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3583A -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사운딩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사운딩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3583A
KR20170053583A KR1020160146041A KR20160146041A KR20170053583A KR 20170053583 A KR20170053583 A KR 20170053583A KR 1020160146041 A KR1020160146041 A KR 1020160146041A KR 20160146041 A KR20160146041 A KR 20160146041A KR 20170053583 A KR20170053583 A KR 2017005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ts
srs
setting
terminal
time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람
문성현
김철순
박기윤
고영조
김은경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7005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단말에게 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은,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에 포함된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 구간(GP: guard period), 및 제1 UpPTS(uplink pilot time slot) 중 상기 GP에, 제2 UpPTS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UpPTS를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에게 설정한다.

Description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사운딩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본 발명은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사운딩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term evolution)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3GPP LTE의 eNodeB를 포함)은 단말(3GPP LTE의 UE(user equipment)를 포함)로부터 상향링크(UL: uplink)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단말에게 상위 계층(higher-layer) 시그널링을 통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설정한다.
단말은 기지국에 의한 설정에 따라 기지국에게 SRS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의 SRS를 이용하여 UL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추정한 UL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의 UL 전송을 위한 링크 적응, 전력 제어, 타이밍 측정 등을 수행할 수 있고, 기지국의 하향링크(DL: downlink) 다중입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전송을 위한 프리코딩(pr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3GPP LTE 시스템에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 타입 2(FST2: frame structure type 2)가 정의되어 있다. FST2의 라디오 프레임은 DL 서브프레임, UL 서브프레임, 그리고 특별(special)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특별 서브프레임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과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GP(guard period), 및 UpPTS(uplink pilot time slot)를 포함한다.
DwPTS는 단말의 셀 탐색, 동기 획득 또는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된다. GP는 단말들의 다중 경로 지연 차로 인해 기지국의 상향링크에서 발생하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간이다. UpPTS 구간에서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또는 SRS의 전송이 가능하다. DwPTS 구간에서는 하향링크 PDSCH(physical data shared channel)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UpPTS 구간을 확장하고 확장된 UpPTS 구간에서 SRS를 전송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UpPTS 구간을 확장하고 확장된 UpPTS 구간에서 SRS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단말에게 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은,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에 포함된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 구간(GP: guard period), 및 제1 UpPTS(uplink pilot time slot) 중 상기 GP에,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UpPTS를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에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UpPTS의 끝과 상기 제1 UpPTS 의 시작은 소정의 값만큼 떨어질 수 잇다.
상기 제2 UpPTS의 끝과 상기 제1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UpPTS의 끝과 상기 제1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60 x (1msec/3072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심볼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은, 상기 제1 UpPTS를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전송을 상기 단말에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포맷 4의 프리앰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방법 중 하나를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의 SRS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의 보호 구간(GP: guard period)에 존재하는 제1 UpPTS(uplink pilot time slot)와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 및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제2 UpPTS를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UpPTS는 상기 제2 UpPTS로부터 소정의 값만큼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UpPTS와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2 UpPTS에 속하는 자원 중에서 상기 PRACH 전송을 위한 자원에 무관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UpPTS와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모두에 대하여, SRS 대역폭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셀 특정 파라미터와 단말 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UpPTS를 위한 PRACH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는, 4096 x TS의 길이를 가지는 시퀀스와 448 x TS의 길이를 가지는 CP(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PRACH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RACH 프리앰블을, 상기 제2 UpPTS의 끝으로부터 4832 x TS만큼 앞선 시점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S는 1 msec/30720 일 수 잇다.
상기 제1 UpPTS의 끝과 상기 제2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의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UpPTS의 끝과 상기 제2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60 x TS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UpPTS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심볼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의 SRS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의 보호 구간(GP: guard period)에 존재하며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제1 UpPTS(uplink pilot time slot)와의 간격이 0인 제2 UpPTS를 설정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중 마지막 시간 도메인 심볼을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1 UpPTS에 속하는 자원 중에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제1 자원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중 상기 마지막 시간 도메인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도메인 심볼을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1 자원에 무관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중 마지막 시간 도메인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도메인 심볼에 대하여, SRS 대역폭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셀 특정 파라미터와 단말 특정 파라미터에 기초해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UpPTS를 설정 받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방법 중 상기 제1 UpPTS와 상기 제2 UpPTS 간의 간격이 0 임을 나타내는 제1 방법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TDD 셀에서 UpPTS 구간을 확장하고 확장된 UpPTS 구간에서 SRS를 전송함으로써, SRS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M100에 따라 SRS 전송을 위한 UpPTS가 확장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M101에 따라 SRS 전송을 위한 UpPTS가 확장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M102에 따라 SRS 전송을 위한 UpPTS가 확장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PTS가 확장되지 않은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기(또는 통신노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이동국(mobile station),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 단말, 이동국, 진보된 이동국, 고신뢰성 이동국,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접근 단말, 사용자 장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노드B(node B, N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eNB),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리피터, 매크로 기지국, 소형 기지국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진보된 기지국, HR-BS, 노드B, eNodeB, 접근점, 무선 접근국, 송수신 기지국, MMR-BS, 중계기, 고신뢰성 중계기, 리피터, 매크로 기지국,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현재 LTE 규격에 따르면, 10가지의 서로 다른 특별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수 있다. 각 특별 서브프레임 설정에 따른 DwPTS, GP, 및 UpPTS 구간의 길이는 아래의 표 1을 따른다. 표 1은 TDD 특별 서브프레임 설정(예, DwPTS, GP, 및 UpPTS의 정의)를 나타낸다.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Normal cyclic prefix in downlink Extended cyclic prefix in downlink
DwPTS UpPTS DwPTS UpPTS
Normal cyclic prefix in uplink Extended cyclic prefix in uplink Normal cyclic prefix in uplink Extended cyclic prefix in uplink
0 6592*Ts 2192*Ts



2560*Ts


7680*Ts 2192*Ts


2560*Ts


1 19760*Ts 20480*Ts
2 21952*Ts 23040*Ts
3 24144*Ts 25600*Ts
4 26336*Ts 7680*Ts 4384*Ts


5120*Ts


5 6592*Ts 4384*Ts



5120*Ts



20480*Ts
6 19760*Ts 23040*Ts
7 21952*Ts 12800*Ts
8 24144*Ts - - -
9 13168*Ts - - -
기지국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 메시지를 통해, 특별 서브프레임 설정을 포함하는 TDD 관련 파라미터를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특별 서브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 시스템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3GPP LTE 시스템이 아닌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DD 셀에서 UpPTS 구간을 확장하고 확장된 UpPTS 구간에서 추가적으로 SRS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M100에 따라 SRS 전송을 위한 UpPTS가 확장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M101에 따라 SRS 전송을 위한 UpPTS가 확장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M102에 따라 SRS 전송을 위한 UpPTS가 확장되는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PTS가 확장되지 않은 경우에 특별 서브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특별 서브프레임은 2개의 타임 슬롯(짝수 슬롯, 홀수 슬롯)을 포함한다. 각 타임 슬롯은 7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예,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시간 도메인 심볼이 OFDM 심볼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UpPTS 구간을 확장함에 있어서, 레거시(legacy) 단말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레거시 단말에게는 UpPTS 구간의 확장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UpPTS 구간은 GP 구간을 이용해 확장된다. 즉, 기지국은 GP 구간에 UpPTS 구간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표 1의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9를 기반으로 UpPTS가 확장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에는, DwPTS, GP, 및 UpPTS 구간이 표 1의 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 9에 따르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DwPTS 구간이 6개의 OFDM 심볼에 해당하고, GP 구간이 6개의 OFDM 심볼에 해당하고, UpPTS 구간(UPT2)이 2개의 OFDM 심볼에 해당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확장된 UpPTS 구간을 제1 구간(UPT1)이라 하고, 확장되지 않은 기존의 UpPTS 구간을 제2 구간(UPT2)이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제1 구간(UPT1)은 2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즉, 제1 구간(UPT1)은 2개의 OFDM 심볼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는 제2 구간(UPT2)의 길이가 OFDM 심볼 2개에 해당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UpPTS 구간은 GP 구간을 통해 확장되기 때문에, 레거시 단말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확장된 UpPTS 구간(즉, 제1 구간(UPT1))을 GP 구간으로 해석(간주)한다. 반면에, 확장된 UpPTS 구간(즉, 제1 구간(UPT1))을 지원하는 새로운 단말(이하 '제1 단말')은 GP 구간의 일부를 UpPTS 구간(즉, 제1 구간(UPT1))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즉, GP 구간 중 UpPTS 구간으로써 사용되는 일부 구간은 확장된 UpPTS 구간(즉, 제1 구간(UPT1))이다.
레거시 단말과 제1 단말이 함께 설정 받는 기존의 UpPTS 구간은, 제2 구간(UPT2)이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특별 서브프레임 설정에 있어서, 기존의 특별 서브프레임 설정을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제1 단말에게 상위 계층(higher-layer) 시그널링을 통해 제1 구간(UPT1)을 설정하는 경우에, 제1 단말은 기지국에 의한 설정에 따라 제1 구간(UPT1)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구간(UPT1)을 위한 설정을 제1 설정이라 한다.
제1 구간(UPT1)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이 포함될 수 있고, 제1 구간(UPT1)의 길이는 OFDM 심볼 개수로써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UPT1)의 길이는 OFDM 심볼 1개 또는 2개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단말이 제1 구간(UPT1)을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제1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제1 구간(UPT1)을 위한 SRS 전송을 설정한다. 이하에서는 제1 구간(UPT1)에서 전송되는 SRS를 설정하는 것을 제2 설정이라 한다. 제1 단말은 해당 제2 설정에 따라 제1 구간(UPT1)에서 SRS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단말은 PRACH 전송을 위해서, 제1 구간(UPT1)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확장되지 않은 기존의 UpPTS 구간(즉, 제2 구간(UPT2))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제1 구간(UPT1)과 제2 구간(UPT2)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만약 PRACH 전송을 위해 제1 구간(UPT1)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지국에 의한 추가적인 설정이 단말을 위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레거시 단말과 제1 단말을 위한 PRACH 전송 가능 자원이 제2 구간(UPT2)으로 제약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지국은 제2 구간(UPT2)을 위한 PRACH 전송 또는 SRS 전송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제2 구간(UPT2)에서 PRACH 또는 SRS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 받은 단말은, 해당 설정에 따라 제2 구간(UPT2)에서 PRACH 또는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UpPTS 구간(예, 제2 구간(UPT2))에서 전송될 수 있는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포맷(random access preamble format) 4 이다. 이하에서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포맷 4의 프리앰블을 제1 프리앰블 이라 한다. 즉, 제2 구간(UPT2))에서 전송되는 PRACH는 제1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단말은 제1 프리앰블을, NTA=0을 가정하는 UL 프레임 타이밍을 기준으로 UpPTS 구간(예, 제2 구간(UPT2))의 끝으로부터 4832*TS만큼 앞선 시점에서 전송한다. 여기서, TS는 "30720*TS = 1 msec(밀리초)"를 만족하는 값이다. NTA=0 인 경우에, TDD 셀에서의 UL 프레임 타이밍은 DL 프레임 타이밍으로부터 624*TS만큼 앞선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NTA는 타이밍 어드밴스(TA: timing advance)의 값을 나타낸다.
단말에 의해 생성되는 제1 프리앰블의 길이는 시퀀스 길이 4096*TS와 CP(cyclic prefix) 길이 448*TS의 합인 4544*TS 일 수 있다. 노멀(normal) CP가 설정되는 경우에 제2 구간(UPT2)의 길이는 4384*TS 인데, 제1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단말 입장에서 제1 프리앰블의 전송 시작 시점은 제2 구간(UPT2) 이전에 위치한 GP 구간을 침범한다.
만약, 레거시 단말이 기지국과 가깝게 위치하고 제2 구간(UPT2)에서 제1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경우에, 기지국 관점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제1 프리앰블의 도착 시작 시점은 GP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구간(UPT1)의 끝과 제2 구간(UPT2)의 시작 사이에 충분한 추가적인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1 단말에 의해 제1 구간(UPT1)에서 전송되는 SRS와 레거시 단말에 의해 제2 구간(UPT2)에서 전송되는 PRACH는 기지국 수신 시 충돌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제1 구간(UPT1)을 정의하거나 제1 구간(UPT1)을 위한 SRS 전송을 설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먼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구간(UPT1)을 정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이 제2 구간(UPT2)에서 제1 프리앰블을 전송하는 경우에, 기지국의 수신 입장(또는 기지국의 프레임 타이밍)에서 제1 프리앰블이 제1 구간(UPT1)과 겹치는 최대 구간은 약 160*TS이다. 만약, 제1 구간(UPT1)의 끝이 제2 구간(UPT2)의 시작으로부터 적어도 160*TS만큼 앞서도록 정의되면, 임의의 설정을 가지는 제1 프리앰블이 제2 구간(UPT2)에서 전송되더라도, 기지국은 제1 구간(UPT1)에서 제1 프리앰블과의 충돌 없이 SRS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제1 구간(UPT1)을 정의하는 방법(방법 M101, 방법 M102)은 다음과 같다.
방법 M101은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구간(UPT1)과 제2 구간(UPT2)이 한 개의 OFDM 심볼 길이만큼 떨어지도록 제1 구간(UPT1)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즉, 제1 구간(UPT1)의 끝과 제2 구간(UPT2)의 시작 사이의 구간(GP 구간) 길이는 한 개의 OFDM 심볼 길이에 해당한다. 방법 M101은 서빙 셀과 인접 셀이 서로 다른 UL-DL 설정(uplink-downlink configuration) 또는 특별 서브프레임 설정(special subframe configuration)을 가지더라도, 셀 간에 OFDM 심볼 동기가 일정 범위 내에서 맞추어져 있으므로 셀 간 간섭이 완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방법 M102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구간(UPT1)과 제2 구간(UPT2)이 160*TS 길이만큼 떨어지도록 제1 구간(UPT1)을 정의하는 방법이다. 즉, 제1 구간(UPT1)의 끝과 제2 구간(UPT2)의 시작 사이의 구간(GP 구간) 길이는 160*TS에 해당한다.
한편, 방법 M101 또는 방법 M102을 통해 정의되는 제1 구간(UPT1)을 위한 SRS 대역폭이 기지국에 의해 설정됨에 있어서, 제2 구간(UPT2)에서 제1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해 설정되는 자원(예, RB(resource block))은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제1 구간(UPT1)을 위한 SRS 대역폭을, 제2 구간(UPT2)에 속하는 자원(RB) 중에서 제1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한 자원(RB)에 무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제1 구간(UPT1)(또는 제1 구간(UPT1)에 포함된 모든 OFDM 심볼)을 위한 SRS 전송 설정에 있어서, SRS 대역폭에 관련된 값(예, mSRS,0)을 셀 특정(cell-specific)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srsMaxUpPts, srsMaxUpPts는 mSRS,0의 재설정을 지칭)와 관계 없이, 셀 특정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srs-BandwidthConfig)와 단말 특정(UE-specific) 상위 계층(higher-layer) 파라미터(예, srs-Bandwidth)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mSRS,0은 b=0인 mSRS,b 값이며, mSRS,b는 SRS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시작 위치를 구하는데 사용된다. srs-BandwidthConfig는 해당 셀 내에 속한 단말들이 전송할 수 있는 SRS 대역폭들을 지칭한다. 단말은 srs-BandwidthConfig에 의해 지칭되는 SRS 대역폭들 중 단말 특정(UE-specific)하게 설정 받은 srs-Bandwidth에 의해 지칭되는 SRS 대역폭을 통해 SRS를 전송한다. 단말이 설정 받은 srs-Bandwidth가 BSRS이라 하면, 단말은 0부터 BSRS까지의 정수로 주어지는 b에 대해 mSRS,b들을 이용하여, 상기의 SRS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시작 위치를 구한다. 또한 srsMaxUpPts는 제2 구간(UPT2)에서의 SRS 전송에 대하여, 단말이 mSRS,0
Figure pat00001
으로 재설정하도록 한다.
Figure pat00002
에 대한 정의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기술한다. 하지만 제1 구간(UPT1)에서의 SRS 전송에 대하여,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srsMaxUpPts를 시그널링 받더라도 mSRS,0을 재설정하지 않고, 본래 srs-BandwidthConfig와 srs-Bandwidth에 의해 지칭되는 값을 그대로 사용한다. 여기서,
Figure pat00003
는 제1 프리앰블의 자원이 첫 6NRA개의 RB에 할당되는 제2 구간(UPT2)에서, SRS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시작 위치를 구하기 위해 고려되는 값이다. 소정 개수의 부반송파 이후에, SRS 전송을 위한 주파수 도메인 시작 위치가 주어지는데, 여기서 소정 개수는 적어도 UL RB 개수(
Figure pat00004
)에서
Figure pat00005
를 뺀 만큼의 RB 수에 RB 당 부반송파 수를 곱한 만큼이다.
한편,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구간(UPT1)의 끝과 제2 구간(UPT2)의 시작 사이에 별도의 구간 없이 제1 구간(UPT1)을 정의하는 방법(방법 M10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제1 구간(UPT1) 이후에 바로 제2 구간(UPT2)이 뒤따른다. 방법 M100가 사용되는 경우에, 기지국이 제1 구간(UPT1)에서 SRS를 수신함에 있어서, 제2 구간(UPT2)에서 전송되는 제1 프리앰블과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 구간(UPT1)을 위한 SRS 대역폭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구간(UPT1)이 N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말은 제1 구간(UPT1)에 포함된 N개의 OFDM 심볼 별로 SRS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개의 OFDM 심볼 중 처음 (N-1)개의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SRS를 위한 SRS 대역폭이 설정됨에 있어서, 제2 구간(UPT2)의 자원 중에서 제1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해 설정된 자원은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N개의 OFDM 심볼 중 마지막 OFDM 심볼에서 전송되는 SRS를 위한 SRS 대역폭이 설정됨에 있어서, 제2 구간(UPT2)의 자원 중에서 제1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해 설정된 자원이 고려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1 구간(UPT1)에 포함된 N개의 OFDM 심볼 중 처음 (N-1)개의 OFDM 심볼을 위한 SRS 대역폭을, 제2 구간(UPT2)에 속하는 자원 중 제1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한 자원에 무관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제1 구간(UPT1)에 포함된 N개의 OFDM 심볼 중 마지막 OFDM 심볼을 위한 SRS 대역폭을, 제2 구간(UPT2)에 속하는 자원 중 제1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간(UPT1)의 N개의 OFDM 심볼 중에서 처음 (N-1)개의 OFDM 심볼을 위한 SRS 전송 설정에 있어서, 단말은 SRS 대역폭에 관련된 값(예, mSRS,0)을 셀 특정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srsMaxUpPts)와 관계 없이, 셀 특정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srs-BandwidthConfig)와 단말 특정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srs-Bandwidth)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제1 구간(UPT1)의 N개의 OFDM 심볼 중에서 마지막 OFDM 심볼을 위한 SRS 전송 설정에 있어서, 셀 특정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 srsMaxUpPts)에 의해 재설정(reconfiguration)이 지칭되는 경우(즉, srsMaxUpPts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경우)에, SRS 대역폭에 관련된 값(예, mSRS,0)을
Figure pat00006
으로 설정한다. 즉, 단말은 mSRS,0
Figure pat00007
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은, UL RB 전체 개수에서 PRACH를 위해 사용된 RB 개수를 뺀 나머지 RB 수보다 작거나 같은 RB 개수만큼을 최대 SRS 대역폭으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외의 경우(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srsMaxUpPts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은
Figure pat00008
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NRA 는 제2 구간(UPT2)에 설정되는 포맷 4의 PRACH의 수(즉, 제1 프리앰블이 전송될 수 있는 자원 영역 수)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9
은 UL 시스템 대역폭(예, 단위는 RB 개수)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10
는 srs-BandwidthConfig가 c(C에 속함)에 대응하는 값으로 주어지고 srs-Bandwidth가 0에 대응하는 값으로 주어진 경우를 위한 SRS 대역폭 값을 의미한다. C는 srs-BandwidthConfig 파라미터 값의 집합을 나타내며, {0,1,2,3,4,5,6,7}로 정의될 수 있다. srs-Bandwidth가 0에 대응하는 값으로 주어진 경우는, 주어진 srs-BandwidthConfig에 대한 SRS 대역폭이 가장 큰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Figure pat00011
는 UL 시스템 대역폭을 위한 자원(RB) 중에서 포맷 4의 PRACH를 위해 설정된 자원(RB)을 제외한 나머지 자원에 대한, 최대의 SRS 대역폭 값을 의미한다.
한편, 제1 구간(UPT1)의 정의를 위해 방법 M100, 방법 M101, 및 방법 M102 중 어떤 방법이 사용되는지는, 사전에 정의될 수도 있다. 또는, 기지국이 방법 M100, 방법 M101, 및 방법 M102 중 제1 구간(UPT1)의 정의(설정)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을,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이를 설정 받은 단말은 해당 방법에 따라 제1 구간(UPT1)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방법 M100이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은 제1 구간(UPT1)과 제2 구간(UPT2) 간의 간격이 0임을 판단하고, 방법 M101이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은 제1 구간(UPT1)과 제2 구간(UPT2) 간의 간격이 1개의 OFDM 심볼에 해당함을 판단하고, 방법 M102이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은 제1 구간(UPT1)과 제2 구간(UPT2) 간의 간격이 160*TS 해당함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기기(또는 통신노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무선기기(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기지국 또는 단말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5의 무선기기(TN100)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일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무선기기(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기기(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기기(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무선기기(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기기(TN100)는 단일 안테나 또는 다중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8)

  1. 기지국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단말에게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에 포함된 DwPTS(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 구간(GP: guard period), 및 제1 UpPTS(uplink pilot time slot) 중 상기 GP에,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UpPTS를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에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UpPTS의 끝과 상기 제1 UpPTS 의 시작은 소정의 값만큼 떨어진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의 끝과 상기 제1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의 길이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의 끝과 상기 제1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60 x (1msec/30720)에 해당하는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심볼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pPTS를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전송을 상기 단말에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포맷 4의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방법 중 하나를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SRS 설정 방법.
  7.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의 보호 구간(GP: guard period)에 존재하는 제1 UpPTS(uplink pilot time slot)와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 및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제2 UpPTS를 위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UpPTS는 상기 제2 UpPTS로부터 소정의 값만큼 떨어진
    단말의 SRS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pPTS와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2 UpPTS에 속하는 자원 중에서 상기 PRACH 전송을 위한 자원에 무관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pPTS와 상기 제1 UpPTS를 위한 SRS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는,
    상기 제1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모두에 대하여, SRS 대역폭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셀 특정 파라미터와 단말 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를 위한 PRACH 전송을 설정 받는 단계는,
    4096 x TS의 길이를 가지는 시퀀스와 448 x TS의 길이를 가지는 CP(cyclic prefix)를 포함하는 PRACH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PRACH 프리앰블을, 상기 제2 UpPTS의 끝으로부터 4832 x TS만큼 앞선 시점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TS는 1 msec/30720 인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pPTS의 끝과 상기 제2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개의 시간 도메인 심볼의 길이에 해당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pPTS의 끝과 상기 제2 UpPTS의 시작 사이의 구간 길이는 160 x TS에 해당하고,
    상기 TS는 1 msec/30720 인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pPTS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도메인 심볼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4. 단말이 사운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특별 서브프레임(special subframe)의 보호 구간(GP: guard period)에 존재하며 상기 특별 서브프레임의 제1 UpPTS(uplink pilot time slot)와의 간격이 0인 제2 UpPTS를 설정 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별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중 마지막 시간 도메인 심볼을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1 UpPTS에 속하는 자원 중에서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프리앰블의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제1 자원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중 상기 마지막 시간 도메인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도메인 심볼을 위한 SRS 대역폭을, 상기 제1 자원에 무관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를 위한 SRS 대역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에 포함되는 시간 도메인 심볼 중 마지막 시간 도메인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도메인 심볼에 대하여, SRS 대역폭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셀 특정 파라미터와 단말 특정 파라미터에 기초해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UpPTS를 설정 받는 단계는,
    상기 제2 UpPTS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방법 중 상기 제1 UpPTS와 상기 제2 UpPTS 간의 간격이 0 임을 나타내는 제1 방법을,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SRS 전송 방법.
KR1020160146041A 2015-11-06 2016-11-03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사운딩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53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6166 2015-11-06
KR1020150156166 2015-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583A true KR20170053583A (ko) 2017-05-16

Family

ID=5903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041A KR20170053583A (ko) 2015-11-06 2016-11-03 사운딩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사운딩 참조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35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7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고 pss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8671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고 pss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439033B (zh) 无线通信系统中执行测距有关的操作的方法
KR1021486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79631B1 (en) Method by which terminal measures channel occupancy ratio (cr) and performs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CN107005799B (zh) 无线通信系统中执行设备对设备通信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设备
CN10657631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同步信号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装置
WO2016163843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11929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시분할 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6163842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953163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d2d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WO2014142505A1 (ko)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동기 정보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078889B (zh) 无线通信系统中具有多个天线的装置的信号发送方法和装置
KR10236789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신호 전송 방법
KR20160040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CN110651509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侧链路信号的方法和装置
EP344228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delink signal by u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60329998A1 (en) Pilo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EP3324694B1 (en) Uplink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er terminal, and base station
JP20205172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ド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JP650247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同期信号送信方法。
US201800542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laying by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43667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carrier aggregation 전송 시 단말이 복수의 cc에 대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5848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KR2020002847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른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 피드백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