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202A -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202A
KR20170051202A KR1020160114098A KR20160114098A KR20170051202A KR 20170051202 A KR20170051202 A KR 20170051202A KR 1020160114098 A KR1020160114098 A KR 1020160114098A KR 20160114098 A KR20160114098 A KR 20160114098A KR 20170051202 A KR20170051202 A KR 20170051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fork shaft
fork
axial direc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237B1 (ko
Inventor
이재우
김영학
Original Assignee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정개발특장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1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41Arrangements of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36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F16H57/0445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for supply of different gearbox casings or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포크가 구비되고, 상기 시프트 포크는 엔진 구동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기어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기어비를 가변하기 위한 슬리브에 연결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포크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의 동축 상에 배치되는 포크 샤프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 샤프트 제어부는, 케이스, 상기 포크 샤프트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되, 상기 포크 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으로부터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포크 샤프트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일단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3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제2 피스톤 및 제3 피스톤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결합홈에 실링 조립체가 구비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FORK SHAFT ASSEMBLY FOR INTERMEDIAT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크 샤프트의 일단을 지지하는 포크 샤프트 제어부의 내부에 실링 조립체가 구비된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간변속기는 전, 후축 동력을 배분하여 동력을 전달해주는 장치로서 주로 험로 및 야지에서 주행 또는 작업을 하는 장비에 장착되는 장치이다.
중간변속기는 전, 후 차축 사이에 설치되어 노면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기어비를 선택함으로서 알맞은 변속 주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변속기 장치이다.
일 예로, 중간변속기는 중립단, 저속단 및 고속단의 3단 변속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주행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차량 및 장비에 부담감을 줄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뿐 아니라 안전하게 속도 및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다.
중간변속기는 입력축과 출력축이 변속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그 외주에는 다수의 마찰요소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는 선택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져 변속 작동을 이루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선택적 작동은 공압 또는 수동으로 변속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간변속기는 포크 샤프트(fork shaft)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프트 포크(shift fork)가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엔진 구동력을 공급받는 구동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한 쌍 이상의 기어부가 구비되며, 한 쌍의 기어부에서 슬리브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슬리브는 상기 포크 샤프트와 일체로 이동되는 포크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시프트 포크는 포크 샤프트의 일단에 배치되는 포크 샤프트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왕복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크 샤프트의 타단에는 포크 샤프트 가이드 부재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포크 샤프트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포크 샤프트와 함께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가 마모되어 실링 기능 저하로 인하여 유압 제어 중에 오작동되는 문제를 내포한다.
미국특허 9,279,494(2016.03.08)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크 샤프트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포크 샤프트와 함께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에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내구성을 확보하여 실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는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포크가 구비되고, 상기 시프트 포크는 엔진 구동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기어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기어비를 가변하기 위한 슬리브에 연결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포크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의 동축 상에 배치되는 포크 샤프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 샤프트 제어부는, 케이스, 상기 포크 샤프트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되, 상기 포크 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으로부터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포크 샤프트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일단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3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제2 피스톤 및 제3 피스톤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결합홈에 실링 조립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 조립체는 이너 링 및 상기 이너 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링은 NBR(nitrile-butadiene rubber)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링은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링은 횡 단면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포크 샤프트의 단부에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피스톤은 상기 소경부를 감싸도록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피스톤과 고정되어 일체로 왕복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피스톤은 상기 제3 피스톤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딩되되, 상기 제2 피스톤의 단부 외주면에는 반경 외측으로 제2 피스톤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 피스톤은 최대로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단턱부에 의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는 포크 샤프트 가이드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포크 샤프트와 함께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에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내구성을 확보하여 실링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중간변속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가 중간변속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의 중간변속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가 중간변속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는 대형 차량의 전후 차축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변속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는 포크 샤프트(130) 및 포크 샤프트(13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포크(140)를 포함하고, 시프트 포크(140)는 엔진 구동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기어(미도시)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복수의 기어비를 구현하기 위한 슬리브(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포크 샤프트(130)의 일단에는 시프트 포크(140)가 포크 샤프트(130)의 축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포크 샤프트 제어부(1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포크 샤프트(130)의 변속단에 따른 디턴트(detent)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디턴트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포크 샤프트 제어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102), 포크 샤프트(130)의 일부가 케이스(102)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포크 샤프트(1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케이스(102)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피스톤(121), 제1 피스톤(121)으로부터 포크 샤프트(130)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포크 샤프트(130)의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피스톤(122) 및 제2 피스톤(122)의 일단에 걸림 고정되고, 포크 샤프트(13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3 피스톤(12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2)의 내주면에는 포크 샤프트(13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밀착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포크 샤프트(130)의 단부 일부분이 케이스(102)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밀착부(103)에 의해 포크 샤프트(130)의 삽입된 일부분이 배치된 케이스(102) 내부에 소정 압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부와 차단되도록 한다.
제1 피스톤(121)은 밀착부(103)로부터 포크 샤프트(130)의 단부 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포크 샤프트(130)의 단부에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단턱진 형상의 소경부(131)가 형성되고, 제1 피스톤(121)은 소경부(13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피스톤(121)은 소경부(131)에 고정되어서, 포크 샤프트(130)의 이동에 따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 피스톤(121)이 케이스(102)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공간은 제1 챔버(112a)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챔버(112a)에는 유압(流壓)이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형성을 위한 작동 유체가 외부로부터 제1 챔버(112a)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 압력 포트(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압력 포트(111a)로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챔버(112a) 내부에 고압이 생성됨과 동시에 포크 샤프트(130)가 도 3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포크 샤프트(130)의 단부(131b)가 제1 센서(113)의 단자(113a)에 접촉하게 되어 고속 또는 저속으로의 변속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제1 센서(113)는 시프트 포크(140)가 이동시키는 슬리브와 동축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어열의 배치에 따라 고속 신호 또는 저속 신호용 센서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피스톤(121)을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제2 피스톤(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스톤(122)은 소경부(131)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피스톤(122)은 소경부(131)에 고정됨으로써 포크 샤프트(1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 피스톤(122)이 케이스(102)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공간은 제2 챔버(112b)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챔버(112b)에는 유압이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형성을 위한 작동 유체가 외부로부터 제2 챔버(112b)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2 압력 포트(11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압력 포트(111b)로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제2 챔버(112b) 내부에 고압이 생성됨과 동시에 포크 샤프트(130)가 도 3의 상태에 놓여지게 되어 포크 샤프트(130)의 단부(131b)가 작동 센서(113)의 단자(113a)와 이격되는 상태이므로 중간변속기의 중립단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피스톤(122)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피스톤 단턱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피스톤 단턱부(122a)는 후술하는 제3 피스톤(123)이 제2 피스톤(12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2 피스톤(1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3 피스톤(123)의 내주면에는 제2 피스톤(1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싸도록 제3 피스톤 내측 돌기(123a)가 형성되어 제2 피스톤 단턱부(122a)와 걸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피스톤(123)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제3 피스톤 내측 돌기(123a)의 반대측 단부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3 피스톤 단턱부(123b)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피스톤 단턱부(123b)는 케이스(102)의 내주면에 밀착한 상태로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3 피스톤(123)이 케이스(102)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는 공간은 제3 챔버(112c)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챔버(112c)에는 유압이 형성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형성을 위한 작동 유체가 외부로부터 제3 챔버(112c)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3 압력 포트(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압력 포트(111c)로 유압이 공급되는 경우, 제3 챔버(112c) 내부에 고압이 생성됨과 동시에 포크 샤프트(130)가 도 3의 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포크 샤프트(130)의 디턴트부(200) 내부에 위치하는 제2 센서(210)의 단자(미도시)에 접촉함으로써 고속 또는 저속으로의 변속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상기 제2 센서(210)는 시프트 포크(140)가 이동시키는 슬리브와 동축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어열의 배치에 따라 고속 신호 또는 저속 신호용 센서 중 다른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피스톤(121)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결합홈(121g)이 형성되고, 각각의 결합홈(121g)에 실링 조립체(124)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홈(121g)은 각각의 피스톤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홈을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실링 조립체(124)가 안착 고정되도록 한다.
실링 조립체(124)는 이너 링(124a) 및 아우터 링(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링(124a)은 결합홈(121g)에 밀착 고정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아우터 링(124b)은 이너 링(124a)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링(124a)은 쿠션감과 충격 흡수성을 갖는 재질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NBR(nitrile-butadiene rubber)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NBR을 사용하면 아우터 링(124b)의 내주면과 제1 피스톤(121)의 결합홈(121g)의 사이에서 밀착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아우터 링(124b)의 마모에 따라 지름이 감소되는 것을 일정량 보상하게 된다.
아우터 링(124b)은 이너 링(124a)을 감싸는 원형의 횡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약품성 및 마모계수가 작은 재질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테프론(Teflon)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너 링(124a)에 의해 지지되고 아우터 링(124b)을 중심으로 포크 샤프트(13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의 구획 공간이 상호 밀폐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실링 조립체가 이너 링 및 아우터 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일의 실링 부재로 적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볼 때, NBR로 이루어지는 이너 링(124a)이 테프론으로 이루어지는 아우터 링(124b)의 내주면을 지지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 조립체(124)가 제1 피스톤(1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실링 조립체(124)는 제2 피스톤(122) 및 제3 피스톤(123)의 외주면에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해당 피스톤의 직경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의 실링 조립체가 각각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밀착부(103)의 내주면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실링 조립체(124)가 적용됨으로써 밀착부(103)와 포크 샤프트(130) 간의 실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디턴트부(200)는 운전자의 변속에 따른 디턴트감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포크 샤프트(130)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디턴트 홈(미도시)에 대하여 레이디얼(radial)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스틸 볼(steel ball)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디턴트감을 부여하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중간변속기
102: 케이스
110: 포크 샤프트 제어부
121: 제3 피스톤
122: 제2 피스톤
123: 제1 피스톤
124: 실링 조립체
124a: 이너 링
124b: 아우터 링
130; 포크 샤프트
131: 소경부

Claims (7)

  1.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시프트 포크가 구비되고, 상기 시프트 포크는 엔진 구동축에 결합되는 복수의 기어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기어비를 가변하기 위한 슬리브에 연결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포크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일단의 동축 상에 배치되는 포크 샤프트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 샤프트 제어부는,
    케이스;
    상기 포크 샤프트의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되, 상기 포크 샤프트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으로부터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포크 샤프트의 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피스톤; 및
    상기 제2 피스톤의 일단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제3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스톤, 제2 피스톤 및 제3 피스톤의 각각의 외주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결합홈에 실링 조립체가 구비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조립체는 이너 링; 및
    상기 이너 링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아우터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은 NBR(nitrile-butadiene rubber)로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링은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링은 횡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샤프트의 단부에는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피스톤은 상기 소경부를 감싸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포크 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피스톤과 고정되어 일체로 왕복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은 상기 제3 피스톤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딩되되, 상기 제2 피스톤의 단부 외주면에는 반경 외측으로 제2 피스톤 단턱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3 피스톤은 최대로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스톤 단턱부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KR1020160114098A 2015-10-30 2016-09-05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KR101771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480 2015-10-30
KR20150151480 2015-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02A true KR20170051202A (ko) 2017-05-11
KR101771237B1 KR101771237B1 (ko) 2017-08-24

Family

ID=5874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098A KR101771237B1 (ko) 2015-10-30 2016-09-05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24A1 (ko) * 2017-09-15 2019-03-21 명화공업주식회사 액추에이터 피스톤 조립체의 유체 공급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6640B2 (ja) * 2004-11-05 2007-12-26 株式会社阪上製作所 ピストン形シリンダの密封装置
JP5363233B2 (ja) * 2009-07-29 2013-12-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アクチュエータ
KR101694641B1 (ko) 2015-12-22 2017-01-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실링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터빈밸브 유압액추에이터 실린더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24A1 (ko) * 2017-09-15 2019-03-21 명화공업주식회사 액추에이터 피스톤 조립체의 유체 공급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237B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155B2 (ja) 2つおよび3つの安定位置を持つ流体作動式アクチュエータを製造するモジュールシステム
US9334955B2 (en) Drum type-variable speed drive
CN105431655A (zh) 带有双拨叉致动器的动力传输部件
CN101384839A (zh) 汽车变速器的换档装置
CN101517278B (zh) 具有单端致动的变速器换档机构
JP4991300B2 (ja) 車両用変速機
CN105073473A (zh) 具有包括连续密封凸缘的多部分外壳组件的动力传输部件
KR101771237B1 (ko) 중간변속기용 포크 샤프트 어셈블리
US7516691B2 (en) Hydraulic linear drive, particularly a hydraulic transmission actuator
JP2007302232A (ja) 油圧式動力補助操向装置のシーリング部構造
CN104964030B (zh) 一种变速操纵机构及其中压式伺服换档助力气缸
US5788038A (en) Anti-gear-hopping device
EP3308058B1 (en) Actuator assembly driven by a fluid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7110240A (zh) 牙嵌式离合器
US6484600B1 (en) Pneumatic three-position shift mechanism with fewer components
US10626982B2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709399B1 (ko) 트랙터 차동 잠금장치
CN216045392U (zh) 一种换挡助力气缸
KR101908932B1 (ko) 차륜 폭 가변형 차축 및 이를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
KR20150006175A (ko) 자동화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CN113775753A (zh) 一种换挡助力气缸
CN217784186U (zh) 一种双向气控制的减速器操纵总成
CN102606729B (zh) 具有壳体和换挡拨叉的换挡变速器
CN110291297B (zh) 包括主体和在主体中移动的活塞的控制装置
CN109952221A (zh) 动力传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