된 주제는, 홀더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인서트와, 컨테이너 용기 및 커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키트(kit)에 관한 것으로서, 인서트는 바닥부 및 상단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지지부재는 포장 인서트 내에 수용되는 홀더의 중심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컨테이너 용기는 내부에 홀더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을 가지는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 및 베이스부를 가지며, 여기에서 벽부는 상기 홀더의 플랜지부 상에 제공되는 슬릿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들을 구비한다.According to yet another embodimen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kit comprising a package insert for holding a holder and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container and a cover, the insert comprising a base member having a bottom and an upper end, And a support member projecting axi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within a central bore of the holder received within the package insert, A wall portion and a base portion extending circumferentially with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defining an internal space to be configured, wherein the wall por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two And convex portions projecting inward.

여기에 설명되고 있는 주제를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서, 그리고 주제가 실제로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실시형태들이 이하에 설명된다.
도 1a 및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관례적인 포장 컨테이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컨테이너의 수용부가 홀더를 수용하고 기계 공구를 안착시킨 상태로 제공되어 있는 도면이고, 도 1b는 빈 컨테이너가 분리된 상태로 나란히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 2는, 컨테이너의 수용부와, 테이퍼형 몸통부를 갖는 기계 공구용 홀더와,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몸통부를 위한 포장 인서트를 도시하는, 등측도법으로 도시된 분해조립도;
도 3은, 컨테이너의 수용부와, 테이퍼형 몸통부를 갖는 기계 공구용 홀더와, 개시된 주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몸통부를 위한 포장 인서트를 도시하는, 등측도법으로 도시된 분해조립도;
도 4는, 컨테이너의 수용부와, 테이퍼형 몸통부를 갖는 기계 공구용 홀더와, 개시된 주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몸통부를 위한 포장 인서트를 도시하는, 등측도법으로 도시된 분해조립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의 포장 인서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상단 사시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5d는 저면도;
도 5e는 원통형 샤프트를 갖는 홀더를 보유한 도 5a의 포장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5f는 도 5e의 선 B-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5g는 도 5e의 조립체가 컨테이너의 수용부 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h는 도 5g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6a는 테이퍼형 샤프트를 갖는 홀더를 보유하는 도 5a의 포장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선 C-C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6c는 도 6a의 조립체가 컨테이너의 수용부 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d는 도 6c의 선 D-D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인서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상단 사시도이고, 도 7b는 평면도;
도 7c는 테이퍼형 샤프트를 갖는 홀더를 보유하는 도 7a의 포장 인서트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7d는 도 7a의 조립체가 컨테이너의 수용부 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단 사시도이고, 도 7e는 도 7d의 선 E-E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인서트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상단 사시도이고, 도 8b는 평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선 A-A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 8d는 도 8a의 포장 인서트의 조립체가 원통형 샤프트를 갖는 홀더를 보유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상단 사시도이고, 도 8e는 도 8d의 선 F-F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e는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9b는 평면도이고, 도 9c는 도 2의 인서트와 도 9a의 용기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 홀더의 수직방향으로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9d는 도 9c의 선 D-D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9e는 도 9c에 도시된 예의 분리된 측면 사시도이다.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nd to illustrate how the subject matter may in fact be carried out, embodiments are described below,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A and 1B are diagrams showing a conventional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rein FIG. 1A is a view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holder and a machine tool mounted thereon, FIG. Lt; RTI ID = 0.0 > a < / RTI >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isometric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of the container, a holder for a machine tool having a tapered body, and a packaging insert for the body of th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isometric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of the container, a holder for a machine tool having a tapered body, and a packaging insert for the body of th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an embodiment of a disassembly assembly shown in isometric view, showing a receiving portion of a container, a holder for a machine tool having a tapered body, and a packaging insert for the body of th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
5A is a top plan view,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B, and FIG. 5D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packaging insert of FIG.
Figure 5e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e insert of Figure 5a with a holder having a cylindrical shaft, Figure 5f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5e;
FIG. 5G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ssembly of FIG. 5E is placed in the container of the container, FIG. 5H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e insert of FIG. 5A holding a holder with a tapered shaft,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6A;
FIG. 6C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ssembly of FIG. 6A is placed in the container of the container, FIG. 6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6C;
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packaging inse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3, wherein FIG. 7A is a top perspective view and FIG. 7B is a plan view;
Figure 7c shows an assembly of the package insert of Figure 7a holding a holder with a tapered shaft;
FIG. 7D is a top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FIG. 7A positioned with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ntainer, FIG. 7E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7D;
8A is a top perspective view, FIG. 8B is a plan view,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8B, and FIG. ;
8D is a top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packaging insert of Fig. 8A holding a holder having a cylindrical shaft, Fig. 8E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of Fig. 8D; And
Figures 9a-9e illustrate a container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wherein Figure 9a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9b is a plan view, Figure 9c is a cross- FIG. 9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9C, and FIG. 9E is an exploded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example shown in FIG. 9C.

기계 공구용 홀더들은 아버(arbor)라고도 불리는 홀더 몸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버는 공구 장착부(M, M'), 아버 몸통부(shank)(S, S'), 및 공구 장착부와 몸통부 사이에서 외주방향으로 형성되는 플랜지부(F, F')를 포함한다. 몸통부는, 예를 들어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로부터 몸통부의 단부를 향하여 감소하는 직경을 갖는 원뿔형의 테이퍼진 형상(종종 V-플랜지 홀더라고 언급됨)이나, 도 4에 도시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종종 HSK 공구 홀더라고 언급됨)을 가질 수 있다.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부 내에는, 풀 스터드(pull stud)나 리텐션 노브(retention knob)를 수용하도록 전형적으로 구성되는 내부 나사산부를 갖춘 중심 보어가 전형적으로 제공된다. 공구 장착부 내에는, 기계 공구의 몸통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개구가 제공된다.Holders for machine tools include a holder body, also referred to as an arbor.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2 to 4), the arbor can be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tool mounts M and M ', the arbor shanks S and S' And flange portions F and F 'formed. The trunk portion may have a conical tapered shape (sometimes referred to as a V-flange holder) having a decreasing diameter from the flange portion toward the end of the body por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ften referred to as an HSK toolholder). In the body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entral bore with an internal threaded portion, which is typically configured to receive a pull stud or a retention knob, is typically provided. In the tool mounting portion, a central opening is provided which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body portion of the machine tool.

운용시, 기계 공구는 공구 장착부 상에 장착되거나 공구 장착부 내에 수용되며, 스핀들이나 리텐션 노브, 또는 양자 모두는, 몸통부 상에 연결된다.In operation, the machine tool is mounted on the tool mount or received in the tool mount, and the spindle or retention knob, or both, are connected on the body.

정밀한 기계 공차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홀더의 몸통부의 표면이 상응하는 스핀들 소켓의 표면과 완전히 접촉되는 것이 중요하다.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특히 무거운 기계적인 하중 하에서, 공구 홀더와 스핀들 사이에서 상대적인 운동이 야기될 수 있다. 그러한 운동은 가공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기계 공차는 유지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이것은 공구 몸통부와 스핀들에 있어서 프레팅 마모를 야기시킬 것이며 기계 공구의 수명을 감소시킬 것이다.In order to provide a precise machine tolerance, it is important that the surface of the body of the holder is in full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pindle socket. If complete contact is not achieved,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ool holder and the spindle may occur, especially under heavy mechanical loads. Such a motion may cause machining errors, and therefore machine tolerances may not be maintained. This will also cause fretting wear on the tool body and spindle and will reduce the life of the machine tool.

개시된 주제는, 컨테이너 내에서 기계 공구의 홀더를 정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 및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홀더 그리고 특히 그 몸통부의 주위표면과 최소한으로 접촉하는 포장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포장 인서트는, 보관 도중에, 컨테이너 외부에서, 예를 들어 작업대 표면 상에서 공구 홀더를 위한 서포트/홀더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directed to a package insert which is configured to hold and hold a holder of a machine tool fixedly in place in the container, while minimally contacting the holder and, in particular, the peripheral surface of its body. The packaging insert may also be used as a support / holder for the tool holder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on the work surface, during storage.

개시된 주제의 포장 인서트는, 홀더 그리고 특히 그 몸통부를 고정적으로 유지 및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몸통부의 외주표면에 대한 손상 및 프레팅 마모를 방지하는데, 이것은 예컨대 컨테이너 내에서의 홀더의 흔들거림에 의해, 그리고 컨테이너의 벽과 홀더의 우발적인 접촉에 의해 운반 도중에 야기될 수 있다.The packaged inserts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are configured to securely hold and protect the holder and especially its torso, preventing damag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rso and fretting wear, which may be caused, for example, by swinging of the holder in the container, And may be caused during transportation by accidental contact of the container wall with the holder.

개시된 주제에 따른 인서트들은 HDPE, PP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The inserts according to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are made of plastic materials such as HDPE, PP and the like.

도 2 내지 4는, 전체적으로 부재번호 100, 100'으로 표시된 컨테이너의 수용부와, 각각 200, 300, 400으로 표시된 포장 인서트와, 기계 공구(도시생략)를 위한 홀더(110, 120)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분해조립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는 테이퍼형 몸통부를 갖는 홀더(110)들이 도시되어 있는 한편, 도 4에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몸통부를 갖는 홀더(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조립체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Figures 2 to 4 illustrate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ncludes a receptacle portion of a container generally indicated at 100, 100 'and a holder 110, 120 for a machine tool (not shown) and a packaging insert labeled 200, 300, Fig. 3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the assembly. 2 and 3 show holders 110 having tapered bodys, while Fig. 4 shows a holder 120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bodys. These assemblies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5a 내지 도 5d는 개시된 주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인서트(200)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200)는, 상단 에지부(256) 및 바닥 에지부(257)를 갖고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230)로서, 바닥으로부터 상단 에지부를 향하여 약간 외측으로 테이퍼지고 복수(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오목부가 형성됨)의 내측 오목부(231)를 가지는 벽부(230)와, 인서트(200)의 바닥부(220)에 인접하여 벽부(230)의 양쪽 에지부들 사이에 배치되는 십자가 형상의 복수의 기다란 스트립(222, 224, 226, 228)을 갖는 웨브(web)에 의해 이루어지는 바닥부(2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250)는 웨브의 중심으로부터 상단 에지부(256)를 향하여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비된다. 지지부재(25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절두-원추(frusto-conical) 형상을 가지며, 테이퍼진 주위벽부(258) 및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단벽부(259)를 갖는다. 지지부재(250)는 인서트의 상단 에지부(256) 바로 아래까지 연장되어 그 높이(H)가 인서트(200)의 바닥부(220)로부터 상단 에지부(256)까지 측정된 높이(h)보다 낮다. 이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서, 그리고 구조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2개의 교차하는 보강 리브(R1 및 R2)들이 주위벽부(230)의 바닥 에지부(257)의 가장자리들을 연결한다.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지지기둥(P)이 교차하는 리브의 중심으로부터 지지부재(250)의 상단벽부(259)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제공된다.Figures 5A-5D illustrate a packaging insert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5A, the insert 200 is a wall 230 having a top edge portion 256 and a bottom edge portion 257 and extendin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tapered slightly outward from the bottom toward the top edge portion, A wall portion 230 having an inner concave portion 231 of a large number of concave portions (in the illustrated example, four concave portions are formed), and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230 adjacent to the bottom portion 220 of the insert 200 and between both edge portions of the wall portion 230 And a bottom 220 made up of a web having a plurality of cross-shaped strips 222, 224, 226, 228 arranged in a cross. The support member 250 is provided to extend axially from the center of the web toward the upper edge portion 256. The support member 250 has a frusto-con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and has a tapered peripheral wall portion 258 and a substantially flat upper wall portion 259. The support member 250 extends to just below the upper edge portion 256 of the insert so that its height H is less than the height h measured from the bottom 220 of the insert 200 to the upper edge portion 256 low. In order to reinforce this structure and to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two intersecting reinforcing ribs Rl and R2 connect the edges of the bottom edge portion 257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230. [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center of the intersecting rib toward the upper end wall portion 259 of the support member 250.

주위벽부(258)가 연속적인 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지지부재(250)는 상이한 디자인, 예컨대 비 연속적인 벽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높이(H)는 달라질 수 있으며, 인서트(200)의 주위벽부의 높이(h)와 동일하거나 높을 수 있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while the peripheral wall portion 258 is illustrated as having a continuous surface, the support member 250 may have a different design, e.g., a non-continuous wall. The height H may vary and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h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insert 200.

개시된 주제의 인서트(200)는 기계 공구 홀더를 유지 및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홀더는 원형 샤프트를 갖는 홀더(120)(도 5e 내지 5h 참조) 또는 테이퍼형 샤프트를 갖는 홀더(110)(도 6a 내지 6d 참조)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자 모두의 홀더들에 있어서, 스핀들의 풀 스터드 또는 리텐션 노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홀더의 중심보어(B) 내에 지지부재(250)가 수용되도록 홀더는 인서트(200) 내에 안착된다. 주위벽부(258)는 보어 벽(125)(원통형 홀더(120)의 경우, 도 5f 내지 도 5h 참조) 및 보어 벽(115)(테이퍼형 홀더(110)의 경우, 도 6a 내지 6d 참조)에 실질적으로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재는, 도 5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심보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도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예컨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보어 내에서 단지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The insert 200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configured to hold and stably support the machine tool holder. The holder may be a holder 120 (see Figs. 5E to 5H) having a circular shaft or a holder 110 (see Figs. 6A to 6D) having a tapered shaft. In both of the holders,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hold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upport member 250 is received in the center bore B of the hold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ull stud or retention knob of the spindle And is seated in the insert (200). The peripheral wall portion 258 is connected to the bore wall 125 (see Figures 5F-5H for the cylindrical holder 120) and the bore wall 115 (see Figures 6A-6D for the tapered holder 110) And are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adjacent to each other. The support member may exten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ral bore as illustrated in Fig. 5f, or alternatively may extend only partially only in the central b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b.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200) 내에 안착될 때 홀더(129)에 대해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내측 오목부(231)들에서 주위벽부(230)의 내부표면(237)은 홀더(120)의 샤프트의 외주표면(127)에 인접하며, 그에 따라 홀더에 대해 추가적인 안정성 및 지지를 제공한다.The inner surface 237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230 in the inner recesses 231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237 of the holder 200 so as to provide additional stability to the holder 129 when seated in the insert 200,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27 of the shaft of the shaft 120, thereby providing additional stability and support to the holder.

도 5g 및 도 5h는 컨테이너(100)의 수용부 내에 홀더(120)와 함께 수용된 인서트(200)를 도시한다. 컨테이너(100)는, 베이스부(105)와, 이 베이스부(105)로부터 연장되는, 기다랗게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부(104)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서트의 외부표면(234)(도 5a 및 도 5e 참조)이 컨테이너(100)의 측벽부(104)의 내부표면(102)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또는 측벽부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지 상단부만)가 인서트의 외부표면과 접촉하도록, 인서트(200)는 컨테이너(100) 내에 위치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고정된 홀더에 대해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한다.Figures 5G and 5H show the insert 200 received with the holder 120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 The container 100 has a base portion 105 and a side wall portion 104 that extends from the base portion 105 and extends in a long circumferential direction. 5A and 5E) is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side wall portion 104 of the container 100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The insert 200 is positioned within the container 100 so that it provides additional stability to the fixed holder, so that only the upper end (in this embodiment, only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

도 6a 내지 도 6d에 예시된 실시예는, 홀더가, 인서트(200)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측벽부가 홀더(110)의 샤프트부(S)의 외주표면(112)과 접촉하지 않는 테이퍼형 샤프트 홀더라는 점에서 상이하다. 컨테이너(100) 내에 위치될 때, 홀더의 안정성은 (샤프트(S)의 나사산이 형성된 중심보어(B) 내에 수용되는 지지부재(250)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에 더하여) 컨테이너(100)의 측벽부(104)의 내부표면(102)과 인서트(200)의 주위벽부의 외부표면(234)과의 사이에서 밀접한 접촉에 의해 보강된다.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ures 6A to 6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ide wall portion projecting inward of the insert 200 does not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 of the shaft portion S of the holder 110, . The stability of the holder when positioned within the container 100 is further improved by providing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in addition to the support provided by the support member 250 received in the threaded central bore B of the shaft S) By the intimate contact between the inner surface 102 of the insert 104 and the outer surface 234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insert 200.

도 7a 및 도 7b는, 각각, 개시된 주제에 따른, 부재번호 300으로 표시된, 인서트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상단 시시도 및 저면도이다. 인서트(300)는, 도 7c 내지 도 7e에 예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 샤프트를 갖는 홀더(110)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300)는 칼라(collar) 부재(350) 및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예시됨)의 지지다리(360)를 포함한다. 칼라부재(350)는 바닥 에지부(352) 및 상단 에지부(354)를 갖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351)를 가지며, 이 벽부는 외부표면(355) 및 내부표면(356)을 갖는다. 원주방향의 벽부(351)는 바닥 에지부(352)로부터 상단 에지부(354)를 향하여 외측으로 테이퍼진다. 테이퍼 각도는 대응하는 테이퍼형 샤프트의 테이퍼형 샤프트의 테이퍼 각도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벽 연장부재(357)가 상단 에지부(354)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의 벽 연장부재는 인서트(300)의 각각의 지지다리(360)에 상응(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벽 연장부재가 제공됨)한다. 벽 연장부는 칼라부재(350)의 테이퍼 각도를 추종하며 그 높이까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벽 연장부재의 길이는 칼라부재의 상단 에지부(354)로부터 홀더의 플랜지부(F)까지의 샤프트부의 길이방향 거리에 상응한다(도 7c 참조). 각각의 지지다리(360)는 벽 연장부재(357)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어깨부(365)를 갖는다. 어깨부(365)는, 플랜지를 갖춘 조립체가 그 위에서 연장될 수 있는 휴지 표면(resting surface)을 제공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Figures 7A and 7B are top and bottom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sert, designated by the numeral 3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insert 300 is configured to hold a holder 110 having a tapered shaft, as illustrated in Figures 7C-7E. The inser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llar member 350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360 (illustrated in this embodiment as four). The collar member 350 has a circumferentially extending wall portion 351 having a bottom edge portion 352 and a top edge portion 354 which has an outer surface 355 and an inner surface 356.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351 is tapered outward from the bottom edge portion 352 toward the top edge portion 354. The taper angle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taper angle of the tapered shaft of the corresponding tapered shaft. A wall extension member 357 extends from the top edge portion 354 and each wall extension member corresponds to each support leg 360 of the insert 300 (four wall extension members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do. The wall extension follows the taper angle of the collar member 350 and extends to that height.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wall extension member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distance of the shaft portion from the upper edge portion 354 of the collar member to the flange portion F of the holder (see Fig. 7C). Each support leg 360 has a shoulder 365 that extends outwardly from the wall extension member 357. The shoulder 365 has a size such that the assembly with the flange can provide a resting surface upon which it can extend.

지지다리(360)의 4개의 벽면(366)은, 대응하는 각각의 어깨부(365)의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칼라부재(350)에 대해 외측으로 각도를 가지면서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벽면(366)은 바닥 에지부를 가지며, 이 벽면은, 샤프트(S)가 인서트(300)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샤프트가 칼라부재 내에 수용될 때(도 7c 참조) 샤프트의 바닥 에지부가 지지다리(360)의 단부가 위치되는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칼라부재(350)의 바닥 에지부(354)보다 아래까지 연장된다. 각각의 지지다리의 바닥 단부에는, 예컨대 컨테이너의 측벽부의 하부에서 외측방향 돌기(107)를 제공함으로써 컨테이너의 바닥부에 제공될 수 있는 대응 잠금수단에 스냅-끼워맞춤 방식으로 잠금되도록 구성되는, 외측방향으로 구부러진 다리부(363)가 형성된다. 구조물의 강도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지지다리는, 칼라부재의 외부표면(355)과 각각의 지지다리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얇은 핀(fin)형 연장부(368)에 의해 칼라부재(350)에 연결된다. 더욱이, 지지다리(360)의 외부표면은 보강 리브(369)를 구비한다.The four wall surfaces 366 of the support legs 360 extend downwardly away from the edges of each corresponding shoulder 365 and extend downward at an angle outwardly to the collar member 350. The wall 366 has a bottom edge that allows the shaft S to be partially received within the insert 300 while at the same time when the shaft is received in the collar member Extends beyond the bottom edge portion 354 of the collar member 350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n which the end of the support leg 360 is located. The bottom end of each support leg is adapted to be snapped into a corresponding locking means that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by providing an outwardly directed projection 107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Thereby forming a leg portion 363 bent in the direction of FIG. In order to provide the strength and stability of the structure, each support leg is supported by a thin fin extension 368, which extends laterally between the outer surface 355 of the collar member and the respective support legs And is connected to the collar member 350. More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leg 360 has a reinforcing rib 369.

조립시, 인서트(300)는, 컨테이너의 베이스부를 향하는 샤프트부(S)가 칼라부재(350) 내에 도입되어 있는 상태로, 홀더와 함께 컨테이너(100)의 수용부 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의 인서트의 구조로 인하여, 샤프트의 바닥부는 컨테이너(100)의 베이스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것이며, 샤프트의 중간부분은 샤프트의 외부표면이 칼라부재의 내부표면(356)과 직접 접촉하도록 칼라부재에 의해 유지될 것이며, 샤프트와 도구 장착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플랜지부의 바닥표면은 인서트의 지지다리(360)의 어깨부(365)에 인접될 것이다.The insert 300 is positioned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together with the holder with the shaft portion S toward the base portion of the container being introduced into the collar member 350. [ The bottom portion of the shaft will be spaced from the base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shaft will have an outer surface of the shaft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356 of the collar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extending between the shaft and the tool mount will be adjacent the shoulder 365 of the support leg 360 of the insert.

도 8a 내지 8e는, 개시된 주제에 따른, 전체적으로 부재번호 400으로 표시된 포장 인서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서트는, 홀더의 샤프트를 꼭 맞게 끼워맞출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샤프트의 외부표면과의 사이에서 최소한의 접촉을 가지며(도 8d 및 도 8e 참조), 예컨대 컨테이너(도시생략)와 같이 조립체를 둘러쌀 수 있는 또 다른 표면들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400)는, 상단 에지부(422) 및 바닥 에지부(424)를 갖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420)와, 그 사이에 배치되는 웨브(web)형 베이스부(4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부는 바닥 에지부(424)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본 실시예가 (예컨대 통풍을 위한) 개구부(428)를 가지는 웨브형 베이스부(426)를 예시하고 있지만, 솔리드 표면을 갖는 베이스부와 같이, 또 다른 구조의 베이스부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8A-8E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a packaging insert, generally designated by the numeral 400, according to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insert has a structure that can fit snugly into the shaft of the holder and has minimal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haft (see Figures 8d and 8e) To prevent contact with other surfaces that may surround the assembly, such as the back of the housing (not shown). The insert 4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circumferentially extending wall portion 420 having a top edge portion 422 and a bottom edge portion 424 and a web type base portion 426). In this embodiment, the base portion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bottom edge portion 424.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web-like base portion 426 having an opening 428 (e.g., for ventil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nother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such as a base portion having a solid surface will be.

복수(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6개가 존재하지만, 그 개수는 2 이상의 수에서 변경될 수 있다)의 얇은 핀(fin)형 지지부재(450)는 인서트의 베이스부(426)로부터 상단 에지부(422)까지 인서트(400)의 중심에 대해 내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부재(450)는, 인서트의 상단 에지부(422)로부터 인서트(400)의 베이스부(426)까지 연장하는 자유 상단 에지부(452) 및 자유 측면 에지부(454)를 갖는다. 지지부재(450)의 폭(w)은, 샤프트부(S)로부터 원주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홀더의 플랜지부(F)의 폭(W)에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지지부재의 길이(L)는, 공구 홀더(120)의 샤프트의 바닥 에지부로부터 플랜지부(F)의 바닥 에지부까지 측정된 높이(l)에 상응한다. 도 8e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형태는, 인서트가 홀더(120)의 샤프트(S)를 꼭 맞게 수용하도록 허용하는 한편, 홀더(120)의 플랜지부(F)의 바닥 표면이 지지부재(450)의 상단 에지부(452) 상에 놓이는 상태로 샤프트(S)를 정위치에서 측방향으로 지지한다.A fin-shaped support member 450 of a pluralit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 are six, but the number can be changed in a number of two or more) from the base portion 426 of the insert to the top edge portion 422 in the inward direction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insert 400. The support member 450 has a free top edge portion 452 and a free side edge portion 454 that extend from the top edge portion 422 of the insert to the base portion 426 of the insert 400. The width w of the support member 450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width W of the flange portion F of the holder which extends outward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shaft portion S. [ The length L of the support member corresponds to the height l measured from the bottom edge portion of the shaft of the tool holder 120 to the bottom edge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F. [ 8e,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insert to fit tightly into the shaft S of the holder 120 while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F of the holder 120, And supports the shaft S in the later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ile being placed on the upper edge portion 452 of the shaft 450.

도 9a는 개시된 주제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며, 그 내부에 홀더(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체적으로 부재번호 500으로 표시되는 컨테이너의 수용부에 관한 것이다. 이 용기 즉 컨테이너는, 종래 공지된 용기와 유사하지만, 예를 들어 운반 도중에, 컨테이너 내에서 홀더의 흔들거림에 의해 그리고 컨테이너의 벽과 홀더의 우발적인 접촉으로 야기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홀더 특히 몸통부의 외주표면을 고정적으로 유지 및 보호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FIG. 9A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and relates to a receiving portion of a container, generally designated by the numeral 500, configured to securely hold the holder 110 therein. This container or container is similar to a conventionally known container, but is designed so as to prevent damage that may be caused, for example, by the wobbling of the holder in the container during shipping, and by accidental contact of the holder with the wall of the container, Particularly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old and prot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in a fixed manner.

예를 들어 전형적인 V-플랜지 홀더는, 플랜지부(F)를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측면에서 연장하는 2개의 레일(rail)형 슬릿(101)을 플랜지부(F)에 포함한다(도 2 및 도 9e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슬릿은 플랜지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됨). 본 실시예의 수용부(500)는 2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520)를 구비하며, 이 볼록부는 수용부(500)의 주위벽부(510)의 내부표면(510) 상에서 연장된다.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520)는,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의 레일형 슬릿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견고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레일형 슬릿(510)에 합치하는 치수 및 크기를 갖는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는, 플랜지부(F)를 따른 슬릿(101)이 볼록부(520)에 평행하게 되도록, 수용부(500) 내에 삽입된다.(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부(500)의 주위벽부(510)의 외부표면 내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는 볼록부의 외부표면은 부재번호 540으로 표시됨)For example, a typical V-flange holder includes a flange portion F with two rail-shaped slits 101 extending at least laterally extending at least partially through the flange portion F And 9E, this slit extends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flange por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500 of this embodiment has two inwardly projecting convex portions 520 that extend on the inner surface 510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510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00. The inwardly projecting convex portion 520 has a dimension and a size conforming to the rail-shaped slit 510 so as to slide firmly in at least part of the rail-shaped slit of the holder, as shown in Figs. 9C and 9D . The holder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500 so that the slit 101 along the flange portion F is parallel to the convex portion 520.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portion constituted by the concave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portion 510 of the portion 500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540)

볼록부의 크기 및 치수는, 홀더 슬릿과의 접촉시, 각각의 볼록부가 공차가 거의 영인 상태로 각각의 레일형 슬릿의 적어도 일부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부가 상대적으로 탄성적인 재료로 만들어진다면, 볼록부를 지나 슬라이딩될 때 힘의 일부가 홀더에 대해 가해지도록, 볼록부는 슬릿의 크기를 초과하는 치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예를 들어 인서트(200) 또는 개시된 주제에 따른 또 다른 인서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특징이다. 이것은, 예컨대 컨테이너 내에서의 홀더의 흔들거림에 의해, 그리고 컨테이너의 벽과 홀더의 우발적인 접촉에 의해, 예를 들어 운반 도중에 야기될 수 있는 몸통부의 외주표면에 대한 손상 및 프레팅 마모(fretting wear)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더욱 보장할 것이다.The size and dimension of the convex portion are set such that, when the convex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older slit, each convex portion can be accommodated in at least part of each of the rail-shaped slits with the tolerance being substantially zer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f the convex portion is made of a relatively elastic material, the convex portion can be made in a dimension exceeding the size of the slit so that a part of the force is applied to the holder when sliding past the convex portion. As shown in FIG. 9C, this is a feature that can be used, for example, with insert 200 or another insert according to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is may be caused, for example, by the wobbling of the holder in the container and by the accidental contact of the holder with the wall of the container, for example damag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which may be caused during transportation and fretting wear ≪ / RTI > can be prevented.

Claims (13)

바닥부 및 상단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와, 이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홀더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인서트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포장 인서트 내에 수용되는 홀더의 중심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포장 인서트.
A packaging insert for holding a holder including a base memb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projecting axi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within a central bore of the holder received within the package inse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주위벽부로서, 상기 포장 인서트 내에 수용될 때 홀더의 샤프트의 외주부의 적어도 바닥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접되도록 구성되는 주위벽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 인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eripheral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member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the peripheral wall portion being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adjacent to at least a bottom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haft of the holder when received in the package insert. inse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위벽부는 샤프트의 외주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내측 오목부를 구비하는, 포장 인서트.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has an inner concave portion configured to abu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haf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부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멀리 테이퍼지는, 포장 인서트.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tapers away from the base mem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부는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포장 인서트.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is formed continuous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부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들을 구비하는, 포장 인서트.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includes inwardly projecting support memb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 인서트의 베이스 부재는 복수의 스트립(strips)으로 이루어지는 웨브(web)인, 포장 인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of the packaging insert is a web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rip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절두-원추(frusto-conical) 형상을 갖는, 포장 인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has a frusto-conical shape.
인서트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인서트로서,
상기 포장 인서트는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을 갖는 칼라(collar) 부재와 상기 칼라부재의 외부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복수의 지지다리 각각은 칼라부재에 지지다리를 연결하기 위해 칼라 부재의 상단 에지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어깨부를 가지며,
칼라부재는 홀더의 샤프트부를 통하여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어깨부는 홀더의 플랜지 상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포장 인서트.
A packaging insert for retaining an insert,
The packaging insert comprising a collar member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ollar member,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having a shoulder portion extending substantially laterally from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llar member for connecting the support leg to the collar member,
The collar member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through the shaft portion of the holder,
Wherein the shoulder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a flange of the hold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의 바닥 자유단부에는 외측으로 구부러진 다리부가 구비되는, 포장 인서트.
The method of claim 9,
And an outwardly bent leg port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free end of the support leg.
외부벽 표면 및 내부벽 표면, 상단 에지부 및 바닥 에지부를 갖는 주위벽부를 포함하는 포장 인서트로서,
상기 포장 인서트는 내부벽 표면의 상단 에지부를 적어도 따라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핀(fin)형 지지부재들을 구비하며,
지지부재들의 폭은 홀더의 플랜지부의 폭보다 작거나 상응하며,
상기 플랜지부는 홀더의 샤프트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들의 상단 에지부는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포장 인서트.
A packaging insert comprising an outer wall surface and an inner wall surface, a top edge portion and a peripheral wall portion having a bottom edge portion,
The packaging insert has at least two fin-shaped support members extending inwardly at least along the upper edge of the inner wall surface,
The width of the support member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holder,
The flange portion extends outward from the shaft portion of the holder,
And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s is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홀더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을 갖는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 및 베이스부를 가지는 컨테이너 수용부로서,
상기 벽부는 상기 홀더의 플랜지부 상에 제공되는 슬릿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들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수용부.
A container receiving portion having a wall portion and a base portion extending in an outer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forming an inner space configured to receive the holder,
Wherein the wall portion includes at least two inwardly projecting convex portion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within a slit provided on a flange portion of the holder.
홀더를 유지하기 위한 포장 인서트와, 컨테이너 수용부 및 커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키트(kit)로서,
a. 상기 인서트는 바닥부 및 상단부를 갖는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포장 인서트 내에 수용되는 홀더의 중심보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b. 상기 컨테이너 용기는 내부에 홀더를 수용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부표면 및 외부표면을 가지는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벽부 및 베이스부를 가지며, 상기 벽부는 상기 홀더의 플랜지부 상에 제공되는 슬릿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컨테이너 수용부의 내부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키트.
CLAIMS What is claimed is: 1. A kit comprising a package insert for holding a holder,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receiving portion and a cover,
a. The insert comprising a base member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n upper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axially projecting from an upper end of the base member, the support member being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within a central bore of the holder received in the package insert ,
b. Wherein the container container has an outer surface and an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defining an inner space configured to receive a holder therein and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in a slit provided on a flange portion of the holder At least two inwardly projecting convex portions configured to be at least partially received,
Wherein the insert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within an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KR1020167028425A 2014-04-14 2015-04-12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holders KR2017005647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9154P 2014-04-14 2014-04-14
US61/979,154 2014-04-14
PCT/IL2015/050386 WO2015159282A1 (en) 2014-04-14 2015-04-12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tool hol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476A true KR20170056476A (en) 2017-05-23

Family

ID=5326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425A KR20170056476A (en) 2014-04-14 2015-04-12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holder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29195A1 (en)
EP (1) EP3131824A1 (en)
JP (1) JP2017515692A (en)
KR (1) KR20170056476A (en)
CN (1) CN106470908A (en)
IL (1) IL248191A0 (en)
WO (1) WO2015159282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00629U (en) * 1973-01-09 1973-03-29 Deutsche Verpackungsmittel Gmbh Sleeve packaging for an elongated body
US4046279A (en) * 1974-04-19 1977-09-06 Hilti Aktiengesellschaft Packing container for objects of variable lengths
DE102006050269A1 (en) * 2006-10-23 2008-04-30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Container for accommodating tool holder or tool, has inwardly projecting flexible retaining rod arranged in hollow-cylindrical retaining area of base body and provided for radial retaining of tool holder or tool
JP5479512B2 (en) * 2012-02-09 2014-04-23 イトモル株式会社 Tool container
DE202013104641U1 (en) * 2013-10-14 2013-10-25 Hong-Jen Lee Hand tool holder
CN103662307B (en) * 2013-12-12 2016-09-07 浙江野牛工具有限公司 The drill packaging pipe of band lo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48191A0 (en) 2016-11-30
US20170029195A1 (en) 2017-02-02
JP2017515692A (en) 2017-06-15
EP3131824A1 (en) 2017-02-22
WO2015159282A1 (en) 2015-10-22
CN106470908A (en)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903B2 (en) Round cutting insert with anti-rotation feature
JP6544918B2 (en) Cutting tool having interchangeable abutment members, tool holder therefor and cutting insert
US9868157B2 (en) Cutting tool assembly
US8657539B2 (en) Round cutting insert with reverse anti-rotation feature
US10040607B2 (en) Packaging sleeve with latching cap
JP4435821B2 (en) Car article support
US20130336734A1 (en) Cutting Tool, Cutting Insert and Tool Holder
US20130161470A1 (en) Suspension Device for Containers
US10896363B2 (en) Device for securing a data carrier to a tool holder, tool holder and tool system
US20070257413A1 (en) Clamping Device
US10406608B2 (en) Cutting insert and pocket with uninterrupted and continuous seating surface perimeter
US20140003874A1 (en) Cutting insert with evolutive wedge or clearance angle and toolholder using such a cutting insert
US20200306902A1 (en) Zentrierkonus und Spannvorrichtung
KR101529524B1 (en) Cutting insert and tool holder for mounting the same
US11420792B2 (en) Handle, and container with handle
KR20170056476A (en) Protective packing inserts for machine holders
KR101772026B1 (en) Chuck retainer for run-out tester and run-out tester having the same
JP2009172688A (en) Tool storing method and device
JP2020032482A (en) Bush for tooling storage
KR101997374B1 (en) Machining tool
KR200372037Y1 (en) Cutting tool holder for a machining center
JP2018087434A (en) Intermediate joint-compliant post
KR20190002869U (en) Decorative cover for cosmetic container
US20160325901A1 (en) Accessory Parts Packaging
US8740507B2 (en) Milling tool, particularly face-milling cu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