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859A -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 Google Patents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859A
KR20170054859A KR1020150157525A KR20150157525A KR20170054859A KR 20170054859 A KR20170054859 A KR 20170054859A KR 1020150157525 A KR1020150157525 A KR 1020150157525A KR 20150157525 A KR20150157525 A KR 20150157525A KR 20170054859 A KR20170054859 A KR 2017005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support connection
support
fruit
fruit t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415B1 (ko
Inventor
왕기형
Original Assignee
왕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기형 filed Critical 왕기형
Priority to KR102015015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41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06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 A01G13/0212Canopies, i.e. devices providing a roof above the plant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4Cloches, i.e. protective full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수를 보호하여 줌과 동시에 과실수의 열매를 조류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과실수 열매가 떨어질 때 이를 지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지면에서 자라는 잡풀이 과도하게 성장하지 못하게 하여 과실수에 기생하고자 하는 병충해를 격리하여 과실수와 열매를 보호하고자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지주대(10)(20)와,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로 형성된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와, 제1환고정편(41)과, 제2환고정편(42)으로 형성된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Fruit can protect a vehicle cradle}
본 발명은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수를 보호하여 줌과 동시에 과실수의 열매를 조류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과실수 열매가 떨어질 때 이를 지면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지면에서 자라는 잡풀이 과도하게 성장하지 못하게 하여 과실수에 기생하고자 하는 병충해를 격리하여 과실수와 열매를 보호하고자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린 과실수를 보호하고 태풍이나 자연재해 시 떨어지는 낙과를 보호할 수 있으며 조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지면에서 자라며 서식하면서 나무에 기생하는 병해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린 과실수를 보호하고 성장을 도울 수 있으며 과일이 성장 후 각종 조류로부터 피해를 줄일 수 있고, 태풍과 비바람으로 인해 떨어지는 낙과수를 받아줌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과수나무 주변에서 자라나는 잡초의 성장을 억재시켜 각종 병해충이 과수나무에 올라가는 것을 최소화하여 품질 좋은 과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지주대와, 제1지지연결부와 제2지지연결부로 형성된 상부가로지지연결부와, 제1환고정편과, 제2환고정편으로 형성된 하부가로지지연결부로 구성하여 상부가로지지연결부와, 하부가로지지연결부에 상부 그물망과 하부 그물망을 고정하고 외둘레에 측면 그물망을 설치하여 낙과수나 조류로부터 예방하고자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과수나무에 열린 열매가 익어 수확철이 다가오면 이를 먹기 위한 조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비바람으로 인해 나무가 흔들려 과일이 떨어질 경우에는 하부 그물망이 과일을 받아줌으로 인해 과일에 상처가 나지 않아 판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과수나무 주변에서 자라는 잡초가 하부 그물망에 의해 성장을 억제하여주면 각종 병해충이 잡초에 서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병해충으로 부터 최소한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대에 가로망을 설치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주대에 세로망을 설치한 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주대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대를 과수나무에 사용한 상태 정면도
본 발명은 어린 과실수를 보호하고 떨어지는 낙 과수를 보호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좌,우 지주대(10)(20),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와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 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지주대(10)(20)는 상단부분에 볼트부(1)(2)를 각각 형성하여 나비너트(3)(4)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하부에는 지면에 쉽게 꽂을 수 있도록 뾰족게 형성하였다.
상기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는 반원형의 환 형상으로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로 형성되며 각각의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에는 반원형의 환 형상의 중간부분에 고정편(33)(34)을 형성하여 관통공(35)(36)을 만들었으며 제1지지연결부(31)에는 선단에 제1결합편(11)과 제2결합편(12)을 형성하였으며, 제2지지연결부(32)에는 제3결합편(21)과 제4결합편(22)을 형성한다.
상기의 제1지지연결부(31)의 제1결합편(11) 제2결합편(12)과, 상기 제2지지연결부(32)의 제3결합편(21) 및 제4결합편(22)에 각각 연결공(15)(16)을 만들어 볼트(70)와 너트(71)로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각각의 선단에 좌, 우지주대(10)(20)를 일치하여 일체로 조립되게 하는 제1환결합부(43)와 제2환결합부(44)를 형성한 제1환고정편(41)과, 제3환결합부(45)와 제4환결합부(46)를 형성한 제2환고정편(42)을 형성한다.
상기의 제1환고정편(41)과 제2환고정편(42)의 제1환결합부(43)와 제2환결합부(44), 제3환결합부(45)와 제4환결합부(46)의 선단에는 고정공(47)(48)을 만들어 볼트(70)와 너트(71)로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에는 다수 개의 핀공(17)을 만들어 ㄱ형 걸고리(5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핀공(17)은 ㄱ형 걸고리(50)를 고정시 ㄱ형 걸고리(50)가 회전되지 않도록 키홈(51)을 지그재그식 배열로 상,하 위치를 서로 다르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ㄱ형 걸고리(50)를 고정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게 한 것은 본 발명을 조립 후 사용되는 상부그물망(60)과 하부금물망(61) 및 측면그물망(62)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한 설명은 사용 설명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의 제1지지연결부(31)에 형성되는 핀공(17)은 ㄱ형 걸고리(50)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결합하기 위해 각각 키홈(5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과실수 나무 보호를 위해 사용하고자 하면 먼저 과실수 주변에 좌,우 지주대(10)(20)를 알맞은 간격을 유지하며 지면에 박아준다.
상기와 같이 좌,우 지주대(10)(20)가 지면에 고정되고 나면 제1지지연결부(31)의 제1결합편(11)과 제2결합편(12)을 제2지지연결부(32)의 제3결합편(21)과 제4결합편(22)을 맞추어 볼트(70)와 너트(71)로 결합 고정하여 원형상의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로 만들어지면 제1지지연결부(31) 고정편(33)의 관통공(35)과 제2지지연결부(32) 고정편(34)의 관통공(36)에 좌,우 지주대(10)(20) 상단에 만들어진 볼트부(1)(2)에 삽입한 다음 나비너트(3)(4)를 나사결합하여 고정하여 준다.
이후, 보호하고자 하는 과실수의 크기에 알맞은 적정위치를 정하여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를 결합하는 것으로, 제1환고정편(41)의 제1환결합부(43)와 제2환결합부(44)를 좌,우 지주대(10)(20)에 밀착시킨 다음 제2환고정편(42)의 제3환결합부(45)와 제4환결합부(46)을 밀착시켜 선단의 고정공(47)(48)에 볼트(70)를 끼워 너트(71)를 조여주면 제1환고정편(41)의 선단에는 좌,우 지주대(10)(20)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에 상부그물망(60)을 씌워 고정한다. 이때 상부그물망(60)은 각각의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에 형성된 핀공(17)으로 밴드나 끈을 통과시켜 묶어주어 고정한다.
다음으로 하부그물망(61)을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에 고정하는 것으로 하부그물망(61)은 중앙부분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절개되게 만들어 절개된 부분으로 과실수를 통과시킨 후 제1환고정편(41)과 제2환고정편(42)에 형성된 핀공(17a)으로 밴드나 끈을 통과시켜 묶어주어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그물망(60)과 하부그물망(61)이 고정되면 측면그물망(62)을 좌,우 지주대(10)(20)의 외부로 감싸지게 한 다음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에 형성된 핀 공(17)으로 밴드나 끈을 통과시켜 묶어주고, 제1환고정편(41)과 제2환고정편(42)에 형성된 핀 공(17a)으로 밴드나 끈을 통과시켜 역어주면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그물망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핀공(17)(17a)을 통해 밴드나 끈으로 묶지 않고 ㄱ형 걸고리(50)를 핀공(17)(17a)에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의 핀공(17)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하는 ㄱ형 걸고리(50)는 지그재그 로 걸고리 부분이 위, 아래로 향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ㄱ형 걸고리(50)를 위, 아래로 향하게 결합한 것은 아래부분을 향한 ㄱ형 걸고리(50)는 상부그물망(60)을 고정할 때 사용하며 위로 향한 ㄱ형 걸고리(50)는 측면그물망(62)을 결합할 때 사용한다.
상기의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의 핀공(17a) 또한, 통해 밴드나 끈으로 묶지 않고 ㄱ형 걸고리(50)를 핀공(17a)에 삽입 결합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의 핀공(17a)에 삽입 고정하여 사용하는 ㄱ형 걸고리(50)는 걸고리 부분이 아래쪽으로 향하게 결합한다.
이와 같이 ㄱ형 걸고리(50)를 아래로 향하게 결합한 것은 아래부분을 향한 ㄱ형 걸고리(50)가 하부그물망(61)과 측면그물망(62)을 고정할 때 사용한다.
상기 ㄱ형 걸고리(50)를 핀공(17)에 결합함에 있어 핀공(17)에 형성한 키홈(51) 부분에 ㄱ형 걸고리(50)의 키(75) 부분이 결합되어져 회전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ㄱ형 걸고리(50)는 결합형으로 사용함과는 별도로 제1지지연결부(31), 제2지지연결부(32),제1환고정편(41), 제2환고정편(42)에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사용 후 필요하지 않을 경우 상기 사용시와는 반대로 분리하여 보관하여 부피를 최소화시켜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1, 2: 볼트부 10: 좌 지주대
11: 제1결합편 12: 제2결합편
15, 16: 연결공 17, 17a: 핀공
20: 우 지주대 21: 제3결합편
22: 제4결합편 30: 상부가로지지연결부
31: 제1지지연결부 32: 제2지지연결부
33, 34: 고정편 35, 36: 관통공
40: 하부가로지지연결부 41: 제1환고정편
42: 제2환고정편 43: 제1환결합부
44: 제2환결합부 45: 제3환결합부
46: 제4환결합부 47, 48: 고정공
50: ㄱ형 걸고리

Claims (3)

  1. 본 발명은 좌,우 지주대(10)(20)와,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로 형성된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와,
    제1환고정편(41)과, 제2환고정편(42)으로 형성된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지주대(10)(20)의 상단에는 볼트부(1)(2)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는 반원형의 환 형상의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로 되었으며 반원형의 환 형상의 중간부분에는 고정편(33)(34)을 형성하여 관통공(35)(36)을 만들었으며 제1지지연결부(31)에는 선단에 제1결합편(11)과 제2결합편(12)을 형성하였으며, 제2지지연결부(32)에는 제3결합편(21)과 제4결합편(22)을 일체로 하여 연결공(15)(16)을형성 하였으며,
    상기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는 제1환고정편(41)과 제2환고정편(42)에 제1환결합부(43)와 제2환결합부(44), 제3환결합부(45)와 제4환결합부(46)를 형성하여 선단에는 고정공(47)(48)을 형성하여 일체로 됨을 특징으로 한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로지지연결부(30)의 제1지지연결부(31)와 제2지지연결부(32) 및 상기 하부가로지지연결부(40)의 제1환고정편(41)과 제2환고정편(42)에 다수 개의 핀공(17)(17a)을 관통시켜 각각의 핀공(17)(17a)에 ㄱ형 걸고리(50)를 삽입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KR1020150157525A 2015-11-10 2015-11-10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KR101861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25A KR101861415B1 (ko) 2015-11-10 2015-11-10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25A KR101861415B1 (ko) 2015-11-10 2015-11-10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859A true KR20170054859A (ko) 2017-05-18
KR101861415B1 KR101861415B1 (ko) 2018-05-28

Family

ID=59049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25A KR101861415B1 (ko) 2015-11-10 2015-11-10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93A (ko) * 2021-03-31 2022-10-07 남창우 작물 보호 지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511Y1 (ko) * 2003-03-11 2003-05-27 (주) 미도랜드 내경 조절형 수목보호판
JP3796244B2 (ja) * 2003-10-21 2006-07-12 株式会社柴原製材所 苗木の食害防止装置
KR101235625B1 (ko) * 2012-10-12 2013-02-21 주식회사 한길산업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93A (ko) * 2021-03-31 2022-10-07 남창우 작물 보호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415B1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802A (en) Support assembly and method for growing tomato plants and the like
US7219467B1 (en) Plant support system
US20110232176A1 (en) Modular Plant Support Structure
US9167755B1 (en) Trellis support device
US20190029190A1 (en) Shield for protecting plants
US11178825B2 (en) Stackable trellis support system
KR101103038B1 (ko)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
US20090025357A1 (en) Tree fruit collection device v-shaped support
US10676959B2 (en) Netting post cap
US4213272A (en) Device for supporting tomato plants
KR101861415B1 (ko) 과실수 보호 차양 거치대
US20170339849A1 (en) Shield for protecting plants
US20160088805A1 (en) Vegetable Tent using a Tomato Cage to protect against Fauna
JP2004229618A (ja) 果樹栽培方法
JP4163882B2 (ja) 櫓網床装置
KR100749013B1 (ko) 농작물 지주대
KR200496864Y1 (ko) 위치조절이 용이한 가지지지부를 갖는 과실수용 지주대
CN210630321U (zh) 一种用于柑橘种植的装置
CN210841283U (zh) 一种枇杷种植用杀虫装置
US20200128762A1 (en) Vineyard fruit protection apparatus and process
US2227818A (en) Process of raising and means for harvesting sesame
CN212851996U (zh) 植栽保护装置
Graves et al. Grapes...
JP5764727B1 (ja) トウモロコシ用の保護カバー体
KR200410894Y1 (ko) 오이 지주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