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872A - 셔틀콕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셔틀콕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872A
KR20170055872A KR1020150159187A KR20150159187A KR20170055872A KR 20170055872 A KR20170055872 A KR 20170055872A KR 1020150159187 A KR1020150159187 A KR 1020150159187A KR 20150159187 A KR20150159187 A KR 20150159187A KR 20170055872 A KR20170055872 A KR 20170055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support plate
main body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덕식
Original Assignee
진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덕식 filed Critical 진덕식
Priority to KR102015015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5872A/ko
Publication of KR20170055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63B47/02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for collecting by using a sweeping means moving across the play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산재된 다수의 셔틀콕(S)을 모아서 거두어들일 수 있도록 한 셔틀콕 수거장치(1)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판(21)의 전방에 밀판(22)이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지지판(21) 하부에 수개의 캐스터(C)가 설치된 본체(2)와, 본체(2)의 양단으로 마주보면서 전방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상부 수평으로 형성된 경사지지판(31)의 전방에 경사밀판(32)이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면서 경사지지판(31)의 외측에 외측마감판(33)이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며 경사지지판(31) 하부에 수개의 캐스터(C)가 설치된 경사안내구(3)와, 본체(2)에서 돌출된 결합구(6)에 결합수단(7)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손잡이(41)가 결합된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조작대(4)와, 본체(2) 또는 경사안내구(3)의 상부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결합구(6)에서 분리된 조작대(4)를 눕혀서 각각 강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고정구(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쉽고 편하게 밀고 다니면서 바닥에 산재된 셔틀콕(S)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이송 또는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으며, 셔틀콕(S)이 본체(2) 또는 경사안내구(3)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셔틀콕 수거장치{Shuttlecock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셔틀콕 수거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드민턴의 연습 및 레슨 등에 의해서 바닥에 떨어져 흩어진 무수히 많은 셔틀콕을 보다 손쉽고 간단하게 모아서 거두어들일 수 있도록 한 셔틀콕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이나 이와 유사하게 테니스, 탁구, 골프 등의 작은 전용구(專用球)를 가지고 하는 구기(球技)의 경우 경기 시에는 하나의 전용구만을 사용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기종목을 보다 숙련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용구를 가지고 연습을 하거나 레슨을 받아야 하며, 이로 인하여 연습 및 레슨 시 바닥으로 다수의 전용구가 낙하되어 산재되며, 다수의 전용구를 모두 수거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었던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각종 구기종목의 전용구를 사용하여 연습 및 레슨 후 바닥에 무수히 흩어져 있는 많은 전용구를 쉽고 신속하게 수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같이 바닥에 산재된 다수의 전용구를 수거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8년 제55962호(1998년 10월 7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배드민턴 셔틀콕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라켓과 셔틀콕에 매직테이프를 형성하여 라켓으로 바닥에 떨어진 셔틀콕을 일일이 부착시켜서 쉽게 수거할 수 있었으나, 이는 경기나 시합 중 떨어지는 한 두 개의 셔틀콕을 수거하기에는 적합하지만 연습 및 레슨 시에서와 같이 바닥에 산재된 셔틀콕의 개수가 많을 시에는 라켓으로 모두 수거하는데 너무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러한 수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아끼고자 여러 사람이 투입되면 수고로움이 많아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수거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더불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92517호(2002년 10월 28일자 공고)는 골프공을 보다 쉽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손잡이부가 구비된 원형축의 선단에 골프공을 모아주는 골프공 취합부가 결합판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미사용 시 원형축과 골프공 취합부가 고정된 그대로여서 부피가 크므로 보관 및 수납이 어렵고 제품의 생산 후 판매 시에도 이송효율이 저하되며, 골프공 수거 시 골프공 취합부의 하부 전체가 바닥에 닿아서 미는데 많은 힘과 노력이 소요되어 편의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40609호(2008년 6월 23일자 공고)는 신축형 자루의 선단에 힌지부에 의해서 테니스 볼을 미는 밀판이 접히도록 이루어져서 테니스 볼을 쉽고 편하게 모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루를 신축형으로 구성하여 자루를 짧게 형성할 수는 있으나, 밀판을 전방으로 접어서 좌우 폭은 좁혀도 전후로는 여전히 길어서 효율성이 떨어지면서 힌지부가 취약하여 빈번한 파손으로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로 인한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1998-0055962 U 1998. 10. 7. KR 20-0292517 Y1 2002. 10. 28. KR 20-0440609 Y1 2008. 6. 23.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각종 스포츠 중 구기종목에 사용되는 전용구, 주로 크기가 작은 전용구를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거두어들일 수 있도록 하되, 종래 전용구 수거장치의 경우에는 바닥에 산재된 다수의 전용구를 한 번에 많이 수거하지 못하거나, 부피가 커서 보관 및 운반하기가 어렵거나, 내구성이 약하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바닥에 산재된 다량의 전용구를 한 번에 수거할 수 있으며, 부피를 보다 쉽고 빠르게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셔틀콕 수거장치를 제공코자 함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셔틀콕 수거장치는 셔틀콕이 사용되는 배드민턴 외에도 각종 구기종목에 두루 사용 가능하지만, 수거장치의 양측으로 셔틀콕이 유입되어 훼손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드민턴의 전용구인 셔틀콕의 수거에 최적화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각종 구기의 전용구를 수거하는데 두루 사용할 수 있으면서 배드민턴의 셔틀콕 수거에 최적화된 셔틀콕 수거장치를 제공코자 함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셔틀콕 수거장치는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판과, 지지판의 전방에 하향 절곡되어 셔틀콕에 접하도록 형성된 밀판과, 밀판의 하단이 바닥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판 하부에 설치된 수개의 캐스터로 이루어진 본체가 구비되며, 본체의 양단에 각각 마주보면서 전방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경사지지판과, 경사지지판의 전방에 하향 절곡되어 산재된 셔틀콕이 모이도록 안내되게 형성된 경사밀판과, 경사지지판의 외측에 하향 절곡되어 셔틀콕의 수거 시 셔틀콕이 경사지지판 하부로 유입되지 않게 형성된 외측마감판과, 경사밀판의 하단이 바닥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경사지지판 하부에 설치된 수개의 캐스터로 이루어진 경사안내구가 구비되며, 하단이 본체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결합구에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며, 상단이 손잡이가 결합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조작대가 구비되며, 본체의 지지판 또는 경사안내구의 경사지지판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결합구에서 분리된 조작대를 눕혀서 각각 강제 끼움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게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편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불어서 본체의 지지판에서 밀판의 반대편 후단과 경사안내구의 경사지지판에서 경사밀판의 반대편 후단에 결합 설치되어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커버가 더 구비되거나, 경사안내구의 외측마감판에 후방으로 돌출 구성되어 셔틀콕이 헤드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안내구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캐스터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이루어진 차단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셔틀콕 수거장치는 양단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꺾인 경사안내구가 형성된 본체의 하부에 바퀴를 달아서 보다 쉽고 편하게 밀고 다니면서 본체와 양단의 경사안내구에 의해서 바닥에 산재된 셔틀콕(각종 구기(球技)의 전용구(專用球)로 대신할 수 있음)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어서 수거작업 시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본체의 상부 중앙에 상단에 손잡이가 구비된 조작대의 선단을 원터치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여 분리 시 본체에 겹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해서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판매나 이송 또는 보관 시에 자리 차지를 적게 하므로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이송 및 보관의 효율성도 함께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작업의 편의성, 조립의 용이성, 이송 및 보관의 효율성과 함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본체에 바퀴나 조작대 등을 연결할 시 연결 부위가 견고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으며, 본체의 양측 경사안내구의 외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차단판에 의해서 셔틀콕이 경사안내구와 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유입 시 바퀴에 의해서 셔틀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조작대를 눕혀서 고정구에 결합한 상태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 중 본체의 세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경사안내구의 세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결합구 및 결합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결합수단의 다른 실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중 차단판이 설치된 예시도
본 발명은 각종 스포츠 중 구기종목에 사용되는 전용구 중 주로 크기가 작은 전용구를 수거하는데 두루 사용할 수 있으면서 그 중에서 배드민턴의 셔틀콕 수거에 최적화되어 배드민턴의 연습 및 레슨 등에 의해서 바닥에 떨어져 흩어진 무수히 많은 셔틀콕을 보다 손쉽고 간단하게 모아서 거두어들일 수 있도록 한 셔틀콕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셔틀콕 수거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산재된 셔틀콕(S)을 미는 본체(2)와 본체(2)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산재된 셔틀콕(S)이 모이도록 안내하는 경사안내구(3)와 상기 본체(2)와 경사안내구(3)를 서서 밀 수 있도록 본체(2)에 연결 설치되어 손잡이(41)가 구비되도록 하는 조작대(4)로 대분되게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본체(2)에 연결 설치된 조작대(4)는 분리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또는 경사안내구(3)의 상부 양측에 마주보게 각각 설치된 고정구(5)에 눕혀서 강제적으로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대분되는 셔틀콕 수거장치(1)에서 본체(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판(21)이 바닥에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판(21)의 전방에 셔틀콕(S)에 접하는 밀판(22)이 지지판(21)에서 하향 절곡되게 형성되며, 이때 상기 밀판(22)은 하단이 바닥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판(21) 하부에 수개의 캐스터(C)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2) 양단의 경사안내구(3)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2)의 양단에 각각 마주보면서 전방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으로 형성된 경사지지판(31)이 바닥에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경사지지판(31)의 전방에 셔틀콕(S)이 모이도록 안내하는 경사밀판(32)이 경사지지판(31)에서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이 역시 본체(2)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밀판(32)은 하단이 바닥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경사지지판(31) 하부에 수개의 캐스터(C)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안내구(3)에는 경사지지판(31)의 외측에 하향 절곡되어 셔틀콕(S)의 수거 시 셔틀콕(S)이 경사지지판(31) 하부로 유입되지 않게 외측마감판(33)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작대(4)는 손잡이(41)가 결합된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본체(2)에 결합 설치되되, 조작대(4)의 하단은 본체(2)의 상부 중앙에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결합구(6)에 결합수단(7)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수단(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6)의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몸통부(71)의 내부에 내입된 압축코일스프링(72)에 의해서 결합구(6)의 내면에서 일부분만 내향 돌출되게 탄력 지지토록 설치된 걸림구(球)(73)와, 상기 걸림구(73)가 내입 걸림되어 결합구(6)에 결합된 조작대(4)의 하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조작대(4) 하단에 돌아가면서 내입되게 형성된 걸림홈(7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부(71)의 후방에는 몸통부(71) 내측으로 걸림구(73)와 압축코일스프링(72)을 수납할 수 있도록 덮개(75)가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수단(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걸림구(73)와 압축코일스프링(72)이 내입 구성된 몸통부(71)를 결합구(6)와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결합구(6)의 일측에 암나사공(76)이 형성되어 몸통부(71)의 외측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77)가 나사 결합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보면, 본체(2)의 지지판(21)에서 밀판(22)의 반대편 후단 또는 경사안내구(3)의 경사지지판(31)에서 경사밀판(32)의 반대편 후단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커버(8)가 결합 설치되어 철판으로 이루어진 지지판(21) 또는 경사지지판(31)의 후단에 발이 부딪히거나 할 시 충격력을 최소화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안내구(3)의 외측마감판(33)에 후방으로 차단판(9)이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차단판(9)에 의하면 수거장치(1)를 이용해서 셔틀콕(S)을 수거할 시 경사안내구(3)의 외측으로 접하는 셔틀콕(S)이 헤드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2)의 후방으로 통해서 경사지지판(31)의 하부인 경사안내구(3)의 내부로 유입되어 경사안내구(3)와 본체(2) 내부에서 회전하는 캐스터(C)에 의해서 유입된 셔틀콕(S)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셔틀콕 수거장치(1)는 배드민턴의 연습 및 레슨 시 코치 등이 다량의 셔틀콕(S)을 라켓을 들고 있는 대상자에게 지속적으로 공급하면 반복된 스윙으로 반대편 코트로 보내게 되며, 이러한 연습 및 레슨으로 인하여 무수히 많은 셔틀콕(S)이 코드 바닥에 떨어져 흩어지게 되면 이를 한 곳으로 모아서 수거해야 하는바, 이때 바닥에 산재된 다수의 셔틀콕(S)을 보다 쉽고 신속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드민턴의 셔틀콕(S) 외에도 테니스, 탁구, 골프 등의 작은 전용구(專用球)를 가지고 하는 각종 구기(球技)에 두루 사용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셔틀콕 수거장치(1)에 의한 셔틀콕(S) 수거작업은 도 1에서와 같이 본체(2)의 결합구(6)에 손잡이(41)가 구비된 조작대(4)의 하단을 결합 설치한 후 손잡이(41)와 조작대(4)를 잡고 본체(2)와 경사안내구(3)의 각 밀판(22)과 경사밀판(32)에 의해서 바닥에 산재된 다수의 셔틀콕(S)들을 밀어서 한 곳으로 모아 수거하도록 하면 되는 것으로서, 이때 본체(2) 양측에서 전방으로 점차 확장되게 경사진 경사안내구(3)의 경사밀판(32)에 의해서 흩어져 있던 셔틀콕(S)이 모이면서 밀리고, 본체(2)의 밀판(22)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로 셔틀콕(S)을 밀어 모아서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셔틀콕(S)의 수거작업 시 경사안내구(3)의 바깥쪽의 외측마감판(33)에 의해서 셔틀콕(S)이 경사안내구(3)의 경사지지판(31) 하부인 경사안내구(3)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경사안내구(3)를 통해서 본체(2)의 내측인 지지판(21) 하부로의 유입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측마감판(33)에 후방으로 돌출 구성된 차단판(9)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셔틀콕(S)의 경우 헤드부분은 코르크로 이루어지거나 고무가 입혀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서 무겁고, 몸체부분은 깃털로 이루어지거나 얇고 넓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서 가벼우므로 바닥에 놓여 있을 시 수거장치(1)로 몸체부분이 밀리면 헤드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안내구(3)의 내측인 경사지지판(31) 하부 또는 경사안내구(3)를 경유해서 본체(2)의 내측인 지지판(21) 하부로 유입된 후 경사안내구(3)와 본체(2)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캐스터(C)에 의해서 셔틀콕(S)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닥에 산재된 셔틀콕(S)을 수거하는데 사용하다가 수거작업 후 보관을 하거나, 셔틀콕 수거장치(1)를 생산 후 판매 및 이송을 할 시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본체(2) 양측 또는 양측 경사안내구(3) 상부에 각각 마주보며 고정 설치된 고정구(5)에 조작대(4)를 눕혀서 강제로 끼워서 고정시켜 부피를 최소화시켜서 보관 및 이송하여 보관 및 이송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구(5)는 상부가 개구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게 한 쌍의 탄성편(52)이 일체로 형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후단이 판상으로 날렵하게 이루어진 본체(2)의 지지판(21)과 경사안내구(3)의 경사지지판(31)의 각 후단으로 자체적으로 재질상의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커버(8)가 결합되어 셔틀콕(S) 수거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대(4)와 본체(2)의 결합 및 분리 시 본체(2)의 지지판(21) 상부에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결합구(6)에 결합수단(7)을 통해서 원터치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바, 이러한 결합수단(7)은 결합구(6) 일측에 몸통부(71) 내부에서 압축코일스프링(72)에 의해서 걸림구(73) 일부가 돌출되도록 탄력 지지되게 이루어지면서 조작대(4) 하단에 결합구(6)로 결합 시 걸림구(73)가 돌출되어 걸림 결합되게 걸림홈(74)이 형성됨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이 조작대(4)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며, 이와 함께 상부가 개구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게 한 쌍의 탄성편(52)으로 이루어진 고정구(5)를 본체(2)의 상부 양측 또는 양측 경사안내구(3)에 각각 고정 설치하여 조작대(4)를 눕혀서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도 원터치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 본체(2)에 캐스터(C)나 조작대(4) 등을 연결할 시 연결부위가 견고하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두루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수거장치 2:본체
21:지지판 22:밀판
3:경사안내구 31:경사지지판
32:경사밀판 33:외측마감판
4:조작대 41:손잡이
5:고정구 51:삽입홈
52:탄성편 6:결합구
7:결합수단 71:몸통부
72:압축코일스프링 73:걸림구
74:걸림홈 75:덮개
76:암나사공 77:수나사
8:완충커버 9:차단판
C:캐스터 S:셔틀콕

Claims (3)

  1.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지지판(21)과, 지지판(21)의 전방에 하향 절곡되어 셔틀콕(S)에 접하도록 형성된 밀판(22)과, 밀판(22)의 하단이 바닥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판(21) 하부에 설치된 수개의 캐스터(C)로 이루어진 본체(2);
    본체(2)의 양단에 각각 마주보면서 전방으로 점차 확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된 경사지지판(31)과, 경사지지판(31)의 전방에 하향 절곡되어 산재된 셔틀콕(S)이 모이도록 안내되게 형성된 경사밀판(32)과, 경사지지판(31)의 외측에 하향 절곡되어 셔틀콕(S)의 수거 시 셔틀콕(S)이 경사지지판(31) 하부로 유입되지 않게 형성된 외측마감판(33)과, 경사밀판(32)의 하단이 바닥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경사지지판(31) 하부에 설치된 수개의 캐스터(C)로 이루어진 경사안내구(3);
    하단이 본체(2)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결합구(6)에 결합수단(7)에 의해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되며, 상단이 손잡이(41)가 결합되어 후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조작대(4);
    본체(2)의 지지판(21) 또는 경사안내구(3)의 경사지지판(31)의 상부 양측에 각각 결합구(6)에서 분리된 조작대(4)를 눕혀서 각각 강제적으로 결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게 마주보는 한 쌍의 탄성편(52)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2)의 지지판(21)에서 밀판(22)의 반대편 후단과 경사안내구(3)의 경사지지판(31)에서 경사밀판(32)의 반대편 후단에 결합 설치되어 탄성복원력을 갖는 완충커버(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사안내구(3)의 외측마감판(33)에 후방으로 돌출 구성되어 셔틀콕(S)이 헤드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경사안내구(3)와 본체(2)의 내부로 유입되어 캐스터(C)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이루어진 차단판(9)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콕 수거장치.
KR1020150159187A 2015-11-12 2015-11-12 셔틀콕 수거장치 KR20170055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87A KR20170055872A (ko) 2015-11-12 2015-11-12 셔틀콕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87A KR20170055872A (ko) 2015-11-12 2015-11-12 셔틀콕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72A true KR20170055872A (ko) 2017-05-22

Family

ID=5905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187A KR20170055872A (ko) 2015-11-12 2015-11-12 셔틀콕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4695A (zh) * 2018-05-11 2018-08-24 萍乡学院 毽球回收机器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4695A (zh) * 2018-05-11 2018-08-24 萍乡学院 毽球回收机器人
CN108434695B (zh) * 2018-05-11 2023-04-07 萍乡学院 毽球回收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9755B2 (en) Golf practice mat
US7645202B2 (en) Golf tee
US20160271471A1 (en) Ball tee
US10183207B2 (en) Interchangeable sports ball kicking training apparatus
US8968118B2 (en) Golf teeing device
US9827475B2 (en) Baseball batting tee
KR20170055872A (ko) 셔틀콕 수거장치
CN204447179U (zh) 一种体育训练用乒乓球回收装置
KR100577053B1 (ko) 골프 티
KR101320547B1 (ko) 회전형 골프클럽 및 골프백 보관 장치
TWI309595B (en) Service robot
KR100964156B1 (ko) 공 줍기 통
KR200418135Y1 (ko) 골프가방용 캐리어
CN110384912B (zh) 一种网球运输车
CN110270067B (zh) 一种网球收集车
CN109045657B (zh) 一种壁挂式运动专用设备
US20070251902A1 (en) Portable billiard cue holder structure
US5645498A (en) Golf tee and ball placer and holding system
JP3226693U (ja) 球技用小型球の回収用ちりとり
CN200991565Y (zh) 高尔夫球发球器
KR101029792B1 (ko) 야구놀이용 기구
KR20120136122A (ko) 골프연습장치
CA2439016A1 (en) Template assembly and method for marking field lines on a football playing surface
CN210933667U (zh) 一种体育排球教学用便携式可快速组合排球拦网
KR101529789B1 (ko) 휴대용 탁구공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