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083A - 감전보호소자 - Google Patents

감전보호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083A
KR20170051083A KR1020150153444A KR20150153444A KR20170051083A KR 20170051083 A KR20170051083 A KR 20170051083A KR 1020150153444 A KR1020150153444 A KR 1020150153444A KR 20150153444 A KR20150153444 A KR 20150153444A KR 20170051083 A KR20170051083 A KR 20170051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ic shock
shock protection
protection device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국
최윤석
황윤호
최재우
박규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5015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1083A/ko
Publication of KR20170051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Abstract

감전보호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는 전자기기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며, 소체;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둥 형상의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의 외곽의 동심원 상에서 상기 제1전극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전보호소자는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도록 하기 식을 만족할 수 있다.
Vbr > Vin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소자의 항복전압,
Vin은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

Description

감전보호소자{Circuit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감전보호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전된 정전기가 회로부로 효율적으로 흐를 수 있는 감전보호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장치는 심미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탈 재질의 하우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탈 재질의 하우징은 재질의 특성상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특정 소자를 통하여 또는 부위에 따라 외장 하우징과 내장 회로부 사이에 전기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메탈 하우징과 회로부가 루프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노출면적이 큰 메탈 하우징과 같은 전도체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정전기가 유입되는 경우, IC 등의 회로부를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는 통상적으로 충전기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와 같은 충전기는 외부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한 후, 다시 트랜스포머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장치에 적합한 낮은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트랜스포머의 전기적 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트랜스포머 양단에 커패시터로 구성된 Y-CAP을 구비한다.
그러나, 비정품 충전기 등과 같이, Y-CAP이 정규 특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에는 Y-CAP에 의해 DC 전원이 충분히 차단되지 못할 수 있고, 더욱이, AC 전원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설전류는 회로의 접지부를 따라 전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설전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외장 케이스와 같이 인체가 접촉가능한 전도체에도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찌릿찌릿한 느낌의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심한 경우, 사용자가 감전에 의한 치명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메탈 케이스를 채용한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는 누설 전류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감전보호와 정전기 방호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 경우,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갖는 신호들에 각각 대응하는 전기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요소 등을 고려한 소자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0573364(등록일 2006년 4월 1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전기나 외부전원에 의한 누설전류로부터 내부 회로 및/또는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감전보호소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반복적인 정전기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감전보호소자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로서, 소체;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둥 형상의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의 외곽의 동심원 상에서 상기 제1전극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전보호소자는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도록 하기 식을 만족하는 감전보호소자를 제공한다.
Vbr > Vin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소자의 항복전압,
Vin은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
또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의 전체 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의 표면 중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의 표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의 표면 및 상기 제2전극의 내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방전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은 적어도 하나의 방전물질층에 의해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제1외부전극과, 상기 제2전극과 연결되는 제2외부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외부전극을 연결하는 제1전도체와,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외부전극을 연결하는 제2전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탈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전도체와 회로부를 연결하는 감전보호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전원에 의한 누설전류 및 정전기로부터 사용자 및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내부전극을 동심원 상에 놓이도록 배치함으로써 방전이 일어날 수 있는 영역을 넓혀 반복적인 정전기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A-A'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에 방전물질층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의 B-B'에서 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에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100)는 전자기기의 외형을 이루는 메탈 케이스와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어 메탈 케이스를 통하여 유입되는 정전기를 방호하고, 외부전원으로부터 회로부로 유입되는 누설전류를 메탈 케이스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기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Vbr > Vin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소자의 항복전압,
Vin은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
이때, 상기 정격전압은 국가별 표준 정격전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40V, 110V, 220V, 120V 및 100V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감전보호소자(100)는 소체(110), 한 쌍의 내부전극(120) 및 한 쌍의 외부전극(130)을 포함한다.
상기 소체(110)는 복수 개의 시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내부에 한 쌍의 내부전극(120)이 배치된 후 압착, 소성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소체(110)의 외부에는 한 쌍의 외부전극(130)이 구비되고, 한 쌍의 외부전극은 내부전극을 메탈 케이스 및 회로부와 연결시킨다.
이러한 소체(110)는 유전율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체는 세라믹재료, 저온 소결 세라믹(LTCC), 고온 소결 세라믹(HTCC) 및 자성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라믹재료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이며, 금속계 산화 화합물은 Er2O3, Dy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전극(120)는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121)은 원 기둥 형상으로 상기 소체(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전극(122)은 원 기둥 형상으로 상기 소체(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122)은 상기 제1전극(121)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2전극(122)은 내면(122a)과 외면(12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과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2전극(122) 내에 상기 제1전극(121)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122)의 내부에 상기 제1전극(121)이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극(122)은 그 중심에 빈 공간을 가져야 한다.
즉, 상기 제2전극(122)은 링 형태의 기둥 형상으로 그 중심에 원 기둥 형상의 제1전극(121)이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은 서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제1전극(121)의 둘레와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이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방전이 일어날 수 있는 영역을 넓혀 내구성이 우수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상기 제1전극이 원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전극은 링의 기둥 형상을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이 서로 대면하는 면적이 넓은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든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전극(121)은 그 수평 단면이 링, 사각형 및 반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전극(122)은 원형, 사각형 및 반원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전극(121)은 상기 제1외부전극(131)과 연결되며, 상기 제2전극(122)은 상기 제2외부전극(132)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소체(110) 내에는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1외부전극(131)을 연결하기 위한 제1전도체(123) 및 상기 제2전극(122)과 상기 제2외부전극(132)을 연결하기 위한 제2전도체(124)가 배치된다.
상기 제1전도체(123)는 상기 제1전극(121)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1외부전극(131)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2전도체(124)는 상기 제2전극(122)의 외면에서 상기 제2외부전극(132)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상기 제1 및 제2전극(120)은 Ag, Au, Pt, Pd, Ni, Cu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전극(130)은 Ag, Ni, Sn 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121) 및 상기 제2전극(122)은 상기 소체(110) 내에서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때, 상기 제1전극(121)의 일부와 상기 제2전극(122)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이 서로 마주하는 영역은 감전보호소자의 항복전압(Vbr)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전극(121) 및 상기 제2전극(122) 사이의 간격은 10 ~ 100㎛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 사이의 간격은 25㎛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 사이의 간격이 10㎛미만이면, 정전기에 대한 내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또한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 사이의 간격이 100㎛를 초과하면, 방전 개시 전압(동작전압)이 증가하여 정전기에 의한 원활한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전기에 대한 보호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의 두께는 2-10㎛일 수 있다. 여기서, 제1전극(121)과 제2전극(122)의 두께가 2㎛미만이면, 내부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10㎛를 초과하면, 내부전극 사이의 거리 확보가 제한되고, 감전보호소자(100)의 부피가 증가하여 소형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의 정전기에 의한 방전 개시 전압(동작전압)은 1~15kV일 수 있다. 여기서, 감전보호소자(100)의 방전 개시 전압이 1kV이하이면, 정전기에 대한 내성의 확보가 곤란하고, 15kV이상이면, 정전기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이 서로 마주하는 사이에 공극(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공극(140)은 상기 제1전극(121) 및 상기 제2전극(122) 사이에서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극의 체적이 확장되면, 정전기에 의한 방전시 제1전극 및 제2전극으로부터 미세한 파티클이 발생하더라도 제1전극 및 제2전극 사이의 공간이 넓기 때문에 파티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극은 정전기 유입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의해 방전이 개시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공극의 체적은 정전기에 대한 내성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공극의 체적은 상기 감전보호소자(100)의 총 체적 대비 1-15%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극의 체적이 감전보호소자(100)의 총 체적 대비 1% 미만이면, 제1전극 및 제2전극 사이의 쇼트가 발생할 수 있고, 정전기에 대한 내성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의 체적이 감전보호소자(100)의 총 체적 대비 15%를 초과하면, 감전보호소자(100)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고, 기계적 강도가 낮아지며, 소성시 변형에 의해 뒤틀림이나 함몰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전극(121), 상기 제2전극(122) 및 공극(140)은 메탈 케이스로 유입되는 정전기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누설전류를 방호하는 감전보호부로써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정전기는 전자기기의 전도체로부터 유입되어 제1전극(121)와 제2전극(122) 사이의 공극(140)에서 방전되어 통과되고, 반면, 회로부의 접지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는 정전기와는 반대로 제2외부전극(132)을 통하여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 사이의 공극(140)에서 누설전류가 메탈 케이스로 흐르는 것을 차단한다.
즉, 회로부의 회로기판, 예를 들면, 접지를 통하여 외부전원의 누설전류가 전도체로 유입되는 경우, 감전보호소자(100)는 그 항복전압(Vbr)이 누설전류에 의한 과전압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오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감전보호소자(100)는 그의 항복전압(Vbr)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고 오픈 상태를 유지하여 메탈 케이스 등과 같은 인체접촉 가능한 전도체로 누설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전보호소자(100)는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에 누설전류를 차단하여 사용자를 감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반면, 전도체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면, 감전보호소자(100)는 써프레서와 같은 정전기 보호 소자로서 기능한다. 즉, 감전보호소자(100)는 정전기 방전을 위한 써프레서의 동작 전압(방전 개시 전압)이 정전기의 순간 전압보다 작기 때문에, 순간 방전에 의해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전보호소자(100)는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전기적 저항이 낮아져 자체가 절연파괴되지 않고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극(140)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는 방전물질층(151)이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의 상부측 및 상기 제1전극(121)과 상기 제2전극(122)의 하부측이 상기 방전물질층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전물질은 상기 제1전극(121) 및 상기 제2전극(122)을 연결하여 줌으로써 동작전압을 낮춰주며, 이를 위해, 방전물질은 유전율이 낮고 전도도가 없으며, 과전압 인가시 쇼트(short)가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방전물질은 적어도 한 종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 수 있으며, SiC 또는 실리콘 계열의 성분을 포함하는 반도체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방전물질은 SiC, 카본, 그라파이트 및 Zn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와, Ag, Pd, Pt, Au, Cu, Ni, W, M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이 Ag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전물질은 SiC-ZnO계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SiC(Silicon carbide) 성분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산화 분위기에서 안정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도전성과 도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유전율을 갖는다.
그리고, ZnO 성분은 우수한 비선형 저항특성 및 방전특성이 있다.
SiC와 ZnO는 각각 별도로 사용시 둘 다 전도성이 있으나, 서로 혼합 후 소성 진행하면 SiC 입자 표면에 ZnO가 결합됨으로써 절연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연층은 SiC가 완전히 반응하여 SiC 입자 표면에 SiC-ZnO 반응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층은 Ag 패스를 차단하여 방전물질에 한층 더 높은 절연성을 부여하고, 정전기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켜 감전보호소자를 전자부품에 장착시 DC 쇼트 현상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전물질의 일례로써 SiC-ZnO계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전물질은 상기 제1전극(121) 및 제2전극(122)을 구성하는 성분에 맞는 반도체 물질 또는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방전물질층(152)은 상기 제1전극(121) 및 상기 제2전극(122)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도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둘레 및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에 도포될 수도 있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둘레 및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에 도포되는 방전물질층(152)은 공극(140) 내에서 정전기의 방전에 의한 상기 제1전극(121) 및 상기 제2전극(12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둘레 및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에 방전물질층(152)이 도포됨으로써, 반복 사용시 내구성을 높여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둘레 및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및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 중 어느 한 면에만 방전물질층(152)이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및 상기 제2전극(122)의 내면에 방전물질층이 도포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공극(140)은 방전물질층(153)에 의해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전물질층(153)이 상기 공극(140)에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공극(140)으로 분리된다(도 4 및 도 5참조).
이에 따라서, 상기 공극(140)을 방전물질층(153)에 의해 하나 이상으로 분리시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공극(140) 중 하나의 공극이 파손되더라도 다른 하나의 공극을 통하여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감전보호소자(100)는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둘레를 상기 제2전극(122)이 감싸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제2전극(122)은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중 일부 표면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도 6a 참조), 또는 상기 제2전극(122)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전극(121)의 표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극(122)들의 하부측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제2전도체(124)와 연결될 수 있다(도 6b 참조).
이에 따라서, 상기 제2전극(122)이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전극(121)의 둘레에 배치됨으로써, 정전기 또는 누설전류가 흐르는 경로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경로가 파손되더라도 정전기 또는 누설전류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감전보호소자 110 : 소체
120 : 내부전극 121 : 제1전극
122 : 제2전극 130 : 외부전극
140 : 공극 151, 152, 153 : 방전물질층

Claims (8)

  1. 전자기기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로서,
    소체;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둥 형상의 제1전극;
    상기 제1전극의 외곽의 동심원 상에서 상기 제1전극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 을 포함하며,
    상기 감전보호소자는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도록 하기 식을 만족하는 감전보호소자.
    Vbr > Vin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소자의 항복전압,
    Vin은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의 전체 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의 표면 중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은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전극은 상기 제1전극의 표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의 표면 및 상기 제2전극의 내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방전물질이 도포되는 감전보호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적어도 하나의 방전물질층에 의해 복수 개로 분리되는 감전보호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제1외부전극과, 상기 제2전극과 연결되는 제2외부전극이 구비되는 감전보호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1외부전극을 연결하는 제1전도체와, 상기 소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2외부전극을 연결하는 제2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감전보호소자.
KR1020150153444A 2015-11-02 2015-11-02 감전보호소자 KR20170051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444A KR20170051083A (ko) 2015-11-02 2015-11-02 감전보호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444A KR20170051083A (ko) 2015-11-02 2015-11-02 감전보호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083A true KR20170051083A (ko) 2017-05-11

Family

ID=5874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444A KR20170051083A (ko) 2015-11-02 2015-11-02 감전보호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10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04B1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657189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10222838B2 (en) Electric shock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76636A (ko) 감전보호소자
CN108701943B (zh) 功能性接触器及包括其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638053B1 (ko)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60846A (ko) 감전 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608224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51083A (ko) 감전보호소자
KR101727079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8051A (ko) 감전보호소자
KR20170051086A (ko) 감전보호부 및 이를 포함하는 감전보호소자
KR20170048050A (ko) 감전보호소자
KR20170069036A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48057A (ko) 감전보호소자
KR20170051084A (ko) 감전보호소자
KR20160113054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101926599B1 (ko) 감전보호 장치
KR101916156B1 (ko) 감전보호 장치
KR20170060886A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04797A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60890A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60848A (ko) 감전 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53052A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59801A (ko) 카메라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