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291A - Electrode Assembly Having Bonding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Having Bonding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291A
KR20170051291A KR1020160139491A KR20160139491A KR20170051291A KR 20170051291 A KR20170051291 A KR 20170051291A KR 1020160139491 A KR1020160139491 A KR 1020160139491A KR 20160139491 A KR20160139491 A KR 20160139491A KR 20170051291 A KR20170051291 A KR 2017005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electrode
electrode assembly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6118B1 (en
Inventor
안유진
안인구
윤형구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7005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1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1022
    • H01M2/1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two electrodes, in which at least one surface of both surfaces is coated with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separation film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wherei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eparation film is/are coated with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resin. Provided i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film is pressed on an electrode interface 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of the acrylic resin to form an electrode separation complex,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ion film are coupled to each other.

Description

경도 향상을 위한 접착층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lectrode Assembly Having Bonding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dhesive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0002]

본 발명은 경도 향상을 위한 접착층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dhesive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나 청정에너지의 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전기화학을 이용한 발전, 축전 분야이다.Due to the rapid increase in the use of fossil fuels, the demand for the use of alternative energy or clean energy is increasing. As a part of this, the most active field of research is electric power generation and storage.

현재 이러한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화학 소자의 대표적인 예로 이차전지를 들 수 있으며, 점점 더 그 사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At present, a typical example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utilizing such electrochemical energy is a secondary battery, and the use area thereof is gradually increasing.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카메라 등의 휴대용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에 대해 많은 연구가 행해져 왔고, 또한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Recently, 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portable devices such as portable computers, portable phones, and cameras have increased,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energy sources has increased sharply. Among such secondary batteries, they exhibit high energy density and operating potential,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long self discharge rate, and it has been commercialized and widely used.

한편, 충방전시 전극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응력이 전극조립체 내부에 축적되게 되고, 그러한 응력 축적이 일정한 한계를 넘어서면 전극조립체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전극과 분리막이 분리되어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과 분리막 사이의 소정 이상의 접착력이 요구되고, 또한 전극조립체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이상의 경도가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ess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s accumulated 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when the stress accumulation exceeds the certain limit,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occurs, In order to prevent a gap from being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 predetermined or higher adhesive force is required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a hardness of at least a predetermined level is required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막으로서 그 제조비용의 절감을 위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분리막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분자 분리막은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으로 인해 분리막과 전극을 결합하는 제조 과정에서 외부 충격으로 인해 분리막이 파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separation membrane of a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material may be used as a separation membran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order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However, such a polymer separato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eparator may be broken due to an external impac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ombining the separator and the electrode due to the disadvantage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is weak.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fundamentally solving such proble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technical problems requir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분리막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접착층이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가압되어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형성할 경우, 전극과 분리막의 결착력이 향상되고,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향상되어 충방전시 전극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극조립체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바, 전지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conducted intensive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and have found that the adhesive layer coa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eparator is coated with an adhesive lay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 And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binding strength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s improv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eparator is improved, and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deformation of an induced electrode assembly and thus can provide a battery with excellent stability and dur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based on this find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전극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고,Where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h surfaces,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상기 분리막 일면 또는 양면에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is coat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eparator,

상기 분리막의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가압되어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embrane electrode conjugate,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electrode membrane is a binder with each other.

여기서, 분리막에 코팅된 접착층을 유리전이온도(Tg)까지 가온함에 따라 접착층의 일부가 용융되는 바, 용융된 접착층을 전극 계면에 가압할 경우, 전극 계면과의 접착력을 발휘하여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후 유리전이온도(Tg)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된 접착층을 경화되어 용융 이전의 접착층이 갖는 경도 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어 강성 높은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Here, when to press the bar is a part of the adhesive layer melt, melt adhesive as heating an adhesive layer coated on the membrane to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on the electrode interface, to exer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electrode interfa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membrane It may be such that the binding to each other, the curing of the molten adhesive at a temperature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since it is possible to form a rigid high electrode membrane composite can have a higher strength than the hardness with a previous melt adhesive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는, 분리막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접착층이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가압되어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전극과 분리막의 결착력이 향상되고,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향상되어 충방전시 전극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극조립체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바, 전지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Thus,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coated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resin in the membrane one or both sides, is the adhesive layer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at a temperature betwe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or more acrylic resins By forming the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s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improv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caus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battery is obtained.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과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스택(stack)형 전극조립체, 또는 긴 분리 필름 상에 양극, 음극,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접합되어 있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or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nit cells are placed in a state of being placed, or a lamination-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unit cells are laminated and bond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전극과 분리막 간의 접착력과 전극 분리막 복합체의 경도를 얼마의 크기로 설정하는 바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상세하게는,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며, 또는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1.0 마이크로미터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여기서, 접착층의 두께가 0.5 마이크로미터 미만일 경우, 발명이 요하는 접착력 및 경도를 발휘할 수 없고, 반대로 50 마이크로미터 이상일 경우, 이온 전도성이 떨어져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how much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the hardness of the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are set,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0.5 to 50 micrometers, Or from 0.5 micrometer to 1.0 micrometer, and more specifically from 1.0 micrometer to 20 micrometer. I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0.5 micrometer, the adhesive strength and hardness required by the invention can not be exhibited. 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is more than 50 micrometers, the ion con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may deteriorate.

또한, 상기 접착층의 코팅 면적은 분리막 일면의 전체 면적의 50% 내지 100%일 수 있고, 100% 미만일 경우, 상기 접착층은 분리막 상에 평면상으로 복수의 스트립 형상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턴, 또는 평면상으로 복수의 아일랜드 형상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턴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의 패턴 코팅은, 분리막과 전극 사이에 접착층이 존재하는 면적과 비존재하는 면적을 갖게 하는 바, 비존재하는 면적에서는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아 일정 수준 전지의 성능을 보장하면서, 접착층이 존재하는 면적에서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발휘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may have a coating area of 50% to 100% of the total area of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When the adhesive layer is less than 100%, the adhesive layer may be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strip shapes are repeatedly formed on a plane And can be coated with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island shap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on a plane. The pattern coating of the adhesive layer has an area in which the adhesive layer exists between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lectrode and an area in which the adhesive layer is not present. In the non-existing area, the ion conductivity is not lowered,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can be improved and the rigidity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접착층이 전극 계면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580 kg·f/m2 내지 780 kg·f/m2일 수 있고, 상세하게는 640 kg·f/m2 내지 720 kg·f/m2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680 kg·f/m2일 수 있다. 이때, 가압력이 580 kg·f/m2 미만일 경우 접착층이 본 발명이 요구하는 전극과 분리막 간의 접착력 및 경도를 나타내지 못할 수 있고, 780 kg·f/m2를 초과할 경우 전극 내지 분리막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pressing force by which the adhesive layer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may be from 580 kgf / m 2 to 780 kgf / m 2 , and more specifically from 640 kgf / m 2 to 720 kgf / m < 2 >, and more particularly 680 kgf / m < 2 >. At this time, if the pressing force is less than 580 kgf / m 2 , the adhesive layer may not exhibit the adhesion force and hardness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if it exceeds 780 kgf / m 2 , Lt; / RTI >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섭씨 60도 내지 섭씨 100도일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는 Tg 내지 Tg 보다 10℃ 높은 온도 범위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acrylic resi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60 ° C. to 100 ° C., and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 of the acrylic resin is 10 ° C. higher than T g to T g .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아크릴계 수지는 단량체, 올리고머, 저분자량의 고분자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저분자량의 고분자의 혼합물이 중합되어 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일 수 있고, 상기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acrylic resin contains at least one or more of a monomer, an oligomer, and a polymer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and a mixture of the monomer, oligomer, or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is polymerized to form an adhesive layer,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but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and the monomer or oligomer may be an acrylate or acrylic acid derivative. (Meth) acrylate, isobutyl acrylate, heptyl acrylate, isooctyl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isodecyl acrylate, and lauryl Or more, and the polymer may be a polyester acrylate, an epoxy acrylate, It can be a urethane acrylat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접착층은 무기물 필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기물 필러의 함량은 아크릴계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으며,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착층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무기물 필러의 함량이 0.1 중량% 이하일 경우 무기물 필러의 첨가에 따른 경도 향상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adhesive layer may comprise an inorganic filler, and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may be from 0.1% by weight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acrylic resin, and when the content exceeds 30% by weight ,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0.1% by weight or less, it is difficult to exhibi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hardness upon addition of the inorganic filler.

또한, 상기 무기물 필러는 예를 들면, Al2O3, ZnO, ZnS, SiO2, ZrO2, SnO2, CeO2, MgO, CaO, Y2O3, TiO2, Sb2O3, BaTiO3, SrTiO3, SiC 및 Si3N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The inorganic fill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 2 O 3 , ZnO, ZnS, SiO 2 , ZrO 2 , SnO 2 , CeO 2 , MgO, CaO, Y 2 O 3 , TiO 2 , Sb 2 O 3 , BaTiO 3 , SrTiO 3 , SiC, and Si 3 N 4 .

또한,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D50)은 접착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10 내지 80%의 크기일 수 있고, 상기 평균 입경이 10% 미만일 경우 너무 미세한 입자로 필러가 형성되어 있어, 제조시 취급이 어려울 수 있고, 80%를 초과할 경우, 전극 계면에 접착층의 가열 압착시에 결착을 방해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size (D50) of the filler may be 10 to 80%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nd when the average particle size is less than 10%, the filler is formed with too small particles, If it exceeds 8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inding at the time of hot pressing of the adhesive layer on the electrode interfac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Specifically,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분리막의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과정;(a) forming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on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b) 상기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층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하는 과정;(b) arranging the electrodes so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or faces each other;

(c) 상기 분리막의 접착층을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열 프레스(heat press) 공정을 통해 가압하는 과정; 및(c) press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through a heat press process; And

(d) 결착된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경화하는 과정;(d) curing the bound electrode membrane composite at a temperature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을 포함할 수 있다.. ≪ / RTI >

그러나, 반드시 상기 (a) 과정 및 (b) 과정의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b) 과정이 (a) 과정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제조방법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equential steps (a) and (b), and the step (b)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tep (a) And can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섭씨 60도 내지 섭씨 100도일 수 있고, 또한, 상기 (c) 과정에서 분리막의 접착층이 전극 계면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580 kg·f/m2 내지 780 kg·f/m2일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acrylic resi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rom 60 degrees centigrade to 100 degrees centigrade, and the pressing force at which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or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in the step (c) is 580 kgf / m 2 To 780 kgf / m < 2 >.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접착층의 (a) 과정의 코팅 두께는 (c) 과정의 가압 공정 이후의 접착층의 두께에 190% 내지 210%로 설정할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coating thickness of process (a)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set to 190% to 210% o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fter the pressing process of process (c).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서,Further, in the above production method,

(e) 상기 (d) 과정의 분리막의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과정; (e) forming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on a surface of the separator in which the adhesive layer of the step (d) is not coated;

(f) 상기 전극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전극을 (e) 과정에서 형성시킨 분리막의 접착층과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하는 과정;(f) disposing an electrode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o the electrode so as to face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formed in the step (e);

(g) 상기 분리막의 접착층을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반대 극성을 가진 전극 계면에 열 프레스(heat press) 공정을 통해 가압하는 과정; 및(g) press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to an electrode interface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hrough a heat press process; And

(h) 상기 (g) 과정에서 결착된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경화하는 과정;(h) curing the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bound in the step (g)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battery cell including the electrode assembly for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이러한 전지셀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attery cell are well known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cell.

이러한 전지팩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battery pack are well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웨어러블 전자기기, 태플릿 PC, 스마트 패드, 넷북,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pack as a power source. Specifically, the device may be,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a portable compute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tablet PC, a smart pad, a netbook, a LEV (Light Electronic Vehicle),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 And a power storage device.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uch a device are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는, 분리막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접착층이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가압되어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전극과 분리막의 결착력이 향상되고,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향상되어 충방전시 전극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극조립체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바, 전지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공할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eparation membrane surface, or there is a bonding layer which on both sides comprises an acrylic resin is coated, the adhesive layer to the electrode at a temperature betwe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or more of an acrylic resin surface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re bonded to each other to form an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Thus,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is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eparator is improved. Thus, the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durability of a battery.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나타낸 모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나타낸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열 압착하기 이전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분리막 양면에 전극 분리막 복합체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나타낸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1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before thermocompression bonding of the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separation membrane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가 모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나타낸 측면도가 모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view shown is schematically shown.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는 양극합제(114)가 집전체(112) 양면에 도포된 양극(110)과 음극합제(124)가 집전체(122) 양면에 도포된 음극(120)이 분리막(130)을 사이에 두고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스택(stack)형 전극조립체(100)이다.1, an electrode assembly 100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assembly 110 and a negative electrode assembly 124 coated on both sides of a current collector 112 with a current collector 122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100 in which cathodes 120 coated on both sides are laminat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with a separato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의전극 분리막 복합체(200)는 일면에 전극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극(110), 분리막(130), 및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00)의 분리막(130)의 일면에 코팅되어 있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14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접착층(140)은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양극(110) 계면에 가압되어 양극(110)과 분리막(130)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 (200)를 형성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200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110, a separator 130,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nd an adhesive layer 140 including an acrylic resin coated on one sid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of the assembly 100. The adhesive layer 140 is pressed onto the interface of the anode 110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of the acrylic resin to form the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200 in which the anode 110 and the separation membrane 130 are bonded to each other have.

이때, 접착층(140)의 두께(T1)는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이며, 또한, 접착층(140)의 코팅 면적은 분리막(130) 일면의 전체 면적은 100%이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T 1 of the adhesive layer 140 is 0.5 to 50 micrometers, and the total area of one surface of the separation layer 130 is 100%.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열 압착하기 이전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나타나있다.FIG. 3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before thermocompression of an electrode membrane compos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전극 분리막 복합체(200)를 열 압착하여 형성되기 이전의 접착층(140)의 코팅 두께(T3)는 가압 공정 이후의 접착층(140)의 두께(T1)에 190% 내지 210%이다.2 and 3, the coating thickness T 3 of the adhesive layer 140 before the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200 is form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T 1 of the adhesive layer 140 after the pressing process, To 190% to 210%.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분리막(130) 양면에 전극 분리막 복합체(210)가 형성된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210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separation membrane 130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전극 분리막 복합체(210)의 분리막(130)의 접착층(140)이 형성되지 않은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141)을 코팅하여 형성시키고, 형성된 접착층(141)을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가압하여 음극(120)과 분리막(130)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210)가 형성되어 있다.4, an adhesive layer 141 including an acrylic resin is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of the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210 in which the adhesive layer 140 is not formed, and the adhesive layer 141 )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T g) is pressed on the electrode interface at temperatures above the cathode 120 and the separator 130 are electrode membrane composite (210 in the binder) is formed with one another.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의 전극 분리막 복합체(300)를 나타낸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FIG. 5 schematically shows a side view of an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300 of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의 전극 분리막 복합체(300)는 접착층(340)에 무기물 필러(350)를 포함하고 있고, 이러한 무기물 필러(230)로 Al2O3을 사용하였고, 무기물 필러(350)의 함량은 아크릴계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30 중량%이다. 5, an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300 of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organic filler 350 in an adhesive layer 340, Al 2 O 3 is used as the filler 230, and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350 is 0.1 wt% to 30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acrylic resin.

또한, 무기물 필러(350)의 평균 입경(D50)은 접착층(140)의 두께(T1)를 기준으로 30% 내지 50%의 크기이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of the inorganic filler 350 is 30% to 50% based on the thickness T 1 of the adhesive layer 140.

도 6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500)은,Referring to FIG. 6, a method 500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분리막(130)의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140)을 형성시키는 (a) 과정(510);(A) forming 510 an adhesive layer 140 including an acrylic resin on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130;

전극과 분리막(130)의 접착층(140)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하는 (b) 과정(520);(B) arranging the electrodes and the adhesive layer 140 of the separator 130 so as to face each other;

분리막(130)의 접착층(140)을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열 프레스(heat press) 공정을 통해 가압하는 (c) 과정(530); 및(C) a step (530) of pressing the adhesive layer 140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through the heat press process to the electrode interface; And

결착된 전극 분리막 복합체(200)를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경화하는 (d) 과정(540);(D) curing (540) the cured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200 at a temperature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분리막(130)에 코팅된 접착층(140)을 유리전이온도(Tg)까지 가온함에 따라 접착층(140)의 일부가 용융되는 바, 용융된 접착층(140)을 전극 계면에 가압할 경우, 전극 계면과의 접착력을 발휘하여 전극과 분리막(130)이 서로 결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후 유리전이온도(Tg) 미만의 온도에서 용융된 접착층(140)을 경화되어 용융 이전의 접착층(140)이 갖는 경도 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어 강성 높은 전극 분리막 복합체(200)를 형성한다.Here, when to press the adhesive layer 140,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bar, which is a part of the adhesive layer 140 is melted, as heated to a melt adhesive layer 140 is coated on the membrane 130 to the electrode interface, The adhesive layer 140 is cur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and is cured to form the adhesive layer 140 before melting, And the rigidity of the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200 is increased.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섭씨 60도 내지 섭씨 100도이다. 또한, (c) 과정(530)에서 분리막(130)의 접착층(140)이 전극 계면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580 kg·f/m2 내지 780 kg·f/m2로 설정하였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is from 60 degrees centigrade to 100 degrees centigrade. In step (c), the pressing force by which the adhesive layer 140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is set to 580 kg · f / m 2 to 780 kg · f / m 2 .

접착층(140)의 (a) 과정(510)의 코팅 두께는 (c) 과정(530)의 가압 공정 이후의 접착층(140)의 두께에 190% 내지 210%로 설정하였다.The coating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40 in step (a) 510 is set to 190% to 210% o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140 after the pressing process in step (c)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제조방법에서,Referring to Fig. 6,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ig. 5,

(d) 과정(540)의 분리막(130)의 접착층(140)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140)을 형성시키는 (e) 과정(610); (d) a step (e) of forming (610) an adhesive layer 140 including an acrylic resin on a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of the process 540 where the adhesive layer 140 is not coated;

전극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전극을 (e) 과정에서 형성시킨 분리막(130)의 접착층(140)과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하는 (f) 과정(620);(F) step 620 of arranging the electrode having the opposite polarity to the electrode to face the adhesive layer 140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formed in the process (e);

분리막(130)의 접착층(140)을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반대 극성을 가진 전극 계면에 열 프레스(heat press) 공정을 통해 가압하는 (g) 과정(630); 및(G) pressing (630) the adhesive layer (140) of the separation membrane (130) through a heat press process to an electrode interface having an opposite polarity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And

(g) 과정에서 결착된 전극 분리막 복합체(200)를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경화하는 (h) 과정(640); (h) curing (640) the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200 bound in step (g) at a temperature less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서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Examples, Comparative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 &Lt; Example 1 >

(전극의 제조)(Preparation of electrode)

양극은, NMP(N-methyl-2-pyrrolidone)를 분산매로 사용하고, 활물질인 LiCoO2(96g), 아세틸렌 블랙(2g) 및 PVDF 바인더(2g)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알루미늄 호일에 15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코팅하여 건조한 후 압착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The slurry was prepared by mixing LiCoO 2 (96 g), acetylene black (2 g) and PVDF binder (2 g) as active materials with NMP (N-methyl-2-pyrrolidone) Coated with a thickness of micrometer, dried and compress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전극 분리막 복합체 제조)(Preparation of electrode membrane composite)

무기물 입자 Al2O3을 7 ㎛의 두께의 폴리에틸렌 분리막의 일면에 도포한 후, 아크릴계 수지를 접착층의 두께가 0.5 ㎛이 되도록 도포하여 코팅된 분리막을 제조한다. 준비된 양극의 일면과 코팅된 분리막의 접착층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한 다음, 유리전이온도인 섭씨 80도로 가열된 롤러로 압착하여 전극과 분리막을 결착시킨다.The inorganic particle Al 2 O 3 is coated on one side of a polyethylene separator having a thickness of 7 μm and then an acrylic resin is applied to the adhesive layer to a thickness of 0.5 μm to prepare a coated separator. The one side of the prepared anode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coated separator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n they are pressed with a roller heated to 80 DEG C, which i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o bind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실시예 2> (전극 분리막 복합체 제조)Example 2 (Preparation of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아크릴계 수지를 접착층의 두께가 1.0 ㎛이 되도록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Except that the acrylic resin was appli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became 1.0 占 퐉.

<비교예 1> (전극 분리막 복합체 제조)&Lt; Comparative Example 1 > (Preparation of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method of Example 1, except that the acrylic resin was not applied.

<비교예 2> (전극 분리막 복합체 제조)&Lt; Comparative Example 2 > (Preparation of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아크릴계 수지를 접착층의 두께가 2.0 ㎛이 되도록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Except that the acrylic resin was appli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became 2.0 占 퐉.

<실험예 1> (전극 분리막 복합체의 강도 측정 시험)&Lt; Experimental Example 1 > (Strength Measurement Test of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Texture Analyser(3pint bending) 분석 장비를 사용하여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전극분리막 복합체의 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도 8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strength of the electrode membrane composite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3pint bending) analyzer.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 and Table 1 below.

강도 (비교예 1 대비 강도, %)Strength (Strength relative to 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00%100% 실시예 1Example 1 112%112% 실시예 2Example 2 138%138%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93%193%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처럼, 본원의 실시예 1 및 2는 접착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해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극조립체는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향상되어 충방전시 전극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극조립체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2는 실시예 1 및 2에 비해 강도가 월등히 높지만, 접착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접착층이 전지의 충방전 성능에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못하다.As shown in Table 1,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higher strength than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no adhesive layer was formed, and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eparator, It can be expected that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discharg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2, the strength is much higher than that in Examples 1 and 2, bu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too thick, which is not suit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acts as a resistance against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는, 분리막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고, 상기 접착층이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가압되어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전극과 분리막의 결착력이 향상되고,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 향상되어 충방전시 전극의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해 유발되는 전극조립체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바, 전지의 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공할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As previously describe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coated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resin in the membrane one or both sides,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the electrode interface at a temperature betwe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or more acrylic resins By forming the electrode separation membrane composite in which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are pressed together,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ion membrane is improv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separation membrane is improved. Thus, the deformation of the electrode assembly caus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ring char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is excellent in stability and durability of a battery.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Claims (23)

양면 중 적어도 일면에 전극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둘 이상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분리막 일면 또는 양면에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막의 접착층은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가압되어 전극과 분리막이 서로 결착되어 있는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Wherein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co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oth surfaces,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is coat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eparator,
The adhesive layer of th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membrane electrode conjugate, which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and the electrode membrane is a binder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양극과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스택(stack)형 전극조립체, 또는 긴 분리 필름 상에 양극, 음극, 분리막을 포함하는 유닛셀들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권취한 구조의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또는 유닛셀들이 평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접합되어 있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전극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n anode and a cathode are laminat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or a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node, a cathode, Stacked electrode assembly in which the unit cells are stacked in a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ne, and stacked-stacked electrode assemblie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nit cells are wound in a state in which unit cells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0.5 micrometers to 50 micrometer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0.5 마이크로미터 내지 1.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0.5 micrometer to 1.0 microme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코팅 면적은 분리막 일면의 전체 면적의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ating area of the adhesive layer is 50% to 100% of the total area of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분리막 상에 평면상으로 복수의 스트립 형상들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턴, 또는 평면상으로 복수의 아일랜드 형상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패턴으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coated with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strip shapes are repeatedly formed on a plane on a separation membrane, or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island shap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 plane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전극 계면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580 kg·f/m2 내지 780 kg·f/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ing force by which the adhesive layer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is 580 kgf / m 2 to 780 kgf / m 2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섭씨 60도 내지 섭씨 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ic resi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60 ° C to 100 ° 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는 Tg 내지 Tg 보다 10℃ 높은 온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 g ) of the acrylic resin is 10 ° C higher than T g to T g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단량체, 올리고머, 저분자량의 고분자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단량체, 올리고머, 또는 저분자량의 고분자의 혼합물이 중합되어 접착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acrylic res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ic resin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of a monomer, an oligomer and a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and a mixture of the monomer, oligomer or low molecular weight polymer is polymerized to form an adhesive layer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i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계, 또는 아크릴산 유도체이고,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monomer or oligomer is an acrylate or acrylic acid derivative, and the polymer is a polyester acrylate, an epoxy acrylate, or a urethane acrylat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무기물 필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n inorganic fill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필러의 함량은 아크릴계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s 0.1 wt% to 30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acrylic resi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필러는 Al2O3, ZnO, ZnS, SiO2, ZrO2, SnO2, CeO2, MgO, CaO, Y2O3, TiO2, Sb2O3, BaTiO3, SrTiO3, SiC 및 Si3N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organic filler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 2 O 3 , ZnO, ZnS, SiO 2 , ZrO 2 , SnO 2 , CeO 2 , MgO, CaO, Y 2 O 3 , TiO 2 , Sb 2 O 3 , BaTiO 3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rTiO 3, SiC and Si 3 N 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D50)은 접착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10 내지 8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13.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of the filler is 10 to 80%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분리막의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과정;
(b) 상기 전극과 분리막의 접착층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하는 과정;
(c) 상기 분리막의 접착층을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전극 계면에 열 프레스(heat press) 공정을 통해 가압하는 과정; 및
(d) 결착된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경화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a) forming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on one surface of the separator;
(b) arranging the electrodes so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or faces each other;
(c) press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through a heat press process; And
(d) curing the bound electrode membrane composite at a temperature below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t; / RTI &gt;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섭씨 60도 내지 섭씨 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acrylic resi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60 ° C to 100 ° C.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 과정에서 분리막의 접착층이 전극 계면에 가압되는 가압력은 580 kg·f/m2 내지 780 kg·f/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pressing force by which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or is pressed against the electrode interface in the step (c) is 580 kgf / m 2 to 780 kgf / m 2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a) 과정의 코팅 두께는 (c) 과정의 가압 공정 이후의 접착층의 두께에 190% 내지 21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n step (a) is set to 190% to 210% of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after the pressing step in step (c). 제 16 항에 있어서,
(e) 상기 (d) 과정의 분리막의 접착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일면에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과정;
(f) 상기 전극과 반대 극성을 가진 전극을 (e) 과정에서 형성시킨 분리막의 접착층과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하는 과정;
(g) 상기 분리막의 접착층을 아크릴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반대 극성을 가진 전극 계면에 열 프레스(heat press) 공정을 통해 가압하는 과정; 및
(h) 상기 (g) 과정에서 결착된 전극 분리막 복합체를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경화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e) forming an adhesive layer including an acrylic resin on a surface of the separator in which the adhesive layer of the step (d) is not coated;
(f) disposing an electrode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o the electrode so as to face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formed in the step (e);
(g) press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separation membrane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resin to an electrode interface having an opposite polarity through a heat press process; And
(h) curing the electrode separator composite bound in the step (g)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A battery cell comprising the electrode assemb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5. 제 21 항에 따른 전지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cell according to claim 21. 제 22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A mobile devic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22 as a power source.
KR1020160139491A 2015-11-02 2016-10-25 Electrode Assembly Having Bonding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1961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64 2015-11-02
KR20150153064 2015-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91A true KR20170051291A (en) 2017-05-11
KR102196118B1 KR102196118B1 (en) 2020-12-29

Family

ID=58741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91A KR102196118B1 (en) 2015-11-02 2016-10-25 Electrode Assembly Having Bonding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11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448B1 (en) * 2021-10-12 2022-08-12 이혜경 Cosmetic adhesive composition with improved thixotrop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24154B2 (en) 2018-12-24 2023-11-21 Lg Energy Solution, Ltd. Stack 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bending phenomenon is alleviat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897A (en)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A method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of a separator, a separator having adhesive layer formed therefrom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50089000A (en) * 2012-11-26 2015-08-04 제온 코포레이션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separator laminate, and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000A (en) * 2012-11-26 2015-08-04 제온 코포레이션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separator laminate, and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076897A (en) * 2013-12-27 2015-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A method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of a separator, a separator having adhesive layer formed therefrom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4154B2 (en) 2018-12-24 2023-11-21 Lg Energy Solution, Ltd. Stack type electrode assembly in which bending phenomenon is alleviat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431448B1 (en) * 2021-10-12 2022-08-12 이혜경 Cosmetic adhesive composition with improved thixotrop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71318B1 (en) * 2021-10-12 2022-11-28 이혜경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adhesive composition with improved thixotro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118B1 (en) 202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0461B1 (en) Bipolar electrode, bipolar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bipolar electrode
KR101637477B1 (en) Separator having high electrode adhe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145534B1 (en) Separator Comprising Adhesive Coating Portions Having Different Adhesive Strength from One Another and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1577881B1 (en) Bipolar all-solid-state battery
KR101604834B1 (en) Structure for electrode assembly and Stack-folding typed electrode assembly prepared from the same
CN102893427B (en) Barrier film and comprise the electrochemical appliance of this barrier film
US20110162198A1 (en) Method of producing solid electrolyte-electrode assembly
CN110233281B (en) All-solid-state battery
EP2849273A1 (en) Electrode lamina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US20130189561A1 (en) Reinforcing material for battery cell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CN103730684A (en) High-safety all-solid-state lithium ion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6522494B2 (en) All solid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097678A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device
KR20110138718A (en) Pocketed electrode plate, electrod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reof
KR102196118B1 (en) Electrode Assembly Having Bonding Layer For Improving Hardnes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238664B1 (en) 2-dimensional coating material compositions including graphene and method of making secondary battery separators employing the same
JPWO2020137388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ll-solid-state battery and all-solid-state battery
KR101154884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Top Insulator Combined with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CN109546230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laminated assembly and electrode laminated assembly
KR20130131843A (en) Novel electrode separator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JP6861127B2 (en) Electrod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JP662297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all solid state battery
KR102197360B1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One-sided Coating Electrode of Improved Mechanical Strength
JP4601323B2 (en) Electrode element for large-siz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507631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stat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