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6260A -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 Google Patents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6260A
KR20170056260A KR1020150159708A KR20150159708A KR20170056260A KR 20170056260 A KR20170056260 A KR 20170056260A KR 1020150159708 A KR1020150159708 A KR 1020150159708A KR 20150159708 A KR20150159708 A KR 20150159708A KR 20170056260 A KR20170056260 A KR 2017005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earable display
length
virtual reality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호
차재광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6260A/en
Publication of KR2017005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2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2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 a virtual reality is disclosed. The disclosed wearable display device includes: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including a display unit; and an eye lens for focus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art of the eye lens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part of the eye lens are different to reflect a viewing angle of a person. Left and right images are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parts and vertical part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ratio of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parts and vertical part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corresponds to a ratio of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part and vertical part of the eye len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realistic virtual reality by maximally using the viewing angle of the person.

Description

가상 현실을 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 a virtual rea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상 현실을 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 a virtual reality.

근래에 들어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로 휴대폰을 이용하여 휴대폰을 장착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wearable display devices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have been rapidly developed and developed. Particularly, the use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for mounting a cellular phone using a mobile phone as a display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is increasing.

이러한 휴대폰을 장착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장착된 화면을 사용자의 눈에 위치에 맞게 설정된 접안 렌즈를 통해 관찰하게 된다. The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mobile phone has a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of the user and observes the mounted screen through an eyepiece lens set to the user's eyes.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로는 3D 영상과 같은 가상 현실 영상이 제공되는데, 3D 영상 제공을 위해서는 스테레오 영상이 필요하므로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좌측부에는 좌영상이 제공되고 휴대폰 디스플레이의 우측부에는 우영상이 제공된다. Since a stereoscopic image is required to provide a 3D image, a left image i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obile phone display, and a right image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mobile phone display.

휴대폰의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눈은 매우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눈과 디스플레이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 접안 렌즈가 사용된다. Since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and the user's eye are very close, an eyepiece is used to focus the eye and the display.

그런데, 종래의 접안 렌즈들은 모두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실제 사람의 눈은 원형의 형태가 아니어서 사람의 시야각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l conventional eyepieces have a circular shape, and the eye of the person is not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user can not fully utilize the viewing angle.

또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를 분할하여 제공하는 좌영상 및 우영상 역시 사람의 시야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비로 제공되지 않아 기존의 가상 현실을 위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람의 시야각을 충분히 활용한 현실감 있는 가상 영상의 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images, which are provided by dividing the display of the mobile phone, are not provided as a ratio that can sufficiently utilize the viewing angle of a human being. Thus, the wearable display device for a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is a realistic virtual image Which is difficult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람의 시야각을 최대한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가상 현실의 제공이 가능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realistic virtual reality by maximizing a viewing angle of a pers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장착하는 장착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접안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접안 렌즈의 수평부의 길이와 수직부의 길이는 사람의 시야각을 반영하도록 상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좌영상 및 우영상이 포함되고,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의 수평부의 길이와 수직부의 길이는 상이하고,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길이의 비는 상기 접안 렌즈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길이의 비에 상응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mobile phone having a display portion; Wherein a length of the horizontal part of the eyepiece and a length of the vertical part of the eyepiece are different to reflect a viewing angle of a person, and the display part include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eft image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ight image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eyepiece lens,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의 시야각을 최대한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가상 현실의 제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listic virtual reality by maximally utilizing a viewing angle of a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안 렌즈와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안 렌즈의 구조를 비교한 도면.
도 2는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에이 장치에 장착되는 휴대폰의 좌우 영상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휴대폰의 좌우 영상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eyepiece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yepiece of the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FIG.
2 is a view showing left and right images of a mobile phone mounted on a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and images of left and right images of a mobile phone mounted on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안 렌즈와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안 렌즈의 구조를 비교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eyepiece of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yepiece of a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형의 접안 렌즈를 사용하였다.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접안 렌즈는 사람의 시야각이 좌우 170도 상하 120도로 좌우 방향의 시야각이 상하 방향의 시야각보다 넓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았다.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uses a circular eyepiece. The eyepiece used in the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does not consider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human being is larger than the viewing ang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17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120 degrees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람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수평부의 길이가 수직부의 길이보다 큰 타원 형태의 접안 렌즈를 이용한다. Referring to FIG. 1,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eyepiece lens having an elliptical shape in which a length of a horizontal portion is greater than a length of a vertical portion in consideration of a human viewing ang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170도의 좌우 방향과 120도의 상하 방향을 반영할 수 있는 비율의 타원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elliptical lens having a ratio that can reflec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170 degrees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120 degrees.

도 1에 도시된 접안 렌즈는 수직부의 길이가 기존의 접안 렌즈에 비해 낮기 때문에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잇다. The eyepiece shown in FIG. 1 is advantageous in that the height of the wearabl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because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eyepiece lens.

도 2는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에이 장치에 장착되는 휴대폰의 좌우 영상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휴대폰의 좌우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left and right images of a mobile phone mounted on a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and images of left and right images of a mobile phone mounted on a wear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전체 디스플레이를 반으로 분할하여 좌영상 및 우영상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으로 표시된다.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상 및 접안 렌즈가 모두 정사각형 및 원형으로 표시되는 문제로 인해 사람의 시야 전부를 커버할 수 있는 영상의 제공이 어려웠으며, 이로 인한 현실감 있는 가상 영상을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Referring to FIG. 2, the entire display applied to a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is divided in half, and left and right images are display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In the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it is difficult to provide images that can cover all the human eyes due to the problem that the display image and the eyepiece are both displayed in a square shape and a circular shape,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realistic virtual image due to this there wa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되는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는 접안 렌즈에 상응하는 직사각형의 좌우영상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좌우 영상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비는 접안 렌즈의 수평부 및 수직부의 비에 상응하도록 설정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cellular phone mounted on the wearable display device provides a rectangular right and left image corresponding to the eyepiece. Preferably, the ratio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left-right image is set to correspond to the ratio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of the eyepiece lens.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람의 시야각을 반영하기 때문에 기존의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현실감 있는 가상 영상의 제공이 가능하다. Since the weara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above structure reflects the viewing angle of a pers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rtual image that is more realistic than a conventional wearable display de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폰을 장착하는 장착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접안 렌즈를 포함하되,
상기 접안 렌즈의 수평부의 길이와 수직부의 길이는 사람의 시야각을 반영하도록 상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좌영상 및 우영상이 포함되고,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의 수평부의 길이와 수직부의 길이는 상이하고, 상기 좌영상 및 우영상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길이의 비는 상기 접안 렌즈의 수평부와 수직부의 길이의 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a mobile phone having a display portion;
And an eyepiece for focusing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eyepiece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are different to reflect a viewing angle of a person, the display portion include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and the lengths of the horizontal portions and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are different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eft image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right image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eyepiece.

KR1020150159708A 2015-11-13 2015-11-13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KR201700562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08A KR20170056260A (en) 2015-11-13 2015-11-13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708A KR20170056260A (en) 2015-11-13 2015-11-13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260A true KR20170056260A (en) 2017-05-23

Family

ID=5905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708A KR20170056260A (en) 2015-11-13 2015-11-13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626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831B2 (en) Integrating real world conditions into virtual imagery
CN204925509U (en) Wearing formula display device
CN204613517U (en) Based on the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of mobile device
JP6658529B2 (en)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192236A1 (en) Method of Adapting a Virtual Reality Helmet
JP6020923B2 (en) Viewer having variable focus lens and video display system
US10032313B2 (en) Head-mounted device and method of enabling non-stationary user to perform 3D drawing interaction in mixed-reality space
GB2516242A (en) Head mounted display
KR102082781B1 (en) Foldabl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reof
JP2015125502A (en)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display unit, display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650706B1 (en) Device for wearable display
EP28593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optic real time video system
TWI504928B (en) Wide-angle lens
US20160363776A1 (en) Reflective Mobile Phone Cinema Lens
CN108427194A (en) A kind of display methods and equipm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JP2017134399A (en) Glasses-free 3d display device without requiring interpupillary distance adjustment
CN205750141U (en) A kind of stereo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CN107111143B (en) Vision system and film viewer
CN104216126A (en) Zooming 3D (third-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ES2520540A1 (en) Glasses that allow coupling a mobile telephone thereto and seeing it from a short distance
Van et al.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of a wide-view head mounted projective display with a semi-transparent retro-reflective screen
KR20160003517U (e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ving enhanced wearing-feeling
KR20170056260A (en) Wearable Display Device for Virtual Reality
CN204287608U (en) A kind of head mounted display
CN204479842U (en) A kind of head mounted disp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