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0119A -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0119A
KR20170050119A KR1020150151242A KR20150151242A KR20170050119A KR 20170050119 A KR20170050119 A KR 20170050119A KR 1020150151242 A KR1020150151242 A KR 1020150151242A KR 20150151242 A KR20150151242 A KR 20150151242A KR 20170050119 A KR20170050119 A KR 2017005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tracking
lost
loc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9912B1 (ko
Inventor
서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1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단말이 분실된 경우, 단말의 배터리 잔여 용량을 고려하여 보다 유기적으로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에서의 위치 추적 방법은 상기 위치 추적 장치가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TRACKING POSITION OF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단말이 분실된 경우, 단말의 배터리 잔여 용량을 고려하여 보다 유기적으로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급속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휴대 단말기의 분실 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의 분실 사고는 개인 정보의 유출 가능성은 물론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악용될 소지가 있어, 개인 휴대 단말기의 분실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 분실된 휴대 단말기에 대한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별도의 경로를 통해 알려주는 서비스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분실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탑재된 GPS 기능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GPS 측위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위치 측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고 또한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많아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1889호, 2014년 12월 11일 공개 (명칭: 위치 정보 추적장치가 내장된 스마트폰)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단말이 분실된 경우, 단말의 배터리 잔여 용량을 고려하여 보다 유기적으로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가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전원이 꺼지거나 배터리가 탈장되더라도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에서의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장치가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은 LoRa(Long Range Sub-Ghz Module) 통신 모듈을 의미하며,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상기 독립된 전원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전원 용량을 기초로 위치 정보 측정을 위한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재확인한 결과, 상기 단말이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 대기하고, 그렇지 않으면 위치 정보 측정을 위한 상기 주기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클래스 타입 정보를 상기 단말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상기 독립된 전원 용량에 따라 변경하거나, 기 설정된 제어의 긴급성에 따라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는,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추적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단말 전원 관리부; 및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 전원 관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한 이후에, 상기 단말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상기 독립된 전원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을 대기한 후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가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전원이 꺼지거나 배터리가 탈장되더라도 위치 추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의 배터리 잔여 용량을 고려하여 보다 유기적으로 위치 측정을 위한 주기를 설정하거나, 대기 시간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단말에 대한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장치는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 특히 LoRa(Long Range Sub-Ghz Modul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위치 추적에 발생되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는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 시 LoR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암호화하여 전송함으로써 개인 단말의 위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한 단말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분실된 단말의 악의적인 사용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가 단말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oRa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 또는 "통신망"은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위치 추적 장치를 내장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로 적용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이 적용된 위치 추적 시스템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1000)은 단말(100)내 구비되는 위치 추적 장치(600), 위치 추적 장치(600)와 위치 추적 서버(500) 간의 LoR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200), 네트워크 서버(300) 및 네트워크 컨트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 추적 장치(60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단말(100)에서 동작할 수 있는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단말(10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최근 주목 받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바람직하게는 LPWA(Low Power Wide Area)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LPWA 통신 기술은 저속 전송이 용인되고, 광역 커버리지를 필요로 하는 롱 배터리 라이프(Long Battery Life)를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IoT 기반 네트워크 기술을 통칭하는 용어로, 이러한 LPWA 네트워크 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LoRa 기술이다. LoRa(Long Range Sub-Ghz Module)는 900MHz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저전력 원거리 통신 프로토콜로, 많은 리피터 및 AP가 필요 없어 인프라 구축 비용이 감소되며, 셀룰러 네트워크에 비해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보다 높은 확장 가능성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가 단말(100)의 통신 방식과는 다른 LoRa 통신 방식으로 위치 추적 서버(5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예시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단말(100) 또한 LoRa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LoRa 통신 방식은 동등한 또는 유사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에 구비되며, 단말(100)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고, 단말(100)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되며,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단말(100)이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함으로써 단말(100)에 대한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LoR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 추적(500)에 접근하기 위해 가입 절차(Join Procedure)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가입 절차가 완료되면, 위치 추적 서버(500)로 확인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정보를 전송하고, 위치 추적 서버(500)가 전달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위치 추적 장치(600) 및 위치 추적 서버(500) 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암호화되어 송수신될 수 있으며, 위치 추적 장치(600)는 데이터 패킷을 LoRa 통신 프로토콜이 지원하는 암호화 방식에 따라 암호화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하고,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을 복호화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위치 추적 장치(60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며, 위치 추적 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300)로 전달하고, 네트워크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위치 추적 장치(6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200)는 LoRa 기술이 적용된 기지국이 될 수 있으며, 동시 송신이 가능한 확산 스펙트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200)는 위치 추적 장치(600)과 네트워크 서버(300) 사이에 송수신되는 정보를 터널링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200)는 복수 개의 위치 추적 장치(600)와 연결될 수 있는데, 할당되거나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위치 추적 장치(6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300)로 전송하며, 이때 자신의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300)는 위치 추적 장치(600)이 연결된 게이트웨이(20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을 해당 게이트웨이(200)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네트워크 서버(300)는 위치 추적 장치(600)를 인증하고, 패킷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교환기 역할을 하는 노드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네트워크 서버(300)는 위치 추적 장치(600)과 위치 추적 서버(500) 간의 가입 절차를 중계할 수 있다. 즉, 위치 추적 장치(600)로부터 위치 추적 서버(500)에 연결하기 위한 가입 요청(Join Request)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가입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추적 서버(500)로 가입 요청(Join Request)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가입 요청(Join Request)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전달되면 네트워크 아이디 및 위치 추적 장치(600) 주소 정보를 확인하여 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달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에서의 암호화를 위한 세션 키 생성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가입 절차가 완료되면, 이후의 네트워크 서버(300)는 위치 추적 장치(600) 및 위치 추적 서버(500) 간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위치 추적 서버(500)에 의해 생성된 세션 키를 이용하여 무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컨트롤러(400)는 네트워크 서버(300)와 연동하여 접속 관련 값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컨트롤러(400)는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1000)을 관리하는 서비스 사업자와 연동하여 서비스 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고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컨트롤러(400)는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시스템(1000)에 접근하고자 하는 새로운 위치 추적 장치(600)이 등록되는 과정을 지원하고, 신규 게이트웨이(200)가 등록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서버(500)는 네트워크 서버(300)와 연결되며, 네트워크 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위치 추적 장치(600)이 전송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서버(500)는 사용자로부터 단말(100)에 대한 분실 설정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 위치 추적 장치(600)로 전달하고, 이후에 발생되는 위치 추적 과정 전반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서버(500)는 패킷 암호화를 위한 세션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세션키를 이용하여 패킷을 암호화한 후 이를 네트워크 서버(300)를 거쳐 위치 추적 장치(600)로 전달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6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가 단말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600)는 통신부(610), 제어부(620), 단말 전원 관리부(630) 및 전원 저장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원 저장부(640)는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가 내장된 전원을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 해당 전원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가 단말(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해당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통신부(610)는 LoRa(Long Range Sub-Ghz Modul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추적 서버(5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610)는 LoR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인접하는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부(61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 단말(100)에 대한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LoRa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에 포함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제어부(6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600)의 제어 전반을 수행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제어부(620)는 LoRa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 추적 서버(500)에 연결되는 절차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620)는 위치 추적 서버(600)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100)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100)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통신부(610)를 통해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단말(100)이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610)를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서버(6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어부(620)는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600)로 전송한 이후에, 상기 단말(100)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독립된 전원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 대기한 후 단말(100)에 대한 분실 여부를 다시 확인하거나,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 시 단말(100)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독립된 전원 용량을 고려하여 상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 전원 관리부(630)는 단말(100)과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620)의 요청에 따라 단말(100)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단말(100)은 통신 장치(110), 저장 장치(120), 제어 장치(130), 입력 장치(140), 출력 장치(150), 배터리 장치(170),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80) 등과 같이 복수 개의 모듈 장치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의 배터리 장치(170) 및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80) 그리고 제어 장치(130) 간의 논리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과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위치 추적 장치(600)의 단말 전원 관리부(630)는 배터리 장치(170) 및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80)와 제어 장치(13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배터리 장치(170)에 저장된 전원이 제어 장치(130)를 비롯한 각 장치들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80)와 배터리 장치(170) 간의 연결 스위치를 오프(off) 시켜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180)에 별도의 전원이 연결되더라도 해당 전력이 배터리 장치(170)에 전달되는 과정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단말(100)에 구비되는 배터리 장치(170)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며 배터리에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데, 이때의 배터리 장치(170)는 단말(10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거나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 장치(170)가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위치 추적 장치(600)는 소량의 전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터리 장치(170)의 분리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위치 추적 시의 로직을 변경하는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600)의 주요 구성 및 단말(100)로의 구현 예시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각 장치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은 단말(100)과 단말(100)의 배터리 장치가 일체형인지 분리형인지 여부에 따라 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달리할 수 있다.
먼저 단말(100)의 내부 배터리 장치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때의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단말(100) 내부에 구비되는 위치 추적 장치(600)는 대기 상태에서(S101), 단말(100)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S103). S101 단계의 대기 상태란 위치 추적 장치(600)에 전원이 공급되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의 각 구성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분배하고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위치 추적 장치(600)가 이용하는 전원은 단말(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배터리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분실된 상태인 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데(S103), 예를 들어, 위치 추적 장치(600)는 위치 추적 서버(500)로 단말(100)에 대한 분실 설정이 되어있는지 여부를 질의하여 단말(100)의 분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에 대한 분실 설정은 단말(100) 사용자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위치 추적 서버(500)로 단말(100)이 현재 분실되었음을 안내하여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추적 장치(600)는 대기 상태에서 단말 분실 확인 단계로 이동 시,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단말 분실 확인 단계로 이동하거나,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단말 분실 확인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100)의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온(on)된 상태가 되거나,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가 실행되거나, 특정 서비스로의 접속 요청 등에 따라 위치 추적 장치(600)가 위치 추적 서버(500)와의 초기 가입 절차(Join Procedure)를 수행하는 것과 같이 기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됨에 따라 단말 분실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1일, 15일 단위 등과 같이 특정 주기에 따라 위치 추적 서버(500)에 질의하여 단말 분실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상기 확인 결과, 단말(100)에 대한 분실 설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100)의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105).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장치에 온오프를 차단하도록 논리적,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단말(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단말(100)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단말(100)의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이때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도록 단말(100)에 구비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논리적, 물리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후에,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위치 추적을 수행하기 위한 주기를 결정한다(S107).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결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109). 여기서 주기는 예컨대 '3초 단위로 10회'와 같이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 주기 및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횟수(또는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S107 단계에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최초 주기 결정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으며, 생략되어 기본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S107 단계에서 단말(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장치의 전원 용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력 용량에 따라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장치의 전력 용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면, 가용 전력이 많음을 의미하므로, 위치 추적 장치(600)는 짧은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배터리 장치의 전원 용량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이면, 가용 전력이 적음을 의미하므로 위치 추적 장치(600)는 주기를 길게 설정하고, 길게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109 단계에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LPWA(Low Power Wide Area)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LPWA의 통신 방식에 따라 일정 반경 내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연결된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LoRa(Long Range Sub-Ghz Modul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S111 단계에서 단말(100)이 지속하여 분실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과정은 위치 추적 서버(500)로의 질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상기 확인 결과 단말(100)이 지속하여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잔여 배터리 용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잔여 배터리 용량을 고려하여 주기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서버(500)로 결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면 S111 단계에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의 현재 상태가 분실 상태에서 분실 취소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대기 시간을 결정하고(S1013), 결정된 대기 시간만큼 대기 상태를 다시 수행하여(S101), 단말(100)이 분실 상태인 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대기 시간은 단말(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된 배터리 장치의 전원 용량에 따라 결정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른 대기 시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단말(100)의 배터리 장치가 분리형일 때의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내부에 배터리 장치가 언제든지 분리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단말(100) 내부에 구비되는 위치 추적 장치(600)는 제1 대기 상태에서(S201), 단말(100)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S103). 여기서 제1 대기 상태는 최초의 대기 상태로 단말 분실 확인 단계가 수행되기 이전의 최초 상태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대기 상태란 위치 추적 장치(600)에 전원이 공급되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의 각 구성에 필요로 하는 전원을 분배하고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는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서 위치 추적 장치(600)가 이용하는 전원은 단말(100)에 분리형으로 구비된 배터리 장치가 단말(100)에 장착되었을 경우 장착된 배터리 장치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탈착된 상태인 경우, 위치 추적 장치(600)에 내장된 소형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분실된 상태인 지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데(S203), 예를 들어, 위치 추적 장치(600)는 위치 추적 서버(500)로 단말(100)에 대한 분실 설정이 되어있는지 여부를 질의하여 단말(100)의 분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에 대한 분실 설정은 단말(100) 사용자가 별도의 경로를 통해 위치 추적 서버(500)로 단말(100)이 현재 분실되었음을 안내하여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위치 추적 장치(600)는 제1 대기 상태에서 단말 분실 확인 단계로 이동 시,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단말 분실 확인 단계로 이동하거나,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단말 분실 확인 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S203 단계에서 단말 분실 여부를 확인한 결과, 단말(100)에 대한 분실 설정이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100)의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205). 즉,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에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장치에 온오프를 차단하도록 논리적,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단말(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단말(100)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단말(100)의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이때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도록 단말(100)에 구비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다.
반면, 배터리 장치가 탈착되어 단말(100)이 이미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라면 S205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S203 단계 이후에, 위치 추적 장치(600)가 단말(100)의 분실 여부를 확인하여 분실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배터리 부착 상태를 확인하여(S219), 배터리 장치가 단말(100)에 부착된 상태인 지 여부에 따라 대기 시간을 결정하고(S221), 이에 따라 제1 대기 상태(S201)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위치 추적을 수행하기 위한 주기를 결정한다(S207).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결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209). S207 단계에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최초 주기 결정 단계를 생략할 수도 있으며, 생략되어 기본 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S207 단계에서 단말(100)에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장치의 전원 용량을 확인하거나, 위치 추적 장치(600)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의 용량을 확인하여 확인된 전원 용량에 따라 주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이용할 수 있는 전원 용량에 따라 최적으로 위치 추적 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209 단계에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LPWA(Low Power Wide Area)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LPWA의 통신 방식에 따라 일정 반경 내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연결된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소량 데이터 전송에 특화된 LoRa(Long Range Sub-Ghz Modul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S211 단계에서 단말(100)이 지속하여 분실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과정은 위치 추적 서버(500)로의 질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상기 확인 결과 단말(100)이 지속하여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잔여 배터리 전원 용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전원 용량을 고려하여 주기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서버(500)로 결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S211 단계에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의 현재 상태가 분실 상태에서 분실 취소 상태로 변경된 것으로 확인되면, S219 단계로 이동하여 배터리 부착 상태에 따라(S219), 대기 시간을 결정하고(S221), 결정된 대기 시간만큼 다시 제1 대기 상태(S201)부터 순차적으로 이후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반면 S211 단계에서 단말(100)이 지속적으로 분실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의 분리형 배터리 장치가 부착된 상태인 지 여부를 확인하고(S213) 이에 따라 대기 시간을 결정한 후(S215), 제2 대기 상태를 거쳐(S217), S207 단계 이후의 절차를 지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단말(100)의 배터리 장치가 탈착된 상태에서, 위치 추적 장치(600)에 구비되는 소량의 전원을 이용하여 보다 오랫동안 위치 추적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시간 대기한 후 다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내부에 존재하는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의 배터리 전원 용량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분실된 단말(100)의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에 구비되는 통신 장치와는 다르게 내부에 구비된 LPWA 통신 모듈, 바람직하게는 LoRa 통신 프로토콜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oRa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00)과 위치 추적 장치(600)를 별도의 장치 형태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단말(100)의 배터리 부착 형태에 따라 단말(100)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먼저 대기 상태에 있다(S301). 이러한 대기 상태는 위치 추적을 수행하기 이전의 활성화 상태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어(S303), 이를 위치 추적 장치(600)로 알림에 따라(S305), 위치 추적 장치(600)는 실질적인 위치 추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303 단계에서 발생되는 단말(100)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온(on)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브라우저의 실행, 또는 특정 서비스로의 접속 요청 등과 같이 위치 추적 서버(500)와의 초기 가입 절차(Join Procedure)와 관련된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로부터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전달되면, 게이트웨이(200) 및 네트워크 서버(300)를 거쳐 위치 추적 서버(500)로 단말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다(S307 ~ S31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추적 서버(500)와의 LoRa(Long Range Sub-Ghz Module) 통신 프로토콜을 따르는 메시지, 예컨대 가입 요청(Join Request) 메시지가 될 수 있다.
아울러, 게이트웨이(200)가 네트워크 서버(300)로 전달하는 단말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는 게이트웨이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서버(300)는 상기 게이트웨이 식별 정보를 상기 위치 추적 장치 식별 정보(또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한 후 추후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가 해당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위치 추적 장치(600)로 전송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100)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일정 반경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200)로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가 수신한 경우, 각각의 게이트웨이는 상기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서버(300)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서버(300)는 상기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추적 장치 식별 정보(또는 단말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가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서버(300)는 각각의 게이트웨이 식별 정보를 위치 추적 장치 식별 정보(또는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한 후 메시지의 중복성을 제거하여 위치 추적 서버(500)로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서버(300)는 후술하는 과정에서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위치 추적 장치(600)로 전송하기 위해, 복수 개의 게이트웨이 중 최적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하여, 선택된 게이트웨이(200)에만 선택적으로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300)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최적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300)는 신호 세기의 크기를 고려하거나 연결된 장치의 수 등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의 게이트웨이를 선택한 후 선택된 게이트웨이로만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300)는 S309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추적 서버(5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위치 추적 서버(500)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S311)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서버(500)는 S311 단계를 통해 단말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단말(100)에 대한 분실을 확인한다(S313). 상기 과정은 위치 추적 서버(500)가 단말(100)의 사용자에 의해 별도의 경로를 통해 입력된 분실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분실 정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위치 추적 서버(500)는 상기 단말(100)의 위치 추적 장치(600)가 접속한 게이트웨이(20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평상시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200)가 아닌 경우, 단말(100) 또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장치로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단말(100)의 상태가 분실된 것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서버(500)는 상기 과정을 거쳐 확인된 정보를 네트워크 서버(300) 및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단말(100) 내 구비되는 위치 추적 장치(600)로 전송한다(S315 ~ S319).
이때, 상기 위치 추적 장치(600)가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게이트웨이(200) 및 네트워크 서버(300)를 거쳐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하는 과정과(S307 ~ S311), 위치 추적 서버(500)가 단말 분실을 확인한 후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서버(300) 및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위치 추적 장치(600)로 전송하는 과정(S315 ~ S319)는 단말(100)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한 단말(100)은 언제든지 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단말(100)에 내부에 구현되는 위치 추적 장치(600) 또한 이동에 따라 연결되는 게이트웨이(200)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위치 추적 장치(600)는 위치 추적 서버(500)로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주기적으로 메시지를 게이트웨이(200) 및 네트워크 서버(300)를 거쳐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속 확인을 위한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위치 추적 장치(600)가 A 게이트웨이를 거쳐 네트워크 서버(300)로 최초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B 게이트웨이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한다.
위치 추적 장치(600)가 전송한 최초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는 A 게이트웨이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서버(300)로 전달하고, 네트워크 서버(300)는 상기 최초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에서 위치 추적 장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A 게이트웨이 식별 정보를 저장한 후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서버(500)는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상기 최초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위치 추적 장치(600)는 최초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에 응답 메시지를 아직 수신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주기적(예컨대, 128초)으로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고, 이를 B 게이트웨이를 거쳐 네트워크 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네트워크 서버(300)는 B 게이트웨이를 거쳐 수신된 위치 추적 장치(600)의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확인하여 위치 추적 장치(600)의 게이트웨이 식별 정보가 달라졌음을 확인하고, 이에 위치 추적 장치(600)가 A 게이트웨이에서 B 게이트웨이로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서버(300)는 A 게이트웨이가 아닌 마지막으로 메시지가 전달된 B 게이트웨이로 위치 추적 서버(500)가 전송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이동된 B 게이트웨이를 거쳐 정상적으로 응답 메시지를 수신받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위치 추적 장치(600)가 위치 추적 서버(5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기까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분실 상태임을 확인하고(S321), 단말(100)의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323). 즉,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배터리 장치에 온오프를 차단하도록 논리적,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단말(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단말(100)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단말(100)의 각 장치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이때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도록 단말(100)에 구비되는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현재 설정된 클래스 상태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현재 설정된 클래스 상태를 전력량에 따라 그리고 제어의 긴급성에 따라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325).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LoRa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클래스 중 어느 하나의 클래스로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클래스 A는 위치 추적 장치(600)가 상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 후에만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클래스 타입을 의미하며, 클래스 B는 위치 추적 장치(600)가 정해진 주기(예컨대, 128초)마다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클래스 타입을 의미하며, 클래스 C는 항상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만을 수신할 수 있는 클래스 타입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상기 클래스 타입 중 단말(100)의 잔여 배터리 전력량, 내장 전원 잔여 전력량을 고려하여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100) 또는 단말(100)이 보유한 정보의 레벨,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단말(100) 제어의 긴급성에 따라 클래스타입을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적 장치(600)가 이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 많은 경우, 위치 추적 장치(600)는 항상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클래스 C 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 위치 추적 장치(600)가 이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 적은 경우 위치 추적 장치(600)는 자신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후에만 하향링크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클래스 A 타입으로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클래스 타입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전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위치 추적 장치(60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클래스 타입을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한정된 전력량 및 제어의 긴급성을 고려하여 보다 더 효율적으로 위치 추적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주기를 결정한다(S327). 여기서 주기는 예컨대 '30초 단위로 10회'와 같이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 주기 및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횟수(또는 시간) 등에 대한 주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게이트웨이(200)와 연동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에,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주기에 따라 확인된 위치 정보를 게이트웨이(200) 및 네트워크 서버(300)를 거쳐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329).
이후에,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다시 단말(100)의 분실 여부를 확인한다(S331). 상기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S307 ~ S319의 과정과 동일한 절차를 걸쳐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추적 장치(600)는 상기 단말(100)의 배터리 장치가 상기 단말(10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경우, 단말(100)의 분실 상태를 다시 확인한 이후에, 단말(100)이 지속적으로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S327 및 S329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이때 S327 단계에서 결정되는 주기는 배터리 전력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면, 단말(100)의 분실 상태가 취소된 것으로 확인되면, 위치 추적 장치(600)는 대기 시간을 결정하고 대기 상태를 진행할 수 있다(S333 ~ S335). 여기서 대기 상태는 다음 번 단말(100)에 대한 위치 추적을 수행하기 위해 대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1일, 3일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대기 시간 또한 단말(100)의 배터리 전원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면, 단말(100)의 배터리 장치가 상기 단말(100)과 분리될 수 있는 분리형인 경우,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이 지속적으로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지속적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배터리 전원 용량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일정 시간 대기한 이후에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위치 추적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위치 추적 장치(600)는 단말(100)의 분실 상태가 취소된 것으로 확인되면, 일체형과 마찬가지로 대기 시간을 결정하고 대기 상태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위치 추적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추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단말이 분실된 경우, 단말의 배터리 잔여 용량을 고려하여 보다 유기적으로 위치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가,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전원이 꺼지거나 배터리가 탈장되더라도 위치 추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위치 추적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10: 통신 장치
120: 저장 장치 130: 제어 장치
140: 입력 장치 150: 출력 장치
170: 배터리 장치 180: 전원 인터페이스 장치
200: 게이트웨이 300: 네트워크 서버
400: 네트워크 컨트롤러 500: 위치 추적 서버
600: 위치 추적 장치 610: 통신부
620: 제어부 630: 단말 전원 관리부
640: 전원 저장부 1000: 위치 추적 시스템

Claims (9)

  1.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에서의 위치 추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장치가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은
    LoRa(Long Range Sub-Ghz Module) 통신 모듈을 의미하며,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 질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상기 독립된 전원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전원 용량을 기초로 위치 정보 측정을 위한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재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재확인한 결과, 상기 단말이 분실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일정 시간 대기하고, 그렇지 않으면 위치 정보 측정을 위한 상기 주기를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주기에 따라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클래스 타입 정보를 상기 단말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상기 독립된 전원 용량에 따라 변경하거나, 기 설정된 제어의 긴급성에 따라 변경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단말에 구비되어 상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거나 독립된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고, 상기 단말의 통신 모듈과는 다른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장치는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추적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단말 전원 관리부; 및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분실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 전원 관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단말로 전달되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고,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별도의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추적 서버로 전송한 이후에, 상기 단말의 전원 용량 또는 구비되는 상기 독립된 전원 용량에 따라 일정 시간을 대기한 후 상기 단말에 대한 분실 여부를 재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추적 장치.
KR1020150151242A 2015-10-29 2015-10-29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4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42A KR102149912B1 (ko) 2015-10-29 2015-10-29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42A KR102149912B1 (ko) 2015-10-29 2015-10-29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119A true KR20170050119A (ko) 2017-05-11
KR102149912B1 KR102149912B1 (ko) 2020-08-31

Family

ID=5874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242A KR102149912B1 (ko) 2015-10-29 2015-10-29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1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253B1 (ko) * 2018-02-27 2019-06-26 주식회사 하지요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것의 망 모드 전환 방법
KR20190084639A (ko)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무스마 해상 환경에서의 위치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4642A (ko)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무스마 산업장비 위치확인 시스템 및 산업장비 위치확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269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팬택 무선랜을 이용한 분실 단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0831A (ko) * 2012-12-19 2014-07-01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의 위치 안내 방법
KR20140141889A (ko) 2013-06-02 2014-12-11 이정용 위치정보추적장치가 내장된 스마트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7269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팬택 무선랜을 이용한 분실 단말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0831A (ko) * 2012-12-19 2014-07-01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의 위치 안내 방법
KR20140141889A (ko) 2013-06-02 2014-12-11 이정용 위치정보추적장치가 내장된 스마트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CS TraceME RF Positioning Enhancement Targets IoT Apps https://insidegnss.com/kcs-traceme-rf-positioning-enhancement-targets-iot-apps/, Inside GNSS*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4639A (ko)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무스마 해상 환경에서의 위치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4642A (ko)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무스마 산업장비 위치확인 시스템 및 산업장비 위치확인 방법
KR101993253B1 (ko) * 2018-02-27 2019-06-26 주식회사 하지요 위치 추정 시스템 및 그것의 망 모드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912B1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0086B (zh) 接收关于移动站的无线接入技术能力的信息
RU2448429C2 (ru) Межсистемная подвижность в режиме ожидания
KR100678522B1 (ko)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17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1491147B (zh) 具有多个无线通信接口的空闲模式终端的位置更新操作
CN106162777B (zh) 中继节点切换方法及系统
US2007026495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paging mechanism within wireless networks including multiple access points
CN103563445B (zh) 在网络切换期间维持移动装置的服务优先级
KR20140130489A (ko) 무선 액세스 기술과 연관된 셀의 선택법
US20110195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WO20131342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obe response related to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KR101742997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3178103A1 (zh) 无线热点信息的处理方法和无线热点的自动接入方法
WO2014134406A1 (en) Network-level device proximity detection
JPWO2014112638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ue
US20100232408A1 (en) Method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4760490B2 (ja) ネットワーク切り替え方法および携帯無線端末
CN102801800B (zh) 多无线终端之间的资源共享处理方法及系统
US20150173022A1 (en) Remedying power drain via a coverage map
US116655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oR information in UE
KR20190091528A (ko) 불연속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50119A (ko) 위치 추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8067184A (ja) 無線通信端末
KR102199443B1 (ko) 버퍼 크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40156A (ko) 상이한 무선 기술의 인접 셀의 시그널링에 대한 연속적인 검색 사이의 시간 간격 증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