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066A -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066A
KR20170051066A KR1020150153409A KR20150153409A KR20170051066A KR 20170051066 A KR20170051066 A KR 20170051066A KR 1020150153409 A KR1020150153409 A KR 1020150153409A KR 20150153409 A KR20150153409 A KR 20150153409A KR 20170051066 A KR20170051066 A KR 20170051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n
information
collateral
terminal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419B1 (ko
Inventor
김해동
Original Assignee
김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동 filed Critical 김해동
Priority to KR102015015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419B1/ko
Publication of KR2017005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2P 담보 대출 시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이 공식 가격이 책정되어 있지 않은 담보물에 대해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대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출 관리 서버; 채권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채권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권자 단말기; 채무자에게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무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P2P 대출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출 심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담보물 정보 및 대여금 정보를 포함하는 대출 신청 정보가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권자 단말기에 대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계의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2P LOAN INSPECTING OF SECURITIZATION}
본 발명은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Peer to Peer)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2P 담보 대출 시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이 공식 가격이 책정되어 있지 않은 담보물에 대해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대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2P 대출이란, 은행이나 사금융이 아닌 다수의 투자자(채권자)가 돈을 모아 개인이나 기업에게 직접 빌려주는 새로운 대출 방식이다.
P2P 대출은 온라인에서 모든 절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집 광고비나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은행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투자 대상은 자본을 은행보다 간편하고 사금융보다 저렴한 이율로 대출 받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들로 인해 그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이러한 P2P 대출이나 지분 투자형 클라우드 펀딩 등을 통한 개인이나 창업 기업들의 자금 조달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정부와 정치권에서는 2014년 중순, P2P 대출과 같은 클라우드 펀딩에 대해 제도권 내에서 활성화를 도모할 목적으로 규제 법안을 마련했으며, 이에 따라 현재 '중소기업창업지원법 일부 개정안'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P2P 대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이 공식 가격이 책정되어 있지 않은 담보물에 대해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대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장중에 거래할 수 있는 주식을 상장 주식이라고 하며, 상장되어 있지 않은 주식을 비상장 주식이라 한다.
상장 주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령, 직접 기업 정보를 살피고 주식을 매매하는 방법이나 증권사 등이 운용하는 펀드에 가입하는 방법 등 각자의 선택에 따라 투자가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증권사는 증권 거래 수수료나 펀드를 통해 모집된 금액 등을 이용하여 수익을 남길 수 있다.
그러나 비상장 주식을 개인이 매매하기 위해서는 회사 정보를 일일이 조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고, 거래를 위해 주식 소유자들과 개별적으로 접촉하여야만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장외 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의 경우에도, 투자 전문가에게 위탁을 하기에는 투자 전문가에 대한 정보나 거래 실적 등을 확인할 수 없어 신뢰를 가지기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 전문가 또한 투자 금액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비상장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로 간주된다. 왜냐하면, 비상장 주식은 신뢰할만한 가격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일 뿐만 아니라 유동성 등에도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비상장 주식의 이와 같은 특징으로 인해 대출기관은 비상장 주식의 가치를 매우 낮게 산정하는 방식, 즉, 보수적인 산정 방식을 고수하고 있으며, 따라서, 대출자가 비상장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제공받더라도 실제 유동화시킬 수 있는 금액은 매우 적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P2P 대출 과정에서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이 공식적인 가격이 책정되어 있지 않은 유가 증권을 담보로 하는 경우, 이에 대한 합리적인 가치를 산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P2P 담보 대출 시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이 공식 가격이 책정되어 있지 않은 담보물에 대해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에 따라 대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대출 관리 서버; 채권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채권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권자 단말기; 채무자에게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무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P2P 대출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출 심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담보물 정보 및 대여금 정보를 포함하는 대출 신청 정보가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권자 단말기에 대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계의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담보물은, 비상장 주식 또는 후순위 채권을 포함하는 유가 증권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에 적용되는 상기 제2 단계는, (a) 상기 담보물 정보가 상기 채권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b) 상기 채권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담보물에 대한 매수 수량 정보 및 매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매수 의사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 단계는, (c) 상기 단계 (b)의 매수 의사 정보 가운데 상기 매수 가격 정보가 높은 순서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상기 매수 수량 정보를 연산하여 1차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1차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해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한 대출 가능/불가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상기 채무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방법은, 관심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관심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관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상기 P2P 대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관심자 단말기에 대해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 및 상기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계의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단계는, (e) 상기 담보물 정보가 상기 관심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f) 상기 관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담보물에 대한 매수 수량 정보 및 매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매수 의사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는, (g) 상기 단계 (f)의 매수 의사 정보 가운데 상기 매수 가격 정보가 높은 순서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상기 매수 수량 정보를 연산하여 2차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h)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 및 상기 2차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해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한 대출 가능/불가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상기 채무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5 단계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추가 담보 제공 가능 여부를 타진하는 제6 단계; 상기 제6 단계의 수행 결과 추가 담보물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담보물 정보 및 상기 추가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권자 단말기 및 상기 관심자 단말기에 대해 3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상기 3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합산하여 상기 제1 단계의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이, 상기 제5 단계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대여금의 하향 조정 가능 여부를 타진하는 제9 단계; 및 상기 제9 단계의 수행 결과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해 상기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10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대출 관리 서버; 채권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채권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권자 단말기; 채무자에게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무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대출 관리 서버는,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담보물 정보 및 대여금 정보를 포함하는 대출 신청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권자 단말기에 대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고,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관심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관심자에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관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따른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관심자 단말기에 대해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고, 상기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담보물은, 비상장 주식 또는 후순위 채권을 포함하는 유가 증권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이 공식적인 가격이 책정되어 있지 않은 담보물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고 손쉬운 대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 과정에서, 공식적인 가격이 책정되어 있지 않은 담보물에 대한 합리적인 가치의 부여가 가능할 수 있어, 대출 서비스 제공자나 대출 서비스 이용자 모두에게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1차 수요 예측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의 2차 수요 예측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6의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실시예에 대한 제2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은, 대출 관리 서버(110), 채무자 단말기(120) 및 채권자 단말기(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채권자' 및 '채무자'는 사전적인 의미의 채권자 또는 채무자가 아닐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 채권자는 P2P 대출 관리 서버(110)를 통해 자본을 대여하고 이를 이용해 수익을 얻고자 하는 '대출 서비스 제공자' 또는 '대출 서비스 제공 희망자'를 의미할 수 있으며, 채무자는 P2P 대출 관리 서버(110)를 통한 대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출 서비스 이용자' 또는 '대출 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한정이 없는 한 전체 명세서에 있어 동일하다.
대출 관리 서버(110)는 1 이상의 채권자에 의해 구성되는 채권자 그룹으로부터 대여되는 금액을 이용해 채무자에게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채무자로부터 납입되는 이자 수익을 상기 채권자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채권자에게 투자 금액 등에 대응되도록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대출 관리 서버(110)는 각각의 채권자 및 채무자들과 온라인을 통한 데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휴 금융기관(140)의 인터넷 뱅킹 기능 등을 이용해 실제 금액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대출 관리 서버(11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모든 채무자 및 채권자는 각각 채무자 단말기(120) 및 채권자 단말기(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하자면, 채무자 단말기(120)를 통해 입력되는 희망 대여금 정보 등의 대출 신청 정보가 대출 관리 서버(110)로 접수되면, 대출 관리 서버(110)는 이를 심사하여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대출 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휴 금융기관(140)을 통해 채무자에게 대출금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대출 관리 서버(110)는 채권자 그룹으로부터 기 모집된 투자금을 관리하고 있다가, 대출 가능으로 결정되는 채무자에 대해 이를 이용해 대출금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채무자의 대출 신청 정보를 채권자 그룹에 공개하고 이에 대응되어 모집되는 투자금을 채무자에게 전달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와 같은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두 가지 구성의 혼합 형태를 비롯한 통상의 다양한 방식 또한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은, 채무자 단말기(120)를 통해 전송되는 대출 신청 정보에 담보물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P2P 대출 서비스 가운데 특히 담보 대출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담보물은 공인된 또는 공식적인 가격 정보가 존재하는 동산 또는 부동산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가령,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이 공식적인 가격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동산 또는 부동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식적인 가격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담보물의 경우, 본 발명의 대출 관리 서버(110)는 채권자 단말기(130) 등을 통해 이에 대한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한 후 조사 결과에 대응되도록 해당 담보물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등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공식적인 가격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담보물에 대해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담보물의 가치를 평가하여 채무자의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은,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대출 관리 서버로 대출 신청 정보가 제공되는 단계(S210), 대출 관리 서버가 채권자 단말기를 통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하는 단계(S220), 대출 관리 서버가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해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판단 결과를 채무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S240) 등으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대여 금액 정보 및 담보물 정보를 포함하는 대출 신청 정보가 대출 관리 서버로 전송(S210)되면, 대출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대출 신청 정보를 이용하여 채권자 그룹을 대상으로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20)하고, 이에 대응되어 입력되는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30)한 후, 해당 판단 결과를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통보(S240)하는 등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담보물은, 비상장 주식이나 후순위 채권 등과 같이 공식적인 가격 정보가 책정되어 있지 않은 유가 증권일 수 있으며, 따라서, 대출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담보물 정보는 이와 같은 유가 증권에 대한 발행 회사 정보 및 수량 정보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대출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그룹에게 제공한 후 이에 대응되어 전송되는 채권자의 매수 희망 정보를 통해 해당 담보물의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할 수 있다.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그룹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 답변 마감 시한 정보 등이 같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하는 단계(S220) 및 이 결과를 이용해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등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2의 1차 수요 예측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1차 수요 예측 과정(S220)은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22) 및 채권자 단말기로부터 담보물에 대한 매수 의사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224) 등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대출 관리 서버가, 비상장 주식 등의 담보물에 대한 발행 회사 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그룹에 전송(S222)하면, 채권자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채권자 가운데 해당 담보물에 대한 매수 의사가 있는 채권자는, 채권자 단말기를 통해 이에 대한 매수 가격 정보 및 매수 희망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매수 의사 정보를 등록(S224)할 수 있다.
가령, A라는 회사의 비상장 주식 100주를 담보로 100만원을 대여받고자 하는 채무자를 가정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대출 신청 정보를 접수받아 채권자 그룹을 대상으로 A 회사의 비상장 주식에 대한 매수 희망 의사를 타진(S222)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각각의 채권자들은 매수 의사 정보를 등록(S224)할 수 있는데, 이러한 매수 의사 정보에는 매수 가격 정보와 매수 희망 수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대출 관리 서버는, 채권자들로부터 등록되는 담보물에 대한 매수 가격 정보 및 매수 희망 수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대출 신청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담보물 정보 대비 대여금 정보의 적정성 여부 등을 판단함으로써 대출 가능 여부를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과정(S230)은, 매수 의사 정보를 이용해 1차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S232) 및 1차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해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4) 등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앞서의 예를 인용하면, A라는 회사의 비상장 주식 100주를 담보로 100만원을 대여받고자 하는 채무자의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그룹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되는 매수 의사 정보를 전달받은 대출 관리 서버는, 전달된 모든 매수 의사 정보를 취합하여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만일, 채권자 갑이 1만원에 100주, 을이 3만원에 10주, 병이 2만원에 50주의 매수 의사를 각각 전송해 온 경우를 가정하면, 대출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매수 의사 정보 가운데 매수 가격이 높은 순서에 따른 매수 수량을 연산할 수 있다. 즉, 을의 10주(3만원), 병의 50주(2만원) 및 갑의 40주(1만원)가 해당 담보물에 대한 매수 의사 정보로 등록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담보물은 170만원의 담보 가치를 갖는 것으로 계산(S232)될 수 있다.
대출 관리 서버는 담보 가치의 일정 비율 내에서 대출이 가능하도록 평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170만원의 담보 가치의 경우 70% 비율을 가정하면 119만원, 80%의 비율을 가정하면 136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채무자가 신청한 100만원의 대여금에 대해서는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S234)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대출 가능 여부의 판정 결과는 채무자 단말기로 전송(S240)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은, 대출 관리 서버(110), 채무자 단말기(120), 채권자 단말기(130) 및 관심자 단말기(150) 등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5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에 대해 관심자 그룹에게 구비되는 관심자 단말기(150)를 추가로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관심자는, 대출 관리 서버(110)를 통한 자본의 대출 등에는 관여하지 않으나 채무자로부터 제공되는 비상장 주식 등의 담보물에는 관심이 있는 관심자 그룹을 구성하며, 대출 관리 서버(11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관심자 단말기(15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관심자는, 등록 절차를 통해 대출 관리 서버(110)에 등록될 수 있으며, 상기의 등록 절차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통상의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대출 관리 서버(110)가 채무자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단말기(130)로 전송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한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판단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110)는 채무자 단말기(120)에 곧바로 대출 불가를 통보하는 대신 관심자 단말기(150)를 통해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추가로 수행하고, 이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를 다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차 수요 예측 조사 과정 및 이를 이용한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과정 등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5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은,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판단되는 경우(S230), 대출 관리 서버가 관심자 단말기를 통해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하는 단계(S250) 및 1차,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종합해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0) 등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대출 관리 서버가 채권자 단말기를 통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S220)하고 평가한 결과 대출 불가로 결정(S230)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기 등록된 관심자들을 대상으로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추가로 수행(S250)할 수 있으며, 이미 확보된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결합해 다시 한번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60)할 수 있다.
이때,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위해 관심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담보물 정보 외에 답변 마감 시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2차 수요 예측 조사는 오직 관심자 단말기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관심자 단말기 및 채권자 단말기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2차 수요 예측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2차 수요 예측 조사 과정(S250)은, 담보물 정보를 관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252) 및 관심자 단말기로부터 담보물에 대한 매수 의사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254) 등을 포함하고,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과정(S260)은 매수 의사 정보를 이용해 2차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S262) 및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해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4) 등을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대출 관리 서버가, 비상장 주식 등의 담보물에 대한 발행 회사 정보 및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담보물 정보를 관심자 그룹에 전송(S252)하면, 관심자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관심자 가운데 해당 담보물에 대한 매수 의사가 있는 관심자는, 관심자 단말기를 통해 이에 대한 매수 가격 정보 및 매수 희망 수량 정보를 포함하는 매수 의사 정보를 등록(S254)할 수 있다.
이어서, 대출 관리 서버는 관심자의 매수 의사 정보를 이용해 2차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S262)한 다음 채권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1차 수요 예측 정보에 상기 계산 내용을 합산한 결과를 이용해 채무자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64)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A라는 회사의 비상장 주식 100주를 담보로 100만원을 대여받고자 하는 채무자를 가정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대출 신청 정보를 접수받아 채권자 그룹을 대상으로 A 회사의 비상장 주식에 대한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20)하고, 그 결과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30)할 수 있다.
하지만, 대출 불가능으로 판단(S230)되는 경우, 다시 말해, 가령, 채권자 갑이 1만원에 50주, 채권자 을이 2만원에 20주의 매수 의사 정보만을 등록한 경우, 해당 담보물의 담보 가치는 90만원에 불과해 100만원의 대여금에 대한 대출 수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S230)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대출 관리 서버는 다시 관심자 그룹을 대상으로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50)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관심자 병이 3만원에 20주, 관심자 정이 2만원에 40주의 매수 의사 정보를 등록(S254)했다면, 대출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매수 의사 정보 가운데 매수 가격이 높은 순서에 따라, 병의 20주(3만원), 을의 20주(2만원), 정의 40주(2만원), 그리고 갑의 20주(1만원)를 해당 담보물에 대한 매수 의사 정보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담보물은 200만원의 담보 가치를 갖는 것으로 계산(S262)될 수 있어, 담보 가치의 70%를 대출 가능액으로 평가하는 경우 140만원, 80%의 경우 16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채무자가 신청한 100만원의 대여금에 대해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S264)할 가능성이 높다.
여기서, 2차 수요 예측 조사(S250)가 관심자 및 채권자 모두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다.
도 9는 도 6의 실시예에 대한 제1 변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써, 도 9의 실시예는,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채무자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60)한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가 채무자에게 추가 담보의 제공이 가능한지 여부를 타진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즉, 채무자로부터 제공되는 담보물의 담보 가치가 대여금에 미달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채무자에게 추가 담보 대출의 가능 여부를 타진할 수 있으며, 채무자 단말기로부터 추가 담보물 정보가 제공(S272)되면, 대출 관리 서버는 기존의 담보물 정보에 추가 담보물 정보를 합산한 내용으로 채권자 그룹 및 관심자 그룹에게 3차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S274)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1차, 2차 및 3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합산하여 최종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76)할 수 있다.
여기서, 3차 수요 예측 조사 과정은 앞서 설명된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즉, 채권자 및 관심자 단말기로 추가 담보물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되어 등록되는 추가 담보물에 대한 매수 의사 정보를 이용하여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산된 3차 수요 예측 정보는,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정보와의 결합을 통해 최종 대출 가능 여부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채무자로부터 추가 담보물 정보가 제공(S272)되면, 채권자 그룹 및 관심자 그룹을 대상으로 상기 추가 담보물만을 이용한 3차 수요 예측 조사가 진행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으나, 기존의 담보물 정보에 상기 추가 담보물 정보가 부가된 전체 담보물을 이용해 3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3차 수요 예측 조사에 대응되어 등록되는 매수 의사 정보는,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에 대한 매수 의사 정보와 합산되며, 대출 관리 서버는, 전체 매수 의사 정보 가운데 매수 가격이 높은 순서에 따라 연산된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해 채무자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에 도 9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대출 신청 정보의 제공(S210)이 이루어지면 채권자 그룹을 대상으로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20)하여 1차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30)하는 과정이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다.
1차 대출 가능 여부 판단(S230) 결과,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결과를 통보(S240)한 후 대출 심사를 종료한다.
하지만, 1차 대출 가능 여부 판단(S230)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판단이 이루어지면, 관심자 그룹 등을 대상으로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50)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차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S260)이 진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일, 2차 대출 가능 여부 판단(S260)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채무자에게 추가 담보의 제공 가능 여부를 타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추가 담보가 제공(S272)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추가 담보물에 대한 3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74)하고 1차, 2차 및 3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76)한 후 그 결과를 채무자 단말기에 통보(S240)할 수 있다.
도 10의 순서도에는, 추가 담보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S272) 및 3차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판단되는 경우(S276) 곧바로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때에도 별도의 결과 통보 단계를 통해 프로세스 종료에 이를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도 11은 도 6의 실시예에 대한 제2 변형 실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의 실시예는,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채무자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60)한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가 채무자에게 대여금의 하향 조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타진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즉, 채무자로부터 제공되는 담보물의 담보 가치가 대여금에 미달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채무자에게 대여금의 하향 조정 가능 여부를 타진할 수 있으며, 채무자 단말기로부터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가 제공(S282)되면, 대출 관리 서버는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해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에 대한 대출 가능 여부를 최종 판단(S284)할 수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대출 신청 정보의 제공(S210)이 이루어지면 채권자 그룹을 대상으로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20)하여 1차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30)하고, 그 결과 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결과를 통보(S240)한 후 대출 심사를 종료한다.
하지만, 1차 대출 가능 여부 판단(S230)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판단이 이루어지면, 관심자 그룹 등을 대상으로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S250)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차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2차 대출 가능 여부 판단(S260) 결과 다시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채무자에게 대여금의 하향 조정 가능 여부를 타진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가 제공(S282)되는 경우, 대출 관리 서버는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에 대해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다시 한번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S284)한 후 그 결과를 채무자 단말기에 통보(S240)할 수 있다.
도 12의 순서도에, 대여금 하향 조정이 불가능한 경우(S282) 및 3차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판단되는 경우(S284) 곧바로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때에도 별도의 결과 통보 단계를 통해 프로세스 종료에 이를 수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출이 실행되기 전에 이루어지는 수요 예측 조사를 통한 대출 심사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가령, 본 발명은 대출이 실행된 후에도 담보 조건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수요 예측을 통한 대출 심사 절차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대여 금액 정보 및 담보물 정보를 포함하는 대출 신청 정보가 대출 관리 서버로 전송되면, 대출 관리 서버는 이와 같은 대출 신청 정보를 이용하여 채권자 그룹을 대상으로 수요 예측 조사를 실시하고, 이에 대응되어 입력되는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해당 판단 결과를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통보하는 등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때, 대출 신청 정보에 포함되는 담보물 정보는 비상장 주식 등과 같은 유가 증권에 대한 발행 회사 정보 및 수량 정보 등일 수 있음 또한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대출 관리 서버가 이와 같은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그룹에게 제공한 후 이에 대응되어 전송되는 채권자의 매수 희망 정보를 통해 해당 담보물의 수요 예측 조사를 수행하는 것과, 담보물 정보를 채권자 그룹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 답변 마감 시한 정보 등이 같이 제공될 수 있음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담보물에 대한 수요 예측 조사시에 대출 희망자의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결과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효과적인 담보물에 대한 수요예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출 신청 정보가 종목명, 주식수, 대출희망금액 및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등급을 포함하되,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등급은 대출 희망자의 주식 매매정보에 따른 수익률을 반영하여 산출된 절대 수익 기반의 제1 평가 등급과, 제1 평가 등급에 시장 정보의 등락율을 연동하여 산출된 상대 수익 기반의 제2 평가등급을 종합하여 산출된 평가 등급을 포함하는 등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를 적용하여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장외 주식 전문 투자자와 같은 평가 대상자의 주식 매매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와, 종합지수, 업종별 지수, 매출액 기준, 유사기업 정보를 연관하여 산출된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를 고려하여 평가 대상자의 주식 투자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등급을 산출하여 주식 담보 대출이나 투자 유치시에 금융 거래 한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출 관리 서버가 주식 매매 및 시장정보 수집부, 평가 등급 산출부, 평가 등급 제공부, 금융 거래 한도 결정부 및 데이터 저장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대출 관리 서버는 주식 매매 및 시장정보 수집부를 통해 평가 대상자의 주식 매매 정보와 주식 시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평가 등급 산출부를 통해 평가 대상자의 주식 매매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와, 종합지수, 업종별 지수, 매출액 기준, 유사기업 정보를 연관하여 산출된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를 고려하여 평가 대상자의 주식 투자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평가 등급 제공부를 통해 평가 대상자의 평가 등급을 평가 대상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정보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금융 거래 한도 결정부를 통해 평가 등급에 기반하여 평가 대상자의 금융 거래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평가 등급 산출부는 평가 대상자의 금융 거래 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평가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평가 등급은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와,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는 평가 대상자의 주식 매매 정보를 토대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 평가 등급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는 종합지수, 업종별 지수, 매출액 기준, 유사기업 정보를 연관하여 산출된다. 여기에서는 제2 평가 등급으로 산출될 수 있다.
평가 등급 산출부는, 평가 대상자의 종목에 대하여 장외 시장, 코스피, 코스닥, 및 코넥스별로 종합지수, 업종별 지수, 매출액 기준, 유사기업별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평가 등급 산출부는, 매출액 기준으로 업종 분류된 기업중 평가 대상 기업 매출의 -50% ~ 200% 범위의 기업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 등급 산출부는 유사기업의 추출기준으로 평가 대상 기업과 동일 또는 유사 제품이 전체 매출의 40%이상인 기업들을 추출할 수 있다.
평가 등급 산출부는 종합지수, 업종별 지수, 매출액 기준, 유사기업별로 각각의 반영 비율을 설정한 상태에서 입고, 출고일 기간 대비 등락율을 연관하여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를 산출할 수 있다.
평가 등급 산출부는 제1 평가 등급 산출부, 제2 평가 등급 산출부, 적용 비율 산출부, 제3 평가 등급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가 등급 산출부는 평가 대상자의 제1 평가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제1 평가 등급은 평가 대상자의 종목별 매매차익에 따른 제1 투자 성과를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제1 투자 성과는 평가 대상자의 주식 매매 정보에 기반하여 종목별 매매차익에 따른 투자 성과를 의미한다.
제2 평가 등급 산출부는 평가 대상자의 제2 평가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제2 평가 등급은 평가 대상자의 제2 투자 성과를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다. 제2 투자 성과는 제1 투자 성과와 종합지수, 업종별 지수, 매출액 기준, 유사기업의 투자 성과의 차이에 따른 투자 성과를 의미한다.
적용 비율 산출부는 평가 대상자의 금융 거래 한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제3 적용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제3 적용 비율은 제1 평가 등급에 상응하는 제1 적용 비율과 제2 평가 등급에 상응하는 제2 적용 비율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 비율 산출부는 적용 비율의 최대값에서 적용 비율의 최소값을 뺀 제1 값과, 제1 적용 비율과 제2 적용 비율을 더한 제2값을 곱하여 제3값을 구하고, 제3값에 적용 비율의 최소값을 더한 제4값에 100을 곱한 값을 제3 적용 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제3 평가 등급 산출부는 평가 대상자의 제3 평가 등급을 산출할 수 있다. 제3 평가 등급은 평가 대상자의 금융 거래 한도를 결정하기 위해 결정되는 등급이다. 제3 평가 등급은 제1 평가 등급과 제2 평가 등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평가 등급 제공부는 평가 대상자의 평가 등급을 평가 대상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정보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금융 거래 한도 결정부는, 종목 담보 가치 결정부, 담보 거래 한도 결정부, 투자 관리 한도 결정부 및 대출 신청 한도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종목 담보 가치 결정부는 임의의 주식 종목에 대한 종목 담보 가치를 산출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담보 거래 한도 결정부는 평가 대상자에게 허용 가능한 담보 거래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담보 한도는 산출된 종목 담보 가치에 평가 대상자의 제3 적용 비율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담보 한도는 투자 성과가 반영된 담보 한도이다. 투자 관리 한도 결정부는 평가 대상자에게 허용 가능한 투자금 유치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투자금 유치 한도는 평가 대상자의 제3 적용 비율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출 신청 한도 결정부는 평가 대상자에게 허용 가능한 대출금 신청 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대출금 신청 한도는 평가 대상자의 제3 적용 비율을 반영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에서는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장외 주식을 담보로 하여 대출을 희망하는 대출 희망자에 대하여 대출 한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해당 대출 희망자는 과거에 장외 주식을 거래한 이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서비스에서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평가 대상에 대하여 과거 투자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평가 대상자의 주식 투자 신뢰성을 수치적 자료로 평가하는 정형화된 대출한도 산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상장 장외 주식을 담보로 높은 유동화를 원하는 대출자 희망자는 해당 대출 희망자의 주식 투자 신뢰성을 기반으로 높은 유동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 방법에 의한 대출한도 산출방식을 통해 정형화된 대출 한도 산출 방식이라고 하는 것과 비교하여, 비정형화 방식의 대출한도 산출 방식은 담보 비상장 장외주식의 본질가치에 기반해 대출가액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비상장 장외주식이 30% ~ 50%의 담보비율로 대출이 가능할 경우, 비정형화된 방식(신용도, 대출자 과거 거래내역 등)을 통해 30% ~ 50%의 담보비율로 대출가액이 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정형화 방식의 대출한도 산출 방식(신용도, 대출자 과거 거래내역 등)을 적용할 경우라도 실제 50% 보다는 30%에 가깝게 대출가액을 산정하게 된다. 이는 비상장 주식의 위험성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에서는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비정형화된 방식(신용도, 해당업체 과거 거래내역 등)을 탈피하고,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성과와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성과를 종합하여 평가 대상자의 주식 투자 신뢰성을 평가하는 정형화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대출 희망자에게 추가적인 대출 한도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매매 내역을 토대로 하여 추가 대출 부분이 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대출 희망자는 과거 비상장 장외주식을 매매한 내역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만약, 대출 희망자는 과거 B 종목을 매매한 경력이 있을 경우, 입고 혹은 출고의 기록을 국세청에 제출하게 된다. 국세청은 증권거래세 및 양도세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기록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증권사를 통해 타인에게 양도 또는 양수를 한 경우에도 이러한 기록이 남게 된다.
따라서,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서비스를 위한 제휴 금융 기관은 국세청에 제출한 출고/입고 기록 및 증권사 계좌의 거래내역을 통해 대출자의 과거 절대 수익률을 파악하고, DB에 저장되어 있는 B종목의 비교지수 등을 바탕으로 상대 수익률도 파악하여 전문투자자(대출자)를 분류하고 그에 따르는 추가대출을 자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출 관리 서버는 주식 투자 성과에 기반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를 위해 대출한도 산출방식에서 대출을 희망하는 전문 투자자의 절대수익과 상대수익을 기반으로 하여 평가 등급이 산출될 수 있다.
대출을 희망하는 전문 투자자가 행한 과거의 매매내역으로 투자의 성공 여부, 나아가 미래의 투자 성공확률을 가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가 많을수록 평가등급에 대한 신뢰도는 상승할 것이다. 이 부분은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 성과를 의미한다.
그러나, 절대 수익 기반의 투자성과와 함께 상대 수익 기반의 투자성과가 반영되면 주식 담보를 이용한 피어 투 피어 기반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에서 주식 투자 신뢰성 평가라는 의미가 제대로 구현되고, 대출을 희망하는 전문 투자자의 추가 대출 금액을 정교하게 산정될 수 있다.
이상, 여러 도면을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전반적으로 사용된 '채권자' 및 '채무자'의 용어가 사전적인 의미의 채권자 또는 채무자가 아닐 수 있으며, 채권자가 '대출 서비스 제공자' 또는 '대출 서비스 제공 희망자'의 의미로, 채무자가 '대출 서비스 이용자' 또는 '대출 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대출 관리 서버
120: 채무자 단말기
130: 채권자 단말기
140: 제휴 금융기관
150: 관심자 단말기

Claims (12)

  1. 대출 관리 서버;
    채권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채권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권자 단말기; 및
    채무자에게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무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P2P 대출 시스템에 적용되는 대출 심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담보물 정보 및 대여금 정보를 포함하는 대출 신청 정보가 제공되는 제1 단계;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권자 단말기에 대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계의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물은, 비상장 주식 또는 후순위 채권을 포함하는 유가 증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a) 상기 담보물 정보가 상기 채권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b) 상기 채권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담보물에 대한 매수 수량 정보 및 매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매수 의사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c) 상기 단계 (b)의 매수 의사 정보 가운데 상기 매수 가격이 높은 순서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상기 매수 수량 정보를 연산하여 1차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1차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해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한 대출 가능/불가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상기 채무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2P 대출 시스템은, 관심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관심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관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관심자 단말기에 대해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 및 상기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계의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e) 상기 담보물 정보가 상기 관심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및
    (f) 상기 관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담보물에 대한 매수 수량 정보 및 매수 가격 정보를 포함하는 매수 의사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g) 상기 단계 (f)의 매수 의사 정보 가운데 상기 매수 가격이 높은 순서에 따라 이와 대응되는 상기 매수 수량 정보를 연산하여 2차 수요 예측 정보를 계산하는 단계; 및
    (h)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 및 상기 2차 수요 예측 정보를 이용해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한 대출 가능/불가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정보를 상기 채무자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추가 담보 제공 가능 여부를 타진하는 제6 단계;
    상기 제6 단계의 수행 결과 추가 담보물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담보물 정보 및 상기 추가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권자 단말기 및 상기 관심자 단말기에 대해 3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상기 3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합산하여 상기 제1 단계의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의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대출 관리 서버가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대여금의 하향 조정 가능 여부를 타진하는 제9 단계; 및
    상기 제9 단계의 수행 결과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를 이용해 상기 하향 조정된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제10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10. 대출 관리 서버,
    채권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채권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권자 단말기; 및
    채무자에게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채무자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대출 관리 서버는, 상기 채무자 단말기를 통해 담보물 정보 및 대여금 정보를 포함하는 대출 신청 정보가 접수되면,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채권자 단말기에 대해 1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고,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관심자 그룹을 구성하는 1 이상의 관심자에게 각각 구비되며, 상기 대출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한 관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1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따른 대출 가능 여부 판단 결과 대출 불가능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대출 관리 서버는, 상기 담보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기 관심자 단말기에 대해 2차 수요 예측 조사를 진행하고, 상기 1차 및 2차 수요 예측 조사 결과에 따라 상기 대여금 정보에 대응되는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채무자 단말기에 해당 결과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담보물은, 비상장 주식 또는 후순위 채권을 포함하는 유가 증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시스템.
KR1020150153409A 2015-11-02 2015-11-02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KR10180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409A KR101805419B1 (ko) 2015-11-02 2015-11-02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409A KR101805419B1 (ko) 2015-11-02 2015-11-02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067A Division KR20170133304A (ko) 2017-11-25 2017-11-25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066A true KR20170051066A (ko) 2017-05-11
KR101805419B1 KR101805419B1 (ko) 2018-01-10

Family

ID=5874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409A KR101805419B1 (ko) 2015-11-02 2015-11-02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112A (ko) 2021-10-25 2023-05-03 온기현 블록체인 기반의 채권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112A (ko) 2021-10-25 2023-05-03 온기현 블록체인 기반의 채권 디지털 자산화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419B1 (ko) 2018-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42989A1 (en) Asset-backed tokens
US78819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ive financing of assets
US8285628B1 (en) Securitized pool of personal-small-aircraft mortgages system
US85101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ancial product risk determination
US8386378B2 (en) Automated loan risk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US8510190B1 (en) Securitized-real-property-related asset system
US200602939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originating and scoring a financial instrument
US20040024692A1 (en) Counterparty credit risk system
Gilson et al. Cashing out: The rise of M&A in bankruptcy
Buscaino et al. Project finance collateralised debt obligations: An empirical analysis of spread determinants
US20100088250A1 (en) Auction Method and Platform
KR101805404B1 (ko)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055777B2 (en) Identifiable physical form, sales instruments, and information marketplace for commodity trades
Chan et al. The global legal entity identifier system: Will it deliver?
KR20100094297A (ko) 개인간 금융거래 지원방법 및 시스템
KR101444249B1 (ko) 대차 거래, 공매도 거래 또는 주식 스왑 거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Ingermann et al. The recovery rate for retail and commercial customers in Germany: a look at collateral and its adjusted market values
KR101805419B1 (ko)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US20210056635A1 (en) Automated objective generation of data for, and post validation of, estimation of term sofr benchmarks
KR20170133304A (ko) 담보물의 유동화를 이용한 p2p 대출 심사 방법 및 시스템
TWI629656B (zh) 債權交易平台
US20230394577A1 (en) Identifiable physical form, sales instruments, and information marketplace for commodity trades
US20230385930A1 (en) Mortgage trading system and methods
Gys Unveiling the opaque world of OTC derivatives
KR20170133305A (ko) P2p 담보 대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