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186A -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186A
KR20170055186A KR1020150158050A KR20150158050A KR20170055186A KR 20170055186 A KR20170055186 A KR 20170055186A KR 1020150158050 A KR1020150158050 A KR 1020150158050A KR 20150158050 A KR20150158050 A KR 20150158050A KR 20170055186 A KR20170055186 A KR 20170055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plate
resistance
plate
rotation support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090B1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15015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0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6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B2270/32Wind sp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발전장치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지지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내부로 내입되어 상기 회전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기체 또는 유체에 의해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판; 및 상기 기체 또는 유체가 이동하는 정방향에서 저항이 발생되도록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에 회전되게 결합시키고, 풍속에 따라 상기 저항판이 수평 내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저항판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각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으로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며, 회전되는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발전장치가 에너지를 발전시킨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풍속에 따라 저항판이 수평 내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저항을 발생시키며 회전체가 회전되고, 그로 인해 발전장치가 에너지를 발전시킬 수 있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Energy generating device resistance plate structure}
본 발명은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너지 발생장치의 저항판의 유체에 의한 저항판의 자동각을 조절할 수 있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수력발전, 조력발전, 화력발전, 원자력발전과 더불어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화력발전, 원자력발전설비의 경우는 가동을 위해 막대한 소비에너지와 고도의 기술, 인력, 고가의 첨단장비 등이 요구될 뿐 아니라 상당한 설치, 유지비 등은 물론 특히 환경에 치명적인 환경 오염물이 다량 생성되는 역기능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바람의 이동성이 좋은 산악지역이 풍부한 국내 지리적 여건을 고려해 풍력 또는 조력을 이용한 친환경, 저 탄소 신 재생 그린에너지의 개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 가장 많이 설치/사용되는 통상의 풍력장치는 일명 프로펠러형 회전으로서, 수직 설치된 하나의 지주의 상부 선단에 동력 전달부가 장착되어 있고, 그 동력전달부의 일측에 약 3~4개의 날개가 소정의 직경 범위 내에서 일정한 등각 방사형으로 배치된 하나의 회전날개가 바람이 부는 방향을 향해 수직으로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 풍력발전기는 선풍기 날개와 같이 그 지주 상단에 하나의 회전날개장치만 세로로 설치되는 비합리적 구조임에 따라 그 한 개 회전날개의 회전구동에 따른 소량 발전량 밖에 기대할 수 없고, 발전량 증대를 위해서는 방대하게 넓은 장소에 상기한 구조물의 개수를 상당량 증축이 요구됨으로 막대한 설치장소와 및 투자비용에 비해 얻을 수 있는 발전량은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는 풍속의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의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로 인해, 풍속이 강하면 그 풍속에 따라 저항력이 크게 발생되고, 발생된 저항력에 의해 발전기가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저항력이 발전기의 발전용량보다 더 많아짐에 따라 발전기의 과열 발생 및 고장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풍속이 약하면 그 풍속에 따라 저항력이 작게 발생되어, 발전기가 제대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즉, 풍속의 세기에 따라 발생되는 저항력을 조절이 불가하여, 발전기의 발전효율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69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28298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체 또는 유체가 이동하는 정방향에서 저항이 발생되도록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에 회전되게 결합시키고, 저항판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각도제한부를 구비함으로써, 풍속에 따라 저항판이 수평 내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저항을 발생시키며 회전체가 회전되고, 그로 인해 발전장치가 에너지를 발전시킬 수 있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에 따르면, 내부에 발전장치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지지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내부로 내입되어 상기 회전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기체 또는 유체에 의해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판; 및 상기 기체 또는 유체가 이동하는 정방향에서 저항이 발생되도록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풍속에 따라 상기 저항판이 수평 내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저항판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각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으로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며, 회전되는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발전장치가 에너지를 발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저항판의 고정홈 내주면 일측이 상기 고정홈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내입되어 양단에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유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은, 상기 기체 또는 유체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유격홈의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기체 또는 유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주면에 일정두께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 좌우측 사이에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이 벌어진 각도가 각각 다른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이 벌어진 각도가 80°~ 100°인 제1돌출부와, 50° ~ 70°인 제2돌출부 및 20° ~ 40°인 제3돌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항판은, 상기 회전지지대를 중심으로 일측부와 타측부로 구분되며,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를 무겁게하거나, 바람과 마주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항판은, 상기 회전지지대를 중심으로 일측부와 타측부로 구분되며,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를 물의 비중보다 가볍게 하여 수중에서 수직으로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풍속의 세기에 강해짐에 따라 상기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압축되고, 풍속의 세기가 약해짐에 따라 팽창되며 상기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회전지지대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저항판과 제1탄성부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한 쌍의 베어링; 및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가 상기 회전지지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압축될 때 제1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은, 풍속의 세기에 따라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각도제한부에 의해 기울어짐이 틀려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제1외측면과 상기 유격홈의 제1돌출턱, 상기 돌출부의 제2외측면과 상기 유격홈의 제2돌출턱은, 상기 저항판이 회전됨에 따라 서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이 면접촉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발생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에 각각 내입형성된 내입부와, 일단이 상기 내입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내입부의 외부로 돌출된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단을 덮으며 상기 내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턱 또는 제2돌출턱과 면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제2탄성부재로 흡수하여 진동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대의 정면은, 전방으로 돌출되되 볼록하거나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어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후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증가시켜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판의 상측면은, 상부로 돌출되되 볼록하거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어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상기 저항판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증가시고, 상기 회전지지대가 삽입되는 상기 저항판의 측면은, 부유물로부터 걸림이 없도록 중심부로 갈수록 만곡지며 돌출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풍속에 따라 저항판이 수평 내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저항을 발생시키며 회전체가 회전되고, 그로 인해 발전장치가 에너지를 발전시킬 수 있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각도제한부에 의해서 저항판이 회전지지대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강한 풍속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일정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고, 약한 풍속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일정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회전지지대에 돌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회전지지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저항판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저항판 회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회전지지대에 돌출부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회전지지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저항판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의 저항판 회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는 하우징(10), 회전체(20), 회전지지대(30), 저항판(40) 및 각도제한부(6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발전장치가 구비된다.
회전체(20)는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지지대(30)는 회전체(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체(20)와 일체로 하우징(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또한, 회전지지대(30)의 정면은 전방으로 돌출되되, 볼록하거나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어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킨다.
회전지지대(30)의 후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증가시켜, 저항판(40)이 저항받는 쪽에서 오목한 형상이 위치하며 반대쪽에서는 볼록한 형상이 위치하게 되어 회전체(20)의 저항효율을 증대시킨다.
저항판(4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내부로 내입되어 회전지지대(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41)이 형성되고, 기체 또는 유체에 저항을 발생시킨다.
이때, 저항판(40)은 회전지지대(30)를 기준으로 일측부와 타측부로 나뉜다.
여기서, 일측부를 저항판의 상부이고, 타측부를 저항판의 하부이라 할 때, 저항판(40)은 하부가 상부보다 무겁게 형성되어 스스로 직립하는 기능을 하고, 수력에서는 상부가 물비중 보다 가볍게 형성되어 직립된다.
또한, 저항판(40)의 상측면(42)은 저항판(40)의 저항력이 0일때, 즉, 수평으로 뉘어졌을 때 저항받는 면이며, 하측면(43)은 회전지지대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발전효율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회전지지대(30)가 삽입되는 저항판(40)의 측면은, 부유물로부터 걸림이 없도록 중심부로 갈수록 만곡지며 돌출된다.
이때, 저항판(40)의 형상은 평면, 곡선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저항판(40)의 끝단은, 제1탄성부재(31)와 이탈방지턱(80)이 삽출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각도제한부(60)는 기체 또는 유체가 이동하는 정방향에서 저항이 발생되도록 저항판(40)이 회전지지대(30)에 회전되게 결합시키고, 풍속에 따라 저항판(40)이 수평 내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저항판(40)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저항판(40)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으로 회전체(20)가 회전되며, 회전되는 회전체(20)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장치가 에너지를 발전시킨다.
또한, 각도제한부(60)는 돌출부와, 유격홈(65)을 포함한다.
돌출부는 회전지지대(3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제1외측면(61)과 제2외측면(62)이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는 회전지지대(30)의 외주면에 일정두께로 돌출되고, 회전지지대(30)의 길이방향 좌우측 사이에 제1외측면(61)과 제2외측면(62)이 벌어진 각도가 각각 다른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는, 제1외측면(61)과 제2외측면(62)이 벌어진 각도에 따라 제1돌출부(66)와, 제2돌출부(67) 및 제3돌출부(68)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66)는 80°~ 100°이고, 제2돌출부(67)는 50° ~ 70°이며, 제3돌출부(68)는 20° ~ 40°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제1 내지 제3돌출부(68)의 외측 모서리는 만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저항판(40)은 제1 내지 제3돌출부(68)의 모서리에 의해 돌출부 사이의 이동이 원활하다.
돌출부는 연결부(69)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69)는 제1 내지 제3돌출부(68)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격된 사이를 사선으로 형성되어, 풍속에 따라 미세하게 자동조절된다.
이때, 저항판(40)은 제1 내지 제3돌출부(68)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69)에 의해 돌출부 사이의 이동이 원활하다.
유격홈(65)은 저항판(40)의 고정홈(41) 내주면 일측이 고정홈(4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내입되어 양단에 제1걸림턱(63)과 제2걸림턱(64)이 형성되며, 제1걸림턱(63)과 제2걸림턱(64)의 길이는 제1돌출부(66)과 같으며, 제1돌출부(66)에 대응되게 회전지지대(30)의 돌출부가 삽입된다.
즉, 저항판(40)은 기체 또는 유체에 의해 회전될 때 유격홈(65)의 걸림턱이 돌출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어 기체 또는 유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진다.
또한, 돌출부의 제1외측면(61)과 유격홈(65)의 제1돌출턱, 돌출부의 제2외측면(62)과 유격홈(65)의 제2돌출턱은 저항판(40)이 회전됨에 따라 서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저항판 구조는 제1탄성부재(31) 및 베어링(32)을 더 포함한다.
제1탄성부재(31)는 회전지지대(30)의 외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풍속의 세기에 강해짐에 따라 회전지지대(30)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압축되고, 풍속의 세기가 약해짐에 따라 팽창되며 저항판(40)이 회전지지대(30)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저항판(40)은 풍속의 세기에 따라 회전지지대(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각도제한부(60)에 의해 기울어짐이 달라진다.
즉, 저항판(40)은, 풍속에 따라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하되, 풍속이 규정속도까지는 저항판이 직립으로 형성되며, 제1돌출부(66)에 걸려 저항을 받으며, 풍속이 강해짐에 따라 제2돌출부(67), 제3돌출부(68)로 변하면서 걸리게 되어 저항판(40)이 바람의 저항을 받는 각이 작아지고 회전체의 회전속도를 줄일 수 있다.
반대로, 저항판(40)은, 풍속이 일정이상보다 작으면 저항판(40)의 일측면이 일정각도 기울어지되 저항판(40)의 상부가 회전지지대(30)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기울어진다. 이는, 풍속이 일정이상이면 저항력이 매우 크게 발생함에 따라 과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항력을 일정하게 조절하여 과열방지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베어링(32)은, 회전지지대(30)의 양쪽에 구비되되, 제1탄성부재(31)와 돌출부 사이에 구비되어, 저항판(40)이 회전지지대(30)에 지지되어 회전될 때, 저항판(40)과 탄성부재(31)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발생장치의 저항판(40) 구조는 충격흡수부(70)를 더 포함한다.
충격흡수부(70)는 제1외측면(61)과 제2외측면(62)에 각각 구비되어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이 면접촉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충격흡수부(70)는 내입부(71)와, 제2탄성부재(72) 및 덮개(73)를 포함한다.
내입부(71)는 제1외측면(61)과 제2외측면(62)에 각각 내입형성된다.
제2탄성부재(72)는 일단이 내입부(71)에 삽입되고 타단이 내입부(71)의 외부로 돌출된다.
덮개(73)는 제2탄성부재(72)의 타단을 덮으면 내입부(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한다.
이에 따라, 제1돌출턱 또는 제2돌출턱과 면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제2탄성부재(72)로 흡수하여 진동 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20: 회전체
30: 회전지지대 31: 제1탄성부재
32: 베어링 40: 저항판
41: 고정홈 42: 상측면
43: 하측면 50 이탈방지핀
60: 각도제한부 61: 제1외측면
62: 제2외측면 63: 제1걸림턱
64: 제2걸림턱 65; 유격홈
66: 제1돌출부 67: 제2돌출부
68: 제3돌출부 69: 연결부
70: 충격흡수부 71: 내입부
2: 제2탄성부재 73: 덮개

Claims (10)

  1. 내부에 발전장치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와 일체로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지지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내부로 내입되어 상기 회전지지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기체 또는 유체에 의해 저항을 발생시키는 저항판; 및
    상기 기체 또는 유체가 이동하는 정방향에서 저항이 발생되도록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풍속에 따라 상기 저항판이 수평 내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저항판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각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에 의해 발생되는 저항력으로 상기 회전체가 회전되며, 회전되는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발전장치가 에너지를 발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발생장치의 저항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제한부는,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저항판의 고정홈 내주면 일측이 상기 고정홈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외측으로 내입되어 양단에 제1걸림턱과 제2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지지대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유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은, 상기 기체 또는 유체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유격홈의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기체 또는 유체의 이동방향에 따라 기울기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주면에 일정두께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 좌우측 사이에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이 벌어진 각도가 각각 다른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이 벌어진 각도가 80°~ 100°인 제1돌출부와, 50° ~ 70°인 제2돌출부 및 20° ~ 40°인 제3돌출부를 포함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은, 상기 회전지지대를 중심으로 일측부와 타측부로 구분되며,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를 무겁게하거나, 바람과 마주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은, 상기 회전지지대를 중심으로 일측부와 타측부로 구분되며,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중 어느 하나의 측부를 물의 비중보다 가볍게 하여 수중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풍속의 세기에 강해짐에 따라 상기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의 외측으로 이동되면 압축되고, 풍속의 세기가 약해짐에 따라 팽창되며 상기 저항판이 회전지지대의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회전지지대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저항판과 제1탄성부재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한 쌍의 베어링; 및
    상기 회전지지대의 외측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가 상기 회전지지대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압축될 때 제1탄성부재의 일단이 지지되는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항판은, 풍속의 세기에 따라 회전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각도제한부에 의해 기울어짐이 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제1외측면과 상기 유격홈의 제1돌출턱, 상기 돌출부의 제2외측면과 상기 유격홈의 제2돌출턱은, 상기 저항판이 회전됨에 따라 서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돌출턱과 제2돌출턱이 면접촉할 때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발생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는,
    상기 제1외측면과 제2외측면에 각각 내입형성된 내입부와, 일단이 상기 내입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내입부의 외부로 돌출된 제2탄성부재 및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타단을 덮으며 상기 내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턱 또는 제2돌출턱과 면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제2탄성부재로 흡수하여 진동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대의 정면은, 전방으로 돌출되되 볼록하거나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어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지지대의 후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증가시켜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판의 상측면은, 상부로 돌출되되 볼록하거나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돌출되어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상기 저항판의 하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어 바람의 저항을 증가시고,
    상기 회전지지대가 삽입되는 상기 저항판의 측면은, 부유물로부터 걸림이 없도록 중심부로 갈수록 만곡지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KR1020150158050A 2015-11-11 2015-11-11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KR101741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050A KR101741090B1 (ko) 2015-11-11 2015-11-11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050A KR101741090B1 (ko) 2015-11-11 2015-11-11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186A true KR20170055186A (ko) 2017-05-19
KR101741090B1 KR101741090B1 (ko) 2017-05-29

Family

ID=5904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050A KR101741090B1 (ko) 2015-11-11 2015-11-11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95B1 (ko) * 2019-09-25 2021-01-26 정래진 풍력 발전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9473A (ja) * 2003-07-30 2005-01-13 Masato Nakawa 風を利用した動力装置、回転体及び当該装置に供する好適な羽根部材
CN100487240C (zh) * 2007-03-29 2009-05-13 陈浩 风力发电机
KR101552808B1 (ko) * 2015-01-30 2015-09-11 방소윤 에너지 발생장치의 저항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695B1 (ko) * 2019-09-25 2021-01-26 정래진 풍력 발전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090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130B1 (ko) 풍력 발전기용 날개 경사각 조절 장치
KR101868973B1 (ko) 수력발전장치
JP6505990B2 (ja) ダリウス型垂直軸風車
KR102112103B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용 수직형 회오리 풍차 조립체
US20180142673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blade angle based on centrifugal force
KR20140066808A (ko) 수직형 풍력발전용 틸트식 회전날개장치
KR102448925B1 (ko) 수직축 풍력발전기
KR101552808B1 (ko) 에너지 발생장치의 저항판구조
KR101741090B1 (ko) 원심력에 의한 저항판 자동각 조절 장치
RU2559681C2 (ru) Ветровой генератор, имеющий вертикальную ось и содержащий лопасти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скорости
JP6126740B2 (ja) 風力発電機のブレード角度調節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風力発電機
KR102237501B1 (ko) 블레이드 가변형 풍력발전기
US8456034B2 (en) Wind power generator
JPH1162813A (ja) サボニウス型風車及びサボニウス型風車を利用した風力発電装置
KR101939322B1 (ko) 풍력발전장치
KR101034924B1 (ko) 경사진 두 회전축에 의해 회전효율을 높인 풍력회전장치
KR101668594B1 (ko) 저항판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에너지 발생장치
KR20130085122A (ko) 충격완화유닛이 구비된 풍력발전기
KR101552167B1 (ko)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수직축 풍력발전장치
KR101653577B1 (ko) 자동 개폐식 공기유입량 조절형 풍력발전시스템
US20160312764A1 (en) Turbine blade apparatus
KR101618216B1 (ko) 발전용 날개
CN219994195U (zh) 限位轴承和光伏跟踪支架
CN205841095U (zh) 一种弧形垂直轴风力发电机装置
KR101339299B1 (ko) 풍력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