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764A - 마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마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764A
KR20170053764A KR1020150155625A KR20150155625A KR20170053764A KR 20170053764 A KR20170053764 A KR 20170053764A KR 1020150155625 A KR1020150155625 A KR 1020150155625A KR 20150155625 A KR20150155625 A KR 20150155625A KR 20170053764 A KR20170053764 A KR 2017005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unit
movable
coil
movab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규
김옥기
Original Assignee
이흥규
김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김옥기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150155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3764A/ko
Publication of KR2017005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61H23/0236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using sonic waves, e.g. using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신체에 밀착되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가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대 운동하는 코일과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성체 중 하나는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부에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사지 장치{MASSAGE MACHINE}
본 발명은 신체를 마사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사지기는 주무름, 문지름 등 여러 안마 방식을 이용하여, 다리, 발, 두피, 안면, 등, 허리 등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안마하는 장치이다.
각 신체 부위에 요구되는 안마의 강도 등이 다르므로, 마사지기는 부위별로 별도로 마련되고 있다.
최근 신체의 여러 부위를 동시에 마사지할 수 있는 의자형 마사지가 등장하고 있으나, 이 역시, 안면이나, 신체의 앞면 부분에 대한 안마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22548호에는 의자형 안마기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22548호
본 발명은 다양한 신체 부위에 적용될 수 있는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신체에 밀착되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가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대 운동하는 코일과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성체 중 하나는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보이스 코일(voice coil) 방식으로 진동하므로, 진동 주기, 진동 폭 등의 제어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팔, 다리, 등, 복부, 허리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다. 특히, 정밀한 마사지가 요구되는 안면을 효과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가동부와 고정부가 서스펜션부에 함께 수용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이고 휴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코일과 자성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제어부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진동부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가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는 가동부(110), 고정부(130) 및 진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부(110)는 진체에 밀착되고 진동될 수 있다. 가동부(110)가 진동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정된 고정부(130), 고정부(130)와 가동부(110)의 사이에서 가동부(110)의 진동을 유발하는 진동부(150)가 요구된다.
고정부(130)에는 가동부(110)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진동부(150)는 가동부(110)를 진동시키는 액추에이터에 해당되는 요소로, 일 예로 전기 신호에 의해 상대 운동하는 코일(153)과 자성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일(153)과 자성체(151) 중 하나는 가동부(110)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고정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전기 공급이 필요한 코일(153)이 고정부(130)에 설치되고, 전기 공급을 요구하지 않는 영구 자석이 자성체(151)로서 가동부(110)에 설치되고 있다.
가동부(110)에는 진동과 무관한 미용 자성체(210)가 설치될 수 있다. 미용 자성체(210)는 피부 미용을 위한 것으로, 진동부(150)의 자성체(151)와 무관하게 별도로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피부 미용을 위해 미용 자성체(210)는 신체의 피부에 최대한 밀접한 것이 좋다. 따라서, 가동부(110)에는 신체에 대면하는 면에 설치되는 것이 미용 효과상으로 가장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미용 자성체(21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훼손되기 쉽다.
따라서, 미용 자성체(21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최대한 신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가동부(110)의 제1 면이 신체에 밀착될 때, 미용 자성체(210)는 가동부(110)에서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동부(110)의 제2 면에는 미용 자성체(210)가 설치되는 제1 설치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피부 미용을 위해 가동부(110)의 제2 면에는 초음파 진동자(230)가 설치되는 제2 설치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고른 진동을 유발하기 위해 초음파 진동자(230)는 가동부(110)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2 설치부(113)는 평면상으로 가동부(110)의 중심에 배치되고, 제1 설치부(111)는 제2 설치부(113)의 주변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초음파 진동자(230)는 진동부(150)와 별개로 동작할 수 있다.
자성체(151)를 가동부(110)에 직접 체결하기 어려우므로, 진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갖는 설치판(115)이 마련될 수 있다. 설치판(115)은 가동부(1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치판(115)의 축에는 중공을 갖는 원기둥형의 자성체(151)가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설치판(115)에서 축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미용 자성체(210)와 초음파 진동자(230)가 설치된 후 제1 설치부(111)와 제2 설치부(113)를 덮을 수 있다.
가동부(110)를 정상적으로 진동시키기 위해 코일(153)과 자성체(151)는 자성 중심(C1, C2)이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코일(153)과 자성체(151)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의 (c) 및 (d)는 자성체(151)의 자성 중심 C1과 코일(153)의 자성 중심 C2가 가동부(110)의 운동 방향에 해당하는 z축 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비교 실시예를 가정한 것이다.
자성체(151)는 영구 자석일 수 있으며, 자성 극성이 항상 일정할 수 있다. 반면, 코일(153)은 인가된 전기 신호에 따라 자성 극성이 뒤바뀔 수 있다.
도 5의 (c)와 같이 C1, C2가 서로 일치한 경우, 코일(153)의 N극이 자성체(151)에 가하는 자력과 코일(153)의 S극이 자성체(151)에 가하는 자력이 서로 상쇄되므로, 자성체(151)와 코일(153)은 상대 운동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코일(153)의 극성이 도 5의 (d)와 같이 바뀌어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전기 신호의 인가에도 불구하고 자성체(151)와 코일(153)이 상대 운동하지 않으면 가동부(110)는 진동할 수 없다. 전기 신호의 인가에 의해 자성체(151)와 코일(153)이 상대 운동하도록, C1과 C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a)와 (b)는 C1보다 C2가 낮게 배치된 상태가 개시된다. 자성체(151)는 상부가 N극이고, 하부가 S극으로 결정된 상태일 수 있다. 전기 신호에 의해 코일(153)의 상부가 N극이 되면, 코일(153)의 상부는 N극을 띠고 있는 자성체(151)의 상부를 위로 밀어올리고, S극을 띠고 있는 자성체(151)의 하부를 잡아당기게 된다. 그 결과 자성체(151)는 위로 상승할 수 있다.
반대로, 전기 신호에 의해 코일(153)의 상부가 S극이 되면, 코일(153)의 상부는 N극을 띠고 있는 자성체(151)의 상부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동시에 S극을 띠고 있는 자성체(151)의 하부를 밀어내게 된다. 그 결과 자성체(151)는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130)에 대해 가동부(110)가 상대 이동하도록 서스펜션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170)는 고정부(130)에 이동 가능하게 가동부(11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서스펜션부(170)는 고정부(130)와 가동부(110)의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130), 가동부(110), 진동부(150)의 제조 편의를 위해 특수한 구성의 서스펜션부(170)를 제안한다.
서스펜션부(170)는 고정부(130), 가동부(110) 및 진동부(150)의 조립시 각 부재의 균형을 용이하게 맞추도록 하고,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어 각 부재의 정렬 상태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스펜션부(170)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스펜션부(170)의 일측에는 제1 개구부(171)가 타측에는 제2 개구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동부(110)는 서스펜션부(170)의 일측에 마련된 제1 개구부(171)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서스펜션부(170)의 일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개구부(171)에 노출된 가동부(110)의 부위는 신체에 밀착되는 가동부(110)의 제1 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30)는 서스펜션부(170)의 타측에 전체가 수용될 수 있다.
살펴보면, 통 형상을 갖는 고무 재질의 서스펜션부(170)에 가동부(110)의 일부 및 고정부(130)의 전체가 수용되고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부(170)는 가동부(110)와 고정부(130)를 감싸는 커버와 유사한 상태가 된다. 제조시 가동부(110)와 고정부(130)가 수용된 서스펜션부(170) 단위로 마사지 장치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서스펜션부(170)의 측벽이 가동부(110)와 고정부(130)를 서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체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동부(110)와 고정부(130)는 서스펜션부(170) 내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개구부(172)는 고정부(130)가 유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170)에 수용된 고정부(130)가 서스펜션부(17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 개구부(172)의 직경은 고정부(13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개구부(172)를 통해 고정부(130)를 삽입하기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개구부(172)를 통해 고정부(130)가 삽입되도록 서스펜션부(170)에는 제2 개구부(17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절단부(173)가 마련될 수 있다. 절단부(173)는 칼질 등에 의해 절단된 것으로, 외력이 인가되면 제2 개구부(172)는 일시적으로 고정부(130)의 직경만큼 확장될 수 있다.
절단부(173)가 없더라도 고정부(130)의 직경을 확대할 수 있으나, 매우 많은 외력이 요구되므로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러나, 절단부(173)에 따르면, 적은 외력으로도 고정부(130)의 직경을 충분하게 확대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절단부(173)에 의해 제2 개구부(172)는 뱀의 입이 벌어지는 것처럼 크게 벌어질 수 있다. 또한, 절단부(173)는 서스펜션부(170)의 내부에 수용되는 각종 부재를 냉각시키는 통풍 역할을 겸할 수 있다.
가동부(110)와 고정부(130)를 함께 감싸는 고무 재질의 서스펜션부(170)에는 가동부(110)의 설치를 위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서스펜션부(170)의 내면에는 제1 오목부(17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동부(110)에는 제1 오목부(175)에 삽입되는 제1 스토퍼(117)가 마련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170)에서 제1 오목부(175)가 마련된 단부는 하우징(19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90)으로부터 돌출된 단부는 가동부(110)와 고정부(130)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댐핑 기능 또는 스프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에는 서스펜션부(170)가 수용되고 일측 단부가 개구된 하우징(190)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90)은 사용자가 마사지 장치를 잡는 손잡이가 되거나, 서스펜션부(170)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보호하는 보호 부재가 될 수 있다. 하우징(190)은 각종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90)에 개구된 일측 단부에는 가동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170)의 외면에는 돌기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177), 각 돌출부(177)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오목부(178)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90)의 일측 단부 ⓐ는 제2 오목부(178)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90)의 일측 단부 ⓐ가 제2 오목부(178)에 끼워지는 것을 통해 서스펜션부(170)와 하우징(190)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서스펜션부(170)와 하우징(190)의 체결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해 하우징(190)의 내면에는 하우징(190)의 일측 단부 ⓐ가 삽입된 제2 오목부(178)를 제외한 다른 제2 오목부(178)에 삽입되는 제2 스토퍼(199)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오목부(178)에 하우징(190)의 일측 단부 ⓐ 또는 제2 스토퍼(199)가 끼워지도록, 하우징(190)은 복수 부재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90)에는 서스펜션부(170)의 일면을 감싸는 제1 부재(191), 서스펜션부(170)의 타면을 감싸는 제2 부재(19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재(191)의 단부와 제2 부재(192)의 단부가 제2 오목부(178)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부재(191)와 제2 부재(192)가 조립되면 서스펜션부(170)를 견고하게 감싸는 하우징(190)이 완성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90)이 제1 부재(191)와 제2 부재(192)의 결합으로 완성될 때, 제1 부재(191)와 제2 부재(192)의 결합면으로 진동부(150)의 진동이 전파될 수 있다.
결합면에 인가된 진동은 하우징(190)을 잡고 있는 사용자에게 크게 인식되거나,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하우징(190)의 진동 또는 하우징(190)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부재(191)와 제2 부재(192)의 결합면 사이에는 플렉시블 재질의 완충 패드(250)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부(150)는 종래의 안마기와 다르게 코일(153)과 자성체(151)로 이루어진 보이스 코일 방식(음파 진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보이스 코일 방식의 진동부(150)는 다양한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진동부(150)의 제어를 위해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에는 제어부(2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전기 신호를 통해 가동부(110)의 진동 주기, 진동 폭, 진동 기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에는 진동 주기 또는 진동 폭 일부를 제어할 수 있으나, 진동 기준 위치에 대한 제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 예로, 진동부(150)가 z축 방향을 따라 왕복되는 진동을 생성할 때, 진동의 오프셋은 z축 방향 상으로 항상 일정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진동부(150) 및 제어부(270)에 따르면, 진동의 오프셋 또한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정밀하고 세분화된 진동 주기, 진동 폭의 제어가 가능하다.
다양한 마사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제어부(270)는 복수의 신호가 합성된 전기 신호를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는 진동부(150)를 구동시키고 가동부(110)를 다양하게 진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270)에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어부(270)는 제1 주기의 제1 신호 ①,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를 갖는 제2 신호 ②를 합성해서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신호 ①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침투가 용이한 고주파 신호일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230)의 진동은 신체 접촉시 느낄 수 없는 정도의 고주파인 반면, 제1 신호 ①은 피부가 부르르 떨리는 느낌을 갖는 정도나 침투력이 좋은 정도의 고주파 신호일 수 있다.
제2 신호 ②는 신체를 두드리는 자극을 위한 중주파 신호일 수 있다.
제1 신호 ①과 제2 신호 ②가 합성된 전기 신호의 인가로 인해 가동부(110)는 신체를 두드리면서 피부 자극을 위해 부르르 떠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제1 신호 ①, 제2 신호 ② 및 제2 주기보다 긴 제3 주기를 갖는 제3 신호 ③를 합성해서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신호 ③은 신체를 주무르는 자극을 위한 저주파 신호일 수 있다.
제2 신호 ②를 중주파라 칭한 것은 제1 신호 ①의 주파수보다 작고 제3 신호 ③의 주파수보다 크기 때문이다.
제1 신호 ①, 제2 신호 ②, 제3 신호 ③이 합성된 전기 신호는 신체를 주무르고, 두드리고, 피부를 떨리게 하는 복합적인 마사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에서 하우징(190)에는 전원에 연결된 케이블이 착탈되는 커넥터(197)가 마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우징(190)의 내부에는 제어부(270) 외에도 전기가 저장되는 배터리가 마련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 또는 배터리의 전기는 설정값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부의 전원 또는 배터리를 통칭해서 전원부(290)라고 칭할 때, 전원부(290)로부터 제공된 전력의 전압은 10V일 수 있다.
도 7은 진동부(150)에 인가되는 전기 신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가동부(110)의 진동은 도 7의 (a)와 같이 t1 시간동안 가동부(110)가 z축의 양의 방향을 이동했다가 t2 시간동안 z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일 수 있다.
z축의 양의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z축의 음의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10V의 전압을 이용해서 가동부(110)를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5V 지점에 오프셋(offset)이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부(110)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오프셋이 5V 지점에 형성되므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5V의 전압이 적용되고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5V의 전압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290)로부터 10V의 전압이 제공될 때, 5V를 이용해서 제1 방향으로 가동부(110)가 이동되거나, -5V를 이용해서 제2 방향으로 가동부(110)가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동부(110)의 진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에는 도 7의 (b)와 같이 전원부(290)에서 10V의 전압이 인가될 때, 가동부(11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t1 구간에도 10V 전압이 그대로 적용되고, 가동부(11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t2 구간에도 -10V 전압이 적용되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70)는 진동부(150)의 동작 중에 코일(153)의 전기 극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제어부(27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코일(153)의 일측이 제1 단자(271)에 연결되고 코일(153)의 타측이 제2 단자(272)에 연결될 때, 제어부(270)는 진동부(150)의 동작 중에 제1 단자(271)와 제2 단자(272)의 전기 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t1 구간에서 제1 단자(271)에 전원부(290)의 양극을 연결하고 제2 단자(272)에 전원부(290)의 음극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전원부(290)의 양극과 음극 간의 전압이 10V라면 코일(153)에도 그대로 10V가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153)은 10V에 대응되는 자기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부(110)는 10V에 대응되는 자기력을 이용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t2구간에서 제1 단자(271)와 제2 단자(272)를 스위칭할 수 있다. 스위칭을 통헤 제1 단자(271)에 전원부(290)의 음극이 연결되고, 제2 단자(272)에 전원부(290)의 양극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코일(153)에는 각 단자의 극성만 바뀐 상태로 10V가 그대로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부(110)는 -10V에 대응되는 자기력을 이용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오프셋을 배제한 상태로 코일(153)과 전원부(290)의 사이에서 각 단자의 전기 극성을 고주파로 스위칭하는 것은 제어부(270)의 수명 단축을 유발할 수 있다. 진동부(150)는 매우 많은 회수의 진동을 위한 것인 만큼 진동 회수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스위칭 회수는 제어부(270)에 마련된 스위치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스위치의 수명 단축은 스위칭 회로의 과열로 인해 유발될 수 있다.
코일(153)의 전기 극성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마사지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재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고 구동 회로를 간소화하기 위해 코일(153)은 자성체(151)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 방향 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코일(154)과 제2 코일(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54)의 양단부 중 하나와 제2 코일(156)의 양단부 중 하나는 전원부(290)의 접지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154)의 나머지 단부는 제1 전원부(290)의 제1 단자(2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코일(156)의 나머지 단부는 전원부(290)의 제2 단자(2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70)는 제1 단자(271)의 출력 파형과 제2 단자(272)의 출력 파형이 서로 겹치지 않는 위상차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제어부(27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코일(154)과 제2 코일(156)은 서로 반대 자기 극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코일(154)과 제2 코일(156)의 권선 방향이 동일하면, 제2 코일(156)에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단부는 제1 코일(154)에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도 9에서 제1 코일(154)의 하측 단부와 제2 코일(156)의 상측 단부가 접지 단자에 함께 연결되고 있다.
제어부(270)에 의해 전원부(290)의 제1 단자(271)로부터 출력된 전기는 t1 구간에만 제1 코일(154)로 인가되고 t2 구간에는 차단될 수 있다. 제1 코일(154)에 인가된 전기로 인해 가동부(110)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코일(154)에 인가되는 전기는 t2 구간 동안 차단되므로, t2 구간에서 제1 코일(154)은 가동부(110)에 자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전원부(290)의 제2 단자(272)로부터 출력된 전기는 t2 구간에만 제2 코일(156)로 인가되고 t1 구간에는 차단될 수 있다. 제2 코일(156)에 인가된 전기로 인해 가동부(110)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코일(156)에 인가되는 전기는 t1 구간 동안 차단되므로, t1 구간에서 제2 코일(156)은 동작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제어부(27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코일(154)과 제2 코일(156)의 권선 방향이 다르면, 제2 코일(156)에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단부는 제1 코일(154)에서 접지 단자에 연결되는 단부측의 단부일 수 있다. 도 10에서 제1 코일(154)의 하측 단부와 제2 코일(156)의 하측 단부가 접지 단자에 함께 연결되고 있다.
도 10의 코일(153) 역시 도 9와 마찬가지로 동작될 수 있다.
정리하면, t1 구간에는 가동부(11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154)만 구동되고, t2 구간에는 가동부(11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156)만 구동된다. 이때, 각 코일(153)에 제공된 전기의 전압은 전원부(290)에서 제공 가능한 최대 허용 전압일 수 있다. 또한, t1 구간과 t2 구간의 구분은 이미 전기 신호의 생성을 위해 각 신호를 합성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부(27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전원부(290)의 전력을 제어부(270)에서 도 7의 (b)의 구형파화 합성하여 각 코일(153)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전원부(290)의 제1 단자(271)와 제2 단자(272)를 스위칭하는 대신, 도 7의 (b)의 파형 중 하나를 제1 단자(271)의 출력 전기와 합성하고, 나머지 파형 하나를 제2 단자(272)의 출력 전기와 합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반복 동작에 의한 발열 등으로 인해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스위치를 배제하고 안전하고 간단하게 제어부(27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마사지 장치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부(290)에서 제공가능한 최대 전압으로 가동부(110)를 위로 올리고, 또한 최대 전압으로 가동부(110)를 아래로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강한 마사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가동부(110)의 진동이 보이스 코일(음향 진동) 방식으로 제어되므로,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가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가동부(110)는 제1 신호 ①에 의해 z0를 중심으로 하여 z1~z2의 진폭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때, 제3 신호 등에 의해 z0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제1 신호 ①에 의해 가동부가 z1을 향해 하강하면 신체를 가압하기 위한 준비 동작이 될 수 있다. 다시 제1 신호 ①에 의해 가동부가 z2를 향해 상승하면 신체를 가압할 수 있다.
가동부가 z2에 도달하면, 고주파의 제2 신호 ②가 인가되거나 합성될 수 있다. 제2 신호에 의해 가동부는 z2를 중심으로 하여 미세하게 진동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의 미세 진동에 의해 피부는 효과적으로 자극될 수 있다.
가동부가 z2를 벗어나면 제2 신호 ②가 해제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가동부가 하강하는 중에는 피부에 접촉력이 저하되므로, 미세 진동에 의한 피부 자극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물론, z1~z2 전구간에 대해 제2 신호 ②가 인가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르면, 가동부는 미세하게 부르르 떠는 상태에서 z1~z2 구간을 진동할 수 있다.
다만, z2 지점에서만 제2 신호 ②가 인가되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력 소모가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사지 장치가 배터리로 구동 중일 때는 z2 지점에서만 제2 신호 ②가 인가되도록 제어하고,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 중일 때는 z1~z2 전구간에 제2 신호 ②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가동부 111...제1 설치부
113...제2 설치부 115...설치판
117...제1 스토퍼 130...고정부
150...진동부 151...자성체
153...코일 154...제1 코일
156...제2 코일 170...서스펜션부
171...제1 개구부 172...제2 개구부
173...절단부 175...제1 오목부
177...돌출부 178...제2 오목부
190...하우징 191...제1 부재
192...제2 부재 197...커넥터
199...제2 스토퍼 210...미용 자성체
230...초음파 진동자 250...완충 패드
270...제어부 271...제1 단자
272...제2 단자 290...전원부

Claims (16)

  1. 신체에 밀착되고 진동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진동과 무관한 미용 자성체가 설치되는 마사지 장치.
  2. 신체에 밀착되는 가동부;
    상기 가동부가 지지되는 고정부; 및
    상기 가동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대 운동하는 코일과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성체 중 하나는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마사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자성체는 자성 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설치된 마사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부를 연결시키는 서스펜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부는 탄성 재질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는 상기 서스펜션부의 일측에 마련된 개구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서스펜션부의 일측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서스펜션부의 타측에 전체가 수용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가동부는 서로 이격된 마사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가동부를 연결시키는 서스펜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부는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가 수용되고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스펜션부의 일측 개구부에는 상기 가동부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서스펜션부의 타측 개구부는 상기 고정부가 유입되는 입구가 되는 마사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함께 감싸는 탄성 재질의 서스펜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부의 내면에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제1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1 스토퍼가 마련된 마사지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함께 감싸는 탄성 재질의 서스펜션부; 및
    상기 서스펜션부가 수용되고 일측 단부가 개구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부의 외면에는 돌기 형상의 복수의 돌출부, 각 돌출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오목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2 오목부에 삽입되는 마사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가 삽입된 제2 오목부를 제외한 다른 제2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2 스토퍼가 마련된 마사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서스펜션부의 일면을 감싸는 제1 부재, 상기 서스펜션부의 타면을 감싸는 제2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 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가 조립되는 마사지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를 함께 감싸는 탄성 재질의 서스펜션부; 및
    상기 서스펜션부가 수용되고 일측 단부가 개구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서스펜션부의 일면을 감싸는 제1 부재, 상기 서스펜션부의 타면을 감싸는 제2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의 결합면 사이에는 플렉시블 재질의 완충 패드가 개재되는 마사지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제1 면이 상기 신체에 밀착될 때,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상기 가동부의 제2 면에는 초음파 진동자가 설치되는 마사지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제1 면이 상기 신체에 밀착될 때, 상기 제1 면에 반대되는 상기 가동부의 제2 면에는 상기 진동부와 무관한 미용 자성체가 설치되는 마사지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신호를 통해 상기 가동부의 진동 주기, 진동 폭, 진동 기준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주기의 제1 신호, 상기 제1 주기보다 긴 제2 주기를 갖는 제2 신호를 합성해서 상기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마사지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측은 제1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타측은 제2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부의 동작 중에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의 전기 극성을 변경하는 마사지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가동부에 설치되는 마사지 장치.
KR1020150155625A 2015-11-06 2015-11-06 마사지 장치 KR20170053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625A KR20170053764A (ko) 2015-11-06 2015-11-06 마사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625A KR20170053764A (ko) 2015-11-06 2015-11-06 마사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764A true KR20170053764A (ko) 2017-05-17

Family

ID=5904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625A KR20170053764A (ko) 2015-11-06 2015-11-06 마사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37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3879B2 (ja) 音響圧力を利用する振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人体刺激装置
US10172763B2 (en) Skin and scalp massaging apparatus using acoustic pressure
JP2005007164A (ja) 皮膚美容装置
KR101607526B1 (ko) 음파 엑추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안마기
JP2008093345A (ja) 振動機器
KR20140003990A (ko) 마사지 장치
CN115916135A (zh) 人体刺激单元和包括该人体刺激单元的人体刺激装置
KR20220050727A (ko) 탄성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 모듈
KR20130068331A (ko) 휴대폰 결합형 피부 미용 보조 기기
KR20150129462A (ko) 피부미용장치
JP5828536B1 (ja) 眼部用マッサージ装置
KR101866100B1 (ko) 음파 진동장치
JP2013188250A (ja) 振動ヘアブラシ
KR20110008135A (ko) 피부 미용(美容) 기기(器機)
KR20170053764A (ko) 마사지 장치
KR20170053765A (ko) 마사지 장치
KR20160001335U (ko) 음파 진동자의 원리를 이용한 두피 마사지기
CN114080208A (zh) 振动发生器
KR101625430B1 (ko) 음파를 이용한 국소 진동기
WO2023146036A1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진동과 광음향을 이용한 골전도 음향을 제공하는 인체자극시스템
CN109452982A (zh) 一种音乐共振电动牙刷
KR102280627B1 (ko) 음파 진동을 이용한 저소음 휴대용 핸드마사지기
CN211157204U (zh) 一种音波震动式按摩装置
JP2722357B2 (ja) 生体刺激装置
CN219022185U (zh) 一种具有律动调节功能的便携式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