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728A -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728A
KR20170050728A KR1020150152618A KR20150152618A KR20170050728A KR 20170050728 A KR20170050728 A KR 20170050728A KR 1020150152618 A KR1020150152618 A KR 1020150152618A KR 20150152618 A KR20150152618 A KR 20150152618A KR 20170050728 A KR20170050728 A KR 20170050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transparent
touch
touch electrode
translu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550B1 (ko
Inventor
양희석
유재형
조윤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5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터치전극들과 연결되어 있는 터치라인들이 검은색으로 보여지도록 구성된,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베이스 기판, 터치전극부 및 터치라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전극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 상기 금속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 및 상기 투명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TOUCH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장치로 종래에 적용되었던 마우스나 키보드, 또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로 적용되었던 키 패드를 대체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터치패널은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터치패널은 네비게이션(navigation), 산업용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금융 자동화기기, 게임기 등의 모니터와, 휴대전화기, MP3, PDA, PMP, PSP, 휴대용 게임기, DMB 수신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및 냉장고, 전자 레인지,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 등에 적용되고 있다.
터치패널의 제조 방식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패널과 터치패널이 결합되는 구조에 따라, 인셀 터치 방식(In cell touch type), 온셀 터치 방식(On cell touch type), 애드온 방식(Add on type) 및 하이브리드 방식(hybri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애드온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애드온 방식에서는, 표시패널(10)과 독립적으로 제조된 터치패널(20)이 상기 표시패널(10)의 상단면에 합착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패널(20)의 상단면에는 커버글래스(30)가 합착된다.
상기 터치패널(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1), 표시영역(C)에 배치되며 터치신호가 공급되는 제2터치전극(22), 상기 제2터치전극(22)과 연결되며 비표시영역(A)에 배치되는 제2터치라인(23), 상기 표시영역(C)에 배치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과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24) 및 상기 제1터치전극(24)과 연결되며 상기 비표시영역(A)에 배치되는 제1터치라인(25)을 포함한다.
상기 제2터치전극(22) 및 상기 제1터치전극(24)은 일반적으로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터치라인(23) 및 상기 제1터치라인(25)은 상기 투명전극보다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된다.
불투명한 금속으로 형성된 상기 제2터치라인(23) 및 상기 제1터치라인(25)에 의한 빛의 반사를 막기 위해, 상기 제2터치라인(23) 및 상기 제1터치라인(25)은 표시장치의 상기 비표시영역(A)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터치라인(23) 및 상기 제1터치라인(25)에 의한 빛의 반사를 막기 위해, 상기 커버글래스(30)를 구성하는 커버기판(31)에는 블랙메트릭스(32)가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2터치라인(23) 및 상기 제1터치라인(25)은 상기 표시영역(C)을 가려서는 않되며, 상기 블랙메트릭스(32)에 의해 커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블랙메트릭스(32)가 상기 표시영역(C)을 가리거나 상기 비표시영역(A)을 노출시켜서는 않된다. 따라서, 상기 블랙메트릭스(32)와 상기 표시영역(C) 사이에는, 표시장치 제조 공정 중에서 발생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여, 일정한 간격(B)이 형성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외곽을 구성하는 상기 비표시영역(A)의 크기가 커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터치전극들과 연결되어 있는 터치라인들이 검은색으로 보여지도록 구성된,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베이스 기판, 터치전극부 및 터치라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전극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 상기 금속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 및 상기 투명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을 포함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터치패널 및 커버글래스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에서는 영상이 출력된다. 상기 터치패널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터치를 감지한다. 상기 커버글래스는 상기 터치패널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상기 터치패널을 보호한다. 상기 터치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으로 구성되는 터치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으로 구성되는 터치라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 상기 금속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 및 상기 투명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글래스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라인부를 커버하는 블랙메트릭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전극들과 연결되어 있는 터치라인들이 빛의 간섭에 의해 검은색으로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터치라인들이 표시영역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터치라인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의 크기와 종래의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의 크기를 비교한 예시도.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다양한 예시도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애드온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패널(100),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200) 및 상기 터치패널(200)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상기 터치패널(200)을 보호하는 커버글래스(3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이 될 수 있고, 유기발광다이오들이 구비되어 있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이 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종류의 표시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픽셀들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로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드라이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영상을 출력하며,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출력된 영상은 상기 터치패널(200)과 상기 커버글래스(30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상기 터치패널(200)은 터치신호를 공급받아,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터치패널(200)은 캐패시턴스가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패널(200)은, 터치신호가 공급되는 구동전극들 및 상기 터치신호에 의해 유도된 감지신호를 터치 드라이버로 공급하는 수신전극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전극 또는 상기 수신전극 중 어느 하나를 제1터치전극(240)이라 하며, 나머지 하나를 제2터치전극(220)이라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기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표시영역(C)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240) 및 제2터치전극(220)으로 구성되는 터치전극부(28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비표시영역(A')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250)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230)으로 구성되는 터치라인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은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필름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유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되며, 절연물질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표시영역(C)은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출력된 영상이 통과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상기 비표시영역(A')은 상기 표시영역(C)을 감싸고 있는 모든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터치라인부(29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표시영역(A')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터치라인부(290)의 끝단(270)은 상기 터치 드라이버와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터치 드라이버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커버글래스(300)는, 상기 비표시영역(A')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라인부(290)를 커버하는 블랙메트릭스(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애드온 방식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애드온 방식에서는, 상기 표시패널(100)과 독립적으로 제조된 상기 터치패널(200)이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단면에 합착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패널(200)의 상단면에는 커버글래스(300)가 합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터치라인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터치라인부(2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280)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291), 상기 금속막(29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292) 및 상기 투명막(292)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29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양쪽 면들 중 상기 커버글래스(300)와 마주하는 면을 의미하며,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은, 상기 표시패널(100)과 마주하는 면을 의미한다.
상기 금속막(291)을 구성하는 상기 불투명한 금속은, 금, 은, 구리 등과 같은 금속이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종류의 금속이 될 수 있다.
상기 투명막(292)을 구성하는 상기 투명한 물질은, ITO와 같은 투명 전극이 될 수도 있으며, 또는 투명한 무기막 또는 투명한 유기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한 물질은 전도성을 갖는 투명 전극이 될 수 있으며, 또는 투명한 절연막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다양한 종류의 금속을 얇게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을 상기 터치 드라이버와 연결시켜주기 위해 상기 비표시영역(A')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터치라인부(290)가, 사용자의 눈에 보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빛의 간섭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라인부(290)의 외부에서 상기 반투명막(293)으로 조사된 빛 중 일부(M)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투명막(293)에서 반사된다. 상기 빛 중 나머지 일부(N)는, 상기 반투명막(293)과 상기 투명막(292)을 통과한 후 상기 금속막(291)에서 반사된다.
이 경우, 상기 반투명막(293)의 두께와 상기 투명막(292)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라인부(29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율이 조정될 수 있으며, 반사율이 낮아질 수록 사용자의 눈에 보이는 상기 터치라인부(290)의 색깔은 검게 보여진다.
이론적으로, 상기 반투명막(293)에서 반사된 빛(M)과 상기 금속막(291)에서 반사된 빛(N)이 서로 간섭하여 상쇄되면, 사용자의 눈에는 상기 터치라인부(290)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의 눈에는 상기 터치라인부(290)가 검게 보여질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아래의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투명막(293)의 두께와 상기 투명막(292)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터치라인부(290)로부터 반사되는 빛의 반사율이 조정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표1]에서, Ti(titanium)와 Mo(molybdenum)는 상기 반투명막(293)을 의미하고, ITO(indium tin oxide)와 IZO(indium zinc oxide)는 상기 투명막(292)을 의미하며, metal은 상기 금속막(291)을 의미한다.
구조 반사율(%)
구조1 Ti(4~8nm)/ITO(70nm)/metal(200nm) 6~8
구조2 Mo(4~7nm)/ITO(60nm)/metal 4.5~9.8
구조3 Ti(6~9nm)/IZO(70nm)/metal 8.8~9.0
구조4 Ti(15nm)/ITO(80nm)/metal 7.3
구조5 Mo(7nm)/ITO(60nm)/metal 4.2
구조6 Ti(17nm)/IZO(80nm)/metal 9.6
상기 투명막(292)은, 투명한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투명한 비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투명한 전도성 물질과 투명한 비전도성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는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이나, 염료 또는 안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반투명막(293)이 반드시 금속으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명막(292), 상기 반투명막(293) 및 상기 블랙메트릭스(320) 등은, 증착, 코팅, 프린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의 크기와 종래의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의 크기를 비교한 예시도이다. (a)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b)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반투명막(293)에서 반사된 빛(M)과 상기 금속막(291)에서 반사된 빛(N)이 서로 간섭하여 상쇄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눈에는 상기 터치라인부(290)가 검게 보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라인부(290)는 상기 표시영역(A')에 인접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라인부(290)가 검게 보여지기 때문에, 상기 터치라인부(290)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랙메트릭스(320)에 의해 완전히 커버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블랙메트릭스(320)와 상기 표시영역(C)과의 간격(B')은, 상기 터치라인부(290)와 상기 표시영역(C)과의 간격보다 크다. 도 5에는 상기 터치라인부(290)와 상기 표시영역(C) 사이에 간격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터치라인부(290)와 상기 표시영역(C)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블랙메트릭스(320)와 상기 표시영역(C)과의 간격(B')은, (a)에 도시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의 터치라인부와 표시영역(C)과의 간격(B)보다 줄어들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a)에 도시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제1터치라인(25) 및 상기 제2터치라인(23)이 빛을 반사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터치라인(25) 및 상기 제2터치라인(23)이,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에서의 오차에 의해, 상기 표시영역(C)에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터치라인(25) 및 상기 제2터치라인(23)은 상기 표시영역(C)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블랙메트릭스(32)가 상기 제1터치라인(25) 및 상기 제2터치라인(23)을 완전히 커버해야 한다. 따라서, (a)에 도시된 종래의 표시장치에서는, 비표시영역(A)이 커져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터치라인(250) 및 상기 제2터치라인(230)이 빛을 반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터치라인(250) 및 상기 제2터치라인(230)은 상기 표시영역(C)에 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의 비표시영역(A')의 폭은, 종래의 표시장치에서의 비표시영역(A)의 폭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6g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다양한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패널(100),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200) 및 상기 터치패널(200)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상기 터치패널(200)을 보호하는 커버글래스(3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터치패널(200)은, 베이스 기판(21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표시영역(C)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240) 및 제2터치전극(220)으로 구성되는 터치전극부(28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비표시영역(A')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250)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230)으로 구성되는 터치라인부(29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라인부(2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280)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291), 상기 금속막(29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292) 및 상기 투명막(292)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293)을 포함한다.
다음,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2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막(291)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251)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한 금속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하며 불투명한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1금속부(25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23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ITO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불투명한 금속을 얇게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1터치라인(250)과 상기 제2터치라인(230)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동일한 면에 배치되어야만, 상기 제1터치라인(250)과 상기 제2터치라인(230)이 하나의 터치 드라이버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터치라인(250)과 상기 제2터치라인(230)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기 상단면에 구비되어 있는 터치패널이 본 발명의 일예로서 설명된다.
상기 제1터치라인(250)과 상기 제2터치라인(230)은 상기 터치라인부(290)를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구비된다.
상기 하단면의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23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금속(238)에는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금속(23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투명금속(237)은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ITO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금속(238) 또는 상기 제2투명금속(237)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을 관통하는 컨택부(239)를 통해 상기 제2터치라인(230)을 구성하는 상기 제2금속부(231),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제2터치라인(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택부(239)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에 형성된 관통홀에 구비되면, 전기 전도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도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컨택부(239)를 통해, 특히, 상기 제2금속부(231)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2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막(291)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251)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한 금속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하며 불투명한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1금속부(25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23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ITO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불투명한 금속을 얇게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터치전극(2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면의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236)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반투명 금속(236)에는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23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금속(238)에는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금속(23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투명금속(237)은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ITO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반투명 금속(236), 상기 제2금속(238) 또는 상기 제2투명금속(237)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을 관통하는 컨택부(239)를 통해 상기 제2터치라인(230)을 구성하는 상기 제2금속부(231),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제2터치라인(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전도도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컨택부(239)를 통해, 특히, 상기 제2금속부(231)와 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6b에 도시된 상기 터치패널에서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0)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금속부(231)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을 관통하는 컨택부(239)를 통해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된다.
다음,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2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금속막(291)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251)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한 금속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하며 불투명한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1금속부(25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투명 절연부(252b) 및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2투명 절연부(232b)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한 절연 물질은, 투명한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는, 상기 투명막(292)이,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되었으나, 도 6c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는, 상기 투명막(292)이,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상기 제1투명 절연부(252b)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투명 절연부(232b)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불투명한 금속을 얇게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터치전극(2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단면의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23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금속(238)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을 관통하는 컨택부(239)를 통해 상기 제2터치라인(230)을 구성하는 상기 제2금속부(231), 상기 제2투명 절연부(232b)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제2터치라인(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전도도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컨택부(239)를 통해, 특히, 상기 제2금속부(231)와 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6c에 도시된 상기 터치패널에서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0)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하단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금속부(231)는 상기 베이스 기판(210)을 관통하는 컨택부(239)를 통해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된다.
다음,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금속막(291)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251)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한 금속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하며 불투명한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1금속부(25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23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ITO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불투명한 금속을 얇게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0)의 상단면에는 절연막(260)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막(260)의 상단면에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이 구비된다.
상기 절연막(260)은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6e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금속막(291)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251)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한 금속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하며 불투명한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1금속부(25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23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ITO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1금속부(25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투명 절연부 및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2투명 절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한 절연 물질은, 투명한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는, 상기한 바와 같이, 불투명한 금속을 얇게 도포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터치전극(24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240)의 상단면에는 절연막(260)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막(260)의 상단면에는 상기 제2터치전극(220)이 구비된다. 도 6d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는 상기 제2터치전극(220)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0)의 상단에 상기 절연막(260)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막(260) 상단에 상기 제1터치전극(240)이 구비된다. 그러나, 도 6e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는 상기 제1터치전극(240)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240)의 상단에 상기 절연막(260)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막(260) 상단에 상기 제2터치전극(220)이 구비된다.
다음, 도 6f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금속막(291)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251)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불투명한 금속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도성이 우수하며 불투명한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1금속부(25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투명 절연부(252b), 상기 제1투명 절연부(252b)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252a),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2투명 절연부(232b) 및 상기 제2투명 절연부(232b)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232a)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한 절연 물질은, 투명한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금속은, 상기 제1터치전극(240) 및 상기 제2터치전극(220)을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한 물질, 예를 들어, ITO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6f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에서는, 상기 투명막(292)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물질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막(292)은 투명한 절연물질과 투명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한 절연물질의 상단면에 상기 투명한 금속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투명한 금속의 상단면에 상기 투명한 절연물질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명막(292)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투명한 물질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253)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23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절연막(2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240)의 상단에 상기 절연막(26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제2터치전극(220)의 상단에 상기 절연막(260)과 상기 제1터치전극(24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6g를 참조하면,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상단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금속막(291)은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되고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투명막(292)은, 상기 제2금속부(231)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투명 절연부(252b) 및 상기 제1투명 절연부(252b)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252a)를 포함한다.
상기 반투명막(293)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25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 및 상기 제2금속부(231) 사이에는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232a)가 구비된다.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상기 제2터치전극(220)은 절연막(26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6g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는,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된 상기 제2금속부(231)가, 상기 금속막(291)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된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가 상기 투명막(292)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투명 금속부(252a) 상단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반투명 금속부(253)가 상기 반투명막(293)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1터치전극(240)과 연결된 상기 제1금속부(251)가, 상기 금속막(291)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터치전극(220)과 연결된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가 상기 투명막(292)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2투명 금속부(232a) 상단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반투명 금속부(233)가 상기 반투명막(293)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에 유리한 애드온 방식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드온 방식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터치라인부(금속 라우팅 배선 영역)(280)가 외광을 반사하지 않아 검게 보여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치라인부(280)는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비표시영역의 크기가 작은 패널, 즉,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의 패널이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드온 방식을 이용한 표시장치에서는, 터치패널이 표시패널의 상단면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패널의 금속 라우팅 배선(터치라인부)은 커버글래스의 블랙메트릭스에 의해 가려져야 한다. 즉, 상기 금속 라우팅 배선(터치라인부)은 상기 표시패널의 표시영역을 가리지 않아야 하며, 상기 커버글래스의 블랙메트릭스에 의해 가려져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베젤)은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빛의 간섭, 특히 빛의 소멸 간섭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 라우팅 배선(터치라인부)가 외광을 반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 라우팅 배선(터치라인부)는 검은색으로 보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 라우팅 배선(터치라인부)가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네로우 베젤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상기 블랙메트릭스(3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시패널 200: 터치패널
300: 커버글래스

Claims (11)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으로 구성되는 터치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으로 구성되는 터치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
    상기 금속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 및
    상기 투명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제1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투명막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치전극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들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하단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금속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을 관통하는 컨택부를 통해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는 터치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제1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투명 절연부 및 상기 제2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2투명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투명막은, 상기 제1투명 절연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투명 절연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제1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명막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터치전극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터치전극의 상단면에는 절연막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막의 상단면에는 상기 제1터치전극이 구비되는 터치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제1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명막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의 상단면에는 절연막이 구비되며,
    상기 절연막의 상단면에는 상기 제2터치전극이 구비되는 터치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금속부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제1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투명 절연부, 상기 제1투명 절연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 상기 제2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2투명 절연부 및 상기 제2투명 절연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명막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 및 상기 제2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반투명 금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터치전극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터치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은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고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명막은, 상기 제2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절연물질로 구성된 제1투명 절연부 및 상기 제1투명 절연부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며,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투명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반투명막은, 상기 제1투명 금속부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1반투명 금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 및 상기 제2금속부 사이에는 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제2투명 금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터치전극은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는 터치패널.
  9.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상기 터치패널을 보호하는 커버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으로 구성되는 터치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으로 구성되는 터치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
    상기 금속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 및
    상기 투명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글래스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라인부를 커버하는 블랙메트릭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메트릭스와 상기 표시영역과의 간격은, 상기 터치라인부와 상기 표시영역과의 간격보다 큰 표시장치.
  11. 영상이 출력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의 상단면에 합착되며, 상기 터치패널을 보호하는 커버글래스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표시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1터치전극 및 제2터치전극으로 구성되는 터치전극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비표시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1터치라인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연결되는 제2터치라인으로 구성되는 터치라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라인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단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전극부와 연결되며,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막;
    상기 금속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투명막; 및
    상기 투명막의 상단면에 구비되며 반투명한 물질로 구성된 반투명막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50152618A 2015-10-30 2015-10-30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745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618A KR101745550B1 (ko) 2015-10-30 2015-10-30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2618A KR101745550B1 (ko) 2015-10-30 2015-10-30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728A true KR20170050728A (ko) 2017-05-11
KR101745550B1 KR101745550B1 (ko) 2017-06-09

Family

ID=58741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2618A KR101745550B1 (ko) 2015-10-30 2015-10-30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288B1 (ko) 2018-09-10 2019-02-26 채재우 혼소 사이클론 연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5473B2 (en) 2002-08-17 2007-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hanced heat mirror films
US9063617B2 (en) 2006-10-16 2015-06-23 Flatfrog Laboratories Ab Interactive display system, tool for use with the system, and tool management apparatus
JP2009053894A (ja) 2007-08-27 2009-03-12 Epson Imaging Devices Corp 静電容量型入力装置
JP5252428B2 (ja) 2007-12-19 2013-07-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表示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09271709A (ja) 2008-05-07 2009-11-19 Techno Print Kk タッチパネ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288B1 (ko) 2018-09-10 2019-02-26 채재우 혼소 사이클론 연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550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000B2 (en) Smartphone
US20230333697A1 (en) Touch input device
US9804720B2 (en) OLED touch display panel
KR10104897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893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9360970B2 (en) Touch screen panel
US9086766B2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CN101488066B (zh) 触控显示面板与触控基板
US8946578B2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504983B (zh) 觸控面板
KR20120010828A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TW201308176A (zh) 電容式觸控面板及降低其金屬導體可見度的方法
CN102859477A (zh) Tft显示器、oled接口及用于在安置于显示器上游的空间区域中检测边沿的空间位置的方法
CN203658976U (zh) 覆盖板以及触控板
US9176622B1 (en) Touch structure, touch panel and touch device
US10120472B2 (en) Touch display panel
KR20170077910A (ko) 자기 정전 용량형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10120046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WO2020124777A1 (zh) 悬浮触控显示装置及悬浮触控方法
CN113010042B (zh) 一种触控显示面板
US20110214925A1 (en) Touch Sensor Device
US20140320441A1 (en) Touch panel and electric device
EP2784637B1 (en) Touch scre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CN106648258B (zh) 一种阵列基板、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1745550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