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2193A -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2193A
KR20170052193A KR1020150154361A KR20150154361A KR20170052193A KR 20170052193 A KR20170052193 A KR 20170052193A KR 1020150154361 A KR1020150154361 A KR 1020150154361A KR 20150154361 A KR20150154361 A KR 20150154361A KR 20170052193 A KR20170052193 A KR 2017005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barcode
voic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빈
Original Assignee
백승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빈 filed Critical 백승빈
Priority to KR102015015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2193A/ko
Publication of KR2017005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1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단말로부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바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음성정보의 재생 및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VOICE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단말로부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바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음성정보의 재생 및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판매량 및 사용량이 크게 증가되면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전자문서 및 전자서명 서비스가 도입되어 활용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전자문서 및 전자서명 서비스의 경우 정부의 페이퍼리스(Paperless) 정책과 맞물려 급속한 증가 추세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전자서명의 법제화와 관련하여, 전자서명을 법적 효력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녹취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계약 또는 동의 내용 고객의 부인을 원천 방지하고자 하는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녹취 기능은 비단 전자서명의 법적 효력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녹취 기능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단말로부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바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음성정보의 재생 및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는,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의 내용을 사용자단말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는 화면정보생성부;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정보제공부; 상기 화면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를 획득하는 동의정보획득부; 및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정보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의 재생 및 상기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코드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음성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 입력된 사용자텍스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코드정보는,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가 삽입되어 생성된 원본바코드정보, 및 상기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한 저장위치와 관련하여 생성된 접속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장치는, 상기 바코드정보가 삽입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의 내용을 사용자단말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는 화면정보생성단계;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정보제공단계; 상기 화면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를 획득하는 동의정보획득단계; 및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정보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의 재생 및 상기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코드정보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음성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 입력된 사용자텍스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코드정보는,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가 삽입되어 생성된 원본바코드정보, 및 상기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한 저장위치와 관련하여 생성된 접속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바코드정보가 삽입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하여야만 하는 기존 음성 관련 서비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단말로부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음성정보 내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정보를 전자문서에 삽입하여 관리함으로써, 음성정보 및 사용자동의정보의 저장/관리에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서비스 환경은,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단말(100), 및 사용자단말(100)에 대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단말(100)은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 접속을 통해 음성서비스장치(200)로부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0)은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pc), 노트북,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 접속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음성서비스장치(200)는 접속된 사용자단말(100)에 대해 음성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ARS 서버, TM(Tele Marketing) 사업자가 운용한 서버 등이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음성정보는, 음성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상담사가 사용자에게 직접 읽어주는 내용, 또는 녹음된 음성 내용을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서비스 절차, 비대면 거래에 있어서 사용자의 청취 및 동의가 요구되는 약관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일반적인 음성 서비스의 경우, 음성서비스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정보를 사용자단말(100)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청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성정보의 경우 상담사가 직접 읽어주거나, 녹음된 음성을 재생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음성정보의 내용을 모두 청취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이로 인해, 음성서비스장치(200) 입장에서는 음성정보의 내용을 모두 사용자에게 전달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도 음성정보의 내용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한 채 사용자동의정보(예: 전자서명, 음성동의)를 전달하게 되어, 의도치 않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음성정보와, 이에 대한 사용자동의정보는 비대면 거래와 녹음 및 저장이 필요하기 마련인데, 이렇게 녹음된 정보는 별도의 스토리지(예: CD, USB)에 파일형태로 저장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헌데, 위와 같은 방식의 경우, 녹음된 방대한 량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큰 저장용량을 갖는 스토리지의 도입 및 이에 대한 추가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더욱이 녹음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선, 스토리지에 접속하여 저장되어 있는 방대한 량의 파일을 일일이 검색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음성정보의 제공, 및 음성정보와 이에 대한 사용자동의정보의 저장과 관련된 편의성을 제고시키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음성서비스장치(200) 내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2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200)는, 화면정보생성부(210), 화면정보제공부(220), 동의정보획득부(230), 바코드정보생성부(240), 및 전자문서생성부(2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화면정보생성부(210), 화면정보제공부(220), 동의정보획득부(230), 바코드정보생성부(240), 및 전자문서생성부(250)를 포함하는 음성서비스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200)의 경우, 전술한 위 구성들을 통해, 음성정보의 제공, 및 음성정보와 이에 대한 사용자동의정보의 저장과 관련된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음성서비스장치(2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정보생성부(210)는 음성정보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면정보생성부(210)는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음성정보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정보는, 사용자가 청취해야 하는 음성정보의 내용을 사용자단말(100)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컨대, 음성정보의 내용이 텍스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화면정보제공부(220)는 화면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면정보제공부(220)는 음성정보와 관련된 화면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음성정보 대신 생성된 화면정보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단말(100)에서는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음성정보를 직접 청취하는 것보다 전달되는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참고로, 화면정보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요청 혹은, 요청과 무관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0)에서 화면정보의 제공을 원치 않는 경우에는 기존 음성정보를 그대로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동의정보획득부(230)는 사용자동의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의정보획득부(230)는 화면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화면정보의 내용과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예: 약관 동의, 계약 내용 숙지)를 획득(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동의정보는, 예컨대,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인식되는 사용자음성정보, 또는 사용자단말(100)로 입력된 사용자텍스트정보(예: 전자서명)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코드정보생성부(240)는 바코드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코드정보생성부(24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가 청취하여야 하는 음성정보 내에 획득된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바코드정보생성부(240)는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고유의 데이터 값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색상 또는 도형으로 표현하여 바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정보를 다수의 색상으로 표현하는 경우, 예컨대, 농도, 채도, 및 명도와 같은 색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 값을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바코드 이미지를 도형으로 표현하는 경우, 예컨대, 다양한 도형의 모양 및 크기의 조합 등을 통해서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 값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음성정보 내에 삽입되는 사용자동의정보가 사용자텍스트정보인 경우, 사용자텍스트정보의 데이터 값을 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비 가청 주파수 대역에 사용자텍스트정보가 인코딩된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고유의 데이터 값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색상 또는 도형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서 바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바코드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음성정보의 재생과, 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전자문서생성부(250)는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문서생성부(250)는 바코드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바코드가 삽입된 전자문서(예: 계약서)를 생성하여 저장/관리하게 된다.
참고로, 전자문서에 삽입되는 바코드정보의 경우, 예컨대,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가 삽입되어 생성된 원본바코드정보와,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한 저장위치와 관련하여 생성된 접속바코드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안 정책 상 전자문서에 원본바코드정보를 삽입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전자문서에는 접속바코드정보만을 삽입함으로써, 전자문서로부터 원본바코드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문서에 접속바코드정보가 삽입된 경우, 접속바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원본바코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소정의 인증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가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인증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접속바코드정보를 인식한 인식주체(예: 바코드인식장치)로부터 설정된 인증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원본바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200)에 따르면,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함으로써,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하여야만 하는 기존 음성 관련 서비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전자문서에 삽입하여 관리함으로써, 음성정보 및 사용자동의정보의 저장/관리에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화면정보생성부(210)는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음성정보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생성한다(S110-S120).
여기서, 화면정보는, 사용자가 청취해야 하는 음성정보의 내용을 사용자단말(100)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컨대, 음성정보의 내용이 텍스트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면정보제공부(220)는 음성정보와 관련된 화면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음성정보 대신 생성된 화면정보를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S130).
이로써, 사용자단말(100)에서는 화면정보를 구성하는 텍스트를 읽음으로써, 음성정보를 직접 청취하는 것보다 전달되는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참고로, 화면정보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의 요청 혹은, 요청과 무관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0)에서 화면정보의 제공을 원치 않는 경우에는 기존 음성정보를 그대로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동의정보획득부(230)는 화면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화면정보의 내용과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예: 약관 동의, 계약 내용 숙지)를 획득(수신)한다(S140).
여기서, 사용자동의정보는, 예컨대,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인식되는 사용자음성정보, 또는 사용자단말(100)로 입력된 사용자텍스트정보(예: 전자서명)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바코드정보생성부(24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면, 사용자가 청취하여야 하는 음성정보 내에 획득된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한다(S160).
이때, 바코드정보생성부(240)는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고유의 데이터 값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색상 또는 도형으로 표현하여 바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정보를 다수의 색상으로 표현하는 경우, 예컨대, 농도, 채도, 및 명도와 같은 색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 값을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바코드 이미지를 도형으로 표현하는 경우, 예컨대, 다양한 도형의 모양 및 크기의 조합 등을 통해서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데이터 값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음성정보 내에 삽입되는 사용자동의정보가 사용자텍스트정보인 경우, 사용자텍스트정보의 데이터 값을 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고, 변조된 주파수 신호를 인코딩함으로써, 비 가청 주파수 대역에 사용자텍스트정보가 인코딩된 음성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각 고유의 데이터 값을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색상 또는 도형으로 표현하는 방식을 통해서 바코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바코드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음성정보의 재생과, 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가능함을 예상할 수 있다.
이후, 전자문서생성부(250)는 바코드정보의 생성이 완료되면, 바코드가 삽입된 전자문서(예: 계약서)를 생성하여 저장/관리한다(S160).
참고로, 전자문서에 삽입되는 바코드정보의 경우, 예컨대,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가 삽입되어 생성된 원본바코드정보와,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한 저장위치와 관련하여 생성된 접속바코드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보안 정책 상 전자문서에 원본바코드정보를 삽입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전자문서에는 접속바코드정보만을 삽입함으로써, 전자문서로부터 원본바코드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전자문서에 접속바코드정보가 삽입된 경우, 접속바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원본바코드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소정의 인증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추가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인증정보를 설정함으로써, 접속바코드정보를 인식한 인식주체(예: 바코드인식장치)로부터 설정된 인증정보가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원본바코드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2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100)에 제공함으로써, 음성정보를 사용자가 청취하여야만 하는 기존 음성 관련 서비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코드정보를 전자문서에 삽입하여 관리함으로써, 음성정보 및 사용자동의정보의 저장/관리에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음성정보의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며, 사용자단말로부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바코드정보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음성정보의 재생 및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사용자단말
200: 음성서비스장치
210: 화면정보생성부 220: 화면정보제공부
230: 동의정보획득부 240: 바코드정보생성부
250: 전자문서생성부

Claims (9)

  1.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의 내용을 사용자단말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는 화면정보생성부;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정보제공부;
    상기 화면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를 획득하는 동의정보획득부; 및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정보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의 재생 및 상기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코드정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음성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 입력된 사용자텍스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정보는,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가 삽입되어 생성된 원본바코드정보, 및 상기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한 저장위치와 관련하여 생성된 접속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서비스장치는,
    상기 바코드정보가 삽입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
  5. 음성정보에 대한 사용자 청취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음성정보의 내용을 사용자단말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생성하는 화면정보생성단계;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화면정보제공단계;
    상기 화면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사용자동의정보를 획득하는 동의정보획득단계; 및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를 삽입한 바코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바코드정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바코드정보로부터 상기 음성정보의 재생 및 상기 사용자동의정보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바코드정보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동의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인식된 사용자음성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로 입력된 사용자텍스트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정보는,
    상기 음성정보 내 상기 사용자동의정보가 삽입되어 생성된 원본바코드정보, 및 상기 원본바코드정보를 저장한 저장위치와 관련하여 생성된 접속바코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바코드정보가 삽입된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전자문서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50154361A 2015-11-04 2015-11-04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52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361A KR20170052193A (ko) 2015-11-04 2015-11-04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361A KR20170052193A (ko) 2015-11-04 2015-11-04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193A true KR20170052193A (ko) 2017-05-12

Family

ID=5874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361A KR20170052193A (ko) 2015-11-04 2015-11-04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21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75572B (zh) 在即时通信应用中发送多张图片的方法、装置及系统
CN102541638A (zh) 基于条件的资源布置
CN104301207B (zh) 网络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12073307B (zh) 邮件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20150356060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ly writing a user's autobiography
CN107111649B (zh) 将用户和系统数据从源位置上传到目的地位置
US20230359687A1 (en) Browser-based mobile image capture
US8954533B2 (en) Server unit, browsing system and delivery method
CN104737128A (zh) 用于多用户账户的二进制的重新使用
CN111507698A (zh) 用于转账的处理方法和装置、计算设备及介质
CN110970011A (zh) 图片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493042A (zh) 浏览系统、终端机、图像服务器、程序、记录有程序的电脑可读取记录媒体及方法
CN104517068A (zh) 一种处理录音文件方法和装置
CN107862035B (zh) 会议记录的网络读取方法、装置、智能平板和存储介质
CN109408191A (zh) 页面更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236583B (zh) 支持互斥功能的方法及其数字版权管理装置
US10972746B2 (en) Method of combining image files and other files
CN110059081A (zh) 基于数据展示的数据输出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KR20170052193A (ko) 음성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138717A (zh) 一种富文本信息的发布方法及相关装置
KR20140136587A (ko) 사운드 스토리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603716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device short range communication pairing system and method
CN113110829A (zh) 多ui组件库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2463409A (zh) 数据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5608556A (zh) 一种数据交互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